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979A -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979A
KR20140139979A KR1020140063707A KR20140063707A KR20140139979A KR 20140139979 A KR20140139979 A KR 20140139979A KR 1020140063707 A KR1020140063707 A KR 1020140063707A KR 20140063707 A KR20140063707 A KR 20140063707A KR 20140139979 A KR20140139979 A KR 20140139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n
guide track
path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260B1 (ko
Inventor
충-야오 첸
Original Assignee
슬라이드 메이 야오 인터내셔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슬라이드 메이 야오 인터내셔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슬라이드 메이 야오 인터내셔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3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oy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동 제한 장치는 비-한계 경로(401)와 한계 경로(402)를 가지는 가이드 트랙(4)을 포함하는 트랙 유닛(4) 및 핀부(553)를 가지는 핀유닛(55)을 포함하는 제한 유닛(5)을 포함한다. 핀부(553)는 가이드 트랙(4) 내에 스윙 가능하게 삽입된다.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은, 이동 유닛(20이 고정 유닛(1)에 대해 이동하는 경우에, 상대 이동을 구성한다.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은, 이동 유닛(2)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한계 경로(402)에 의해 가이드되고, 이동 유닛(2)이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비-한계 경로(401)에 의해 가이드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MOVEMENT RESTRICTING APPARATUS FOR A SLIDE ASSEMBLY}
본 발명은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고정 유닛(stationary unit)에 대하여 이동 유닛(moving unit)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에 적합한 이동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유닛을 캐비닛(cabinet) 안으로 또는 밖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드(slide)하기 위해,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 유닛(sliding rail unit)이 일반적으로 이동 유닛과 캐비닛의 2개의 반대 측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레일 유닛은 서로 맞물려(engaged)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2개 또는 3개의 슬라이딩 레일을 가진다. 이동 유닛은 캐비닛에 배치된 이동 운반 부재(moving carrier member)를 포함한다. 이동 운반 부재는 전면 플레이트(front plate)를 가진다.
슬라이딩 레일 유닛의 동작은, 캐비닛에 대하여 이동 유닛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기계적 유형 설계 또는 전기적 유형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유형 설계에 있어서, 일부는 이동 유닛을 꺼내기 위해 전면 플레이트를 압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과 이동 유닛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소음을 회피하기 위해 이동 유닛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5040833호와 대만공개특허 제201242540호는 압박-꺼냄 동작에 대해 향상된 기계적 유형 설계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동 유닛의 개방을 위한 압박-꺼냄 동작 이후에, 이동 유닛과 캐비닛 사이의 직선적 이동의 부재에 의해, 이동 유닛의 이동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폐쇄 동작이 이동 유닛에 적용되는 경우, 이동 유닛은, 이동 유닛이 완전히 폐쇄되기 이전에 압박-꺼냄 위치에서 머무르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이동 제한 장치는, 고정 유닛(stationary unit)과 고정 유닛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moving unit)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slide assembly) 내에 설치된다. 이동 제한 장치는 트랙 유닛(track unit), 제한 유닛(restricting unit), 및 바이어싱 유닛(biasing unit)을 포함한다.
트랙 유닛은 고정 유닛과 이동 유닛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종방향가이드 트랙(longitudinal guide track), 전면 잠금 부품(front lock piece). 전면 잠금 부품에 근접한 전면 꺼냄 부품(front eject piece), 및 전면 잠금 부품 및 전면 꺼냄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편향 블록(deflection block)을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비-한계 경로(non-limit path), 한계 경로(limit path), 및 터닝 영역(turning region)을 가진다. 전면 잠금 부품과 전면 꺼냄 부품은 비-한계 경로와 한계 경로의 접점에 배치된다. 전면 잠금 부품은 전면 꺼냄 부품에 근접한 후크 오목부(hook recess)를 가진다. 터닝 영역은 전면 잠금 부품과 편향 블록 사이에 배치된다.
제한 유닛은 고정 유닛과 이동 유닛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조정 케이싱(adjustment casing), 조정 케이싱과 연결된 핀 시트(pin seat), 및 핀 시트에 피봇하여(pivotally) 설치된 핀 유닛을 포함한다. 핀 유닛은 가이드 트랙 내에 스윙 가능하도록(swingably) 삽입되는 핀부(pin portion)를 가진다.
바이어싱 유닛은 고정 유닛과 이동 유닛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resilient member)를 가진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은, 이동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상대 이동을 형성한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은, 이동 유닛이 외부 힘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한계 경로에 의해 한쪽으로만 움직이도록 가이드되고, 이동 유닛이, 바이어싱 유닛에 의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강제되는 경우에는 비-한계 경로에 의해 가이드된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이 한계 경로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에, 핀부는,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으로 이동 유닛을 이동시키는 외부 힘의 제거된 상태에서, 바이어싱 유닛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반대로 된 직후에,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을 정지하기 위해 가이드 트랙과 맞물릴수 있다.
이동 유닛이 다시 외부 힘을 받는 경우, 핀부가 한계 경로를 벗어나 편향 블록에 의해 터닝 영역 내로 가이드될 때까지,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이 한계 경로에서 계속된다.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 이동 유닛은 바이어싱 유닛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을 받고, 핀부는 전면 잠금 부품의 후크 오목부 내로 맞물린다. 이동 유닛이 다시 외부 힘을 받는 경우, 핀부는 전면 꺼냄 부품에 의해 후크 오목부로부터 비-한계 경로로 꺼내지게 된다.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 핀부는 비-한계 경로에 진입하고, 핀부와 가이드 트랙 사이의 상대 이동은 바이어싱 유닛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단방향(unidirectinal)으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이동 제한 장치는 고정 유닛과 고정 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 사이에 설치되고, 제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한 유닛은 조정 케이싱, 조정 케이싱과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핀 시트, 및 핀 시트에 피봇하여 설치되는 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 따라, 이동 제한 장치는 고정 유닛과 고정 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 사이에 설치된다. 이동 제한 장치는 트랙 유닛과 제한 유닛을 포함한다.
