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60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605A
KR20140140605A KR1020147029884A KR20147029884A KR20140140605A KR 20140140605 A KR20140140605 A KR 20140140605A KR 1020147029884 A KR1020147029884 A KR 1020147029884A KR 20147029884 A KR20147029884 A KR 20147029884A KR 20140140605 A KR20140140605 A KR 2014014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cording material
secondary transfer
width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628B1 (ko
Inventor
마사노리 시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제어부는, 2차 전사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가장 큰 폭의 기록재가 있을 때에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정전압 소자가 소정의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록재에 2차 전사할 때에 1차 전사부에서의 1차 전사 전계가 부족함으로 인한 전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한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다양한 기록재에 대응하기 위해서, 감광체로부터 토너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1차 전사)하고, 중간 전사체로부터 기록재에 전사(2차 전사)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중간 전사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5986에는 중간 전사 방식의 종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즉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5986은, 감광체로부터 토너상을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하기 위해서, 1차 전사 롤러를 설치한 뒤, 1차 전사 롤러에 1차 전사 전용의 전원이 접속된 구성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5986은, 중간 전사체로부터 토너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기 위해, 2차 전사 롤러를 설치한 뒤, 2차 전사 전용의 전원이 2차 전사 롤러에 접속된 구성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59640에는, 2차 전사 내측 롤러에 전원이 접속됨과 함께, 2차 전사 외측 롤러에는 다른 전원이 접속된 구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59640에는, 감광체로부터 토너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를, 전원이 2차 전사 내측 롤러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하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1차 전사 전용의 전원을 배치하면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1차 전사 전용의 전원을 생략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1차 전사 전용의 전원을 생략하고, 정전압 소자를 통해 중간 전사체를 접지함으로써 소정의 1차 전사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생각해내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기록재의 폭이 넓을수록, 2차 전사부에 있어서 기록재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정전압 소자측으로 흘러드는 전류량이 감소된다. 그 때문에 정전압 소자가 소정의 전압을 유지할 수 없어, 중간 전사체의 전위가 낮아져서 전사 콘트라스트 부족에 의한 1차 전사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1차 전사 위치에서 1차 전사된 토너상을 담지하는 중간 전사체; 상기 중간 전사체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간 전사체로부터 토너상을 2차 전사 위치에서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전사 부재; 상기 중간 전사체와 접지 전위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름으로써 소정의 전압이 유지되는 정전압 소자;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정전압 소자에 전류를 흘려 상기 2차 전사 위치에2차 전사 전계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1차 전사 위치에 1차 전사 전계를 형성하는 전원;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가장 큰 폭의 기록재에 상기 2차 전사할 때에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정전압 소자가 상기 소정의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2차 전사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가장 큰 폭의 기록재가 있을 때에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정전압 소자가 소정의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록재에 2차 전사할 때에 1차 전사부에서의 1차 전사 전계가 부족함으로 인한 전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사 전위와 정전상 전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너 다이오드의 IV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어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유입 전류와 인가 전압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벨트 전위와 인가 전압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기록재의 폭과 벨트 전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은 기록재의 통과 영역과 비통과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 형태 1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기록재의 폭과 인가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이루는 것이며, 이들에 관한 중복 설명은 적절히 생략하였다.
(실시 형태 1)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는,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을 독립적이면서 또한 탠덤으로 배치하는 탠덤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토너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고 나서, 중간 전사체로부터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101a, 101b, 101c, 101d)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이다. 이 화상 형성 유닛은, 중간 전사 벨트(7)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서부터, 화상 형성 유닛(101a, 101b, 101c, 101d)의 순,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흑색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101a, 101b, 101c, 101d)은 각각, 토너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a, 1b, 1c, 1d)을 구비한다. 1차 대전기(2a, 2b, 2c, 2d)는, 각 감광 드럼(1a, 1b, 1c, 1d)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수단이다. 노광 장치(3a, 3b, 3c, 3d)는 레이저 스캐너를 구비하고, 1차 대전기에 의해 대전된 감광 드럼(1a, 1b, 1c, 1d)을 노광한다. 레이저 스캐너의 출력이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온/오프됨으로써, 화상에 대응한 정전상이 각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다. 즉, 1차 대전기와 노광 수단이, 정전상을 감광 드럼에 형성하는 정전상 형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현상 장치(4a, 4b, 4c, 4d)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흑색의 각 색의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기를 구비하고, 감광 드럼(1a, 1b, 1c, 1d) 상의 정전상을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하는 현상 수단이다.
감광 드럼(1a, 1b, 1c, 1d)에 형성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7)에 1차 전사부(N1a, N1b, N1c, N1d)(1차 전사 위치)에서 1차 전사된다. 이렇게 하여 중간 전사 벨트(7) 위에 4색의 토너상이 겹쳐서 전사된다. 1차 전사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광 드럼 클리닝 장치(6a, 6b, 6c, 6d)는, 1차 전사부(N1a, N1b, N1c, N1d)에서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 드럼(1a, 1b, 1c, 1d)에 잔류한 잔류 토너를 제거한다.
