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334A -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334A
KR20140135334A KR1020130055320A KR20130055320A KR20140135334A KR 20140135334 A KR20140135334 A KR 20140135334A KR 1020130055320 A KR1020130055320 A KR 1020130055320A KR 20130055320 A KR20130055320 A KR 20130055320A KR 20140135334 A KR20140135334 A KR 20140135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goods
information
common
purch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배
Original Assignee
서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배 filed Critical 서석배
Priority to KR102013005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5334A/ko
Priority to PCT/KR2014/004175 priority patent/WO2014185663A1/ko
Publication of KR2014013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로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특정주소지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공동구매를 유도하여 구매자가 저렴한 물품을 구입하더라도 무료배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전체 물류비용도 감소할 수 있으며, 서비스공급자가 구매자에게 최적의 장소를 추천함으로써, 구매자는 구매물품을 빠르게 배달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장소에서 물품 구매자 부재 시에는 물품을 대리 수령하여 관리하는 관리장소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기존의 E-마켓과 연동하고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GPS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중인 사람들에게도 모바일 단말을 통해 물품과 광고를 게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공동구매를 유도할 수 있고 서비스공급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관리장소를 음식점, 소매점, 대형할인점 등과 같은 배달이 가능한 업소와 협약함으로써, 관리장소에 보관된 물품을 업소에서 주문한 물품과 함께 무료로 배달하는 서비스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해당 업소의 영업도 활성화될 수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INTERNET PURCHASE BASED ON COMMON RECEIVING PLACE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근 인터넷을 이용하여 최저가로 물품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또한 소셜커머스의 등장으로 인터넷 이용한 구매가 더욱 활성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물품을 구매할 경우에는 배송비용을 물품구매자가 부담해야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는 실정에 따라, 저렴한 물품도 무료배송이 가능한 새로운 인터넷 구매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는바, 본 발명은 이런 필요성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로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특정주소지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무료배송을 달성할 수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기술과 인터넷 등의 통신망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는 인터넷을 이용해 상품을 사고파는 행위로서, 오프라인 방식에 비해 편리하고 가격도 저렴하여 현대인에게 각광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급격하게 발전하고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아지면서 소셜 네트위크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홍보하거나 물품을 판매하는 새로운 전자 상거래 방식인 소셜 커머스가 등장하였고, 이로 인해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는 구매자들의 수 또한 급증하게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등의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구매 방식은 그 특성상 대부분 택배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매물품을 배달하기 때문에, 구매물품의 가격이 비싼 경우에는 판매자가 배송비용을 지불하기도 하나, 구매물품의 가격이 저렴한 경우에는 구매물품의 배송비용을 구매자가 부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물품구입과정에 소비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공동구매방식을 사용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공동구매방식이란 소비자가 둘 이상 모여 필요한 물건을 함께 구매하는 것으로, 특히 다수의 구매자가 모이기 쉬운 인터넷 전자 상거래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구매자는 물건을 한꺼번에 많이 구입함으로써 개별 구입보다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많은 구매자가 공동구매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동구매방식은 판매자가 단방향으로 일정 수량에 따른 가격을 제시하면 구매자는 판매자가 제시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할 수 밖에 없고, 구매의사가 있다하더라도 구매자들의 구매수량이 판매자가 제시한 판매수량에 미치지 못할 시에는 구매자체가 취소되는 경우도 있어 물품을 구매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많은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의 인터넷 구매 등의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구매 방법은 구매자의 구매물품 수령지 위치가 배송이 수월한 도시지역과 거리가 먼 도서지역이나 산간지역일 경우에는 구매자가 지불하는 배송비용이 구매물품의 가격과 비슷하거나 더 클 수도 있기 때문에, 구매자 입장에서는 필요한 물품의 가격이 저렴하고 꼭 필요한 물품일지라도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구매가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터넷 구매 등의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구매 방법에는, 배송비용을 절감하고 배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구매자의 생활구역 내에 위치한 지역 커뮤니티 지점으로 물품을 배송하고 해당 지역 커뮤니티 지점에서 물품의 배송방식에 따라 구매자 가정으로 배송 또는 구매자가 직접 수령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구매자의 입장보다는 판매자의 