트랙 유닛은 비-한계 경로 및 한계 경로를 가지는 종방향의 가이드 트랙을 포함한다. 비-한계 경로와 한계 경로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가이드 트랙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트랙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한계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블록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한계 블록은 비-한계 경로 및 한계 경로 사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블록은 비-한계 경로와 한계 경로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한계 블록과 근접하여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한계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블록은 양자 사이의 제한 공간을 협력하여 규정하기 위해, 서로 수렴하도록 연장된다.
제한 유닛은, 트랙 유닛 내로 스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부를 가지는, 스윙 가능한 핀 유닛을 포함한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은, 이동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이동되는 경우에, 상대 이동을 형성한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은, 이동 유닛이 외부 힘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한계 경로에 의해 가이드되고, 이동 유닛이 반대 힘에 의해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비-한계 경로에 의해 가이드된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이 한계 경로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 핀부는,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으로 이동 유닛을 이동시키는 외부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반대 힘에 기초하여 반대로 되기 시작한 직후에,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한 공간과 맞물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이동 제한 장치는 고정 레일 부재와 슬라이딩 레일 부재 상에 설치된다. 이동 제한 장치는 트랙 유닛, 제한 유닛, 및 바이어싱 유닛을 포함한다.
트랙 유닛은 종방향의 가이드 트랙, 전면 잠금 부품, 전면 잠금 부품과 근접한 전면 꺼냄 부품, 및 전면 잠금 부품과 전면 꺼냄 부품 사이에 배치된 편향 블록을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비-한계 경로, 한계 경로, 및 터닝 영역을 가진다. 전면 잠금 부품과 전면 꺼냄 부품은 비-한계 경로와 한계 경로의 접점에 배치된다. 전면 잠금 부품은 전면 꺼냄 부품과 근접한 후크 오목부를 가진다. 터닝 영역은 전면 잠금 부품과 편향 블록 사이에 배치된다.
제한 유닛은 트랙 유닛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핀 시트 및 핀 시트에 피봇하여 설치된 핀 유닛을 포함한다. 핀 유닛은 트랙 유닛 내에 스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부를 가진다.
바이어싱 유닛은 고정 레일 부재와 슬라이딩 레일 부재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가진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은, 슬라이딩 레일 부재가 고정 레일 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대 이동을 형성한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은, 슬라이딩 레일 부재가 외부 힘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한계 경로에 의해 단방향으로 가이드 되고, 슬라이딩 레일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의 한쪽으로만 이동하도록 강제되는 경우에는, 비-한계 경로에 의해 가이드된다.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이 한계 경로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 핀부는,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레일 부재를 이동시키는 외부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바이어싱 유닛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에 기초하여 반대로 되는 직후에,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가이드 트랙과 맞물린다.
슬라이딩 레일 부재가 외부 힘을 받는 경우, 핀부가 한계 경로를 벗어나 편향 블록에 의해 터닝 영역 내로 가이드될 때까지,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은 한계 경로에서 계속된다.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 슬라이딩 레일 부재는 바이어싱 유닛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을 받게 되고, 핀부는 전면 잠금 부품의 후크 오목부 내에 맞물린다. 슬라이딩 레일 부재가 외부 힘을 다시 받는 경우, 핀부는 전면 꺼냄 부품에 의해 후크 오목부로부터 비-한계 경로 내로 꺼내진다.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 핀부는 비-한계 경로로 진입하고, 핀부와 가이드 트랙의 상대 이동은 탄성 부재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단방향으로만 유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전면 단면도이다.
도 2는 개방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이동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상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인 투시도이다.
도 4는 폐쇄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이동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상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트랙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이동 유닛이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핀 유닛의 핀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 5에 도시된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트랙 유닛의 일부분의 확장도이다.
도 7은 이동 유닛이 반-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핀 유닛의 핀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 6과 동일한 확장도이다.
도 8은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한 유닛을 나타내는 투시된 분해 조립도이다.
도 9는 제1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드로어(drawer)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상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이동 유닛이 반-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핀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 11에 도시된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분의 확장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분의 부분적인 확장도이다.
도 15는 슬라이딩 레일 부재의 후퇴 위치를 나타내는, 도 14와 동일한 확장도이다.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기 이전에, 동일한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됨을 알아야 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며, 이는 슬라이드 어셈블리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 어셈블리는 고정 유닛(1)과, 고정 유닛(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2)을 포함한다. 고정 유닛(1)은 캐비닛 본체(11)와, 캐비닛 본체(11)의 좌측 및 우측 상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대향하는 고정 레일 부재(12), 및 2개의 대향하는 접속 부재(13)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 부재(13)는, 대응하는 고정 레일 부재(12)와 접속되고, 다른 고정 레일 부재(12)를 향하는 방향에서, 대응하는 고정 레일 부재(12)로부터 연장된다.
