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337B1 -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337B1
KR102271337B1 KR1020200138883A KR20200138883A KR102271337B1 KR 102271337 B1 KR102271337 B1 KR 102271337B1 KR 1020200138883 A KR1020200138883 A KR 1020200138883A KR 20200138883 A KR20200138883 A KR 20200138883A KR 102271337 B1 KR102271337 B1 KR 10227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lectric
dispatch
charging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수 filed Critical 김봉수
Priority to KR102020013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6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wind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된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을 탑재한 배달차량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 원하는 충전량에 맞추어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 결제 처리가 가능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운전자로부터 전기자동차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을 입력 받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탑재하고 있는 급전차량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출동을 요청한 전기자동차의 위치로 급전차량의 출동을 해당 급전차량의 담당 운행자에게 요청하는 급전차량 출동 센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전기자동차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급전차량 출동 센터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충전 배달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판독한 뒤 해당 위치로의 급전차량의 출동을 요청하기 위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전기충전 배달 서버로 전송하는 보험회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OFFERING SYSTEM AND METHOD OF ELECTRIC VEHICLE ELECTRIC CHARGING DELIVERY SERVIC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된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을 탑재한 배달차량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 원하는 충전량에 맞추어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 결제 처리가 가능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서도 친환경적인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은 차츰 화석 연료의 연소로 구동되는 기존의 자동차 산업 기술에서 전기에너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전기자동차 산업 기술로 변해가고 있다.
즉, 석유 등 지구 자원의 유효,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Co2 삭감 등에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등, 축전지 구동의 전동기에 의해 주행하는 이동체가 대두되고 있다.
석유로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는 예전부터 내려온 연료 보급 방법으로서 가솔린 스탠드 등이 있지만,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전거는 이동을 위하여 탑재되어 있는 축전지 등에 충전을 위하여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배달서비스 기사들은 접근성, 이동성 및 이동연비 등을 고려하여 전기차를 이용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고, 전기차의 충전을 위하여 배달서비스 기사는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한다.
이러한 기존의 전기차 충전소는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나 교체가 수행되므로, 전기차 이용자는 인근에 있는 충전소를 사전에 예약하고 충전소에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현 시전에 이르러서도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기반 시설은 초창기 상태로서 현재 보급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하 충전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각 전기자동차 제조회사들 간의 충분한 협의가 없어 각 제조사 마다 독자적인 충전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운행 도중에 전기자동차가 방전될 경우 원거리로 차량을 견인시킨 뒤 충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 역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견인이 완료된 뒤에도 충전을 위한 플러그 간의 호환성 문제로 인하여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도로 상에서 충전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충전 서비스에 대한 비용 지불이 현장에서 할 경우 자동 결제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4533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3864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된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을 탑재한 배달차량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 원하는 충전량에 맞추어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 결제 처리가 가능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운전자로부터 전기자동차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을 입력 받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탑재하고 있는 급전차량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출동을 요청한 전기자동차의 위치로 급전차량의 출동을 해당 급전차량의 담당 운행자에게 요청하는 급전차량 출동 센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전기자동차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급전차량 출동 센터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충전 배달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판독한 뒤 해당 위치로의 급전차량의 출동을 요청하기 위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전기충전 배달 서버로 전송하는 보험회사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차량은, 이동을 위한 차량 본체; 상기 차량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차량 본체의 적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또는 외부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저장해 두는 축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차량은,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외부 충전 장치를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차량은, 차데모, DC 콤보, AC 3상 및 수퍼 차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를 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차량은, 전기를 충전받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규격에 대응하여 전압 및 전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차량 출동 센터는, 급전차량의 출동에 따른 출동 요금의 과금을 출동 서비스를 요청한 전기자동차의 담당 보험회사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전기자동차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 요청 이외에,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임의의 시간,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 충전 장소 및 운전자가 원하는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차량은, 상기 태양광 패널과 상기 축전 장치가 설치되는 적재공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축전 장치로 공급하는 풍력 발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풍력 발전 장치는, 상기 축전 장치가 설치되는 