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877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877A
KR20100113877A KR1020090032416A KR20090032416A KR20100113877A KR 20100113877 A KR20100113877 A KR 20100113877A KR 1020090032416 A KR1020090032416 A KR 1020090032416A KR 20090032416 A KR20090032416 A KR 20090032416A KR 20100113877 A KR20100113877 A KR 20100113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unit
air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444B1 (ko
Inventor
심호진
이성화
박태병
박성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44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와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실내기 본체, 및 실내기 본체에 부착되어 해충을 퇴치시키는 해충퇴치기를 포함하고, 해충 퇴치기는, 해충의 종류를 감지하는 해충 종류 감지부와, 감지된 해충 종류에 따른 기피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해충퇴치기 제어부와, 펄스 신호의 레벨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레벨 증폭된 펄스 신호를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해충을 퇴치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0032416
공기조화기, 실내기, 해충퇴치기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각종 해충(파리, 모기, 진드기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기후 조건이 유지되게 된다.
공기조화기의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복잡화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공기조 화는 물론, 해충 퇴치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 종류에 따라 음파 신호에 의해 효율적으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충 종류가 복수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효율적으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파 신호의 주파수 변경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와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실내기 본체, 및 실내기 본체에 부착되어 해충을 퇴치시키는 해충퇴치기를 포함하고, 해충 퇴치기는, 해충의 종류를 감지하는 해충 종류 감지부와, 감지된 해충 종류에 따른 기피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해충퇴치기 제어부와, 펄스 신호의 레벨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레벨 증폭된 펄스 신호를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해충 종류를 감지 하고 감지된 해충에 맞추어 해당하는 기피 주파수의 음파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해충을 퇴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충 종류가 복수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출력함으로써, 효율적인 퇴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펄스폭 변조에 기초하여, 음파 신호를 출력하므로, 간단하고 정확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본체(2)와, 해충퇴치기(100)를 포함한다.
실내기 본체(2)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와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4)로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공기 토출구(6)를 통해 토출하는 공조부로서,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도 가능하고, 천정향 공기조화기도 가능하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내기 본체(2)는, 섀시(10)와, 프론트 프레임(20)과, 흡입 그릴(21)과, 프 론트 패널(28)과, 토출 유닛(30)을 포함한다.
실내기 본체(2)는, 공기 흡입구(4)가 실내기 본체(2)의 전면과 상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가 실내기 본체(2)의 하면에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28)이 전방으로 전진되거나 상부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실내기 본체(2)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 흡입구(4)가 실내기 본체(2)의 상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가 실내기 본체(2)의 하면에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28)이 실내기 본체(2)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공기 흡입구(4)가 실내기 본체(2)의 상부 특히 실내기 본체(2)의 상면측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6)가 실내기 본체(2)의 하부 특히 실내기 본체(2)의 하면측에 형성되며, 프론트 패널(28)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실내기 본체(2) 내부의 서비스 등을 위해 상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섀시(10)는, 실내의 벽에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로가 형성되며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일종의 케이스이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섀시(10)의 전방에 배치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상면과 전면에 개구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상면 개구부가 공기 흡입구(4)로 작용하고, 전면 개구부(5)가 후술하는 필터의 착탈이나 서비스 등을 위한 서비스 홀로 작용한다.
흡입 그릴(21)은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게 하면서 그 하측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프론트 프레임(20)의 상면 개구부인 공기 흡입구(4)에 그릴 형상으로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실내기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것으로서, 섀시(10)와 프론트 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부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섀시(10)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공기 토출구(6)로 안내하는 송풍 유로 가이드(12)가 형성되고, 송풍 유로 가이드(12)의 좌,우 중 하나의 옆에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13)가 형성된다.
섀시(10)에 형성된 송풍 유로 가이드(12)는 후술하는 팬(54)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섀시(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가이드(15)(16)와, 좌,우 가이드(15)(16) 사이의 중앙 가이드(17)를 포함하고, 좌,우 가이드(15)(16) 중 하나에는 열교환기(6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설치된다.
섀시(10)에 형성된 전장부(13)에 후술하는 팬모터(52)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모터 설치부(14)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장부(15)에 컨트롤 박스(70)가 배치되고, 컨트롤 박스(70)에는, 후술하는 송풍기(50)의 팬모터(52) 및 풍향조절장치의 풍향조절 구동부(35) 등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72)와, 해충퇴치기(100)를 제어하는 후술하는 해충퇴치기 제어부(180)가 함께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와 함께 송풍 유로를 형성하고, 섀시(10)에 형 성된 전장부(13)를 보호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2) 전방에 전면 개구부(5)가 전후 개구 형성되고,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2) 전방 상측에 상면 개구부(4)가 상하 개구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상면에 후술하는 열교환기(6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부(32)가 형성되고, 드레인부(32)에는 응축수를 실내기 본체(2)의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연결 호스(33)가 연결되며, 드레인부(32)의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개구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에는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가 설치된다.
