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401A -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401A
KR20230104401A KR1020210193749A KR20210193749A KR20230104401A KR 20230104401 A KR20230104401 A KR 20230104401A KR 1020210193749 A KR1020210193749 A KR 1020210193749A KR 20210193749 A KR20210193749 A KR 20210193749A KR 20230104401 A KR20230104401 A KR 2023010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pack
service
vehic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남
Original Assignee
권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남 filed Critical 권정남
Priority to KR102021019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4401A/ko
Publication of KR2023010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our charging service of the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가 아닌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를 뜻하는 것으로, 배기가스가 없고,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공해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최근 들어 다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핵심부품인 배터리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데, 배터리의 경량·소형화 및 짧은 충전시간은 전기자동차가 실용화되기 위한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다.
한편, 국내에서도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충전소의 인프라가 제대로 확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기충전소가 있더라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는 고객이 해당 전기충전소를 이용함에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시간은 다른 일반 자동차에 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고,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 미리 계획을 세워 충전해야 하는 시간적인 제약이 있으므로 전기자동차의 이용을 망설이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9730호 및 제10-2271337호에는 각각 전기자동차 대리충전 서비스 시스템과,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희망하는 고객 또는 운전자의 요청에 의해 대리충전기사 또는 급전차량을 현장에 보내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대신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들은 전기자동차의 고객 또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신청이 있는 경우 대리충전기사를 서비스 신청지역으로 보내 전기자동차를 대신 충전시키고 오도록 하거나, 급전차량을 서비스 신청지역으로 보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전기자동차 1대당 대리충전기사 1명 또는 급전차량 1대가 필요하므로, 서비스 비용 등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9730호(2021. 06. 22. 등록)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1337호(2021. 06. 2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을 탑재한 운송차량을 이용하여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배터리팩 모듈에 다수의 안전장치들을 설치하여 충전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충전배터리팩의 분실 또는 도난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출장 충전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충전신청 앱이 설치된 고객 단말기와, 상기 충전신청 앱을 통한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고, 출장 충전을 위한 운송차량의 최적 동선 및 스케줄을 생성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동선에 따라 서비스 신청된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과 충전케이블을 운반하는 운송차량을 포함하여, 한 번의 운송차량 이동으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서버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한 충전신청 앱을 생성 및 관리하는 앱 관리부와, 상기 충전신청 앱을 통한 출장 충전 서비스 신청 정보들을 분석하여 운송차량의 최적 이동경로 및 충전 스케줄을 산출하는 스케줄 생성부와, 상기 운송차량에 의해 운송되는 충전배터리팩 모듈 및 충전케이블을 관리하는 배터리팩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배터리팩 모듈은 충전배터리팩이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카트와, 상기 카트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장치 및 상기 충전배터리팩에 구비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 관리부는 상기 위치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배터리팩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모듈과, 상기 위치확인모듈에 의해 충전배터리팩의 이상 이동이 감지될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송차량은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이 적재되는 배터리팩 적재부와, 다수의 충전케이블이 차종별로 구분되어 보관되는 케이블 보관부 및 운전석에 구비되어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신청 앱에 접속하여 전기자동차의 출장 충전 서비스를 신청하는 출장 충전 신청단계와, 출장 충전 서비스 신청을 수신한 메인서버에서 서비스 신청 정보들을 분석하여 운송차량의 최적 이동경로 및 충전 스케줄을 산출하는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와,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경로 및 스케줄에 따라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과 충전케이블을 포함하는 운반차량을 이동시켜 서비스 신청된 전기자동차들을 순차적으로 충전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단계를 포함하여, 한 번의 운송차량 이동으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충전 완료된 전기자동차로부터 충전배터리팩을 분리하여 운반차량으로 회수하는 배터리팩 회수단계와, 회수된 충전배터리팩을 충전시키는 배터리팩 충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장 충전 신청단계는, 고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 정보, 충전량, 충전희망시간, 주차 위치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들을 입력하는 기초정보 입력단계와, 주차 위치 및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차량 사진을 촬영하여 충전신청 앱에 등록하는 차량 사진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는, 메인서버에서 충전신청 앱을 통해 신청된 서비스 정보들을 수신하는 서비스 접수단계와, 수신된 정보들 중 주차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접수된 신청들을 지역별로 분류하는 지역분류단계와, 지역별로 분류된 신청 정보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충전 스케줄 및 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스케줄 및 이동경로 산출단계 및 산출된 충전 스케줄 및 이동경로에 따른 신청된 서비스별 충전비용을 산출하는 충전비용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계는, 운송차량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할 충전배터리팩 모듈과 차종별 충전케이블들을 적재시키는 출장준비단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스케줄 및 이동경로에 따라 운송차량을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운송차량 이동단계 및 서비스 지역 도착 후 상기 충전배터리팩 모듈 및 충전케이블을 하차시킨 후 서비스 신청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배터리팩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을 탑재한 운송차량을 이용하여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안전장치들을 이용하여 