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964A -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964A
KR20140134964A KR1020130055086A KR20130055086A KR20140134964A KR 20140134964 A KR20140134964 A KR 20140134964A KR 1020130055086 A KR1020130055086 A KR 1020130055086A KR 20130055086 A KR20130055086 A KR 20130055086A KR 20140134964 A KR20140134964 A KR 2014013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quid
roots
leaves
hang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례
Original Assignee
차동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례 filed Critical 차동례
Priority to KR102013005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964A/ko
Publication of KR2014013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9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줄풀의 뿌리와 잎에서 줄풀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숙취해소에 효능이 있는 줄풀의 유효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은, 감초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액상추출기로 감초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단계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며 줄풀의 뿌리와 잎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찌고 볶은 후, 건조시킨 다음 파쇄하여 줄풀의 파쇄물을 만드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1단계의 감초추출물을 선택적으로 부가하며, 상기 제 2단계의 줄풀의 파쇄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후 액상추출기로 액상추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액상추출물에 포함된 줄풀의 파쇄물 찌꺼기를 분리제거한 후, 찌꺼기가 분리제거된 액상추출물에 줄풀의 잎, 뿌리를 혼합한 다음 찌고 볶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 후, 액상 추출액이 흡수된 줄풀의 잎, 뿌리를 건조시켜 완성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Leached tea for recovering hangover with wild r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줄풀의 뿌리와 잎에서 줄풀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숙취해소에 효능이 있는 줄풀의 유효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발전과 함께 국민들의 술 소비량이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과음한 사람들이 음주 다음날 숙취로 인한 고통을 받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숙취 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이나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들 물질이 간세포에 장기간 축적되어 독성작용이 지속되면 피로감, 복부 팽만감, 구토 등의 증세를 일으키게 된다.
한편, 줄풀은 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1~2미터쯤 자라고 진흙 속에 굵고 짧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잎은 길이 50센티미터에서 1미터, 넓이는 2~3센티미터쯤이며 아래쪽이 둥글고 끝은 뾰족하다. 줄풀의 잎에는 단백질 1.2%, 기름 0.1%, 회분 0.5%가 들어 있다. 전초와 뿌리 줄기 모두 해열, 이뇨, 장과 위를 고르게 하고 지갈(止渴)작용(목마름을 그치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열성구갈(熱誠口渴:열에 의해 목이 마르는 증상), 어린이 설사, 심장병, 간장병, 폐병, 신장병, 위장병에 쓴다.
줄풀의 뿌리의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없애고 숙취를 풀며 소화를 돕고 소변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증상, 심장병, 이뇨, 독사에 물린데, 무더위로 인한 복통, 당뇨병, 화상을 치료한다. 또한 줄풀은 인체의 면역력을 키우는데 효력이 크다. 병을 예방하거나 고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건이 면역 현상의 원활화로 이를 ‘보체’라고 일컬어 수치로 나타내는데 보통 사람의 경우 보체의 값은 30~35인데, 줄풀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88이라는 놀라운 숫자를 나타내고 있다. 줄풀을 애용하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병을 예방하는 힘이나 병을 고치는 치유력이 2~3배의 힘을 지니게 된다.
