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587A -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587A
KR20140133587A KR1020147027167A KR20147027167A KR20140133587A KR 20140133587 A KR20140133587 A KR 20140133587A KR 1020147027167 A KR1020147027167 A KR 1020147027167A KR 20147027167 A KR20147027167 A KR 20147027167A KR 20140133587 A KR20140133587 A KR 2014013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idene fluoride
filler
resin film
secondary battery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267B1 (ko
Inventor
유사쿠 이나바
타미토 이가라시
유키 사카이
아야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14013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재료의 탈락 등이 억제된 필러 함유 수지막, 상기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상기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러 함유 수지막은 불화 비닐리덴과,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식 (1)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9로 구성되는 분자량 472 이하의 원자단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및 절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막은 상기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절연성 무기 필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pct00021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RESIN COMPOSITION, FILLER-CONTAINING RESIN FILM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FILLER-CONTAINING RESIN FILM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기술의 발전은 놀라울 정도이며, 각종 기기가 소형화, 경량화 되고 있다. 이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와 더불어, 그 전원이 되는 전지의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작은 용적 및 질량으로 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전지로 리튬을 이용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를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실용화가 시작되었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는 통상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가지고, 이 사이에 양극과 음극을 절연하기 위한 세퍼레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 이용되는 세퍼레이터로는 종래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의 다공막이 이용되고 있었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서는 세퍼레이터를 통해 이온(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리튬이온(Li+))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충전, 방전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이온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세퍼레이터에는 요구되고 있으며, 세퍼레이터로는 복수개의 미세한 구멍을 가지는 다공막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에는 소위 셧다운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셧다운 기능이란 전지 내부에서 미세한 단락이 발생했을 경우에 해당 부분의 구멍을 막음으로써 이온의 이동을 방해하여, 해당 부분의 전지 기능을 잃게 함으로써,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의 다공막에 있어서는 셧다운 기능이, 전지 내부에서 미세한 단락이 발생했을 경우에 그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이 용해되어 구멍이 닫힘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발열에 의해 전지 온도가 150℃를 초과했을 경우 등에는 세퍼레이터가 급격하게 수축되고 양극과 음극과의 단락 부위가 확대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전지 온도가 수 백 ℃ 이상에 달하는 경우가 있어,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었다.
고온시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무기재료를 포함하는 다공막을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의 다공막 등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양극 또는 음극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정 α 알루미나를 절연성을 가지는 무기산화물 다공막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α 알루미나와, 바인더와, 용제로 구성되는 무기산화물 슬러리를 전극 또는 세퍼레이터 위에 도포하고 슬러리를 건조시킴으로써, 무기산화물 다공막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바인더로 폴리불화 비닐리덴(PVDF)을 비롯한 많은 수지가 예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용도로, 리튬이온 도전성의 관점에서 최적의 공극률을 가진, 균일성이 높고, 열적으로 안정적인 무기산화물 다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기재료를 포함하는 다공막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와, 무기재료와의 접착성에 대한 검토는 아직 충분하지 않았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12-4103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양극 또는 음극 사이에 무기재료를 포함하는 다공막을 형성할 때에는 무기재료가 벗겨지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 무기재료와 함께 이용되고 있던 폴리불화 비닐리덴 등의 수지에서는 무기재료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했다.
본 발명은 무기재료의 탈락 등이 억제된 필러 함유 수지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상기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절연성 무기 필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및 절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은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절연성 무기 필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9로 구성되는 분자량 472 이하의 원자단임)
상기 기재가 전극 또는 세퍼레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하기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2)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8로 구성되는 분자량 456 이하의 원자단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충분한 투기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이 없고, 상기 수지막은 절연성 무기 필러가 충분한 강도로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성 무기 필러의 탈락이 억제된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수지막을 가지는 비수계 전해질 이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라미네이트 셀의 사이클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절연성 무기 필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진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1)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9로 구성되는 분자량 472 이하의 원자단임)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불화 비닐리덴 유래의 구성단위와,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유래의 구성단위를 가지는 중합체이다. 또한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더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유래의 구성단위를 가지기 때문에, 접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하기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이용한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접착성 관능기로 기능하는 카르복실기가 불화 비닐리덴 폴리머 주쇄로부터 스페이서를 매개로 존재하기 때문에, 카르복실기의 배치 자유도가 높다. 이로 인해 상기 관능기가 그 접착성 부여 능력을 발휘하기 쉬운 배치를 취하는 것이 용이하고 무기 필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고 본 발명자들은 추정했다. 또한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카르복실기 이외에도 카르보닐기를 가진다. 상기 카르보닐기는 금속원자에 배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금속이나 금속산화물 등과의 접착성이 특히 우수하다고 본 발명자들은 추정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2)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8로 구성되는 분자량 456 이하의 원자단임)
상기 식 (1), (2)에 있어서, 상기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지만, 중합반응성의 관점에서 특히 R1, R2는 입체 장해가 작은 치환기인 것이 요구되고, 수소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며, 수소 또는 메틸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분자량은 472 이하이지만, 17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분자량의 하한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적으로는 X'가 -CH2-의 양태, 즉 분자량으로는 14이다.
