KR20140142635A -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635A
KR20140142635A KR1020130064338A KR20130064338A KR20140142635A KR 20140142635 A KR20140142635 A KR 20140142635A KR 1020130064338 A KR1020130064338 A KR 1020130064338A KR 20130064338 A KR20130064338 A KR 20130064338A KR 20140142635 A KR20140142635 A KR 2014014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ractive index
index pattern
pattern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410B1 (ko
Inventor
심홍식
조은영
김현민
신유민
오영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410B1/ko
Priority to US14/158,287 priority patent/US9341750B2/en
Publication of KR2014014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635A/ko
Priority to US14/803,795 priority patent/US95752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개시된 광학 필름은 깊이가 폭보다 큰 형상의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과, 패턴이 없는 무패턴 영역이 교번 형성된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채우는 다수의 충진부를 포함하는 형성된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employing the same}
본 개시는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애노드(anode),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애노드와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이 때,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유기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발광체가 유기물이기 때문에 가지는 열화에 의한 수명 문제는 OLED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부분이며 이를 극복하고자 많은 기술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를 이용하는 기술은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공명(resonance)시켜 세기(intensity)를 증가시켜 외부로 나오게 하는 기술이다. 즉, 애노드와 캐소드의 거리를 적(R), 녹(G), 청(B) 각각의 대표 파장에 매칭되게 설계하여, 그에 상응하는 빛만이 공명되어 밖으로 나오고 그 외의 빛은 약화 시키는 구조로써, 결과적으로 밖으로 나온 빛의 세기가 세지고 샤프해지며, 이에 의해 휘도, 색순도가 증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휘도의 증가는 저전력 소비를 끌어내고 이는 수명 증가로 이어진다.
반면,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는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 증착물의 막두께에 의해 증폭될 파장이 결정되는데,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는 빛의 경로 길이가 달라지고 이는 증착물의 막두께가 달라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와 증폭되는 파장이 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시청각도가 정면에서 측면쪽으로 틸트될수록 단파장에서 최대 공진 파장을 나타내게 되어 단파장쪽으로 색변화(color shift)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는 화이트를 나타내다가도 측면에서는 블루 쉬프트(blue shift) 현상 때문에 화이트가 파란색을 띠는(bluish)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개시는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르는 광학 필름은 깊이가 폭보다 큰 형상의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과, 패턴이 없는 무패턴 영역이 교번 형성된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채우는 다수의 충진부를 포함하는 형성된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패턴 영역의 폭은 무패턴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상기 다수의 충진부를 연결하는 소정 두께의 평탄한 필름을 더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수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광확산체나 광흡수체가 함유된 투명 수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형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도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이 교번되는 화소 배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발광 영역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패턴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무패턴 영역이 배치되도록, 상기 렌즈 패턴 영역과 무패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 영역의 폭은 상기 발광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는 광학 필름은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부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하부에 형성된 제1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기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상기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제1기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위상변환층 사이에,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에서 상기 위상변환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제2기재, 제2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190)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제1기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상기 선편광층에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제2기재, 제2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190)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제1기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선편광층 사이에 배치된 제2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상기 제1점착층에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위상변환층, 선편광층, 제1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는 광학 필름은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반사방지막(190) 사이에 형성된 투과율 조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캐리어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제1 캐리어필름과 상기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과율 조절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배치된 제2 캐리어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투과율 조절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형성된 제1 캐리어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형성된 제2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캐리어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 및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된 것으로, 상술한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스트라이프 형태의 길이 방향이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세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의 무패턴 영역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복수의 화소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에서 상기 렌즈 패턴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개구율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널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제1점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상부에 반사 방지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 필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투과율 조절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은 수직 입사하는 광과 비스듬한 각으로 입사하는 광을 정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출사한다.
