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196A -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196A
KR20140139196A KR1020130059502A KR20130059502A KR20140139196A KR 20140139196 A KR20140139196 A KR 20140139196A KR 1020130059502 A KR1020130059502 A KR 1020130059502A KR 20130059502 A KR20130059502 A KR 20130059502A KR 20140139196 A KR20140139196 A KR 20140139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eight
parts
red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옥
윤보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59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9196A/ko
Publication of KR2014013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1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드향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레드향 고유의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개선되어, 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상기의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레드향의 주요 향취성분에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레드향 고유의 향취와 유사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Description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citrus hybrid kanpe}
본 발명은 레드향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레드향 고유의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개선되어, 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레드향(Citrus hybrid kanpe)은 진한 주황색의 감귤류로 제주 한라봉과 일본의 서지향을 교배한 신품종 만감(晩柑)류이다. 일본에서 처음 육성된 품종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레드향은 J-레드향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제주(Jeju)를 뜻하는 J와 과실의 색이 다른 감귤류보다 붉은색이 강한 것에서 연유한 레드(Red)를 접목한 이름이며 '향'은 '향기가 좋은 감귤'이라는 의미이다. 일본에서는 감평(甘平)이라고 불리며 최근에는 충주에서도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충주에서 생산되는 품종은 탄금향이라고 불리운다.
레드향은 껍질이 손으로 벗길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얇으며 과즙이 풍부하고 당도가 13브릭스로 한라봉이나 천혜향보다 단맛이 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레드향은 고유의 향취를 갖고 있지만 다른 감귤류에 비해 아직 대중들의 인지도가 미흡한 관계로 레드향의 향기를 그대로 재현하여 차별화되고 새로운 특징을 갖는 향기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레드향 고유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드향의 향취 성분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세정제, 방향제 및 세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레드향의 주요 향취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여, 레드향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으나, 상기 분석된 성분을 상기 분석된 함량으로 인공적으로 혼합하여도 고유의 향취와 유사한 향취를 얻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레드향 고유 향취를 매우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레드향의 주요 향취성분이 리모넨(Limonene) 61.69%, 테르피놀렌(Terpinolene) 9.31%, 미르센(Myrcene) 5.06%, 알파-피넨(α-pinene) 3.87%, 감마-터피넨(γ-terpinene) 2.81%, 리날룰 (Linalool) 2.73%, 파라-시멘(Para-cymene) 2.38%, 발렌센(Valencene) 2.22%, 베타-피넨(β-pinene) 1.49% 및 데칸알(Decanal)은 1.20%, 기타 7.24%임을 확인하였다(표 1). 또한, 관능 검사를 통해 상기의 레드향 향기의 주요 성분에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Ethyl 2-methylbutyrate), 펠란드렌(Phellandrene) 및 오시멘(Ocim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할 시, 레드향 고유의 향취와 높은 유사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표 5), 만족도 또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이에, 본 발명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레드향의 주요 향취성분에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레드향 고유의 향취를 재현하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모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알파-피넨, 감마-터피넨 및 리날룰을 포함하고,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파라-시멘, 발렌센, 베타-피넨 및 데칸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모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알파-피넨, 감마-터피넨, 리날룰, 파라-시멘, 발렌센, 베타-피넨 및 데칸알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레드향의 향취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체상 미세 추출법/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 GC-MS))을 사용하여, 레드향의 향취 성분 및 함량 분석을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체상 미세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은 추가적인 전처리 기술이나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fiber에 흡착시켜 농축단계로 유도할 수 있는 전처리법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향기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용매를 사용한 추출법(extraction),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법(distillation) 등이 사용되나, 상기의 방법들은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 가열, 감압 등에 의한 향기 성분의 소실, 변화 등을 초래하여 원 물질이 가지는 향기 특징과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과 SPME (Solid-Phase Micro Extraction)법 등이 개발되었다. 