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226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226B1
KR101768226B1 KR1020110001256A KR20110001256A KR101768226B1 KR 101768226 B1 KR101768226 B1 KR 101768226B1 KR 1020110001256 A KR1020110001256 A KR 1020110001256A KR 20110001256 A KR20110001256 A KR 20110001256A KR 101768226 B1 KR101768226 B1 KR 10176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ignal input
input unit
hous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914A (ko
Inventor
이정우
오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2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수용되며, 공기를 흡토출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송풍팬이 수용되는 영역에서 상기 공기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의 소음을 감지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감지된 소음의 반대 위상 음파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공기 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제 1 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신호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와 제 2 신호 입력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음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설치 모습에 따라,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용량에 따라,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가정집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와,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 제공될 수 있다. 팬이 구동되면, 상기 공기는 공기 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되며, 열교환된 공기는 공기 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 중에 발생하는 유동 소음 또는 팬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팬 소음등은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는,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1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열교환기(15)가 수용되는 하우징 본체(11) 및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하부에 제공되며 송풍팬이 안착되는 팬 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5)는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상부 내측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5)의 배치 구조에 의하여,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열교환기(15)를 중심으로 구획되며,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를 관통하여 유동하는 과정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에는, 열교환기(15)를 거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8)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8)는 상기 열교환기(15)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이 구동되면, 공기 조화기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을 거쳐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열교환기(15)를 통과한 후 토출부(18)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상부측, 즉 상기 열교환기(15)가 배치되는 부분의 두께(TH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하부측, 즉 상기 팬 안착부(12)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TH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11)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위치에 따라 그 폭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공기 유로는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가지게 된다.
결국,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소음량이 커지고, 소음이 다방향으로 분산되어 제어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팬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는 공기 유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소음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수용되며, 공기를 흡토출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송풍팬이 수용되는 영역에서 상기 공기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의 소음을 감지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감지된 소음의 반대 위상 음파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공기 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제 1 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신호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와 제 2 신호 입력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폭은, 상기 공기 유로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신호 입력부 및 신호 출력부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감지된 소음에 대한 반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DSP 모듈; 및 상기 반전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토출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벽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단순화하여 음장(音場)이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소음저감을 위한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동소음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소음의 위상과 반대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소음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어 공기 조화기의 작동중에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제공되어 공기 조화기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패널(110)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스탠딩 타입의 실내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체형 공기 조화기 또는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본체(100)에는,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105)가 포함된다. 상기 측면부(105)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130)가 제공된다.
상기 전면 패널(100)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5)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부(105)의 내측에는, 공기 유로를 규정하는 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본체(100)의 형상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0)의 하부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161,162)이 포함된다. 상기 구동 유닛(161,162)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161) 및 상기 팬 모터(161)의 구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송풍 팬(162)이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162)은 상기 팬 모터(16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62)은 원심팬으로서, 일례로 시로코팬(siroco fan)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구동 유닛(161,162)의 축 방향(팬 모터 방향)으로 흡입되어 상기 송풍팬(162)의 원주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0)의 하부 내측에는,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70)가 제공된다. 상기 열교환기(170)는 상기 구동 유닛(161,162)의 후측에 세로 방향으로, 또는 상기 하우징(15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열교환기(170)는 상기 하우징(150)의 적어도 일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하우징(15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0)를 거치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토출부(130)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우징(150)의 구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50)에는, 하우징 본체(151)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공기 유로(159)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로(159)는 공기 유동을 위한 하우징 본체(151)의 내부 공간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에는, 상기 구동 유닛(161,162)이 안착되는 결합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결합부(156)는 상기 구동 유닛(161,162)과 대응되도록 개구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상기 결합부(156)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에는, 상기 구동 유닛(161,162)을 거친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에어 가이드(154)가 포함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154)는 상기 결합부(156)의 상측에 배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154)에 의하여, 상기 공기 유로(159)의 단면적은 상방을 향하여 더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상부에는, 공기가 하우징(15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개구부(158)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 개구부(158)는 상기 토출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전후 방향 폭은 일정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56)의 전후 방향 폭은 TH1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51) 상부의 전후 방향 폭은 TH2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상부라 함은, 상기 토출 개구부(158)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TH1과 TH2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151)는 그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전후 방향 폭(두께)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유로(159)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공기 유로의 폭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본체(151)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공기 유로를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 즉 단순한 음장(音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즉, 공기 유로(159)의 단면적이 급변하거나, 하우징 본체(151)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공기 유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공기가 하우징(150)의 하부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1차원적인 유동을 할 수 있게 되어 공기 유동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소음 저감장치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벽(151a)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벽(151b)이 포함된다. 상기 전벽(151a)과 후벽(151b)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열교환기(170)는 상기 후벽(151b)의 내측에서, 상기 후벽(151b)에 나란하게 또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170)의 배치 구조에 의하여,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0)를 따라 상방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70)는 상기 공기 흡입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170)가 상기 공기 유로(159)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70)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 유동이 상기 열교환기(170)에 의하여 방해되거나 꺽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에는, 유동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제 1 신호 입력부(181), 스피커(187) 및 제 2 신호 입력부(188)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81), 스피커(187) 및 제 2 신호 입력부(188)는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순서대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81), 스피커(187) 및 제 2 신호 입력부(188)는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차례대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81), 스피커(187) 및 제 2 신호 입력부(188)는 상기 후벽(151b)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각 구성(181,187,188)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81) 및 제 2 신호 입력부(188)는 유동 소음 정보(소리의 크기 또는 주파수)를 감지하며, 상기 스피커(187)는 소정 파장의 인공음을 출력하여, 유동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피커(187)는 "신호 출력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정 파장은 상기 유동 소음의 파장에 대하여 반대 파장(위상)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156)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토출 개구부(158)의 하측까지의 거리(L)는 약 50cm 이상이 유지될 수 있다. 유동 공기에 대한 소음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상쇄하기 위한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소한의 유로 길이는 50cm 정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장치(18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180)에는, 유동 공기의 소음 정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신호 입력부(181)와,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81)에서 감지된 소음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인공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출력부(182) 및 유동 공기의 소음과 인공음의 중첩된 결과(중첩된 이후 존재하는 소음신호)를 확인하기 위한 제 2 신호 입력부(188)가 포함된다.
상기 소음 저감장치(180)는 소정의 소음 신호에 대하여 역위상인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소음신호를 감소시키는 능동소음 제어방법(Active Noise Control : ANC)을 활용한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81)에는,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를 통과하는 유동 공기, 즉 상기 흡입부(120)로부터 토출부(130)까지 유동하는 공기의 소음은 대개 300-500Hz의 저주파 대역을 형성한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유동 공기의 소음에 해당하는 음압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소음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5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 양호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출력부(182)에는,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81)에서 감지된 소음의 위상에 반대되는 신호(반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DSP 모듈(183)과, 상기 반전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186) 및 증폭된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187)가 포함된다.
상기 DSP 모듈(183)에는, 상기 감지된 소음으로부터 반전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184, Adaptive Digital Filter)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185)가 포함된다.
결국, 상기 DSP 모듈(183)에서 생성된 음파는 상기 증폭부(186)에서 증폭되고 상기 스피커(187)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51)이 내부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된 음파는 유동 공기의 소음 신호(음파)와 중첩되며, 이에 따라 소음의 음압 레벨이 감쇄 또는 제거될 수 있다.
감쇄 또는 제거된 소리 신호(음파)는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188)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188)에는, 마이크로폰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188)에서 감지된 소리 정보를 통하여, 감쇄 또는 제거된 음파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출력부(182)의 정상 작동여부(에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 저감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를 통과하는 유동 공기의 소음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소음 저감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180)에는, 복수의 제 1 신호 입력부(181,191), 복수의 스피커(187,197) 및 복수의 제 2 신호 입력부(188,198)가 포함된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 구성들은 상기 하우징 본체(151)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제 1 신호 입력부(181), 스피커(187) 및 제 2 신호 입력부(188)가 서로 이격되어 차례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188)의 상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또 다른 제 1 신호 입력부(191)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91)의 상측에는, 또 다른 스피커(187) 및 제 2 신호 입력부(188)가 서로 이격되어 차례로 배치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188)는 감쇄 또는 제거된 소음 정보를 통하여 소음 저감장치의 정상 작동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91)에서는,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188)의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소음 정보를 다시 한번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191)에서 감지된 소음 정보로부터 반대 위상의 음파를 생성하고, 상기 음파를 유동 소음에 중첩시켜 소음을 저감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소음 저감제어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10 : 공기 조화기 100 : 본체
120 : 흡입부 130 : 토출부
170 : 열교환기 180 : 소음 저감장치
181 : 제 1 신호 입력부 182 : 제어 출력부
183 : DSP 모듈 188 : 제 2 신호 입력부

