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477A - 가습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477A
KR20210048477A KR1020210053772A KR20210053772A KR20210048477A KR 20210048477 A KR20210048477 A KR 20210048477A KR 1020210053772 A KR1020210053772 A KR 1020210053772A KR 20210053772 A KR20210053772 A KR 20210053772A KR 20210048477 A KR20210048477 A KR 20210048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crophone
disposed
humidific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865B1 (ko
Inventor
김진욱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20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690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청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내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레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입력하우징; 그리고, 상기 입력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음성인식모듈이 설치된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종래 가습기는 공기에 가습을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이고, 종래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 주 목적이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습 및 공기여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가습청정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 가습청정장치는 작동을 위해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되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정 내에 구비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고,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되는 각종 부가 기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습청정장치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가습청정장치를 음성으로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작동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의 음성인식모듈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동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의 음성인식모듈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습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의 음성인식모듈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자연어를 통해 가습청정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어셈블리를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동소음이 발생되는 워터링유닛 또는 송풍유닛과 멀리 떨어진 로어하우징에 입력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작동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이크가 배치된 입력어셈블리가 흡입구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습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는 로어베이스; 상기 로어베이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어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로어베이스와 이격되어 흡입구를 형성시키고, 내측에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여과유로가 배치된 로어바디 어셈블리;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흡입구에 위치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은,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 외부로 노출된 입력어셈블리;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 내부에 은닉된 스피커;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 및 스피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음성인식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어셈블리는,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에 조립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하우징;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을 통해 은닉되고,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하우징은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의 하단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어셈블리는, 상기 입력하우징을 관통하게 형성된 마이크수신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수신홀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입력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수신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입력하우징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와 후크결합되는 마이크결합부; 상기 입력하우징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가 체결고정되는 마이크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를 기준으로 상기 마이크결합부 및 마이크체결부는 각각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어셈블리는,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에 조립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하우징;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센서; 상기 입력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모콘센서의 전방에 배치되는 리모콘수신홀;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을 통해 은닉되고, 사운드를 수신하고, 상기 리모콘센서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마이크;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을 통해 은닉되고, 사운드를 수신하고, 상기 리모콘센서의 좌측에 배치된 우측 마이크; 상기 입력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 마이크의 전방에 배치된 좌측 마이크수신홀; 상기 입력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우측 마이크의 전방에 배치된 우측 마이크수신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는, 상기 로어베이스와 이격되고, 상기 로어베이스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형성시키는 로어하우징; 상기 로어하우징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공기를 상기 로어바디어셈블리 내부로 안내하는 로어하우징흡입구; 상기 로어베이스 및 로어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하우징을 지지하고, 상기 로어하우징 및 로어베이스를 이격시키는 로어레그; 상기 로어하우징의 외측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로어바디어셈블리의 외형을 형성하는 로어커버; 상기 로어하우징의 상측에 적층되고, 상기 로어커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하우징흡입구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는 상기 로어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하우징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피커 및 음성인식제어부는 상기 로어커버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하우징은, 상기 로어레그에 의해 지지되는 로어하우징바디; 상기 로어하우징바디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상기 로어하우징흡입구; 상기 로어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가 조립되는 음성인식모듈 설치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커버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커버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커버 하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는,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와 연속된 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하우징 측면지지부;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와 연속된 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하우징 하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는 상기 로어하우징바디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하우지바디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는 상기 로어하우징바디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어셈블리는, 상기 로어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하우징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하우징;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센서; 상기 입력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모콘센서의 전방에 배치되는 리모콘수신홀;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을 통해 은닉되고, 사운드를 수신하고, 상기 리모콘센서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마이크; 상기 입력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을 통해 은닉되고, 사운드를 수신하고, 상기 리모콘센서의 좌측에 배치된 우측 마이크; 상기 입력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 마이크의 전방에 배치된 좌측 마이크수신홀; 상기 입력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우측 마이크의 