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313A -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313A
KR20140137313A KR1020140060795A KR20140060795A KR20140137313A KR 20140137313 A KR20140137313 A KR 20140137313A KR 1020140060795 A KR1020140060795 A KR 1020140060795A KR 20140060795 A KR20140060795 A KR 20140060795A KR 20140137313 A KR20140137313 A KR 20140137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value
intermediate layer
coating liquid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구니야스
다카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친수성의 수지 기재와 소수성의 피복층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헤이즈값이 낮은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능성 필름은 21.5 보다 큰 SP 값을 갖는 친수성의 수지 기재와, 친수성의 수지 기재 상에 형성되는 20.0 이상 21.5 이하의 SP 값을 갖는 중간층과, 중간층 상에 형성되는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 소수성의 피복층과, 중간층과 피복층 사이에, 중간층과 피복층의 혼합 영역을 갖고, 1.0 % 미만의 헤이즈값을 갖는다. SP 값은 Hoy 법으로 측정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FUNCTION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필름에 있어서, 친수적인 성질과 소수적인 성질을 겸비하는 용도가 최근에는 증가하고 있다.
이하, 일례로서 편광판 보호 필름을 예시한다. 종래, 액정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되는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TA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 액정 표시 패널을 박형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TAC 필름도 박형화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TAC 필름은 높은 투습도를 가지고 있다. 박형화함으로써 TAC 필름은 수분을 보다 투과하기 쉬워진다. TAC 필름을 투과한 수분은, 액정 표시 패널 내부의 PVA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 흡탈습 (흡습 및 탈습) 하는 원인이 된다. PVA 필름의 흡탈습에 의해, 벤딩이나 광학 성능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가 현재화되어 왔다.
그래서, TAC 필름의 투습도를 낮추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은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 (TAC 필름) 과, 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된 소수성층 (저투습층) 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을 개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7954호
특허문헌 1 에서는, 소수성층을 TAC 필름에 형성하고 있는데, 소수성층과 TAC 필름의 밀착성이 충분하지는 않았다.
또한, TAC 필름 상에 추가적인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결과, TAC 필름과의 극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밀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큰 과제에 직면하였다. 또, 소수성층을 형성했을 때, TAC 필름이 아주 조금이라도 소수성층에 섞이면, 도막의 헤이즈 (탁도, 담도) 가 상승한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그래서, TAC 필름과 소수성층 사이에, 그들의 중간의 친소수성 (친수성 및 소수성) 을 갖는 중간층을 축차 도포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중간층의 극성과 소수성층의 극성의 차이는 반드시 있기 때문에, 중간층과 소수성층의 밀착력이 충분하지는 않아, 밀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중간층과 중간층보다 극성기를 많이 갖지 않는 소수성층을 웨트 온 웨트 중층 (重層) 도포로 제막함으로써, 중간층과 소수성층의 밀착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웨트 온 웨트 중층 도포하면 중간층과 소수성층 사이의 밀착은 양호해지지만, 한편으로 중간층의 소재와 소수성층의 소재는 상용성이 나쁜 경우도 있어, 그 경우에는 중간층과 소수성층이 지나치게 층 혼합되면, 상 분리 등에 의해 막의 헤이즈값의 상승을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친수성의 수지 기재와 소수성의 피복층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헤이즈값이 낮은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기능성 필름은, 21.5 보다 큰 SP 값 (Solubility Parameter) 을 갖는 친수성의 수지 기재와, 친수성의 수지 기재 상에 형성되는 20.0 이상 21.5 이하의 SP 값을 갖는 중간층과, 중간층 상에 형성되는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 