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382A -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382A
KR20230103382A KR1020210194251A KR20210194251A KR20230103382A KR 20230103382 A KR20230103382 A KR 20230103382A KR 1020210194251 A KR1020210194251 A KR 1020210194251A KR 20210194251 A KR20210194251 A KR 20210194251A KR 20230103382 A KR20230103382 A KR 20230103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vehicle
inform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9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382A/ko
Publication of KR2023010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는, 전기차의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충전을 요구하고 이동 충전차의 배차정보 수신받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기차의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하여 충전그룹을 형성하여 충전량에 따라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이동 충전차의 배차정보를 생성하고, 배차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 충전차에 전송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을 충전 서비스 서버에 보고하고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차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HARGING SERVICE ELECTRIC VEHICLE BY DELIVER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의 딜리버리 충전 요구에 따라 지역과 충전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그룹핑하여 필요 전력량을 계산하여 이동충전차를 배차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가솔린이나 디젤 자동차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로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즉,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기차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므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다만,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이 커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화석에너지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자동차들이 주유소에서 주유하듯이 전기차의 배터리도 충전이 필수적이다.
이로 인해, 전기차의 효율적 사용과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충전기의 충전 데이터 및 충전기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이 존재하여 운영되어 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62253호(2017.06.07. 공개,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통신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충전 인프라의 구축에 따른 충전 인프라 운영과 더불어 전기차 이용자를 위한 충전서비스 제공 등 전기차 충전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현재 전기차 충전소는(고정식) 충전이 필요한 자동차가 직접 전기차 충전소를 방문해만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간에 대한 제약이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소는 전기차 보급속도 대비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확대 속도에 한계가 있다.
즉, 전기차 충전소는 주차 및 차량 출입이 용이한 장소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충전 시 장시간을 점용하기 때문에 전기차의 전용 주차면이 확보 가능한 장소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충전기의 조작 및 유지관리가 가능한 설치면적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의 딜리버리 충전 요구에 따라 지역과 충전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그룹핑하여 필요 전력량을 계산하여 이동충전차를 배차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는, 전기차의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충전을 요구하고 이동 충전차의 배차정보 수신받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기차의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하여 충전그룹을 형성하여 충전량에 따라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이동 충전차의 배차정보를 생성하고, 배차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 충전차에 전송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을 충전 서비스 서버에 보고하고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차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 요구정보는, 전기차의 충전상태,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 서비스 서버는, 전기차의 충전상태가 낮은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 서비스 서버는,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 및 이동 충전차의 충전 가능량에 기초하여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배차정보는, 서비스 위치, 전기차의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은, 충전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충전 서비스 서버가 충전 요구정보를 기반으로 충전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충전 서비스 서버가 충전그룹에 대해 충전량에 따라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충전 서비스 서버가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을 기반으로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충전 서비스 서버가 배차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충전차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 요구정보는, 전기차의 충전상태,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충전 서비스 서버가 전기차의 충전상태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충전 서비스 서버가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 및 이동 충전차의 충전 가능량에 기초하여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배차정보는, 서비스 위치, 전기차의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은 전기차의 딜리버리 충전 요구에 따라 지역과 충전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그룹핑하여 필요 전력량을 계산하여 이동충전차를 배차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서비스함으로써, 전기차 보급속도 대비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확대 한계에 따른 상황을 보완할 수 있고, 충전용 ESS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10), 충전 서비스 서버(20) 및 충전차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전기차(100)의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충전을 요구하고 이동 충전차(200)의 배차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충전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전기차(100)와 통신하여 전기차(100)의 충전상태 및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요구를 할 수 있으며 이동 충전차(200)의 배차정보를 확인하고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는 충전 요구를 할 때 전기차(100)의 충전상태, 충전을 하고자 하는 위치 즉, 근무시간 회사 주차장 등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을 할 수 있는 시간 즉, 근무시간이나 퇴근시간 등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요구정보를 충전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하여 딜리버리 충전을 요구할 수 있다.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기차(100)의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하여 충전그룹을 형성하여 충전량에 따라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이동 충전차(200)의 배차정보를 생성하고, 배차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와 이동 충전차(200)에 전송하여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요구정보는 전기차(100)의 충전상태,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수집된 전기차(10)의 충전 요구정보를 기반으로 설정 거리 이내의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기반으로 시간대를 구분하여 충전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충전그룹에 형성된 전기차(100)의 충전량에 따라 충전상태가 낮은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충전이 급한 전기차(100)를 우선하여 딜리버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충전그룹의 총 충전량 및 충전 스케줄과 함께 이동 충전차(200)의 배차상황 및 이동 충전차(200)의 충전 가능량에 기초하여 배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요구가 많은 지역 및 시간대에는 다수의 이동 충전차(200)를 배차할 수 있도록 배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차정보는 서비스 위치, 전기차(100)의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동 충전차(200)가 배차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 정보에 따라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여 충전을 요구한 전기차(100)에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충전차 단말기(30)는 이동 충전차(100)에 배치되어 이동 충전차(100)가 충전 서비스를 위해 이동하여 충전하는 충전 서비스 상태 및 잔여 충전량을 포함하는 배차상황을 충전 서비스 서버(20)에 보고하고, 충전 서비스 서버(20)로부터 배차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충전차(200)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전기차의 딜리버리 충전 요구에 따라 지역과 충전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그룹핑하여 필요 전력량을 계산하여 이동충전차를 배차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서비스함으로써, 전기차 보급속도 대비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확대 한계에 따른 상황을 보완할 수 있고, 충전용 ESS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은, 먼저 충전 서비스 서버(20)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한다(S10).
여기서, 충전 요구정보는 전기차의 충전상태,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충전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기차(100)와 통신하여 전기차(100)의 충전상태 및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충전 요구를 할 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충전 요구를 할 때 전기차(100)의 충전상태, 충전을 하고자 하는 위치 즉, 근무시간 회사 주차장 등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을 할 수 있는 시간 즉, 근무시간이나 퇴근시간 등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요구정보를 충전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하여 딜리버리 충전을 요구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한 후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충전 요구정보를 기반으로 충전그룹을 형성한다(S20).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수집된 전기차(10)의 충전 요구정보를 기반으로 설정 거리 이내의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기반으로 시간대를 구분하여 충전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충전그룹을 형성한 후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충전그룹에 형성된 전기차(100)의 충전량에 따라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30).
여기서 스케줄링을 이동 충전차(200)가 충전 서비스를 위해 딜리버리하기 위한 순차적인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상태가 낮은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충전이 급한 전기차(100)부터 딜리버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한 후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을 기반으로 배차정보를 생성한다(S40).
여기서,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충전그룹의 총 충전량 및 충전 스케줄과 함께 이동 충전차(200)의 배차상황 및 이동 충전차(200)의 충전 가능량에 기초하여 배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요구가 많은 지역 및 시간대에는 다수의 이동 충전차(200)를 배차할 수 있도록 배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배차정보는 서비스 위치, 전기차(100)의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동 충전차(200)가 배차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 정보에 따라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여 충전을 요구한 전기차(100)에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S40 단계에서 배차정보를 생성하면 충전 서비스 서버(20)는 배차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와 충전차 단말기(30)로 전송한다(S50).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이동 충전차(200)의 배차정보를 확인하여 언제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 충전차(200)의 운영자는 충전차 단말기(30)를 통해 제공되는 배차정보에 따라 이동 충전차(200)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전기차의 딜리버리 충전 요구에 따라 지역과 충전 요청시간을 기반으로 그룹핑하여 필요 전력량을 계산하여 이동충전차를 배차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서비스함으로써, 전기차 보급속도 대비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확대 한계에 따른 상황을 보완할 수 있고, 충전용 ESS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충전 서비스 서버
30 : 충전차 단말기
100 : 전기차
200 : 이동 충전차