풍향조절장치는,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풍향을 조절하도록 실내기 본체(2) 특히 토출 유닛(30)에 회전되게 배치된 풍향조절부(34)와, 풍향조절부(34)를 회전시키는 풍향조절 구동부(35)를 포함한다.
풍향조절부(34)는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향으로 조절하는 좌우 풍향조절부와,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하는 상하 풍향조절부를 포함한다.
풍향조절부 구동부(35)는 좌우 풍향조절부에 연결되어 좌우풍향조절부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하 풍향조절부에 연결되어 상하 풍향조절부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풍향조절부 구동부(35)는 토출 유닛(30)의 좌,우 중 일측면에 설치된 풍향조 절모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4)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기 본체(2)의 내부를 통하도록 한 후 공기 토출부(6)로 토출시키는 송풍기(50)와, 실내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0)를 포함한다.
송풍기(50)는, 새시(10) 특히, 전장부(13)에 형성된 모터 설치부(14)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팬모터(52)와, 팬모터(5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유로 가이드(12)에 위치되는 팬(54)과, 팬모터(52)를 덮도록 섀시(10)에 설치되는 모터 커버(56)를 포함한다.
팬(54)은, 유로 가이드(15)(16)(17) 특히 좌,우 유로 가이드(15)(16)의 사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60)는, 공기 흡입부(4)와 팬(5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실내기 본체(2)의 공간 특히,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부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그 하단은 드레인부(32)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60)는 드레인부(32)의 상측에 수직하게 위치된 수직부(62)와, 수직부(62)의 상측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 경사부(64)와, 전방 경사부(64)의 상부에서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후방 경사부(6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실내기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80)와, 필터(80)가 장착되는 필터 프레 임(90)을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90)은 공기 흡입구(4)와 열교환기(6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고 필터(80)가 배치되는 개구부(91)가 형성된다.
해충퇴치기(100)는, 공기조화기가 공조시키는 실내에 위치하는 모기 등의 해충을 제거 혹은 유도하는 것으로서, 실내기 본체(2)에 부착된다.
해충퇴치기(100)는, 모기 등의 해충이 기피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102)를 구비한다. 또한, 해충퇴치기(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해충퇴치기 제어부(180), 증폭부(185), 및 해충의 종류를 감지하는 해충 종류 감지부(190)를 더 포함한다.
해충퇴치기(100)의 출력부(102)는, 전기 신호를 음파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출력부(102)는, 실내기 본체(2)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기 본체(2)에 무빙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실내기 본체(2)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4는 해충퇴치기의 출력부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해충퇴치기(100)의 출력부(102)는, 공기 토출구(6)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해충퇴치기(100)의 출력부(102)가 풍향조절부(34)에 의해 덮힌 상태로 배치되므로, 풍향조절부(34)가 오픈되어 공기 토출구(6)가 오픈되는 경우에만 노출되어, 효율적이면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해충퇴치기(100)의 출력부(102)는, 공기 토출구(6)의 좌측 및 우측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풍향조절부(34)가 오픈되어 공기 토출구(6)가 오픈되는 경우에만 노출되어, 효율적이면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부(102)에서 출력되는 음파 신호의 레벨이 더 높아져, 해충 퇴치에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한편, 해충퇴치기(100)로 복수개의 출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각 출력부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 신호가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는, 풍향조절부(34)가 오픈되어 공기 토출구(6)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때 해충퇴치기(100)의 출력부(102)에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에서, 공기 토출구(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실내기 동작 여부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0)와 해충퇴치기(100)를 포함한다.
실내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28)과, 프론트 패널(28)의 일측면에 배치된 공기 흡입구(4)와, 프론트 패널(28)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공기 토출구(6)와,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며,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하는 풍향조절부(34)를 포함하는 실내기 본체(2)를 구비한다.
또한, 실내기(200)는, 팬모터(52)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50)와, 풍향조절모터(35)에 의해 구동되는 풍향조절부(34),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 교환기(60), 실내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72), 사용자로부터 각종 운전 지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20), 및 음파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30)를 더 포함한다.
