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932A -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932A
KR20140133932A KR20147028509A KR20147028509A KR20140133932A KR 20140133932 A KR20140133932 A KR 20140133932A KR 20147028509 A KR20147028509 A KR 20147028509A KR 20147028509 A KR20147028509 A KR 20147028509A KR 20140133932 A KR20140133932 A KR 2014013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mold
pattern block
pattern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851B1 (ko
Inventor
웨이 장
런 장
Original Assignee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29C33/72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09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the moulds being made of a plurality of laminations, e.g. thin plates, adjacent one another, so as to create the moulding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63Mould maintenance, e.g. cleaning, washing, repa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을 공개하였는데 상기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은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를 조립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패턴 블록은 여러개 상하 적층의 패턴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블록은 각 패턴 조각 내주와 패턴 블록 단면을 연통하는 배기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되고 각 패턴 조각을 연통시키며 또한 패턴 블록 단면과 연통 된 축방향 배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세척 시 세척 통로가 되며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은 세척 매체 입구가 된다. 상기 구조를 이용하여 몰드 내강을 한개 밀폐에 가까운 용기로 형성하며 세척 구멍을 통해 몰드 내강에 일종 유기 용액을 주입하고 일정한 압력의 작용하에 유기 용액으로 하여금 배기 틈새을 통해 배출되게 하고 배출 과정은 바로 배기 틈새에 대한 세척 과정이다. 이런 세척 방법을 채용하면 플라스틱 먼지 제거가 더욱 철저하고 효과적이며 조작이 간단하고 또한 세척 코스트가 비교적 낮다.

Description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PORE-FREE TIRE SEGMENTED MOLD PATTERN BLOCK, SEGMENTED MOLD, AND CLEANING METHODS THEREFOR}
본 발명은 일종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일종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분야에 응용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 가황 공정에 있어서 몰드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방출하기 위하여 고무를 몰드 중에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타이어 몰드는 모두 몰드 캐비티에 여러개 배기공을 개설하였다. 통상적으로 드릴링 가공을 채용하여 필요되는 배기공을 형성하며 드릴링 프로세스를 완성한 후 또 홀 끝단의 글리치를 수정할 필요가 있어 몰드 제조 프로세스를 증가하고 몰드의 제조 코스트를 제고하였다. 일면, 가황 공정에서 트레드() 영역의 배기는 원형 기공을 통해 배출되며 이런 기공은 통상적으로 몰드 튜브 상면에 위치하며 또한 몰드 외표면에 관통 설치되며 고압과 고열 하에서 미가황의 생고무는 몰드 타이어 탑 캐비티 밖으로 압출된다. 공기가 몰드로부터 배출 된 후 고무는 드릴 설치 된 배기공 내에 끼워져 플라스틱 버르(Plastic burr)를 형성하고 이런 플라스틱 버르의 일부분은 몰드 배기공 내에서 절단 될 가능성이 있어 캐비티 내의 공기의 배출을 저해하여 나아가서 고무가 몰드 캐비티 전체를 완전히 충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초래한다. 이런 상황을 피면하기 위하여 타이어 몰드를 생산 라인에서 빼내여 세척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세척 작업은 드릴을 사용하여 매개 기공 내의 고무를 빼내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여 생산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대부분의 플라스틱 버르는 탈형을 진행함에 따라 타이어 위에 위치하게 되며, 플라스틱 버르를 제거하기 위해 전문인과 상응 설비를 설치하여 손질봐야 하는데 이는 타이어의 외관 품질에 영향을 끼칠뿐만 아니라 또한 플라스틱 재료를 낭비하여 생산 코스트를 증가하였다.