이동 유닛(2)은, 대상을 수용하기 위해 캐비닛 본체(11)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운반 부재(21), 운반 부재(21)의 좌측 외부 및 우측 외부에 각각 연결되고 고정 레일 부재(12)에 대해 각각 슬라이드 가능한 2개의 제1 슬라이딩 레일 부재(22), 및 운반 부재(21)의 하부 벽(bottom wall)의 2개의 대향하는 측과 연결되고, 접속 부재(13)에 각각 근접한 2개의 제2 슬라이딩 레일 부재(23)를 포함한다. 운반 부재(21)는 전면 플레이트(211)를 가진다. 전면 플레이트(211)는 운반 부재(21)를 캐비닛 본체(11)로부터 외부로 꺼내도록 압착되고(pressed), 제2 슬라이딩 레일 부재(23)는 각각의 접속 부재(13)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각각 유도되며, 이를 통해 운반 부재(21)를 가이드하고 지지함에 따라 운반 부재(21)가 캐비닛 본체(11)에 대하여 부드럽게 이동하게 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일례로서 드로어가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태양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는 가구 등의 도어 패널, 윈도우, 조성 물품 등과 같이, 단일-레일 시스템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드를 가지고 그 이동 중에 일시적으로 중지될 필요가 있는 어떠한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고정 레일 부재(12), 제1 슬라이딩 레일 부재(22), 제2 슬라이딩 레일 부재(23), 고정 유닛(1)과 이동 유닛(2)의 구성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화의 목적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이동 제한 장치가 이동 유닛(2)과 고정 유닛(1)의 좌측 사이 및 이동 유닛(2)과 고정 유닛(1)의 우측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이동 제한 장치는 이동 유닛(2)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트랙 유닛(4), 고정 유닛(1)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한 유닛(5), 및 트랙 유닛(4)과 제한 유닛(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바이어싱 유닛(3)을 포함한다. 바이어싱 유닛(3)은 고정 유닛(1)의 대응하는 접속 부재(13) 상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31), 슬리브(3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슬리브(3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푸시 막대(push rod)(32), 및 2개의 탄성 부재(33)를 포함한다. 각각의 탄성 부재(33)는 슬리브(31) 및 푸시 막대(32)의 후단(rear end)을 서로 연결한다. 푸시 막대(32)는, 슬리브(31)로부터 앞쪽으로 및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전면 플레이트(211)를 향해 마주하는 푸시 단부(push end portion)(321)를 가진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탄성 부재(33)는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이다. 탄성 부재(33)의 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탄성 부재(33)는, 탄성 부재(33)가, 전면 플레이트(211)가 압착되는 경우에,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이동 유닛(2)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압축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유닛(2)이 폐쇄 위치로 뒤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전면 플레이트(211)가 푸시 막대(32)의 푸시 단부(321)와 접촉하고 이를 압박하기 때문에, 푸시 막대(32)는 뒤쪽으로 이동되고 각각의 슬리브(31) 내로 후퇴되며, 탄성 부재(33)는 신장되어(stretched)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각각의 이동 제한 장치의 트랙 유닛(4)은 이동 유닛(2)의 대응하는 제2 슬라이딩 레일 부재(23) 내에 설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랙 유닛(4)은 이동 유닛(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 종향(길이방향) 측 및 하부 종방향 측을 가지는 종방향 기초벽(longitudinal base wall)(41), 종방향 기초벽(41)의 상부 종방향 측을 따른 행(row)에 배치되고 기초벽(41)으로부터 돌출하는, 공간적으로 떨어진 복수의 상부 가이드 부품(42), 및 종방향 기초벽(41)의 하부 종방향 측을 따른 행에 배치되고 기초벽(41)으로부터 돌출하는, 공간적으로 떨어진 복수의 하부 가이드 부품(43)을 포함한다. 또한, 트랙 유닛(4)은 복수의 한계 블록(47), 복수의 보조 블록(48), 2개의 상부 후단 부품 또는 하부 후단 부품(44), 전면 잠금 부품(45), 전면 꺼냄 부품(46), 및 편향 블록(431)을 포함한다. 한계 블록(47)과 보조 블록(48)은 상부 가이드 부품과 하부 가이드 부품(42, 43)의 행(row) 사이의 공간 내의, 기초벽(41) 상에 배치된다. 2개의 상부 후단 부품 및 하부 후단 부품(44)은 상부 가이드 부품 및 하부 가이드 부품(42, 43)의 뒤쪽에 배치되며, 기초벽(4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엇갈린다. 전면 잠금 부품(45)은 상부 가이드 부품 및 하부 가이드 부품(43)의 행 사이의 공간 앞에 배치된다. 전면 꺼냄 부품(46)은 전면 잠금 부품(45)의 앞에 배치된다. 편향 블록(431)은 하부 가이드 부품(43)의 앞에 배치되고 전면 꺼냄 부품(46)의 아래로 간격을 둔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조 블록(48)은 한계 블록(47)과 그 수가 동일하다. 그러나, 한계 블록(47)의 수 또는 보조 블록(48)의 수는 다양할 수 있다. 각각의 보조 블록(48)은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한계 블록(47)의 앞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기초벽(41)은, 기초벽(41)의 뒷부분에 위치되는 보조 블록(48) 일부와 위치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공동부(hollow portion)(411)를 더 가질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부품(42)과 상부 후단 부품(44)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초벽(41)의 하부 종방향 측 및 상부 종방향 측 사이의 기초벽(41)의 중간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꼭짓점부(apex portion)를 가진다. 하부 가이드 부품(43)과 하부 후단 부품(44)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초벽(41)의 상부 종방향 측 및 하부 종방향 측 사이의 기초벽(41)의 중간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는 꼭짓점부를 가진다. 전면 잠금 부품(45)은 전면 꺼냄 부품(46)을 향해 대면하는 후크 오목부(451)를 가진다. 편향 블록은 후크 오목부(451) 아래로 간격을 두고 후크 오목부(451)의 앞쪽에 놓인 곡면(432)을 가진다. 각각의 한계 블록(47)과 대응하는 보조 블록(48)은 그들 사이의 제한 공간(471)을 서로 협력하여 규정하기 위해, 서로 수렴하도록 연장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한 공간(471)은 핀 유닛(55)의 핀부(553)(이후 상세하게 설명됨)를 수용할 수 있어서, 핀 유닛(55)의 핀부(553)의 반대 이동을 억제하게 된다. 제한 공간(471)과 인접한 각각의 한계 블록(47)의 일 표면은 굴곡(indentation)을 형성하기 위해 만입되므로(indented), 제한 공간(471)이 굴곡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한계 블록(47)의 표면은 만입되지 않을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굴곡은 배제될 수 있다. 각각의 보조 블록(48)은 대응하는 한계 블록(47)과 근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한 공간(471) 바로 위에 배치되는 탄성부(481), 및 대응하는 한계 블록(47)과 제한 공간(471)의 수렴하는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탄성부(48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lengthened portion)(482)를 가진다. 연장부(482)는 기초벽(41)으로부터 돌출한다. 기초벽(41)의 뒷부분의 각각의 공동부(411)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일부 보조 블록(48)의 탄성부(481)는 각각의 공동부(411) 위로 유동적으로 연장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한계 블록(47)은 인접한 보조 블록(48)과 협력하여, 제한 공간(471)의 수렴하는 끝단과 통하는 회피갭(49)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탄성부(481)의 후단은 인접하는 한계 블록(47)과 회피갭(49)을 규정한다. 회피갭(49)의 폭은 핀 유닛(55)의 핀부(553)의 폭보다 작다.