충전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충전배터리팩의 분실 또는 도난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객들에게 충전 서비스의 신뢰성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고객 단말기를 통해 충전신청 앱에 등록되는 차량 사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운송차량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충전배터리팩 모듈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고객 단말기를 통해 충전신청 앱에 등록되는 차량 사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운송차량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충전배터리팩 모듈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고객 단말기(100), 충전신청 앱(200), 메인서버(300) 및 운송차량(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100)는 전기자동차 출창 충전 서비스(이하, '충전 서비스'라 한다)를 신청하고자 하는 고객이 소지하는 스마트 기기로,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하, '충전신청 앱(200)'이라 한다)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기(100)는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충전신청 앱(200)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충전신청 앱(200)은 메인서버(300)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고객은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충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 서비스를 신청 및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충전신청 앱(200)에 접속하여 충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메인서버(300)에 의해 관리되는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충전신청 앱(200)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동일하게 이용하거나, 메인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음성전화 또는 보이는 전화를 이용하여 충전 서비스를 신청 및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메인서버(300)는 충전신청 앱(200)을 통한 충전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고, 출장 충전을 위한 운송차량(400)의 최적 동선 및 스케줄을 생성하여 충전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객 DB(310), 앱 관리부(320), 스케줄 생성부(330), 비용 처리부(340) 및 배터리팩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객 DB(310)는 충전 서비스를 신청하는 고객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객의 이름, 주소, 서비스 신청 이력 등의 정보와, 차량번호, 차종, 연식 등의 차량정보가 고객 DB(31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앱 관리부(320)는 고객들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충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신청 앱(200)을 생성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고객 단말기(100)를 통해 충전신청 앱(200)에 등록되는 충전 서비스 신청 정보는 상기 앱 관리부(320)를 통해 메인서버(300)로 전송되어 고객 DB(31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관리부(320)는 메인서버(300)를 통해 산출되는 정보들, 즉 서비스 비용, 충전 서비스 완료 예상시간 등의 정보들과 충전 완료 통보 등을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역할도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충전신청 앱(200)의 업데이트를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스케줄 생성부(330)는 앱 관리부(320)를 통해 수신되는 충전 서비스 신청 정보, 즉 고객들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등록한 충전 서비스 신청 정보들을 분석하여 충전 시간, 충전 순서를 포함하는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최적의 동선을 위한 운송차량(400)의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운송차량(400)의 이동경로 산출에는 공지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는데, 산출된 이동경로는 운송차량(40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으로 전송되어 운전자가 최적의 동선으로 운송차량(40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비용 처리부(340)는 충전 서비스의 비용 산출 및 결제 처리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케줄 생성부(330)에 의해 충전 스케줄 및 운송차량(400)의 이동경로가 산출되면, 그에 따른 신청 서비스별 비용이 산출될 수 있고, 산출된 비용은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용의 산출에는 운송차량(400)의 이동거리와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즉 충전량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서비스 신청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비스 비용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서비스 비용의 결제 과정이 상기 비용 처리부(340)를 통해 관리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한 서비스 비용의 결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결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배터리팩 관리부(350)는 후술할 운송차량(400)에 의해 운송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배터리팩 모듈(500) 및 충전 케이블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위치확인모듈과 경보발생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 밖에도, 상기 메인서버(300)에는 고객 단말기(100) 및 운송차량(400)과의 무선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부 등 충전서비스를 전반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서버(300)가 구비되는 중앙관제센터에는 관리자가 충전서비스 진행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운송차량(40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될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과 충전 케이블을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전기사, 즉 운전자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경로에 따라 운송차량(4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운송차량(400)으로는 트럭 등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운송차량(400)에는 배터리팩 적재부(410)와 케이블 보관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터리팩 적재부(410)는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이 적재되는 부분으로, 트럭 등 별도의 짐칸이 형성되어 있는 운송차량(400)의 경우 짐칸이 배터리팩 적재부(410)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팩 적재부(410)에는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케이블 보관부(42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사용될 충전 케이블, 즉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충전배터리팩(510)을 연결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들을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 차종 별로 충전 케이블이 다를 수 있으므로, 다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수납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차종별로 충전 케이블을 구분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차량(400)의 운전석에는 네비게이션부(4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네비게이션부(430)에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목적지, 즉 서비스 지역까지의 최적 이동경로가 현시될 수 있다.