전방에 배치된 우측 마이크수신홀;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마이크수신홀, 우측 마이크수신홀 및 리모콘수신홀은 상기 흡입구의 높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수신홀에 노출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에 의해 가려지는 마이크센서; 상기 마이크센서를 상기 입력하우징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마이크센서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커버하는 실링패드; 상기 입력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실링패드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패드를 상기 입력하우징 측으로 가압하는 마이크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패드는 상기 마이크센서가 삽입되는 센서삽입홈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삽입홈은 상기 마이크수신홀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입력하우징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과 후크결합되는 마이크결합부; 상기 입력하우징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과 체결고정되는 마이크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은, 마이크하우징바디;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의 전면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패드가 삽입되는 마이크하우징삽입홈;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의 마이크결합부와 상호 결합되는 마이크하우징테두리;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하우징의 마이크체결부와 체결고정되는 마이크하우징체결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센서를 기준으로 상기 마이크결합부 및 마이크체결부는 각각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자연어를 통해 가습청정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마이크를 포함하는 입력어셈블리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작동소음이 발생되는 워터링유닛 또는 송풍유닛과 분리된 로어하우징에 입력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작동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마이크가 배치된 입력어셈블리가 흡입구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습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마이크가 로어커버 내부에 은닉되지만, 필터하우징의 공면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충분한 음량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입력어셈블리의 프론트하우징이 로어하우징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로어커버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어바디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로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어셈블리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I'를 따라 절단된 단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마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모듈과 음성서버의 데이터 처리관계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어바디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좌측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로어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입력어셈블리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I-I'를 따라 절단된 단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마이크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모듈과 음성서버의 데이터 처리관계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고, 유동되는 여과공기에 수분을 제공한 후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측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수조(300)는 에어워시모듈(200)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과 함께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별도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조(300)에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형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고, 공기의 유로 정확하게 구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는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를 거쳐 클린유로(104)로 유동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가습유로(106)와 연통되지만, 공기는 토출시키지 않고, 물만 급수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에어클린모듈의 구성>>>
먼저, 에어클린모듈(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 어셈블리(120),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및 로어베이스(1310)(이하, '베이스'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 및 로어바디 어셈블리(130)를 바디(120, 130)라고도 한다.
상기 로어베이스(1310)는 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로어베이스(1310) 상측에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및 어퍼바디 어셈블리(120)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상기 로어베이스(1310)와 이격되어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가 배치되고, 상기 로어베이스(1310) 및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사이에 흡입구(101)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 및 로어바디 어셈블리(130)는 조립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외형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상기 필터어셈블리(10) 및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에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키는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에 연결유로(103)의 일부가 배치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필터어셈블리(10) 및 송풍유닛(20)이 배치되는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 어셈블리(120)를 포함한다.
<<로어바디 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는, 상기 로어베이스(1310)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베이스(1310)와 이격되어 흡입구(101)를 형성하는 로어하우징(1320)과, 상기 로어베이스(1310) 및 로어하우징(13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하우징(1320)을 지지하고, 상기 로어하우징(1320) 및 로어베이스(1310)를 이격시키는 로어레그(1330)와, 상기 로어하우징(1320)의 외측을 감싸게 배치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로어커버(1340)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베이스(1310)는 가습청정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고, 지면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베이스(1310)는, 탑뷰로 볼 때 링 또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레그(1330)는, 하단이 상기 로어베이스(1310)에 조립되고, 상단이 로어하우징(1320)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레그(1330)는 사출성형을 통해 로어하우징(1320)과 일체로 제작된다. 그래서 상기 로어레그(1330)는 로어베이스(1310)와 조립된다.
상기 로어레그(1330)는 상기 로어베이스(1310) 및 로어하우징(13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레그(1330)를 통해 흡입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360도 전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로어레그(1330)를 통해 상기 로어하우징(1320) 상측에 배치된 전체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레그(1330)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로어하우징(1320)은,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공기를 필터어셈블리(10)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하우징(1320)에 필터어셈블리(10)가 조립된다. 상기 로어하우징(1320)에 후술하는 필터하우징(1200)이 조립된다.
상기 로어하우징(1320)은, 로어레그(1330)에 의해 지지되는 로어하우징바디(1322)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는 로어하우징흡입구(1321)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에 배치되고, 음성인식모듈(1400)이 조립되는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커버(1340)를 지지하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커버(1340)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는 탑뷰로 볼 때 링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로어하우징흡입구(1321)가 형성된다.
상기 로어하우징흡입구(1321)은 로어하우징바디(13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로어레그(1330)는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로어레그(1330)는 로어하우징바디(132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어레그(1330)는 별도로 제작된 후, 로어하우징바디(1322)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의 상측에 적층되고,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 및 필터하우징(1200)은 체결된다.