2개의 인접하는 한계 블록(47)과 보조 블록(48)은 2개의 인접하는 상부 가이드 부품(42)의 접점 바로 아래에 배차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각각의 하부 가이드 부품(43)은 2개의 인접하는 한계 블록(47)과 보조 블록(48) 사이의 공간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각각의 트랙 유닛(4)은 종방향 기초벽(41) 상에서 상부 가이드 부품 및 하부 가이드 부품(42, 43), 하부 후단 부품(44), 전면 잠금 부품(45), 전면 꺼냄 부품(46), 편향 블록(431), 한계 블록(47), 및 보조 블록(48)에 의해 규정되고, 기초벽(41)의 상부 종방향 측에 근접한 비-한계 경로(401), 기초벽(41)의 하부 종방향 측에 근접한 한계 경로(402), 및 전면 잠금 부품(45)과 편향 블록(431)의 곡면(432) 사이에 형성된 터닝 영역(403)을 가지는 종방향 가이드 트랙(40)을 더 포함한다. 비-한계 경로(401) 및 한계 경로(402)는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고 가이드 트랙(40)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한계 블록(47)은 비-한계 경로(401)와 한계 경로(402)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보조 블록(48)은 대응하는 한계 블록(47)과 근접하여 비-한계 경로(401)와 한계 경로(402)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비-한계 경로(401)는 상부 가이드 부품(42)의 아래 및 한계 블록(47)과 보조 블록(48)의 위에 형성된다. 한계 경로(402)는 하부 가이드 부품(43)의 위 및 한계 블록(47)과 보조 블록(48)의 아래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한 유닛(5)은 고정 유닛(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한 유닛(5)은 조정 케이싱(51), 조정 케이싱(51)과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핀 시트(53), 및 핀 시트(53)에 피봇하여 설치되는 핀 유닛(5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한 유닛(5)은 조정 케이싱(51)을 고정 유닛(1)의 대응하는 접속 부재(13)에 연결하는 2개의 설치 스크류(mounting screw)(52)와, 조정 케이싱(51)에 대하여 핀 시트(5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 케이싱(51)과 핀 시트(53)에 연결되는 조정 스크류(54)를 더 포함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핀 유닛(55)은, 핀 시트(53)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응하는 트랙 유닛(4)의 종방향 가이드 트랙(4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연장되는 스윙 가능 핀 유닛이다.
핀 시트(53)는 트랙 유닛(4)과 인접하고, 피봇공(pivot hole)(533)을 가지며, 핀 시트(53)로부터 핀 유닛(55)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유부(retainer part)(532)를 가지는 측벽(531)을 포함한다. 보유부(532)는 측벽(531)의 상부 및 하부 사이에서 굴곡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 스크류(54)는 조정 케이싱(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핀 시트(53)에 나사 구조로 연결된다. 그 결과, 조정 스크류(54)는, 조정 케이싱(51)에 대해 앞쪽 또는 뒤쪽으로 핀 시트(53)를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핀 유닛(55)은 플레이트부(551), 플레이트부(551)로부터 돌출하고 피봇공(533) 내로 피봇하여 삽입되는 접속 스핀들(connection spindle)(552), 측벽(531)의 보유부(532)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플레이트 부(551)의 하나의 측단(lateral end)으로부터 연장되는 한계부(554), 및 플레이트 부(551)의 다른 측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핀부(553)를 포함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유부(532)는 한계부(554)가 핀 시트(53)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제한한다. 핀부(553)는 가이드 트랙(40) 내에 스윙 가능하게 삽입되며, 가이드 트랙(4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도 2, 3, 8, 및 9를 참조하면, 이동 제한 장치의 제한 유닛(5)의 조정 스크류(54)는, 트랙 유닛(4)이 이동 유닛(2)의 좌측 및 우측 상에 대칭으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 및/또는 제한 유닛(5)이 고정 유닛(1)의 좌측 및 우측 상에 대칭으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제한 유닛(5)의 핀 유닛(55)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에 배치된 하나의 트랙 유닛(4)이 우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트랙 유닛(4)보다 더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있는 경우에, 좌측 및 우측의 핀 유닛(55)의 핀부(553)는, 핀 유닛(55)을 동기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각각의 가이드 트랙(40)의 제한 공간(471) 내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조정 케이싱(51)에 대해 핀 시트(53)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정 스크류(54)를 회전시킴으로써, 핀 유닛(55)의 핀부(553)는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대해 가이드 트랙(40) 내로 정확하게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2개의 이동 제한 장치는 동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 유닛(4)과 제한 유닛(5)은 위치에 있어서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트랙 유닛(4)은 고정 유닛(1)과 연결될 수 있고, 제한 유닛(5)은 이동 유닛(2)의 각각의 제2 슬라이딩 레일 부재(2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 3, 및 5를 참조하면, 실제 이용에서는, 이동 유닛(2)이 고정 유닛(1)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 트랙 유닛(4)은 제한 유닛(5)에 대해 이동된다. 