사업운영비용 절감과 사업효과 상승을 위한 원활한 배송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막상 구매자가 지불하는 배송비용을 절감하는 것과는 크게 상관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인터넷 구매 등의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할 시, 배송비용의 부담으로 인해, 저렴한 물품을 구입하고 싶은 구매자 또는 배송비용이 많이 드는 도서, 산간 지역의 구매자들이 인터넷 구매와 같은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기 힘든 실정에 따라, 무료배송이 가능한 새로운 인터넷 구매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작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로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특정주소지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공동구매를 유도하여 구매자가 저렴한 물품을 구입하더라도 무료배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전체 물류비용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로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특정주소지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하는데 있어서, 서비스공급자가 가장 빨리 배달될 수 있는 장소를 물품 구매자에게 추천하고, 해당 장소에서 물품 구매자 부재 시에는 물품을 대리 수령하여 관리하는 관리장소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리장소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하여 무료배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기존의 E-마켓과 연동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관리장소 주변의 구매자 층을 타겟팅하여 공동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리장소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하여 무료배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GPS(모바일 단말기의 GPS에 한정되지 않음)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더 효과적으로 관리장소의 구매자 층을 타겟팅하여 공동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를 관리장소로 정해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관리장소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하여 무료배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 물품 게시 및 전달 과정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또는 오프라인으로 해당 구매자의 주거지역 중심의 광고를 통해 서비스공급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를 관리장소로 정해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관리장소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하여 무료배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 상기 관리장소를 음식점, 소매점, 대형할인점 등과 같은 배달이 가능한 업소와 협약함으로써, 관리장소에 보관된 물품을 업소에서 주문한 물품과 함께 무료로 배달하는 서비스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해당 업소의 영업도 활성화될 수 있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은,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E-마켓 서버; 및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의 내부에 장착된 저장수단, 전기 혹은 광학 케이블로 연결된 별도의 저장수단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저장수단에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복수의 물품구매자 중 최초 물품구매자가 E-마켓 서버를 통해서 물품구매 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에 등록된 상기 구매할 물품의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다른 물품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추가구매를 유도하고, 상기 추가구매를 통해 무료배송이 가능한 물량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는,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최초 물품구매자는 상기 제공된 정보를 참조하여 구매할 물품의 품목과 공동 수령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물품구매자가 설정한 옵션에 최적화된 공동 수령지를 추천해주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옵션설정을 통하여 관심있는 품목을 설정하면 해당하는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에 대해서 알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원하는 시간대에만 상기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물품구매자들에게 광고를 배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GPS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중이거나 해당지역의 사용자들에게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은 복수의 물품구매자 중 최초 물품구매자가 E-마켓 서버를 통해서 물품을 주문한 후 해당 물품의 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한 물품의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다른 물품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추가구매자를 모집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구매가 발생할 경우 상기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구매를 통해 무료배송이 가능한 물량이 확보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은 상기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무료배송이 가능한 물량이 확보되었으면 최종 구매 개수를 확정하고 물품판매자에게 물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는,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제공되며, 상기 물품구매자는 상기 제공된 정보를 참조하여 구매할 물품의 품목과 공동 수령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품구매자가 설정한 옵션에 최적화된 공동 수령지를 추천해주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옵션설정을 통하여 관심있는 품목을 설정하면 해당하는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에 대해서 알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원하는 시간대에만 