즉, 충전기사는 메인서버(300)의 스케줄 생성부(330)로부터 전송되어 네비게이션부(430)에 현시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운전하여 운송차량(400)을 최적 동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서비스 지역이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인 경우, 각 지역의 예상 도착시간, 즉 각 지역에서의 충전 스케줄이 네비게이션부(430)에 현시되어 충전기사가 충전 스케줄을 숙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서비스 신청 지역이 'A 아파트'와 'B 아파트' 두 곳인 경우, 메인서버(300)의 스케줄 생성부(330)에서는 충전 서비스 신청 시간, 충전소요시간, 'A 아파트' 및 'B 아파트'까지의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충전 스케줄 및 최적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를 네비게이션부(430)로 전송하여 충전기사가 네비게이션부(430)의 안내에 따라 운송차량(400)을 'A 아파트'와 'B 아파트' 중 한 곳으로 먼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운송차량(400)이 'A 아파트' 또는 'B 아파트'에 도착한 경우, 상기 메인서버(300)에서는 해당 아파트의 내부 주차장 지도를 네비게이션부(430)로 전송하여 충전기사가 충전서비스를 신청한 전기자동차의 위치를 찾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차량(400)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인식장치(440)가 구비되어 운송차량(400)이 충전 서비스 신청 차량 앞에 도착한 경우, 즉 차량번호 인식장치(440)가 충전 서비스를 신청한 차량번호를 감지한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송차량(400)에 적재되는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배터리팩(510), 카트(520), 잠금장치(524a) 및 위치센서(51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충전배터리팩(51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다양한 대용량 충전배터리팩(510)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카트(520)는 충전배터리팩(5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마찬가지로 수용부가 형성되어 내측에 충전배터리팩(510)을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트(520)나, 지지판의 상부에 충전배터리팩(510)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트(520) 등 손잡이(522)와 바퀴(524)가 구비된 기존의 다양한 형상의 카트(5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520)에는 상부에 안치된 충전배터리팩(510)을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프레임 등의 고정수단(526)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526)에는 자물쇠 등의 잠금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충전배터리팩(51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520)에는 공지된 에어카트 기술이 구비되어 이동시키려는 힘을 감지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카트(5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잠금장치(524a)는 카트(5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 충전 도중 카트(520)의 움직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카트(520)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카트(520)에 구비되는 바퀴(524)에는 바퀴(524)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장치(524a)가 구비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도중 카트(520)가 움직이거나, 카트(520)를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524a)로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이용한 잠금장치(524a)가 사용될 수 있는데, 전기자동차의 충전 도중 긴급하게 충전배터리팩 모듈(500), 즉 카트(52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관리사무소 또는 고객 등의 요청에 의해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카트(5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배터리팩(510)에는 GPS 등의 위치센서(512)와 카메라 등의 영상센서(514)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위치센서(512)와 영상센서(514) 또한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충전배터리팩(510)에는 위치센서(512)가 구비되고, 위치센서(512)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정보는 메인서버(300)의 배터리팩 관리부(350)로 전송되어 상기 배터리팩 관리부(350)에 구비되는 위치확인모듈에서 충전배터리팩(5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센서(514)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한 메인서버(300)의 배터리팩 관리부(350)로 전송되어 충전배터리팩(510)의 주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 관리부(350)에 구비되는 경보발생모듈은 위치확인모듈에 의한 충전배터리팩(510)의 이상 이동, 즉 충전 중에 충전배터리팩(51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충전배터리팩(510)의 위치가 지정된 위치 또는 경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는 등의 이상 이동이 감지될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충전배터리팩(510)의 도난 또는 분실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10)을 이용하여 한 번의 운송차량(400) 이동으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장 충전 신청단계(S10),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S20), 충전 스케줄 통보 및 결제단계(S30), 전기자동차 충전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출장 충전 신청단계(S10)는 전기자동차의 출장 충전을 신청하고자 하는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충전신청 앱(200)에 