상기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무기공 기술이 나타났는데 예를 들어, 미국 특허US20070009623에서는 대량의 상대적으로 비교적 얇은 고리 모양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함께 나란히 하여 두개의 마주향한 반 금형 혹은 세그먼트 몰드 커버내에 장착하여 라미네이트의 일면 혹은 양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타이어 가황을 진행할 시 기체가 갭에서 배출되여 가황하여 얻은 타이어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는 것을 확보한다. 하지만 US20070009623의 몰드 구조에는 원주 방향 배기 슬롯이 없어 그 배기는 반경 방향 배기 슬롯를 통해 패턴 블록의 배면으로 배출되는데 거리가 멀고 배기 효과가 나빠 쉽게 막히며 또한 일단 막히면 거리가 멀기 때문에 세척하기 쉽지 않으며 패턴 블록 배면과 슬라이더가 배합되는데 배합면에는 여러개의 배기 슬롯을 가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다시 공기를 끌어내는데 가공 코스트를 증가한다.
또한, 타이어 패턴의 종류는 매우 많으며 피치, 스틸 상감 등 전업요구 방면의 제한을 받으며 횡단 분할의 무기공 구조의 몰드는 대다수 분해할 수 없으며 상기 미국 특허 US20070009623의 몰드 구조는 또한 주위가 개방되여 폐쇄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막히면 해체하지 않고선 세척을 진행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기공 기술로 가황하여 얻은 타이어는 비록 외관이 아름답고 플라스틱 재료를 절약하지만 시종 중대한 기술적 문제가 존재하여 무기공 기술의 추진과 보급을 저해하는데, 즉, 무기공 몰드의 배기 효과가 나쁘고 세척이 힘든 문제가 존재한다. 거의 모든 무기공 몰드는 모두 세척 과정이 복잡하고 코스트가 높은 문제가 존재하며 또한 대부분 철저히 세척할 수 없어 몰드의 재차 가황의 품질과 주기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의 무기공 몰드의 한가지 혹은 여러가지 결함을 극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안을 포함한다.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에 있어서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패턴 블록은 상하 적층하여 조립되는 여러개의 패턴 조각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 블록은 각 패턴 조각 내주와 패턴 블록 단면을 연통시키는 배기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되고 각 패턴 조각을 연통하며 또한 패턴 블록 단면과 연통되는 축방향 배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세척시 세척 통로로 되며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은 세척 매체 입구로 된다.
본 발명은 또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를 제공하는데 상기 몰드는 여러개 상술한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내강과 몰드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은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패턴 조각을 연통 시키며 또한 몰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세척 시 세척 통로로 된다.
상기 구조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또 일종 상술한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몰드는 그 패턴 블록 내의 배기 통로를 이용하여 세척 통로로 하고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을 세척 매체 입구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우점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무기공 몰드 가황시 캡슐 내압의 작용하에 몰드와 트레드 사이의 기체는 몰드의 배기 틈새를 통해 패턴 조각과 패턴 조각 사이의 원주 방향 배기 슬롯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후 원주 방향 배기 슬롯 내에 모인 후 반경 방향 배기 슬롯에 들어가며 다시 반경 방향 배기 슬롯을 통해 축방향 배기공에 들어가 기체를 몰드 외부로 배출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몰드는 원주 방향 배기 슬롯을 구비하는데 그 배기 거리는 짧고 효과가 좋으며 쉽게 막히지 않으며 또한 세척이 편리하며 원주 방향 배기 슬롯과 단면의 축방향 배기공이 관통되어 직접 외부와 연통되기 때문에 배합면에 다시 배기 슬롯을 가공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무기공 몰드는 세척시 우선 몰드 단면의 축방향 배기공을 폐쇄하고 몰드 내강을 밀폐에 가까운 용기로 형성하며 다시 단면 상의 그중 한개 세척 구멍을 통해 몰드 내강에 일종 유기 용액을 주입하며, 일정한 압력의 작용하에 유기 용액으로 하여금 배기 틈새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배출 과정은 바로 배기 틈새에 대해 세척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이런 세척 방법은 기타 방법에 비해 플라스틱 먼지 제거가 더욱 철저하고 유효적이며 조작이 간단하고 세척 코스트가 비교적 낮다. 때문에 본 발명은 가공 코스트 면에서나 또는 세척 코스트 면에서 모두 중대한 돌파구를 획득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의 한개 구체적인 실시예의 원주 방향 단면 설명도이며,
도2는 도1 중의 I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3은 도1의 A향 도면이며,
도4는 도3의 B??B향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의 한개 패턴 조각의 구조 설명도 이며,
도6는 본 발명의 전 실시예의 패턴 블록를 이용하여 형성한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구조 설명도 이며,
도7은 임의의 패턴 조각을 예로 하여 전 실시예 중의 상기 몰드의 배기 과정 설명도 이며 역과정이 바로 세척 과정이다.
