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710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710A
KR20210076710A KR1020190168182A KR20190168182A KR20210076710A KR 20210076710 A KR20210076710 A KR 20210076710A KR 1020190168182 A KR1020190168182 A KR 1020190168182A KR 20190168182 A KR20190168182 A KR 20190168182A KR 20210076710 A KR20210076710 A KR 2021007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rib
module
upper cov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538B1 (ko
Inventor
지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5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10A/ko
Priority to KR1020220027604A priority patent/KR102479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음성 명령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 모듈을 포함한다. 마이크 모듈은 상부 커버에 결합된다.
상부 커버에는 마이크 결합부를 포함한다. 마이크 결합부는 마이크 모듈을 상부 커버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 상태는, 고정 부재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상부 커버와 결합된다. 고정 부재는 마이크 결합부에 체결되며, 동시에 마이크 모듈을 상부 커버를 향해 가압한다. 또한, 고정 부재는 마이크 모듈의 단자를 둘러싸서, 단자와 외부의 공간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단자부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발한 음성 명령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고,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통칭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구비하여 정수된 물을 음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원수(raw water)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정화된 물을 출수(discharge)하기 위한 출수부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구조의 정수기는, 출수부 근처에 배치되는 레버(lever)가 조작되어 물이 출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레버를 가압하면, 그에 따라 출수부를 폐쇄하던 부재가 이동되어 출수부를 통해 물이 출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물을 출수하는 동안 레버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레버의 조작 없이 음성으로 출수를 위한 명령을 발하여 물을 출수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 또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음성을 통해 정수기를 제어할 경우, 사용자가 버튼 등을 조작하여 정수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작동 신뢰성이 저하됨이 일반적이다. 이는, 음성 명령의 경우 사용자에 따라 억양, 크기 등의 차이가 발생함에 기인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음성 제어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더욱이, 음성을 통해 정수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음성 명령이 정확하게 입력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수기는 물을 정수,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해 내부에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가 작동될 경우, 소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한 음성 명령과, 정수기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합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가 발한 음성 명령이 정확하게 입력되기 어려워, 음성 제어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070270호는 음성인식 정수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 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명령값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출수할 수 있는 음성인식 정수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정수기는 음성 신호에 의해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신호와 정수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합성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1999-0030565호는 냉,온 정수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와 음성인식집적회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한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물을 출수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정수기의 제어장치 또한 음성 신호에 의해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정수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합성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상기 선행문헌들은 정수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 및 이를 위한 구성을 주로 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들은 정수기 내부의 구조를 통해 음성 신호와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합성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070270호 (2014.06.10.)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1999-0030565호 (1999.05.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출수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신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신호와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간의 합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를 과다하게 변경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발한 음성 신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신호가 상기 부재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 모듈;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고, 삽입된 상기 마이크 모듈을 둘러싸는 마이크 결합부; 및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연속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을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마이크 지지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마이크 모듈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모듈 몸체; 및 상기 고정 부재를 향하는 상기 모듈 몸체의 일 면에 위치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 지지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단자의 일부를 둘러싸는 외주 리브(rib); 및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 리브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리브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단자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는 내주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 리브 및 상기 내주 리브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하는 일측의 각 단부 면이 상기 모듈 몸체의 상기 일 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주 리브;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 리브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리브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주 리브; 및 상기 외주 리브와 상기 내주 리브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공간인 단자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단자 수용부는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단자는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모듈 몸체, 상기 마이크 지지부, 상기 외주 리브 및 상기 내주 리브에 둘러싸여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마이크 결합부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는 마이크 삽입부; 및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삽입부를 둘러싸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리브는, 상기 마이크 삽입부의 일측을 둘러싸는 제1 리브; 상기 제1 리브와 마주하며, 상기 마이크 삽입부의 타측을 둘러싸는 제2 리브; 및 상기 마이크 삽입부의 다른 타측을 둘러싸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제3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제1 리브, 상기 제2 리브 및 상기 제3 리브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각 단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 리브, 상기 제2 리브 및 상기 제3 리브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상기 각 단부와, 상기 마이크 삽입부가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는 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마이크 삽입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리브에서 연장되는 지지 리브;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리브에서 돌출되는 나사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나사 체결부는,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체결공과 상기 체결 홀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 모듈;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을 둘러싸는 마이크 결합부; 및 상기 마이크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외측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하는 일측의 단부 면이 상기 마이크 모듈에 밀착되는 외주 리브; 및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외측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하는 일측의 단부 면이 상기 마이크 모듈에 밀착되는 내주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마이크 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마이크 홀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상부 커버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상부 커버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정수기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한다. 마이크 모듈은 음성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단자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마이크 모듈에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은 제어부와 연결된다. 마이크 모듈에 입력된 음성 정보는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어 출수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 조작 없이도 음성 정보를 발하여 원하는 물을 출수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모듈은 마이크 결합부에 수용된다. 마이크 결합부는 상부 커버에 함몰 형성된 마이크 삽입부를 포함한다. 마이크 모듈은 마이크 삽입부에 수용된다. 마이크 결합부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한다. 각 리브는, 마이크 삽입부 및 마이크 삽입부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각 리브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모듈은 고정 부재에 의해 상부 커버를 향해 가압된다. 마이크 모듈과 마이크 삽입부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고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밀착된다. 그 결과 정수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상기 면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 모듈의 단자에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입력되고,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단자는 고정 부재의 마이크 지지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단자는 마이크 지지부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부에 수용된다. 단자 수용부는 마이크 지지부의 외주 리브, 내주 리브 및 모듈 몸체의 면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마이크 모듈을 가압하도록 상부 커버에 결합된다. 따라서, 마이크 지지부의 외주 리브 및 내주 리브는 모듈 몸체의 상기 면을 가압하며 밀착된다. 즉, 단자 수용부는 정수기 내부의 공간과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은 단자 수용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 삽입부와 마이크 모듈이 결합되는 면은 고정 부재에 의해 밀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은 단자 수용부를 향해 진행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은 마이크 삽입부와 마이크 모듈이 결합되는 면을 향해 진행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단자에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입력되되,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와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간의 합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 모듈은 상부 커버에 결합된다.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는 마이크 결합부 및 마이크 모듈을 지지하는 고정 부재 또한 상부 커버에 결합된다. 정수기의 다른 구성 요소의 구조 변경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수기 전체의 구조를 과다하게 변경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 모듈은 상부 커버에 구비되는 마이크 결합부에 수용된다. 고정 부재는 마이크가 수용된 후 마이크 결합부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은 체결 부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 모듈 및 마이크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상부 커버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정 부재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부 커버에 결합되므로, 상기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에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유입되는 마이크 홀이 관통 형성된다. 마이크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자는 마이크 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는 마이크 홀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단자까지 이동되는 경로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마이크 모듈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정수기에는 스피커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에 따라 연산된 출수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출수 정보는 시각화 정보로 연산되어, 조작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한 음성 정보에 따라 정수기가 작동되는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수기에서 조작부가 탈거된 상태의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수기에서 상부 커버의 내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수기에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이 상부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정수기에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이 상부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정수기에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이 상부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마이크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마이크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마이크 모듈과 고정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마이크 모듈과 고정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마이크 모듈과 고정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내부 소음이 차단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원수"라는 용어는 음용을 위해 정수가 수행되지 않은 물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는 수돗물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누름 조작"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눌림으로써 수행되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누름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입력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음성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는 누름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발광 정보"라는 용어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각 구성 요소의 발광 또는 소광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정보는 발광 여부 정보, 발광 형태 정보 및 발광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출수 정보"라는 용어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되는 물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정보는 출수 온도 정보, 출수량 정보 및 출수 지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식별자 정보"라는 용어는 출수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특정 문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자 정보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전류 또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다만,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는, 상부 커버(114)가 뒤집힌 상태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이는, 후술될 스피커 모듈(400), 마이크 결합부(500), 마이크 모듈(600) 및 고정 부재(700)가 상부 커버(114)의 내면(즉, 하측에 위치되는 면)에 결합됨에 기인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와 비교하였을 때, "상측"과 "하측"이 서로 반대 방향임을 전제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는, 상부 커버(114)가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에,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는 "상측"과 "하측"이 도 1에 도시된 좌표계와 동일함을 전제하여 설명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캐비닛(cabinet)(100),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스피커 모듈(400), 마이크 결합부(500), 마이크 모듈(600) 및 고정 부재(7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을 설명하되, 마이크 결합부(500), 마이크 모듈(600) 및 고정 부재(7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캐비닛(cabinet)(100)의 설명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정수기(10)가 원수를 정수하고,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즉,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하우징(housing)으로 기능된다.