Claims (10)

  1. 전기차의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충전을 요구하고 이동 충전차의 배차정보 수신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하여 충전그룹을 형성하여 충전량에 따라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 충전차의 상기 배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 충전차에 전송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을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에 보고하고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차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요구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상태,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상태가 낮은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 및 상기 이동 충전차의 충전 가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정보는, 서비스 위치, 상기 전기차의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6. 충전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충전 요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충전 요구정보를 기반으로 충전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충전그룹에 대해 충전량에 따라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가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을 기반으로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배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충전차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요구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상태, 충전 가능위치 및 충전 요구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기차의 충전상태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동 충전차의 배차상황 및 상기 이동 충전차의 충전 가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정보는, 서비스 위치, 상기 전기차의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KR1020210194251A 2021-12-31 2021-12-31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03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51A KR20230103382A (ko) 2021-12-31 2021-12-31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51A KR20230103382A (ko) 2021-12-31 2021-12-31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382A true KR20230103382A (ko) 2023-07-07

Family

ID=8715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251A KR20230103382A (ko) 2021-12-31 2021-12-31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3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fshar et al. Mobile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vehicles—A review
WO2020022679A1 (ko) 전기차를 위한 충전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USRE46166E1 (en)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N102545318B (zh) 充电控制系统
US11126932B2 (en) Reservation management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09726888A (zh) 配车系统以及配车方法
JP2014534790A (ja) 電力補充ステーションに隣接する電気自動車の識別
WO2012100546A1 (zh) 一种通过里程数据控制电池更换的方法及系统
US11580593B2 (en) Fee set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CN111775772B (zh) 车辆与电池的匹配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3648836A (zh) 供对电驱动车辆充电中使用的系统和方法
CN111775765B (zh) 车辆与电池的匹配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JP6202393B2 (ja) 充電管理システム、充電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677445A (zh) 动态分配电池模组的方法和相应的服务器
JP2019161707A (ja) 充電管理装置、駐車場、及びプログラム
CN106985680A (zh) 电动车充电服务装置及电动车充电服务系统
CN111556101A (zh) 一种充电桩管理方法
CN110738424A (zh) 一种城市新能源车辆智能调度系统
CN102133888A (zh) 一种电池电力服务管理系统及方法
RU2662332C1 (ru) Система заряд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KR20230103382A (ko) 딜리버리 방식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JP2021086191A (ja) 貸出システム、貸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71337B1 (ko)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5723610A (zh) 车辆充电规划方法及装置
CN110979089A (zh) 一种提高电动车续航能力的设备、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