본 발명은 우선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을 제공하여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를 조합하는데 사용되는데 그중, 상기 패턴 블록은 여러개의 상하 적층된 패턴 조각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 블록은 각 패턴 조각 내주와 패턴 블록 단면을 연통시키는 배기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 된 축방향 배기공을 포함하는데 상기 축방향 배기공은 각 패턴 조각을 연통하며 또한 패턴 블록 단면과 연통된다. 이런 구조의 패턴 블록을 이용하여 세그먼트 몰드를 형성한 후, 상기 무기공 몰드 가황을 진행할 시, 캡슐 내압의 작용하에 몰드와 트레드 사이의 기체는 몰드의 배기 틈새를 통해 패턴 조각과 패턴 조각 사이의 원주 방향 배기 슬롯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후 원주 방향 배기 슬롯 내에 모인 후 반경 방향 배기 슬롯에 들어가며, 다시 반경 방향 배기 슬롯을 통해 축방향 배기공에 들어가 기체를 몰드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패턴 블록을 이용하여 세그먼트 몰드를 형성한 후, 상기 무기공 몰드를 이용하여 가황을 진행할 시, 캡슐 내압의 작용하에 몰드와 트레드 사이의 기체는 몰드의 배기 틈새를 통해 패턴 조각과 패턴 조각 사이의 원주 방향 배기 슬롯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후, 원주 방향 배기 슬롯 내에 모인 후 반경 방향 배기 슬롯에 들어가고 다시 반경 방향 배기 슬롯을 통해 축방향 배기공에 들어가 기체를 몰드 외부로 배출 시킨다.
본 발명은 또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를 제공하는데 상기 몰드는 여러개 상술한 구조의 패턴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내강과 몰드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은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패턴 조각을 연통시키고 몰드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세척 시 세척 통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는 상기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몰드는 상기 패턴 블록 내의 배기 통로를 이용하여 세척 통로로 하고,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을 세척 매체 입구로 하며, 상기 세척 매체는 액체 혹은 기체 세척 매체일 수 있다.