도 5에서, 가이드 트랙(40)과 핀 유닛(55)의 핀부(553) 사이의 상대 이동의 루트(route)는 가상선(92)과 점선(94)을 이용하여 도시된다. 트랙 유닛(4)이, 개방 위치에 이동 유닛(2)을 위치시키기 위해 화살표(91)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되는 경우에,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은 비-한계 경로(401)에 의해 가이드되고, 가상선(92)에 의해 도시되는 루트에 따라 유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핀부(553)의 상대 이동은 단방향으로의 후진이다. 트랙 유닛(4)이, 이동 유닛(2)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화살표(93)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되는 경우에,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은 한계 경로(402)에 의해 가이드되고, 점선(94)에 의해 도시되는 루트에 따라 유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핀부(553)의 상대 이동은 단방향으로의 전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유닛(2)의 운반 부재(21)는 폐쇄 위치의 고정 유닛(1)의 캐비닛 본체(11) 내부에 완전하게 수용되고, 바이어싱 유닛(3)은 복원력을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힘이 적용되어 이동 유닛(2)을 눌러 폐쇄하는 경우, 핀부(553)의 상대 이동은, 핀부(553)가 한계 경로(402)를 벗어나 편향 블록(431)의 곡면(432)에 의해 터닝 영역(403) 내로 가이드될 때까지, 한계 경로(402)의 단방향으로만 이루어진다. 외부 힘이 이동 유닛(2)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이동 유닛(2)은 바이어싱 유닛(2)의 반대의 복원력을 받게 되고, 핀부(553)가 후크 오목부(451) 내로 편향되고, 후크 오목부(451)에 의해 정지되므로, 이에 따라 이동 유닛(2)이 폐쇄 위치에 위치된다. 운반 부재(21)가 개방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운반 부재(21)의 전면 플레이트(211)를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 꺼냄 부품(46)은 후크 오목부(451)로부터 핀부(553)를 눌러 꺼낸다. 전면 플레이트(211)가 해제되는 경우, 바이어싱 유닛(3)의 복원력은 고정 유닛(1)으로부터 이동 유닛(2)을 꺼내고, 핀부(553)의 상대 이동은 비-한계 경로(401)에 의해 가이드된다. 도 2 및 6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유닛(2)은, 이동 유닛(2)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91)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 및 5를 다시 참조하면, 운반 부재(21)가 폐쇄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유닛(2)을 누르기 위해 외부 힘을 적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 유닛(2)은 화살표(93)로 나타낸 방향(이하에서 제1 방향(93)으로 지칭함)에서 폐쇄 위치로 후진 이동한다. 전면 플레이트(211)가 푸시 막대(32)를 누르기 때문에, 탄성 부재(33)는 그 복원력을 저장한다. 동시에, 트랙 유닛(4)은 이동 유닛(2)과 함께 후진 이동하고,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은 한계 경로(402)에 의해 가이드된다.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33)의 복원력이 푸시 막대(32)를 눌러서 전면 플레이트(211)를 이동시키므로, 이동 유닛(2)은 탄성 부재(33)의 복원력 즉, 이동 유닛(2)과 트랙 유닛(4)을 제1 방향(93)과 반대인 화살표(91)에 의해 나타낸 방향(이하에서 제2 방향(91)으로 지칭함)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반대의 힘을 받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유닛(2)을 제1 방향(93)으로 이동시키는 외부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반대의 힘에 의해,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제2 방향(91)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부(553)는 하나의 한계 블록(47) 및 대응하는 하나의 보조 블록(48)의 제한 영역(371)으로 진입하여 맞물리며,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은 한계 경로(402)에서 중지된다. 그 결과, 이동 유닛(2)은 반-폐쇄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운반 부재(21)를 반-폐쇄 상태에서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이동시키고 싶다면, 전면 플레이트(211)가 다시 눌러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유닛(2)은 다시 외부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부(553)의 상대 이동은 핀부(553)가 제한 영역(471)으로부터 한계 경로(402)로 복귀하여, 이동 유닛(2)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점선(94)을 이용하여 나타낸 루트를 따라 단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운반 부재(21)를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반-폐쇄 상태로 이동시키고 싶다면, 전면 플레이트(211)는 사용자에 의해 당겨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 유닛(2)은 다시 탄성 부재(33)의 반대의 힘 또는 복원력을 받게 된다. 반대의 힘은 핀부(553)가, 인접하는 하나의 보조 블록(48)의 탄성부(481)를 눌러, 인접하는 회피갭(49)을 통해 밀어 넣고, 비-한계 경로(401)에 진입하여, 이동 유닛(2)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가상선(92)에 의해 나타난 루트를 따라 상대 이동을 하도록 한다.