소수성의 피복층과, 중간층과 피복층 사이에, 중간층과 피복층의 혼합 영역을 갖고, 1.0 % 미만의 헤이즈값을 갖는다. SP 값은 Hoy 법 (Hoy's method) 으로 측정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의 수지 기재가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21.5 보다 큰 SP 값을 갖는 친수성의 수지 기재를 연속해서 송출하는 공정과, 20.0 이상 21.5 이하의 SP 값을 갖는 중간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도포액을 친수성의 수지 기재 상에 도포하는 제 1 도포 공정과,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 소수성의 피복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2 도포액을, 제 1 도포액 상에 웨트 온 웨트 도포하는 제 2 도포 공정을 갖는다. SP 값은 Hoy 법으로 측정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도포액의 중간층 형성 재료는 활성선 경화성을 갖고, 또한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 1 도포액에 활성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추가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활성선 조사 후의 상기 중간층 형성 재료의 중합률은 10 % 이상 60 %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의 수지 기재와 소수성의 피복층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헤이즈값이 낮은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은 기능성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 는 기능성 필름의 제조 설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 은 기능성 필름의 제조 설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많은 수법에 의해 변경을 실시할 수 있어, 본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도면 중, 동일한 기호로 나타내는 부분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수치 범위를 "∼" 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경우에는, "∼" 로 나타내는 상한, 하한의 수치도 수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기능성 필름)
도 1 은 본 실시의 기능성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실시의 기능성 필름 (10) 은, 친수성의 수지 기재 (12) 와 소수성의 피복층 (16) 의 밀착성을 개선하기 위해 중간층 (14) 을 가지고 있다. 이 중간층 (14) 은, 수지 기재 (12) 와 피복층 (16) 중간의 친소수성을 가지고 있다. 기능성 필름 (10) 은,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사이에,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의 혼합 영역 (18) 을 구비하고 있다.
수지 기재 (12) 는 21.5 보다 큰 SP 값을 갖고, 중간층 (14) 은 20.0 이상 21.5 이하의 SP 값을 갖고, 피복층 (16) 은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21.5 보다 큰 SP 값을 갖는 경우를 친수성이라고 정의하고,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 경우를 소수성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SP 값은 Hoy 법으로 측정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Hoy 법은 Polymer Handbook Fourth Edition (J. Brandrup 등 저술, John Wiley & Sons, Inc.출판) 에 기재가 있다.
기능성 필름 (10) 은 1.0 % 미만의 헤이즈값을 가지고 있다. 헤이즈값은, 일본 공업 규격의 JIS-K 7136 (2000 년판) 에 준하여 측정된다. 또한, JIS-K 7136 (2000 년판) 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ISO14782 (1999 년판) 에 대응한다.
중간층 (14) 을 수지 기재 (12) 상에 형성할 때, 중간층 형성 재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제 1 도포액을 수지 기재 (12) 에 도포한다. 제 1 도포액의 용매가 수지 기재 (12) 에 스며드는 (용매가 수지 기재를 용해 또는 팽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를 수지 기재 (12) 에 스며들게 함으로써 앵커 효과가 발생하여, 중간층 (14) 과 수지 기재 (12) 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앵커 효과란, 접착면의 미세한 요철에 접착제가 들어가 경화됨으로써 접착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말한다.
또, 팽윤이란, 수지와 같은 고분자 물질의 고체 상태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의 용매 분자가 고분자 물질의 간극에 들어가 침투함으로써 체적 팽창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용해란, 용매 분자로 둘러싸인 고분자 사슬이 떨어져 용매 중에 분산된 상태를 의미한다. 용매가 수지 기재 (12) 에 스며드는 것은 필름 단면의 현미경 관찰로 확인할 수 있다.
