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199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199A
KR20140136199A KR1020130056407A KR20130056407A KR20140136199A KR 20140136199 A KR20140136199 A KR 20140136199A KR 1020130056407 A KR1020130056407 A KR 1020130056407A KR 20130056407 A KR20130056407 A KR 20130056407A KR 20140136199 A KR20140136199 A KR 2014013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using
main body
air conditio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692B1 (ko
Inventor
박상길
이열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692B1/ko
Priority to US14/279,916 priority patent/US9510073B2/en
Priority to EP14168844.0A priority patent/EP2806224B1/en
Priority to CN201410214256.2A priority patent/CN104180438B/zh
Publication of KR2014013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토출부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폰이 구비되는 음성 수집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음성 수집장치에는, 상기 마이크로 폰이 설치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에 의하여 규정되며, 미리 설정된 폭과 높이를 가지는 차음 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차음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공기 조화기에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토출부까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특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직접 조작하거나,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리모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다만, 상기 입력부를 직접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는 거리까지 접근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리모컨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컨을 분실하였을 때에는 원거리에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기 조화기에 마이크를 구비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발명(공개번호 : 10-2006-0097455)에는, 공기 조화기에 마이크(11)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공기 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 풍량, 풍향 또는 동작의 수행/정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음성인식 기능이 구비되어 별도의 리모컨이 없어도 음성을 통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경우,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마이크 주변의 여러가지 소음, 일례로 공기 조화기 외부의 소음, 외부공기 전달음, 토출공기 유동소음, 공기 조화기의 내부공기 전달음 또는 공기 조화기의 진동에 따른 소음등에 의하여, 원하는 음성을 제대로 수집 또는 필터링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원하는 음성을 제대로 수집하지 못하는 경우, 음성명령의 인식률이 저하되어 공기 조화기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음성수집이 용이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토출부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폰이 구비되는 음성 수집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음성 수집장치에는, 상기 마이크로 폰이 설치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에 의하여 규정되며, 미리 설정된 폭과 높이를 가지는 차음 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차음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성을 통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마이크로 폰이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고, 공기 조화기의 내부 또는 외부 소음이 하우징에 의하여 차단되어 마이크로 폰에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원하는 음성의 수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마이크로 폰으로부터 이격된 벽들에 의하여 규정되는 차음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차음공간의 크기는 특정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므로, 소음 차단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폰이 하우징의 개구부, 즉 마이크 설치공에 밀착되어 배치되므로, 수집되는 음성의 주파수에 따른, 음성 크기의 응답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폰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제공되므로, 마이크의 진동에 따른 음성 수집률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마이크로 폰을 통하여 수집되는 음성의 인식률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폰이 공기 조화기의 측면에 배치되어 외부에 잘 노출되지 않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전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후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측면 패널에 대한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 마이크가 설치되는 경우, 소음 발생이 저감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a는 마이크가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마이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상태 또는 밀착된 상태에서,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성의 주파수에 대한 크기의 응답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흡입부(미도시) 및 토출부(40,50)를 구비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가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1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일 수 있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미도시)는 상기 본체(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40,50)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20)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측방 토출부(40) 및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상부 토출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측방 토출부(40)는 상기 본체(20)의 양측에 형성되며, 토출 베인(45)에 의하여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베인(45)은 상기 측방 토출부(4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부(50)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N 되면 상기 상부 토출부(50)는 상기 본체(2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FF 되면 상기 상부 토출부(5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30)이 포함된다. 상기 측면 패널(30)은 상기 본체(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패널(30)에는, 상기 측방 토출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측방 토출부(40)의 일측, 예를 들어 하측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수집될 수 있는 음성 수집장치(100)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음성 수집장치(100)는 상기 본체(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60,65)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패널(60,65)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 패널(60,65)에는, 전면상부 패널(60) 및 전면하부 패널(65)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상부 패널(60)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61)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작동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3)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성 수집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전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후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100)에는, 상기 측면 패널(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장치(110) 및 상기 결합장치(100)에 장착되며 내부에 마이크를 수용하는 하우징(12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결합장치(110)에는, 상기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장착부(112) 및 상기 측면 패널(3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장착부(112)에는, 상기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결합 홀(112a)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결합 홀(112a)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112)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결합 홀(112a)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부(115)는 상기 장착부(112)의 일측 및 타측에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결합부(115)에는,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관통공(115a)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 결합부(115)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측면 패널(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에는, 상기 결합 장치(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우징 본체(130) 및 상기 하우징 본체(13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1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본체(130)는 상기 장착부(112)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112)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 홀(112a)을 통하여 상기 장착부(112)의 배면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30)와 하우징 커버(140)가 결합하여,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내부 공간(131)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공간(131)에는, 마이크로 폰(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30)는 상기 하우징(1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 1 벽(130a) 및 상기 제 1 벽(130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벽(130b)이 포함된다.