캐비닛(100)에는 출수부(200)가 연결된다.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출수부(20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캐비닛(100)에는 조작부(30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을 선택하기 위한 누름 정보 및 선택된 물을 출수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스피커 모듈(400), 마이크 결합부(500), 마이크 모듈(600) 및 고정 부재(700)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스피커 모듈(400), 마이크 결합부(500), 마이크 모듈(600) 및 고정 부재(700)는 상부 커버(114)의 내부에 결합된다.
캐비닛(100)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캐비닛(100)은 다른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캐비닛(10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길쭉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은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정수기(10)가 협소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본체(110) 및 잔수 트레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술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본체(110)는 경량이면서도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상부 커버(114) 및 출수부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및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각 커버(111, 112, 113, 114)는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체(110)내부의 공간은 외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의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전면 커버(111)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는 반원(half circle)의 형상일 수 있다.
전면 커버(111)에는 상부 커버(114)에 치우치도록 위치되며, 라운드진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수부(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와 연결된다. 전면 커버(111)의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에 대향하는 전면 커버(1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트레이(120)는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탈착 가능하게 전면 커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좌측 및 우측에서 덮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커버(112)는 평면(plane) 형상이다.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후면 커버(113)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의 후방 측을 형성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후면 커버(113)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와 후면 커버(113)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상부 커버(114)는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진 부분은 전면 커버(111) 및 후면 커버(113)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4)에는 조작부(30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커버(114)에는 마이크 홀(114a)이 관통 형성된다. 마이크 홀(114a)은 본체(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한다.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마이크 홀(114a)을 통해 마이크 모듈(600)에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 홀(114a)은 마이크 모듈(600)의 단자(620)와 맞추어진다. 마이크 홀(114a)을 통해 유입된 음성 정보는 단자(62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마이크 모듈(600)에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 홀(114a)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이크 홀(114a)은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각 마이크 홀(114a)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마이크 모듈(600)의 단자(6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이크 홀(114a)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마이크 홀(114a)은 상부 커버(114)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마이크 홀(114a)은 상부 커버(114)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출수부(200)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이크 홀(114a)은 상부 커버(114)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서 전방 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마이크 홀(114a)의 위치는 마이크 모듈(60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출수부 결합부(115)에는 출수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출수부(200)는 출수부 결합부(115)를 통해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 결합부(115)는 상부 커버(114)에 형성된다. 출수부 결합부(115)는 출수부(2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출수부 결합부(115)는 전면 커버(1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출수부 결합부(115)는 상부 커버(114)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출수부 결합부(115)에는 출수부(200)의 본체 결합부(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출수부 결합부(115)는 원형의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출수부 결합부(115)의 형상은 출수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출수부 결합부(115)에는 출수부(200)로 연장되는 배관(미도시)이 관통될 수 있다.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되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각 구성 요소(미도시)와 출수부(200)는, 출수부 결합부(115)를 관통하는 상기 배관(미도시)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용기로 진입되지 못한 물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정수기(10)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탈된 물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결합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소정의 양 이상으로 포집되면, 사용자는 잔수 트레이(120)를 분리하여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가 회전되면, 잔수 트레이(120) 또한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물이 출수되는 경우에도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포집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잔수가 수용된다. 잔수 트레이(120)의 상측에는 창살(grating)이 형성된다. 잔수는 상기 창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2) 출수부(200)의 설명
출수부(20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부분이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필터(미도시), 가열 장치(미도시) 및 냉각 장치(미도시)와 연통된다.
출수부(200)는 외부와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통 및 차단은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부(200)는 제어 정보에 따라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부(200)를 통해 용기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제어 정보에 따라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부(200)를 통해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임의로 출수되지 않게 된다.
출수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00)에 인가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부(200)는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즉, 출수부(200)는 전면 커버(111)가 측면 커버(112)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서 우측까지 회전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출수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가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과 관련된 정보가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로테이터(rotator)(210), 출수 유닛(220) 및 출수 코크(cock)(230)를 포함한다.
로테이터(210)는 출수부(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로테이터(21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로테이터(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로테이터(210)의 곡률은 전면 커버(111)의 곡률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로테이터(21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될 수 있는 배관 구조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관 구조체(미도시)는 로테이터(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원통형의 로테이터(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의 외주는 전면 커버(1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로테이터(210)의 상기 전방 측의 외주에는 출수 유닛(220)이 연결된다. 출수 유닛(220)은 상기 개구부에 관통된다.
출수 유닛(220)은 전면 커버(111)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출수된 물이 전면 커버(11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은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방향 또는 잔수 트레이(12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는 출수 코크(230)가 구비된다.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는 조작부(300)가 위치된다.