따라서, 상술한 광학 필름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색순도가 향상되는 미세 공동 구조로 유기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저감될 수 있어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광학 필름은 렌즈 패턴 영역과 무패턴 영역이 교번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부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무패턴 영역이 대응하도록 하여,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 필름에서 렌즈 패턴 영역의 형상을 상세히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학 필름의 렌즈 패턴 영역에 수직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인다.
도 4는 도 1의 광학 필름의 렌즈 패턴 영역에 비스듬하게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인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이미지 왜곡(image blur)이 발생할 수 있는 광경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원편광 필름을 채용한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투과율 조절층을 채용한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소 배열에 대한 광학 필름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1)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학 필름(1)에서 렌즈 패턴 영역(A1)의 형상을 상세히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1)은 깊이가 폭보다 큰 형상의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A1)과, 패턴이 없는 무패턴 영역(A2)이 교번 형성된 고굴절률 패턴층(110),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그루브(GR)를 채우는 다수의 충진부(P)를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포함한다.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서, 예를 들어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광확산체나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확산체로는 확산 비드가 사용될 수 있고, 광흡수체로는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광확산체의 경우 특정 그루브에 의해 각도별 색변화와 휘도 프로파일에서 나타날 수 있는 피크(peak)를 평탄화하여 시감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광흡수체의 경우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염료(dye)나 혹은 가시광선 전 파장에 걸쳐 흡수할 수 있는 카본 블랙(carbon black)등을 사용하여 명암비 혹은 색순도 등의 특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루브(GR)는 종횡비가 1보다 크게, 즉, 그루브(GR)의 깊이(d)가 폭(w)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소정 주기(T1)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R)를 형성하는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비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루브(GR)를 형성하는 곡면은 타원면, 포물면 또는 쌍곡면일 수 있다. 또한, 그루브(GR)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저굴절률 패턴층(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부들을 연결하는 소정 두께의 평탄한 막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 물질이나 충진 공법에 따라 평탄한 부분의 두께 및 평탄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 패턴층(120)은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광확산체나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확산체로는 확산 비드가 사용될 수 있고, 광흡수체로는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 패턴 영역(A1)과 무패턴 영역(A2)은 소정 주기(T2)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주기(T2)와 렌즈 패턴 영역(A1)의 폭, 무패턴 영역(A2)의 폭은 광학 필름(1)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배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광학 필름(1)은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이 교번되는 화소 배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데, 발광 영역과 마주하는 위치에 렌즈 패턴 영역이 배치되고,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무패턴 영역이 배치되도록, 렌즈 패턴 영역(A1)과 무패턴 영역(A2)의 폭, 주기(T2)가 정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21 및 도 22에서 후술할 것이다.
광학 필름(1)의 렌즈 패턴 영역(A1)은 일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그 입사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출사하여 광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반면, 무패턴 영역(A2)은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영역이다. 무패턴 영역(A2)을 렌즈 패턴 영역(A2) 사이에 적절히 설정하여, 이미지 왜곡(blur)을 줄일 수 있다.