접속하여 충전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계로, 기초정보 입력단계(S12)와 차량 사진 등록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초정보 입력단계(S12)는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충전신청 앱(200)에 신청자 정보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 상기 신청자 정보로는 고객의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차량 정보로는 차량번호, 차종, 연식, 주차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주차 예정시간, 즉 충전완료 희망시간 및 희망 충전량 등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희망 충전량은 충전 퍼센트(%) 또는 충전금액의 형태로 등록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차량 사진 등록단계(S14)는 충전받기를 희망하는 전기자동차가 주차되어 있는 장소를 촬영하여 충전신청 앱(200)에 등록하는 단계로, 촬영된 사진에는 차량번호가 인식될 수 있는 상태의 차량과,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주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며, 주차된 위치가 실내 주차장인 경우에는 주차장 번호가 포함된 사진을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차장 번호와 차량번호가 포함되도록 촬영된 차량 사진을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충전신청 앱(200)에 등록하면 되는데, 사진에 두 대 이상의 차량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충전신청 앱(200)에서는 차량의 상부에 체크박스를 표시하여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신청 차량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진의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등록된, 기초정보 및 차량사진은 메인서버(300)로 전송되어 고객 DB(3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고객 DB(310)에 저장된 정보들은 해당 고객이 추후 충전 서비스를 다시 신청하는 경우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S20)는 메인서버(300)에서 출장 충전 신청단계(S10)에서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등록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최적 충전 스케줄과 그에 따른 운송차량(400)의 최적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로, 서비스 접수단계(S22), 지역분류단계(S24), 스케줄 및 이동경로 산출단계(S26) 및 충전비용 산출단계(S28)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서비스 접수단계(S22)는 메인서버(300)에서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신청된 서비스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로, 메인서버(300)는 앱 관리부(320)를 통해 고객 단말기(100)를 통해 충전신청 앱(200)에 등록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충전 서비스 신청을 건별로 접수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고객 DB(310), 스케줄 생성부(330) 및 배터리팩 관리부(350)로 보내 충전 서비스를 위한 출장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지역분류단계(S24)는 서비스 접수단계(S22)에서 수신된 정보들 중 고객 주소 정보와 주차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접수된 신청들을 지역별로 분류하는 과정으로, 메인서버(300)의 고객DB(310)에서는 고객 정보들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접수된 신청들을 지역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지역별 분류의 기준으로는 시, 군, 구, 동 등의 행정구역이나, 대단위 아파트 또는 대형 건물명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서비스 신청 건수에 따라 후술할 스케줄 및 이동경로 산출단계(S26)에서의 충전 스케줄 생성시 운송차량(400)이 이동하여야 하는 행정구역의 단위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스케줄 및 이동경로 산출단계(S26)는 메인서버(300)의 스케줄 생성부(330)에서 지역별로 분류된 신청 정보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충전 스케줄 생성하고, 그에 따른 운송차량(400)의 최적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충전 스케줄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신청 정보로는 지역별 신청 건수, 충전완료 희망시간 또는 주차 예정시간, 희망 충전량, 서비스 신청 지역까지의 이동거리 등이 있으며, 생성된 충전 스케줄에는 이동해야 할 서비스 신청 지역 정보, 각 신청 지역별 충전해야 할 차량 정보, 신청 차량별 서비스 신청 내용 정보와 예상충전시간 및 각 신청 지역으로의 이동 순서 정보, 충전완료 후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의 회수 순서 및 충전 서비스에 사용될 운송차량(400)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운송차량(400)별로 적재할 수 있는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의 개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지역별 신청 건수와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스케줄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된 충전 스케줄에 따른 운송차량(400)의 이동경로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동경로의 산출에는 공지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으며, 산출된 최적 이동경로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선택된 운송차량(400)의 네비게이션부(43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충전비용 산출단계(S28)는 스케줄 및 이동경로 산출단계(S26)에서 생성된 충전 스케줄 및 이동경로 정보를 고려하여 신청된 충전 서비스별 충전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러한 충전비용의 산출은 메인서버(300)의 비용 처리부(340)에서 이루어져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충전 스케줄 통보 및 결제 단계는 생성된 충전 스케줄과 산출된 