줄풀 잎이나 뿌리를 먹게 되면 노화를 막고 젊음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또한 줄풀은 최고의 해독제이다. 농약중독증이나 식중독, 술중독, 화학약품 중독 같은 갖가지 중독에 줄 뿌리를 생즙을 내어 마시거나 달여서 마시면 큰 효과를 본다. 그밖에 당뇨병, 고혈압, 중풍, 변비, 동맥경화 등 온갖 질병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몸안에 있는 온갖 독을 풀어주고 대장과 위를 튼튼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효능으로 달여서 먹지만, 차로 끓여 먹음에 있어, 물에 담가 우려내는 데에는 긴 시간이 요구되며, 이렇게 끓여먹다 보면 대개 오래 보관할 수 없는 유통기한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줄풀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차가 없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줄풀의 뿌리와 잎에서 줄풀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건조된 상태로 제조함으로써, 유통기한이 길어 보관이 용이하고 숙취해소에 효능이 있는 줄풀의 유효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숙취해소 및 알코올 분해효능이 우수한 줄풀을 주재료로 한 침출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감초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액상추출기로 감초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1단계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며;
줄풀의 뿌리와 잎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찌고 볶은 후, 건조시킨 다음 파쇄하여 줄풀의 파쇄물을 만드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감초추출물을 선택적으로 부가하며, 상기 제 2단계의 줄풀의 파쇄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후 액상추출기로 액상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액상추출물에 포함된 줄풀의 파쇄물 찌꺼기를 분리제거한 후, 찌꺼기가 분리제거된 액상추출물에 줄풀의 잎, 뿌리를 혼합한 다음 찌고 볶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 후, 액상 추출액이 흡수된 줄풀의 잎, 뿌리를 건조시켜 완성하는 제 5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술로 인한 독과 몸안에 있는 독을 해독하는데 도움이 되는 등 몸에 좋은 줄풀의 잎과 뿌리를 이용하여 음용하기 용이한 차를 제조함으로써, 숙취해소에 효과있는 줄풀을 누구나 간편하게 음용케 하였다. 또한, 술 마시기 30분 전에 본 발명의 차를 섭취하고 술을 마시면 평상시보다 두배 이상 음주를 하여도 술이 취하지 않으며, 술을 마시고 난 후에 본 발명의 차를 마시면 빨리 숙취가 해소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바탕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 1단계는 액상추출기를 이용하여 감초와 정제수의 혼합물로부터 감초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액상추출기를 이용하여 감초 액상추출물을 추출할 때에는 80~12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액상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감초를 충분히 익힐 수 있도록 하면서 영양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 1단계의 감초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있어, 필요에 따라서는 시행하지 않아도 되는 선택적 실시과정이다.
상기 제 2단계는 줄풀의 파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 때, 상기 줄풀의 파쇄물은 줄풀의 잎과 뿌리로 구성이 되는데, 그 구성요소들을 찌고 볶을 때에는 50~90℃에서 20~60초 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뿌리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성분과, 잎에 포함되어 있는 엽록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 3단계에서의 액상추출시 영양성분들이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그 이상의 온도와 시간으로 찌고 볶게 되면 액상추출기를 이용한 액상추출시, 영양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제 3단계는 감초 액상추출물, 줄풀의 파쇄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액상추출기로 액상추출하는 단계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감초 액상추출물을 부가하지 않아도 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감초 액상추출물을 부가하도록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초 액상추출물을 선택적으로 부가하며 여기에 정제수를 먼저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에 줄풀의 파쇄물을 더하여 액상추출기를 통해 액상추출하게 된다. 이 때, 감초 액상추출물과 정제수의 혼합비율에 있어서, 감초 액상추출물은 적어도 20~70중량%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이하의 비율로 혼합하게 되면 감초 액상추출물의 피부 진정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며 또한, 줄풀 추출물의 유효효능에 대한 상승작용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그 이상의 비율로 혼합하게 되면 줄풀 파쇄물과 감초 액상추출물의 조화가 깨어져서 효과 상승작용에 오히려 해가 된다.
또한, 상기 감초 액상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것을 줄풀 파쇄물과 혼합하여 액상추출기로 액상추출할 시, 감초 액상추출물과 정제수의 혼합물의 80~90중량%에 줄풀 파쇄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줄풀 파쇄물의 찌꺼기를 제거한 후, 상기 찌꺼기가 제거된 액상추출물에 줄풀의 잎과 뿌리를 혼합한 다음, 이를 찌고 볶는 단계로서, 액상추출물과 줄풀의 잎과 뿌리의 혼합중량비율은 1:1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줄풀의 잎과 뿌리에 액상추출물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액상 추출물이 포함된 줄풀의 잎과 뿌리를 찌고 볶을 때에는 60~120℃에서 5~3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60℃이하에서 찌고 볶으면 유효성분의 추출이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줄풀의 풋내가 나게 되며, 100℃이상에서 찌고 볶을 때에는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제 5단계는 위 제 4단계 후, 액상추출물이 흡수된 줄풀의 잎과 뿌리를 건조시킬 때에는 50~90℃에서 3~12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위와 같은 온도와 시간에서 건조를 해야만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아니하면서 완전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액상추출물이 흡수된 줄풀의 잎과 뿌리를 건조시킨 후, 파쇄하여 티백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줄풀을 주재료로 한 침출차 티백을 완성하게 되며, 줄풀의 잎과 뿌리의 건조에 필요한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가능함은 물론이며, 파쇄되는 줄풀의 잎과 뿌리의 크기는 줄풀의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우러나오면서 티백으로 형성시 사용되는 부직포의 미세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8)

