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455A -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455A
KR20140134455A KR20130054363A KR20130054363A KR20140134455A KR 20140134455 A KR20140134455 A KR 20140134455A KR 20130054363 A KR20130054363 A KR 20130054363A KR 20130054363 A KR20130054363 A KR 20130054363A KR 20140134455 A KR20140134455 A KR 2014013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main body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암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디시스템
Priority to KR2013005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455A/ko
Publication of KR2014013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66F7/08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을 형성하며, 지면과 차량(10) 사이의 공간에 이동배치될 수 있는 전고를 갖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본체부(110)를 이송시키는 구동바퀴(121)와, 상기 구동바퀴(12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2)를 포함하는 바퀴구동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밀폐된 공기주입공간(134)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기 차량(10)을 리프팅하는 리프팅부(130); 상기 본체부(110)에 탑재되며 상기 리프팅부(130)의 공기주입공간(134)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공급부(140);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컨트롤러(17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구동부(120)와 공기공급부(14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60);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Lift Transf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공기에 의한 공기캡의 팽창을 이용하여 이송대상 차량을 리프팅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불법주차 차량 또는 고장 차량이 발생한 경우, 공용주차장 또는 정비소로 이송하기 위해 견인차량을 이용하는데, 견인차량에는 후미에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양측바퀴에 체결된 상태에서 리프팅하기 위한 견인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견인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이송간 견인차량이 방향전환을 위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체결된 양측바퀴의 프레임 및 구동축 상에 가압력이 가해지거나, 체결된 양측바퀴가 견인장치에서 이탈되면서 차량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견인차량의 후미에 피견인차량이 배치된 형태로 리프팅되거나 이송되기 때문에 넓은 회차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후미에서 이동하는 피견인차량이 주변 물체에 충돌되거나 긁히는 등의 훼손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았다. 더불어, 견인차량의 구동력을 이용한 견인장치이기 때문에 견인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초기비용이 과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7-0073197호(2007.07.10), 견인차량의 언더리프트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공기에 의한 공기캡의 팽창을 이용하여 이송대상 차량을 하부에서 들어올려 원하는 목적지로 이송하므로 차량의 훼손을 방지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이송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을 형성하며, 지면과 차량(10) 사이의 공간에 이동배치될 수 있는 전고를 갖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본체부(110)를 이송시키는 구동바퀴(121)와, 상기 구동바퀴(12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2)를 포함하는 바퀴구동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밀폐된 공기주입공간(134)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기 차량(10)을 리프팅하는 리프팅부(130); 상기 본체부(110)에 탑재되며 상기 리프팅부(130)의 공기주입공간(134)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공급부(140);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컨트롤러(17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구동부(120)와 공기공급부(14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60);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압축공기에 의한 공기캡의 팽창을 이용하여 이송대상 차량을 하부에서 완전히 들어올려 이송하므로 차량의 훼손이 방지되며 주차장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종래와 같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견인차량이 불필요하며, 본체부가 접철되고 구동바퀴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리프팅부의 상부에는 쿠션, 천, 폼(스폰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완충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판이 구비되므로, 리프팅부에 의해 가압되는 차량의 하부가 훼손되거나 상기 차량 하부의 모난 부분에 의해 리프팅부가 가압되어 지지하는 부분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넷째, 리프팅부에는 외피부의 내부공간 내에서 측방향으로 균등배치되어 공기공급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개별적으로 팽창하는 복수 개의 공기캡이 구비되므로, 차량의 하부를 균일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가압하여 리프팅할 수 있으며 각 공기캡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차량의 리프팅된 밸런싱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섯째, 각 공기캡의 배치된 위치와 매칭되는 리프팅부의 상단 위치에는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은 각 압력감지센서의 감지정보에 따라 리프팅된 차량의 밸런싱이 유지되도록 각 공기캡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간 리프팅된 차량의 무게중심이 편중되면서 전복되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리프팅부의 외부를 형성하는 외피부의 측부 둘레에는 상기 외피부에 근접하여 직립배치되되 외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된 가이드판이 구비되므로, 공기캡의 공기주입공간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피부가 측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차단하여 공기압력이 구속되지 않은 상부방향으로 향하게 안내하므로 공기압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리프팅부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일곱째, 상기 가이드판은 가이드판구동부에 의해 본체부상에서 승강구동하도록 구비되므로, 외피부가 압축공기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상부의 위치가 상승하더라도 가이드판구동부의 구동제어에 의해 상승구동하여 외피부의 측방을 구속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부의 구성 및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공기캡이 외피부 내에서 측방향으로 균등배치되어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팽창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가 차량을 리프팅하여 이송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가 체결삽입부 삽입수용부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길이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대형차량을 이송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는, 압축공기에 의한 공기캡(133)의 팽창을 이용하여 이송대상 차량(10)을 하부에서 들어올려 원하는 목적지로 이송하므로 차량의 훼손을 방지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이송 및 회차가 가능한 이송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바퀴구동부(120), 리프팅부(130), 공기공급부(140), 입력부(150) 및 마이컴(1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본체부(110)는 장치의 다른 구성이 배치 또는 탑재되는 베이스프레임으로서, 지면과 차량(10) 사이의 공간에 이동배치될 수 있는 전고를 갖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사각의 박스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삼각형 및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접철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구동부(120)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가 차량(10)의 하부로 이동하거나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게 본체부(11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본체부(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본체부(110)를 이송시키는 구동바퀴(121)와, 상기 구동바퀴(12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구동부(120)는 마이컴(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바퀴(12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바퀴(121)는 본체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3개 이상이 하부에 균등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퀴구동부(120)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가 평면상에서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3자유도 구성으로 설계되고,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122)의 방향전환이 없는 전후 구동만으로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의 3자유도 운동이 구현되는 옴니휠 또는 메카넘휠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동바퀴(121)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착탈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팅부(130)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차량(10)의 하부를 가압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팅구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밀폐된 공기주입공간(134)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기 차량(10)을 리프팅한다.