충전비용을 고객에게 통보하고, 고객이 충전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로 메인서버(300)는 충전 스케줄, 즉 충전완료 예상시간과 산출된 충전비용을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고객에게 통보하고, 이를 수신한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충전비용을 결제함으로써 충전 서비스의 신청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한 충전 서비스 신청시 충전신청 앱(200)에 등록된 차량 정보, 희망 충전량 정보 및 주차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서버(300)의 비용 처리부(340)에서 예상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함으로써 출장 충전 신청단계(S10)에서 충전비용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계(S40)는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충전 스케줄 및 운송차량(400)의 최적 이동경로에 따라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 및 차종별 충전케이블이 적재된 운송차량(400)을 이동시킴으로써 충전 서비스가 신청된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키는 과정으로, 출장준비단계(S42), 운송차량 이동단계(S44) 및 배터리팩 설치단계(S4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출장준비단계(S42)는 운송차량(400)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할 충전배터리팩 모듈(500)과 충전케이블을 적재시키는 과정으로, 충전기사는 생성된 충전 스케줄을 통해 충전하여야 할 전기자동차의 대수 및 차종을 확인한 후 적재하여야 할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의 개수와 차종별 충전케이블을 준비하여 운송차량(400)에 적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 스케줄은 메인서버(300)의 스케줄 생성부(330)에서 충전기사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차량(400)에는 중량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 또는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로프 또는 컨베이어 등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운송차량 이동단계(S44)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스케줄 및 최적 이동경로에 따라 운송차량(400)을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충전기사는 운송차량(40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부(430)로부터 제공되는 안내에 따라 운전하여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지역, 즉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가 주차된 지역이 아파트나 대형 건물의 주차장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버(300)에서는 해당 아파트 또는 대형 건물의 내부 주차장 지도를 네비게이션부(430)로 전송하여 충전기사가 충전서비스를 신청한 전기자동차의 위치를 찾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운송차량(400)이 충전 서비스 신청 차량 앞에 도착한 경우에는 운송차량(400)에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장치(440)가 충전 서비스를 신청한 차량번호를 감지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배터리팩 설치단계(S46)는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충전 서비스를 신청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배터리팩(510)을 연결하여 충전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충전기사는 목적지 도착 후 운송차량(400)에 적재된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을 하차시킨 후 카트(520)를 이용하여 충전할 차량 옆에 충전배터리팩(510)을 위치시킨 후 해당 차종에 맞는 충전케이블을 연결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배터리팩(510)에 구비된 위치센서(512) 또는 영상센서(514)에 의해 각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의 위치 및 주변 영상이 확인될 수 있으므로, 메인서버(300)에서는 서비스 지역에서 충전배터리팩(510)의 위치 변화가 없음을 감지하여 충전 시작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 충전시작 사실과, 예상 충전완료시간을 통보해줄 수 있다.
또한, 충전기사는 카트(520)의 바퀴(524)에 구비된 잠금장치(524a)를 이용하여 충전 도중 카트(520)가 움직이거나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전배터리팩(510)에 구비된 위치센서(512) 및 영상센서(514)에 의한 위치 정보 및 주변 영상정보가 실시간으로 메인서버(300)로 전송되므로 충전 중 이상발생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충전 중 충전배터리팩(510)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서버(300)의 배터리팩 관리부(350)에 구비된 경보발생모듈에서는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충전배터리팩(510)의 도난 또는 분실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서비스 지역에 다른 충전 서비스 신청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위치로 이동하여 전술한 배터리팩 설치단계(S46)를 반복하고, 해당 서비스 지역에서의 충전배터리팩(510)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충전 스케줄에 따라 다른 서비스 지역으로 운송차량(400)을 이동시키는 운송차량 이동단계(S44)와 해당 서비스 지역에서의 배터리팩 설치단계(S46)를 반복하여 한 번의 운송차량(400) 운행으로 충전 서비스가 신청된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을 순차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배터리팩 회수단계(S50)와 배터리팩 충전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배터리팩 회수단계(S5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충전배터리팩(510)을 회수하여 운송차량(400)에 탑재시키는 과정으로, 충전기사는 충전 스케줄에 포함된 회수 순서에 따라 운송차량(400)을 이동시키면서 충전이 완료된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을 회수할 수 있다.