상기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물품구매자들에게 광고를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GPS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중이거나 해당지역의 사용자들에게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로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특정주소지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품목을 알려 구매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공동구매를 유도하여 구매자가 저렴한 물품을 구입하더라도 무료배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전체 물류비용도 감소할 수 있으며, 서비스공급자가 구매자에게 최적의 장소를 추천함으로써, 구매자는 구매물품을 빠르게 배달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장소에서 물품 구매자 부재 시에는 물품을 대리 수령하여 관리하는 관리장소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기존의 E-마켓과 연동하고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GPS(GPS는 모바일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음)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중인 사람들에게도 모바일 단말을 통해 물품과 광고를 게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공동구매를 유도할 수 있고 서비스공급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관리장소를 음식점, 소매점, 대형할인점 등과 같은 배달이 가능한 업소와 협약함으로써, 관리장소에 보관된 물품을 업소에서 주문한 물품과 함께 무료로 배달하는 서비스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해당 업소의 영업도 활성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이 가능한 업소와 협약한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종래의 공동구매 및 배송지에 관련된 인터넷 구매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본 발명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03-0004739호(2003.01.15)는 구매자의 생활 구역 내 위치한 지역 커뮤니티 지점으로 물품을 배송하고 해당 지역 커뮤니티 지점에서 물품의 배송방식에 따라 구매자 가정으로 배송 또는 직접 수령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자체 판매 시스템의 물품 배송 관점인데 비해, 본 발명은 타 판매시스템의 구매물품에 대하여 공공구매를 유도하여 온라인 거래된 물품을 물품 구매자가 지정한 관리장소로 무료배송 시키는 것이다.
2. 한국공개특허 제2006-0112266호(2006.10.31)는 이동통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의 오프라인 상점 공동구매 참여를 유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상점 공동구매에 관한 것이고 또한 오프라인매장에서 공동구매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인데 비해, 본 발명은 불특정 온라인 상점의 공동구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공동구매 개념은 개별구매를 기반으로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것이고, 또한 공동구매가 실패하면 구매자는 배송비를 지불하면 될 뿐, 거래가 취소되는 경우는 없다. 즉, 본 발명은 공동구매 상품을 첫 구매자가 선정하고, 공동구매에 관한 내용을 사업자에게 정보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3. 한국공개특허 제2002-0060820호(2002.07.19)는 구매자로부터 최단거리를 위치한 제휴 대리점의 운영 사이트를 접속시키며, 제휴 대리점 운영 사이트로부터 상품 정보를 제공받고 선택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매자와 가까운 거리의 대리점과 연계해서 배송시간을 단축하는 데 관한 기술인데 반해, 본 발명은 배송시간 단축에 관한 것이 아니라 배송비용 절감 및 공동구매 추진을 위한 목적이다. 즉, 본 발명은 배송시간 단축과는 관계가 없다.
4.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8172호(2001.09.26)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광고된 임의의 상가의 광고와 연동하여 네티즌이 개별적으로 원하는 물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배너광고와 개별적인 물품주문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근의 가상 상점의 광고를 기반으로 구매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하는 것인데 비해, 본 발명은 온라인 판매점에 대한 광고는 없으며 상품은 최저가 검색, 사용자 상품평 등을 통해 구매자가 직접 구매물품을 선정한다.
5. 한국공개특허 제2001-0105800호(2001.11.29)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품의 주문 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주문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주문 상품의 배송은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가맹점을 확보하여 근거리 배송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인데 비해, 본 발명은 가맹점 및 근거리 배송과 관계가 없다.
즉, 본 발명은 효율적인 배송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있으나 이는 시간 또는 비용을 절약하는 배송 시스템 자체의 효율에 관한 것이 아니라, 초기 구매자가 물품을 무료배송 받을 수 있도록 공동 수령지를 정하여 공동구매를 유도하는 데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은, 물품구매자에게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을 통해 관리장소와 같은 공동 수령지에 관한 정보와 추가구매품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인터넷 구매로 물품을 주문하는 물품구매자에게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 관리장소의 정보를 제공하고 물품구매자가 상기 주문을 등록 하면, 상기 주문한 물품의 물품판매자에게 배송 대기 요청을 하고, 상기 주문한 물품의 추가구매자를 모집한 다음, 다시 물품판매자에게 배송 요청을 하여, 물품구매자가 저가의 물품을 구매하더라도 무료배송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소는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과 협약된 배달이 가능한 업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은 인터넷 홈페이지, 앱스토어, 구글마켓 등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배포하여 물품구매자들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서도 상기 관리장소에 관한 정보와 추가구매품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물품구매자가 설정한 옵션에 최적화된 관리장소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포함한다.
