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809B1 -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809B1
KR102120809B1 KR1020130122820A KR20130122820A KR102120809B1 KR 102120809 B1 KR102120809 B1 KR 102120809B1 KR 1020130122820 A KR1020130122820 A KR 1020130122820A KR 20130122820 A KR20130122820 A KR 20130122820A KR 102120809 B1 KR102120809 B1 KR 10212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refractive index
layer
pattern lay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862A (ko
Inventor
김현민
신유민
심홍식
오영
정철호
조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일모직주식회사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일모직주식회사,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809B1/ko
Priority to US14/513,393 priority patent/US9590210B2/en
Publication of KR20150043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2Fiducial marks and measuring scales within the optical system
    • G02B27/34Fiducial marks and measuring scales within the optical system illumina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9Photoelectric exposure meters for determining the exposure time in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광학 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은 광학 필름이 구비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감 곡선상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이다.
상기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이미지 블러의 발생이 적은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설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METHOD FOR EVALUATING IMAGE BLUR PHENOMENONE OF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WITH REDUCED IMAGE BLUR}
본 개시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에 대한 것이다.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애노드(anode),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애노드와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이 때,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유기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발광체가 유기물이기 때문에 가지는 열화에 의한 수명 문제는 OLED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부분이며 이를 극복하고자 많은 기술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를 이용하는 기술은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공명(resonance)시켜 세기(intensity)를 증가시켜 외부로 나오게 하는 기술이다. 즉, 애노드와 캐소드의 거리를 적(R), 녹(G), 청(B) 각각의 대표 파장에 매칭되게 설계하여, 그에 상응하는 빛만이 공명되어 밖으로 나오고 그 외의 빛은 약화 시키는 구조로써, 결과적으로 밖으로 나온 빛의 세기가 세지고 샤프해지며, 이에 의해 휘도, 색순도가 증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휘도의 증가는 저전력 소비를 끌어내고 이는 수명 증가로 이어진다.
반면,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는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 증착물의 막두께에 의해 증폭될 파장이 결정되는데,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는 빛의 경로 길이가 달라지고 이는 증착물의 막두께가 달라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와 증폭되는 파장이 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시청각도가 정면에서 측면쪽으로 틸트될수록 단파장에서 최대 공진 파장을 나타내게 되어 단파장쪽으로 색변화(color shift)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는 화이트를 나타내다가도 측면에서는 블루 쉬프트(blue shift) 현상 때문에 화이트가 파란색을 띠는(bluish)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량을 줄이면서도 중앙의 고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에는 고굴절률 패턴층과 저굴절률 패턴층이 접합되어 렌즈 패턴을 이루는 형태가 통상 사용되어, 시야각에 따른 백색감(White Angle Dependency: WAD)의 변화를 줄이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에서 픽셀 단위로 발광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광학 필름에 의해, 광 출사가 일어나는 픽셀에서의 광이 이웃하는 픽셀의 범위까지 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미지 블러링(Blur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르는 광학 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은 광학 필름이 구비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감 곡선상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감 곡선은 x좌표는 거리(distance)이고, y좌표는 감도(sensation)인 x, y좌표 상 다수 개의 피크(peak)를 갖는 곡선이며,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 상 y축을 경계로 x좌표가 음(-)인 영역과 양(+)인 영역에서 각각 발현되는 피크들 중 y좌표가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L)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패턴은 상기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scanning line)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CCD는 CCD 30 픽셀 이상이 유기 발광소자 1 픽셀을 커버(cover)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휘도계(spectro-rad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푸리에 변환 및 수치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함수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공간 주파수 함수에 색 감도 함수(Color Sensitivity Function)를 곱한 후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은 기재층; 고굴절 광확산층; 고굴절 수지층; 및 광학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유형에 따른 광학 필름은 서로 마주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은 곡면으로 된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13093098119-pat00001
여기서, LB는 상기 광학 필름을 적용한 OLED 패널에 대해 상기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고, LB,0는 상기 광학필름을 채용하지 않은 OLED 패널에 대해 상기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 형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1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또는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광확산제가 함유된 투명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확산제의 함유량은 1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의 영역은 상기 다수의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는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과, 패턴이 없는 무패턴 영역이 교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패턴 영역의 폭은 무패턴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도트 형상을 가지며, 이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타원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제1방향으로는 간격 없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는 소정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복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상기 제2면 상에 반사 방지막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에 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 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반사방지막 사이에 투과율 조절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 및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된 것으로,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상술한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은 시감 특성을 고려하여 정량화되고 수치화된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상술한 이미지 플러 평가 방법에 따라, 이미지 블러의 발생이 감소되는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의 구조가 제시된다.