적재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측벽;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측벽;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열을 지어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발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전 유닛은, 전단에 설치되는 다른 발전 유닛과 대향하지 아니하고 교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전 유닛은,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발전기 케이스; 상기 발전기 케이스를 관통하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발전기 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상기 발전기 케이스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공기 이동 통로; 상기 발전기 케이스의 전단 하부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통해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제1 설치 공간; 상기 발전기 케이스의 후단 상부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가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통해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제2 설치 공간; 상기 제1 설치 공간에 연결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공기 이동 통로로 노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1 터빈; 및 상기 제2 설치 공간에 연결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공기 이동 통로로 노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2 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이동 통로는, 상기 발전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입구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터빈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행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전기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이 다른 일측의 내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자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원통; 및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 원통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전기 케이스는,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후단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강 유도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후단에 위치하는 상기 발전 유닛이 전단에 위치하는 발전 유닛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후단이 전단보다 상측으로 승강되어 상기 발전 유닛이 설치되는 상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운전자 단말기에서 운전자로부터 전기자동차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을 입력 받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충전 요청 단계; 상기 충전 요청 단계에 의해 전송된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보험회사 서버에서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판독하는 위치 판독 단계; 상기 위치 판독 단계에 의해 상기 보험회사 서버에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판독이 완료되면 해당 위치로의 급전차량의 출동을 요청하기 위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기충전 배달 서버로 전송하는 출동 요청 단계; 전기충전 배달을 요청한 전기자동차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위치한 급전차량 출동 센터로 급전차량의 출동을 요청하는 센터 판독 단계; 상기 센터 판독 단계에 의해 출동을 요청받은 상기 급전차량 출동 센터에서 급전차량의 담당 운행자에게 요청하는 운행 요청 단계; 출동한 상기 급전차량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단계; 및 상기 충전 단계에 의해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급전차량의 출동에 따른 출동 요금의 과금을 출동 서비스를 요청한 전기자동차의 담당 보험회사로 요청하는 과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된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을 탑재한 배달차량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 원하는 충전량에 맞추어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 결제 처리가 가능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급전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발전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터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운전자 단말기(100), 급전차량 출동 센터(200), 배달 서버(400) 및 보험회사 서버(500)를 포함한다.
운전자 단말기(100)는, 전기자동차(C)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운전자로부터 전기자동차(C)의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을 입력 받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N)를 통해 보험회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한편,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일 실시예에서, 운전자 단말기(100)는, 전기자동차(C)의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 요청 이외에,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임의의 시간,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 충전 장소 및 운전자가 원하는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N)를 통해 보험회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급전차량 출동 센터(200)는, 전기자동차(C)를 충전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탑재하고 있는 급전차량(3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전기충전 배달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출동을 요청한 전기자동차(C)의 위치로 급전차량(300)의 출동을 해당 급전차량(300)의 담당 운행자에게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차량 출동 센터(200)는, 급전차량(300)의 출동에 따른 출동 요금의 과금을 출동 서비스를 요청한 전기자동차(C)의 담당 보험회사로 요청할 수 있다.
전기충전 배달 서버(400)는, 보험회사 서버(500)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전기자동차(C)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위치한 네트워크(N)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 센터(200)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보험회사 서버(5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C)의 현재 위치를 배달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GPS 신호의 판독 등을 이용하여 판독한 뒤 해당 위치로의 급전차량(300)의 출동을 요청하기 위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기충전 배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충전 배달 서버(400)는, 운전자 및 해당 운전자의 전기 자동차를 관리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인적 사항 등을 포함하는 운전자 식별정보 및 해당 운전자의 전기 자동차의 차대 번호 등을 포함하는 자동차 식별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충전 배달 서버(400)는,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된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을 탑재한 배달차량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 원하는 충전량에 맞추어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 결제 처리가 가능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급전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전차량(300)은, 차량 본체(310), 태양광 패널(320) 및 축전 장치(330)를 포함한다.