먼저, 렌즈 패턴 영역(A1)의 역할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광학 필름(1)의 렌즈 패턴 영역에 수직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이며, 도 3은 광학 필름(1)의 렌즈 패턴 영역에 비스듬하게 입사한 광이 출광되는 광경로를 보인다. 광학 필름(1)은 편의상, 렌즈 패턴 영역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의 경계면은 그루브(GR)를 이루는 곡면(110a)과 평탄면(110b)을 포함하며, 이 때, 곡면(110a)은 렌즈면의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1)에 수직 입사하는 광은 곡면(110a)과 만나는 위치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굴절하여 광학 필름(1)으로부터 출사된다. 즉, 같은 입사각을 가지는 광선들이 곡면(110a)에 다다른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되므로, 광이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1)에 비스듬이 입사하는 광도 입사된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굴절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탄면(110b)을 경유하여 고굴절률 패턴층(110)에서 곡면(110a)과 만나는 광(L1)은 곡면(110a)에서 전반사되어 광학 필름(1)을 출사한다. 이러한 경로에서,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상면을 출사하는 각도는 광학 필름(1)에 입사될 때보다 작은 각도가 된다. 한편, 곡면(110a)을 경유하지 않는 경로로 평탄면(110b)을 지나는 광(L2)은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외부와의 경계에서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더 커지는 형태로 굴절되기 때문에, 광학 필름(1)에 입사된 각보다 더 큰 각도로 광학 필름(1)을 출사한다. 또한, 저굴절률 패턴층(120)에서 곡면(110a)과 만나는 광은 곡면(110a)에서 굴절된 후, 재차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상면에서 다시 굴절되기 때문에, 평탄면(110b)을 지나 곡면(110a)을 만나지 않고 출사되는 광(L2)보다 더 큰 굴절각으로 광학 필름(1)을 출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학 필름(1)에 같은 각도로 비스듬하게 입사한 광선(L1)(L2)(L3)은 각기 입사한 위치에 따라 다른 굴절각으로 광학 필름(1)을 출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을 통과한 광은 광학 필름(1)에 다양한 각도로 입사한 각이 혼합된 형태가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입사광이 확산되는 구체적인 광경로는 예시적인 것이고,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 간의 굴절률 차, 고굴절률 패턴층(110)에서 그루브(GR)의 종횡비, 그루브(GR)가 반복 배치된 주기(T1), 그루브 폭(w), 그루브(GR) 곡면의 형상등에 따라 광경로는 조금씩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광이 혼합되는 정도나 출사광의 휘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술한 광 혼합 효과는 광학 필름(1)에 입사하는 광이 그 입사각에 따라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 이러한 광학적 특성을 균등하게 혼합하여 출사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로부터 광이 출사될 때, 그 출사각에 따라 컬러 특성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 색변화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광이 상기한 구조의 광학 필름(1)을 통과한 후에는 색변화 정도가 혼합되므로, 보는 각도에 따른 색변화가 저감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의 렌즈 패턴 영역은 색변화를 저감시키는 순기능을 가지지만, 이에 의해 이미지 왜곡(image blur)이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광학 필름(1')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이미지 왜곡(image blur)이 발생할 수 있는 광경로를 보인 개념도이다.
비교예의 광학 필름(1')은 도 1과 같이 렌즈 패턴 영역과 무패턴 영역이 교번된 구조가 아니라, 전체가 렌즈 패턴 영역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즉, 광학 필름(1')은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그루브를 채우는 충진부를 가지는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구비하며, 다수의 그루브는 고굴절률 패턴층(110')에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1')은 기재나 반사방지막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들로 베이스 필름(BF)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DP) 상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DP)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화소(PX)는 발광 영역, 화소(PX) 사이의 영역은 비발광 영역이다. 디스플레이 패널(DP)에서 발광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구율(aperture ratio)이라 하는데, 배선이나 TFT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화소가 작아질수록, 즉, 해상도가 작아질수록 개구율은 낮아진다.
이와 같이, 비발광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클 때, 비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광학 필름(1')은 이미지 왜곡, 고스트(ghost) 이미지의 원인이 되어 화상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실선은 광학 필름(1')이 있는 경우의 광경로이고, 점선은 광학 필름(1')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 경우의 광경로이다. 광학 필름(1')이 없는 경우, 화소(PX)로부터 비발광 영역의 상부 또는 인접 화소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입사된 광은 베이스 필름(BF)의 상면에서 굴절 반사되어, 시청자의 시야를 벗어난 위치를 향한다. 그러나, 광학 필름(1')이 있는 경우, 렌즈 패턴에 의한 작용으로 실선과 같은 광경로로 베이스 필름(BF)을 투과하여 시청자의 시야에 다다르며, 이러한 광은 이미지 왜곡을 일으킨다.