상술한 광학 필름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색순도가 향상되는 미세 공동 구조로 유기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고,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적고 이미지 블러가 적은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이 적용된 예와 그렇지 않은 경우(bare pannel)의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량 및 이미지 블러 현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이미지 블러의 평가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으로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에서 사용되는 블러 폭(blur width)를 정의하기 위해, 휘도 곡선(luminance curve) 및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의 대상이 되는 광학 필름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학 필름에 채용된 렌티큘러 렌즈 패턴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얻은 시감 곡선 Ⅰ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 얻은 시감 곡선 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시감 곡선 Ⅲ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실시예 3의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다른 실시예들로서, 광 확산제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광학 필름의 OLED 패널의 픽셀과의 배치 관계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광학 필름의 돌출부의 예시적인 형상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들로서, 원편광 필름을 구비한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투과율 조절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은 시야각에 따른 백색감(White Angle Dependency:WAD)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만큼 시야각에 따른 백색감을 균일하게 발현할 수 있으나, 픽셀 단위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방식에서, 광 출사가 이루어지는 픽셀의 광들은 이웃하는 픽셀의 범위까지 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미지 블러 현상(image blur phenomenon) 또는 이미지 블러(image blur)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블러 현상은 시청자의 입장에서 보면 픽셀이 정교하지 못하고 퍼져 보이는 듯한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이 적용된 예와 그렇지 않은 경우 (bare pannel)의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율(a) 및 이미지 블러 효과(b)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a)를 참고하면,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이 적용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율(△U'V')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1 (b)와 같이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적용한 경우에는 이미지 블러 현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학필름,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의 이미지 블러 현상(image blur phenomenon)을 정량화 또는 수치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은 (S1) 광학 필름이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S2)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S3)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S4)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변환하여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을 얻는 단계; 및 (S5) 상기 시감 곡선상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이미지 블러의 평가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100)이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의 테스트 패턴으로서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 (scanning line)(10)을 표시한 것이다. 주사선(10)은 복수 개의 픽셀(pixel)(11)이 일렬로 조합된 것을 의미한다.
(S1) 단계에서는 도 1의 광학필름이 구비된 유기 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도 2와 같이 광학필름상 패널에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게 된다.
(S2) 단계에서는 표시된 테스트 패턴 영역(T)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가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로서, CCD 30 픽셀 이상이 유기 발광소자 1 픽셀을 커버(cover)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단계에서는 (S2) 단계에서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상대적인 공간 휘도 분포를 얻고,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휘도계(spectro-radiometer)로 측정하여 정면 절대 휘도값을 얻은 후, 상기 공간 휘도 분포와 상기 절대 휘도값으로부터 실측 공간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S4) 단계에서는 (S3) 단계에서 얻어진 실측 공간 휘도값은 푸리에 변환 및 수치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실측 공간 휘도값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함수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공간 주파수 함수에 색 감도 함수(Color Sensitivity Function)를 곱한 후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감곡선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푸리에 변환은 바람직하게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일 수 있으며, Mathematica, Matlab 등의 수치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은 시감 곡선상 거리 블러 폭(blur width)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블러 현상을 정량화 또는 수치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러 폭(blur width)은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에서 사용되는 블러 폭(blur width)를 정의하기 위해, 휘도 곡선(luminance curve) 및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4를 참고하면, 시감 곡선은 x좌표는 거리(distance)이고, y좌표 는 감도(sensation)인 x, y좌표 상 다수 개의 피크(peak)를 갖는 곡선으로 나타날 수 있다. 블러 폭은 시감 곡선 상 y축을 경계로 x좌표가 음(-)인 영역과 양(+)인 영역에서 각각 발현되는 피크들 중 y좌표가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L)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음(-)의 피크가 2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y 좌표가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L)를 측정하여 블러 폭(blur width)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 평가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은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은 기재층; 고굴절 광확산층; 고굴절 수지층; 및 광학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광확산층은 광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패턴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 렌티큘러 렌즈 패턴 등일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의 대상이 되는 광학 필름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학 필름에 채용된 렌티큘러 렌즈 패턴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은 기재층(110); 광확산제(121)를 포함하는 고굴절 광확산층(120); 고굴절 수지층(130); 및 렌티큘러 렌즈 패턴이 형성된 저굴절수지층(1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 패턴은 상기 고굴절 수지층과 대향하는 저굴절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렌티큘러 렌즈 패턴은 이웃하는 렌티큘러 렌즈(143)간에 일정한 이격거리(S) 를 두고 복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143)가 저굴절 수지층(141)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격거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 개선효가 더 향상될 수 있는 반면, 이미지 블러 현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을 적용시 색변화 개선 효과와 이미지 블러 현상이 저감되는 효과가 최적화되는 조건 등을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두께 60㎛인 기재필름(후지필름社의 TAC 필름)만을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장착한 후,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시감 곡선 Ⅰ을 얻은 한 후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상기 시감 곡선 Ⅰ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상기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삼성전자, NX20)로 촬영한 사진이다.
