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071B1 -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071B1
KR101213071B1 KR1020110059953A KR20110059953A KR101213071B1 KR 101213071 B1 KR101213071 B1 KR 101213071B1 KR 1020110059953 A KR1020110059953 A KR 1020110059953A KR 20110059953 A KR20110059953 A KR 20110059953A KR 101213071 B1 KR101213071 B1 KR 101213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eight
oil
composition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후덕
김민기
김병현
강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5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악산의 오염되지 않은 산림욕 향기 성분인 알파-핀넨(α-pinene), 베타-핀넨(β-pinene)을 비롯하여, 캄펜(Camphene), 파라-시멘(p-Cymene), 1,8-시네올(1,8-Cineol), 트란스-2-헥세날(trans-2-Hexenal),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아세토페논(Acetophenone)과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및 시더리프 오일(Cedarleaf oil) 등 천연 정유(Essential oil)와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Iso bornyl acetat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릴리알(Lili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설악산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설악산 고유의 산림욕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개선되어, 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representing the fragrance of coniferous forests}
본 발명은 설악산의 고유 산림욕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설악산 산림욕 고유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개선되어, 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악산의 인적이 드문 침엽수림의 독특하고 자연스러운 산림욕 향기를 재현하면서 산림욕을 하는 것과 같은 편안한 기호감을 줄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림욕의 독특한 향기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피톤치드 즉, 침엽수에서 분비되는 터르펜계(Terpens), 세스퀴 터르펜계(Sesquiterpens) 의 화학성분이 공기에 함유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인간의 호흡기내에서 흡착되거나 휘산되어 청량감이나 시원함을 느끼게 한다. 산림욕의 긍정적인 효과는 정신을 맑게 하고,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시중에 기존의 산림욕 향으로 판매되는 제품들은 상기 화학성분들이나 침엽수에서 인위적으로 추출한 정유성분을 단순 혼합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대부분 실제 산림욕장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운 향기와는 매우 다른 냄새를 갖고 있는 실정이다.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향기 성분을 분석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먼저 공기 중에 떠도는 향기 성분을 포집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향기 포집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dynamic headspace)법을 사용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은 에어펌프(Air pump)에 향기를 흡착할 수 있는 수지를 부착한 포집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공기를 수지를 통해 순환시키고 이 수지에 흡착된 성분들의 분석을 통해 공기 중에 미량으로 함유된 향기 성분들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을 통해 설악산 침엽수림의 공기 중 향기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악산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 상태 그대로 설악산 숲 속에서 느껴지는 산림욕 향기를 재현하여 기존의 단순한 피톤치드 성분 혼합물과 차별화되고, 고유의 특징을 갖는 설악산 산림욕의 향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완성된 설악산 산림욕의 재현향기 조성물은 방향제품을 비롯하여 인체세정제, 피부외용제, 주거세탁세제 등 다양한 제품에 구성성분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감성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설악산의 자연 그대로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하는 도구로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dynamic headspace)법을 사용하였다.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피톤치드의 주성분인 알파-핀넨(α-pinene), 베타-핀넨(β-pinene)을 비롯하여, 캄펜(Camphene), 파라-시멘(p-Cymene), 1,8-시네올(1,8-Cineol), 트란스-2-헥세날(trans-2-Hexenal),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아세토페논 (Acetophenone)등 다양한 미량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분석된 성분을 분석된 함량으로 혼합하여도 고유의 향취와 유사한 향취를 얻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천연 상태의 설악산 산림욕 향기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설악산 산림욕의 고유 향취를 거의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림욕 향기의 분석된 성분인 알파 -핀넨, 베타-핀넨, 벤즈알데히드, 아세토페논, 트란스-2-헥세날, 켐펜, 1,8-시네올, 파라-시멘 등을 함유하고,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및 시더리프 오일(Cedarleaf oil) 등 천연 정유(Essential oil)와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Iso bornyl acetat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릴리알(Lilia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악산의 산림욕 향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및 시더리프 오일(Cedarleaf oil)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천연 정유(Essential oil)와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Iso bornyl acetat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릴리알(Lilial)에서 선택되는 단일향료 1종 이상을 조성물 전체중량의 0.5 내지 4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악산의 침엽수림 향기 조성물은 100중량%에 대해 알파-핀넨을 5.0 ~ 40.0중량%, 베타-핀넨을 5.0 ~ 40.0중량%, 벤즈알데히드를 1.0 ~ 30.0중량%, 아세토페논을 1.0 ~ 30.0중량%, 트란스-2-헥세날을 0.1 ~ 10.0중량%, 캄펜을 0.1 ~ 10.0중량%, 1,8-시네올을 0.1 ~ 10.0중량%, 파라-시멘을 0.1 ~ 5.0중량% 범위로 함유하고 있으며, 라벤더 오일을 0.1 ~ 15중량%, 유칼립투스 오일을 0.1 ~ 15중량%, 시더리프 오일을 0.1 ~ 15중량% 함유하고,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를 0.1 ~ 15중량%, 갈락소라이드를 0.1 ~ 15중량%, 릴리알을 0.1 ~ 15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범위로 혼합된 설악산 침엽수림의 향기 조성물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통상적인 생활용품, 화장품 등에 적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향제, 향수 등 방향제품, 샴푸,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등의 인체세정제, 주방세제 및 세탁세제류, 로션, 크림 등 피부 외용연고,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바디 화장품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고; 바디 화장품으로는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악산 산림욕 향취를 재현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관능 평가를 통해 향취의 유사도 및 만족도의 개선을 확인하였으며 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설악산 침엽수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dynamic headspace)법을 사용하였다.