이러한 이미지 왜곡은 화소(PX)와 광학 필름(1') 간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줄일 수 있는 것이지만, 디스플레이 패널(DP)의 기판으로 통상 사용되는 글래스 기판(GL)의 두께가 630~1100um으로, 이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의 광학 필름은 이러한 이미지 왜곡을 줄이도록 화소간의 비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무패턴 영역을 도입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2)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2)은 도 1의 광학 필름(1)과 마찬가지로, 렌즈 패턴 영역과 무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편의상, 렌즈 패턴 영역만을 도시하고 있다.
광학 필름(2)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그루브(GR)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110), 고굴절률 패턴층(1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저굴절률 패턴층(1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광학 필름(2)은 저굴절률 패턴층(121)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으며, 즉, 도 1의 광학 필름(1)과 비교할 때, 저굴절률 패턴층(121)은 그루브(GR)를 충진부들을 연결하는 평탄한 막을 포함하는 형상이 아니며,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부로만 이루어진다.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부는 수지 물질일 수 있고, 또는, 공기일 수도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3)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3)은 도 1의 광학 필름(1)과 마찬가지로, 렌즈 패턴 영역과 무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편의상, 렌즈 패턴 영역만을 도시하고 있다.
광학 필름(3)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는 고굴절률 패턴층(210)과 고굴절률 패턴층(210) 상에 형성된 것으로, 고굴절률 패턴층(2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부(P)을 가지는 저굴절률 패턴층(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광학 필름(3)은 그루브(GR)가 도트 형태인 점에서 도 1의 광학 필름(1)과 차이가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4)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4)은 도 1의 광학 필름(1)과 마찬가지로, 렌즈 패턴 영역과 무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편의상, 렌즈 패턴 영역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광학 필름(4)은 저굴절률 패턴층(221)의 형태에서 도 7의 광학 필름(3)과 차이가 있다. 저굴절률 패턴층(121)은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부들을 연결하는 평탄한 막을 포함하는 형상이 아니며,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부로만 이루어진다. 그루브(GR)를 채우는 충진부는 수지 물질일 수 있고, 또는, 공기일 수도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1~4)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될 때 필요한 점착층, 반사방지막, 원편광 필름 또는 투과율 조절층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필름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5)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5)은 고굴절률 패턴층(110) 상부에 반사 방지막(190)이 더 형성되고, 저굴절률 패턴층(120) 하부에 제1점착층(131)이 더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반사방지막(190) 사이에 제1기재(14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반사방지막(190)은 굴절률이 상이한 무기물로 된 다층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점착층(131)은 유기 발광 패널과의 점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PSA(pressure sensitive adhesion)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광흡수체나 광확산제가 포함된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 및/또는 저굴절률 패턴층(120)은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다양한 층들에 광흡수체를 함유한 물질을 적용하는 경우,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제1기재(141)는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6은 원편광 필름을 채용한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6~12)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원편광필름은 위상변환층(150)과 선편광층(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상변환층(150)은 예를 들어, λ/4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선편광층(160)은 PVA 필름(polyvin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과의 적층 구조,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PVA 필름은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으로, 고분자 물질인 폴리비닐알콜에 2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6)(7)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점착층(13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 제1기재(14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으로 이루어지는 원편광 필름은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비편광된 외부광이 입사하면, 외부광은 선편광층(160)을 지나며 선편광으로 변하고, 위상변환층(150)에 의해 원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된 빛은 위상변환층(150)과 고굴절률 패턴층(110)과의 계면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 제1점착층(131)을 지나 제1점착층(131)과 접하는 유기 발광 패널(미도시)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회전방향이 반대인 원편광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은 위상변환층(150)을 지나면서 선편광층(160)의 투과축과 직각인 선편광이 되어 결국,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원편광 필름은 고굴절률 패턴층(110) 상에 배치되므로, 고굴절률 패턴층(110)을 원편광 필름과 광축이 다른 비등방성 물질로 