여기서,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함은, 상기 측면 패널(3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며,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함은, 상기 측면 패널(30)의 내측, 즉 공기 조화기(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벽(130b)은 상기 장착부(1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4개의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벽(130a)은 4개의 제 2 벽(130b)의 전방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벽(130b)은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의 전후방향 폭(D)을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벽(130b)은, 상기 제 2 벽(130b)의 가로방향 길이, 즉 상기 하우징(120)의 가로방향 폭이 W가 되고, 상기 제 2 벽(130b)의 세로방향 길이, 즉 상기 하우징(120)의 세로방향 높이가 H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W와 H는 상기 마이크로 폰(160)의 가로방향 폭 및 세로방향 높이보다 큰 값을 가진다.
상기 제 1 벽(130a)에는, 상기 마이크로 폰(16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마이크 설치공(133) 및 지지부재(150)와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 1 결합공(137)이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 설치공(133)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이 상기 마이크로 폰(16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하우징(120)의 "개구부"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50)는 상기 마이크로 폰(160)이 상기 제 1 벽(130a)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기 하우징 커버(140)는 상기 장착부(120)의 배면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 커버(14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140)에는, 체결부재(148)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30)에 결합되도록 하는 다수의 본체 결합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140)가 상기 하우징 본체(13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간(131)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상기 내부공간(131)은 밀폐 또는 진공 상태의 공간은 아니며,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이 상쇄 또는 차단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140)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130)의 제 1 벽(130a)까지의 길이, 즉 상기 하우징(120)의 전후방향 깊이는 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D는 상기 마이크로 폰(16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진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폰(160)으로부터, 다수의 제 2 벽(130b) 중 일 벽까지의 거리는 ℓ1이며 다른 벽까지의 거리는 ℓ2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폰(16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커버(140)까지의 거리는 ℓ3로 형성된다.
상기 ℓ1 및 ℓ2는 상기 마이크로 폰(160)의 가로방향 길이 및 세로방향 길이보다 각각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W,H,D,ℓ1,ℓ2 및 ℓ3의 값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발생되는 소음, 특히 500hZ 이하의 저주파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131)을 규정하는 변수값으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로 폰(160) 및 상기 마이크로 폰(160)을 상기 제 1 벽(130a)측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5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재(150)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130)의 제 1 벽(130a)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본체(151) 및 상기 지지본체(151)로부터 일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공(15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5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마이크로 폰(160)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50)에는, 상기 제 1 벽(130a)의 제 1 결합공(137)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결합공(15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공(137) 및 제 2 결합공(155)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50)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간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 폰(160)이 상기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자체 진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측면 패널에 대한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 마이크가 설치되는 경우, 소음 발생이 저감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폰(160)은 상기 마이크 설치공(133)의 후측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은 W,H 및 D의 크기로 규정되는 내부 공간(131)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폰(160)은 상기 내부 공간(131) 내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130) 및 하우징 커버(14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 폰(160)은 상기 하우징 본체(130)의 제 2 벽(130b)으로부터 ℓ1 및 ℓ2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140)로부터 ℓ3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을 구성하는 다수의 벽(130a,130b,140)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이 상기 내부 공간(131)을 통하여 상쇄 또는 차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마이크로 폰(160)에 작용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폰(160)은 상기 제 1 벽(130a)의 내주면(132)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 폰(160)은, 상기 마이크로 폰(160)의 전면부(161)가 상기 내주면(132)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은 상기 마이크 설치공(133)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폰(16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 마이크가 설치되는 경우, 소음 발생이 저감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폰(160)이 하우징(120)의 내부공간(131)에 배치되는 경우와, 하우징(120)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대조군) 소음이 발생되는 정도에 관한 실험결과가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폰(160)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간(131)에 배치되는 경우 중, 하우징(120)의 크기, 즉 W,H 및 D의 크기를 달리한 타입에 대하여 각각 실험이 수행되었다.