도 10은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달리, 일부의 한계 블록(47)과 그 대응하는 보조 블록(48)이 그 제한 공간(471)의 수렴하는 끝단에서 서로 각각 연결되어서, 회피갭(49)(도 6 참조)이 형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기초벽(41)의 공동부(411)로부터 먼 쪽의 기초벽(41)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한계 블록(47)의 일부는, 각각의 보조 블록(48)을 가지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통합되어 각각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회피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도 11 및 12는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제한 장치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 유닛(4)의 가이드 트랙(40)은 전-후 방향에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상부 한계 유닛(upper limit unit)(A)과, 전-후 방향에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하부 한계 유닛(lower limit unit)(B)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부 한계 유닛 및 하부 한계 유닛(A, B)은 한계 블록(47)과 보조 블록(48)을 가진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상부 한계 유닛(A)의 한계 블록(47)은 비-한계 경로와 한계 경로(401, 402)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상부 한계 유닛(A)의 보조 블록(48)은 비-한계 경로와 한계 경로(401, 402) 사이에 배치되고, 한계 블록(47)과 근접하여 한계 블록(47)의 앞쪽에 위치된다. 각각의 하부 한계 유닛(B)의 한계 블록(47)은 한계 경로(402)의 아래에 배치된다. 각각의 하부 한계 유닛(B)의 보조 블록(48)은 한계 경로(402)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부 한계 유닛(B)의 한계 블록(47)과 근접하여 한계 블록(47)의 앞쪽에 위치된다.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계 경로(402)는 상이한 구성을 가지며, 가상선(94)을 이용하여 나타낸 상대 이동의 루트가 연속된 사다리꼴 톱니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고정 유닛(1)에 대한 반-폐쇄 상태의 이동 유닛(2)의 고정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각각의 상부 한계 유닛(A)은 상부 수용 오목부(upper receiving recess)(472)를 정의하고, 각각의 하부 한계 유닛(B)은 추가로 하부 수용 오목부(473)를 정의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유닛(2)의 폐쇄 동작 중에, 사용자로부터의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 핀부(553)가, 상부 수용 오목부(472)가 하부 수용 오목부(473)의 뒤쪽에 있을 때, 2개의 인접하는 상부 수용 오목부 및 하부 수용 오목부(472, 473) 사이의 위치에 있으면, 반대의 힘은 핀부(553)가 상부 수용 오목부(472)에 진입하도록 한다(도 12의 핀부(553)에 대한 실선 참조). 반면에, 핀부(553)가, 하부 수용 오목부(473)가 상부 수용 오목부(472)의 뒤쪽에 있을 때, 2개의 인접하는 상부 수용 오목부 및 하부 수용 오목부(472, 473) 사이의 위치에 있으면, 반대의 힘은 핀부(553)가 하부 수용 오목부(473)에 진입하도록 한다(도 12의 핀부(553)에 대한 점선 참조). 핀부(553)가 상부 수용 오목부 및 하부 수용 오목부(472, 473)에 진입하기 때문에, 이동 유닛(2)은 반-폐쇄 상태에 위치된다. 가상선(94)을 이용하여 나타낸 루트에 따른 상대적 단방향 이동을 계속하기 위해, 핀부(553)의 상대 이동을 한계 경로(402)로 시프트(shift)하도록, 이동 유닛(2)에 다시 외부 힘을 가함으로써 운반 부재(21)의 폐쇄 동작이 계속될 수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정 레일 부재(12)와 슬라이딩 레일 부재(22) 사이에 배치되고, 트랙 유닛(4)이 고정 레일 부재(12)의 후단부 상에 설치되며, 고정 레일 부재(12)의 전단부에 배치된 전면 맞물림 필러(front engaging pillar)(452)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제한 유닛(5)은 전후로 이동되도록 트랙 유닛(4)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 레일 부재(22)의 후단에 배치되며, 바이어싱 유닛(3)은 트랙 유닛(4)과 제한 유닛(5)의 사이에 배치된다. 실제, 제한 유닛(5)은 핀부(55)를 이동시키고 도 14에 도시된 연장 위치와 도 15에 도시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레일 부재(22)를 슬라이드 시키도록 구동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이동 유닛(2)의 슬라이딩 효과(도 2 참조) 및 슬라이딩 동작 중의 이동 유닛(2)의 순간적인 위치 설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가이드 트랙(40)의 설계의 장점에 의해,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이 한계 경로(402) 또는 비-한계 경로(401)에 의해 단방향 방식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동 유닛(2)의 폐쇄 동작 중에, 이동 유닛(2)을 폐쇄하는 외부 힘이 제거되면, 이동 유닛(2)은, 폐쇄 위치에 거의 도달한 경우에 바이어싱 유닛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순간적으로 중지될 수 있고, 순간적인 중지 이후에, 이동 제한 장치에 대한 손상을 야기함이 없이, 완전하게 폐쇄된 또는 개방된 위치로의 그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이동 제한 장치 사이에서 위치적으로 벗어나는 경우에도, 제한 유닛(5)의 핀유닛(55)이 각각의 트랙 유닛(4)에 대해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핀유닛(55)의 상대 이동이 각각의 가이드 트랙(4)과 동기화될 수 있고, 핀부(553)는 각각의 한계 경로(402) 내의 제한 공간(471) 내에 동기하여 위치될 수 있다.

Claims (9)

  1. 고정 유닛(1)과, 고정 유닛(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2)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이동 제한 장치로서,
    상기 고정 유닛(1)과 이동 유닛(2)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종방향 가이드 트랙(40), 전면 잠금 부품(45),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근접한 전면 꺼냄 부품(46), 및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 사이에 배치된 편향 블록(431)을 포함하는 트랙 유닛(4) - 상기 가이드 트랙(40)은 비-한계 경로(401), 한계 경로(402), 및 터닝 영역(403)을 가지고,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은 상기 비-한계 경로(401)와 상기 한계 경로(402)의 접점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은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과 근접한 후크 오목부(451)를 가지고, 상기 터닝 영역(403)은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상기 편향 블록(431) 사이에 배치됨 - ;
    상기 고정 유닛(1)과 이동 유닛(2)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조정 케이싱(51), 상기 조정 케이싱(51)과 연결되는 핀시트(53), 및 상기 핀시트(53)에 피봇하여(pivotally) 설치되고, 상기 트랙 유닛(4) 내에 스윙 가능하게(swingably) 삽입되는 핀부(553)를 가지는 핀유닛(55)을 포함하는 제한 유닛(5); 및
    상기 고정 유닛(1)과 이동 유닛(2)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33)를 가지는 바이어싱 유닛(3)
    을 포함하고,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은, 상기 이동 유닛(2)이 상기 고정 유닛(1)에 대해 이동하는 경우에, 상대 이동하고,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의 상대 이동은, 상기 이동 유닛(2)이 외부 힘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한계 경로(402)에 의해 단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이동 유닛(2)이 상기 바이어싱 유닛(3)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단방향 이동되도록 강제되는 경우에, 상기 비-한계 경로(401)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이 상기 한계 경로(402)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는, 상기 이동 유닛(2)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부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어싱 유닛(3)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의 방향이 반대로 된 직후에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트랙(40)과 맞물릴 수 있고(engageable),
    상기 이동 유닛(2)이 다시 외부 힘을 받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은, 상기 핀부(553)가 상기 한계 경로(402)를 벗어나 상기 편향 블록(431)에 의해 터닝 영역(turning region)(403) 내로 가이드될 때까지, 상기 한계 경로(402) 내에서 계속되고,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 유닛(2)은 상기 바이어싱 유닛(3)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을 받고, 상기 핀부(553)는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의 상기 후크 오목부(451) 내에 맞물리며,
    상기 이동 유닛(2)이 외부 힘을 다시 받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는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에 의해 상기 후크 오목부(451)로부터 상기 비-한계 경로(402)로 꺼내지고,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는 상기 비-한계 경로(401)에 진입하며,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 사이의 상대 이동이 상기 바이어싱 유닛(3)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단방향으로 유도되는,
    이동 제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40)은, 상기 핀부(553)와 맞물려서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한계 경로(402)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제한 공간(471)을 포함하는, 이동 제한 장치.