로어하우징바디(1322)가 필터하우징(1200)의 저면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하우징(1200) 및 로어하우징바디(1322)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는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이스바디(110)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음성인식모듈(1400)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은 음성인식모듈(140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를 설치홀이라고도 한다. 음성인식모듈(1400)은 홀 형태로 형성된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를 관통하고,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로어하우징바디(1322),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로어하우징(1320)의 전방 측 일부가 개구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로어하우징(1320)의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의 설치 시 상기 로어하우징(1320)과 연속된 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위해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걸림단(13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단(1325)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1325)는 음성인식모듈(1400)의 좌측 가장자리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걸림단(1325a)과,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의 우측 가장자리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걸림단(1325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림단(1325a) 및 제 2 걸림단(1325b) 사이에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단(1325a) 및 제 2 걸림단(1325b)의 상측 간격(S1) 보다 하측 간격(S2)이 더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의 연장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는 로어하우징바디(132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는 로어하우징바디(132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에 로어커버(1340)가 밀착된다.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휨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 로어하우징(1320) 또는 로어하우징바디(1322)를 플레이트라 할 수 있다.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는 로어하우징바디(132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로어하우징(1320)의 외측 가장자리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로어하우징바디(1322)의 일부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전방,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필터(14)가 삽입되는 후방 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는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1 로어커버지지부(1326a)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의 좌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2 로어커버지지부(1326b)와, 상기 로어하우징바디(1322)의 우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3 로어커버지지부(1326c)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로어하우징바디(1322)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의 상측에 상기 로어커버(1340)의 하단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로어하우징흡입구(1321)의 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는 제 1 로어커버지지부(1326a), 제 2 로어커버지지부(1326b) 및 제 3 로어커버지지부(1326c)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이 상기 로어하우징(1320)의 일부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의 외측면 중 일부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와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의 외측면 중 일부는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 및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의 일부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로어커버(1340)는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의 외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로어커버(1340)는 측면에 로어커버개구부(1341)가 형성된다. 상기 로어커버개구부(1341)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10)가 측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1340)는 로어하우징(1320) 상측면에 지지된다. 상기 로어커버(1340)의 내측면은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에 지지된다.
상기 로어커버(1340)는 로어하우징(1320) 또는 어퍼바디 어셈블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1340)는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구된다. 상기 로어커버(1340)는 개국된 상측면보다 개구된 하측면이 넓은 원통 형태이다.
상기 로어커버(1340)는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내부에 배치된 필터어셈블리(10) 및 송풍유닛(20)을 감싸 은닉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은 상기 로어커버(1340)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은 상기 로어하우징(1320) 하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로어커버(13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은 상기 로어커버(1340) 하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필터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1200)과,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200)에 삽입되고, 상기 필터하우징(12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14)와, 상기 필터(14)에 결합되고,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의 로어커버개구부(1341)를 차폐하는 필터커버(11)와,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상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필터하우징(12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안내하는 하우징탑커버(121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하측이 흡입유로(101)와 연통되고, 상측이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 내부에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필터하우징(1200)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거쳐 송풍유로(108)로 유동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필터하우징개구부(1201)를 통해 상기 필터(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필터하우징개구부(1201)는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필터하우징개구부(1201)는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의 로어커버개구부(1341)를 향해 배치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의 로어커버개구부(1341)을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14)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력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로어커버(1340)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상측면, 하측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된다.
상기 로어하우징(1320)이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하측면 일부를 차폐하고,상기 필터하우징(1200)과 조립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상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탑커버(1210)가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탑커버(121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송풍팬(2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탑커버(1210)는 상기 송풍팬(24)에 여과공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탑커버(121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하우징탑커버개구부(121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탑커버개구부(1212)는 필터하우징(1200)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탑커버개구부(1212)는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탑커버개구부(1212)에 탑커버그릴(1214)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탑커버개구부(1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탑커버가이드(1216)가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가이드(1216)는 탑뷰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탑커버가이드(1216)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여과공기를 송풍팬(24)으로 안내한다. 상기 탑커버가이드(1216)는 송풍팬(24)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송풍팬(24)으로 유동되는 여과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탑커버개구부(1212), 탑커버그릴(1214) 및 탑커버가이드(1216)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측면 일부가 개방되고, 이를 필터하우징개구부(1201)로 정의한다. 상기 필터하우징개구부(1201)는 로어커버개구부(1341)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커버개구부(1341)를 향해 배치된다. 필터(14)는 상기 로어커버개구부(1341) 및 필터하우징개구부(1201)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20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로어커버(1340) 내부에 위치되고, 로어커버(1340)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로어커버(1340)가 원통형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가습청정장치의 전장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를 제공하고, 이를 위해 프론트월(1220), 레프트월(1230), 라이트월(1240)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배면에 상기 필터하우징개구부(1201)가 형성된다.