출수 유닛(220)은 로테이터(210)와 연결된다. 로테이터(210)가 회전되면, 출수 유닛(22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조작부(300) 및 하측에 위치되는 출수 코크(23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배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미도시)은 로테이터(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관 구조체(미도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관(미도시)은 출수 코크(23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배관 구조체(미도시) 및 배관(미도시)을 통과하여 출수 코크(230)로 유동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통로이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배관(미도시)과 연통된다. 출수 유닛(220)을 통과한 물은 출수 코크(230)를 통해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의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의 종류, 용량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조작부(300)에 입력된 제어 정보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입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300)는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상부 커버(11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0)는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가 캐비닛(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조작부(300) 또한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출수부(200)를 회전시킨 방향 및 각도로 조작부(300) 또한 회전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정보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310)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작 버튼(310)은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 버튼(310)에 입력된 누름 정보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출수 정보는 조작 버튼(310)에 전달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터치(touch) 조작되어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누름 조작 또는 터치 조작을 "누름 조작"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소정의 시간 동안 누름 조작되어 누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오조작에 의해 의도치 않은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3초일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누름 조작되어 제어부(미도시)와 통전되거나,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스위치,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발광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이 누름 조작되거나, 정수기(10)가 작동되는 동안 조작 버튼(310)은 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 버튼(31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전후 방향으로 각 세 개, 좌우 방향으로 각 두 개씩 구비되어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조작 버튼(31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작 버튼(310)은 각각 소정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310)을 누름 조작하면, 그 조작 버튼(310)에 할당된 소정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조작 버튼(310)에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누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각 조작 버튼(310)에는 출수량, 출수 시간 또는 정수기(10)의 세정과 관련된 누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를 향하는 조작 버튼(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출수 버튼(320)이 위치된다.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면, 각종 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출수부(200)를 통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출수 버튼(320)은 출수부(200) 및 각종 밸브(미도시)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버튼(320)은 일 회 누름 조작되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조작 버튼(310)을 통해 입력된 물의 온도, 출수량 및 출수 지속 시간 등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출수 버튼(320)은 누름 조작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는 시간 동안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출수 버튼(320)은 조작부(300)의 가장 전방 측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버튼이므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부(300)는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가 작동 상태인지 여부, 정수기(10)가 외부의 단말기 또는 데이터베이스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4) 스피커 모듈(400)의 설명
도 6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스피커 모듈(400)을 포함한다.
스피커 모듈(400)은 정수기(10)의 작동 상태를 청각화 정보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스피커 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청각화 정보를 통해 정수기(10)의 작동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4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사용자가 "찬 물 한잔 줘"라는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스피커 모듈(400)은 상기 음성 정보와 동일한 "찬 물 한잔 줘"와 같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피커 모듈(4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사용자가 "찬 물 한잔 줘"라는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스피커 모듈(400)은 "냉수 200 ml를 출수합니다."와 같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400)은 온수가 출수되는 상황과 같이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400)은 본체(110)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스피커 모듈(400)은 상부 커버(114)의 내면, 즉 본체(110)내부의 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114)의 일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400)은 출수부(2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 모듈(400)은 전면 커버(11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400)은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스피커 모듈(4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400)은 PCB(Printed Circuit Board)(410) 및 스피커(420)를 포함한다.
PCB(410)는 스피커 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청각화 정보를 연산한다. PCB(410)는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PCB(410)는 전달받은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청각화 정보를 연산한다. 연산된 청각화 정보는 스피커(420)에 전달될 수 있다. PCB(410)와 스피커(42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PCB(410)는 출수부(2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PCB(410)는 전면 커버(111)의 후방 측에, 좌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스피커(420)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출력한다. 스피커(420)는 PCB(410)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피커(420)는 정수기(10)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420)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 정보, 출수량 정보 등과 관련된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4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와 관련된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420)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와 동일한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피커(420)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에 따라 출수되는 물의 온도 정보, 출수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420)는 정수기(10)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한 청각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스피커(420)는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420)는 정전형 스피커(condenser speaker) 또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피커(420)는 청각화 정보를 구성하는 음파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114)를 진동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청각화 정보는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파동의 일종이다. 이에, 스피커(420)는 상부 커버(114)에 결합되어 상부 커버(114) 자체를 진동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결합부(500)의 설명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마이크 결합부(500)를 포함한다.
마이크 결합부(500)는 마이크 모듈(600)이 상부 커버(114)에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마이크 결합부(500)에 삽입된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 상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마이크 결합부(500)는 상부 커버(114)에 결합된 마이크 모듈(600)에 내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모듈(600)에 유입되는 내부 소음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마이크 결합부(500)는 상부 커버(114)에 위치된다. 이는, 마이크 모듈(600) 및 고정 부재(700)가 상부 커버(114)에 결합됨에 기인한다.
후술될 마이크 결합부(500)의 각 리브(510, 520, 530, 540)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부 커버(114)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리브(510, 520, 530, 540)는 상부 커버(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결합부(5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이크 결합부(500)는 제1 리브(510), 제2 리브(520), 제3 리브(530), 지지 리브(540), 마이크 삽입부(550) 및 나사 체결부(560)를 포함한다.
제1 리브(510)는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600)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브(510)는 마이크 삽입부(550) 또는 마이크 모듈(600)의 후방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리브(510)는 마이크 삽입부(550) 또는 마이크 모듈(600)의 후방 측 경계를 형성한다.
제1 리브(5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일 방향은 마이크 모듈(600)의 모듈 몸체(610) 또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제1 리브(510)는 모듈 몸체(610) 또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510)는 모듈 몸체(610) 또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리브(510)는 상부 커버(114)의 내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즉, 제1 리브(510)는 상부 커버(114)에서 본체(110)내부의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 리브(510)는 제2 리브(520)보다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리브(52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됨에 기인한다.
제1 리브(510)와 제2 리브(520)는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브(510)와 제2 리브(520)는 모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리브(510)와 제2 리브(52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리브(510)는 제2 리브(520)와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제1 리브(51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모듈 몸체(610)의 폭 방향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리브(510)와 제2 리브(520)에 둘러싸인 공간은 마이크 삽입부(550)로 정의된다. 제1 리브(510)는 마이크 삽입부(550)를 사이에 두고 제2 리브(520)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리브(510)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단부에는 제3 리브(530)가 연장된다. 제3 리브(5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리브(520)는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600)의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브(520)는 마이크 삽입부(550) 또는 마이크 모듈(600)의 전방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리브(520)는 마이크 삽입부(550) 또는 마이크 모듈(600)의 전방 측 경계를 형성한다.
제2 리브(52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일 방향은 마이크 모듈(600)의 모듈 몸체(610) 또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제2 리브(5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리브(520)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제2 리브(520)는 마이크 삽입부(550)의 전방 측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브(520)는 두 개 구비되어, 마이크 삽입부(550)의 전방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두 개의 제2 리브(52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돌기 삽입부(551)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2 리브(520)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마이크 모듈(600)의 돌기(640)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각 제2 리브(520)는 모듈 몸체(610) 또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각 제2 리브(520)는 모듈 몸체(610) 또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 단부 및 중앙 부분 사이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리브(520)가 연장되는 길이는 제1 리브(510)가 연장되는 길이의 절반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리브(520)는 상부 커버(114)의 내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즉, 제2 리브(520)는 상부 커버(114)에서 본체(110)내부의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 리브(520)는 제1 리브(51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브(520)와 제1 리브(510)는 모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리브(520)와 제1 리브(51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모듈 몸체(61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모서리가 제1 리브(510) 및 제2 리브(5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리브(520)는 제1 리브(510)와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제2 리브(52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모듈 몸체(610)의 폭 방향(즉, 전후 방향)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리브(520)와 제1 리브(510)에 둘러싸인 공간은 마이크 삽입부(550)로 정의된다. 제2 리브(520)는 마이크 삽입부(550)를 사이에 두고 제1 리브(510)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3 리브(530)는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600)의 다른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리브(530)는 마이크 삽입부(550) 또는 마이크 모듈(600)의 좌측 및 우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제3 리브(530)는 마이크 삽입부(550) 또는 마이크 모듈(600)의 좌측 및 우측 경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의 내면 상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제3 리브(53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일 방향은 마이크 모듈(600)의 모듈 몸체(610)의 폭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제3 리브(5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리브(53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제3 리브(530)는 마이크 삽입부(550)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리브(530)는 두 개 구비되어, 각각 마이크 삽입부(55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두 개의 제3 리브(5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마이크 삽입부(550)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제3 리브(530)는 마이크 삽입부(55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두 개의 제3 리브(530)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모듈 몸체(610)가 연장되는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리브(530)는 상부 커버(114)의 내면에 함몰 형성된 마이크 삽입부(55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리브(530)는 상부 커버(114)의 내면 중 마이크 삽입부(550)보다 더 높은 단차를 갖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 제3 리브(530)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제3 리브(5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제3 리브(53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모듈 몸체(610)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가 각 제3 리브(5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리브(530)는 서로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제3 리브(53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모듈 몸체(610)의 길이 방향(즉, 좌우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지 리브(540)에는 상부 커버(114)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700)가 안착된다. 또한, 지지 리브(540)는 나사 체결부(56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리브(540)의 상측에는 나사 체결부(560)가 위치되고, 고정 부재(700)는 나사 체결부(560)에 안착된다.