  3. 고정 유닛(1)과, 고정 유닛(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2)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이동 제한 장치로서,
    조정 케이싱(51), 상기 조정 케이싱(51)과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핀시트(53), 및 상기 핀시트(53)에 피봇하여 설치되는 핀유닛(55)을 포함하는 제한 유닛(5)을 포함하는, 이동 제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장치(5)는, 상기 조정 케이싱(51)에 회전 가능하게(rotatably) 연결되는 조정 스크류(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시트(53)는 상기 조정 스크류(54)에 나사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조정 스크류(54)는 상기 조정 케이싱(51)에 대해 상기 핀시트(53)를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한, 이동 제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시트(53)는 피봇공(533)을 가지는 측벽(531)을 포함하고,
    상기 핀유닛(55)은 플레이트부(551), 상기 플레이트부(551)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피봇공(533) 내로 피봇하여 삽입되는 접속 스핀들(552), 상기 핀시트(53)의 측벽(531)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상기 플레이트부(551)의 하나의 측단(lateral end)으로부터 연장되는 한계부(554), 및 상기 플레이트 부(551)의 다른 측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핀부(553)를 더 포함하는, 이동 제한 장치.
  6. 고정 유닛(1)과, 고정 유닛(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2)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이동 제한 장치로서,
    비-한계 경로(401)와 한계 경로(402)를 가지는 종방향 가이드 트랙(40) - 상기 비-한계 경로(401)와 한계 경로(402)는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종방향으로 연장됨 -, 상기 비-한계 경로(401)와 한계 경로(402)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한계 블록(47),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한계 블록(47)과 근접하여 상기 비-한계 경로(401)와 한계 경로(402)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블록(48) - 상기 하나 이상의 한계 블록(47)과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블록(48)은 서로 수렴하고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제한 공간(471)을 정의함 - 을 포함하는 트랙 유닛(4); 및
    상기 트랙 유닛(4) 내에 스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부(553)를 가지는 스윙 가능한 핀유닛(55)을 포함하는 제한 유닛(5)
    을 포함하고,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은, 상기 이동 유닛(2)이 상기 고정 유닛(1)에 대해 이동하는 경우에, 상대 이동하고,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의 상대 이동은, 상기 이동 유닛(2)이 외부 힘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한계 경로(402)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이동 유닛(2)이 반대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비-한계 경로(401)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이 상기 한계 경로(402)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는, 상기 이동 유닛(2)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부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반대의 힘에 의해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의 방향이 반대로 되기 시작한 직후에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상기 제한 공간(471)과 맞물릴 수 있는,
    이동 제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한계 블록(47)과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블록(48)은 서로 연결되는, 이동 제한 장치.
  8. 고정 레일 부재(12)와 슬라이딩 레일 부재(22) 상에 설치되는 이동 제한 장치로서,
    종방향 가이드 트랙(40), 전면 잠금 부품(45),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근접한 전면 꺼냄 부품(46), 및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 사이에 배치된 편향 블록(431)을 포함하는 트랙 유닛(4) - 상기 가이드 트랙(40)은 비-한계 경로(401), 한계 경로(402), 및 터닝 영역(403)을 가지고,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은 상기 비-한계 경로(401)와 상기 한계 경로(402)의 접점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은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과 근접한 후크 오목부(451)를 가지고, 상기 터닝 영역(403)은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과 상기 편향 블록(431) 사이에 배치됨 - ;
    상기 트랙 유닛(4)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핀시트(53), 및 상기 핀시트(53)에 피봇하여 설치되어 상기 트랙 유닛(4) 내에 스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부(553)를 가지는 핀유닛(55)을 포함하는 제한 유닛(5); 및
    상기 고정 레일 부재(12)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33)를 가지는 바이어싱 유닛(3)
    을 포함하고,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가 상기 고정 레일 부재(12)에 대해 이동하는 경우에, 상대 이동하고,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의 상대 이동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가 외부 힘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한계 경로(402)에 의해 단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가 상기 탄성 부재(33)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단방향 이동되도록 강제되는 경우에, 상기 비-한계 경로(401)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이 상기 한계 경로(402)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부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어싱 유닛(3)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의 방향이 반대로 된 직후에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트랙(40)과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가 다시 외부 힘을 받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와 가이드 트랙(40)의 상대 이동은, 상기 핀부(553)가 상기 한계 경로(402)를 벗어나 상기 편향 블록(431)에 의해 터닝 영역(turning region)(403) 내로 가이드될 때까지, 상기 한계 경로(402) 내에서 계속되고,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는 상기 바이어싱 유닛(3)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을 받고, 상기 핀부(553)는 상기 전면 잠금 부품(45)의 상기 후크 오목부(451) 내에 맞물리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 부재(22)가 외부 힘을 다시 받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는 상기 전면 꺼냄 부품(46)에 의해 상기 후크 오목부(451)로부터 상기 비-한계 경로(402)로 꺼내지고,
    외부 힘이 다시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핀부(553)는 상기 비-한계 경로(401)에 진입하며,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 사이의 상대 이동이 상기 바이어싱 유닛(3)의 반대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단방향으로 유도되는,
    이동 제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40)은 상기 핀부(553)와 맞물려서 상기 핀부(553)와 상기 가이드 트랙(4)의 상대 이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상기 한계 경로(402)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제한 공간(471)을 포함하는, 이동 제한 장치.