예를 들어, B 타입에 따른 (W * H * D)의 각각의 값은 A 타입에 따른 (W * H * D)의 각각의 값에 대하여 대략 2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에서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소음의 크기는, 마이크로 폰(160)의 외측에 하우징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대조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구조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공기 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에는, 약 500Hz 이하의 저주파 소음이 많이 포함되며, 해당 주파수의 범위에서, 상기 대조군에서 더 큰 소음이 발생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 중 A 타입 및 B 타입의 경우에는 대략 유사한 크기의 소음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일례로, 약 200Hz의 소음이 발생하였을 때, 대조군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폰에 약 25dB의 소음이 작용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 타입 및 B 타입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폰에 약 15dB의 소음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 폰(160)의 외측에 하우징이 제공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 즉 차음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폰에 작용하는 소음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또는 상기 차음공간의 크기는 특정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므로, 소음 차단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10a는 마이크가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b는 마이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상태 또는 밀착된 상태에서,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성의 주파수에 대한 크기의 응답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0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마이크로 폰(5)이 상기 마이크 설치공(133)으로부터 후방으로 L1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이 경우, 음성은 마이크 지지부재(6)의 내측면에 반사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5)에 전달되므로, 본 발명의 도 8과 같이 마이크로 폰으로 직접 향하는 음성 전달경로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도 10b는 공기 조화기의 외부에서 수집하고자 하는 소정 크기의 음성이 주파수를 달리하여 발생하였을 때, 마이크로 폰에서 인식되는 음성의 크기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소정 크기는 그래프 상에 "A"로 표시된다.
실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의 구조(도 8 참조)에 대하여,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에 대한 크기(dB) 응답성을 보여주며, 점선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닌, 음성 수집장치의 구조(도 10a 참조)에 대하여,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에 대한 크기 응답성을 보여준다.
도 10b를 살펴보면, 약 1,000Hz까지는 음성 주파수의 응답성에 대한 양자간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1,000Hz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도 10a와 같은 마이크로폰의 배치의 경우 크기의 변화가 커지는 반면 도 8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배치의 경우에는 음성의 크기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0a와 같은 마이크로 폰의 설치구조에서는, 음성의 주파수 응답성(frequncy response)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의 목소리 주파수가 대략 300Hz ~ 3,400Hz의 범위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때, 위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수집장치가 제공되면 음성의 주파수에 따른 응답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폰이 상기 하우징(120)의 개구부(133)에 밀착되어 배치됨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외부에서 수집되는 음성이 용이하게 상기 마이크로 폰(160)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성명령 인식률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나타난다.
10 : 공기 조화기 20 : 본체
30 : 측면 패널 40 : 측방 토출구
100 : 음성 수집장치 110 : 결합 장치
112 : 장착부 115 : 패널 결합부
120 : 하우징 130 : 하우징 본체
130a : 제 1 벽 130b : 제 2 벽
131 : 내부 공간 133 : 마이크 설치공
140 : 하우징 커버 150 : 지지부재
153 : 삽입공 160 : 마이크로 폰

Claims (10)

  1. 토출부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폰이 구비되는 음성 수집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음성 수집장치에는,
    상기 마이크로 폰이 설치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에 의하여 규정되며, 미리 설정된 폭과 높이를 가지는 차음 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차음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개구부를 가지는 제 1 벽; 및
    상기 제 1 벽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차음 공간의 일방향 폭을 규정하는 제 2 벽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수집장치에는,
    상기 제 1 벽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지지시키며, 상기 마이크로 폰이 고정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개구부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제 1 벽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마이크로 폰의 전면부는 상기 제 1 벽의 내주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수집장치에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합 장치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를 지지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의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제 2 벽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하우징 커버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공기 조화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이 포함되며,
    상기 음성 수집장치는 상기 측면 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30056407A 2013-05-20 2013-05-20 공기 조화기 KR102087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07A KR102087692B1 (ko) 2013-05-20 2013-05-20 공기 조화기
US14/279,916 US9510073B2 (en) 2013-05-20 2014-05-16 Air conditioner having an audio collecting device
EP14168844.0A EP2806224B1 (en) 2013-05-20 2014-05-19 Air conditioner
CN201410214256.2A CN104180438B (zh) 2013-05-20 2014-05-20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07A KR102087692B1 (ko) 2013-05-20 2013-05-20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99A true KR20140136199A (ko) 2014-11-28
KR102087692B1 KR102087692B1 (ko) 2020-03-11

Family