<실시예 2>
하기의 각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도 5의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장착한 후,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시감 곡선 Ⅱ를 얻은 한 후 블러폭(blur width)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상기 시감 곡선 Ⅱ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상기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삼성전자, NX20)로 촬영한 사진이다.
기재층 : 후지필름社의 TAC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두께는 60㎛이다.
고굴절 광확산층: 유기 광확산제로서 미코팅 입자인 실리콘계 입자 (제일모직社, SL-200) 0.5 중량% 및 흑색 안료로 코팅된 아크릴계 입자 (Sekisui社, xx-2740Z)가 0.5 중량% 분산된 자외선 경화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 (애경화학 社, RS1400)로 제조되었으며, 굴절률은 1.528 이고 두께는 40㎛이다.
고굴절 수지층: 자외선 경화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였고,
굴절률은 1.4 이고 최대 두께는 40㎛이다.
학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 하기 표 1의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로 제조된 저굴절 수지층 일면에 복수 개의 반구형 렌티큘러 렌즈가 18㎛의 이격거리를 두고 연속 배열되고, 상기 수지층과 마이크로 렌즈는 일체로 형성되었다. 저굴절 수지층의 두께는 17㎛이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폭(D)은 10㎛, 높이(H)는 12㎛, 종횡비(H/D)는 1.2 이다.
<실시예 3>
고굴절 광확산층이 광확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제조한 후,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장착한 후,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시감 곡선 Ⅲ을 얻은 한 후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9는 상기 시감 곡선 Ⅲ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상기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삼성전자, NX20)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미지 블러의 평가방법
실시예 1 내지 3에서 광학필름이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scanning line)으로 표시되는 테스트 패턴을 표시한 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였다. 상기 확보된 이미지를 이미지-휘도 변환 프로그램 Origin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공간휘도값을 얻고, 휘도계(Spectro-radiometer, TOPCON社 SR-UL2-CAL)를 이용하여 정면에서의 절대 휘도값을 얻고, 이를 대입하여 실측 공간 휘도값을 얻었다.
상기 공간 휘도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form, FFT)하여 공간 주파수의 함수로 만들고, 상기 공간주파수에서의 시감 특성을 반영하는 색 감도 함수(Color Sensitivity Function, CSF)를 곱하여 공간 주파수에서의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을 얻고 이를 다시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FT)하여 공간의 함수로 변환하였다. 최종적으로 시감 곡선에 나타나는 좌우의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 간의 거리를 구하여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굴절률 차이   0.128 0.128
렌티큘러 렌즈 종횡비   1.2 1.2
광확산제 포함 여부 X X
블러 폭(blur width) (㎛) 531.5 709.33 917.44
상기 표 1 및 도 7 내지 12를 참고하면, 블러 폭(blur width)이 클수록 블러 현상의 정도가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러 폭은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의 이미지 블러에 대한 시감 특성을 반영한 파라미터이므로, 실제 눈으로 느끼는 이미지 블러의 정도를 수치화 또는 정량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사용하지 않은 OLED 패널과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채용한 OLED 패널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블러 폭 비율(BWR)을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3093098119-pat00002
(1)
여기서, LB는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적용한 OLED 패널에 대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고, LB,0는 색변화 저감용 광학필름을 채용하지 않은 OLED 패널에 대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다.
색변화 개선율과 블러 폭 비율을 함께 고려하여,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다양한 설계변수를 정할 수 있다. 색변화 개선율은 통상, 시야각 60도에서 정면 white(x, y) = (0.28, 0.29)를 기준으로 한 색변화(△u'v')를 비교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색변화 개선율이 약 35% 이상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블러 폭 비율이 70% 보다 작게 나타나도록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을 설계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조건에 부합하는 다양한 예들의 광학 필름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시는 예들은 모두 색변화 개선율이 약 35% 이상을 유지하도록 광학 필름이 설계된 것으로, 이 범위 내에서 이미지 블러의 개선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볼 것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1)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1)은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그루브(GR)는 깊이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1100), 고굴절률 패턴층(110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그루브(GR)에 대응하는 돌출부(P)를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1200)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1)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13093098119-pat00003
여기서, LB는 광학 필름(1)을 적용한 OLED 패널에 대해 상술한 방법에 의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고, LB,0는 상기 광학필름을 채용하지 않은 OLED 패널에 대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다.