이 두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용매 및 추가적인 전처리가 필요 없어, 시료가 가지는 본래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 GC-MS)는 휘발성 물질의 함량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분석장치로서, 상기 SPME를 통해 주입된 시료 내의 여러 가지 화합물을 분리하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와 상기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유입되는 물질의 원자질량을 측정함으로써, 함량 분석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은 달콤한 과일향과 신선하고 상쾌한 그린 계열의 향기가 어우러진 향료성분으로서, 천연 상태의 레드향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레드향의 주요 향취성분에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 레드향의 특징적인 고유 향취와 유사한 향기를 낸다. 본 발명에서, 특히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의 사용 유무 및 함량은 레드향 고유의 향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리모넨 60.0 내지 85.0 중량부, 테르피놀렌 6.0 내지 13.5 중량부, 미르센 2.0 내지 7.0 중량부, 알파-피넨 0.5 내지 4.5 중량부, 감마-터피넨 0.2 내지 3.8 중량부 및 리날룰 1.5 내지 8.5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은 각각 0.1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0.10 내지 5.50 중량부, 0.10 내지 2.70 중량부, 0.20 내지 4.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파라-시멘, 발렌센, 베타-피넨 및 데칸알은 각각 0.1 내지 3.5 중량부, 0.1 내지 2.5 중량부, 0.3 내지 2.5 중량부 및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은 이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종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은 0.1 중량부 미만일 포함할 경우에는 향취 유사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8.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칠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함량을 상기와 같이 제한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성물의 목적, 제품화되는 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알파-피넨, 감마-터피넨, 리날룰, 파라-시멘, 발렌센, 베타-피넨, 데칸알,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및 오시멘은 시판품을 사용하거나, 식물로부터 분리, 반합성 또는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식물은 레드향, 오렌지, 레몬, 만다린 및 베르가못 일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은 그 범위를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드향의 향취 성분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세정제, 방향제 및 세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제형 및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로 들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농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드향 향취를 재현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관능평가를 통해, 높은 유사도의 레드향 향취의 재현 및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SPME 법을 이용한 레드향의 향취 성분 분석
제주산 레드향 과육과 과피를 혼합ㆍ분쇄하여 3-5g을 용기에 담고 SPME 전용 교반기에 시료가 든 용기에 꽂는다. 70℃에서 SPME 전용 시린지(syringe)를 꽂아놓고 60분간 향 성분을 포집한다. 향기가 포집된 시린지(syringe)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분석 장치에 연결하여 포집된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조건>
분석기기: Agilent 6890 NGC/5975 MSD
검출기: MSD
컬럼: DB-WAX 60m ×250μ×0.25㎛     
주입부 온도: 230℃
검출부 온도: 230℃
오븐온도: 50℃(5분) ~ 230℃(20분), 3.0℃/분     
Split Ratio: 20: 1
이동상기체: He
주입량: 0.5㎕
레드향 향취 성분 분석 결과
향료명 중량(%)
리모넨 61.69
테르피놀렌 9.31
미르센 5.06
알파- 피넨 3.87
감마- 터피넨 2.81
리날룰 2.73
파라- 시멘 2.38
발렌센 2.22
베타- 피넨 1.49
데칸알 1.20
기타 7.24
총 함량 100.00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레드향의 주요 향기성분은 리모넨 61.69%, 테르피놀렌 9.31%, 미르센 5.06%, 알파-피넨 3.87%, 감마-터피넨 2.81%, 리날룰 2.73%, 파라-시멘 2.38%, 발렌센 2.22%, 베타-피넨 1.49% 및 데칸알은 1.20%이며, 이는 전체 향기성분의 약 92.76%를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하기의 표 2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예 1과 제조예 1 내지 5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레드향 재현 향기 조성표
향료명 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리모넨 61.69 63.50 65.80 70.0 73.0 73.1
테르피놀렌 9.31 8.3 8.50 8.50 7.00 6.12
미르센 5.06 5.06 2.90 2.81 2.80 2.40
알파- 피넨 3.87 3.60 2.50 2.5 2.45 0.83
감마- 터피넨 2.81 2.81 2.10 0.4 0.4 0.43
리날룰 2.73 2.60 6.49 2.53 2.87 7.27
파라- 시멘 2.38 2.10 1.45 2.30 0.8 0.19
발렌센 2.22 1.87 1.50 2.22 1.5 0.14