  1. 줄풀의 뿌리와 잎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찌고 볶은 후, 건조시킨 다음 파쇄하여 줄풀의 파쇄물을 만드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줄풀의 파쇄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후 액상추출기로 액상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액상추출물에 포함된 줄풀의 파쇄물 찌꺼기를 분리제거한 후, 찌꺼기가 분리제거된 액상추출물에 줄풀의 잎, 뿌리를 혼합한 다음 찌고 볶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 후, 액상 추출액이 흡수된 줄풀의 잎, 뿌리를 건조시켜 완성하는 제 5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감초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액상추출기로 감초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1단계를 더 부가한 후,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제 1단계의 감초 액상추출물과 상기 제 2단계의 줄풀의 파쇄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후 액상추출기로 액상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감초 액상추출물은 액상추출기에서 80~12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줄풀의 파쇄물을 구성하는 줄풀의 잎, 뿌리를 50~90℃ 에서 20~60초 동안 찌고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의 감초 액상추출물, 줄풀 파쇄물, 정제수의 혼합시, 감초 액상추출물과 정제수를 먼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의 80~90중량%에 줄풀 파쇄물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제 3단계의 액상 추출물과 줄풀의 잎과 뿌리는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줄풀을 주재료로 한 침출차를 부직포에 담아 티백으로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KR1020130055086A 2013-05-15 2013-05-15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86A KR20140134964A (ko) 2013-05-15 2013-05-15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86A KR20140134964A (ko) 2013-05-15 2013-05-15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64A true KR20140134964A (ko) 2014-11-25

Family

ID=5245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086A KR20140134964A (ko) 2013-05-15 2013-05-15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9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804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낫토나제산청지리산효소연구원 줄풀(학명 zizania. latiflia 엑기스와 콜라겐을 합성한 줄풀음료수 제조방법
KR20200098866A (ko)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현대에프앤씨 줄풀 티백차의 제조방법
WO2023287001A1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비티씨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및 간 기능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804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낫토나제산청지리산효소연구원 줄풀(학명 zizania. latiflia 엑기스와 콜라겐을 합성한 줄풀음료수 제조방법
KR20200098866A (ko)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현대에프앤씨 줄풀 티백차의 제조방법
WO2023287001A1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비티씨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및 간 기능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77B1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1766658A (zh) 一种中药药酒的制备方法
CN103931827A (zh) 一种赶黄草茶及其制备方法
CN107375321A (zh) 一种藏药佐太及其炮制方法
KR20140134964A (ko) 줄풀을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를 위한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CN103518897A (zh) 消脂瘦身茶及其制备方法
KR20100076161A (ko) 꾸지뽕나무와 오죽대통과 죽염을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CN104431153A (zh) 一种黄秋葵护肝茶及其制备方法
CN102461954A (zh) 一种脱臭蒜素复合饮料
KR101377162B1 (ko) 커피를 함유한 민들레 뿌리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19451A (zh) 从中药中提取生物保鲜剂的方法及其在水果保鲜中的应用
CN102144685A (zh) 一种含有祁红茶的固体速溶茶
CN104782842B (zh) 一种天然无糖化处理陈皮茶制作方法
CN104489147A (zh) 一种芡实茶及其制备方法
CN104719452A (zh) 从鱼腥草中提取生物保鲜剂的方法及在水果保鲜中的作用
CN102396622B (zh) 一种生姜护肝速溶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82568A (ko)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3519182B (zh) 一种防治口腔溃疡的醋饮料的生产方法
KR100881635B1 (ko) 무 및 무잎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38719B (zh) 一种降血脂保健茶片及其制备方法
US11628196B1 (en) Method for preparing health foods comprising aloeswood having effects of preventing absorption of heavy metals into body and excreting the same from body
KR102226327B1 (ko) 개복숭아 액상차의 제조방법
KR101002083B1 (ko)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JPH0638702A (ja) アロエと朝鮮人参からなる健康エキスと製造法
JP2006149354A (ja) 糖尿病保健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