차량 본체(310)는, 이동을 위한 운송 수단(예를 들어, 적재함이 구비되어 있는 화물 차량 등)을로서, 상측에 태양광 패널(320)이 설치되며, 후단 적재 공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축전 장치(330)가 설치된다.
태양광 패널(320)은, 차량 본체(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해당 생산된 전기를 축전 장치(330)로 공급한다.
축전 장치(330)는, 차량 본체(310)의 적재 공간에 설치되며, 태양광 패널(32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또는 외부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저장해 둔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차량(300)은,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외부 충전 장치를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차량(300)은, 방전된 전기자동차(C)의 차종에 관계 없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차데모, DC 콤보, AC 3상 및 수퍼 차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급전차량(300)의 충전기는, 향후 새롭게 개발될 수 있는 충전 규격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충전 장치의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차량(300)은, 전기를 충전받는 전기자동차(C)의 충전 규격에 대응하여 전압 및 전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급전차량(300)은, 풍력 발전 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풍력 발전 장치(600)는, 태양광 패널(320)과 축전 장치(330)가 설치되는 적재공간 사이에 설치되며, 차량 본체(31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축전 장치(33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풍력 발전 장치(60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 제1 측벽(620), 제2 측벽(630) 및 발전 유닛(6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축전 장치(330)가 설치되는 적재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제1 측벽(620)과 제2 측벽(630)이 설치되며, 상측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전 유닛(64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후단에 위치하는 발전 유닛(640)이 전단에 위치하는 발전 유닛(640)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전단보다 상측으로 승강되어 발전 유닛(640)이 설치되는 상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단에 위치하는 발전 유닛(640)이 전단에 위치하는 발전 유닛(640)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후단에 위치하는 발전 유닛(640)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유임됨에 따라 발전 유닛(640)에 의한 발전 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제1 측벽(620)은, 제2 측벽(630)와 대향하며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32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측벽(630)은, 제1 측벽(620)와 대향하며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3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발전 유닛(640)은,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상측을 따라 열을 지어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차량 본체(31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제1 측벽(620)과 제2 측벽(63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해당 생산된 전기를 축전 장치(33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전 유닛(640)은, 전단에 설치되는 다른 발전 유닛(640)과 대향하지 아니하고 교차되어 설치됨으로써, 제1 측벽(620)과 제2 측벽(63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급전차량(300)은, 전기 배달을 위한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기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운행 도중에 생산된 전기를 축전 장치(330)에 저장하여 전기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발전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전 유닛(640)은, 발전기 케이스(641), 공기 이동 통로(642), 제1 설치 공간(643), 제2 설치 공간(644), 제1 터빈(645) 및 제2 터빈(646)을 포함한다.
발전기 케이스(64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공기 이동 통로(642), 제1 설치 공간(643), 제2 설치 공간(644), 제1 터빈(645) 및 제2 터빈(646)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전기 케이스(641)는, 공기 이동 통로(642)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되어 후단에 위치하는 발전 유닛(640)의 입구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후단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강 유도 프레임(6411)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이동 통로(642)는, 발전기 케이스(641)를 관통하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발전기 케이스(64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발전기 케이스(641)를 관통하고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이동 통로(642)는, 발전기 케이스(641)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입구(6421)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이동 통로(642)는, 전단 하측에 제1 설치 공간(643)이 형성되고, 후단 상측에 제2 설치 공간(644)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이동 통로(642)는, 발전기 케이스(641)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6422) 역시 입구(6421)와 대칭 구조 형성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 공간(643)은, 제1 터빈(645)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발전기 케이스(641)의 전단 하부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제1 터빈(645)의 상부가 공기 이동 통로(642)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부가 공기 이동 통로(642)를 통해 개방되도록 위치한다.
제2 설치 공간(644)은, 제2 터빈(646)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발전기 케이스(641)의 후단 상부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제2 터빈(646)의 하부가 공기 이동 통로(642)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부가 공기 이동 통로(642)를 통해 개방되도록 위치한다.