추가구매자의 모집은 모바일 단말기로 전자 파일 형태의 전단지 및 현수막을 제공하여 흡사 오프라인과 유사한 형태로 추가구매자를 모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옵션설정을 통하여 자신이 관심 있는 품목의 추가구매정보만을 알림 서비스 받을 수 있고 또한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만 상기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존의 E-마켓 및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을 통하여 관리장소에 관한 정보와 추가구매품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때, 또는 관리장소에서 물품을 물품구매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거지역 중심의 광고를 포함한 광고를 배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 이때 광고의 제공은 반드시 주거 중심의 광고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GPS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중이거나 해당지역의 사용자들에게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추가구매품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터넷 구매 시스템으로는 구매물품이 저렴한 경우에는 거의 구매물품의 배송비용을 구매자가 부담해야 하고, 이로 인해 상승하는 물품구입비용을 낮추기 위해 공동구매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종래의 공동구매방식으로는 판매자가 제시한 수량과 가격 조건이 충족되었을 시에만 구입이 가능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시점에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특정주소지(공동 수령지 혹은 관리장소)로 구매 품목을 배달시키고, 특정주소지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품목을 알려서 구매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무료배송 인터넷 구매를 달성시키기 위한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은 최초 물품구매자(100)가 인터넷으로 물품을 일대일 방식으로 구매하더라도 이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하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서비스공급자(300)가 상기 등록된 주문의 방식을 배송지가 동일한 공동구매방식으로 전환하여, 물품판매자(200)가 무료배송 서비스를 지원하게끔 하는 시스템으로써, 이를 통해 저렴한 물품의 무료배송이 가능해지고, 다량의 물건을 한 번에 한곳의 관리장소(400)로 배송하게 되어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최초 물품구매자(100)가 물품판매자(200)에게 물품을 주문하고, 서비스공급자(300)가 제공하는 관리장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물품이 배달될 배송지로 지정하며, 아울러 서비스공급자 시스템에 주문을 등록한다. 다음으로, 서비스공급자(300)는 물품판매자에게 상기 주문된 물품에 대해서 배송대기를 요청하고, 추가 물품구매자(110)를 모집하며, 이 과정에서 서비스공급자는 광고를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추가모집을 통해서 물품구매자를 충분히 모집한 후, 물품판매자에게 배송요청을 하면, 물품판매자는 특정 배송지로 해당 물품을 그룹핑하여 배송처리 하게 된다. 배송된 물품은 관리장소에 보관되고, 상기 보관된 물품은 다시 최초 물품구매자 및 추가 물품구매자에게 직접 전달되거나, 제휴업체를 통해서 배송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서비스공급자(300)는 물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관리장소(400)를 미리 선정하고, 상기 관리장소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 공개한다(S101). 이후 물품구매자(100)는 인터넷 상에서 물품을 주문하고 배송지를 서비스공급자(300)가 제공하는 관리장소(400)로 설정(S102)한 다음 물품주문 사실을 서비스공급자(300)에게 등록한다(S103). 다음으로 서비스공급자(300)는 먼저 물품판매자(200)에게 배송대기를 요청하고(S104), 해당 물품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거나 전단지로 배부하는 방법 등으로 해당 물품의 추가 물품구매자(110)를 모집(S105)한 다음 일정기간이 지난 후 최종 구매 개수를 확정하고 물품판매자(200)에게 배송을 요청한다(S106). 모든 거래 체결 및 물품배송 이후에 상기 물품이 배달된 관리장소가 본 발명의 시스템과 협약되어 있는 배달이 가능한 업소(예 : 음식점, 소매점, 대형할인점 등)인지 확인한 후(S107), 협약되어 있지 않은 관리장소일 경우에는 최초 물품구매자 및 추가 물품구매자가 직접 가서 물품을 수령할 수 있으며(S108), 만약 관리장소가 본 발명의 시스템과 협약되어 있는 배달이 가능한 업소일 경우에는 물품구매자가 상기 업소에 주문한 물품과 함께 무료 배달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S109).