중간 전사 벨트(7)(중간 전사체)는, 감광 드럼(1a, 1b, 1c, 1d)으로부터 토너상이 전사되는, 이동 가능한 중간 전사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7)는 기층과 표층의 2층 구성이다. 기층은 내면측(내주면측, 걸침 부재측)이며, 걸침 부재에 접촉한다. 표층은 외면측(외주면측, 상 담지체측)이며, 감광 드럼에 접촉한다. 기층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 PEN, PEEK 등의 수지 또는 각종 고무 등에 카본 블랙 등의 대전 방지제를 적당량 함유시킨 것이 사용된다. 중간 전사 벨트(7)의 기층은, 기층의 체적 저항률이 102 내지 107Ω·cm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기층으로서는, 폴리이미드로, 중심 두께가 45 내지 150㎛ 정도의 필름 형상의 무단 벨트가 사용된다. 또한 표층으로서, 두께 방향의 체적 저항률 1013 내지 1016Ω·cm의 아크릴 코팅이 실시된다. 즉, 표층의 체적 저항률보다 기층의 체적 저항률이 더 낮다.
또한, 중간 전사체가 2층 이상인 구성의 경우에는, 상기 외주면측의 층의 체적 저항률이 내주면측의 층의 체적 저항률보다 높게 설정된다.
표층의 두께는 0.5 내지 10㎛이다. 물론 이러한 수치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중간 전사 벨트(7)는, 중간 전사 벨트(7)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걸침 롤러(10, 11, 12)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에 접촉하면서 걸쳐져 있다. 롤러(10)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중간 전사 벨트(7)를 구동하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롤러(10)는, 2차 전사 외측 롤러(13)에 중간 전사 벨트를 개재하여 누르는 2차 전사 내측 롤러이기도 하다. 중간 전사 벨트(7)에 대하여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롤러(11)는, 중간 전사 벨트(7)의 사행을 방지하는 보정 롤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텐션 롤러(11)에 대한 벨트 텐션은 5 내지 12kgf 정도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 벨트 텐션이 걸림으로써, 1차 전사부(N1a, N1b, N1c, N1d)로서, 중간 전사 벨트(7)와 감광 드럼(1a 내지 d)의 사이에 닙이 형성된다. 2차 전사 내측 롤러(62)는, 정속성이 우수한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중간 전사 벨트(7)를 순환 구동시키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기록재는, 기록재(P)를 수용하는 용지 트레이에 수용되어 있다. 기록재(P)는, 이 용지 트레이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 픽업 롤러에 의해 취출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유도된다. 기록재(P)는, 중간 전사 벨트 상의 토너상이 반송되는 것과 동기하여,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2차 전사부(N2)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해 송출된다.
2차 전사 외측 롤러(13)(전사 부재)는, 중간 전사 벨트(7)의 외주면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7)를 개재해서 2차 전사 내측 롤러(10)를 가압하고, 2차 전사 내측 롤러(13)와 함께 2차 전사부(N2)(2차 전사 위치)를 형성하는 2차 전사 부재이다. 2차 전사 외측 롤러(13)는, 2차 전사부에서, 기록재를 중간 전사 벨트와 함께 끼움 지지한다. 2차 전사용 전원으로서의 2차 전사부 고압 전원(22)은, 2차 전사 외측 롤러(13)에 접속되어 있고, 2차 전사 외측 롤러(13)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전원이다.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에 반송되면, 2차 전사 외측 롤러(13)에 토너와 역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2차 전사 전계가 형성되고, 중간 전사 벨트(7)로부터 토너상이 기록재에 전사된다.
또한 2차 전사 내측 롤러(10)는 EPDM 고무를 포함한다. 2차 전사 내측 롤러의 직경은 20mm, 고무 두께는 0.5mm, 경도는 70°(Asker-C)로 설정된다. 2차 전사 외측 롤러(13)는, NBR 고무나 EPDM 고무 등을 포함하는 탄성층과 코어 금속을 포함한다. 2차 전사 외측 롤러(13)의 직경은, 24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7)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2차 전사부(N2)보다 하류측에는, 기록재에 2차 전사부(N2)에서 전사되지 못하고 중간 전사 벨트(7)에 잔류한 잔류 토너나 종이 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1차 전사 고압레스 시스템에서의 1차 전사 전계 형성]
본 실시 형태는, 비용 절감을 위해서, 1차 전사 전용의 전원을 생략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광 드럼으로부터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7)에 정전적으로 1차 전사하기 위해서, 2차 전사용 전원(22)을 사용한다. (이하, 본 구성을 1차 전사 고압레스 시스템이라고 기재함)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를 걸치는 롤러가 직접 접지에 접속되는 구성에서는, 2차 전사용 전원(210)이 전압을 2차 전사 외측 롤러(64)에 인가해도, 걸침 롤러측에 대부분 전류가 흐르고, 감광 드럼측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2차 전사용 전원(210)이 전압을 인가해도, 중간 전사 벨트(56)를 개재하여 감광 드럼(50a, 50b, 50c, 50d)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광 드럼과 중간 전사 벨트의 사이에, 토너상을 전사하기 위한 1차 전사 전계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1차 전사 고압레스 시스템에 있어서 1차 전사 전계 작용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걸침 롤러(60, 61, 62, 63)의 모두와 접지와의 사이에 수동 소자를 배치하여, 감광체측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가 높아져서, 감광 드럼과 중간 전사 벨트와의 사이에 1차 전사 전계가 작용하게 된다.