지지 리브(540)는 제1 리브(510)와 연속된다. 지지 리브(540)는 제1 리브(5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지지 리브(54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일 방향은 제1 리브(510) 또는 제2 리브(5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리브(5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리브(54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리브(540)는 제1 리브(510)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서, 제1 리브(510)와 각각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리브(540)는 제1 지지 리브(541) 및 제2 지지 리브(54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지지 리브(541) 및 제2 지지 리브(542)는 제1 리브(51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된다.
각 지지 리브(540)는 복수 개의 리브(ri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리브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지지 리브(540)에는 두 개의 리브가 구비된다. 두 개의 리브가 이격되는 거리는 나사 체결부(560)의 외경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지지 리브(540)의 상측에는 나사 체결부(560)가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리브(540)와 나사 체결부(5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지지 리브(540)가 나사 체결부(560)를 지지함에 따라, 지지 리브(540)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나사 체결부(560)를 지지하는 각 리브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마이크 모듈(600)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상부 커버(114)의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제1 리브(510), 제2 리브(520) 및 제3 리브(53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이크 삽입부(550)의 후방 측은 제1 리브(510)에 의해 감싸진다. 마이크 삽입부(550)의 전방 측은 제2 리브(520)에 감싸진다.
마이크 삽입부(550)의 좌측 및 우측은 각각 제3 리브(530)에 감싸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리브(530)는 별도로 돌출 형성되지 않고, 마이크 삽입부(550)가 함몰 형성됨에 따라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마이크 삽입부(550)는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 삽입부(550)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마이크 삽입부(550)의 상기 형상은, 마이크 모듈(600)의 모듈 몸체(610)의 형상에 기인함이 이해될 것이다.
마이크 삽입부(550)의 각 방향의 길이는 모듈 몸체(61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 삽입부(550)의 각 방향의 길이는 그에 각각 대응되는 모듈 몸체(610)의 각 방향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 삽입부(550)의 각 방향의 길이는, 삽입된 마이크 모듈(600)이 상부 커버(114)의 내면 상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마이크 삽입부(550)의 일 면, 즉, 함몰 형성된 면에는 마이크 모듈(600)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마이크 모듈(600)을 마이크 삽입부(550)의 상기 일 면에 접착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테이프(tape) 부재 또는 유체 상(phase)의 접착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마이크 홀(114a)과 연통된다. 마이크 홀(114a)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는,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600)의 단자(620)에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 삽입부(550)에 마이크 모듈(600)이 수용되면, 단자(620)는 마이크 홀(114a)의 수직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음성 정보가 다른 음파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단자(620)에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돌기 삽입부(551)를 포함한다.
돌기 삽입부(551)는 마이크 모듈(600)의 돌기(64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돌기 삽입부(551)는 복수 개의 제2 리브(520)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기 삽입부(551)는 복수 개의 제2 리브(52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돌기 삽입부(551)는 마이크 삽입부(550)와 연통된다. 마이크 삽입부(550)에 마이크 모듈(600)이 수용되면, 모듈 몸체(610)와 연결되는 돌기(640)는 돌기 삽입부(551)에 수용된다.
돌기 삽입부(551)에 삽입된 돌기(640)가 연장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복수 개의 제2 리브(52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640)의 상기 각 단부는, 복수 개의 제2 리브(520)의 상기 각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의 평면 상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나사 체결부(560)에는 고정 부재(700)를 상부 커버(114)에 체결하는 나사 부재(740)가 결합된다.
나사 체결부(560)는 지지 리브(540)의 상측에 위치된다. 나사 체결부(560)는 지지 리브(540)에 의해 지지된다.
나사 체결부(560)는 지지 리브(540)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나사 체결부(560)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을 향해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나사 체결부(560)는 내부에 축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공(561)이 관통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나사 체결부(560)는 고정 부재(7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나사 체결부(560)의 외경은 지지 리브(540)의 각 리브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 내부의 공간을 향하는 나사 체결부(56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고정 부재(700)의 체결 홀(7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 체결부(560)와 고정 부재(7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나사 체결부(560)의 단면의 형상은 체결 홀(730)의 단면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사 체결부(560)는 체결공(561)을 포함한다.
체결공(561)에는 나사 부재(740)가 관통 결합된다. 체결공(561)은 나사 체결부(560)의 내부에 형성된다.
체결공(561)은 상부 커버(114)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나사 체결부(560)의 일측 단부, 즉 하측 단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공(561)은 나사 체결부(56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561)의 외경, 즉 체결공(561)을 둘러싸는 나사 체결부(560)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에는 체결 부재(740)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접촉 또는 결합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모듈(600)의 설명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기(10)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모듈(600)을 포함한다.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에 결합된다.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에 관통 형성되는 마이크 홀(114a)에 의해 정수기(10)의 외부와 연통된다. 정수기(1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마이크 홀(114a)을 통해 마이크 모듈(6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부재(미도시),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미도시) 및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 부재(미도시)는 열전소자(thermoelement)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 부재(미도시) 및 냉각 부재(미도시)는 내부에서 냉매가 순환되는 냉동 사이클(refrigerating cycle)로 구비될 수 있다.
냉동 사이클은 냉매의 상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냉동 사이클을 역으로 순환시킬 경우, 히트 펌프(heat pump)로 작동되어 정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또는 히트 펌프의 작동 원리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순환하며, 팽창, 압축 및 상 변화를 반복하며 정수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이때, 냉매를 유동시키는 이송력은 압축기에 의해 제공된다. 압축기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가 회전되면, 냉매는 압축기 내부로 유입되어 압축된 후, 압축기와 연통되는 응축기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 사이클이 작동되면, 압축기의 작동, 구체적으로 압축기 내부의 모터 등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냉매가 냉동 사이클을 순환함에 따른 소음 또한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 등은 정수기(1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중량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은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서 되도록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 모듈(600)은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마이크 모듈(600)과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이 인접하게 위치될 경우, 냉동 사이클이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마이크 모듈(600)에 입력될 염려가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음성 정보 및 소음 등은 파동의 형태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 마이크 모듈(600)에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 및 소음이 함께 입력되어, 음성 정보 인식의 정확도가 저하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상부 커버(114)에 마이크 모듈(600)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 모듈(600)은 본체(110) 내부의 공간의 하측에 위치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냉매 사이클과 가능한 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 사이클이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중 마이크 모듈(600)에 전달되는 소음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의 인식률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600)에 전달된 음성 정보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출수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출수 정보로 연산된다. 마이크 모듈(600)과 제어부(미도시)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이크 모듈(600)과 제어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 모듈(600)과 제어부(미도시)는 도선 부재(미도시)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600)은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 결합된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마이크 모듈(60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600)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마이크 모듈(600)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 모듈(600)이 접촉되는 마이크 삽입부(550)의 일 면, 즉 상부 커버(114)에서 함몰 형성되는 마이크 삽입부(550)의 일 면에는 접착 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된 마이크 모듈(600)은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마이크 모듈(600)은 모듈 몸체(610), 단자(620), 파지부(630) 및 돌기(640)를 포함한다.