실내기 제어부(72)는, 실내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과 같은 입력부(220)로부터 공기조화기의 운전 신호가 수신되면, 실내기 제어부(72)는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실외기(300) 내의 실외기 제어부(310)와의 통신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미도시)가 구동되도록 한다.
실내기 제어부(72)는, 실외기의 압축기(미도시) 구동에 따라, 실내기의 송풍기(50)가 동작하도록 팬모터(52)를 제어하며, 풍향조절부(34)를 개방하도록 풍향조절모터(35)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기(60)에서 열교환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게 한다.
한편, 실내기 제어부(72)는, 해충퇴치기(100) 내의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로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작 신호는, 입력부(220)로부터 실내기 운전지령이 입력되거나 해충퇴치 동작지령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하여 출력될 수 있다. 즉, 해충퇴치기(100)는, 실내기의 운전 모드인 경우 또는 실내기 운전이 되지 않고 단지 별도로 음파 신호만 출력하는 해충퇴치 모드인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해충퇴치기(100)는, 해충 종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해충이 기피하는 기피 주파수의 음파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해충을 퇴치할 수 있게 된다.
해충의 종류로는 파리, 모기, 진드기, 나방, 날파리 등이 있다. 또한, 파리, 모기의 종류도 다양하게 분포된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 기술하는 해충의 종류 감지는, 파리, 모기, 진드기, 나방, 날파리 등의 감지는 물론, 예를 들어, 파리 또는 모기의 종류 감지 등도 포함된다.
해충퇴치기(100)는, 감지된 해충의 종류에 따라 기피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기피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각종 해충들이 기피하는 초음파의 주파수 대역으로, 20kHz 내지 100kHz의 주파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주파수 대역 내에서, 파리, 모기, 진드기, 나방, 날파리 각각이 기피하는 기피 주파수는 서로 다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기피 주파수를 달리하여 음파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기피 주파수 대역으로, 감지된 해충의 수컷 날개음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컷 날개음의 주파수는 대략 200Hz 내지 600Hz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뇌염모기나 빨간 집모기의 수컷 날개음 주파수는 250Hz 내지 400Hz, 말라리아 모기의 수컷 날개음 주파수는 300Hz 내지 600Hz, 이집트숲모기의 수컷 날개음 주파수는 대략 600Hz이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해충퇴치기(100)는, 출력부(102), 해충퇴치기 제어부(180), 증폭부(185), 및 해충 종류 감지부(190)를 포함한다.
해충 종류 감지부(190)는 해충의 종류를 감지한다. 해충 종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에 활동하는 해충의 크기를 대략 감지하고, 이에 따라 해충의 종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에서 활동하는 해충의 날개음, 특히 암컷의 날개음을 감지하고, 날개음의 주파수를 검출하 여, 해충 종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입력부(220) 또는 실내기 제어부(72)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한다. 즉,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대략 5V 정도의 전원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그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해충 종류에 따라 기피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해충퇴치기 제어부(180)에 수신되는 동작 신호는, 리모콘 등의 입력부(220)로부터 직접 수신되는, 실내기 운전 동작 신호 또는 해충 퇴치 동작 신호일 수 있다. 또한, 해충퇴치기 제어부(180)에 수신되는 동작 신호는, 실내기 제어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실내기 운전 동작 신호 또는 해충 퇴치 동작 신호일 수 있다.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기피 주파수 가변을 위해, 펄스 신호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단히 기피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검출부(440)에서 복수의 주파수가 검출되는 경우, 검출되는 주파수의 개수에 따라,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기피 주파수 발생을 위해 해당하는 펄스를 출력하도록 펄스폭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펄스폭 변조에 따라 가변되는 펄스폭에 따라 서로 다른 기피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가 생성된다. 특히, 펄스폭이 커질수록 생성되는 펄스 신호의 기피 주파수는 높아지게 된다.