참고로 상기 물품판매자로부터 관리장소까지 무료배송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은, 추가 물품구입자를 다수 확보하고 이를 통해 추가 주문된 다량의 물품을 한 곳의 장소로 한 번에 배송하게끔 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 구매 중 일대일 구매에서 고가의 물품을 주문할 경우 물품판매자는 저가의 물품을 팔았을 때보다 많은 이윤을 얻게 되고 그 만큼의 추가서비스를 무료배송의 형태로 물품구매자에게 지원하는 것과 같이, 물품판매자가 많은 수량의 물품을 한 번의 배송으로 판매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한 번의 배송을 무료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이 가능한 업소와 협약한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참고로 서비스공급자(300)는 물품구매자에게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기존의 E-마켓을 통해 관리장소에 관한 정보와 추가구매품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310)와 데이터베이스(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템의 운영자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310)의 내부에 장착된 저장수단에 구현되거나, 전기 혹은 광학 케이블로 연결된 별도의 저장수단(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저장수단(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 구조는 서버 가상화와 스토리지 가상화를 통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은 물품구매자, 물품판매자, 협력업소 등에 웹기반의 온라인 사이트를 제공하며, 이는 HTML5 등의 인터넷 표준을 통하여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호환성이 보장되고, 패이스북 (facebook) 또는 트위터 (twitter)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와 연계된 인증이 가능하고, 온라인 커머스는 무선 결제 솔루션의 이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시 무료배송을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물품구매자(100-1, 100-2, 100-3)가 구입한 물품을 최종적으로 수령하는 시점까지 무료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비스공급자(300)가 음식점, 소매점, 대형할인점과 같은 배달이 가능한 업소(400-1, 400-2, 400-3)와 협력계약을 맺음으로써, 물품판매자(200-1, 200-2, 200-3)가 물건을 배송하는 관리장소(400)를 상기 배달이 가능한 업소(400-1, 400-2, 400-3)로 정한다면 최초 물품구매자(100-1, 100-2, 100-3) 및 추가 물품구매자(110-1, 110-2, 110-3)가 해당 업소(400-1, 400-2, 400-3)를 이용할 때나 해당 업소(400-1, 400-2, 400-3)의 상품을 주문했을 때에 상기 인터넷으로 구입한 물품과 함께 무료배달 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고, 혹은 상기 협력계약의 내용에 따라 해당 업소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무료배달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인터넷을 통한 물품구매 과정 일체에서 무료배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의 서비스공급자(300)는, 최초 물품구매자(100-1, 100-2, 100-3) 및 추가 물품구매자(110-1, 110-2, 110-3)가 자신의 상황에 맞는 관리장소(400-1, 400-2, 400-3)를 선택할 수 있도록 관리장소 협력계약을 맺은 각 지역별 업소의 리스트와 배달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보통의 관리장소의 리스트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하고, 물품판매자로부터 관리장소(400-1, 400-2, 400-3)까지 무료배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물품판매자(200-1, 200-2, 200-3)에게 우선 배송대기요청을 하여 해당 물품의 추가구매자를 모집할 시간을 확보하고 추가구매자가 어느 정도 모인 후에 무료배송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은 물품구매자(100)가 자신의 상황에 맞는 관리장소(4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관리장소(400)의 리스트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하는데 있어서, 최초 물품구매자(100) 및 추가 물품구매자(110)가 자신의 지역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입력하고 자신이 물품을 배송 받는 데까지 고려하는 사항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옵션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물품구매자(100)의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관리장소(400)나, 혹은 해당 업소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무료배달을 해주는 업소와 같은 다양한 조건의 관리장소 중 최초 물품구매자(100) 및 추가 물품구매자(110)가 설정한 옵션에 최적화된 관리장소(400)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초 물품구매자(100) 및 추가 물품구매자(110)가 관리장소(400)를 지정하여 주문한 물품에 대한 추가구매자를 모집하는 방법은, 온라인을 이용하는 방법과, 오프라인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상기 온라인을 이용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사용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추가구매사항이 있을 때마다 링크를 띄우거나 가입회원들에게 메일을 발송하는 형식으로도 가능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알림메시지를 통해서 이루어 질수도 있으며, 기존의 E-마켓과 연동하여 모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가구매대상 물품의 지정된 관리장소 지역의 사용자들은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앱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모바일 단말에 설치함으로써, 언제든지 추가구매사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GPS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중이거나 해당지역의 사용자들에게도 실시간으로 추가구매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옵션설정을 통하여 자신이 관심 있는 품목의 추가구매정보만을 알림 서비스 받을 수 있고, 