KR1020140063707A 2013-05-28 2014-05-27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 KR101978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118770 2013-05-28
TW102118770 2013-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979A true KR20140139979A (ko) 2014-12-08
KR101978260B1 KR101978260B1 (ko) 2019-05-14

Family

ID=5057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707A KR101978260B1 (ko) 2013-05-28 2014-05-27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22294B2 (ko)
EP (1) EP2807951A3 (ko)
JP (1) JP2014230787A (ko)
KR (1) KR101978260B1 (ko)
CN (3) CN203576000U (ko)
BR (1) BR102014012782A2 (ko)
TW (1) TWI6096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509B1 (de) * 2012-07-10 2013-09-15 Blum Gmbh Julius Ausstoß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TWI609654B (zh) * 2013-05-28 2018-01-01 限制裝置
TWI601499B (zh) 2015-09-25 2017-10-11 Side lock slide automatic opening device
TWI538638B (zh) * 2015-11-12 2016-06-2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傢俱組件的驅動機構及方法
EP3388840B1 (en) * 2017-04-10 2020-02-12 Roche Diagnostics GmbH Drawer assembly for a laboratory instrument
US10919631B2 (en) * 2018-10-29 2021-02-16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multiple doors and multiple zones
US11034452B2 (en) * 2018-10-29 2021-06-15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staggered seating arrangement
US10661879B2 (en) * 2018-10-29 2020-05-26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selective cargo area acce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911A (ja) * 2000-03-29 2003-09-24 ジロフレックス エントヴィックルンクス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椅子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US20040000852A1 (en) * 2002-05-20 2004-01-01 Lian Lam Harn Front panel mounting device for a drawer
JP3160748U (ja) * 2010-03-29 2010-07-08 川湖科技股▲分▼有限公司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に用いる開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4446C1 (en) * 1985-12-16 1987-01-08 Bosch Siemens Hausgeraete Cooling device, in particular domestic refrigerator
AT395095B (de) 1989-05-10 1992-09-10 Blum Gmbh Julius Schliessvorrichtung fuer schubladen
JP3160748B2 (ja) * 1995-05-10 2001-04-25 東急建設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よりなるプレキャスト構造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体の構築方法
US6116485A (en) * 1997-08-28 2000-09-12 Watkins; D. Scott Camera mount
TWM293638U (en) * 2005-12-28 2006-07-01 Inventec Corp Supporting frame for sliding track
US7758134B2 (en) * 2007-08-28 2010-07-20 Nan Juen International Co., Ltd. Drawer fixing apparatus
US8434836B2 (en) * 2007-08-30 2013-05-07 Waterloo Industries, Inc. Slide assembly
DE202009001516U1 (de) * 2009-01-19 2010-06-24 Paul Hettich Gmbh & Co. Kg Rastbeschlag und Auszugsführung
TWM365677U (en) * 2009-04-30 2009-10-01 Nan Juen Int Co Ltd Press sliding rail opening/closing structure
US8256853B2 (en) * 2010-03-29 2012-09-04 King Slide Works Co., Ltd. Open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TWI432156B (zh) 2011-04-27 2014-04-01 King Slide Works Co Ltd 關閉裝置的抵接構造
AT511329B1 (de) * 2011-05-03 2012-11-15 Blum Gmbh Julius Verriegelbare ausstossvorrichtung mit überlastmechanismus
EP2766680B1 (en) * 2011-09-21 2021-05-12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shelf the height of which can be adjusted
TWM440035U (en) * 2011-12-13 2012-11-01 Nan Juen Int Co Ltd Improved automatic homing rail structure
TWI609654B (zh) * 2013-05-28 2018-01-01 限制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911A (ja) * 2000-03-29 2003-09-24 ジロフレックス エントヴィックルンクス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椅子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US20040000852A1 (en) * 2002-05-20 2004-01-01 Lian Lam Harn Front panel mounting device for a drawer
JP3160748U (ja) * 2010-03-29 2010-07-08 川湖科技股▲分▼有限公司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に用いる開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30787A (ja) 2014-12-11
US20140352109A1 (en) 2014-12-04
TWI609654B (zh) 2018-01-01
EP2807951A3 (en) 2015-01-07
CN104207507B (zh) 2018-05-08
US9222294B2 (en) 2015-12-29
CN104172759A (zh) 2014-12-03
KR101978260B1 (ko) 2019-05-14
BR102014012782A2 (pt) 2015-05-12
EP2807951A2 (en) 2014-12-03
TW201444498A (zh) 2014-12-01
CN104207507A (zh) 2014-12-17
CN203576000U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260B1 (ko)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제한 장치
JP716872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US9877582B2 (en) Centering-rotary positioning automatic closing device
US10342341B2 (en) Slide rail assembly
JP5373071B2 (ja) 引き戸
US20110235952A1 (en) Open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EP3225132B1 (en) Driving mechanism and driving method for furniture parts
US10617208B2 (en) Slide rail assembly
US10398228B2 (en) Slide rail assembly
JP2017086859A (ja) 駆動機構
KR20170102924A (ko) 차량 루프용 커버를 구비하는 장치
KR200426959Y1 (ko) 의자 좌판의 길이 조절구조
TW201929731A (zh) 滑軌總成
JP2007107301A (ja) 引戸などのガイド装置
JP5701906B2 (ja) 引出し引込み構造
JP6403023B2 (ja) エレベータ
JP5650450B2 (ja) 引戸の跳ね上げ抑制装置
US10251486B2 (en) Headrest moving device
JP3925887B2 (ja) 抽斗の閉止装置
EP2371241B1 (en) Slide assembly with an opening device
KR20090003948U (ko) 가구용 레일 댐핑장치
JP2016519610A (ja) 案内装置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2007277824A (ja) 緩衝装置
CN110273920B (zh) 滑轨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