중간층 (14) 에 피복층 (16) 을 형성할 때, 제 1 도포액 상에 소수성의 피복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2 도포액을 웨트 온 웨트 도포한다. 웨트 온 웨트 도포함으로써 혼합 영역 (18) 이 형성된다. 혼합 영역 (18) 을 형성함으로써 앵커 효과가 발생하여,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웨트 온 웨트 도포에는, 다이 코터를 사용한 동시 중층 도포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혼합 영역 (18) 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제 1 도포액의 조건에 따라서는,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의 혼합이 지나치게 진행되어,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의 상 분리나, 수지 기재 (12) 와 피복층 (16) 의 접촉에 의한 상 분리 등에 의해 헤이즈값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중간층 (14) 을 수지 기재 (12) 상에 형성할 때, 제 1 도포액에 중간층 형성 재료로서 활성선 경화 수지를 포함시킨다. 피복층 (16) 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도포액을 웨트 온 웨트 도포하기 전에 제 1 도포액 중에 활성선을 조사하여 중간층 형성 재료의 일부를 중합시켜 제 1 도포액 내에 3 차원 가교 구조를 제작한다. 이로써, 제 2 도포액을 웨트 온 웨트 도포한 후의 제 1 도포액과 제 2 도포액의 혼합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활성선 조사 후의 제 1 도포액 중의 중간층 형성 재료의 중합률은 10 % 이상 6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 이상 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10 % 이상이면, 3 차원 가교 구조를 크게 형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나치게 섞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60 % 이하로 함으로써, 3 차원 가교 구조의 형성이 지나치게 진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혼합 영역 (18) 을 잘 형성할 수 있다. 중합률은 FT-IR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광도계)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친수성의 수지 기재 (12) 와 소수성의 피복층 (16) 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헤이즈값이 낮은 기능성 필름 (10) 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상기 기능성 필름 (10) 을 만족시키는 수지 기재 (12) 와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의 주성분으로서 적합한 재료 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여기에서,「주성분」이란 가장 높은 비율로 함유되는 성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수지 기재>
수지 기재 (12) 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 수지 기재 (12) 는, 21.5 보다 큰 SP 값을 갖는다.
수지 기재 (12) 는, 주성분 이외에,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광학 특성의 조정, 기계적 특성, 제막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된다.
<피복층>
피복층 (16) 은, 예를 들어,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미츠이 화학 (주) 제조의 APEL (등록 상표),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제조의 TOPAS (등록 상표), 등) 등으로 구성된다. 또, 피복층 (16) 은,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 (16) 은, 주성분 이외에,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광학 특성의 조정, 기계적 특성, 제막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된다.
<중간층>
중간층 (14) 은, 친소수성에 관하여 수지 기재 (12) 와 피복층 (16) 사이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중간층 (14) 은, 예를 들어, 고리형 올레핀을 함유하는 활성선 경화 아크릴레이트 수지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의 A-DCP, DCP, 등) 등으로 구성된다. 중간층 (14) 은, 수지 기재 (12) 의 SP 값보다 작고, 또한 피복층 (16) 의 SP 값보다 큰 20.0 이상 21.5 이하의 SP 값을 갖는다.
중간층 (14) 은, 주성분 이외에,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광학 특성의 조정, 기계적 특성, 제막성 등의 개선, 중합률 조정 등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된다.
<혼합 영역>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사이에 혼합 영역 (18) 이 형성되어 있다. 혼합 영역 (18) 은, 중간층 (14) 의 조성물과 피복층 (16) 의 조성물이 혼합된 영역이라고 정의된다. 혼합 영역 (18) 은, 필름 단면의 현미경 관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혼합 영역 (18) 은, 기능성 필름 (10) 의 헤이즈값이 1.0 % 이하가 되는 혼합 상태로 형성된다.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본 양태에 의한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친수성의 수지 기재를 연속해서 송출하는 공정과, 중간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도포액을 수지 기재 상에 도포하는 제 1 도포 공정과, 소수성의 피복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2 도포액을, 제 1 도포액 상에 웨트 온 웨트 도포하는 제 2 도포 공정을 포함하고, 중간층 형성 재료는, 친수성의 수지 기재와 소수성의 피복층 재료 사이의 친소수성을 갖는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능성 필름의 제조 설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제조 설비 (20) 는, 띠상의 수지 기재 (12) 를 송출하는 송출 장치 (40) 와, 제 1 도포액 (24) 을 수지 기재 (12) 에 도포하는 슬롯 다이 (22) 와, 제 1 도포액 (24) 상에 제 2 도포액 (34) 을 도포하는 슬롯 다이 (32) 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능성 필름의 제조 설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는 제조 설비 (20) 는, 띠상의 수지 기재 (12) 를 송출하는 송출 장치 (40) 와, 제 1 도포액 (24) 을 수지 기재 (12) 에 도포하는 슬롯 다이 (22) 와, 수지 기재 (12) 상의 제 1 도포액 (24) 에 활성선을 조사하는 조사 장치 (50) 와, 제 1 도포액 (24) 상에 제 2 도포액 (34) 을 도포하는 슬롯 다이 (32) 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친수성의 수지 기재 (12) 는, 권심에 감긴 롤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롤상의 수지 기재 (12) 는, 송출 장치 (40) 에 의해 연속해서 송출된다. 송출 장치 (40) 는, 권심에 감긴 롤상의 수지 기재 (12) 를 설치할 수 있는 롤러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류의 슬롯 다이 (22, 32), 조사 장치 (50) 등에 띠상의 수지 기재 (12) 를 연속해서 반송한다.