다수의 그루브(GR)는 스트라이프 형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1차원적으로 소정 주기(T1)로 배열될 수 있다.
종횡비, 즉, 그루브의 폭(w)에 대한 깊이(d)의 비,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0)의 굴절률 차(?), 주기(T1) 등은 광학 필름(1)의 색변화 개선율과 식(1)에서 정의한 블러 폭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가 된다. 예를 들어, 종횡비가 클수록 색변화 개선에는 유리하지만, 제조 공정 난이도가 높아지고, 또한, 이미지 블러 측면에는 불리하다. 다음 표는 다양한 설계 변수에 대해 블러 폭 비율을 전산 모사한 결과이다.
종횡비 Δn BWR(%)
case 1-1 1.56 0.12 71.8
case 1-2 1.56 0.14 70.1
case 1-3 1.56 0.16 69.1
case 1-4 1.78 0.12 69.9
case 1-5 1.78 0.14 67.6
case 1-6 1.78 0.16 73.9
case 1-7 2 0.12 71.9
case 1-8 2 0.14 68
case 1-9 2 0.16 68.8
case 1-10 2.22 0.12 65.3
case 1-11 2.22 0.14 66.6
case 1-12 2.22 0.16 66.2
상기 전산 모사에 사용된 예들은 모두 패턴 점유율이 모두 35%인 경우로서, 색개선율도 모두 35%로 나타난 경우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스트라이프 패턴의 광학 필름에서, 이미지 블러와 색개선율을 고려하여 적정의 종횡비, ?을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은 다른 실시예로서, 광 확산제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2)는 고굴절률 패턴층(112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0)을 포함하며, 고굴절률 패턴층(1120)이 광확산제(1125)를 함유하는 투명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광확산제(1125)로는 확산 비드가 사용될 수 있고, 실리콘계 확산제 및/또는 아크릴계 확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광확산제(1125)는 각도별 색변화(Δu'v')와 휘도 프로파일에서 나타날 수 있는 피크(peak)를 평탄화하여 시감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광확산제(1125)의 함유량은 이미지 블러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음 표는 확산제 함유량에 따른 블러폭 비율을 전산 모사한 결과를 보인다.
  종횡비 Δn 함유량(wt%) BWR(%)
case 2-1 2.4 0.16 0 78.4
case2-2 2.4 0.16 1 62.5
case2-3 2.4 0.16 0.5 31.5
이러한 결과로부터, 광학산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지 블러를 광확산제 함유량을 약 1wt% 이하로 하여, 색변화나 휘도 프로파일을 평탄화 하고, 이미지 블러의 발생이 적은 광학 필름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광확산제는 고굴절률 패턴층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저굴절률 패턴층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로서, 광 확산제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3)는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 저굴절률 패턴층(1230)을 포함하며, 저굴절률 패턴층(1230)이 광확산제(1235)를 함유하는 투명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4)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광학 필름(4)이 OLED 패널(OP) 상에 배치될 때, 픽셀과의 배치 관계를 보인 평면도이다.
광학 필름(4)은 깊이가 폭보다 큰 형상의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A1)과, 패턴이 없는 무패턴 영역(A2)이 교번 형성된 고굴절률 패턴층(1140), 고굴절률 패턴층(114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그루브(GR)에 대응하는 돌출부(P)를 구비하는 저굴절률 패턴층(1240)을 포함한다.
렌즈 패턴 영역(A1)은 다양한 입사각으로 입사된 광을 혼합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는 역할을 위한 것이고, 다수의 그루브(GR)가 소정 주기(T1)로 교번 배치된다. 무패턴 영역(A2)은 렌즈 패턴 영역(A1)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왜곡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다. 렌즈 패턴 영역(A1)과 무패턴 영역(A2)은 소정 주기(T2)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패턴 영역(A1)과 무패턴 영역(A1)이 반복되는 주기(T2)와 렌즈 패턴 영역(A1)의 폭, 무패턴 영역(A2)의 폭은 광학 필름(4)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배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4)은 OLED 패널(OP)에 부착된다. OLED 패널(OP)의 영역은 다수의 화소(R, G, B)로 이루어지는 발광 영역들과, 발광 영역들 사이의 비발광 영역들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과 마주하는 위치에 렌즈 패턴 영역(A1)이 배치되고,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무패턴 영역(A2)이 배치되도록, 렌즈 패턴 영역(A1)과 무패턴 영역(A2)의 폭, 주기(T2)가 정해질 수 있다.