형성할 경우 편광이 깨지게 되어 입사된 외광이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있고, 반사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TAC) 또는 용제 주조(solvent casting)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이 원편광 필름과 광축이 같은 등방성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11의 광학 필름(7)은 도 10의 광학 필름(6)과 비교할 때,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위상변환층(150) 사이에, 고굴절률 패턴층(110)에서 위상변환층(150)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142),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8)(9)는 제1점착층(131),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제1기재(14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3의 광학 필름(9)은 선편광층(16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 사이에, 선편광층(16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142),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10)(11)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위상변환층(150),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선편광층(160), 제1기재(14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5의 광학 필름(11)은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선편광층(160) 사이에 제2기재(142)가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6의 광학 필름(12)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 제1기재(14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투과율 조절층을 채용한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투과율 조절층(170)은 고분자 수지에,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블랙 물질(black material)로, 블랙 염료, 안료, 카본 블랙(Cabon black) 혹은 이들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는 가교 입자 등을 분산시켜 형성한 필름일 수 있다. 고분자 수지로는 PMMA 등의 바인더 뿐만 아니라 아크릴계 등의 UV 경화수지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투과율 조절층(170)의 두께나 고분자 수지에 함유된 블랙 물질의 함유량은 블랙 물질의 광학적 성질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투과율 조절층(170)의 투과율은 40% 이상일 수 있으며, 이것은 원편광 필름의 투과율보다 다소 높은 정도이다. 투과율 조절층(170)을 사용하는 것은 원편광필름이 은 외부광은 거의 완벽히 차단하나, 투과율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13)(14)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제1 캐리어필름(15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18의 광학 필름(14)은 제1 캐리어필름(151)과 투과율 조절층(170) 사이에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고, 투과율 조절층(170)과 반사방지막(190)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15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의 광학 필름(15)(16)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 저굴절률 패턴층(120), 고굴절률 패턴층(110), 투과율 조절층(170), 제1 캐리어필름(151),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도 20의 광학 필름(16)은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2점착층(132)이 더 형성되고, 제1점착층(131)과 저굴절률 패턴층(120)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15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캐리어필름(151)(152)은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또는 반사방지막(190)이나 투과율 조절층(170)을 위한 기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7 내지 도 20의 실시예들의 광학 필름(13~16)은 선편광층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편광 유지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아, 이러한 기재로, TAC외에 PET, PC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20의 광학 필름(5~16)에서 고굴절률 패턴층(110), 저굴절률 패턴층(120)으로 도 2의 형상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 내지 도 8에서 예시한 구조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에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의 화소 배열에 대한 광학 필름(520)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인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510), 유기 발광 패널(510) 상에 배치된 광학 필름(520)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520)은 도 11의 광학 필름(7)의 예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다양한 다른 예들의 광학 필름이 채용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패널(510)은 휘도 및 색순도 향상을 위해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패널(500)은 적, 녹, 청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다수의 유기 발광소자를 구비하는데,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13), 유기발광층(14), 캐소드(15)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화소가 적색(R), 녹색(G), 청색(B)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패널(510)인 경우 장파장인 적색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14)와 캐소드(16)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길고, 단파장인 청색 유기 발광소자의 애노드(14)와 캐소드(16)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구조의 미세 공동 구조로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패널(510)은 애노드(13)와 캐소드(15) 사이의 거리를 적색, 녹색, 청색 각각의 대표 파장에 매칭되게 형성하여 그에 상응하는 빛만이 공명되어 밖으로 출사시키고 그 외의 빛은 약화시키게 된다.