또한, 1차 전사 고압레스 시스템에서 1차 전사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2차 전사용 전원(210)(전원)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류를 중간 전사 벨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흘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 자체의 저항이 높으면, 중간 전사 벨트가 이동하는 이동 방향(둘레 방향)에서의 중간 전사 벨트에서의 전압 강하가 커진다. 그 결과, 중간 전사 벨트를 둘레 방향으로 타고 감광 드럼(1a, 1b, 1c, 1d)에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질 우려도 있다. 그로 인해, 중간 전사 벨트가 저저항의 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에서의 전압 강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중간 전사 벨트의 기층 표면 저항률이 102Ω/□ 이상이고 108Ω/□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는 2층 구성이다. 이것은, 표층에 고저항의 층을 배치함으로써, 비화상부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여 전사성을 더욱 높이기 쉽기 때문이다. 물론 이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단층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3층 이상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의 전위와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의 차인 1차 전사 콘트라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감광 드럼(1) 표면이 대전 수단(2)에 의해 대전되어, 감광 드럼 표면의 전위(Vd)(여기서는 -450V로 함)로 되는 경우이다. 또한 도 2는, 대전된 감광 드럼의 표면이 노광 수단(3)에 의해 노광되어, 감광 드럼의 표면이 Vl(여기서는 -150V로 함)로 되는 경우이다. 전위(Vd)는, 토너가 부착되지 않는 비화상부의 전위이며, 전위(Vl)는, 감광 드럼 상의 토너가 부착되는 화상부의 전위이다. Vitb는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를 나타낸다.
드럼의 표면 전위는 대전, 노광 수단의 하류측, 또한, 현상 수단의 상류에서 감광 드럼에 근접 배치된 전위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전위 센서는 감광 드럼 표면의 비화상부 전위와 화상부 전위를 검지하여, 비화상부 전위에 기초해서 대전 수단의 대전 전위를 제어하고, 화상부 전위에 기초해서 노광 수단의 노광 광량을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는 화상부 전위, 비화상부 전위의 양쪽 전위 모두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있다.
이 감광 드럼 상의 대전 전위에 대하여, 현상 장치(4)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Vdc)(여기서는 DC 성분은 -250V)가 인가되어, 네가티브 대전된 토너가 감광 드럼측에 현상된다.
감광 드럼의 Vl과 현상 바이어스(Vdc)의 전위차인 현상 콘트라스트(Vca)는,
-150(V)-(-250(V))=100(V)
이 된다. 화상부 전위(Vl)와 비화상부 전위(Vd)의 전위차인 정전상 콘트라스트(Vcb)는,
-150(V)-(-450(V))=300(V)
이 된다. 감광 드럼의 화상부 전위(Vl)와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Vitb)(여기서는 300V로 함)의 전위차인 1차 전사 콘트라스트(Vtr)는,
300(V)-(-150(V))=450(V)
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광 드럼의 전위를 검지하는 정확성을 중시하여 전위 센서가 배치되는 구성인데, 이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비용 절감을 중시하여, 전위 센서를 배치하지 않고, 정전 잠상 형성 조건과 감광 드럼의 전위와의 관계성을 미리 ROM에 기억시킨 뒤에, ROM에 기억된 관계성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의 전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너 다이오드]
1차 전사 고압레스 시스템에서는, 1차 전사는,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와 감광 드럼의 전위와의 전위차인 1차 전사 콘트라스트(1차 전사 전계)에 의해 결정된다. 그 때문에 1차 전사 콘트라스트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침 롤러와 접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정전압 소자로서, 제너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 대신에 배리스터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도 3은, 제너 다이오드의 전류 전압 특성을 나타낸다. 제너 다이오드는, 제너 항복 전압(Vbr)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때까지 거의 전류를 흘리지 않지만, 제너 항복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급격하게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갖는다. 즉, 제너 다이오드(15)에 걸리는 전압이 제너 항복 전압(항복 전압) 이상인 범위에서는, 제너 다이오드(15)의 전압 강하는 제너 전압을 유지하도록 전류를 흘린다.
이러한 제너 다이오드의 전류 전압 특성을 이용하여, 중간 전사 벨트(7)의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걸침 롤러(10, 11, 12)와 접지와의 사이에, 정전압 소자로서 제너 다이오드(15)가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1차 전사 중에는, 제너 다이오드(15)의 전압 강하가 제너 항복 전압을 유지하도록, 2차 전사 전원(22)이 전압을 인가한다. 그 결과, 1차 전사 중에, 중간 전사 벨트(7)의 벨트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침 롤러와 접지의 사이에, 제너 항복 전압의 규격값(Vbr)이 25V가 되는 제너 다이오드(15)가 12개 직렬로 접속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제너 항복 전압을 유지하는 범위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는, 각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항복 전압의 합계, 즉 25×12=300V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물론 제너 다이오드를 복수 사용하는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제너 다이오드를 1개만 사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물론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 전위는 300V가 되는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사용하는 토너의 종류나 감광 드럼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차 전사용 전원(210)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면, 제너 다이오드의 전위가 소정 전위로 유지되어, 감광 드럼과 중간 전사 벨트의 사이에 1차 전사 전계가 형성된다. 또한 종래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2차 전사 고압 전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면, 중간 전사 벨트와 2차 전사 외측 롤러의 사이에, 2차 전사 전계가 형성된다.