아래에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진일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 및 도2에 표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의 한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조 설명도를 나타냈으며, 여러개 패턴 블록은 원주방향을 따라 조합된 후 세그먼트 몰드를 형성하는데 그중, 상기 패턴 블록(100)은 여러개 패턴 조각(1)이 상하 적층되여 형성되며 각 패턴 조각(1)의 내경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기에 조합하여 얻은 패턴 블록(100)의 내주면과 타이어 형상을 일치하게 하고 타이어 패턴과 대응되는 몰드 패턴을 형성하며 도5에 표시 된 바와 같이, 패턴 블록(100)은 각 패턴 조각(1)의 내주면(11)과 패턴 블록 단면(12)을 연통하는 배기 통로(20)을 구비하여 상기 배기 통로(20)는 배기 틈새(21), 원주 방향 배기 슬롯(22), 반경 방향 배기 슬롯(23) 및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 된 축방향 배기공(27)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틈새(21)는 인접한 두개 패턴 조각(1)사이에 위치하며 패턴 블록(100)의 내주면과 연통되며 그 깊이는 가황 공정 중에서 몰드 캐비티(200)(도6에 도시 된 바와 같이)내의 공기는 배출 될 수 있으나 고무는 유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개 패턴 조각 사이에 연장되여 형성되며 상기 배기 틈새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반경 방향 배기 슬롯은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과 상기 축방향 배기공을 연통시키며 상기 축방향 배기공(27)은 각 패턴 조각(1)의 반경 방향 배기 슬롯(23)을 연통하며 또한 패턴 블록(100)의 단면(12)과 연통되여 몰드 내강 중의 공기를 배출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본 실시예 중의 배기 통로는 단지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되며 즉, 상기 배기 통로는 또 다른 형식과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반경 방향 배기 슬롯(23)은 수요에 따라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을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기 틈새와 원주 방향 배기 슬롯의 설치 범위가 비교적 넓은 정황하에서 상기 축방향 배기공은 직접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과 연결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표시 된 바와 같이, 각 패턴 조각(1)에는 두개 이상의 체결 나사 구멍(14)이 형성되어 있어 적층 조합 후 체결 나사못(31)이 관통되여 고정할 수 있게끔 한다. 동시에 원주 방향 포지셔닝을 확보하기 위해 각 패턴 조각(1)상에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핀 구멍(15)이 개설되여 포지셔닝 핀을 관통하게끔 하며 체결 나사못(31)과 포지셔닝 핀(32)을 이용하여 각 패턴 조각(1)을 순서에 따라 상하적층하여 패턴 블록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개 체결 나사 구멍(14)과 네개 포지셔닝 핀 구멍(15)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체결 나사 구멍의 원심은 상대 외측의 한개 동심원에 위치하며 각 포지셔닝 핀 구멍(15)의 원심은 상대 내측의 한개 동심원에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요에 따라 체결 나사 구멍(14), 포지셔닝 핀 구멍(15)의 형식, 개수, 위치는 수요에 따라 변화 조절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일일히 서술하지 않는다.
도3에 표시 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패턴 블록(100)에는 세개의 축방향 배기공이 설치되어 있는데 패턴 블록 중부에 위치한 중앙 축방향 배기공(26)과 상기 패턴 블록(100)양측 단면에 각각 접근한 두개의 측부 축방향 배기공(27)을 포함하며 각 축방향 배기공 양단은 나사 플러그를 채용하여 착탈 가능한 폐쇄를 진행할 수 있다. 무기공 몰드의 측부 축방향 배기공(27)에 대해 상기 구멍은 몰드 가황 공정에서 개방 상태에 처해있어 배기에 사용되며 몰드 세척 과정에서는 밀봉 상태에 처해있다. 무기공 몰드의 중앙 축방향 배기공 (26)은 가황 공정에서 열려 배기 상태에 처해있으며 세척 과정에서 이 공을 통해 유기 용액을 주입하여 세척을 완성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축방향 배기공의 형식, 개수 및 위치에 대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일일히 서술하지 않는다.
도6은 본 발명의 전 실시예의 패턴 블록을 이용하여 조립형성한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구조 설명도이며 그중, 부호(100)은 무기공 몰드(패턴 블록)를 표시한다. 도6에 표시 된 바와 같이, 상부 타이어 측판(201)과 상부 커버(202)는 상부 타이어 측 부품을 조립하며 하부 타이어 측판(203)과 베이스(204)는 하부 타이어 측 부품을 조립하고 패턴 블록(100)과 슬라이더(205)는 패턴 부품을 조립하며 가이드 링(206), 마운트 링(207) 및 보온 슬리브(208)는 다이 세트 부품을 조립한다. 다이 세트 부품은 마운트 링(207)을 통해 가황 유닛과 연결되며 전체 몰드에 작용력을 인가하며 힘의 작용하에 몰드의 자유개폐의 활성 동작을 실현한다.
