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042B1 -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 Google Patents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042B1
KR101731042B1 KR1020150141066A KR20150141066A KR101731042B1 KR 101731042 B1 KR101731042 B1 KR 101731042B1 KR 1020150141066 A KR1020150141066 A KR 1020150141066A KR 20150141066 A KR20150141066 A KR 20150141066A KR 101731042 B1 KR101731042 B1 KR 10173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ilting
cargo
us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952A (ko
Inventor
권용장
강성욱
박명규
근종현
노계호
김유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4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62B2203/071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turning around a vertical pivot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5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3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adjustment or convers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틸트 프레임의 각도 조절은 물론 무빙워크 진입시 화물이 적재되는 틸트 프레임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스마트한 전동형 핸드카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전방 하부에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프레임 후방에 휠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한 쌍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평방향의 화물 적재판과 화물 지지용 수직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체결되는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어 틸팅 조절 가능한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 배면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틸팅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 실린더와; 적어도 전진 및 틸팅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사용자 조작명령 혹은 주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정보에 따라 상기 휠 구동모터 및 상기 프레임 구동 실린더를 제어하여 핸드카를 전진시키고 상기 틸팅 프레임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SMART HANDCAR}
본 발명은 핸드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이 적재되는 틸트 프레임의 각도 조절은 물론 무빙워크 진입시 화물이 적재되는 틸트 프레임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스마트한 전동형 핸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카(handcar)는 물품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고안된 작은 손수레의 일종으로서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이러한 핸드카는 전통시장, 마트, 포구 등지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나 혼잡하고 비좁은 길에서 물품을 운반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핸드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 프레임(2)의 일단에 마련되는 손잡이(4), 프레임(2)의 타단에 고정되는 받침대(6), 프레임(2)의 타단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받침대(8), 프레임(2)의 전방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9)를 포함한다.
예시한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핸드카를 이용하는 방법은 받침대(6)에 물품을 적층한 후 바퀴(9)를 축으로 프레임(2)을 이용자 몸측으로 당겨 이동하는 방식이다. 받침대(6)에 물품이 과다 적층된 경우라면 프레임(2)을 이용자 몸측으로 당기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물품을 과다 적층한 경우 핸드카를 이동시킴에 있어 많은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노약자나 여성이 편리하게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핸드카를 끌고 하강 방향으로 경사진 무빙워크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해 본다면, 프레임(2)이 고정되어 있는 일반적인 핸드카의 구조상으로는 하강 방향으로 물품이 쏟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프레임(2)을 핸드카 이용자의 몸쪽으로 더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인해 몸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더 많은 힘이 요구된다.
또한 일반적인 핸드카는 도난 우려에 대한 보완책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도난 분실의 우려가 많고, 타인이 소유자의 허가 없이 무단 사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무단 사용으로 인한 파손시 사용자를 규명할 수 없어 보상받을 방법 또한 전무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88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022호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한 전동형 핸드카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카를 구성하는 틸트 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한 전동형 핸드카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한 무빙워크 진입시 틸트 프레임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스마트한 전동형 핸드카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된 화물의 과적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한 전동형 핸드카를 제공함에 있으며,
사용자 인증시에만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분실 위험을 막고 타인의 불법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한 전동형 핸드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는,
프레임 전방 하부에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프레임 후방에 휠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한 쌍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평방향의 화물 적재판과 화물 지지용 수직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체결되는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어 틸팅 조절 가능한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틸팅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 실린더와;
적어도 전진 및 틸팅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사용자 조작명령 혹은 주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정보에 따라 상기 휠 구동모터 및 상기 프레임 구동 실린더를 제어하여 핸드카를 전진시키거나 상기 틸팅 프레임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무빙워크 진출입로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와 통신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무빙워크 진입정보 수신시 무빙워크 기울기 방향에 맞게 상기 틸팅 프레임의 각도를 자동 조절해 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태그 리더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리드된 사용자 태그가 정상일 경우에 락킹모드 해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핸드카의 불안정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값이 전복 위험상태인 경우 상기 휠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술한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는 적재 화물의 과적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과;
적재 화물의 과적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적재 화물의 과적상태를 사용자에게 전파하기 위한 경보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는 버튼조작을 통해 화물 적재된 핸드카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화물 적재된 틸팅 프레임의 위치, 즉 각도까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핸드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무빙워크 진입시 이를 자동 감지하여 화물 적재된 틸팅 프레임의 위치를 무빙워크 기울기 방향에 맞게 자동 조절해 주기 때문에, 무빙워크 이용시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편리하게 핸드카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된 물건의 과적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 인증시에만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분실 위험이 적고 타인의 불법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핸드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틸트 프레임 각도 조절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무빙워크 진입시의 동작 제어 흐름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틸트 프레임 각도 조절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의 기구적 구성을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30)과, 베이스 프레임(130) 상에 체결되는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어 틸팅 조절 가능한 틸팅 프레임(105,110)으로 구성된다. 틸팅 프레임(105,110)의 일측 끝단은 핸드카의 손잡이(125)로 이용되며, 상기 손잡이(125)의 중앙에는 핸드카 조작을 위한 조작부(140)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에는 핸드카의 전진 및 후진 혹은 전진을 위한 수단으로서 한 쌍의 바퀴(120)와 보조바퀴(145)가 장착된다. 이러한 바퀴들(120,145)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30)에 장착되는데,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 하부에는 보조바퀴(145)가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임(130)의 후방 양 측면에는 휠 구동모터(150)에 의해 구동하는 한 쌍의 바퀴(120)가 장착된다.
