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533A -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533A
KR20200104533A KR1020190022967A KR20190022967A KR20200104533A KR 20200104533 A KR20200104533 A KR 20200104533A KR 1020190022967 A KR1020190022967 A KR 1020190022967A KR 20190022967 A KR20190022967 A KR 20190022967A KR 20200104533 A KR20200104533 A KR 20200104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harging station
driver
goods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480B1 (ko
Inventor
조성래
권진연
김장훈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2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8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04L67/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가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 충전기와 배달 물품을 보관하는 배달품 보관함을 포함하고, 전기 충전기와 배달품 보관함은 하나의 서비스 서버로 연동되며, 지역별로 배치된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한 배달기사의 방문기록을 서비스 서버를 통해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추가 물품 배달을 요청함으로써 배달 취급점이 원거리에 있는 도서벽지 등에서 배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배달기사의 전기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소와,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충전소의 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소는 상기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충전기와, 상기 전기 충전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연동되고, 상기 배달기사가 배달해야 하는 물품이 보관되는 배달품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달기사별로 방문한 지역별 충전소의 방문 기록을 저장하는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와, 상기 방문 기록을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일정 지역에 배치된 상기 배달품 보관함을 통해 물품의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추가 배달리스트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를 수락한 경우, 추가 배달요청 ID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부와, 상기 일정 지역의 배달품 보관함에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하고,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기사에게 전달하는 비밀번호 생성부와, 상기 배달기사의 물품 수령에 따라 물품 수령알람을 생성하고, 상기 물품 수령알람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령알람 생성/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소가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 충전기와 배달 물품을 보관하는 배달품 보관함을 포함하고, 전기 충전기와 배달품 보관함은 하나의 서비스 서버로 연동되며, 지역별로 배치된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한 배달기사의 방문기록을 서비스 서버를 통해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추가 물품 배달을 요청함으로써 배달 취급점이 원거리에 있는 도서벽지 등에서 배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서도 친환경적인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은 차츰 화석 연료의 연소로 구동되는 기존의 자동차 산업 기술에서 전기에너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전기자동차 산업 기술로 변해가고 있다.
즉, 석유 등 지구 자원의 유효,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Co2 삭감 등에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등, 축전지(이하 배터리라고도 한다) 구동의 전동기(이하 모터라 한다)에 의해 주행하는 이동체가 대두되고 있다.
석유로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는 예전부터 내려온 연료 보급 방법으로서 가솔린 스탠드 등이 있지만,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전거(이하, 이들 이동체를 '전기차'의 명칭으로 총칭한다)는 이동을 위하여 탑재되어 있는 축전지 등에 충전을 위하여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배달서비스 기사들은 접근성, 이동성 및 이동연비 등을 고려하여 전기차를 이용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고, 전기차의 충전을 위하여 배달서비스 기사는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한다.
이러한 기존의 전기차 충전소는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나 교체가 수행되므로, 전기차 이용자는 인근에 있는 충전소를 사전에 예약하고 충전소에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한편, 기존의 배달서비스는 배달 이용자가 지정된 택배 사무소, 편의점, 우체국 등의 배달 취급소를 방문하여 배달품을 보낸다. 그러나 인근에 배달서비스 취급점이 없는 도서 벽지에서는 배달기사의 방물을 하루 이상 기다리거나 원거리에 있는 배달 취급소를 방문하여 배달품을 보내야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0987호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 충전 및 인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 2018년 09월 12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차 충전소가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 충전기와 배달 물품을 보관하는 배달품 보관함을 포함하고, 전기 충전기와 배달품 보관함은 하나의 서비스 서버로 연동되며, 지역별로 배치된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한 배달기사의 방문기록을 서비스 서버를 통해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추가 물품 배달을 요청함으로써 배달 취급점이 원거리에 있는 도서벽지 등에서 배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달기사의 전기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소와,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충전소의 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소는 상기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충전기와, 상기 전기 충전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연동되고, 상기 배달기사가 배달해야 하는 물품이 보관되는 배달품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달기사별로 방문한 지역별 충전소의 방문 기록을 저장하는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와, 상기 방문 기록을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일정 지역에 배치된 상기 배달품 보관함을 통해 물품의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추가 배달리스트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를 수락한 경우, 추가 배달요청 ID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부와, 상기 일정 지역의 배달품 보관함에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하고,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기사에게 전달하는 비밀번호 생성부와, 상기 배달기사의 물품 수령에 따라 물품 수령알람을 생성하고, 상기 물품 수령알람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령알람 생성/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는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상기 충전소의 지역별 방문 빈도를 계산하는 방문 빈도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달기사가 지역별로 배치된 충전소에 방문한 방문 기록을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는 방문기록 저장단계와, 상기 방문 기록을 기준으로 물품의 배달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일정 지역의 충전소에 배치된 배달품 보관함의 추가 배달리스트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단계와, 상기 배달기사의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 수락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추가 배달요청 ID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일정 지역의 충전소에 배치된 배달품 보관함에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하는 물품 수용 확인단계와, 상기 배달기사의 물품 수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물품 수령알람을 생성하는 수령알람 생성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물품 수령알람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령알람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문기록 