또한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만 상기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프라인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전단지나 현수막을 해당지역의 주거밀집지역 혹은 유동인구수가 많은 길목에 배포하거나 설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당물품의 추가구매자들을 모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단지나 현수막은 오프라인이 아니라 모바일 단말의 앱을 통해서 전자 파일 형태의 전단지와 현수막을 작성하여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지와 현수막의 배포는 이메일, 메신저, 앱의 광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배포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전자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하는 것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 서비스공급자는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존의 E-마켓 및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을 통하여 관리장소에 관한 정보와 추가구매품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때나 또는 관리장소에서 물품을 물품구매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거지역 중심의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광고를 배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
또한, 최초 물품 구매자와 추가 물품구매자는 결재 및 주문하는 대상이 다르게 되고, 최초 물품구매자의 경우 물품 판매자의 E-마켓 서버에서 물품을 구매하고 결재하는 반면, 추가 물품 구매자는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에서 물품을 주문하고 대금을 결재할 수 있어, 최초 물품 구매자와 추가 물품 구매자가 구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최초) 물품구매자 110 : 추가 물품구매자
200 : 물품판매자(E-마켓 서버) 300 : 서비스공급자
310 :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 320 : 데이터베이스
400 : 관리장소

Claims (11)

  1.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E-마켓 서버; 및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의 내부에 장착된 저장수단, 전기 혹은 광학 케이블로 연결된 별도의 저장수단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저장수단에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복수의 물품구매자 중 최초 물품구매자가 E-마켓 서버를 통해서 물품구매 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에 등록된 상기 구매할 물품의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다른 물품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추가구매를 유도하고, 상기 추가구매를 통해 무료배송이 가능한 물량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는,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최초 물품구매자는 상기 제공된 정보를 참조하여 구매할 물품의 품목과 공동 수령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설정한 옵션에 최적화된 공동 수령지를 추천해주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옵션설정을 통하여 관심있는 품목을 설정하면 해당하는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에 대해서 알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원하는 시간대에만 상기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는,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물품구매자들에게 광고를 배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는,
    GPS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중이거나 해당지역의 사용자들에게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6. 복수의 물품구매자 중 최초 물품구매자가 E-마켓 서버를 통해서 물품을 주문한 후 해당 물품의 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공동 수령지 거점 안내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한 물품의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다른 물품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추가구매자를 모집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구매가 발생할 경우 상기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구매를 통해 무료배송이 가능한 물량이 확보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무료배송이 가능한 물량이 확보되었으면 최종 구매 개수를 확정하고 물품판매자에게 물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는,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제공되며, 상기 물품구매자는 상기 제공된 정보를 참조하여 구매할 물품의 품목과 공동 수령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물품구매자가 설정한 옵션에 최적화된 공동 수령지를 추천해주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옵션설정을 통하여 관심있는 품목을 설정하면 해당하는 품목에 대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에 대해서 알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물품구매자가 원하는 시간대에만 상기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인터넷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E-마켓,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물품구매자들에게 광고를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GPS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중이거나 해당지역의 사용자들에게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추가구매정보와 공동 수령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방법.