무패턴 영역(A2)은 렌즈 패턴 영역(A1)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왜곡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데, 무패턴 영역(A2)의 폭(S2)이 너무 크게 설정되면, 광학 필름(4)의 의도하는 기능인 색변화 저감 정도가 나빠질 수 있고, 또한, 무패턴 영역(A2)의 폭이 너무 작게 설정되면, 이미지 왜곡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S1과 S2를 적절히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S2/S1가 작아질수록 블러(blur)는 작아지지만, 색변화 개선 정도는 감소한다. 반대로, S2/S1이 증가하면 색변화 개선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블러(blur)가 커진다. 색변화 개선 정도와 이미지 왜곡 정도를 고려하여 S2/S1의 적정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5)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광학 필름(5)의 돌출부(P)의 예시적인 형상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광학 필름(5)은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는 고굴절률 패턴층(1150)과 다수의 그루브(GR)에 대응하는 돌출부(P)를 가지는 저굴절률 패턴층(1250)을 포함한다. 다수의 그루브(GR)는 도트 형상을 가지며 서로 수직인 두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루브(GR)는 일 방향으로는 간격 없이, 다른 방향으로는 소정 주기(T1)로 배열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8의 광학 필름(5)은 도 13의 광학 필름(1)과 비교할 때, 도트 형상의 다수의 그루브(GR)가 도 13의 광학 필름(1)의 스트라이프형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 없이 배열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는 동일한 주기(T1)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P)의 형상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체 형상일 수 있으며, 종횡비(c/2a), 장축 길이(2b), 단축 길이(2a)를 적절히 설정하여 색변화가 감소하고 이미지 블러 발생이 적은 설계안을 도출할 수 있다.
다음 표는 타원체의 구체적인 형상, 패턴 점유율에 따른 블러 폭 비율(BWR),을 색개선율을 전산 모사한 결과이다.
  Δn c/(2a) b/a 패턴 점유율 BWR(%) 색개선율(%)
case 3-1 0.16 2.4 1.2 20 3.14 37.31
case 3-2 0.16 2.4 1.2 35 6.55 58.67
case 3-3 0.16 2.4 1.2 50 16.89 72.72
case 3-4 0.16 2.4 1.6 20 3.68 41.1
case 3-5 0.16 2.4 1.6 35 6.14 65.32
case 3-6 0.16 2.4 1.6 50 24.65 75.07
case 3-7 0.16 2.4 2 20 4.14 44.36
case 3-8 0.16 2.4 2 35 8.4 63.83
case 3-9 0.16 2.4 2 50 32.61 75.08
상기 표를 참조하면, 스트라이프형 패턴에 대한 전산모사 결과인 표 2, 표 3과 비교할 때, 블러 폭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색개선율도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차원 배열의 도트 패턴을 사용하며, 도트 패턴을 일 방향으로 간격없이 배열함으로써, 블러 폭 비율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7)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7)은 다수의 그루브(GR)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는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 그루브(GR)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서로 다른 굴절률의 복수층을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1200)을 포함한다.
저굴절률 패턴층(1200)을 굴절률이 다르게 형성된 복수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의 점착성이 좋아진다. 저굴절률 패턴층(1200)과 고굴절률 패턴층(1100)의 굴절률 차이는 색변화 저감을 위해 구비되는 요소이나, 굴절률 차이가 큰 경우, 이미지 블러는 다소 커지게 된다. 점진적인 굴절률 차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경계면에서 표면 에너지 차이를 줄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미지 블러도 개선될 수 있다.
저굴절률 패턴층(1200)은 제1층(1250)과 제2층(1260)의 두 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세 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1~7)들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될 때 필요한 점착층, 원편광 필름 또는 투과율 조절층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필름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1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10)은 고굴절률 패턴층(1100) 상부에 반사 방지막(1900)이 더 형성되고, 저굴절률 패턴층(1200) 하부에 제1점착층(1310)이 더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 반사방지막(1900) 사이에 제1기재(14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점착층(1310)은 유기 발광 패널과의 점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PSA(pressure sensitive adhesion)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광흡수체나 광확산제가 포함된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 패턴층(1100) 및/또는 저굴절률 패턴층(1200)은 광흡수체를 함유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다양한 층들에 광흡수체를 함유한 물질을 적용하는 경우,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제1기재(1410)는 고굴절률 패턴층(1100), 저굴절률 패턴층(1200)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광학적 등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들로서, 원편광 필름을 구비한 광학 필름(11)(12)의 예시적인 구조들을 보인 단면도이다.