참고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는 보조바퀴(145)는 무빙워크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즉 무빙워크 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정합될 수 있도록 바퀴 중앙 부위가 함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30) 상에는 브래킷(135)이 체결되어 후술할 틸팅 프레임(105,110)과 힌지 결합된다.
틸팅 프레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화물 적재판(105)과 화물 지지용 수직 프레임(110)이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상에 체결되는 브래킷(135)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110)의 배면에는 전동형 핸드카(10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113)가 장착됨은 물론, 전동형 핸드카(10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기 혹은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 컨트롤 박스(11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틸팅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110) 배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tilting) 프레임(105,110)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구동 실린더(155) 일측이 연결된다. 프레임 구동 실린더(155)의 타측은 베이스 프레임(130) 혹은 수직 프레임(110)에서 연장 가능한 지지판(157) 구조물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프레임 구동 실린더(155)의 압축과 팽창 동작에 의해 틸팅 프레임(105,1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 각도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57) 하부에는 적재 화물의 무게에 의해 핸드카(100)가 뒤로 전복될 수 있는 경우의 피해를 최소화기 위해 후방 보조바퀴(160)가 더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틸팅 프레임(105,110)이 도 3에서와 같이 위치한 경우를 '정상 위치'인 것으로 명명하고, 도 4에서와 같이 정상 위치에서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위치를 '주행 위치'인 것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틸팅 프레임의 위치와 각도가 동일 의미로 해석 가능한 것으로 해석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무빙워크의 기울기 방향이 오르막이라면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 위치가 우상향하기 때문에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를 '주행 위치'로 위치시키는 경우 적재 화물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집중되어 핸드카가 전복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 즉 수직 프레임(110)의 위치는 '정상 위치'와 '주행 위치'의 중간 지점 혹은 정상 위치 방향으로 더 편중해 위치시켜야 한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틸팅 프레임(105,110)의 '오르막 위치'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에 반하여 무빙워크의 기울기 방향이 내리막이면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 위치는 우하향이기 때문에 적재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를 적어도 '정상 위치"에서 '주행 위치' 방향으로 더 편중해 위치시켜야 한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틸팅 프레임(105,110)의 '내리막 위치"로 명명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 상부면에는 정상 위치에서 적재 화물의 과적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165)이 위치함으로써, 적재 화물 과적시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해 주는데 이용된다.
이하 상술한 기구적 특징을 가지는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핸드카(100)를 적어도 전진(및 후진) 및 틸팅 각도를 수동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40)를 포함한다. 조작부(140)에는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잔량 표시등이 위치하고, 틸팅 프레임(105,11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즉 '상승', '하강' 버튼이 위치함은 물론, 핸드카(100)의 전, 후진 속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버튼이 위치한다.
조작부(140) 외에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사용자 조작명령 혹은 주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정보에 따라 상기 휠 구동모터(150) 및 상기 프레임 구동 실린더(155)를 제어하여 핸드카(100)를 전진시키고 상기 틸팅 프레임(105,110)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220)는 사용자 조작명령에 따라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를 수동 제어하거나, 주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정보에 따라 자동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내부 메모리를 구비하며, 구비된 메모리에는 핸드카(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주변 통신기기는 중앙관제센터와 물류관리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와이파이 통신모듈, RF통신모듈 등)일 수 있으며, 단순히 무빙워크 진출입로를 식별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예를 들면, 적외선 송수신부)일 수 있다.
상술한 기본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무빙워크 진출입로에 각각 설치된 무선 통신부와 통신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225, 예를 들면 와이파이 모듈, 적외선 송수신부, RF 모듈 등)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20)는 근거리 통신부(227)를 통해 무빙워크 진입정보 수신시 무빙워크 기울기 방향(우상향 혹은 우하향)에 맞게 틸팅 프레임(105,110)의 각도를 오르막 위치 혹은 내리막 위치로 자동 조절해 준다.
물론 제어부(220)는 사용자 조작명령에 따라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각도)를 수동 조절해 줄 수 있다.