저장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상기 충전소의 지역별 방문 빈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수용 확인단계에서 상기 배달품 보관함에 물품이 수용될 때 상기 서비스 서버가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기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지역별로 배치된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한 배달기사의 방문기록을 서비스 서버를 통해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추가로 물품 배달을 요청함으로써 배달 취급점이 원거리에 있는 도서벽지 등에서 배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배달기사가 충전소를 방문하여 배터리를 충전 또는 교체하는 시간을 추가 요청된 물품을 처리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달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더 많은 배달 물량을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배달기사의 목적지 등을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확인하여 배달요청을 할 수 있으므로, 배달기사는 유사한 목적지나 경로에 있는 물품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고, 배달서비스 이용자는 빠른 배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은 충전소(200)와 서비스 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소(200)는 배달기사가 운전하는 전기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곳으로, 상기 충전소(200)는 지역별로 배치되어 각각의 고유 충전소 ID를 부여받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소(200)는 전기 충전기(210)와 배달품 보관함(220)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충전기(210)는 상기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한다. 물론, 상기 전기 충전기(210)는 상기 전기차에 직접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도 있지만, 충전된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차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은 상기 전기 충전기(210)와 상기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연동되고, 상기 배달기사가 배달해야 하는 물품이 보관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충전소(200)의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정보를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로, 상기 서비서 서버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를 개설하여 상기 배달기사와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스마트폰, 스마트 기어, 노트북 등과 같은 개인별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110),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부(120),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부(130), 비밀번호 생성부(140), 수령알람 생성/전달부(150)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웹 사이트에서 운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110)는 상기 배달기사별로 방문한 지역별 충전소(200)의 방문 기록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배달기사별로 고유의 배달기사 ID를 부여받으며, 상기 배달기사 ID와 상기 충전소 ID를 기반으로 상기 방문기록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110)는 방문 빈도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 빈도 계산부는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상기 충전소(200)의 지역별 방문 빈도를 계산한다.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방문 기록을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일정 지역에 배치된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을 통해 물품의 배달을 요청할 때, 추가 배달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는 본인의 거주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배치된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 중 상기 배달기사의 방문 빈도가 높거나 또는 일정 지역의 상기 충전소(200)의 활용도가 높은 배달품 보관함(220)을 선택하며, 이는 상기 방문 빈도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상기 충전소(200)의 지역별 방문 빈도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업로드되며,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에 해당하는 상기 충전소(200)가 상기 배달기사 중 한 명의 배달 경로 또는 충전 계획에 부합되는 지역에 배치된 경우, 상기 배달기사는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를 수락한다.
이때, 상기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부(130)는 추가 배달요청 ID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를 기반으로 구축된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를 수락한 상기 배달기사와, 물품의 배달을 요청한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한다.
즉, 상기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부(130)에서 상기 추가 배달요청 ID가 생성된 것은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를 수락한 것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는 지정된 충전소(200)의 배달품 보관함(220)의 물품을 보관한다. 이때,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과 연동된 상기 서비스 서버(100)의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140)는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을 개방시키는데 필요한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생성하며, 이를 배달기사에게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령알람 생성/전달부(150)는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에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물품을 수령했을 때, 상기 물품 수령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의 수령 여부는 상기 배달기사와 상기 전기 충전기의 연결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역별로 배치된 상기 충전소(200)를 방문한 상기 배달기사의 방문기록을 상기 방문기록 저장부를 통해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추가로 물품 배달을 요청함으로써 배달 취급점이 원거리에 있는 도서벽지 등에서 배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충전소(200)를 방문하여 배터리를 충전 또는 교체하는 시간을 추가 요청된 물품을 처리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달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더 많은 배달 물량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달기사의 목적지 등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확인하여 배달요청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달기사는 유사한 목적지나 경로에 있는 물품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고,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는 빠른 배송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방문기록 저장단계(S100),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단계(S200),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단계(S300), 물품 수용 확인단계(S400), 수령알람 생성단계(S500) 및 수령알람 전달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방문기록 저장단계(S100)에서는 상기 배달기사가 지역별로 배치된 상기 충전소(200)에 방문한 방문 기록을 서비스 서버(100)에 저장한다. 이때, 방문기록 저장단계(S100)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상기 충전소(200)의 지역별 방문 빈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단계(S200)에서는 상기 방문 기록을 기준으로 물품의 배달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일정 지역의 충전소(200)에 배치된 배달품 보관함(220)의 추가 배달리스트를 생성한다.
상기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단계(S300)에서는 상기 배달기사의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 수락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추가 배달요청 ID를 생성한다.
상기 물품 수용 확인단계(S400)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일정 지역의 충전소(200)에 배치된 배달품 보관함(220)에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한다.