외부에서 볼 때, 가습정청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정면을 판단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하우징개구부(1201)가 형성된 방향을 배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필터하우징개구부(1201)에 따라 나머지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필터하우징(1200)은, 프론트월(1220), 레프트월(1230) 및 라이트월(1240)과, 상기 프론트월(1220), 레프트월(1230) 및 라이트월(1240)과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월(1220), 레프트월(1230) 및 라이트월(1240)의 상측에 위치되고, 탑뷰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 하우징어퍼개구부(1202)와, 상기 프론트월(1220), 레프트월(1230) 및 라이트월(1240)과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월(1220), 레프트월(1230) 및 라이트월(1240)의 하측에 위치되고, 바텀뷰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 하우징로어개구부(1203)와, 상기 레프트월(1230) 및 라이트월(1240)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14)가 삽입되고, 상기 로어커버개구부(1341)을 향해 형성된 필터하우징개구부(1201)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월(1220), 레프트월(1230) 및 라이트월(1240)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월(1220)에 상기 필터(14)에 전원을 공급하는 필터전원공급부(1401)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전원공급부(1401)는 필터하우징개구부(1201)와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14)가 상기 필터하우징(120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필터전원공급부(1401) 및 필터(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전원공급부(1401)는 필터하우징개구부(1201)의 반대편인 정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14)가 필터하우징(1200)의 프론트월(1220)에 접촉되어야만 상기 필터(14) 및 필터전원공급부(140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월(1220)에는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의 스피커(1420)가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1420)는 로어커버(1340)에 의해 은닉된다. 상기 스피커(1420)는 정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1420)가 설치되는 프론트월(1220)에는 공명공간(1221)이 형성된다. 상기 공명공간(1221)은 정면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공명공간(1221)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프론트월(12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스페이스월(1222)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스월(1222)은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월(1220)을 공명공간(1221)의 리어월로 활용한다.
<<송풍유닛의 구성>>
상기 필터하우징(1200)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을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4)과 조립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을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24)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2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송풍팬(24)은 하우징탑커버(12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24)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하우징탑커버(1210)에 삽입된다.
<<어퍼바디 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 어셈블리(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172)는 여과유로(102)와 대략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에어가이드(17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2)는 안내부(172)와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부(17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 및 여과유로(102)의 전환각을 직진방향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72)의 하단이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된다. 상기 전환부(174)의 상측단이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고정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바깥쪽에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가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과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360도 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여과공기를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 또는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유입구(12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여과공기를 안내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도넛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 밀착된다.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측면과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측면이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70)와 결합 또는 밀착되는 어퍼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을 연결하는 이너바디연장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들 및 어퍼이너바디링(126) 사이에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대응된다. 상기 수조(300)의 거치 시,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의 내측에 수조바디연장부(380)가 위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 및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안밖으로 겹쳐진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과 밀착 또는 결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하단은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밀착 또는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의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로 안내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에어가이드(170)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은 에어가이드(17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에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되고,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다. 상기 수조(300)가 수조삽입공간(125)에 거치된 경우,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음성인식모듈의 구성>>
상기 음성인식모듈(1400)은, 베이스바디(110) 외부로 노출된 입력어셈블리(14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은닉된 스피커(142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1410) 및 스피커(1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어셈블리(1410) 및 스피커(1420)를 제어하는 음성인식제어부(143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어셈블리(1410)는, 로어바디(13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어셈블리(1410)는 정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입력어셈블리(1410)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420)는 필터하우징(1200)의 전면에 배치된 공명공간(1221)에 설치된다. 상기 공명공간(1221)은 전면을 향해 개방되기 때문에, 스피커(1420)에서 생성된 소리가 전방을 향해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420)는 필터하우징(1200)의 프론트월(1220)에 조립된다.