모듈 몸체(610)는 마이크 모듈(6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모듈 몸체(610)에는 단자(620), 파지부(630) 및 돌기(640)가 결합된다.
모듈 몸체(6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듈 몸체(6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모듈 몸체(610)가 연장되는 길이는, 모듈 몸체(610)의 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몸체(610)의 내부에는 통신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도선 부재(미도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모듈 몸체(610) 내부에 수용된 도선 부재(미도시) 등은 단자(6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자(620)에 입력된 음성 정보는 모듈 몸체(610)를 통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모듈 몸체(610)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몸체(6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모듈 몸체(610)는 직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몸체(610)의 두께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함몰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듈 몸체(610)의 두께는 마이크 삽입부(550)가 함몰되는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몸체(610)는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 삽입부(550)의 단면의 형상은 모듈 몸체(610)의 단면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모듈 몸체(610)는, 상부 커버(114)의 내면 상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마이크 삽입부(550)가 함몰된 면과 접촉되는 모듈 몸체(610)의 일 면, 즉, 마이크 삽입부(550)를 향하는 모듈 몸체(610)의 일 면에는 결합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미도시)가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 면은 발수(water repellent) 처리될 수 있다. 정수기(10)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에 의해, 마이크 모듈(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수 처리는 발수성 소재를 상기 일 면에 코팅 처리하여 수행되거나, 발수성 소재로 형성된 레이어(layer)를 부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레이어가 부착되는 실시 예에서, 상기 레이어는 메시(mesh) 형상일 수 있다.
모듈 몸체(610)와 마이크 삽입부(55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는 고정 부재(7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 면에 대향하는 타 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이크 삽입부(550)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일 면에는 단자(620)가 위치된다.
단자(620)는 모듈 몸체(61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단자(620)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다. 단자(620)에 입력된 음성 정보는 모듈 몸체(610)에 구비된 도선 부재(미도시) 등을 통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단자(620)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620)는 마이크(Mic)로 구비될 수 있다.
단자(620)는 마이크 홀(114a)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2를 더 참조하면, 단자(620)는 마이크 홀(114a)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단자(620)는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620)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정사각 판형의 형태로 구비된다.
단자(620)의 단면적의 크기는 마이크 홀(114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620)는 마이크 홀(114a)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홀(114a)에 입력된 음성 정보가 다른 곳으로 누설되지 않고, 단자(620)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단자(62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자(6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62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620)는 두 개 구비된다. 두 개의 단자(62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단자(620)는 모듈 몸체(610)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단자(620)는 모듈 몸체(610)의 좌측 및 우측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단자(620)의 개수의 개수 및 배치는 마이크 홀(114a)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620)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단자(620)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보다 정확하게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부 커버(114)에 형성되는 마이크 홀(114a)의 개수 및 위치는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620)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파지부(630)는 사용자가 마이크 모듈(600)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630)는 모듈 몸체(610)에 구비된다. 파지부(630)는 본체(110)내부의 공간을 향하는 모듈 몸체(610)의 일 면, 즉 마이크 삽입부(550)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일 면에 위치된다.
파지부(630)는 복수 개의 단자(6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부(630)는 각 단자(620)와의 거리가 같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파지부(630)는 모듈 몸체(610)가 연장되는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파지부(6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돌기(640)가 돌출 형성된다.
돌기(640)는 돌기 삽입부(551)에 삽입된다. 돌기(640)는 제2 리브(520)의 각 단부에 접촉되어, 모듈 몸체(610)가 상부 커버(114) 상에서 임의 이동되지 않게 한다.
또한, 돌기(640)는 마이크 모듈(600)이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되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마이크 모듈(600)을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할 때, 마이크 모듈(6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돌기(640)는 모듈 몸체(610)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기(640)는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모듈 몸체(610)의 일 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돌기(640)는 일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기(640)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돌기(640)가 연장되는 길이는, 돌기 삽입부(551)의 연장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 삽입부(551)에 삽입된 돌기(640)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는 제2 리브(520)와 접촉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기(640)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리브(52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된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 상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700)의 설명
도 6,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고정 부재(700)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모듈(600)을 상부 커버(114)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고정 부재(700)에 의해 마이크 모듈(600)은 마이크 삽입부(550)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 부재(700)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부 커버(114)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700)는 상부 커버(114)에 구비되는 나사 체결부(560)에 체결된다.
고정 부재(7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부재(700)는 각각 복수 개의 단자(6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고정 부재(700)는 각 단자(62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결합부(500)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결합부(500)보다 상부 커버(114)에서 멀도록 배치된다. 또는,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결합부(500)보다 본체(110)내부의 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모듈(600)을 덮도록 배치된다. 즉,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모듈(600)보다 상부 커버(114)에서 멀도록 배치된다. 또는,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모듈(600)보다 본체(110)내부의 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결합부(500)와 결합된다. 고정 부재(700)는 체결 부재(740)에 의해 마이크 결합부(5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결합부(500)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며 마이크 결합부(50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모듈(600)을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700)는 체결 부재(740)에 의해 마이크 모듈(600)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며 마이크 모듈(600)과 접촉된다. 마이크 모듈(600)이 마이크 삽입부(55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상기 소정의 힘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모듈(600)에 입력되는 내부의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700)는 베이스부(710), 마이크 지지부(720), 체결 홀(730) 및 체결 부재(7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710)는 고정 부재(7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베이스부(710)는 고정 부재(7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베이스부(710)는 고정 부재(700)의 구성 중 마이크 모듈(600)에서 가장 멀도록 위치된다.
베이스부(710)는 상부 커버(114)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710)에 관통 형성된 체결 홀(730)은 체결 부재(740)에 의해 상부 커버(114)에 위치되는 나사 체결부(56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710)는 각 모서리가 모따기(taper)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베이스부(710)는 마이크 모듈(600)을 가압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710)의 내부 중 일부에는 공간부(711)가 형성된다(도 12 참조). 공간부(711)는 마이크 모듈(600)에서 멀어지는 베이스부(71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공간부(711)는 보강 리브(712)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부(711)로 구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간부(711)는 보강 리브(712)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공간부(711)로 구획된다.