이때, 마찬가지로 상기 충전배터리팩(510)에 구비된 위치센서(512) 또는 영상센서(514)에 의해 각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의 위치 변화가 확인될 수 있으므로, 메인서버(300)에서는 예상 충전완료시간에 충전배터리팩(510)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충전신청 앱(200)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 충전완료사실을 통보해줄 수 있다.
또한, 충전기사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를 소지한 경우, 충전기사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충전신청 앱(200)에 접속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충전시작 및 충전완료 등을 통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배터리팩 충전단계(S60)는 모든 서비스 지역에서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의 회수가 완료된 후 운송차량(400)을 충전소로 이동시켜 충전에 사용된 충전배터리팩(510)들을 충전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메인서버(300)는 마찬가지로 운송차량(4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충전소나 지정된 충전소로의 최적 이동경로를 네비게이션부(4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500)을 탑재한 운송차량(400)을 이용하여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안전장치들을 이용하여 충전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충전배터리팩(510)의 분실 또는 도난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객들에게 충전 서비스의 신뢰성을 줄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청된 충전 서비스 중 긴급충전 요청이 있는 경우, 메인서버(300)에서 해당 차량의 충전 서비스를 우선으로 하는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충전비용 산출단계(S28)에서 그에 따른 추가요금을 반영하여 충전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 :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고객 단말기
200 : 충전신청 앱 300 : 메인서버
310 : 고객 DB 320 : 앱 관리부
330 : 스케줄 생성부 340 : 비용 처리부
350 : 배터리팩 관리부 400 : 운송차량
410 : 배터리팩 적재부 420 : 케이블 보관부
430 : 네비게이션부 440 : 차량번호 인식장치
500 : 충전배터리팩 모듈 510 : 충전배터리팩
512 : 위치센서 514 : 영상센서
520 : 카트 522 : 손잡이
524 : 바퀴 524a : 잠금장치
526 : 고정수단
S10 : 출장 충전 신청단계 S12 : 기초정보 입력단계
S14 : 차량사진 등록단계 S20 :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
S22 : 서비스 접수단계 S24 : 지역 분류단계
S26 : 스케줄 및 이동경로 산출단계 S28 : 충전비용 산출단계
S30 : 충전 스케줄 통보 및 결제단계 S40 : 전기자동차 충전단계
S42 : 출장준비단계 S44 : 운송차량 이동단계
S46 : 배터리팩 설치단계 S50 : 배터리팩 회수단계(S50)
S60 : 배터리팩 충전단계

Claims (10)

  1. 전기자동차의 출장 충전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충전신청 앱이 설치된 고객 단말기와,
    상기 충전신청 앱을 통한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고, 출장 충전을 위한 운송차량의 최적 동선 및 스케줄을 생성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동선에 따라 서비스 신청된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과 충전케이블을 운반하는 운송차량을 포함하여,
    한 번의 운송차량 이동으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한 충전신청 앱을 생성 및 관리하는 앱 관리부와,
    상기 충전신청 앱을 통한 출장 충전 서비스 신청 정보들을 분석하여 운송차량의 최적 이동경로 및 충전 스케줄을 산출하는 스케줄 생성부와,
    상기 운송차량에 의해 운송되는 충전배터리팩 모듈 및 충전케이블을 관리하는 배터리팩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배터리팩 모듈은 충전배터리팩이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카트와, 상기 카트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장치 및 상기 충전배터리팩에 구비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관리부는 상기 위치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배터리팩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모듈과, 상기 위치확인모듈에 의해 충전배터리팩의 이상 이동이 감지될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차량은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이 적재되는 배터리팩 적재부와, 다수의 충전케이블이 차종별로 구분되어 보관되는 케이블 보관부 및 운전석에 구비되어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고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신청 앱에 접속하여 전기자동차의 출장 충전 서비스를 신청하는 출장 충전 신청단계와,
    출장 충전 서비스 신청을 수신한 메인서버에서 서비스 신청 정보들을 분석하여 운송차량의 최적 이동경로 및 충전 스케줄을 산출하는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와,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경로 및 스케줄에 따라 다수의 충전배터리팩 모듈과 충전케이블을 포함하는 운반차량을 이동시켜 서비스 신청된 전기자동차들을 순차적으로 충전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단계를 포함하여,
    한 번의 운송차량 이동으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충전 완료된 전기자동차로부터 충전배터리팩을 분리하여 운반차량으로 회수하는 배터리팩 회수단계와,
    회수된 충전배터리팩을 충전시키는 배터리팩 충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장 충전 신청단계는,
    고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 정보, 충전량, 충전희망시간, 주차 위치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들을 입력하는 기초정보 입력단계와,