[컨트롤러]
본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컨트롤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 회로부(150)(제어부)를 갖는다. CPU 회로부(150)는, CPU, ROM(151) 및 RAM(152)을 내장한다. 2차 전사부 전류 검출 회로(204)는, 2차 전사 외측 롤러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검지부, 제1 검지부)이다.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205)(제2 검지부)는, 걸침 롤러에 유입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위 센서(206)는, 감광 드럼 표면의 전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온습도 센서(207)는, 온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CPU 회로부(150)에는, 2차 전사부 전류 검출 회로(204),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205), 전위 센서(206), 온습도 센서(207)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CPU 회로부(150)는, ROM(151)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 2차 전사용 전원(22), 현상 고압 전원(201), 노광 수단 고압 전원(202), 대전 수단 고압 전원(203)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후술하는 환경 테이블이나 기록재 두께 대응 테이블은 ROM(151)에 저장되고 있으며 CPU가 호출하여 반영된다. RAM(152)은, 제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제어에 수반하는 연산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판단 기능]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 전위를 제너 전압 이상으로 하기 위한,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의 하한 전압을 판단하기 위한 공정을 실행한다.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한 전압을 판단하기 위해서, 제너 다이오드(15)를 개재하여 접지에 유입되는 전류를 검지하는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제2 검지부)가 사용된다.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는, 제너 다이오드와 접지의 사이에 접속된다. 즉, 걸침 롤러 모두가 제너 다이오드와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를 개재하여 접지 전위에 접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너 다이오드는,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가 제너 항복 전압 미만인 범위에서는, 거의 전류를 흘리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해,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가 전류를 검출하지 않을 때,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는 제너 항복 전압 미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가 전류를 검출할 때,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는 제너 항복 전압을 유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먼저, Y, M, C, Bk의 모든 스테이션의 대전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를 비화상부의 전위(Vd)로 제어한다.
이어서, 2차 전사용 전원이 테스트 전압을 인가한다.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테스트 전압을 선형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도 5에서는, V1, V2, V3으로 단계적으로 올려 나간다.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이 V1일 때,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는, 전류를 검출하지 않는다(I1=0μA).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이 V2, V3을 인가할 때에는, 각각,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가 I2μA, I3μA를 검출한다. 여기서 걸침 롤러 유입 전류 검출 회로가 전류를 검출한 경우의 인가 전압과 검출 전류의 상관 관계로부터, 전류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전류 유입 개시 전압(V0)이 산출된다. 즉, I2, I3, V2, V3의 관계로부터, 선형 보완을 행함으로써, 전류 유입 개시 전압(V0)이 산출된다.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으로서, V0을 상회하는 전압을 설정함으로써,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가 제너 항복 전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과 중간 전사 벨트의 벨트 전위와의 관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이 300V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가 300V 미만의 범위에서는 제너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가 300V가 되면 제너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그 이상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을 올렸다고 해도, 중간 전사 벨트의 벨트 전위는 일정해지도록 제어된다.
즉, 제너 다이오드로의 전류의 유입이 검지되기 시작하는 V0 미만의 범위에서는, 2차 전사 바이어스가 변화하면,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는 일정 전압으로 제어할 수 없다. 제너 다이오드로의 전류의 유입이 검지되기 시작하는 V0을 상회하는 범위에서는, 2차 전사 바이어스가 변화했다고 해도, 중간 전사 벨트의 전위는 일정 전압으로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스트 전압으로서 전류 유입 개시 전압의 전후를 사용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테스트 전압으로서, 미리 큰 소정 전압을 설정해 둠으로써, 테스트 전압 모두가 전류 유입 개시 전압을 상회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판단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류 유입 개시 전압을 산출하는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중시하여, 전류 유입 개시 전압(V0)을 산출하는 판단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물론 이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다운 타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중시하여, 전류 유입 개시 전압(V0)을 산출하는 판단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이 아니라, 전류 유입 개시 전압(V0)을 미리 ROM에 기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2차 전사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2차 전사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서, 조정 전압(테스트 전압)을 인가하는 ATVC(Active Transfer Voltage Control)라고 불리는 테스트 모드가 실행된다. 이것은, 2차 전사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이며, 기록재가 2차 전사부에 없을 때에 실행된다. 이 테스트 모드는, 연속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기록재와 기록재의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중간 전사 벨트의 영역이 2차 전사 위치에 있을 때에 실행되는 경우도 있다. ATVC에 의해, 2차 전사용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과, 2차 전사부를 흐르는 전류와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ATVC는, 기록재가 2차 전사부에 없을 때에, CPU 회로부(150)가 2차 전사용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즉, CPU 회로부(150)는 2차 전사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ATVC를 실행하는 실행부로서 기능한다.
