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008B1 -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008B1
KR101526008B1 KR1020130063017A KR20130063017A KR101526008B1 KR 101526008 B1 KR101526008 B1 KR 101526008B1 KR 1020130063017 A KR1020130063017 A KR 1020130063017A KR 20130063017 A KR20130063017 A KR 20130063017A KR 101526008 B1 KR101526008 B1 KR 10152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
optical film
peaks
luminance distribu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351A (ko
Inventor
김현민
오영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00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감 곡선상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감 특성을 고려하여 정량화되고 수치화된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이다.

Description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METHOD FOR EVALUATING IMAGE BLUR PHENOMENONE OF 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량화되고 수치화된 광학필름의 블러링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발광 소자는 평면으로 된 강화 유리 안에 화면을 구현하는 액정을 규칙적으로 배열한 패널을 배치한 후 그 패널 뒤에 백라이트(back light: 후방 조명)가 빛을 발산해 색상과 이미지를 표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라이트로부터 방출된 빛이 수많은 액정을 통과하면서 여러 패턴으로 굴절하고, 다시 이 빛이 액정 전면에 위치한 필터를 통과하면서 각각의 색과 밝기를 띤 픽셀(Pixel: 화소)이 되어 전체 화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액정발광 소자는 화질이 뛰어나고 생산 단가가 낮은 반면 공정의 복잡성, 늦은 응답속도, 좁은 시야각, 높은 소비 전력 등이 단점으로 계속 지적되어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단점을 보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가 각광받고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발광 특성을 이용하여, 유기물에 따라 R, G, B 를 발현하는 특성을 이용해 색을 구현하는 것이다.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저전력 구동과 함께 응답속도가 빨라서 잔상이 남지 않아 자연스러운 영상을 표현 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일반 디지털 TV 에서도 넓게 사용 되고 있다. 그러나, OLED TV와 같은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는 시야각에 따라 색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강공진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는 색재현성과 중앙 휘도가 높아 중소형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으로 대면적 제품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량을 줄이면서도 중앙의 고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필름을 필요로 한다. 이 필름을 색 개선 필름이라고 부르며 주기적인 렌즈 타입, 광확산성 입자를 분산시킨 광확산필름, 그리고 이 둘의 복합 구조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색 개선 필름은 시야각에 따른 백색감(White Angle Dependency: WAD)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만큼 시야각에 따른 백색감을 균일하게 발현할 수 있으나, 픽셀 단위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방식에서, 광 출사가 이루어지는 픽셀의 광들은 이웃하는 픽셀의 범위까지 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블러링(Blur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논문 "Oka, K., Enami, Y., Lee, J. and Jun, T. (2006), 3.3: Edge Blur Width Analysis Using a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SID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37: 10 3. doi: 10.1889/1.2433166"는 모션 블러(motion blur)에 대한 측정 및 해석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2.3에 나온 Perceived Blurred Edge Width (PBEW)는 시감 특성을 고려하여 좌우로 두 가지 색상을 표현한 화면이 움직일 때 두 가지 색상 사이에서 발생하는 잔상에 대하여 그 크기를 측정하여 모션 블러를 해석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응답속도가 빨라서 잔상이 생기지 않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에서는 모션 블러(motion blur)에 대한 평가보다는 스태틱 블러(static blur)에 대한 평가 방법이 요구된다.