제1 터빈(645)은, 제1 설치 공간(643)에 연결 설치되되, 상부가 공기 이동 통로(642)로 노출되어 공기 이동 통로(642)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며, 해당 생산된 전기를 축전 장치(330)로 공급한다.
제2 터빈(646)은, 제2 설치 공간(644)에 연결 설치되되, 하부가 공기 이동 통로(642)로 노출되어 공기 이동 통로(642)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며, 해당 생산된 전기를 축전 장치(330)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발전 유닛(640)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공기 이동 통로(642)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제1 터빈(645)과 제2 터빈(646)을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기류를 이용한 발전을 수행하여 축전 장치(330)의 충전 잔량 확보에 보조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터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터빈(645)은, 발전기(6451), 회전 원통(6452) 및 날개(64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터빈(645)은, 제2 터빈(646)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2 터빈(64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발전기(6451)는, 회전 원통(6452)의 내측(S)에 안착되어 회전 원통(6452)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며, 해당 생산된 전기를 축전 장치(330)로 공급되며, 고정축(6451b)이 제1 설치 공간(643)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6451a)이 회전 원통(6452)에 연결 설치된다.
회전 원통(6452)은, 발전기(6451)가 내측(S)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행태로 형성되며, 발전기(645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이 다른 일측의 내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자신이 회전함에 따라 발전기(6451)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준다.
날개(6453)는, 공기 이동 통로(642)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회전 원통(645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원통(6452)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터빈(645)은, 단순한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643)에 안착 설치되어 제1 설치 공간(643)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효율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적은 양의 공기 흐름에도 전기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우선 전기자동차(C)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운전자 단말기(100)에서 운전자로부터 전기자동차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을 입력 받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N)를 통해 보험회사 서버(500)로 전송한다(S110).
보험회사 서버(500)에서 충전 요청 단계(S110)에 의해 전송된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보험회사 서버(500)에서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C)의 현재 위치를 판독한다(S120).
위치 판독 단계(S120)에 의해 보험회사 서버(500)에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C)의 현재 위치를 판독이 완료되면 해당 위치로의 급전차량(300)의 출동을 요청하기 위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기충전 배달 서버(400)로 전송한다(S130).
전기충전 배달을 요청한 전기자동차(C)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위치한 급전차량 출동 센터(200)로 급전차량의 출동을 요청한다(S140).
센터 판독 단계(S140)에 의해 출동을 요청받은 급전차량 출동 센터(200)에서 급전차량(300)의 담당 운행자에게 요청한다(S150).
출동한 급전차량(30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한다(S160).
충전 단계(S160)에 의해 충전이 완료되면 급전차량(300)의 출동에 따른 출동 요금의 과금을 출동 서비스를 요청한 전기자동차의 담당 보험회사로 요청한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은,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된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을 탑재한 배달차량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 원하는 충전량에 맞추어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 결제 처리가 가능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운전자 단말기
200: 급전차량 출동 센터
300: 급전차량
400: 전기충전 배달 서버
500: 보험회사 서버

Claims (15)

  1.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운전자로부터 전기자동차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을 입력 받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
    차량 본체와, 상기 차량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차량 본체의 적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또는 외부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저장해 두는 축전 장치를 포함한 급전차량;
    상기 급전차량은 상기 태양광 패널과 상기 축전 장치가 설치되는 적재공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본체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축전 장치로 공급하는 풍력 발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 장치는 상기 축전 장치가 설치되는 적재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열을 지어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발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 유닛은 전단에 설치되는 다른 발전 유닛과 대향하지 아니하고 교차되어 설치되고,
    발전기 케이스의 전후단 상하부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상하부가 공기 이동 통로를 통해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제1, 2 설치 공간, 제1 설치 공간에 연결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공기 이동 통로로 노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1 터빈 및, 제2 설치 공간에 연결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공기 이동 통로로 노출되어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2 터빈;을 포함하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탑재하고 있는 급전차량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출동을 요청한 전기자동차의 위치로 급전차량의 출동을 해당 급전차량의 담당 운행자에게 요청하는 급전차량 출동 센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전기자동차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급전차량 출동 센터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충전 배달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전송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판독한 뒤 해당 위치로의 급전차량의 출동을 요청하기 위한 급전차량 출동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전기충전 배달 서버로 전송하는 보험회사 서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차량은,