공간부(711)가 형성됨에 따라, 고정 부재(700)의 전체 질량이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커버(114)가 본체(110)에 결합되면, 고정 부재(700)는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700)는 되도록 작은 질량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간부(711)는 베이스부(710)에 함몰 형성되어, 고정 부재(700)의 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간부(711) 사이에 위치되는 보강 리브(712)에 의해, 베이스부(71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베이스부(710)의 내부 중 다른 일부에는 체결 홀(730)이 관통 형성된다(도 12 참조). 체결 홀(730)에는 체결 부재(740)가 관통 삽입된다. 체결 부재(740)는 체결 홀(730) 및 나사 체결부(560)의 체결공(56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베이스부(7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마이크 지지부(720)가 위치된다.
마이크 지지부(720)는 마이크 모듈(600)과 접촉된다. 또한, 마이크 지지부(720)는 마이크 모듈(60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 지지부(720)는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마이크 모듈(600)과 마이크 삽입부(55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은 서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지지부(720)는 단자(620)를 덮도록 구성된다. 마이크 지지부(720)에 의해, 단자(620)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단자(620)로 전달되는 경로가 차단되어, 노이즈(noise)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마이크 지지부(720)는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베이스부(7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마이크 지지부(720)는 베이스부(710)의 상기 일측에서 마이크 모듈(600)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마이크 지지부(720)는 베이스부(710) 중 체결 홀(73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마이크 지지부(720)는 체결 홀(73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마이크 지지부(720)는 외주 리브(721), 내주 리브(722) 및 단자 수용부(723)를 포함한다.
외주 리브(721)는 마이크 지지부(720)의 외주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외주 리브(721)는 마이크 지지부(720)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부(72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단자 수용부(723)를 감싸는 면 중 베이스부(710)를 향하는 일 면은,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외주 리브(721)의 단부 면보다 마이크 모듈(600)에서 멀어지도록 위치된다. 이에, 외주 리브(721)는 베이스부(710)에서 마이크 모듈(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외주 리브(721)는 마이크 모듈(600)과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외주 리브(721)의 단부 면은 고정 부재(700)를 향하는 모듈 몸체(610)의 일측 면과 접촉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주 리브(721)의 단부 면은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외주 리브(721)가 마이크 모듈(600)과 접촉되면, 단자(620)는 외주 리브(721)의 내측에 위치된다.
외주 리브(721)는 복수 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외주 리브(721)는 서로 마주하는 두 쌍의 리브를 포함한다. 각 리브는 서로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주 리브(721)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리브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한다.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리브가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는, 단자(620)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620)는 상기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위치되는 단자 수용부(72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리브가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는, 모듈 몸체(610)의 전후 방향 길이, 즉 폭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리브의 단부 면은 모듈 몸체(610)의 면에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리브가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는, 단자(620)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620)는 상기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위치되는 단자 수용부(723)에 수용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리브 사이에는 내주 리브(722)가 연장된다.
내주 리브(722)는 마이크 지지부(720)의 내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내주 리브(722)는 마이크 지지부(720)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부(723)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내주 리브(722)는 외주 리브(721)에 둘러싸인 단자 수용부(723)를 복수 개로 구획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수용부(723)는 내주 리브(722)에 의해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내주 리브(722)는 외주 리브 중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주 리브(722)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리브 사이에서 연장된다.
내주 리브(722)는 외주 리브(721) 중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주 리브(722)는 좌우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리브 사이에서 연장된다. 내주 리브(722)와 상기 한 쌍의 리브 각각 사이의 거리는 서로 같을 수 있다.
단자 수용부(723)를 감싸는 면 중 베이스부(710)를 향하는 일 면은,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내주 리브(722)의 단부 면보다 마이크 모듈(600)에서 멀어지도록 위치된다. 이에, 내주 리브(722)는 베이스부(710)에서 마이크 모듈(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주 리브(722)는 마이크 모듈(600)과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내주 리브(722)의 단부 면은 고정 부재(700)를 향하는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과 접촉된다. 일 실시 예에서, 내주 리브(722)의 단부 면은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에 밀착될 수 있다.
내주 리브(722)가 마이크 모듈(600)과 접촉되면, 단자(620)는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에 둘러싸이도록 위치된다.
외주 리브(721) 중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리브 각각과 내주 리브(722) 사이의 거리는, 단자(620)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620)는 상기 한 쌍의 리브 중 어느 하나와 내주 리브(722) 사이에 위치되는 단자 수용부(723)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주 리브(722)의 상기 단부 면과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 사이의 최단 거리는, 외주 리브(721)의 상기 단부 면과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 사이의 최단 거리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마이크 지지부(720)가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에 접촉되었을 때, 외주 리브(721)의 상기 단부 면 및 내주 리브(722)의 상기 단부 면은 각각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외주 리브(721)의 상기 단부 면 및 내주 리브(722)의 상기 단부 면은 각각 모듈 몸체(610)의 상기 일측 면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수용부(723)에 수용된 단자(620)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달리 표현하면, 단자(620)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단자(62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단자(620)에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만 입력되어, 입력되는 음성 정보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723)는 단자(62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고정 부재(700)가 마이크 모듈(600)에 밀착되면, 단자 수용부(723)에 수용된 단자(620)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과 이격된다.
단자 수용부(723)는 마이크 지지부(72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단자 수용부(723)는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마이크 지지부(720)의 일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수용부(723)는 외주 리브(721)에 의해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 면이 감싸진다. 또한, 단자 수용부(723)는 내주 리브(722)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단자 수용부(723)는 마이크 지지부(720)에서 마이크 모듈(600)을 향해 연장되는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723)는 단자(62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수용부(723)는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에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단자 수용부(723)의 형상은 내부에 단자(62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수용부(72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길이는 단자(62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723)는 단자(620)를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723)는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때,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단자 수용부(72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고정 부재(700)가 마이크 모듈(600)에 접촉 또는 밀착되면, 단자 수용부(723)의 상기 일측은 모듈 몸체(610)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단자 수용부(723)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이 단자 수용부(723)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단자 수용부(723) 내부에 위치되는 단자(620)에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발하여 단자(620)에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간섭받지 않게 된다.
단자 수용부(72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 수용부(723)는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수용부(723)는 두 개 형성되어, 마이크 지지부(720)의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된다. 단자 수용부(723)는 내주 리브(72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체결 홀(730)은 고정 부재(700)가 상부 커버(114)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체결 홀(730)은 고정 부재(700)를 마이크 결합부(500)와 결합하는 체결 부재(740)가 관통 결합되는 공간이다.
체결 홀(730)은 베이스부(71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체결 홀(730)은 베이스부(710) 중 마이크 지지부(720)가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홀(730)은 베이스부(710)의 후방 측에 형성된다.
체결 홀(730)은 베이스부(7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체결 홀(730)은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홀(73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이다. 체결 홀(730)의 형상은 체결 부재(74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 홀(730)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740)가 나사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체결 홀(730)에는 체결 부재(7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 홀(730)에 인접하게 제1 체결 리브(731) 및 제2 체결 리브(732)가 구비된다.