유기 발광 패널(51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기 발광 패널(510)의 각 서브 화소는 서로 대향하는 제1기판(11)과 제2 기판(19) 사이에 배치되고 애노드(13), 유기 발광층(14) 및 캐소드(15)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제1기판(11) 상에 형성되고 애노드(13) 및 캐소드(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회로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애노드(13)는 알루미늄(Al)과 같은 불투명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소드(15)는 유기 발광층(15)에서 발광된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도록 인듐 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산화물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으로 이루어지거나 니켈(Ni) 박막의 반투명 전극(semitransparent electrod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회로부(12)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구동회로부(12)는 유기 발광 패널(510)의 단위 화소를 구동하는 회로로서, 게이트 라인(gate line) 및 이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그리고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itching TFT),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원 라인 사이에서 유기발광소자와 접속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riving TFT), 그리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와 전원 라인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에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라인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가 오프(off)되더라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유기 발광층(15)은 애노드(13) 상에 차례로 적층되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애노드(13)와 캐소드(15) 사이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캐소드(15)로부터 전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애노드(13)로부터 정공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 때, 방출되는 빛의 밝기는 애노드(13)와 캐소드(15)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패널(10)은 색 효율 향상을 위해 컬러 필터(17)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컬러 필터(17)는 제2 기판(12)에 형성되는데, 적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청색 컬러 필터가 형성된다. 만일, 단위 화소가 4색(적, 녹, 청, 백)으로 이루어진 경우 백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컬러 필터(17)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기판(12)에는 빛샘 방지 및 혼색 차단을 위한 블랙 매트릭스가 각 서브 화소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애노드(13)와 캐소드(15) 간의 전기적 연결 및 애노드(13)와 구동회로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제1기판(11)과 제2 기판(12)의 실링재에 의한 대면 합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를 채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시청각도가 정면에서 측면쪽으로 틸트될수록 단파장에서 최대 공진 파장을 나타내게 되어 단파장쪽으로 색변화(color shift)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는 화이트를 나타내다가도 측면에서는 블루 쉬프트(blue shift) 현상 때문에 화이트가 파란색을 띠는(bluish)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이러한 색변화를 줄이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 상에 광학 필름(520)을 배치하고 있다.
광학 필름(520)의 그루브(GR)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스트라이프 형태는 그 길이 방향이 유기 발광 패널(510)의 세로 방향(Z) 방향이 되도록 광학 필름(520)이 유기 발광 패널(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패널(510)의 하나의 화소에 광학 필름(520)의 정수개의 그루브(GR)가 대응하도록 광학 필름(520)이 유기 발광 패널(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그루브(GR)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광학 필름(520)은 그루브(GR)이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A1)과 무패턴 영역(A2)을 포함하며, 무패턴 영역(A2)의 가로 방향(Y) 폭(S2)은 인접한 화소가 가로 방향(Y)으로 이격된 폭(S1)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광학 필름(520)에서 렌즈 패턴 영역(A1)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유기 발광 패널의 개구율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패턴 영역(A1)에 해당하는 위치의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은 일정한 각도로 입사한 광을 다양한 각도로 출사시켜, 색변화 저감층의 역할을 한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에서 출사되는 광은 소정의 각도 분포를 가지며, 그 각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변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광이 고굴절률 패턴층(11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으로 이루어진 색변화 저감층을 투과한 후에는 색변화가 큰 각도로 색변화 저감층에 입사한 광과 색변화가 작은 각도로 색변화 저감층에 입사한 광이 골고루 혼합되어 출사되므로, 시청자의 시청 각도에 따른 색변화가 저감되게 된다.
또한, 무패턴 영역(A2)은 광학 필름(1)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왜곡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무패턴 영역(A2)의 폭(S2)이 너무 크게 설정되면, 광학 필름(520)의 의도하는 기능인 색변화 저감 정도가 나빠질 수 있고, 또한, 무패턴 영역(A2)의 폭이 너무 작게 설정되면, 도 5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왜곡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S1과 S2를 적절히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3은 S2/S1에 따른 이미지 왜곡(blur intensity)과 색변화(Δu'v')를 전산 모사한 그래프이다.