논문 "Y.-H. Ho et al., in Conf. Proc.-Lasers and Electro-Optics Society (LEOS)Annu. Meeting, 2007, no. 4054383, pp. 713-714."에서는 이미지 블러(image blur)를 출광 휘도 분포의 1/e 되는 지점의 폭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 평가 방법은 휘도에 따른 시감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느끼는 이미지 블러(image blur)의 크기와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감 특성이 반영된 이미지 블러(image blur)에 대한 평가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화 및 수치화된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감 특성을 고려하여 대면적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광학 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감 곡선상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시감 곡선은 x좌표는 거리(distance)이고, y좌표는 감도(sensation)인 x, y좌표 상 다수 개의 피크(peak)를 갖는 곡선이며,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 상 y축을 경계로 x좌표가 음(-)인 영역과 양(+)인 영역에서 각각 발현되는 피크들 중 y좌표가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L)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패턴은 상기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scanning line)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CCD는 CCD 30 픽셀 이상이 유기전계발광소자 1 픽셀을 커버(cover)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휘도계(spectro-rad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푸리에 변환 및 수치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함수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공간 주파수 함수에 색 감도 함수(Color Sensitivity Function)를 곱한 후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색 개선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색 개선 필름은 기재층; 고굴절 광확산층; 고굴절 수지층; 및 광학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 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감 특성을 고려하여 정량화되고 수치화된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색 개선 필름이 적용된 예와 그렇지 않은 경우(bare pannel)의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량 (a) 및 이미지 블러 현상(b)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이미지 블러의 평가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으로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시감 곡선(sensation curve) 및 휘도 곡선(luminance curve)을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색 개선 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 따른 렌티큘러 렌즈 패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얻은 시감 곡선 Ⅰ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 얻은 시감 곡선 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시감 곡선 Ⅲ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실시예 3의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색 개선 필름은 시야각에 따른 백색감(White Angle Dependency: WAD)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만큼 시야각에 따른 백색감을 균일하게 발현할 수 있으나, 픽셀 단위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방식에서, 광 출사가 이루어지는 픽셀의 광들은 이웃하는 픽셀의 범위까지 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미지 블러 현상(image blur phenomenon) 또는 이미지 블러(image blur)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블러 현상은 시청자의 입장에서 보면 픽셀이 정교하지 못하고 퍼져 보이는 듯한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색 개선 필름이 적용된 예와 그렇지 않은 경우(bare pannel)의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율(a) 및 이미지 블러 효과(b)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a)를 참고하면, 색 개선 필름이 적용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시야각에 따른 색 변화율(△U'V')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1 (b)와 같이 색 개선 필름을 적용한 경우에는 이미지 블러 현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학필름,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개선 필름의 이미지 블러 현상(image blur phenomenon)을 정량화 또는 수치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은 (S1) 광학 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S2)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S3)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S4)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변환하여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을 얻는 단계; 및 (S5) 상기 시감 곡선상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이미지 블러의 평가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100)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의 테스트 패턴으로서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scanning line)(10)을 표시한 것이다. 주사선(10)은 복수 개의 픽셀(pixel)(11)이 일렬로 조합된 것을 의미한다.
(S1) 단계에서는 도 1의 광학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도 2와 같이 광학필름상 패널에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게 된다.
(S2) 단계에서는 표시된 테스트 패턴 영역(T)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가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로서, CCD 30 픽셀 이상이 유기전계발광소자 1 픽셀을 커버(cover)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단계에서는 (S2) 단계에서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상대적인 공간 휘도 분포를 얻고,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휘도계(spectro-radiometer)로 측정하여 정면 절대 휘도값을 얻은 후, 상기 공간 휘도 분포와 상기 절대 휘도값으로부터 실측 공간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S4) 단계에서는 (S3) 단계에서 얻어진 실측 공간 휘도값은 푸리에 변환 및 수치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실측 공간 휘도값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함수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공간 주파수 함수에 색 감도 함수(Color Sensitivity Function)를 곱한 후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감곡선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푸리에 변환은 바람직하게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일 수 있으며, Mathematica, Matlab 등의 수치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은 시감 곡선상 거리 블러 폭(blur width)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블러 현상을 정량화 또는 수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러 폭(blur width)은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시감 곡선(sensation curve) 및 휘도 곡선(luminance curve)을 나타낸 것으로, 적색 곡선은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을, 청색 곡선은 휘도 곡선(luminance curve)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시감 곡선은 x좌표는 거리(distance)이고, y좌표는 감도(sensation)인 x, y좌표 상 다수 개의 피크(peak)를 갖는 곡선으로 나타날 수 있다. 블러 폭은 시감 곡선 상 y축을 경계로 x좌표가 음(-)인 영역과 양(+)인 영역에서 각각 발현되는 피크들 중 y좌표가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L)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음(-)의 피크가 2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y 좌표가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L)를 측정하여 블러 폭(blur width)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 평가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은 색 개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 개선 필름은 기재층; 고굴절 광확산층; 고굴절 수지층; 및 광학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광확산층은 광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패턴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 렌티큘러 렌즈 패턴 등일 수 있다.