상기 물품 수용 확인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에 물품이 수용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되는 센서(미도시)의 센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의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가 상기 도어의 개폐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에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는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게센서일 수 있다. 즉,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의 내부에 물품이 보관되면, 상기 물품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무게센서가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 내부에 상기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적외선센서, 온도센서등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 내부에 물품의 수용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물품 수용 확인단계(S400)에서 상기 배달품 보관함(220)에 물품이 수용될 때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기사에게 전달하다.
상기 수령알람 생성단계(S500)에서는 상기 배달기사의 물품 수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물품 수령알람을 생성하며, 상기 수령알람 전달단계(S600)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물품 수령알람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서비스 서버
110: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
120: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부
130: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부
140: 비밀번호 생성부
150: 수령알람 생성/전달부
200: 충전소
210: 전기 충전기
220: 배달품 보관함

Claims (5)

  1. 배달기사의 전기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소; 및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충전소의 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소는,
    상기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충전기; 및
    상기 전기 충전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연동되고, 상기 배달기사가 배달해야 하는 물품이 보관되는 배달품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달기사별로 방문한 지역별 충전소의 방문 기록을 저장하는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
    상기 방문 기록을 기준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자가 일정 지역에 배치된 상기 배달품 보관함을 통해 물품의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추가 배달리스트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부;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를 수락한 경우, 추가 배달요청 ID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부;
    상기 일정 지역의 배달품 보관함에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하고,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기사에게 전달하는 비밀번호 생성부;
    상기 배달기사의 물품 수령에 따라 물품 수령알람을 생성하고, 상기 물품 수령알람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령알람 생성/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별 방문기록 저장부는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상기 충전소의 지역별 방문 빈도를 계산하는 방문 빈도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3. 배달기사가 지역별로 배치된 충전소에 방문한 방문 기록을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는 방문기록 저장단계;
    상기 방문 기록을 기준으로 물품의 배달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일정 지역의 충전소에 배치된 배달품 보관함의 추가 배달리스트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리스트 생성단계;
    상기 배달기사의 상기 추가 배달리스트 수락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추가 배달요청 ID를 생성하는 추가 배달요청 ID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일정 지역의 충전소에 배치된 배달품 보관함에 물품이 수용된 것을 확인하는 물품 수용 확인단계;
    상기 배달기사의 물품 수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물품 수령알람을 생성하는 수령알람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물품 수령알람을 상기 배달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령알람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기록 저장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달기사가 방문한 상기 충전소의 지역별 방문 빈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 확인단계에서 상기 배달품 보관함에 물품이 수용될 때 상기 서비스 서버가 배달요청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기사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90022967A 2019-02-27 2019-02-27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0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67A KR102307480B1 (ko) 2019-02-27 2019-02-27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67A KR102307480B1 (ko) 2019-02-27 2019-02-27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33A true KR20200104533A (ko) 2020-09-04
KR102307480B1 KR102307480B1 (ko) 2021-10-01

Family

ID=7247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67A KR102307480B1 (ko) 2019-02-27 2019-02-27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37B1 (ko) 2020-10-26 2021-06-29 김봉수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334A (ko) * 2013-05-15 2014-11-26 서석배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7706A (ko) * 2015-08-07 2017-02-15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083A (ko) * 2017-02-08 2018-08-17 장영진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KR20180100987A (ko) 2017-03-03 2018-09-12 주식회사 브이디에스 전기자동차 충전 및 인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334A (ko) * 2013-05-15 2014-11-26 서석배 공동 수령지 거점 인터넷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7706A (ko) * 2015-08-07 2017-02-15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083A (ko) * 2017-02-08 2018-08-17 장영진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KR20180100987A (ko) 2017-03-03 2018-09-12 주식회사 브이디에스 전기자동차 충전 및 인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37B1 (ko) 2020-10-26 2021-06-29 김봉수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480B1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72627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oute planing for an electric vehicle
US11760214B2 (en) Digital access system for vehicles for externally controlled loading processes
US109987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2616027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US100716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and cloud remote access and user notifications
US10336205B2 (en)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a vehicle using a dynamic power grid, an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the vehicle
CN107351694B (zh) 用于车辆的移动充电方法、装置及系统
US8912753B2 (en) Remote power usage management for plug-in vehicles
US8346603B2 (en) Ecological-point management system
WO2019222369A9 (en) Mobil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ystem
JP5163238B2 (ja) 充電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充電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
CN102273043B (zh) 电动汽车的充电系统
US20190278274A1 (en) Autonomous mobile object, medicine delivery system, medicine delivery method using autonomous mobile object, and mobile object
CN110574082A (zh) 移动电源单元出租运营系统、方法、用电器件及其保障运营系统和方法
CN105122585A (zh) 电动车辆管理系统
CA27775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rvations of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vehicles
EP2417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traffic
KR20120102464A (ko) 전기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
CA3104018A1 (en) Charging system for dynamic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US2019003103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ate of charge of an energy storage means of a motor vehicle
KR102307480B1 (ko)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2085362A1 (ja) 充電予約システム
US10514267B2 (en)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KR20200043556A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WO2015146125A1 (ja) 燃料電池車の燃料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