블러(blur)의 정도는 화소와 화소 사이의 중간 지점에 나타나는 블러(blur)의 휘도 세기의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 수치가 클수록 이미지 왜곡이 심하다.
색변화(Δu'v')는 정면 white(x, y) = (0.28, 0.29) 색상을 기준으로, 시야각 60˚에서의 색상 변화 정도를 나타낸다. 이 값이 작을수록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 저감 효과가 우수하며, 통상, 색변화가 대략 0.02보다 작을 때는 사람의 눈에 잘 인지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S2/S1가 작아질수록 블러(blur)는 작아지지만, 색변화 개선 정도는 감소한다. 반대로, S2/S1이 증가하면 색변화 개선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블러(blur)가 커진다. 유기 발광 패널(510)의 발광 특성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유지되나 절대값은 달라질 수 있으며, 색변화 개선 정도와 이미지 왜곡 정도를 고려하여 S2/S1의 적정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2에서 R, G, B 화소들은 모두 같은 크기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화소의 밝기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화소의 모양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GR)의 길이 방향이 유기 발광 패널(510)의 세로 방향(Z)과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모아레 패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루브(GR)의 길이 방향이 유기 발광 패널(510)의 세로 방향(Z)에 대해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소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6, 520...광학 필름 110, 210... 고굴절률 패턴층
120, 121, 220, 221...저굴절률 패턴층 131,132 ...제1, 제2점착층
141,142...제1, 제2기재 150...위상변환층
160...선편광층 170...투과율 조절층
181, 182...제1, 제2캐리어필름 190...반사방지막
500...유기 발광 표시 장치 510...유기 발광 패널

Claims (32)

  1. 깊이가 폭보다 큰 형상의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과, 패턴이 없는 무패턴 영역이 교번 형성된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를 채우는 다수의 충진부를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하는 광학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패턴 영역의 폭은 무패턴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상기 다수의 충진부를 연결하는 소정 두께의 평탄한 필름을 더 포함하는 형상인 광학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광확산체 또는 광흡수체가 함유된 투명 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형으로 연장된 형태인 광학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도트 형태인 광학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이 교번되는 화소 배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발광 영역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렌즈 패턴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무패턴 영역이 배치되도록, 상기 패턴 영역과 무패턴 영역이 형성된 광학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영역의 폭은 상기 발광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광학 필름.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부에 반사 방지막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하부에 제1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기재가 형성된 광학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 필름이 더 구비된 광학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상기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제1기재가 형성된 광학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위상변환층 사이에,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에서 상기 위상변환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제1기재가 배치된 광학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점착층에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위상변환층,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제1기재가 배치된 광학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선편광층 사이에 제2기재가 더 형성된 광학 필름.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상기 제1점착층에서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을 향하여 순서대로,
    위상변환층, 선편광층, 제1기재가 형성된 광학 필름.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반사방지막 사이에 투과율 조절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1 캐리어필름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필름과 상기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투과율 조절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율 조절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제1 캐리어필름이 형성된 광학 필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투과율 조절층 사이에 제2점착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점착층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제2 캐리어필름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5.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 및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된 것으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연장된 형태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스트라이프 형태의 길이 방향이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세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무패턴 영역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복수의 화소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에서 상기 렌즈 패턴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의 개구율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패널과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사이에 제1점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상부에 반사 방지막이 더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 필름이 더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투과율 조절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KR1020130064338A 2013-06-04 2013-06-04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7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338A KR102070410B1 (ko) 2013-06-04 2013-06-04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158,287 US9341750B2 (en) 2013-06-04 2014-01-17 Optical films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employing the same
US14/803,795 US9575217B2 (en) 2013-06-04 2015-07-20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338A KR102070410B1 (ko) 2013-06-04 2013-06-04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635A true KR20140142635A (ko) 2014-12-12
KR102070410B1 KR102070410B1 (ko) 2020-01-28

Family

ID=5198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338A KR102070410B1 (ko) 2013-06-04 2013-06-04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341750B2 (ko)
KR (1) KR1020704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202A (ko) * 2014-04-30 2015-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591088A (zh) * 2016-07-06 2018-01-16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