Claims (11)

  1.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수용되며, 공기를 흡토출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송풍팬이 수용되는 영역에서 상기 공기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의 소음을 감지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감지된 소음의 반대 위상 음파를 출력하는 제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공기 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제 1 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신호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출력부는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와 제 2 신호 입력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폭은,
    상기 공기 유로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 흡입부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공기 흡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 및 제어 출력부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감지된 소음에 대한 반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DSP 모듈; 및
    상기 반전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토출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10001256A 2011-01-06 2011-01-06 공기 조화기 KR10176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256A KR101768226B1 (ko) 2011-01-06 2011-01-06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256A KR101768226B1 (ko) 2011-01-06 2011-01-06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914A KR20120079914A (ko) 2012-07-16
KR101768226B1 true KR101768226B1 (ko) 2017-08-30

Family

ID=4671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256A KR101768226B1 (ko) 2011-01-06 2011-01-06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2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914A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091B2 (en) Air conditioner
US9466284B2 (en) Operational noise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KR102087692B1 (ko) 공기 조화기
CN102455036A (zh) 空调机
WO2021004166A1 (zh) 一种风管机
JP2011080653A (ja) 空気調和機
WO2010092780A1 (ja) 空気調和機
WO2015198418A1 (ja) 空気清浄機
WO2020020300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JP2013072566A (ja) 空気調和機
JP5991487B2 (ja) 能動騒音制御装置
KR101768226B1 (ko) 공기 조화기
JP5863681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2012189282A (ja) 空気調和機
KR20120079915A (ko) 소음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KR2012009430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002124A (ja) 超音波出力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5385942B2 (ja) 空気調和機
CN106152379B (zh) 一种混流空调及其混流控制方法
JP6273496B2 (ja) 空気調和機
JP3770195B2 (ja) 空気調和機
KR10106470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807903B2 (ja) 風向制御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404399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743400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