상술한 기본 구성 외에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태그 리더기(2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220)는 리드된 사용자 태그가 정상일 경우에 락킹모드 해제한다. 예를 들어 농수산물 시장에서 핸드카(100)를 이용하여 물류 이동을 담당하는 사용자들은 RF 태그가 담긴 사용자 인증카드를 소지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아 핸드카(100)를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핸드카(100)의 불안정 자세(과속, 전복 등)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215)와 가속도 센서(210), 수직 프레임(110)에 설치된 틸팅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20)는 상기 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값이 전복 위험상태인 경우 휠 구동모터(1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틸팅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틸팅 센서가 오작동할 경우를 대비해 자이로 센서(215) 역시 틸팅 각도를 감지하기 위해 틸팅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0)에 설치 운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적재 화물의 과적시 제어부(220)에 의해 적재 화물의 과적상태를 사용자에게 전파하기 위한 경보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된 휠 구동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휠 구동모터(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실린더 구동부(235) 역시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프레임 구동 실린더(155)를 구동시킨다.
이하 상술한 기구적 구성 및 전자적 구성에 기반한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의 무빙워크 진입시의 동작 제어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락킹모드로 가정)를 가정하고,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는 정상 위치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하에 사용자가 핸드카(100)를 이용하고자 하면 자신의 사용자 카드를 태그 리더기(205)에 접촉시킨다. 태그 리더기(205)를 통해 사용자 카드가 인식되면 제어부(220)는 리드된 사용자 태그가 정상인지를 체크(S10단계)한다.
체크결과 사용자 카드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220)는 핸드카(100)의 락킹모드를 해제(S15단계)한 후 시동키 "온" 상태를 체크(S20단계)한다.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시동키의 사용 없이, 락킹모드가 해제되면 단순히 조작부(140)의 버튼 조작에 따라 핸드카(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S20단계의 체크 결과 시동키가 "온" 위치에 놓이면, 제어부(220)는 S25단계로 진행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핸드카(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락킹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틸팅 프레임(105,110)을 '정상 위치'로 놓은 상태에서 화물 적재판(105) 위에 화물을 적재한다.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이동을 위해 틸팅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0)을 하강, 즉 주행 위치로 위치시킨다. 이로써 화물 적재된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조작부(140)에 구비된 속도조절버튼을 이용하여 핸드카(100)를 전진시킨다. 핸드카(100)의 전진 중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핸드카(100)를 정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만약 핸드카(100) 전진 중 제어부(220)는 근거리 통신부(227)를 통해 무빙워크 진입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만약 핸드카(100)가 우상향(오르막)하는 무빙워크에 진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무빙워크 진입로에는 우상향하는 무빙워크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적외선 송신부가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적외선 송신부는 우상향 무빙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적외선 송신하면 이러한 정보는 핸드카(100)의 근거리 통신부(227)를 통해 제어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근거리 통신부(227)를 통해 무빙워크 진입(S30단계)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S35단계에서 진입하는 무빙워크의 기울기가 우상향인지 우하향(내리막)인지 판단할 수 있다.
우상향 무빙워크라면 제어부(220)는 S40단계로 진행하여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를 오르막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우하향 무빙워크라면 제어부(220)는 S45단계로 진행하여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를 내리막 위치로 이동하도록 자동 제어한다.
이에 무빙워크의 기울기에 맞게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각도)를 자동 조절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행위 없이 편리하게 무빙워크를 이용하여 층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설명하지 않았지만 무빙워크 이동시에는 핸드카(100)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일 것이다.
무빙워크 이동중 제어부(220)는 또다시 무빙워크 진출로에 설치된 적외선 송수신기를 통해 무빙워크 진출정보가 수신되는가를 체크(S50단계)한다. 만약 핸드카(100)가 무빙워크 출구를 빠져나왔다는 무빙워크 진출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20)는 무빙워크 이용 전의 위치(원위치라고 명명)로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를 자동 복귀(S55단계)시킨다.