여기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부(130)는, 리프팅부(130)의 외부를 형성하되 내부공간(132)이 형성된 상태로 하부가 본체부(110)에 고정장착되는 외피부(131)와, 상기 외피부(131)의 내부공간(132) 내에 배치되어 밀폐된 공기주입공간(134)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부(14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외피부(131)의 내부공간(132) 내에서 팽창되는 공기캡(133) 및, 상기 리프팅부(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차량(10)의 하부 또는 상기 외피부(131)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판(1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외피부(131)의 측부 둘레는 복수회 절곡되어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어,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될 때 주름진 부분이 펴지면서 상부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가이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완충판(135)는 쿠션, 천, 폼(스폰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완충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완충판(135)의 완충작용으로 리프팅부(130)에 의해 가압되는 차량(10)의 하부가 훼손되거나 상기 차량(10) 하부의 모난 부분에 의해 리프팅부(130)가 가압되어 지지하는 부분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140)는, 본체부(110)에 탑재되어 리프팅부(130)의 공기주입공간(134)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부(130)의 공기주입공간(134)과 연통된 주입관(141)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기주입공간(134)의 내부로 주입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리프팅부(130)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기공급구동부(142)에 의해 공기공급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입력부(150)는, 유선 또는 문선 통신망을 통해 컨트롤러(170)와 신호연결되어 컨트롤러(170)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로서, 도 1에서와 같이 무선수신장치로 구비될 경우 와이파이, 지그비,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컨트롤러(170)의 조작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의 케이블 입력단자로 구비된 경우 컨트롤러(170)와 연결된 케이블 등의 신호라인으로 유선연결되어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70)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를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장치로서, 복수 개의 입력버튼(171)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버튼 터치동작에 의해 대응되는 조작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의 이동, 리프팅부(130)의 승강동작 등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16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중앙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상기 입력부(150)를 수신된 컨트롤러(17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구동부(120) 및 공기공급구동부(142)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외피부(131)의 내부공간(132) 내에 하나의 공기캡(133)이 구비된 경우, 차량(10)의 하부위치에서 차량(10)의 무게중심에서 벗어난 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한 위치를 기준으로 양측의 무게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가벼운 일측을 지지하는 외피부(131)의 일측은 주입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원활하게 팽창동작하게 되나 상대적으로 무거운 타측을 지지하는 외피부(131)의 타측은 주입되는 공기압력에도 팽창동작이 원활하지 못하여 차량(10)이 기울어진 상태로 리프팅되거나 외피부(131)의 일측에 해당하는 측부가 돌출되어 차량(10)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동작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캡(133)은 외피부(131)의 내부공간(132) 내에서 복수 개가 측방향으로 균등배치되어 공기공급부(140)로부터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개별적으로 팽창하고, 상기 리프팅부(130)는 각 공기캡(133)의 배치된 위치와 매칭되는 상단 위치에 배치되어 리프팅부(130)가 차량(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1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160)은 각 압력감지센서(136)의 감지정보에 따라 리프팅된 차량(10)의 밸런싱이 유지되도록 각 공기캡(133)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공기캡(133)의 구성을 통해 차량(10)의 하부를 균일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가압하여 리프팅할 수 있으며 각 공기캡(133)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차량(10)의 리프팅된 밸런싱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차량(10)의 하부면은 다양한 차량부품이 배치되면서 평탄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돌출된 부분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통과 같이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차량부품의 경우에는 강도가 약하여 리프팅부(130)에 의해 지지되어 가압될 경우 쉽게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부(130)가 차량(10)의 하부를 지지하여 리프팅함에 있어서, 안정적인 리프팅을 위해서는 차량(10)의 하부면 중 비교적 평탄한 위치나 골조프레임과 같이 강인한 내구성을 갖는 차량부품을 리프팅부(130)가 가압하도록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의 리프팅 위치가 조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에서는 이러한 제한사항에 착안하여, 사용자가 차량(10)의 하부면을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리프팅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차량(10)의 하부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400)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는 상기 입력부(15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컨트롤러(170)로 전송되며, 상기 컨트롤러(170)에는 전송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72)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는 