제1 체결 리브(731) 및 제2 체결 리브(732)는 고정 부재(700)가 마이크 결합부(500)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700)가 마이크 결합부(500)에 안착되면, 제1 체결 리브(731) 및 제2 체결 리브(732)는 고정 부재(700)를 향하는 나사 체결부(56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700)와 마이크 결합부(5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 리브(731) 및 제2 체결 리브(732)는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베이스부(7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마이크 결합부(500)를 향해 돌출된다. 제1 체결 리브(731) 및 제2 체결 리브(732)는 베이스부(710)의 부분 중 체결 홀(730)이 형성된 부분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리브(731) 및 제2 체결 리브(732)는 베이스부(710)의 하측에서 체결 홀(730)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1 체결 리브(731)는 체결 홀(7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서 체결 홀(73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체결 리브(731)는 베이스부(710)의 하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제1 체결 리브(731)는 제2 체결 리브(732)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1 체결 리브(731)와 제2 체결 리브(73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나사 체결부(560)의 상측 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제1 체결 리브(731)는 상기 공간에 삽입된 나사 체결부(560)의 상측 단부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제1 체결 리브(731)는 마이크 지지부(720)에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절곡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마이크 지지부(7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1 부분은 베이스부(7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은 나사 체결부(560)의 상측 단부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연장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절곡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부분은 체결 홀(730)의 반경 길이보다 짧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은 나사 체결부(560)의 상측 단부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 체결 리브(732)는 체결 홀(73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서 체결 홀(73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 체결 리브(732)는 베이스부(710)의 하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제2 체결 리브(732)는 제1 체결 리브(731)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2 체결 리브(732)와 제1 체결 리브(73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나사 체결부(560)의 상측 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제2 체결 리브(732)는 상기 공간에 삽입된 나사 체결부(560)의 상측 단부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제2 체결 리브(732)는 마이크 지지부(7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 리브(732)는 베이스부(7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리브(732)가 연장되는 길이는, 제1 체결 리브(731)의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체결 부재(740)는 고정 부재(700)와 마이크 결합부(500)를 결합시킨다(도 7 참조). 체결 부재(740)에 의해, 고정 부재(700)와 마이크 결합부(500)가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체결 부재(740)는 고정 부재(700)가 마이크 모듈(600)을 가압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체결 부재(740)가 고정 부재(700)를 가압하며 체결됨에 따라, 고정 부재(700) 또한 마이크 모듈(600)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 모듈(600)이 마이크 삽입부(55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체결 부재(740)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740)는 나사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740)는 체결 홀(730) 및 체결공(561)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740)는 체결 홀(730) 및 체결공(561)에 순서대로 관통 및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해, 체결 홀(730) 및 체결공(561)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내부 소음이 차단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명령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명령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정수기(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차단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내부 소음"이라는 용어는 정수기(10)의 내부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발하는 소리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소음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정보를 제외한 다른 소리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모듈(600)이 상부 커버(114)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후, 도 15를 참조하여 내부 소음이 차단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모듈(600)이 상부 커버(114)에 결합된 상태의 설명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모듈(600)이 상부 커버(114)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먼저,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에 형성된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된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상부 커버(114)의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또한, 마이크 삽입부(550)는 제1 리브(510), 제2 리브(520) 및 제3 리브(530)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마이크 삽입부(550)는 마이크 모듈(6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마이크 삽입부(55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돌기 삽입부(551)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마이크 모듈(600)의 돌기(640)가 돌기 삽입부(55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마이크 모듈(600)을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하면 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 모듈(600)을 정확한 방향으로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할 수 있다.
마이크 모듈(600)이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되면, 마이크 모듈(600)의 각 모서리는 제1 내지 제3 리브(510, 520, 530)에 감싸진다.
구체적으로, 마이크 모듈(6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제1 리브(510)에 감싸진다. 마이크 모듈(60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제2 리브(520)에 감싸지며, 마이크 모듈(600)의 또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제3 리브(530)에 감싸진다.
따라서, 마이크 모듈(600)은 상부 커버(114)의 내면 상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마이크 모듈(600)이 마이크 삽입부(550)에 삽입된 후, 고정 부재(700)가 마이크 결합부(500)에 결합된다.
먼저, 마이크 모듈(600)에 구비되는 단자(620)는 단자 수용부(730)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620)는 복수 개의 단자 수용부(730) 중 더 외측에 위치되는 단자 수용부(73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모듈 몸체(610)의 좌측 단부에 위치되는 단자(620)는 좌측에 위치되는 단자 수용부(730)에 수용된다. 또한, 모듈 몸체(610)의 우측 단부에 위치되는 단자(620)는 우측에 위치되는 단자 수용부(730)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700)는 복수 개 구비된다. 복수 개의 고정 부재(700)는 마이크 모듈(600)에 복수 개 구비되는 각 단자(620)를 각각 덮도록 배치된다.
단자(620)는 모듈 몸체(610)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된다. 복수 개의 고정 부재(700)에 형성된 각 단자 수용부(723)는 각 단자(620)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때, 마이크 지지부(720)의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가 마이크 모듈(600)을 향하는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모듈 몸체(610)의 상측 면과 접촉된다.
고정 부재(700)의 베이스부(710)는 나사 체결부(560)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700)는 베이스부(7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리브(731) 및 제2 체결 리브(732)가 나사 체결부(560)의 상측 단부를 감싸도록 안착된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700)는 나사 체결부(560)에 대해 상대적으로 평면 상에서 임의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때, 베이스부(710)에 관통 형성된 체결 홀(730)과, 나사 체결부(560)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체결공(561)은 서로 맞추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홀(730)과 체결공(561)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체결 홀(730)과 체결공(561)에는 체결 부재(740)가 삽입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740)는 체결 홀(730)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체결 부재(74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체결공(561)에 삽입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740)는 체결 홀(730) 및 체결공(561)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부재(740)는 고정 부재(700)를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 모듈(600)의 상측 면에 접촉된 마이크 지지부(720) 또한 마이크 모듈(600)을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마이크 지지부(720)의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는 고정 부재(700)를 향하는 모듈 몸체(6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가 모듈 몸체(610)와 접촉되는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모듈 몸체(610)의 상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 지지부(720)는 모듈 몸체(6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주 리브(721) 및 내주 리브(722)에 둘러싸인 단자 수용부(723)는 본체(110) 내부의 공간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내부 소음이 차단되는 과정의 설명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내부 소음이 차단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 예는 상부 커버(114)가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를 전제한다. 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부 커버(114)가 위치되는 부분이 상측, 단자(620)가 위치되는 부분이 하측임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화살표는 정수기(10)가 작동됨에 따라, 본체(110) 내부의 공간에서 발생된 내부 소음의 이동 경로를 의미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모듈 몸체(6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은 마이크 삽입부(550)의 일 면에 밀착된다(도 15의 점선으로 표시된 사각형 부분).
상기 밀착은 마이크 지지부(720)가 모듈 몸체(610)를 가압함에 따라 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자(620)는 마이크 삽입부(550)에 수용되어, 본체(110) 내부의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단자(620)는 마이크 홀(114a)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620)는 마이크 홀(114a)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마이크 홀(114a)을 덮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마이크 홀(114a)을 통과하여 다른 소음에 의한 간섭 없이 단자(620)에 전달될 수 있다.