증폭부(185)는, 해충퇴치기 제어부(180)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레벨을 증폭한다. 증폭부(185)는, OP amp,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02)는, 레벨 증폭된 펄스 신호를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출력부(102)는,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102)는 스피커로서, 금속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음파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해충퇴치기 제어부(180)와 증폭부(185)는 동일 기판 상에 실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증폭부(185)와 출력부(102)는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배선은, 증폭부(185)에서 증폭되는 펄스 신호를 출력부(120)에 전달하는 펄스 신호 전송 배선, 및 출력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 기판 상에 실장된 해충퇴치기 제어부(180)와 증폭부(18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 제어부(72)가 실장된 기판과 함께 컨트롤 박스(70)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내기 제어부(72)는, 해충퇴치기(100)에서 음파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해충퇴치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파 신호는, 가청대역이 아닌, 20kHz 내지 100kHz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해충퇴치기의 동작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표시부(230)를 통해 음파 신호의 출력 여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230)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 등을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해충퇴치기(100)에서 음파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표시부(230)는 다양한 예로 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230)는, 음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비례하여 단위 시간당 발광 횟수가 커지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발광량이 커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음파 신호의 발생 여부는 물론, 대략 음파 신호의 주파수의 크기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증폭부(185)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펄스 신호의 레벨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 동작으로 판단하여, 해충퇴치기 제어부(180)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5의 해충 종류 감지부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해충 종류 감지부(190)는, 해충의 날개음을 감지하는 날개음 감지부(410)와, 감지된 날개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부(440)를 포함한다.
날개음 감지부(410)는, 해충의 날개음을 감지한다. 특히, 실내에서 사람이나 동물이 피를 흡혈하는 산란기의 암모기의 날개음을 감지할 수 있다.
날개음 감지부(410)는, 진동 소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파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415)과, 변환된 전기 신호 중 소정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만을 출력하도록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 통과 필터(425)를 포함한다.
이러한 날개음 감지부(410)는, 실내기 본체(2)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풍향조절부(34)가 오픈되어 공기 토출구(6)가 오픈되는 경우에만 노출되도록 실내기 본체(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 본체(2)와 이격되어 실내 공간에 별도로 배 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날개음 감지부(410)는 해충 퇴치기 제어부(18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날개음 감지부(410)는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이크로폰(415)은,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의 음파 신호를 수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폰(415)은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소자에 의해 수집된 음파 신호가 진동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폰(415)은, 결과적으로 출력부(102), 즉 스피커와 상반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역 통과 필터(425)는, 소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충 종류 감지부(190)는, 해충의 날개음, 특히 날개음의 주파수를 검출함으로써 해충의 종류를 감지하므로, 해충의 날개음 이외의 음파 신호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날개음 감지부(410)는, 대역 통과 필터(425)를 포함한다. 대역 통과 필터(425)는 수동 소자, 예를 들어, 저항과 커패시터 등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이컴 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대역 통과 필터(425)에 의해 통과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은, 해충의 날개음의 주파수로서, 200Hz 내지 600Hz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파수 검출부(440)는, 감지된 날개음의 주파수를 검출한다. 주파수 검출부(440)는, 예를 들어 타이머 카운터(timer counter)를 포함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이컴 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 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주파수 검출부(440)에서 복수의 주파수가 검출되는 경우, 이에 따라 해충 종류 감지부(190)에서 복수의 해충을 감지하는 경우,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주파수 중 그 레벨이 가장 큰, 즉 계수(coefficient)가 가장 큰 주파수의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해충에 의한 날개음을 감지하여, 복수의 해충을 감지하는 경우, 그 날개음의 레벨이 가장 커서, 감지된 주파수의 레벨이 가장 큰, 즉 계수가 가장 큰 주파수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대표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해충 종류 중 실내에 가장 크게 분포하는 해충을 가장 먼저 퇴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파수 검출부(440)에서 복수의 주파수가 검출되는 경우,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검출된 복수의 주파수에 따라 그대로 복수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해충퇴치기 제어부(180)는, 펄스폭 변조에 의해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출력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해충 퇴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해충의 종류를 감지한다(S710). 해충 종류 감지부(190)는 실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충의 종류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해충 종류 감지부(190)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해충의 크기에 따라 해충외 종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해충의 날개음을 감지하고 감지된 날개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충의 종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날개음 감지시, 실내의 다른 음파를 제거하기 위해 대역 통과 필터(425)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감지된 해충의 종류에 따라 기피 주파수를 결정한다(S720). 해충 퇴치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해충의 종류에 따라 기피 주파수를 결정한다. 기피 주파수는 초음파 대역의 기피 주파수 또는 산란기의 암컷 모기가 수컷의 날개음을 기피하는 현상을 이용한 수컷 날개음 기피 주파수일 수 있다. 초음파 대역의 기피 주파수는 대략 20kHz 내지 100kHz의 주파수일 수 있으며, 수컷 날개음의 주파수는 대략 200Hz 내지 600Hz의 범위일 수 있다. 해충 퇴치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해충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초음파 대역의 기피 주파수 또는 해당하는 수컷 날개음의 기피 주파수를 결정한다.