    주차 위치 및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차량 사진을 촬영하여 충전신청 앱에 등록하는 차량 사진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케줄 생성단계는,
    메인서버에서 충전신청 앱을 통해 신청된 서비스 정보들을 수신하는 서비스 접수단계와,
    수신된 정보들 중 주차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접수된 신청들을 지역별로 분류하는 지역분류단계와,
    지역별로 분류된 신청 정보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충전 스케줄 및 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스케줄 및 이동경로 산출단계 및
    산출된 충전 스케줄 및 이동경로에 따른 신청된 서비스별 충전비용을 산출하는 충전비용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계는,
    운송차량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할 충전배터리팩 모듈과 차종별 충전케이블들을 적재시키는 출장준비단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스케줄 및 이동경로에 따라 운송차량을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운송차량 이동단계 및
    서비스 지역 도착 후 상기 충전배터리팩 모듈 및 충전케이블을 하차시킨 후 서비스 신청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배터리팩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10193749A 2021-12-31 2021-12-31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4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49A KR20230104401A (ko) 2021-12-31 2021-12-31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49A KR20230104401A (ko) 2021-12-31 2021-12-31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401A true KR20230104401A (ko) 2023-07-10

Family

ID=8715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49A KR20230104401A (ko) 2021-12-31 2021-12-31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440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30B1 (ko) 2020-10-21 2021-06-28 한중근 전기자동차 대리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2271337B1 (ko) 2020-10-26 2021-06-29 김봉수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30B1 (ko) 2020-10-21 2021-06-28 한중근 전기자동차 대리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2271337B1 (ko) 2020-10-26 2021-06-29 김봉수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6470C1 (ru) Система поддержки доставки упакованных посылок,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доставки упакованных посылок, энергонезависим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сохраняющий программу, и мобильный модуль
US20210295610A1 (en) Integrated charging and payment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6528870B1 (ja) 自律移動体および配送システム
WO2018196803A1 (zh) 移动电源单元出租运营系统、方法、用电器件及其保障运营系统和方法
CN110119920A (zh) 用于拾取和递送的装置、系统、方法和介质
KR20180015616A (ko) 자전거 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90278274A1 (en) Autonomous mobile object, medicine delivery system, medicine delivery method using autonomous mobile object, and mobile object
US11587444B2 (en) Autonomous vehicle parking and servicing using terminals
KR20120038848A (ko)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무인 자전거 대여 시스템
EP36675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purpose service tasks
JP5524684B2 (ja) 電動車両管理システム
US20220371468A1 (en) The method of parking and charging the vehicle
JP200513507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検知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
US20210114628A1 (en) Method of vehicle operation in a mixed mode
KR101005196B1 (ko) 차량 정보화를 위한 통합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104401A (ko) 전기자동차 출장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4234275A (ja) 巡回システム
KR102134921B1 (ko) 공공자전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2466B1 (ko) 이종데이터의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모듈장치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JP7349418B2 (ja) 電力融通システム
JP5847875B2 (ja) 収納装置及び電動車両管理システム
CN112424811A (zh) 用于购物的方法
JP2020046724A (ja) 駐車場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駐車場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919543B2 (en) Multi-mode personal transportation and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WO2024038841A1 (ja) バッテリ貸出システム、バッテリ貸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