베타- 피넨 1.49 1.0 0.80 1.30 1.3 1.45
데칸알 1.20 1.20 0.63 0.40 1.15 2.89
에틸-2- 메틸 부틸레이트 - - - 3.50 1.50 0.20
펠란드렌 - 0.65 0.3 0.40 -
오시멘 - - 2.30 0.69 2.30 2.44
DPG( Dipropylene Glycol ) 7.24 7.96 4.38 2.55 2.53 2.54
총 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위 : %
실험예 2. 관능평가
레드향의 향기는 달콤한 과일향과 신선하고 상쾌한 그린 계열의 향기가 어우러진 특징적인 고유의 향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오시멘 등을 추가로 적용하고 리모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알파-피넨, 리날룰 등 주성분을 조정하여 레드향의 재현 향기를 새로이 조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표 2의 성분들의 조합으로 향료를 만들어 레드향 향기의 유사성과 선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 대상자는 27~50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남녀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4.5세이고 남자 3명, 여자 22명이었다. 유사성에 대한 평가는 5점 평점법으로 평가(표 3 참조)하였고 만족도는 5점 평점법(표 4 참조)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유사성에 대한 평가
점수 유사도
1 매우 다르다
2 조금 다르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비슷하다
5 매우 비슷하다
만족도에 대한 평가
점수 만족도
1 매우 좋지 않다
2 조금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결과 - 유사성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1 37 2 2 2 5 4 3
2 38 2 2 2 4 4 4
3 28 1 2 1 4 4 4
4 39 1 1 2 5 3 3
5 36 1 2 2 5 5 3
6 38 1 1 2 4 5 5
7 36 2 1 2 4 4 4
8 37 2 1 2 4 4 4
9 29 3 2 1 4 4 4
10 33 1 1 1 5 3 4
11 33 2 1 4 4 4 5
12 34 2 2 2 4 3 3
13 33 1 1 2 5 3 4
14 36 2 2 3 4 3 3
15 27 2 3 3 4 4 4
16 38 1 2 2 4 5 3
17 31 2 3 2 4 4 4
18 50 1 1 2 3 4 4
19 32 1 2 1 3 4 4
20 44 1 2 3 4 3 4
21 27 1 1 2 5 4 2
22 27 1 2 1 4 5 3
23 32 1 1 2 4 5 3
24 39 2 1 3 4 3 4
25 29 1 1 2 4 4 3
평균 34.5 1.48 1.60 2.04 4.16 3.92 3.64
평가 결과,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1은 상기 실험예 1에서 분석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레드향의 향취 주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서, 매우 낮은 유사도를 나타냈고, 제조예 1은 비교예 1과 구성 성분은 동일하나, 함량을 조절한 것으로서, 향취의 유사도는 소폭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또는 오시멘을 추가하였을 때 유사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특히,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의 사용 유무와 함량에 따라서 유사도가 달라지며, 상기 3종의 향료를 혼용한 것이 더 유사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결과 - 만족도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1 37 2 2 4 5 4 5
2 38 2 3 2 4 5 3
3 28 1 3 3 5 5 4
4 39 2 2 3 4 3 3
5 36 2 2 4 4 4 3
6 38 1 2 2 4 4 3
7 36 1 1 2 5 4 5
8 37 1 1 4 3 5 4
9 29 2 2 3 5 4 3
10 33 3 3 3 4 3 3
11 33 1 1 3 4 4 4
12 34 2 2 3 4 3 3
13 33 2 2 3 5 4 4
14 36 1 2 2 5 3 4
15 27 4 2 4 3 3 3
16 38 2 3 4 3 4 4
17 31 5 2 2 4 4 3
18 50 1 3 4 4 5 4
19 32 2 2 3 3 3 3
20 44 2 2 3 4 4 4
21 27 1 2 2 4 4 3
22 27 3 2 2 4 4 3
23 32 1 2 2 4 5 3
24 39 2 1 3 4 4 4
25 29 1 1 4 4 4 5
평균 34.5 1.88 2.0 2.96 4.08 3.96 3.60
평가 결과, 상기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1은 상기 실험예 1에서 분석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레드향의 향취 주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서,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제조예 1은 비교예 1과 구성 성분은 동일하나, 함량을 조절한 것으로서, 제조예 1 또한 만족도가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 펠란드렌 또는 오시멘을 추가하였을 때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특히,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의 사용 유무와 함량에 따라서 만족도가 달라지며, 상기 3종의 향료를 혼용한 것이 더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리모넨(Limon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미르센(Myrcene), 알파-피넨(α-pinene), 감마-터피넨(γ-terpinene) 및 리날룰(Linalool)을 함유하고,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Ethyl 2-methylbutyrate), 펠란드렌(Phellandrene) 및 오시멘(Ocim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레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파라-시멘(Para-cymene), 발렌센(Valencene), 베타-피넨(β-pinene) 및 데칸알(Decan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레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Ethyl 2-methylbutyrate)는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레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리모넨(Limonene) 60.0 내지85.0 중량부, 테르피놀렌(Terpinolene) 6.0 내지 13.5 중량부, 미르센(Myrcene) 2.0 내지7.0 중량부, 알파-피넨(α-pinene) 0.5 내지4.5 중량부, 감마-터피넨(γ-terpinene) 0.2 내지3.8 중량부 및 리날룰 (Linalool) 1.5 내지8.5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에틸 2-메틸부틸레이트(Ethyl 2-methylbutyrate), 펠란드렌(Phellandrene) 및 오시멘(Ocimene)은 각각 0.10 내지5.50 중량부, 0.10 내지2.70 중량부, 0.20 내지 4.50 중량부로 포함되는 레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파라-시멘(Para-cymene), 발렌센(Valencene), 베타-피넨(β-pinene) 및 데칸알(Decanal)은 각각 0.1 내지 3.5중량부, 0.1 내지 2.5 중량부, 0.3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레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8.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9.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