미니 펌프와 Tenax 컬럼을 사용한 포집 장치를 숲 속에 설치 후 8시간 이상 작동시켜 향기 성분에 대한 포집을 진행하였다.
향기가 포집된 Tenax 컬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장치에 연결하여 포집된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설악산 침엽수림의 향기를 성분비 대로 조합하고, 추가성분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 조건]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을 이용한 설악산 침엽수림의 향기 분석
분석기기: HP6890 + HP5973
검출기: FID
컬럼: PEG-20M (0.25mm i.d. x 60mL.)     
주입부 온도: 250℃
검출부 온도: 250℃
오븐온도: 40℃(8분 hold) ? 230℃, (3.0℃/분)     
이동상 기체: 헬륨     
주입량: 1.7ml/min
Figure 112011046947365-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설악산 침엽수림의 주요 향기 성분은 알파-핀넨, 베타-핀넨, 벤즈알데히드, 아세토페논 등이며 전체 향기성분의 약 93.65%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설악산 산림욕 향취 성분 및 재현 향료에 대한 묘사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석한 설악산 산림욕 향취성분(표 1 참조)과 하기 표 2의 조합으로 구성된 재현 향료(표 2 참조)에 대해 하기와 같은 공정으로 묘사분석을 수행하였다.
관능평가 대상자는 향료업계에 종사하는 전문 조향사 5명을 선정하였으며, 설악산 산림욕 향기와 그 재현 향료에 대해 각각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Figure 112011046947365-pat00002
분석 결과, 상기 표 2에 의해 조합된 향료와 설악산 산림욕 향기 성분(표 1)의 유사성이 낮으며 향의 만족도는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헤드스페이스 분석 결과 만으로 설악산 산림욕의 향기를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헤드스페이스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향기 성분을 추가하여 설악산 산림욕 향기를 재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관능평가
설악산 산림욕의 향기는 신선한 나뭇잎과 물기를 머금은 나무 줄기의 향기가 어우러진 향으로 기존의 나무 향기와는 다른 새로운 특징의 향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시더리프 오일,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갈락소라이드, 릴리알 등을 새로이 조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3의 성분들의 조합으로 향료를 만들어 설악산 산림욕 향기의 유사성과 선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1046947365-pat00003
관능평가 대상자는 20~35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사성에 대한 평가는 5점 평점법으로 평가(표 4 참조)하였고 선호도는 표 4의 질문지로 제조된 향기에 대해서 5점 평점법(표 5 참조)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Figure 112011046947365-pat00004
Figure 112011046947365-pat00005
Figure 112011046947365-pat00006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7.4세이고 남자 9명, 여자 11명이었다.