상기 패턴 블록을 이용하여 형성한 무기공 세그먼트 몰드는 각 패턴 블록의 배기 통로를 이용하여 역방향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무기공 몰드 세척 시, 우선 몰드를 양측 단면의 측부 축방향 배기공(27)에 접근시켜 폐쇄하고 몰드 내강(200)을 한개 밀폐에 가까운 용기로 형성하고 다시 단면 상의 그중 한개 측부 세척 구멍(27)(혹은 중앙배기공 (26))에 접근하여 몰드 내강(200)에 세척 매체(예를 들어, 유기 용액)를 주입하며 일정한 압력(바람직하게는 5~50Mpa)의 작용하에 세척 매체로 하여금 배기 틈새(11)를 통해 배출하게 하며 도7에 표시 된 바와 같이, 배출 과정은 바로 배기 틈새(11)에 대한 세척 과정이다. 이런 세척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플라스틱 먼지 제거가 더욱 철저하고 유효적이며 조작이 간단하고 세척 코스트가 비교적 낮다.
가황 공정 중의 공기배출의 유창성을 제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5 및 도7에 표시 된 바와 같이, 패턴 조각(1) 상의 원주 방향 배기 슬롯(22)과 반경 방향 배기 슬롯(23)은 부드러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22), 반경 방향 배기 슬롯(23) 및 축방향 배기공의 연결 혹은 터닝 부분에서 부드러운 전이 구조를 나타내여 세척 과정에서 세척 매체로 하여금 원활하게 주입 및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해당 유로의 구조 파라미터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구체적인 정황에 따라 확정 혹은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부 축방향 배기공은 상대적으로 패턴 블록의 원주 방향 테두리에 접근하고 중앙 축방향 배기공은 상대적으로 상기 패턴 블록 원주 방향 내면에 접근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축방향 배기공은 원주 방향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여 더욱 훌륭한 배기 및 세척 효과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패턴 조각(1) 사이의 배기 틈새(11)는 대응 패턴 조각의 적어도 한개 표면이 내주연으로 부터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절삭하여 대략 오목한 고리형을 형성하며 배기 틈새(11)의 깊이는 0.005~0.05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2~0.035mm이며 상술한 내주연으로 부터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 된 폭은 바람직하게는 0.5~5mm인데 5mm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의 깊이는 0.5~3mm이며 폭은 1~6mm이며 필요에 따라 6mm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에 대해 그 어떤 형식의 한정도 가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기술안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공개 된 기술 내용을 이용하여 작은 변동 혹은 수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 등가 변화의 등가 실시예에 속하며 본 발명의 기술안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기술 본질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대해 진행한 그 어떤 간단한 수정, 등가 변화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안의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4)

  1.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에 있어서,
    상기 패턴 블록은 여러개 상하 적층의 패턴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블록은 각 패턴 조각 내주와 패턴 블록 단면을 연통하는 배기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되고 각 패턴 조각을 연통시키며 또한 패턴 블록 단면과 연통 된 축방향 배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세척 시 세척 통로가 되며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은 세척 매체 입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통로는 배기 틈새, 원주 방향 배기 슬롯 및 반경 방향 배기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틈새는 인접한 두개 패턴 조각 사이에 위치하고 패턴 블록 내주면과 연통되며 상기 배기 틈새의 깊이는 가황 공정 중에서 몰드 캐비티 내의 공기는 배출될 수 있으나 고무는 유출되지 않게 하고,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개 패턴 조각 사이에 연장되여 형성되며 상기 배기 틈새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반경 방향 배기 슬롯은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과 상기 축방향 배기공을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틈새는 패턴 조각의 적어도 한개 표면의 내주연이 바깥으로 일정한 폭으로 절삭되여 형성된 고리형이며 상기 배기 틈새의 깊이는 0.005~0.05mm이고 폭은 0.5~5mm이거나 혹은 5m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의 깊이는 0.5~3mm이며 폭은 