KR1020130055320A 2013-05-15 2013-05-15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5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320A KR20140135334A (ko) 2013-05-15 2013-05-15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4/004175 WO2014185663A1 (ko) 2013-05-15 2014-05-12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320A KR20140135334A (ko) 2013-05-15 2013-05-15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334A true KR20140135334A (ko) 2014-11-26

Family

ID=5189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320A KR20140135334A (ko) 2013-05-15 2013-05-15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35334A (ko)
WO (1) WO201418566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33A (ko) * 2019-02-27 2020-09-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85403B1 (ko) * 2021-10-01 2022-04-14 장세훈 비대면 공동구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KR20220063371A (ko) * 2020-11-10 2022-05-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2042B1 (ko) * 2022-03-03 2023-05-15 이영수 공동 배달 주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82423A (ko)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주다 군 장병용 택배 배송 연계 시스템
WO2023229060A1 (ko) * 2022-05-24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4555B2 (ja) * 2018-08-21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10310437B (zh) * 2019-06-27 2021-09-17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一种拼团代收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170A (ja) * 2002-02-25 2003-09-05 Nec Commun Syst Ltd 携帯端末における移動車両位置通知方式および方法
KR20030047932A (ko) * 2003-04-28 2003-06-18 박병규 배송조건이 일치하는 소비자들의 공동구매 후 전국 곳곳에있는 중계소를 통한 무료 배송 방식
KR100922073B1 (ko) * 2007-04-16 2009-10-16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유무선망에서의 택배 서비스 방법
KR20110116656A (ko) * 2010-04-20 2011-10-26 권희원 인터넷 입찰방식에 의한 전자 상(商) 직거래 연결방법과 보상체계를 적용한 중개 웹 싸이트(web site) 운용(運用) 방법
KR20120084000A (ko) * 2011-01-19 2012-07-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구매패턴 기반 쇼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33A (ko) * 2019-02-27 2020-09-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63371A (ko) * 2020-11-10 2022-05-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5403B1 (ko) * 2021-10-01 2022-04-14 장세훈 비대면 공동구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KR20230082423A (ko)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주다 군 장병용 택배 배송 연계 시스템
KR102532042B1 (ko) * 2022-03-03 2023-05-15 이영수 공동 배달 주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229060A1 (ko) * 2022-05-24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5663A1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5334A (ko)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175766A (ja) 誂え型ショッピングモール構築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37525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JP5925361B2 (ja) 一体型マーケットプレイスで商品の統合決済の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103026A (ko)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관리 시스템
US201301321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Group Buying with Regular Selling
KR20180027246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8662A (ko) 온·오프라인 통합 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24149A (ko) 인터넷 상거래 시스템
KR101520145B1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3748B1 (ko) 정액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170047669A (ko) 스마트폰에서 하나의 가상 음식점을 기반으로 하는 음식주문 및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JP2007026471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738987B1 (ko) 클러스터 기반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30340A (ja) 販売業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業者管理方法
KR20130089948A (ko) 기부를 통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 방법
KR20130137886A (ko)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처리 시스템
KR10124397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역-포인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JP3923951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
KR101242522B1 (ko) 1인 블로그형 소셜오픈마켓 마켓블로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225230B1 (ko) 모바일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광고의 결제를 위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225A (ko) 프렌차이즈 가맹점 고객 선물쿠폰 마케팅 시스템
US201900737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 purchasing
KR20140086936A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에서 제휴 마케팅 서비스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0260A (ko) 쇼핑몰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