상기 스피커(1420)는 로어커버(1340)에 의해 숨겨지지만, 상기 공명공간(1221)을 통해 충분한 음량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는 필터하우징(12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는 필터하우징(1200)의 라이트월(1240)에 조립된다.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는 상기 스피커(1420) 및 입력어셈블리(1410)의 마이크(1460)를 제어한다.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는 마이크(1460) 및 스피커(1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는 음성서버(1000)와 유선네크워크 또는 무선네크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동어(예를 들어 "하이 엘지")를 포함한 음성을 말하면, 상기 마이크(1460)가 상기 기동어를 포함한 음성을 음성인식제어부(1430)에 전달하고,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는 전달된 음성신호를 음성서버(10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은 잡음을 제거하고, 기동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제어부(1430)는 상기 음성서버(100)로 자연어 음성을 전송한다.
상기 음성서버(1000)는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에 따라 가습청정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입력어셈블리(1410)는, 상기 로어하우징(1320)에 조립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하우징(1450)과, 상기 입력하우징(1450) 내부에 배치되고,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1460)와, 상기 입력하우징(1450) 내부에 배치되고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센서(147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1460)는 로어하우징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1460)는 로어하우징(1320) 및 로어베이스(1310) 사이에 형성된 흡입구(101)에 배치되기 때문에, 습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460)에 물이 침투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없다.
상기 마이크(1460)는 흡입구(101)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습기가 신속하게 증발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1460)는 작동소음이 발생되는 워터링유닛 또는 송풍유닛과 분리되기 때문에, 작동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460)가 송풍유닛(20) 주변에 배치되는 경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한 진동 또는 작동소음으로 인해 수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460)는 로어하우징(1320) 하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작동소음 또는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입력하우징(1450)은 로어바디 어셈블리(130)에 배치되고, 로어바디 어셈블리(130)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하우징(1450)은 로어하우징(13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입력하우징(1450)은 로어하우징(1320)의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를 관통하게 조립되고, 조립 시 상기 로어하우징(132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입력하우징(1450)은 로어하우징(13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고, 로어하우징(1320)의 걸림단(1325)에 상호 걸림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하우징(1450)의 상측면은 개구되고 나머지 면을 폐쇄된다.
상기 입력하우징(1450)의 개구된 상측면을 입력하우징 개구부(1411)로 정의한다. 상기 입력하우징 개구부(1411)를 통해 마이크(1460) 또는 리모콘 센서(1470)를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입력하우징 개구부(1411)는 필터하우징(1200) 및 로어커버(1340) 사이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입력하우징 개구부(1411)가 상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하우징(1450)은 정면을 향하게 배치된 프론트하우징(1480)과, 배면을 향하게 배치된 리어하우징(149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하우징(1490)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로어하우징(1320)과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리어하우징(1490)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로어하우징(132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 및 리어하우징(1490)의 사이에 상기 마이크(1460) 및 리모콘센서(1470)가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 및 리어하우징(1490)은 체결고정 또는 상호 걸림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 및 리어하우징(1490)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음성인식모듈 설치부(1324)에 조립된다.
상기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은 로어하우징바디(1322)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은,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와,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리모콘수신홀(1481)과,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1460)가 체결고정되는 마이크체결부(1483)와,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1460)가 밀착되고, 상기 마이크(146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마이크지지부(1484)와,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마이크수신홀(1485)과,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어커버 측면지지부(1326)와 연속된 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하우징 측면지지부(1486)와,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어커버 하단지지부(1327)와 연속된 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하우징 하단지지부(1487)와,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1460)와 후크결합되는 마이크결합부(1488)와,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어하우징(1490)과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1489)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은 로어하우징(1320)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로어커버(1340)에 지지되기 때문에, 송풍유닛(20)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1460)가 설치되는 프론트하우징(1480)은 로어하우징(1320) 하단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1460)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는 정면에서 볼 때 상측면이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모콘수신홀(1481)은 프론트하우징(148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리모콘수신홀(1481)에 투명창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수신홀(1481) 후방 측에 리모콘센서(1470)가 배치된다. 상기 리모콘센서(1470)는 리모콘의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은 프론트하우징(148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은 마이크(1460) 1개당 1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1460)가 2개 배치되는 바,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은 2개소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은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마이크센서(1462)를 지지하는 마이크센서지지부(148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센서지지부(1480a)는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센서지지부(1480a)는 마이크센서(1462)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의 후측단 및 마이크센서(1462) 사이에 갭(1480b)을 형성시킨다.