KR20180036373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82028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24063542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5367B (zh) * 2013-12-24 2016-03-30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及电子设备
US9431463B2 (en) * 2014-04-30 2016-08-30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TWI577008B (zh) * 2014-05-28 2017-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04659075B (zh) * 2015-03-19 2017-08-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20170052455A (ko) * 2015-10-30 2017-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WO2018097842A1 (en) 2016-11-22 2018-05-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ectrally selective light control film
WO2018097841A1 (en) 2016-11-22 2018-05-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gularly and spectrally selective detector and light source systems
KR20190086467A (ko) 2016-11-22 2019-07-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스펙트럼 선택적 역반사 시스템
KR102391396B1 (ko) * 2017-09-28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947135B2 (en) 2017-12-13 2024-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transmission light control film
KR20200042059A (ko) 2018-10-12 2020-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92533A (ko) * 2019-01-24 2020-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96384A (ko) * 2019-02-01 2020-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145268A (ko) * 2019-06-21 2020-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 층을 구비한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10010720A (ko) 2019-07-18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38756A (ko) * 2019-09-30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628111B (zh) * 2020-06-30 2022-09-13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900193A (zh) * 2020-09-02 2020-11-0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件及其制作方法
CN113314680B (zh) * 2021-05-26 2023-09-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002879B (zh) * 2021-11-01 2023-06-3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光学膜片和显示装置
CN115016054A (zh) * 2022-05-31 2022-09-0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广视角偏光片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4994814A (zh) * 2022-06-01 2022-09-0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散射膜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CN115185026A (zh) * 2022-07-12 2022-10-1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广视角光学膜及其制作方法、液晶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2232A (ja) * 2007-03-28 2008-10-09 Mitsui Chemicals Inc 視野角制御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
KR20110041040A (ko) * 2009-10-15 2011-04-2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2173A (ko) * 2011-01-13 2012-07-2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27897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컬러 시프트 및 시인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20133084A (ko) * 2011-05-30 2012-12-10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1726A (en) * 1994-08-26 1996-05-28 Alliedsignal Inc. Polarizer with an array of tapered waveguides
US6822792B2 (en) * 2001-05-14 2004-11-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Sheet for use for projection screen, light diffusion sheet and projection screen
US20100245736A1 (en) * 2007-10-03 2010-09-30 Yusuke Nishihara Light diffusion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1065309A1 (ja) * 2009-11-25 2011-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拡散偏光シート、光拡散偏光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1874649B1 (ko) * 2010-04-22 2018-07-04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조명 장치
KR101200770B1 (ko) 2011-01-11 2012-11-1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8995807B1 (en) * 2013-06-28 2015-03-31 Modilis Holdings Llc Laminated light guide collim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2232A (ja) * 2007-03-28 2008-10-09 Mitsui Chemicals Inc 視野角制御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
KR20110041040A (ko) * 2009-10-15 2011-04-2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2173A (ko) * 2011-01-13 2012-07-2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27897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컬러 시프트 및 시인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20133084A (ko) * 2011-05-30 2012-12-10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202A (ko) * 2014-04-30 2015-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591088A (zh) * 2016-07-06 2018-01-16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
US11675450B2 (en) 2016-07-06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80036373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82028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24063542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3707A1 (en) 2015-11-12
US9341750B2 (en) 2016-05-17
US9575217B2 (en) 2017-02-21
KR102070410B1 (ko) 2020-01-28
US20140353626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91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70410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8942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improved color shift and visibility
JP5876027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070411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9781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21346B2 (en) Optical films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KR102120809B1 (ko)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KR101421025B1 (ko) 컬러 시프트 및 시인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158514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2080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224778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00444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20133083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