차량(10)의 하부 이미지를 식별하면서 리프팅부(130)가 지지되어야 할 적절한 하부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차량(10)의 훼손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리프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에서는, 사용자가 도수로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를 이송하거나 방향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본체부(110)의 방향전환을 위해 캐스터형으로 형성된 조향바퀴(210)가 구비되며, 상기 조향바퀴(210)의 일측에는 일정길이로 연장된 연장프레임(220)이 체결되며 상기 연장프레임(220)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밀거나 잡아당길수 있게 돌출형성된 손잡이(230)이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170)는 연장프레임(220)의 단부측에 일체화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230)을 이용하여 연장프레임(22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조향바퀴(210)의 방향을 조절하여 이송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바퀴구동부(120)에 구비된 구동바퀴(121)는 도면에서와 같이 조향바퀴(210)를 포함하여 삼륜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부(130)는, 외피부(131)의 측부 둘레에 근접하여 직립배치되되 상기 외피부(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되어, 공기캡(133)의 공기주입공간(134)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피부(131)가 측방향으로 팽창하는 차단하는 가이드판(18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판(180)의 구성을 통해 공기캡(133)의 공기주입공간(134)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피부(131)가 측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구속하여 공기압력이 구속되지 않은 상부방향으로 향하게 안내하므로 공기압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리프팅부(130)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80)은 가이드판구동부(184)에 의해 본체부(110) 상에서 승강구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외피부(131)가 압축공기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상부의 위치가 상승하더라도 가이드판구동부(184)의 구동제어에 의해 상승구동하여 외피부(131)의 측방을 구속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구동부(184)의 구동제어에 의해 가이드판(180)이 상승구동함에 있어서, 도면에서와 같이 가이드판(180)의 일측에는 렉기어(181)가 형성되고, 본체부(110)에는 상기 렉기어(181)와 치합되어 구동모터(18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83)가 배치됨으로써 가이드판구동부(184)의 구동제어에 가이드판(180)을 용이하게 승강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180)을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수단으로 렉기어(181), 구동기어(183) 및 구동모터(182)의 조합된 구성을 제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판구동부(184)의 구동제어에 의해 돌출구동하는 액츄에이터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특정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는 기술구성이면 이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로 이송시키고자 하는 차량이 트럭과 같이 길이가 길거나 중량이 무거운 대형차량(20)인 경우, 하나의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에 의한 이송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는 하나의 컨트롤러(170)의 조작신호로 복수 대의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0)의 연동된 조작신호를 각각의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가 개별적으로 수신하면서 상호 일치된 구동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대형차량(20)을 리프팅 및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의 일측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체결삽입부(310)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타측단에는 상기 체결삽입부(310)이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삽입수용부(320)가 형성됨으로써 연동동작을 수행하는 각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가 상호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리프팅 및 이송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압축공기에 의한 공기캡(133)의 팽창을 이용하여 이송대상 차량(10)을 하부에서 완전히 들어올려 이송하므로 차량(10)의 훼손이 방지되며 주차장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견인차량이 불필요하며, 본체부(110)는 일측이 접철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구동바퀴(121)를 본체부(110)로부터 착탈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각 공기캡(133)의 배치된 위치와 매칭되는 리프팅부(130)의 상단 위치에는 차량(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136)가 구비되며,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100)를 중앙제어하는 마이컴(160)은 각 압력감지센서(136)의 감지정보에 따라 리프팅된 차량(10)의 밸런싱이 유지되도록 각 공기캡(133)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간 리프팅된 차량(10)의 무게중심이 편중되면서 전복되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20...차량 100...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110...본체부 120...바퀴구동부
130...리프팅부 140...공기공급부
150...입력부 160...마이컴
170...컨트롤러

Claims (4)

  1. 베이스프레임을 형성하며, 지면과 차량(10) 사이의 공간에 이동배치될 수 있는 전고를 갖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본체부(110)를 이송시키는 구동바퀴(121)와, 상기 구동바퀴(12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2)를 포함하는 바퀴구동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밀폐된 공기주입공간(134)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기 차량(10)을 리프팅하는 리프팅부(130);