상기 리모콘수신홀(148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이크수신홀(1485)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면에서 볼 때, 리모콘 수신홀(1481)의 좌측에 배치된 마이크수신홀을 좌측 마이크수신홀로 정의하고, 리모콘 수신홀(1481)의 우측에 배치된 마이크수신홀을 우측 마이크수신홀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리모콘센서(1470)의 좌측에 배치된 마이크를 좌측 마이크로 정의하고, 리모콘센서(1470)의 우측에 배치된 마이크를 우측 마이크로 정의한다.
좌측 마이크 및 우측 마이크를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좌측 마이크, 우측 마이크 및 리모콘센서는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 후방에 상기 마이크(1460)가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은 관통된 상태로 개방된다.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의 후방은 상기 마이크(1460)가 밀착되어 폐쇄된다.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이 전방으로만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1460)로 노이즈가 입력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체결부(1483)에 마이크(1460)가 체결고정된다.
상기 마이크체결부(1483)는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마이크체결부(1483)는 마이크(14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결합부(1488)은 상기 마이크(146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결합부(1488) 및 마이크(1460)가 후크결합된 후, 상기 마이크체결부(1483) 및 마이크(1460)가 체결된다. 상기 마이크(1460)의 상측 및 하측이 각가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1460)를 프론트하우징바디(1482)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체결부(1483) 및 마이크결합부(1488)는 마이크(146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마이크체결부(1483) 및 마이크결합부(1488)가 상기 마이크(1460)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는 상기 마이크(1460)의 가장자리르 지지하고, 상기 마이크(1460)의 위치이동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는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 리브이다.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는 상기 마이크체결부(1483) 및 마이크결합부(1488)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는 마이크체결부(1483)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1460)의 상측단을 지지한다.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는 상기 마이크(1460)의 적어도 2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는 마이크(1460)의 상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마이크(1460)는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결합부(1488)와 후크 결합된다. 상기 마이크지지부(1484)는 마이크(1460)의 조립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1489)는 리어하우징(1490)과의 결합을 위하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결합부(1489)는 리어하우징(1490)과 후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결합부(1489)는 상부 양측 및 하부 양측에 각각 4개소가 배치된다.
<마이크의 구성>
상기 마이크(1460)는 마이크수신홀(1485)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1460)는, 전면이 상기 입력하우징(145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하우징)에 형성된 마이크수신홀(1485)에 노출되는 마이크센서(1462)와, 상기 마이크센서(1462)를 상기 입력하우징(1450)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상기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커버하는 실링패드(1464)와, 상기 입력하우징(145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실링패드(1464)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패드(1464)를 상기 입력하우징(1450) 측으로 가압하는 마이크하우징(1440)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센서(1462)는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으로 돌출된 마이크센서지지부(1480a)에 밀착되고, 상기 마이크센서지지부(1480a)에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마이크센서(1462)는 상기 마이크수신홀(1485)의 후단과 갭(1480b) 만큼 이격된다.
상기 실링패드(1464)는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싼다. 이를 위해 상기 실링패드(1464)는 마이크센서(1462)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센서(1462)는 상기 실링패드(1464)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링패드(1464)는 상기 마이크센서(1462)가 삽입되는 센서삽입홈(1465)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삽입홈(1465)는 전면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실링패드(1464)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센서(1462)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실링패드(1464)는 이물질 또는 습기가 상기 마이크센서(1462)로 유이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실링패드(1464)의 전면은 상기 프론트하우징바디(1482)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실링패드(1464)의 전면과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전면은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패드(1464)는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결선을 위한 케이블채널(1464a)가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케이블이 후방측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센서(1462)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케이블채널(1464a)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채널(1464a)은 상기 실링패드(1464)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블채널(1464a)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1440)은,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와,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의 전면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마이크하우징삽입홈(1441)과,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의 마이크결합부(1488)와 상호 결합되는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와,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1480)의 마이크체결부(1483)와 체결고정되는 마이크하우징체결부(1443)과, 상기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센서(1462)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마이크하우징채널(1444)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삽입홈(1441)은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에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삽입홈(1441)에 실링패드(1464)의 후방측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 내측에 실링패드(1464)의 전방측이 삽입되는 패드홈(1449)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홈(1449)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는 프론트하우징(1480)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패드홈(1449)이 상기 마이크하우징삽입홈(1441)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삽입홈(1441)에 상기 마이크센서(1462)가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는 마이크하우징(144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144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의 면적이 상기 마이크하우징(1442)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테두리 형상이다.