1~6mm이거나 혹은 6m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각 패턴 조각 상의 원주 방향 배기 슬롯과 반경 방향 배기 슬롯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주 방향 배기 슬롯, 반경 방향 배기 슬롯 및 축방향 배기공의 연결 혹은 터닝 부분은 부드러운 전이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매개 패턴 블록은 측부 단면에 접근한 측부 축방향 배기공 및 중앙 축방향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축방향 배기공은 원주 방향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며 또한 상기 측부 축방향 배기공은 상대적으로 상기 패턴 블록 테두리에 접급하며 상기 중앙 축방향 배기공은 상대적으로 상기 패턴 블록 중앙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각 패턴 조각에는 두개 이상의 체결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적층 조립 후에 체결 나사못이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하고 각 패턴 조각에는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핀 구멍이 개설되여 포지셔닝 핀이 통과하게끔 하며, 체결 나사못과 포지셔닝 핀을 이용하여 각 패턴 조각을 순서에 따라 상하 적층하여 패턴 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매개 패턴 조각 상의 각 체결 나사 구멍의 원심은 상대적으로 외측의 한개 동심원 상에 위치하며 각 포지셔닝 핀 구멍의 원심은 상대적으로 내측의 한개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10. 청구항1 내지 9항의 임의의 항의 패턴 블록을 여러개 포함하고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내강과 몰드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은 상기 패턴 블록에 축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패턴 조각을 연통시키며 또한 몰드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배기 통로는 몰드 세척 시 세척 통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그 패턴 블록 내의 배기 통로를 이용하여 세척 통로로 하고 상기 배기 통로의 축방향 배기공은 세척 매체 입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세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가황 공정 중에서 상기 축방향 배기공은 개구 배기 상태에 처해 있고 몰드 세척 과정에서 적어도 그중 한개 축방향 배기공이 세척 매체 주입구로 되고 세척 과정에서 이 구멍을 통해 세척 용액을 주입하여 세척을 완성하며 기타 축방향 배기공은 밀폐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세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매체는 액체 혹은 기체 세척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세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세척 매체는 유기 용액이며 그 세척 압력이 5~5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의 세척 방법.
KR1020147028509A 2012-03-21 2012-03-21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 KR101620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2/072718 WO2013139007A1 (zh) 2012-03-21 2012-03-21 无气孔轮胎活络模花纹块、活络模具及其清洗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932A true KR20140133932A (ko) 2014-11-20
KR101620851B1 KR101620851B1 (ko) 2016-05-13

Family

ID=4922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509A KR101620851B1 (ko) 2012-03-21 2012-03-21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83721B2 (ko)
EP (1) EP2829376B1 (ko)
JP (1) JP5925953B2 (ko)
KR (1) KR101620851B1 (ko)
HU (1) HUE041998T2 (ko)
IN (1) IN2014MN01790A (ko)
RS (1) RS58406B1 (ko)
WO (1) WO2013139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1345B2 (en) * 2017-02-23 2021-04-20 Himile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Shando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orkpie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pore-free) tire segment mold
US10632700B2 (en) * 2017-11-13 2020-04-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elease mechanism for a tire mold plate
KR102005090B1 (ko) * 2018-02-23 2019-07-29 서홍걸 신발용 쿠션재 및 그 제조금형
TWI751041B (zh) * 2021-02-25 2021-12-21 禾益佳股份有限公司 Pet製的盒蓋之製法及其製品