    상기 본체부(110)에 탑재되며 상기 리프팅부(130)의 공기주입공간(134)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공급부(140);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컨트롤러(17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구동부(120)와 공기공급부(14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60);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30)는,
    리프팅부(130)의 외부를 형성하되 내부공간(132)이 형성된 상태로 하부가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장착되는 외피부(131)와, 상기 외피부(131)의 내부공간(132) 내에 배치되며 밀폐된 공기주입공간(134)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부(14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외피부(131)의 내부공간(132) 내에서 팽창되는 공기캡(133) 및, 상기 리프팅부(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차량(10)의 하부 또는 상기 외피부(131)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판(135)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캡(133)은, 상기 외피부(131)의 내부공간(132) 내에서 복수 개가 측방향으로 균등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부(140)로부터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개별적으로 팽창하고,
    상기 리프팅부(130)는, 각 공기캡(133)의 배치된 위치와 매칭되는 상단 위치에 배치되어 리프팅부(130)가 상기 차량(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1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160)은, 각 압력감지센서(136)의 감지정보에 따라 리프팅된 차량(10)의 밸런싱이 유지되도록 각 공기캡(133)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30)는,
    상기 외피부(131)의 측부 둘레에 근접하여 직립배치되되 상기 외피부(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공기캡(133)의 공기주입공간(134)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외피부(131)가 측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차단하는 가이드판(18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KR20130054363A 2013-05-14 2013-05-14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KR20140134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363A KR20140134455A (ko) 2013-05-14 2013-05-14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363A KR20140134455A (ko) 2013-05-14 2013-05-14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55A true KR20140134455A (ko) 2014-11-24

Family

ID=5245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4363A KR20140134455A (ko) 2013-05-14 2013-05-14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45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144A (zh) * 2018-09-18 2019-02-05 华东交通大学 一种车辆快速转向辅助装置
KR20200093173A (ko) 2019-01-28 2020-08-05 이승규 이동 리프트
KR20210003626A (ko) * 2019-07-02 2021-01-1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KR20210026820A (ko) 2019-09-02 2021-03-10 (주)세진중공업 장비 이송용 지그장치
CN112721876A (zh) * 2021-01-25 2021-04-30 青岛黄海学院 一种汽车全向移车装置及方法
KR102395584B1 (ko) * 2021-04-23 2022-05-09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834805A (zh) * 2022-03-18 2022-08-02 深圳远荣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面板绝缘膜立体仓库及物流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144A (zh) * 2018-09-18 2019-02-05 华东交通大学 一种车辆快速转向辅助装置
CN109305144B (zh) * 2018-09-18 2023-07-14 华东交通大学 一种车辆快速转向辅助装置
KR20200093173A (ko) 2019-01-28 2020-08-05 이승규 이동 리프트
KR20210003626A (ko) * 2019-07-02 2021-01-1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KR20210026820A (ko) 2019-09-02 2021-03-10 (주)세진중공업 장비 이송용 지그장치
CN112721876A (zh) * 2021-01-25 2021-04-30 青岛黄海学院 一种汽车全向移车装置及方法
KR102395584B1 (ko) * 2021-04-23 2022-05-09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834805A (zh) * 2022-03-18 2022-08-02 深圳远荣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面板绝缘膜立体仓库及物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455A (ko)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US10850659B2 (en) Interchangeable truck bed
KR101796265B1 (ko) 스마트 유모차
CN109382650A (zh) 与工件一起使用的推车组件及使用方法
CN107108135B (zh) 利用形成装卸衬垫的斜坡的装卸装置
US10139816B2 (en) Device for maneuvering ground support equipment on an airport stand
US10384531B2 (en) Universal wheel
KR101486881B1 (ko) 회전력 조절이 가능한 주행보조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식 리프팅장치
CN103541315B (zh) 移动警示牌释放装置
KR101977906B1 (ko)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US20160264121A1 (en) Inflatable Vehicle Incorporating an Air Cushion
CN108652177A (zh) 智能旅行箱
KR101731042B1 (ko)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WO2013035085A1 (en) A vehicular lifting system and rescue method
TWM474675U (zh) 自動升降之平衡推具
CN107822284A (zh) 带保护气囊的旅行箱
CN103614978B (zh) 移动警示牌释放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9070810A (zh) 电脑支架
CN203505800U (zh) 一种多功能增载电驱动箱包
CN102452405A (zh) 车用手推车装置
US20190111957A1 (en) Auxiliary transport vehicle, auxiliary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xiliary transport vehicle
CN204897301U (zh) 一种货物卸载装置
CN105946818B (zh) 一种挖掘式顶车移位器
CN201134149Y (zh) 桥吊下集卡对位信息无线显示装置
JP2019062698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設備並びに給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