상기 마이크하우징채널(1444)은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의 상측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채널(1444)은 상기 케이블채널(1464a)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채널(1464a)과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는 마이크하우징바디(1442) 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이 후단에 상기 마이크결합부(1488)이 걸림고정된다.
상기 마이크결합부(1488)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마이크하우징테두리(1448)의 배면에 걸림고정된다.
상기 마이크하우징체결부(1443)는 마이크하우징바디(144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상기 마이크하우징체결부(1443)는 마이크체결부(1483)와 체결고정되고, 상기 마이크체결부(1483)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에어워시모듈의 구성>>
다음으로, 에어워시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유로(106)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외측 가장자리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표시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구성을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조바디연장부(380)를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일부는 수조(300)에 배치하고,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나머지는 비주얼바디(210)에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과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에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고, 수조(300)에도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배치한 후, 이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에어워시모듈(200)의 측부에 배치되고,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대신 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레인뷰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 어셈블리(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 어셈블리(120)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유로(106) 입구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가습유로(106) 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출구와 토출유로(107)의 입구는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연결유로(103),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는 덕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유로(106)를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 사이로 정의할 경우,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가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하우징(150) 및 수조가습매체(51) 사이로 정의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토출가습매체(55) 이후로 정의된다.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300)의 에어워시유입구(31)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동일 평면상, 바깥쪽, 또는 안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가습을 위해 물이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은 상기 수조(3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이 상기 수조(300) 외부로 흘러내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고,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는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가습유로(106)의 출구 또는 토출유로(107)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한 후, 토출유로(107)로 유동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4)

  1. 내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레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입력하우징; 그리고,
    상기 입력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설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하우징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가습청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방향에서 상기 설치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걸림단 및 제2 걸림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하우징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방향에서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제1, 2 걸림단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습청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걸림단은, 상하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진 가습청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고,
    상기 입력하우징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형상을 갖는 가습청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커버;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 하단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하단지지부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을 마주하는 제1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하우징은,
    상기 제1 하단지지부와 연속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커버의 하단을 마주하는 제2 하단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측면지지부와 연속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을 마주하는 제2 측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된 리어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하우징은, 상기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기 리어하우징에 결합하는 프론트하우징을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입력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함몰된 공간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우징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가습청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커버;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과 상기 커버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마이크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가습청정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스페이스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한 쌍의 스페이스벽 사이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하우징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하우징탑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유로가 배치된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유닛;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워터링유닛; 그리고,
    상기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구를 형성하는 탑커버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KR1020210053772A 2019-01-08 2021-04-26 가습청정장치 KR10248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72A KR102486865B1 (ko) 2019-01-08 2021-04-26 가습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077A KR102246903B1 (ko) 2019-01-08 2019-01-08 가습청정장치
KR1020210053772A KR102486865B1 (ko) 2019-01-08 2021-04-26 가습청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077A Division KR102246903B1 (ko) 2019-01-08 2019-01-08 가습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477A true KR20210048477A (ko) 2021-05-03
KR102486865B1 KR102486865B1 (ko) 2023-01-09

Family

ID=8489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72A KR102486865B1 (ko) 2019-01-08 2021-04-26 가습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99A (ko) * 2013-05-2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70051233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180097180A (ko) * 2017-02-21 2018-08-31 (주)세화하이테크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및 시스템
KR20180123382A (ko)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경동원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99A (ko) * 2013-05-2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70051233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180097180A (ko) * 2017-02-21 2018-08-31 (주)세화하이테크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및 시스템
KR20180123382A (ko)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경동원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865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037B1 (ko) 가습청정장치
JP7069010B2 (ja) 加湿清浄装置
US1009458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8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05432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22951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71265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921535B1 (ko) 가습청정장치
US10215433B2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1880484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939087B1 (ko) 가습청정장치
US20170122603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381724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246903B1 (ko) 가습청정장치
KR20180109223A (ko) 가습청정장치
KR20210048477A (ko) 가습청정장치
EP3916318A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59310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19346B1 (ko) 가습청정장치
KR20180009215A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039B1 (ko) 가습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