제 1 도포 공정에서는, 슬롯 다이 (22) 를 사용하여, 연속해서 반송된 띠상의 수지 기재 (12) 상에 제 1 도포액 (24) 을 도포한다. 슬롯 다이 (22) 는, 수지 기재 (12) 의 폭 방향에 평행한 포켓부 (25) 와, 포켓부 (25) 와 연통하는 슬롯 (26) 과, 토출구 (28) 를 가지고 있다. 제 1 도포액 (24) 은 토출구 (28) 로부터 토출되어, 수지 기재 (12) 상에 도포된다.
제 1 도포액 (24) 은, 중간층 (14) 의 형성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다.
제 1 도포액 (24) 은, 중간층 형성 재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도포액의 용매로서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토니트릴 (비점 81.6 ℃), 등의 시아노 화합물류 등이 있다. 또, 수지 기재 (12) 를 용해 또는 팽윤시키는 용매를 복수 조합할 수도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포 공정 후에, 활성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형성해도 된다. 조사 장치 (50) 를 사용하여 제 1 도포 공정에서 수지 기재 (12) 에 도포된 제 1 도포액 (24) 에 활성선을 조사함으로써, 제 1 도포액 (24) 의 일부를 중합 (경화) 한다. 제 1 도포액 (24) 의 일부를 중합함으로써, 제 1 도포액 (24) 과 제 2 도포액 (34) 이 지나치게 섞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조사 장치 (50) 로서,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 장치 등을 사용한다.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의 조사 강도 및 조사 시간을 조정하여, 제 1 도포액 (24) 의 중합률을 조정한다.
제 2 도포 공정에서는, 슬롯 다이 (32) 를 사용하여, 연속해서 반송된 수지 기재 (12) 상의, 활성선 조사된 제 1 도포액 (24) 상에 제 2 도포액 (34) 을 웨트 온 웨트 도포한다. 웨트 온 웨트 도포란, 제 1 도포액 (24) 을 완전히 경화시키기 전에, 제 2 도포액 (34) 을 제 1 도포액 (24) 상에 도포하는 것을 말한다.
슬롯 다이 (32) 는, 수지 기재 (12) 의 폭 방향에 평행한 포켓부 (35) 와, 포켓부 (35) 와 연통하는 슬롯 (36) 과, 토출구 (38) 를 가지고 있다. 제 2 도포액 (34) 은 토출구 (38) 로부터 토출되어, 제 1 도포액 (24) 상에 도포된다.
제 2 도포액 (34) 은, 피복층 형성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다.
제 2 도포액 (34) 은, 피복층 형성 재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도포액 (34) 의 용매로서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토니트릴 (비점 81.6 ℃) 등의 시아노 화합물류 등이 있다.
제 2 도포액 (34) 은 제 1 도포액 (24) 상에 웨트 온 웨트 도포되고 있으므로, 제 1 도포액 (24) 과 제 2 도포액 (34) 의 계면에서, 제 1 도포액 (24) 과 제 2 도포액 (34) 이 일부 혼합된다. 이 혼합에 의해 최종적으로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사이에 혼합 영역 (18) 이 형성된다. 혼합 영역 (18) 의 형성에 의해 앵커 효과가 발생하여, 중간층 (14) 과 피복층 (16) 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기재의 준비>
시판되는 후지 필름 (주) 제조의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필름 (TAC 필름) 인 후지택 (등록 상표) TD60UL 을 준비하였다. TAC 필름의 SP 값은 21.8 이었다.