다음, 결정된 기피 주파수의 음파 신호를 출력한다(S730). 해충 퇴치기 제어부(180)는, 결정된 기피 주파수에 따라, 해당하는 펄스 폭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며, 증폭부(185)는 펄스 신호의 레벨을 증폭하게 되며, 출력부(102)는, 전기 신호인 레벨 증폭된 펄스 신호를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충 퇴치기 제어부(180)에서 결정된 기피 주파수의 음파 신호가 실내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감지된 해충의 종류에 따라 능동적으로 해충의 퇴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해충퇴치기의 출력부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해충 종류 감지부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72...실내기 제어부 100...해충퇴치기
102...출력부 180...해충퇴치기 제어부
185...증폭부 190...해충 종류 감지부
220...입력부 230...표시부
410...날개음 감지부 440...주파수 검출부

Claims (12)

  1.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와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실내기 본체; 및
    상기 실내기 본체에 부착되어 해충을 퇴치시키는 해충퇴치기;를 포함하고,
    상기 해충 퇴치기는,
    해충의 종류를 감지하는 해충 종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해충 종류에 따른 기피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해충퇴치기 제어부와, 상기 펄스 신호의 레벨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레벨 증폭된 펄스 신호를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종류 감지부는,
    해충의 날개음을 감지하는 날개음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날개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주파수에 따라 해충 종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음 감지부는,
    진동 소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파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 중 소정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만을 출력하도록,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주파수 대역은,
    200Hz 내지 6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피 주파수는,
    20kHz 내지 100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 종류 감지부의 주파수 검출부에서 복수의 주파수가 검출되는 경우, 계수(coefficient)가 가장 큰 주파수의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 종류 감지부의 주파수 검출부에서 복수의 주파수가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복수의 주파수에 따라 복수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기는,
    상기 복수의 펄스 신호에 따른 복수의 음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주파수에 따라 펄스폭 변조에 의해 상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실내기 제어부를 통해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는,
    실내기 운전 동작 신호 또는 해충 퇴치 동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32416A 2009-04-14 2009-04-14 공기조화기 KR101557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16A KR101557444B1 (ko) 2009-04-14 2009-04-1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16A KR101557444B1 (ko) 2009-04-14 2009-04-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77A true KR20100113877A (ko) 2010-10-22
KR101557444B1 KR101557444B1 (ko) 2015-10-06

Family

ID=4313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416A KR101557444B1 (ko) 2009-04-14 2009-04-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4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711A (ko) * 2013-08-14 2015-02-25 권혁진 해충 퇴치 방법
US20200113164A1 (en) * 2015-02-25 2020-04-16 C.A.A. "Giorgio Nicoli" S.r.l. Device for monitoring and catching insects of the culicidae population
CN114383296A (zh) * 2021-12-20 2022-04-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的方法、装置及空调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292A (ja) 2002-05-27 2003-12-02 Noritz Corp 蚊セン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711A (ko) * 2013-08-14 2015-02-25 권혁진 해충 퇴치 방법
US20200113164A1 (en) * 2015-02-25 2020-04-16 C.A.A. "Giorgio Nicoli" S.r.l. Device for monitoring and catching insects of the culicidae population
CN114383296A (zh) * 2021-12-20 2022-04-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的方法、装置及空调
CN114383296B (zh) * 2021-12-20 2023-08-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的方法、装置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444B1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838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717518B1 (ko) 공기조화기
EP2417399B1 (en) Air conditioner
KR101482134B1 (ko) 공기조화기
KR20140136199A (ko) 공기 조화기
KR101557444B1 (ko) 공기조화기
KR101611324B1 (ko) 공기조화기
KR20100118165A (ko) 공기조화기
KR101556977B1 (ko) 공기조화기
KR20100113882A (ko) 공기조화기
KR20110031707A (ko) 공기조화장치
KR101588741B1 (ko) 공기조화장치
KR20110031704A (ko) 공기조화장치
JP3141914U (ja) エアーカーテン装置
CN213019950U (zh) 空调器及其室内机
JP2018080881A (ja) 室内ユニット
KR101531180B1 (ko) 공기조화기
KR10155697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999848B1 (ko) 공기 조화기
KR20110031703A (ko) 공기조화장치
CN116642221A (zh) 灭蚊装置、空调器以及控制方法
KR20110026262A (ko) 공기조화기
KR2010011196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10026261A (ko) 공기조화기
KR20100111965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