ATVC에서는, 정전압 제어된 복수의 조정 전압(Va, Vb, Vc)이 2차 전사 전압 전원에 의해 인가된다. 그리고 나서 ATVC에서는, 조정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흐르는 전류(Ia, Ib, Ic)가 2차 전사부 전류 검출 회로(204)(검지부, 제1 검지부)에 의해 각각 검지된다. 그 결과, 전압과 전류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2차 전사 목표 전류 설정]
인가된 복수의 조정 전압(Va, Vb, Vc)과, 각각 측정된 전류(Ia, Ib, Ic)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2차 전사에 필요해지는 2차 전사 목표 전류(It)를 흘리기 위한 전압(Vi)이 산출된다. 2차 전사 목표 전류(It)는, 표 1에서 나타내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Figure pct00001
표 1은, CPU 회로부(150) 내에 설치된 기억부에 기억된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은, 분위기 중의 절대 수분량(g/kg)에 따라, 2차 전사 목표 전류(It)를 구분해서 설정해 두는 것이다.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분량이 높아지면 토너의 대전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수분량이 높아지면, 2차 전사 타겟 전류는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즉, 수분량이 증대하면, 2차 전사 목표 전류(It)가 감소한다. 또한 절대 수분량은, 온습도 센서(207)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상대 습도로부터, CPU 회로부(150)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대 수분량을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절대 수분량 대신에 상대 습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It를 흘리기 위한 전압(Vi)은, 기록재가 2차 전사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It를 흘리기 위한 전압이다. 그러나 2차 전사는, 기록재가 2차 전사부에 존재할 때에 행하여진다. 따라서, 기록재 분의 저항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록재가 분담하는 기록재 분담 전압(Vii)이 전압(Vi)에 가산된다. 기록재 분담 전압(Vii)은, 표 2에서 나타내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Figure pct00002
표 2는, CPU 회로부(150) 내에 설치된 기억부에 기억된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은, 분위기 중의 절대 수분량(g/kg)과 기록재의 평량(g/m2)에 따라, 기록재 분담 전압(Vii)을 구분해서 설정해 두는 것이다. 평량이 증가하면, 기록재 분담 전압(Vii)은 증가한다. 이것은, 평량이 증가하면 기록재가 두꺼워지므로, 기록재의 전기적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절대 수분량이 증가하면, 기록재 분담 전압(Vii)은 줄어든다. 이것은, 절대 수분량이 증가하면, 기록재가 함유하는 수분량이 증가하므로, 기록재의 전기적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편면 인쇄 시보다 자동 양면 인쇄시나 수동 양면 인쇄시가, 기록재 분담 전압(Vii)은 더 크다. 또한 평량이란, 단위 면적당 무게(g/m2)를 나타내는 단위로, 기록재의 두께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평량은, 조작부에서 유저가 입력하는 경우나, 기록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에 기록재의 평량을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CPU 회로부(150)는 평량을 판단한다.
2차 전사 목표 전류(It)를 흘리기 위한 Vi에 기록재 분담 전압(Vii)이 가산된 전압(Vi+Vii)이 정전압 제어된 2차 전사 전압의 2차 전사 목표 전압(Vt)으로서 CPU 회로부(150)에 의해 설정된다. 즉, CPU 회로부(150)는,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분위기 환경과 기록재 두께에 따라, 적정한 전압 값이 설정된다. 또한 2차 전사 중에는, CPU 회로부(150)에 의해 설정된 2차 전사 전압이 정전압 제어된 상태로 인가되므로, 기록재의 폭이 바뀌어도 2차 전사가 안정된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최대 폭의 기록재에 대응한 2차 전사 전압의 설정]
다운 타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차 전사와 2차 전사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차 전사와 2차 전사를 병행하여 행할 때에,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가 제너 항복 전압을 하회하면, 1차 전사를 불안정하게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록재가 2차 전사부를 통과할 때,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는 제너 항복 전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차 전사 고압레스 시스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사부에서의 기록재의 폭 방향의 폭에 따라, 2차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과 벨트 전위의 관계는 상이하다. 여기서 폭 방향이란, 기록재를 반송하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7은, 소정의 종류(보통지)의 기록재에 대해서, 대표적인 기록재 폭으로서 A4R(폭 방향 210mm), A4(폭 방향 297mm), SRA3(320mm)의 2차 전사 인가 전압과 벨트 전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의 종류가 동일하여도, 폭 방향의 폭이 커질수록, 벨트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은 커진다.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이유는, 도 8과 같이 기록재의 폭 방향 폭에 의해 2차 전사 롤러와 중간 전사 벨트의 접촉 폭이 변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의 폭은 344mm, 2차 전사 외측 롤러의 폭 323mm, 2차 전사 내측 롤러의 폭은 329mm이며, 기록재는 이 부재의 폭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된다.