도 5는 일 구체예에 따른 색 개선 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색 개선 필름은 기재층(110); 광확산제(121)를 포함하는 고굴절 광확산층(120); 고굴절 수지층(130); 및 렌티큘러 렌즈 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1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 패턴은 상기 고굴절 수지층과 대향하는 저굴절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 패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렌티큘러 렌즈 패턴은 이웃하는 렌티큘러 렌즈(143)간에 일정한 이격거리(S)를 두고 복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143)가 저굴절 수지층(141)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격거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 개선효가 더 향상될 수 있는 반면, 이미지 블러 현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을 적용시 색 개선효와 이미지 블러 현상의 저감효가 최적화되는 조건 등을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두께 60㎛인 기재필름(후지필름社의 TAC 필름)만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장착한 후,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시감 곡선 Ⅰ을 얻은 한 후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상기 시감 곡선 Ⅰ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상기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삼성전자, NX20)로 촬영한 사진이다.
실시예 2
하기의 각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도 5의 색 개선 필름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장착한 후,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시감 곡선 Ⅱ를 얻은 한 후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상기 시감 곡선 Ⅱ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상기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삼성전자, NX20)로 촬영한 사진이다.
기재층 : 후지필름社의 TAC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두께는 60㎛이다.
고굴절 광확산층: 유기 광확산제로서 미코팅 입자인 실리콘계 입자(제일모직社, SL-200) 0.5 중량% 및 흑색 안료로 코팅된 아크릴계 입자 (Sekisui社, xx-2740Z)가 0.5 중량% 분산된 자외선 경화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 (애경 화학 社, RS1400)로 제조되었으며, 굴절률은 1.528 이고 두께는 40㎛이다.
고굴절 수지층: 자외선 경화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였고, 굴절률은 1.4 이고 최대 두께는 40㎛이다.
광학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 하기 표 1의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로 제조된 저굴절 수지층 일면에 복수 개의 반구형 렌티큘러 렌즈가 18㎛의 이격거리를 두고 연속 배열되고, 상기 수지층과 마이크로렌즈는 일체로 형성되었다. 저굴절 수지층의 두께는 17㎛이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폭(D)은 10㎛, 높이(H)는 12㎛, 종횡비(H/D)는 1.2 이다.
실시예 3
고굴절 광확산층이 광확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색 개선 필름을 제조한 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장착한 후,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시감 곡선 Ⅲ을 얻은 한 후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9는 상기 시감 곡선 Ⅲ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상기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삼성전자, NX20)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미지 블러의 평가방법
실시예 1 내지 3에서 광학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scanning line)으로 표시되는 테스트 패턴을 표시한 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였다. 상기 확보된 이미지를 이미지-휘도 변환 프로그램 Origin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공간휘도값을 얻고, 휘도계(Spectro-radiometer, TOPCON社 SR-UL2-CAL)를 이용하여 정면에서의 절대 휘도값을 얻고, 이를 대입하여 실측 공간 휘도값을 얻었다.
상기 공간 휘도값을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form, FFT)하여 공간 주파수의 함수로 만들고, 상기 공간주파수에서의 시감 특성을 반영하는 색 감도 함수(Color Sensitivity Function, CSF)를 곱하여 공간 주파수에서의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을 얻고 이를 다시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FT)하여 공간의 함수로 변환하였다. 최종적으로 시감 곡선에 나타나는 좌우의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 간의 거리를 구하여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굴절률 차이 - 0.128 0.128
렌티큘러 렌즈 종횡비 - 1.2 1.2
광확산제 포함 여부 X X
블러 폭(blur width) (㎛) 531.5 709.33 917.44
상기 표 1 및 도 7 내지 12를 참고하면, 블러 폭(blur width)이 클수록 블러 현상의 정도가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러 폭은 색 개선 필름의 이미지 블러에 대한 시감 특성을 반영한 파라미터이므로, 실제 눈으로 느끼는 이미지 블러의 정도를 수치화 또는 정량화할 수 있다.