이로써, 핸드카(100) 사용자는 편리하게 무빙워크를 이용하여 층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부(227)를 통해 경사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220)가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자이로 센서(215)를 이용해 경사로를 인지하여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에서는 미설명하였지만, 제어부(220)는 핸드카(100)의 주행 중 자이로 센서(215)를 통해 감지되는 값을 통해 핸드카(100)의 전복 혹은 전복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휠 구동모터(150)의 구동을 정지시켜 추가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화물 적재중 로드셀(165)을 통해 적재 화물의 과적상태를 모니터하여 이를 경보부(225)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100)는 버튼조작을 통해 화물 적재된 핸드카(10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화물 적재된 틸팅 프레임(105,110)의 위치, 즉 각도까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핸드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무빙워크 진입시 이를 자동 감지하여 화물 적재된 틸팅 프레임의 위치를 무빙워크 기울기 방향에 맞게 자동 조절해 주기 때문에, 무빙워크 이용시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편리하게 핸드카(100)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된 물건의 과적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 인증시에만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분실 위험이 적고 타인의 불법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5: 화물 적재판 110: 수직 프레임
120: 바퀴 125: 손잡이
130: 베이스 프레임 140: 조작부
150: 휠 구동모터 155: 프레임 구동 실린더

Claims (5)

  1.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휠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한 쌍의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핸드카를 조작하는 사용자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판 구조물이 연장되고, 상기 지지판 구조물의 끝단 하부에 후방 보조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평방향의 화물 적재판과 화물 지지용 수직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체결되는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어 틸팅 조절 가능한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 배면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판 구조물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틸팅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 실린더와;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핸드카의 불안정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혹은 가속도 센서와;
    무빙워크 진출입로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로부터 무빙워크 진입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와;
    사용자 조작명령에 따라 핸드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무빙워크 진입정보 수신에 따라 무빙워크 기울기 방향에 맞게 상기 틸팅 프레임의 틸팅 각도를 자동 제어하며, 상기 자이로 혹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값이 전복 위험상태인 경우 상기 휠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태그 리더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리드된 사용자 태그가 정상일 경우에 락킹모드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적재 화물의 과적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과;
    적재 화물의 과적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적재 화물의 과적상태를 사용자에게 전파하기 위한 경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KR1020150141066A 2015-10-07 2015-10-07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KR10173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066A KR101731042B1 (ko) 2015-10-07 2015-10-07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066A KR101731042B1 (ko) 2015-10-07 2015-10-07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52A KR20170041952A (ko) 2017-04-18
KR101731042B1 true KR101731042B1 (ko) 2017-05-08

Family

ID=5870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066A KR101731042B1 (ko) 2015-10-07 2015-10-07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97B1 (ko) * 2017-11-20 2019-03-25 씨스존 주식회사 스마트 파워 전동 카트
KR101961791B1 (ko) * 2017-11-20 2019-03-25 씨스존 주식회사 전동 카트
KR200493063Y1 (ko) * 2019-12-16 2021-01-26 대한민국 일륜 수레의 균형유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72B1 (ko) * 2006-03-08 2007-11-13 전광용 중첩식 이동대차
KR101433746B1 (ko) * 2013-11-05 2014-08-27 수림엘리베이터(주) 에스컬레이터 탑승용 휠체어 대차장치
JP2015036254A (ja) * 2013-08-11 2015-02-23 俊之介 島野 乳母車又は介護用車両の安全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72B1 (ko) * 2006-03-08 2007-11-13 전광용 중첩식 이동대차
JP2015036254A (ja) * 2013-08-11 2015-02-23 俊之介 島野 乳母車又は介護用車両の安全システム
KR101433746B1 (ko) * 2013-11-05 2014-08-27 수림엘리베이터(주) 에스컬레이터 탑승용 휠체어 대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97B1 (ko) * 2017-11-20 2019-03-25 씨스존 주식회사 스마트 파워 전동 카트
KR101961791B1 (ko) * 2017-11-20 2019-03-25 씨스존 주식회사 전동 카트
KR200493063Y1 (ko) * 2019-12-16 2021-01-26 대한민국 일륜 수레의 균형유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52A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5836B2 (ja) 電動荷物
KR101731042B1 (ko)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KR101961797B1 (ko) 스마트 파워 전동 카트
KR101952540B1 (ko) 전동 킥보드 장치
KR101004608B1 (ko) 무인 전동운반차 및 그 제어방법
JP2002255037A (ja) 可動型ケース
KR20220144392A (ko) 자재 취급 차량용 위치 결정 지원 시스템
JP2022189891A (ja) 車両搬送装置
CN112776766A (zh) 车辆运输控制装置、车辆运输控制方法以及车辆运输系统
CN109641535A (zh) 运输设备存放和充电
KR102142145B1 (ko) 전동 유모차
EP3876064B1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a remotely controllable material handling vehicle
EP38754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a remotely controllable material handling vehicle
KR20190092111A (ko) 전동형 카트
JP3855728B2 (ja) 産業車両における荷役作業支援装置及び産業車両
KR101280655B1 (ko) 핸즈프리 여행용 가방
US20220135172A1 (en) Personal mo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2061652A (ja) 施設内におけるシステム、電動モビリティ、および侵入防止エリア検知装置
CN112591689A (zh) 用于待输送的负载的设置用于无驾驶员的自主行动的运行的地面运输工具
JP2003252596A (ja) フォークリフト
JPH05170315A (ja) リフトトラックの制御方法
KR101391471B1 (ko)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감지장치
KR102516989B1 (ko) 무인운송차량, 무인운송차량의 수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69094B1 (ko) 트레일러형 위치기반 추종 이송로봇 및 위치 기반 추종 로봇군
JPH0742905Y2 (ja) ボンベ運搬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