ID=5073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407A KR102087692B1 (ko) 2013-05-20 2013-05-20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10073B2 (ko)
EP (1) EP2806224B1 (ko)
KR (1) KR102087692B1 (ko)
CN (1) CN104180438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04A (ko) * 2017-07-24 2019-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37673A (ko) 2018-10-01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KR20200037661A (ko) 2018-10-01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KR20200086010A (ko) * 2019-01-08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210048477A (ko) * 2019-01-08 2021-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210076710A (ko) * 2019-12-16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1114102B2 (en) 2019-01-16 2021-09-07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5092B (zh) * 2014-12-10 2017-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语音控制方法和系统
CN106152454A (zh) * 2016-08-08 2016-11-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条、空调器及装饰条的装配方法
CN111426050B (zh) * 2019-01-09 2021-11-3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
KR20200107002A (ko) 2019-03-05 202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55B1 (ko) * 2003-03-22 200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보관함 및 리모콘 보관 식별 장치
KR20060097455A (ko) * 2005-03-09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기능이 구비된 멜로디 공기조화기
KR20080055464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13056U (ko) * 2008-06-18 2009-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00082611A (ko) * 2009-01-09 2010-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
KR20110099695A (ko) * 2008-12-12 2011-09-08 후나이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마이크로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음성입력장치
JP2012112571A (ja) * 2010-11-24 2012-06-14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5416A (en) 1981-04-20 1982-10-28 Toyota Motor Corp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US5010739A (en) * 1989-06-30 1991-04-30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udible sound level control function
JP2005037447A (ja) * 2003-07-15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騒音制御装置
JP4858252B2 (ja) * 2007-03-20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WO2010095203A1 (ja) * 2009-02-17 2010-08-26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音響的トランスデューサユニット
CN101881484B (zh) * 2009-05-05 2012-09-26 海尔集团公司 一种声控空调器
WO2011029401A1 (zh) 2009-09-11 2011-03-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盲人用空调系统和盲人用遥控器
JP5799619B2 (ja) 2011-06-24 2015-10-28 船井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CN202747547U (zh) * 2012-09-07 2013-02-20 海尔集团公司 可语音控制的空调以及包括该空调的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55B1 (ko) * 2003-03-22 200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보관함 및 리모콘 보관 식별 장치
KR20060097455A (ko) * 2005-03-09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기능이 구비된 멜로디 공기조화기
KR20080055464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13056U (ko) * 2008-06-18 2009-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10099695A (ko) * 2008-12-12 2011-09-08 후나이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마이크로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음성입력장치
KR20100082611A (ko) * 2009-01-09 2010-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
JP2012112571A (ja) * 2010-11-24 2012-06-14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04A (ko) * 2017-07-24 2019-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37673A (ko) 2018-10-01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KR20200037661A (ko) 2018-10-01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KR20200086010A (ko) * 2019-01-08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210048477A (ko) * 2019-01-08 2021-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US11114102B2 (en) 2019-01-16 2021-09-07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KR20210076710A (ko) * 2019-12-16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31606A (ko) * 2019-12-16 2022-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6224A2 (en) 2014-11-26
EP2806224B1 (en) 2018-01-10
CN104180438B (zh) 2018-05-25
US9510073B2 (en) 2016-11-29
US20140341414A1 (en) 2014-11-20
EP2806224A3 (en) 2014-12-17
CN104180438A (zh) 2014-12-03
KR102087692B1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692B1 (ko) 공기 조화기
EP2417399B1 (en) Air conditioner
CN102483258B (zh) 空气调节机
CN102575861B (zh) 空气调节机的运转噪声控制方法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EP2409088B1 (en) Air conditioner
KR20200019825A (ko) 에어컨 실내기의 조립구조
JP201603817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347953B1 (ko) 삼면 토출형 공기 조화기의 전면 패널
KR20120079915A (ko) 소음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JP3141914U (ja) エアーカーテン装置
KR20100113877A (ko) 공기조화기
JP5385942B2 (ja) 空気調和機
KR20200135084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480710B1 (ko) 빌트인 냉장고
KR10157450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4552339B2 (ja) 放熱装置の制御方法
JP4623019B2 (ja) 浴室用空調装置および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H0622416A (ja) 制御盤の換気装置
KR20100118165A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1531180B1 (ko) 공기조화기
KR20010108664A (ko) 공기조화기의 리모컨 보관함
KR101768226B1 (ko) 공기 조화기
KR10056933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