Claims (9)

  1. 광학 필름이 구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테스트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확보된 이미지로부터 공간 휘도 분포를 얻는 단계;
    상기 공간 휘도 분포를 시감 곡선(sensation curve)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감 곡선상 블러 폭(blur width)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상 발현되는 다수 개의 피크(peak) 중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감 곡선은 x좌표는 거리(distance)이고, y좌표는 감도(sensation)인 x, y좌표 상 다수 개의 피크(peak)를 갖는 곡선이며,
    상기 블러 폭은 시감 곡선 상 y축을 경계로 x좌표가 음(-)인 영역과 양(+)인 영역에서 각각 발현되는 피크들 중 y좌표가 음(-)의 최소값을 갖는 피크들 간의 거리(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패턴은 상기 광학필름상 패널의 한 주사선(scanning line)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CCD는 CCD 30 픽셀 이상이 유기전계발광소자 1 픽셀을 커버(cover)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휘도계(spectro-rad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푸리에 변환 및 수치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휘도 분포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함수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공간 주파수 함수에 색 감도 함수(Color Sensitivity Function)를 곱한 후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감곡선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색 개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색 개선 필름은
    기재층; 고굴절 광확산층; 고굴절 수지층; 및 광학패턴이 형성된 저굴절 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KR1020130063017A 2013-05-31 2013-05-31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KR10152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017A KR101526008B1 (ko) 2013-05-31 2013-05-31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017A KR101526008B1 (ko) 2013-05-31 2013-05-31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51A KR20140141351A (ko) 2014-12-10
KR101526008B1 true KR101526008B1 (ko) 2015-06-04

Family

ID=5245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017A KR101526008B1 (ko) 2013-05-31 2013-05-31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809B1 (ko) 2013-10-15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049A (ja) * 2000-01-19 2001-07-27 Hitachi Ltd 表示装置の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KR20060056281A (ko) * 2003-06-03 2006-05-24 오츠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의 동화상 품질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19976A (ko) * 2004-02-23 2007-02-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이미지 블러 관련 파라미터 결정 방법, 마스크 패턴 설계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미지 블러 관련 파라미터 결정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049A (ja) * 2000-01-19 2001-07-27 Hitachi Ltd 表示装置の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KR20060056281A (ko) * 2003-06-03 2006-05-24 오츠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의 동화상 품질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19976A (ko) * 2004-02-23 2007-02-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이미지 블러 관련 파라미터 결정 방법, 마스크 패턴 설계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미지 블러 관련 파라미터 결정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51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4464B2 (en) Virtual reality display including light diffusion member configured to diffuse light from light-transmitting areas to light-blocking areas
CN100394252C (zh) 改进的多层显示屏
CN102749712B (zh) 显示面板、显示器和电子设备
CN111081752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1002078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device backlight compensation
CA2971947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JP5558001B2 (ja) 減衰フィルタを均質化する機能を持つ表示デバイス
JP2006330610A (ja) 三次元表示装置
TW201622991A (zh) 導電性膜、具備其的顯示裝置及導電性膜的評價方法
US11314118B2 (en) Display device and optical film
TW201631608A (zh) 導電性膜、具備其的顯示裝置及導電性膜的評價方法
KR20150043862A (ko)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US20190361660A1 (en) Display module including a light diffusion agen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70110617A1 (en) Device provided with an optimised photovoltaic network placed in front of an image
KR201400328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77196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refractive bam mapper to reduce moire interference in a display system including multiple displays
US20130314779A1 (en) Parallax barrier, and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RU2695285C2 (ru) Авто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возбуждения
US20050140613A1 (en) Tiled display with filter for uniform pixel brightness
KR101526008B1 (ko)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방법
US10473830B2 (en) Display device with haze layer
KR20160082515A (ko) 하향전환 필름 성분을 함유하는 백라이트 시스템
US10267958B2 (en) Display module and head mounted display using the same
CN102770797A (zh) 用于降低离轴光晕的方法和装置
JP2019095775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