원편광필름은 위상변환층(1500)과 선편광층(1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상변환층(1500)은 예를 들어, λ/4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선편광층(1600)은 PVA 필름(polyvin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과의 적층 구조,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PVA 필름은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으로, 고분자 물질인 폴리비닐알콜에 2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11)(12)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점착층(1310), 저굴절률 패턴층(1200), 고굴절률 패턴층(1100), 위상변환층(1500), 선편광층(1600), 제1기재(1410), 반사방지막(1900)을 포함한다.
위상변환층(1500), 선편광층(1600)으로 이루어지는 원편광 필름은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시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비편광된 외부광이 입사하면, 외부광은 선편광층(1600)을 지나며 선편광으로 변하고, 위상변환층(1500)에 의해 원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된 빛은 위상변환층(1500)과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의 계면 고굴절률 패턴층(1100), 저굴절률 패턴층(1200), 제1점착층(1310)을 지나 제1점착층(1310)과 접하는 유기 발광 패널(미도시)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회전방향이 반대인 원편광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편광은 위상변환층(1500)을 지나면서 선편광층(1600)의 투과축과 직각인 선편광이 되어 결국,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원편광 필름은 고굴절률 패턴층(1100) 상에 배치되므로, 고굴절률 패턴층(1100)을 원편광 필름과 광축이 다른 비등방성 물질로 형성할 경우 편광이 깨지게 되어 입사된 외광이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있고, 반사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굴절률 패턴층(11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TAC) 또는 용제 주조(solvent casting)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이 원편광 필름과 광축이 같은 등방성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23의 광학 필름(12)은 도 22의 광학 필름(11)과 비교할 때,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 위상변환층(1500) 사이에, 고굴절률 패턴층(1100)에서 위상변환층(1500)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2기재(1420), 제2점착층(1320)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투과율 조절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13)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투과율 조절층(1700)은 고분자 수지에,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블랙 물질(black material)로, 블랙 염료, 안료, 카본 블랙(Cabon black) 혹은 이들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는 가교 입자 등을 분산시켜 형성한 필름일 수 있다. 고분자 수지로는 PMMA 등의 바인더 뿐만 아니라 아크릴계 등의 UV 경화수지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투과율 조절층(1700)의 두께나 고분자 수지에 함유된 블랙 물질의 함유량은 블랙 물질의 광학적 성질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투과율 조절층(1700)의 투과율은 40% 이상일 수 있으며, 이것은 원편광 필름의 투과율보다 다소 높은 정도이다. 투과율 조절층(1700)을 사용하는 것은 원편광필름은 외부광은 거의 완벽히 차단하나, 투과율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광학 필름(13)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점착층(1310), 저굴절률 패턴층(1200), 고굴절률 패턴층(1100), 제1 캐리어필름(1810), 투과율 조절층(17000), 반사방지막(190)을 포함한다.
제1 캐리어필름(1810)은 고굴절률 패턴층(1100), 저굴절률 패턴층(1200)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또는 반사방지막(1900)이나 투과율 조절층(1700)을 위한 기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광학 필름(13)은 선편광층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편광 유지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아, 이러한 기재로, TAC외에 PET, PC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의 광학 필름(10~14)에서 고굴절률 패턴층(1100), 저굴절률 패턴층(1200)으로 도 13의 광학 필름(1) 형상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4 내지 도 20에서 예시한 구조로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4의 광학 필름(10~14)에서 예시한 배치 구조는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편광필름을 이루는 위상변환층(150), 선편광층(16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위상변환층(150)과 선편광층(160) 사이에 다른 층이 게재될 수도 있다. 또한, 제2기재, 제2캐리어필름의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510), 유기 발광 패널(510) 상에 배치된 광학 필름(520)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520)은 도 23의 광학 필름(12)의 예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다양한 다른 예들의 광학 필름이 채용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패널(510)은 휘도 및 색순도 향상을 위해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패널(500)은 적, 녹, 청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다수의 유기 발광소자를 구비하는데,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23), 유기발광층(24), 캐소드(25)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화소가 적색(R), 녹색(G), 청색(B)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패널(510)인 경우 장파장인 적색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23)와 캐소드(25)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길고, 단파장인 청색 유기 발광소자의 애노드(23)와 캐소드(25)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구조의 미세 공동 구조로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패널(510)은 애노드(23)와 캐소드(25) 사이의 거리를 적색, 녹색, 청색 각각의 대표 파장에 매칭되게 형성하여 그에 상응하는 빛만이 공명되어 밖으로 출사시키고 그 외의 빛은 약화시키게 된다.