CN115257036B (zh) * 2022-09-28 2022-12-30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模具花纹块及轮胎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7017A (en) * 1939-05-10 1942-09-29 Max C Overman Tire mold structure
JPH02295706A (ja) * 1989-05-10 1990-12-0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セクショナル型タイヤ成形金型及びその製作方法
US5152951A (en) * 1990-07-27 1992-10-06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Vented tire mold and method for vacuum molding
JP2001232641A (ja) * 2000-02-23 2001-08-28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
JP2003245928A (ja) * 2002-02-25 2003-09-02 Bridgestone Corp ゴム成型品加硫モールドの洗浄方法
KR20050120623A (ko) 2002-12-07 2005-12-22 쿠퍼 테크놀로지 서비시즈, 엘엘씨. 타이어 트레드 주형의 환형 통기부
JP4515212B2 (ja) * 2004-10-01 2010-07-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モールドの組立方法及びその装置
JP4710326B2 (ja) * 2005-01-17 2011-06-2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用金型
JP2007118460A (ja) 2005-10-28 2007-05-17 Bridgestone Corp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装置
CN100566969C (zh) 2007-04-05 2009-12-09 鸣庆企业股份有限公司 胎模用模片总成装置
JP2010201885A (ja) * 2009-03-05 2010-09-16 Bridgestone Corp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CN201544373U (zh) * 2009-11-28 2010-08-11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活络模花纹块
JP5117541B2 (ja) 2010-06-23 2013-01-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モールド
CN102205660A (zh) * 2011-03-18 2011-10-05 广东巨轮模具股份有限公司 汽车子午线轮胎层片式无排气孔活络模具
CN202480281U (zh) * 2012-03-21 2012-10-10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无气孔轮胎活络模花纹块及活络模具
CN102601897B (zh) * 2012-03-21 2014-03-26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无气孔轮胎活络模花纹块、活络模具及其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9376B1 (en) 2018-11-28
WO2013139007A1 (zh) 2013-09-26
HUE041998T2 (hu) 2019-06-28
RS58406B1 (sr) 2019-04-30
JP2015514023A (ja) 2015-05-18
US20150086664A1 (en) 2015-03-26
EP2829376A1 (en) 2015-01-28
EP2829376A4 (en) 2016-04-27
JP5925953B2 (ja) 2016-05-25
US9283721B2 (en) 2016-03-15
IN2014MN01790A (ko) 2015-07-10
KR101620851B1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1897B (zh) 无气孔轮胎活络模花纹块、活络模具及其清洗方法
KR101620851B1 (ko) 무기공 타이어 세그먼트 몰드 패턴 블록, 세그먼트 몰드 및 그 세척 방법
WO2016131309A1 (zh) 一种无气孔轮胎活络模具及其花纹块
CN203427230U (zh) 双金属镶嵌式无气孔轮胎活络模具及花纹块
WO2015182578A1 (ja) タイヤモールド及びタイヤ加硫装置
KR101010802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에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CN210651674U (zh) 一种模具冷却结构及压塑模具
CN202480281U (zh) 无气孔轮胎活络模花纹块及活络模具
CN109177059A (zh) 一种o型橡胶圈注射模具及其加工o型橡胶圈的方法
US20190210311A1 (en) Tire vulcanization mold
JP3590402B2 (ja) タイヤ加硫装置におけるブラダーの流体給排ヘッド
JP2021094703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KR10204051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게이트 밸브 및 이를 포함한 베어링 케이지용 상코어 구조
CN204955209U (zh) 无气孔轮胎模具的钢圈
CN105150427B (zh) 无气孔轮胎模具的钢圈
KR101861225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벤트 플러그
CN111546544A (zh) 排气套、轮胎硫化模具、轮胎制造方法及轮胎
CN206011529U (zh) 电动车轮胎多片模具
JP2020142459A (ja) タイヤ加硫金型
KR20200047025A (ko) 진공 금형 장치를 이용한 성형방법
CN109228042A (zh) 一种抽真空型轮胎两半模具
CN213704226U (zh) 一种鲍尔环的生产成型装置
CN115257036B (zh) 轮胎模具花纹块及轮胎模具
CN202213084U (zh) 改善轮胎胎面溢胶缺陷的轮胎活络模具
CN210679333U (zh) 轮胎半模具和轮胎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