도 8의 (a)는, A3 폭에서의 기록재 폭과 기록재가 통과하지 않는 비통과 영역에서 중간 전사 벨트와 2차 전사 외측 롤러의 접촉 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기록재의 폭(L21)(폭 320mm)과, 2차 전사 외측 롤러(폭 323mm)과 중간 전사 벨트(폭 344mm)의 접촉 폭(L1)이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는, A4R 폭에서의 기록재 폭과, 비통과 영역에서의 중간 전사 벨트와 2차 전사 외측 롤러의 접촉 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기록재 폭(L22)과, 2차 전사 외측 롤러와 중간 전사 벨트의 접촉 폭(L2)이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폭 방향의 기록재 폭에 의한 중간 전사 벨트와 2차 전사 외측 롤러와의 접촉 폭의 차이에 의해, 2차 전사 외측 롤러에 인가되는 2차 전사 바이어스와 중간 전사 벨트의 벨트 전위의 관계는 상이하다.
기록재의 폭이 작은 경우, 즉 접촉 폭이 큰 경우, 기록재의 외측을 많은 전류가 흐른다. 그 때문에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기록재의 폭이 큰 경우, 즉 접촉 폭이 작은 경우, 기록재의 외측을 흐르는 전류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2차 전사 롤러와 중간 전사 벨트가 직접 접촉하는 폭(면적)이 바뀌면, 2차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과 벨트 전위의 관계가 기록재의 폭에 따라 상이하다.
기록재의 폭이 큰 경우,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작아지면,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가 제너 항복 전압을 하회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1차 전사부의 전사 콘트라스트가 낮기 때문에, 1차 전사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폭의 기록재에 대하여 최대의 폭의 기록재에 의해 결정되는 2차 전사 롤러와 중간 전사 벨트가 직접 접촉하는 폭(면적)에 대응한 2차 전사 전압이 설정된다. 또한, 최대의 폭의 기록재는, 화상 형성 장치가 대응 가능한 정형 폭 중에서 최대의 폭의 기록재이며, 미리 정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면, 화상 형성 장치가 대응 가능한 정형 사이즈는, A4R(폭 방향 210mm), A4(폭 방향 297mm), SRA3(320mm)이므로, 최대의 폭의 기록재는, SRA3이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인가 전압과 벨트 전위의 관계 중, 최대 폭의 기록재(SRA3)가 반송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인가 전압과 벨트 전위의 관계에 기초하여, 기록재의 가산 전압값이 산출된다. 산출된 전압값은, 보통지의 전체 사이즈에 대한 가산 전압으로서, 제어부(20)의 ROM(151)에 기억된다. 보통지가 반송되는 경우에는, 기록재의 폭에 구애되지 않고, 기록재에 의한 저항 변화 분으로서, 목표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에 가산된다. 이렇게 해서, 2차 전사 전압이 얻어진다.
2차 전사 전압을 얻기 위해 가산되는 기록재의 가산 전압은, 최대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의 관계로부터 산출되므로, 어느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에든,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기록재의 가산 전압의 설정은, 다른 종류의 기록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행한다. 즉, 다른 종류의 기록재에 대해서도, 최대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의 관계에 기초하여, 기록재의 가산 전압이 산출된다.
도 9에 흐름도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에 앞서, 유저로부터의 지시로, 터치 패널 등으로부터 사용되는 기록재 사이즈와 종류가 선택된다(Step 1).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개시 버튼이 눌려(Step 2) CPU 회로부(15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면, 기록재가 반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CPU 회로부(150)는 2차 전사 바이어스 결정의 플로우를 개시한다. 먼저, CPU 회로부(150)는, 복수의 2차 전사 바이어스를 2차 전사부에 인가한다(Step 3). CPU 회로부(150)는, 인가된 전압에 대한 검지 전류로부터 목표 전류에 대응하는 2차 전사 전압을 결정한다(Step 4). 또한 CPU 회로부(150)는, Step 4에서 결정된 2차 전사 전압에서의 제너 다이오드 유입 전류를 검지하여 벨트 전위가 일정해지는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tep 5).
CPU 회로부(150)는, 미리 기억되어 있었던 기록재 종류에 따라서 결정된 전압값을 Step 4에 의해 정해진 전압값에 가산한다(Step 6). CPU 회로부(150)는, Step 6에서 가산된 전압값을 기록재의 반송 타이밍에 맞춰서 2차 전사 전압으로 하여 2차 전사 롤러에 인가하고(Step 7),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토너상이 기록재에 전사되는 2차 전사 동작이 행하여진다(Step 8). 다음으로 CPU 회로부(150)는, 연속해서 반송되는 것이면 Step 6으로 복귀되고(Step 8), 기록재 종류가 바뀌는 것이면 Step 1로 복귀된다(Step 9). 그대로 종료이면 CPU 회로부(150)는 화상 형성 동작을 종료한다(Step 10).
이상에 의해, 1차 전사 고압레스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모든 폭의 기록재에서, 2차 전사 롤러의 인가 전압을 최대 기록재 폭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기록재에 2차 전사할 때에 있어서의 1차 전사부에서의 전사 콘트라스트 부족에 의한 전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과 중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기록재의 최대의 폭에 기초하여 결정된 전압이, 반송되는 기록재의 폭이 어떤 것이든, 2차 전사 전압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기록재의 폭마다 전압을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정을 간결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기록재의 폭에 따라서 결정된 전압값이, 반송되는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되어, 2차 전사 전압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2차 전사 롤러에 필요 이상의 전압을 거는 것을 억제하여, 2차 전사 외측 롤러의 수명을 길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차 전사 롤러는 그 저항값이 1×106 내지 1×1010(Ω) 정도의 값으로 조정된다. 고무 재료로서는,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EPDM),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CO, ECO) 등의 일반적인 고무 및 그 발포체가 사용된다. 나아가 도전재로서, 이온 도전계의 재료를 배합한 것이 사용된다.