KR1020130059502A 2013-05-27 2013-05-27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40139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02A KR20140139196A (ko) 2013-05-27 2013-05-27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02A KR20140139196A (ko) 2013-05-27 2013-05-27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196A true KR20140139196A (ko) 2014-12-05

Family

ID=5245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502A KR20140139196A (ko) 2013-05-27 2013-05-27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91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068A (ko) * 2016-09-21 2018-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9021210A1 (en) * 2017-07-26 2019-01-31 Consej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Y Tecnicas (Conicet) FORMULATION TO PROMOTE THE TARGETED POLLINATION OF PEARRY CULTIVATION IN MELLIFEROUS BE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068A (ko) * 2016-09-21 2018-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77624B1 (ko) * 2016-09-21 2018-07-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9021210A1 (en) * 2017-07-26 2019-01-31 Consej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Y Tecnicas (Conicet) FORMULATION TO PROMOTE THE TARGETED POLLINATION OF PEARRY CULTIVATION IN MELLIFEROUS BEES
CN111132548A (zh) * 2017-07-26 2020-05-08 国家科学与技术研究理事会(Conicet) 促进蜜蜂对梨树作物靶向授粉的制剂
CN111132548B (zh) * 2017-07-26 2022-05-10 国家科学与技术研究理事会(Conicet) 促进蜜蜂对梨树作物靶向授粉的制剂
US11690376B2 (en) 2017-07-26 2023-07-04 Consej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Y Técnicas (Conicet) Formulation for promoting targeted pollination of pear tree crops in honey be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ão et al. Odor potency, aroma profile and volatiles composition of cold pressed oil from industrial passion fruit residues
Kang et al. Characterization of aroma compounds in Chinese bayberry (Myrica rubra Sieb. et Zucc.)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and olfactometry (GC‐O)
Rigling et al. Aroma investigation of Chios mastic gum (Pistacia lentiscus variety chia) using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combined with olfactory detection and chiral analysis
US20180030375A1 (en) Fragrance composition reproducing the aroma of citrus flowers
Lubinska-Szczygeł et al. A novel analytical approach in the assessment of unprocessed Kaffir lime peel and pulp as potential raw materials for cosmetic applications
Hu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volatiles and active components in ethanol extracts of fruits of Litsea cubeba (Lour.)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KR20140139196A (ko) 레드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58099B1 (ko)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1614066B1 (ko) 황금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Tran et al. Volatile compounds of grapefruit (Citrus Grandis (L.) Osbeck) peel essential oil by cold pressing and hydrodistillation methods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67447B1 (ko) 한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10347B1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Sanchez et al. Sensory and analytical evaluation of hop oil oxygenated fractions
KR101924929B1 (ko) 단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04269B1 (ko) 심비디움 아로마핑크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13071B1 (ko)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2854B1 (ko)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0629711B1 (ko) 고려인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