유기 발광 패널(51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기 발광 패널(510)의 각 서브 화소는 서로 대향하는 제1기판(21)과 제2 기판(29) 사이에 배치되고 애노드(23), 유기 발광층(24) 및 캐소드(25)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제1기판(21) 상에 형성되고 애노드(23) 및 캐소드(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회로부(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23)는 알루미늄(Al)과 같은 불투명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소드(25)는 유기 발광층(25)에서 발광된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도록 인듐 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산화물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으로 이루어지거나 니켈(Ni) 박막의 반투명 전극(semitransparent electrod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회로부(22)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구동회로부(22)는 유기 발광 패널(510)의 단위 화소를 구동하는 회로로서, 게이트 라인(gate line) 및 이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그리고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itching TFT),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원 라인 사이에서 유기발광소자와 접속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riving TFT), 그리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와 전원 라인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에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라인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가 오프(off)되더라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유기 발광층(25)은 애노드(23) 상에 차례로 적층되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애노드(23)와 캐소드(25) 사이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캐소드(25)로부터 전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애노드(23)로부터 정공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 때, 방출되는 빛의 밝기는 애노드(23)와 캐소드(25)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패널(510)은 색 효율 향상을 위해 컬러 필터(27)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컬러 필터(27)는 제2 기판(29)에 형성되는데, 적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청색 컬러 필터가 형성된다. 만일, 단위 화소가 4색(적, 녹, 청, 백)으로 이루어진 경우 백색 서브 화소 영역에는 컬러 필터(27)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기판(29)에는 빛샘 방지 및 혼색 차단을 위한 블랙 매트릭스가 각 서브 화소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애노드(23)와 캐소드(25) 간의 전기적 연결 및 애노드(23)와 구동회로부(22)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제1기판(21)과 제2 기판(29)의 실링재에 의한 대면 합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를 채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시청각도가 정면에서 측면쪽으로 틸트될수록 단파장에서 최대 공진 파장을 나타내게 되어 단파장쪽으로 색변화(color shift)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는 화이트를 나타내다가도 측면에서는 블루 쉬프트(blue shift) 현상 때문에 화이트가 파란색을 띠는(bluish)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이러한 색변화를 줄이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 상에 광학 필름(520)을 배치하고 있다. 광학 필름(520)은 색변화 저감을 위해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0)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패턴을 구비하게 되며, 또한, 이러한 렌즈 패턴에 의한 이미지 블러가 최소화되도록 렌즈 패턴의 구체적인 설계 사항을 정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20에서 예시한 형태로, 고굴절률 패턴층(1100), 저굴절률 패턴층(1200)을 형성할 수 있다.
고굴절률 패턴층(1100)과 저굴절률 패턴층(1200)은 일정한 각도로 입사한 광을 다양한 각도로 출사시켜, 색변화 저감층의 역할을 한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510)에서 출사되는 광은 소정의 각도 분포를 가지며, 그 각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변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광이 고굴절률 패턴층(1108)과 저굴절률 패턴층(1208)으로 이루어진 색변화 저감층을 투과한 후에는 색변화가 큰 각도로 색변화 저감층에 입사한 광과 색변화가 작은 각도로 색변화 저감층에 입사한 광이 골고루 혼합되어 출사되므로, 시청자의 시청 각도에 따른 색변화가 저감되게 된다. 광학 필름(520)은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기 위해 배치되는 것이나, 이에 의해 이미지 왜곡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하도록, 유기발광층(24)에서 광학 필름(520)까지의 거리를 대략 1.5mm 이하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광학 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이미지 블러가 개선된 광학 필름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4, 5, 6, 7, 10, 11, 12, 13, 520...광학 필름
1100, 1120, 1140, 1160... 고굴절률 패턴층
1200, 1230, 1240, 1260...저굴절률 패턴층
GR...그루브 P...돌출부
1310,1320 ...제1, 제2점착층 1410...제1기재
1500...위상변환층 1600...선편광층
1700...투과율 조절층 1810...제1캐리어필름
1900...반사방지막 500...유기 발광 표시 장치
510...유기 발광 표시 패널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서로 마주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은 다수의 그루브가 음각된 패턴을 가지며, 1보다 큰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굴절률 패턴층;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저굴절률 패턴층;을 포함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
    Figure 112019121203407-pat00004

    여기서, LB는 상기 광학 필름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고, LB,0는 상기 광학필름을 채용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평가된 블러 폭(blur width)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스트라이프 형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1차원적으로 배열된 광학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 또는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은 광확산제가 함유된 투명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제의 함유량은 1wt% 이하인 광학 필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영역은
    상기 다수의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는 형성된 렌즈 패턴 영역과, 패턴이 없는 무패턴 영역이 교번되는 광학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패턴 영역의 폭은 무패턴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광학 필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도트 형상을 가지며, 이차원적으로 배열된 광학 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타원체 형상을 가지는 광학 필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는 제1방향으로는 간격 없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는 소정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배열된 광학 필름.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의 상기 제2면 상에 반사 방지막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저굴절률 패턴층 상에 점착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반사방지막 사이에 위상변환층과 선편광층을 구비하는 원편광 필름이 더 구비된 광학 필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패턴층과 반사방지막 사이에 투과율 조절층이 더 형성된 광학 필름.