이 이온 도전계의 전사 롤러의 저항에 대해서는, 기내의 온습도나 통전 시간이나 인가 전압에 따라서 변동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차 전사 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으면 2차 전사 외측 롤러의 저항 상승을 가속시켜, 보다 단수명으로 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록재 폭에 따른 2차 전사 인가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2차 전사 롤러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2차 전사 전압과 벨트 전위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이화하기 위해 대표적인 기록재 폭으로 범위를 좁혀 설명한다.
도 10과 같이 A4R, A4, SRA3에서 2차 전사 바이어스에 대한 벨트 전위의 관계는, 실시예 1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이하다.
여기서, A4R에 대응한 2차 전사 바이어스는 V21, A4에 대응한 2차 전사 바이어스는 V22, SRA3에 대응한 2차 전사 바이어스는 V23이 된다.
따라서, 기록재의 가산 전압은, 기록재의 폭마다 정해진다. 즉, 기록재의 폭에 따라, 가산 전압의 설정이 상이하다. 종류가 동일해도, 작은 폭의 기록재의 가산 전압은 작고, 큰 폭의 기록재의 가산 전압은 커지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나서, 각 가산 전압은, 기록재에 의한 저항 변화 분으로서, 목표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에 가산된다. 이렇게 해서, 2차 전사 전압이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차 전사 전압에 가산되는 기록재 가산 전압은, 각각의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의 관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압값이다. 어떤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든,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2차 전사 전압을 얻기 위해 가산되는 기록재의 가산 전압은, 각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의 관계로부터 산출되므로, 어느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에든,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도 11에 흐름도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에 앞서, 유저로부터의 지시로, 터치 패널 등으로부터 사용되는 기록재 사이즈와 종류가 선택된다(Step 1).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개시 버튼이 눌려(Step 2) CPU 회로부(15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면, 기록재가 반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2차 전사 바이어스 결정의 플로우가 개시된다. 먼저, CPU 회로부(150)는, 복수의 2차 전사 바이어스를 2차 전사부에 인가한다(Step 3).
CPU 회로부(150)는, 인가된 전압에 대한 검지 전류로부터 목표 전류에 대응하는 2차 전사 전압을 결정한다(Step 4). 또한 CPU 회로부(150)는, Step 4에서 결정된 2차 전사 전압에서의 제너 다이오드 유입 전류를 검지하여 벨트 전위가 안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tep 5).
여기서, CPU 회로부(150)는, Step 1에서 선택된 기록재 폭에 의해, 미리 기억되어 있었던 기록재 종류에 따라서 결정된 전압값을 Step 4에 의해 정해진 전압값에 가산한다(Step 6). CPU 회로부(150)는, Step 6에서 가산된 전압값을 기록재가 통과하는 타이밍에 맞춰서 2차 전사 전압으로서 2차 전사 롤러에 인가하고(Step 7),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토너상이 기록재에 전사되는 2차 전사 동작이 행하여진다(Step 8). 다음으로 연속해서 기록재가 반송되는 것이면 CPU 회로부(150)는 Step 7로 복귀되고(Step 9), 기록재의 종류가 바뀌는 것이면 Step 1로 복귀된다(Step 10). 그대로 종료이면 CPU 회로부(150)는 화상 형성 동작을 종료한다(Step 11).
이상이 실시예 2의 형태가 되는데, 선택되는 기록재 종류의 폭 방향의 폭은, 기록재의 트레이로부터 2차 전사부까지의 반송 경로에 기록재 폭 검지 센서를 두어서 자동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는 화상 형성 전에 2차 전사 전압을 선택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기록재가 2차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을 때에 제너 유입 전류를 검지하고, 검지할 때마다 2차 전사 전압을 보정하는 제어를, 이 구성에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재가 2차 전사부를 통과 중에 제너 다이오드에 유입되는 전류값이 없는 경우에는, 벨트 전위가 제너 전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벨트 전위를 높이기 위해서 2차 전사 전압에 피드백을 거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폭의 기록재가 반송되는 경우에도, 1차 전사와 2차 전사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재 폭에 따른 전압을 선택하므로, 폭 방향으로 작은 폭의 기록재가 연속해서 왔을 때에도 2차 전사 롤러의 저항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자 사진 방식으로 정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전자 사진 방식이 아니라, 정전기력 방식으로 정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 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제어부는, 2차 전사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가장 큰 폭의 기록재가 있을 때에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정전압 소자가 소정의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록재에 2차 전사할 때에 1차 전사부에서의 1차 전사 전계가 부족함으로 인한 전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1차 전사 위치에서 1차 전사된 토너상을 담지하는 중간 전사체;
    상기 중간 전사체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간 전사체로부터 토너상을 2차 전사 위치에서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전사 부재;
    상기 중간 전사체와 접지 전위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름으로써 미리 정해진 전압이 유지되는 정전압 소자;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정전압 소자에 전류를 흘려 상기 2차 전사 위치에 2차 전사 전계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1차 전사 위치에 1차 전사 전계를 형성하는 전원;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가장 큰 폭의 기록재에 상기 2차 전사할 때에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정전압 소자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록재의 종이 종류에 구애되지 않고, 기록재에 토너상을 상기 2차 전사할 때에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정전압 소자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큰 폭의 기록재와 동일 종류의 기록재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록재의 폭에 구애되지 않고, 기록재에 토너상을 상기 2차 전사할 때에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가장 큰 폭의 기록재에 토너상을 상기 2차 전사할 때에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으로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큰 폭의 기록재와 동일 종류의 기록재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폭의 기록재에 토너상을 상기 2차 전사할 때에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정전압 소자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을 유지하는 전압이며 상기 제1 폭보다 폭이 넓고 또한 상기 가장 큰 폭의 기록재 이하의 폭인 제2 폭의 기록재에 토너상을 