평가 결과, 상기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석에 기초한 설악산 산림욕 향기(STD)는 매우 낮은 유사도를 나타냈고, 설악산 산림욕 향기의 주요성분만으로 조합된 조합1의 향기의 유사도는 증가하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시더리프 오일,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갈락소라이드, 릴리알 등을 혼용하였을 때 유사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특히, 천연 정유만을 혼용하였을 때보다 단일 향료를 같이 혼용한 조합에서 더욱 유사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1046947365-pat00007
평가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발된 향료의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STD의 경우 향의 만족도가 낮으며, 분석 결과 확인된 성분 만으로 조합된 조합 1의 만족도도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시더리프 오일 등 천연 정유를 함유한 조합 2, 조합 3, 조합 4, 조합 5의 향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3종의 천연향료를 혼용하고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갈락소라이드, 릴리알 등 단일 향료를 함께 조합한 조합 6이 가장 양호한 향료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합된 향료의 유사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987로 나타나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설악산 산림욕의 향기를 재현하기 위해 Dynamic Headspace법으로 분석하여 확인된 주요 성분인 설악산의 침엽수림 성분인 알파-핀넨, 베타-핀넨, 벤즈알데히드, 아세토페논, 트란스-2-헥세날, 캄펜, 1,8-시네올, 파라-시멘을 함유하고 있으며,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시더리프 오일 등 천연 정유성분과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갈락소라이드, 릴리알 등을 추가로 함유함으로써 자연스럽고 편안한 산림욕 향기를 재현하고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알파-핀넨(α-pinene), 베타-핀넨(β-pinen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아세토페논(Acetophenone), 트란스-2-헥세날(trans-2-Hexenal), 캄펜(Camphene), 1,8-시네올(1,8-Cineol), 파라-시멘(p-Cymene)을 함유하고,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및 시더리프 오일(Cedarleaf oil)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정유(Essential oil)와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Iso bornyl acetat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릴리알(Lilial)에서 선택되는 단일향료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침엽수림 산림욕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및 시더리프 오일(Cedarleaf oil)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정유(Essential oil)와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Iso bornyl acetate),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릴리알(Lilial)에서 선택되는 단일향료 1종 이상을 조성물 전체중량의 0.5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알파-핀넨을 5.0 ~ 40.0중량%, 베타-핀넨을 5.0 ~ 40.0중량%, 벤즈알데히드를 1.0 ~ 30.0중량%, 아세토페논을 1.0 ~ 30.0중량%, 트란스-2-헥세날을 0.1 ~ 10.0중량%, 캄펜을 0.1 ~ 10.0중량%, 1,8-시네올을 0.1 ~ 10.0중량%, 파라-시멘을 0.1 ~ 5.0중량%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라벤더 오일을 0.1 ~ 15중량%, 유칼립투스 오일을 0.1 ~ 15중량%, 시더리프 오일을 0.1 ~ 15중량% 함유하고,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를 0.1 ~ 15중량%, 갈락소라이드를 0.1 ~ 15중량%, 릴리알을 0.1 ~ 15중량%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체세정제.
  7.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탁세제.
KR1020110059953A 2011-06-21 2011-06-21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13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53A KR101213071B1 (ko) 2011-06-21 2011-06-21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53A KR101213071B1 (ko) 2011-06-21 2011-06-21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071B1 true KR101213071B1 (ko) 2012-12-18

Family

ID=4790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953A KR101213071B1 (ko) 2011-06-21 2011-06-21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65B1 (ko) * 2016-08-12 2018-03-29 (주)셀트리온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456B2 (en) 1998-11-23 2003-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deodorizing compositions
US7288515B1 (en) 2003-06-17 2007-10-30 Infrin, Llc Methods for making clear fragrances and formulations
JP2009172189A (ja) 2008-01-25 2009-08-06 Kurita Water Ind Ltd 防臭剤組成物及び防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456B2 (en) 1998-11-23 2003-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deodorizing compositions
US7288515B1 (en) 2003-06-17 2007-10-30 Infrin, Llc Methods for making clear fragrances and formulations
JP2009172189A (ja) 2008-01-25 2009-08-06 Kurita Water Ind Ltd 防臭剤組成物及び防臭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65B1 (ko) * 2016-08-12 2018-03-29 (주)셀트리온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671B1 (ko) 진정 효과 부여제 및 이를 함유하는 진정 향료 조성물
KR20090051607A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TWI554276B (zh) Method of suppressing old smelly
KR101796154B1 (ko) 프리지아 샤이니 골드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TWI554287B (zh) A deodorant containing a polyol
KR101213071B1 (ko) 침엽수림의 산림욕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14384161B (zh) 香料的残香性评价方法、残香性赋予剂和残香性改良方法
KR101614066B1 (ko) 황금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9B1 (ko)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6807709B2 (ja) 香料前駆体組成物
KR101843168B1 (ko)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1668B1 (ko)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98026B1 (ko) 피나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3B1 (ko)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0B1 (ko)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797853B1 (ko)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2B1 (ko)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7B1 (ko)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4B1 (ko)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5B1 (ko)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2854B1 (ko)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