  23.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해당 파장의 광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미세 공동 구조(micro cavity structure)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 및
    상기 유기 발광 패널 상에 배치된 것으로,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 폭(blur width)의 평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를 블러 폭(blur width)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통해 수행되는, 광학 필름.
  25. 제10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22820A 2013-10-15 2013-10-15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KR10212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820A KR102120809B1 (ko) 2013-10-15 2013-10-15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US14/513,393 US9590210B2 (en) 2013-10-15 2014-10-14 Method of evaluating image blur of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with reduced image bl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820A KR102120809B1 (ko) 2013-10-15 2013-10-15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62A KR20150043862A (ko) 2015-04-23
KR102120809B1 true KR102120809B1 (ko) 2020-06-09

Family

ID=5280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820A KR102120809B1 (ko) 2013-10-15 2013-10-15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90210B2 (ko)
KR (1) KR102120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73B1 (ko) * 2013-12-11 2020-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TWI577008B (zh) * 2014-05-28 2017-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102052200B1 (ko) * 2017-02-14 2019-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40298B1 (ko) * 2017-02-21 2019-1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326302B1 (ko) * 2017-03-15 2021-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9498B1 (ko) * 2017-12-29 2022-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983388B2 (en) * 2017-03-15 2021-04-2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063201B1 (ko) * 2017-05-18 2020-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84914B1 (ko) 2017-08-28 2020-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모듈
KR20200109438A (ko) * 2019-03-12 2020-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KR102071220B1 (ko) * 2019-04-23 2020-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모듈
CN110690357B (zh) * 2019-09-04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611A (ja) 2002-12-11 2004-07-08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250249A (ja)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光学機能性シート
US20080294012A1 (en) 2007-05-22 2008-11-27 Kurtz Andrew F Monitoring physiological conditions
US20090148691A1 (en) 2007-12-11 2009-06-11 Young Cheol Lee Hard coating composition,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247A (ja) * 1994-04-06 1995-10-27 Ge Yokogawa Medical Syst Ltd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AU2002251540A1 (en) 2002-04-25 2003-11-10 Genist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measuring blur in digital image without using reference image
US20080226152A1 (en) * 2004-02-23 2008-09-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rmining Image Blur in an Imaging System
KR100843433B1 (ko) 2006-11-22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카메라 모듈의 블러링 양 측정 방법
KR101667909B1 (ko) * 2008-10-24 2016-10-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CN102349297B (zh) 2009-03-13 2014-01-22 汤姆森特许公司 在基于块压缩的图像中的模糊量测
US8325296B2 (en) * 2009-03-30 2012-12-04 Fujifilm Corporation Light-transmitting substrate,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217450B1 (ko) 2009-10-21 2012-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추출을 위한 유기발광표시장치용 광학 시트
US8467133B2 (en) * 2010-02-28 2013-06-18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display with an optical assembly including a wedge-shaped illumination system
JP6132762B2 (ja) * 2010-04-16 2017-05-24 フレックス ライティング 2,エルエルシー フィルムベースのライトガイドを備える前面照射デバイス
KR101208021B1 (ko) * 2011-01-13 2012-12-04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1025B1 (ko) * 2011-05-16 2014-07-22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컬러 시프트 및 시인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1585148B1 (ko) 2012-12-21 2016-01-22 제일모직주식회사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26008B1 (ko) * 2013-05-31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611A (ja) 2002-12-11 2004-07-08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250249A (ja)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光学機能性シート
US20080294012A1 (en) 2007-05-22 2008-11-27 Kurtz Andrew F Monitoring physiological conditions
US20090148691A1 (en) 2007-12-11 2009-06-11 Young Cheol Lee Hard coating composition,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62A (ko) 2015-04-23
US20150103338A1 (en) 2015-04-16
US9590210B2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809B1 (ko)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KR10161691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70410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876027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070411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9781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8942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improved color shift and visibility
KR10212080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21025B1 (ko) 컬러 시프트 및 시인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1585148B1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224778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137954A (ko)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080074859A1 (en) Organic light-emitting apparatus
KR20170000444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0809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308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3083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