상기 2차 전사할 때에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보다 낮게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의 폭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상기 가장 큰 폭의 기록재>상기 중간 전사체>상기 전사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기록재에 관한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재에 관한 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에 관한 정보는, 기록재의 종류에 관한 정보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에 관한 정보는, 상기 폭 방향에서의 기록재의 폭에 관한 정보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과, 상기 정전압 소자에 흐르는 전류와의 관계로부터 구해지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소자는 제너 다이오드 또는 배리스터인,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은, 상기 정전압 소자의 항복 전압인,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체는 2층 이상의 구성이며, 상기 외주면측의 층의 체적 저항률이 상기 내주면측의 층의 체적 저항률보다 높은,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체는 중간 전사 벨트이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걸치는 복수의 걸침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소자는, 상기 복수의 걸침 부재의 모두와 접지 전위의 사이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7029884A 2012-04-03 2013-04-03 화상 형성 장치 KR101642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5033A JP5911357B2 (ja) 2012-04-03 2012-04-03 画像形成装置
JPJP-P-2012-085033 2012-04-03
PCT/JP2013/060769 WO2013151184A1 (ja) 2012-04-03 2013-04-03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605A true KR20140140605A (ko) 2014-12-09
KR101642628B1 KR101642628B1 (ko) 2016-07-25

Family

ID=4930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884A KR101642628B1 (ko) 2012-04-03 2013-04-0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17974B2 (ko)
EP (1) EP2835691A4 (ko)
JP (1) JP5911357B2 (ko)
KR (1) KR101642628B1 (ko)
CN (1) CN104350431B (ko)
RU (1) RU2584377C1 (ko)
WO (1) WO2013151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0434B (zh) * 2012-04-03 2017-06-27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设备
JP5911357B2 (ja) * 2012-04-03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8817B2 (ja) 2012-04-03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173559A (ja) * 2016-03-24 2017-09-28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6789804B2 (ja) * 2016-12-27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31235B2 (ja) * 2017-11-08 2022-03-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0052159A (ja) * 2018-09-26 2020-04-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5761A (ja) * 2000-03-14 2001-09-2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250254A (ja) * 2004-03-05 2005-09-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0191276A (ja) * 2009-02-19 2010-09-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130188980A1 (en) * 2010-10-04 2013-07-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4305B1 (en) 1999-03-19 2001-09-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04020B2 (ja) 2001-07-23 2007-11-07 株式会社リコー バイアス印加方法、バイアス印加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3295634A (ja) * 2002-04-02 2003-10-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259640A (ja) * 2005-03-18 2006-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043337B2 (ja) * 2006-01-12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92004B2 (ja) * 2009-10-28 2014-01-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06047B2 (ja) 2010-10-04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10922B2 (ja) * 2011-11-14 2016-04-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11357B2 (ja) * 2012-04-03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8817B2 (ja) * 2012-04-03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350434B (zh) * 2012-04-03 2017-06-27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设备
JP6168815B2 (ja) * 2012-04-03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55033B2 (ja) * 2012-04-03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95507B2 (ja) * 2012-04-27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88449B2 (ja) * 2013-06-26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5761A (ja) * 2000-03-14 2001-09-2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250254A (ja) * 2004-03-05 2005-09-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0191276A (ja) * 2009-02-19 2010-09-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130188980A1 (en) * 2010-10-04 2013-07-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5691A1 (en) 2015-02-11
CN104350431B (zh) 2017-11-07
JP2013213994A (ja) 2013-10-17
CN104350431A (zh) 2015-02-11
RU2584377C1 (ru) 2016-05-20
US9217974B2 (en) 2015-12-22
KR101642628B1 (ko) 2016-07-25
JP5911357B2 (ja) 2016-04-27
WO2013151184A1 (ja) 2013-10-10
EP2835691A4 (en) 2015-11-18
US20150023681A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922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36678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642628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1662921B1 (ko) 화상 형성 장치
EP312165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066578B2 (ja) 画像形成装置
JP5968014B2 (ja) 画像形成装置
JP6214747B2 (ja) 画像形成装置
JP5911356B2 (ja) 画像形成装置
JP6053976B2 (ja) 画像形成装置
JP6129385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