    태양광 또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외부 충전 장치를 통하여 공급받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차량은,
    차데모, DC 콤보, AC 3상 및 수퍼 차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차량은,
    전기를 충전받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규격에 대응하여 전압 및 전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차량 출동 센터는,
    급전차량의 출동에 따른 출동 요금의 과금을 출동 서비스를 요청한 전기자동차의 담당 보험회사로 요청하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전기자동차 방전에 따른 전기충전 배달 요청 이외에,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임의의 시간,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 충전 장소 및 운전자가 원하는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전기충전 배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빈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행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전기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이 다른 일측의 내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자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원통; 및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 원통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케이스는,
    상기 공기 이동 통로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후단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강 유도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38883A 2020-10-26 2020-10-26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71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3A KR102271337B1 (ko) 2020-10-26 2020-10-26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3A KR102271337B1 (ko) 2020-10-26 2020-10-26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337B1 true KR102271337B1 (ko) 2021-06-29

Family

ID=7662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883A KR102271337B1 (ko) 2020-10-26 2020-10-26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401A (ko) 2021-12-31 2023-07-10 권정남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782A (ko) * 2010-12-31 2012-07-10 홍구표 Qr 코드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긴급 출동 시스템 및 방법
WO2013041907A1 (en) * 2011-09-20 2013-03-28 Lai Caton Basil Wind and solar energy collector for vehicles
KR20190012765A (ko) * 2017-07-28 2019-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을 활용한 ess 지상 급전차량 시스템
KR102138640B1 (ko)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200104533A (ko) 2019-02-27 2020-09-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782A (ko) * 2010-12-31 2012-07-10 홍구표 Qr 코드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긴급 출동 시스템 및 방법
WO2013041907A1 (en) * 2011-09-20 2013-03-28 Lai Caton Basil Wind and solar energy collector for vehicles
KR20190012765A (ko) * 2017-07-28 2019-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을 활용한 ess 지상 급전차량 시스템
KR20200104533A (ko) 2019-02-27 2020-09-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한 배달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38640B1 (ko)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401A (ko) 2021-12-31 2023-07-10 권정남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166E1 (en)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U2008302073B2 (en) Electric vehicle network
EP25253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rvations of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vehicles
JP2009134450A (ja) エコ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Atmaja et al. Electric vehicle mobile charging station dispatch algorithm
KR102271337B1 (ko)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07235A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brid vehicle
US20200074372A1 (en) Fleet management system
CN210258045U (zh) 移动式sofc共享充电车及系统
KR102312946B1 (ko) Ocpp 프로토콜을 적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운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Gabbar et al. Flywheel-based fast charging station–FFCS for electric vehicles and public transportation
CN107086657A (zh) 可携式物联网多重充电机制充电桩
US2023004645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vehicle-grid integration
KR102361409B1 (ko)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차량 공유 충전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0114A (ko) 전기 자동차의 홈 충전 요금 처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충전 데이터의 활용 방법
CN101944751B (zh) 采用太阳能风力发电的电动汽车智能充电站系统和方法
JP2015191701A (ja) 燃料電池車の燃料供給システム
CN109698536B (zh) 充电系统和用于管理一个或多个充电群组的方法
KR20230103382A (ko)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365021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US20230211687A1 (en) Charging pole
KR20230144807A (ko)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한 이동식 충전기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시스템
Erhan et al. Conceptual design of a smart parking lot system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Mathew et al. Hybrid Renewable Road Side Charging Station with I2V Communication Functionality
JP2023122202A (ja) 電動車両管理装置および電動車両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