<제 1 도포액의 조제>
중간층 형성 재료로서 A-DCP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식회사) 를 사용하였다. A-DCP 의 SP 값은 20.4 였다. 용매로서 MEK (메틸에틸케톤) 와 아세트산메틸을 사용하였다. MEK 와 아세트산메틸의 1 : 1 혼합 용매에 A-DCP 를 용해시킴으로써, 중간층 형성 재료의 농도가 50 질량% 인 제 1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제 2 도포액의 조제>
피복층 형성 재료로서 미츠이 화학 (주) 제조의 APEL (등록 상표) 8008T 를 사용하였다. APEL8008T 의 SP 값은 19.2 였다. 용매로서 시클로헥산을 사용하였다. APEL8008T 를 시클로헥산에 용해시킴으로써, 피복층 형성 재료의 농도가 10 질량% 인 제 2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피복층의 형성>
표 1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수지 기재 상에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축차 도포란, 제 1 도포액을 완전히 경화시킨 후에, 제 2 도포액을 제 1 도포액 (24) 상에 도포하는 것을 말한다.
<평가>
밀착성에 대하여, JIS-K 5600 (1999 년판) 에 기재된 크로스컷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JIS-K 5600 (1999 년판) 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ISO/DIS2808 (1996년 발행) 에 대응한다. 테이프 박리 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A : 컷의 가장자리가 아주 매끄러워서, 어느 격자의 메시에도 박리가 없다.
B : 컷의 교차점에 있어서의 도막의 작은 박리 있음. 크로스컷 부분에서 영향을 받는 것은, 명확하게 15 % 를 상회하는 경우는 없다.
C : 도막이 컷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크게 박리되어 있고, 및/또는 수개 지점의 메시가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박리되어 있다. 크로스컷 부분에서 영향을 받는 것은, 명확하게 15 % 이상이다.
헤이즈에 대하여, 헤이즈미터 (HZ-V3, 스가 시험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JIS-K 7136 에 따라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얻어진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2 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5 는, 중간층과 혼합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 실시예 1 ∼ 5 는, 밀착성에 관하여 B 이상의 평가이고, 헤이즈값에 관하여 1.0 % 미만이었다. 비교예 1 은, 중간층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밀착성에 관하여 C 의 평가이고, 헤이즈값에 관하여 1.0 % 이상이었다. 비교예 2 는 혼합 영역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밀착성에 관하여 C 의 평가였다.
Figure pat00001
10 : 기능성 필름, 12 : 수지 기재, 14 : 중간층, 16 : 피복층, 18 : 혼합 영역, 20 : 제조 설비, 22, 32 : 슬롯 다이, 24 : 제 1 도포액, 34 : 제 2 도포액, 40 : 송출 장치, 50 : 조사 장치

Claims (5)

  1. Hoy 법으로 측정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내는 SP 값으로서, 21.5 보다 큰 SP 값을 갖는 친수성의 수지 기재와,
    상기 친수성의 수지 기재 상에 형성되는 20.0 이상 21.5 이하의 SP 값을 갖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상에 형성되는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 소수성의 피복층과,
    상기 중간층과 상기 피복층 사이에, 상기 중간층과 상기 피복층의 혼합 영역을 갖고,
    1.0 % 미만의 헤이즈값을 갖는, 기능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수지 기재가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구성되는, 기능성 필름.