정수기(10)가 작동을 개시하면, 정수, 냉각 또는 가열을 위해 각 구성 요소가 작동됨에 따라 내부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정수,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이 유동되며 내부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면, 상기 구성 요소들에 의해 발생된 내부 소음의 이동 경로가 도시된다.
먼저, 발생된 내부 소음들은 마이크 삽입부(550)를 둘러싸는 제1 리브(510), 제2 리브(520) 및 제3 리브(530)에 의해 일차적으로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소음은 파동의 성질을 가지므로, 제1 내지 제3 리브(510, 520, 530)와 충돌한 내부 소음은 반사되어 단자(6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마이크 모듈(600)과 마이크 삽입부(550)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소음 중 일부는 상기 유격을 통해 단자(620)를 향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모듈 몸체(610)와 마이크 삽입부(55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고정 부재(700)에 의해 밀착된다(도 15의 점선으로 표시된 사각형 부분). 따라서, 가사 내부 소음 중 일부가 상기 유격을 통해 유입되더라도, 내부 소음이 더 이상 진행할 공간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단자(620)에는 내부 소음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620)에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간섭 없이 유입되어, 정수기(10)에 정확한 음성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정수기
100: 캐비닛
110: 본체
111: 전면 커버
112: 측면 커버
113: 후면 커버
114: 상부 커버
114a: 마이크 홀
115: 출수부 결합부
120: 잔수 트레이
200: 출수부
210: 로테이터
220: 출수 유닛
230: 출수 코크
300: 조작부
310: 조작 버튼
320: 출수 버튼
400: 스피커 모듈
410: PCB(Printed Circuit Board)
420: 스피커
500: 마이크 결합부
510: 제1 리브
520: 제2 리브
530: 제3 리브
540: 지지 리브
541: 제1 지지 리브
542: 제2 지지 리브
550: 마이크 삽입부
551: 돌기 삽입부
560: 나사 체결부
561: 체결공
600: 마이크 모듈
610: 모듈 몸체
620: 단자
630: 파지부
640: 돌기
700: 고정 부재
710: 베이스부
711: 공간부
712: 보강 리브
720: 마이크 지지부
721: 외주 리브
722: 내주 리브
723: 단자 수용부
730: 체결 홀
731: 제1 체결 리브
732: 제2 체결 리브
740: 체결 부재

Claims (15)

  1. 내부에 공간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 모듈;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고, 삽입된 상기 마이크 모듈을 둘러싸는 마이크 결합부; 및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연속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을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마이크 지지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모듈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모듈 몸체; 및
    상기 고정 부재를 향하는 상기 모듈 몸체의 일 면에 위치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 지지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단자의 일부를 둘러싸는 외주 리브(rib); 및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 리브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리브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단자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는 내주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 리브 및 상기 내주 리브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하는 일측의 각 단부 면이 상기 모듈 몸체의 상기 일 면에 밀착되는,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주 리브;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 리브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리브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주 리브; 및
    상기 외주 리브와 상기 내주 리브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공간인 단자 수용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부는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단자는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모듈 몸체, 상기 마이크 지지부, 상기 외주 리브 및 상기 내주 리브에 둘러싸여 밀폐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결합부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는 마이크 삽입부; 및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삽입부를 둘러싸는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마이크 삽입부의 일측을 둘러싸는 제1 리브;
    상기 제1 리브와 마주하며, 상기 마이크 삽입부의 타측을 둘러싸는 제2 리브; 및
    상기 마이크 삽입부의 다른 타측을 둘러싸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제3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상기 제2 리브 및 상기 제3 리브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각 단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 리브, 상기 제2 리브 및 상기 제3 리브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상기 각 단부와, 상기 마이크 삽입부가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는 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짧은,
    정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마이크 삽입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리브에서 연장되는 지지 리브;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내면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리브에서 돌출되는 나사 체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체결부는,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 홀을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과 상기 체결 홀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되는,
    정수기.
  12. 내부에 공간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 모듈;
    상기 상부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을 둘러싸는 마이크 결합부; 및
    상기 마이크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접촉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외측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하는 일측의 단부 면이 상기 마이크 모듈에 밀착되는 외주 리브; 및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외측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향하는 일측의 단부 면이 상기 마이크 모듈에 밀착되는 내주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마이크 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마이크 홀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정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정수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앙에 위치되는,
    정수기.
KR1020190168182A 2019-12-16 2019-12-16 정수기 KR10237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82A KR102372538B1 (ko) 2019-12-16 2019-12-16 정수기
KR1020220027604A KR102479825B1 (ko) 2019-12-16 2022-03-0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82A KR102372538B1 (ko) 2019-12-16 2019-12-16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604A Division KR102479825B1 (ko) 2019-12-16 2022-03-03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10A true KR20210076710A (ko) 2021-06-24
KR102372538B1 KR102372538B1 (ko) 2022-03-10

Family

ID=766073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182A KR102372538B1 (ko) 2019-12-16 2019-12-16 정수기
KR1020220027604A KR102479825B1 (ko) 2019-12-16 2022-03-03 정수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604A KR102479825B1 (ko) 2019-12-16 2022-03-0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2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88A (ko) 2021-06-30 2023-01-06 (주)대한솔루션 정수기용 티스푼 공급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565A (ko) 1997-10-01 1999-05-06 정휘동 냉,온 정수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9348A (ko) * 2012-10-17 201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20140070270A (ko) 2012-11-30 2014-06-10 정광영 음성인식 정수기
KR20140071740A (ko) * 2012-12-04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20140136199A (ko) * 2013-05-2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19310A (ko) * 2017-04-25 2018-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4860A (ko) *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 및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KR20190084853A (ko) *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마이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565A (ko) 1997-10-01 1999-05-06 정휘동 냉,온 정수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9348A (ko) * 2012-10-17 201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20140070270A (ko) 2012-11-30 2014-06-10 정광영 음성인식 정수기
KR20140071740A (ko) * 2012-12-04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20140136199A (ko) * 2013-05-2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19310A (ko) * 2017-04-25 2018-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4860A (ko) *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 및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KR20190084853A (ko) *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마이크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88A (ko) 2021-06-30 2023-01-06 (주)대한솔루션 정수기용 티스푼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538B1 (ko) 2022-03-10
KR102479825B1 (ko) 2022-12-21
KR20220031606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071B2 (ja) 浄水装置
US10864468B2 (en) Water purifier
EP3220082B1 (en) Refrigerator
KR102479825B1 (ko) 정수기
US20170320721A1 (en) Water purifier
US20100229592A1 (en) Refrigerator
US20150101669A1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water filter assembly within the same
US20110067433A1 (en)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20204361A1 (en) Water purifier
KR101323891B1 (ko) 정수기
JPH0571670A (ja) 膨張弁
US20210207877A1 (en) Refrigerator
KR102388584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22073A (ko) 냉장고
KR101774136B1 (ko) 냉장고
KR101738294B1 (ko) 냉장고
KR20190139818A (ko) 필터 구조
KR10251130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6008733A (ja) 冷蔵庫
JP6909331B2 (ja) 冷蔵庫
WO2017094199A1 (ja) 冷蔵庫
US1185879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mesmerizing dispenser
KR20210146673A (ko) 냉장고
KR20240051642A (ko) 냉장고
KR2024005163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