  3. Hoy 법으로 측정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내는 SP 값으로서, 21.5 보다 큰 SP 값을 갖는 친수성의 수지 기재를 연속해서 송출하는 공정과,
    20.0 이상 21.5 이하의 SP 값을 갖는 중간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도포액을 상기 친수성의 수지 기재 상에 도포하는 제 1 도포 공정과,
    20.0 보다 작은 SP 값을 갖는 소수성의 피복층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2 도포액을, 상기 제 1 도포액 상에 웨트 온 웨트 도포하는 제 2 도포 공정을 갖는,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액 중의 상기 중간층 형성 재료는 활성선 경화성을 갖고,
    또한, 상기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도포액에 활성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추가로 갖는,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활성선 조사 후의 상기 중간층 형성 재료의 중합률은 10 % 이상 60 % 이하인,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40060795A 2013-05-22 2014-05-21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37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7744 2013-05-22
JP2013107744A JP5990489B2 (ja) 2013-05-22 2013-05-22 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313A true KR20140137313A (ko) 2014-12-02

Family

ID=5195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795A KR20140137313A (ko) 2013-05-22 2014-05-21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0489B2 (ko)
KR (1) KR20140137313A (ko)
CN (1) CN104175670B (ko)
TW (1) TW2014446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756A (ko) * 2016-09-09 2019-03-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박리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190030732A (ko) * 2016-09-09 2019-03-2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박리성 적층 필름,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0731B (zh) * 2015-04-24 2021-05-04 大金工业株式会社 表面处理方法
WO2017057255A1 (ja) * 2015-09-30 2017-04-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327289B2 (ja) * 2015-09-30 2018-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8047721A1 (ja) * 2016-09-09 2018-03-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剥離性積層フィルム、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TWI615275B (zh) * 2016-11-14 2018-02-21 國立高雄大學 具親水性及疏水性之兩性貼片構造
CN110828520B (zh) * 2019-11-15 2022-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225A (ja) * 2004-09-14 2006-03-30 Fuji Photo Film Co Ltd 機能性フィルム
JP2006215096A (ja) * 2005-02-01 2006-08-17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247954A (ja) * 2005-03-09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機能性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70118029A (ko) * 2006-06-09 2007-12-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용 보호 필름
JP2008256747A (ja) * 2007-03-30 2008-10-23 Fujifilm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5260578B2 (ja) * 2010-02-25 2013-08-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塗布方法
CN103596740A (zh) * 2011-06-10 2014-02-19 富士胶片株式会社 可剥离性层合膜、可剥离性层合膜卷、其制备方法、膜、光学膜、偏振板、偏振板的制备方法以及液晶显示装置
US10088604B2 (en) * 2012-03-30 2018-10-02 Nec Lighting, Ltd. Transparent substrate for optical elements, polarizer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id substr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756A (ko) * 2016-09-09 2019-03-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박리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190030732A (ko) * 2016-09-09 2019-03-2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박리성 적층 필름,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26844A (ja) 2014-12-08
CN104175670A (zh) 2014-12-03
TW201444677A (zh) 2014-12-01
JP5990489B2 (ja) 2016-09-14
CN104175670B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7313A (ko) 기능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609093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189196B1 (ko) 반사 방지 필름
JP201601488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02667535B (zh) 光学薄膜的制造方法、光学薄膜、偏振板及显示器
CN103403115B (zh) 双面粘合带
KR102059228B1 (ko) 적층체,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CN106244033A (zh) 粘合片、带有粘合剂的光学薄膜以及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0381841C (zh) 起偏振片及其生产方法
JP6254891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CN108698388A (zh) 硬质涂膜、使用该硬质涂膜的偏光板、硬质涂膜加工品、显示部件
KR102294715B1 (ko)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019419A (zh) 层叠膜、层叠膜的制造方法、偏振性层叠膜的制造方法、偏振片的制造方法
CN104932040B (zh) 一种光学薄膜
CN105874364B (zh) 光学膜制造用初始膜
KR102282040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7048957A9 (en) Low sparkle matte coats and methods of making
CN107075149A (zh) 吸水性聚合物片的制造方法
JP5781464B2 (ja) 塗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180214A (ja) 塗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80021058A (ko) 접착제, 접착체, 및 접착체의 제조 방법
WO2014071959A1 (en) Cover slip materials for microscopy
KR20110024443A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JP2016071033A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9283608A (zh) 光学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