나아가 상기 식 (2)에 있어서, 상기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분자량은 456 이하이지만, 15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분자량의 하한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적으로는 X'''가 -CH2-의 양태, 즉 분자량으로는 14이다.
상기 X' 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분자량이 전술한 범위라면, 중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X'로 나타내는 원자단으로는, 주쇄가 원자수 1∼19로 구성되고, 원자수 1∼1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9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2)에 있어서, 상기 X'''로 나타내는 원자단으로는, 주쇄가 원자수 1∼18로 구성되고, 원자수 1∼1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8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주쇄의 원자수가 상기 범위내이면 중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주쇄의 원자수란, X' 또는 X'''의 우측에 기재된 카르복실기와, 좌측에 기재된 기(R1R2C=CR3-CO-, [식 (1)]), (R1R2C=CR3-COO-, [식 (2)])를, 가장 적은 원자수로 연결하는 쇄의 골격 부분의 원자수를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용한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2-Acryloxyethyl succinate)(AES),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2-Carboxyethyl acrylate)(CEA)의 주쇄의 원자수는 이하와 같다.
AES는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상당한다.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AES인 경우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은 -OCH2CH2O-(CO)-CH2CH2-이다. 상기 원자단의 주쇄의 원자수는 상기 직쇄의 골격 부분의 원자수이다. 즉, 카르보닐기를 구성하는 산소원자나, 메틸렌기를 구성하는 수소원자는 주쇄의 원자수로는 카운팅하지 않는다. 즉, 상기 직쇄의 골격 부분은 -OCCO-C-CC-이며, 그 원자수는 7이다. 마찬가지로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AES인 경우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주쇄는 원자수가 6이다.
CEA는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상당한다.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CEA인 경우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주쇄는 원자수가 3이며,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CEA인 경우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주쇄는 원자수가 2이다.
또한 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의 주쇄의 원자수는 이하와 같다. 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은 하기 식 (B)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상당한다.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인 경우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은 하기 식 (B')로 표시된다. 상기 원자단의 주쇄의 원자수는 상기 원자단에 결합하는 카르복실기와 좌측에 기재된 기(CH2=CH-CO-)를 가장 적은 원자수로 연결하는 쇄의 골격 부분의 원자수이다. 즉, 하기 식 (B')에서는 카르복실기와 좌측에 기재된 기(CH2=CH-CO-)를 연결하는 쇄의 골격 부분의 원자수로는 식 (B'-1)로 나타내는 원자수 7, 또는 (B'-2)로 나타내는 원자수 11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주쇄의 원자수라 함은 보다 원자수가 적은 7이다. 마찬가지로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인 경우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주쇄는 원자수가 6이다.
또한 카르복실기를 복수개 가지는 화합물의 경우에는 주쇄의 원자수는 이하와 같다.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를 복수개 가지는 화합물에 있어서는, 각각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상기 좌측에 기재된 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장 적은 원자수로 연결하는 쇄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골격 부분의 원자수가 작은 값을 주쇄의 원자수로 한다. 즉, 카르복실기를 2개 가지는 화합물에 있어서는, 각 카르복실기(이하, 편의상 카르복실기A, 카르복실기B로 함)에 있어서, 좌측에 기재된 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장 적은 원자수로 연결하는 쇄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좌측에 기재된 기와, 카르복실기A를 가장 적은 원자수로 연결하는 쇄의 골격 부분의 원자수가 3이며, 좌측에 기재된 기와, 카르복실기B를 가장 적은 원자수로 연결하는 쇄의 골격 부분의 원자수가 6인 경우에는 상기 화합물에 있어서 주쇄의 원자수는 3이다. 구체적인 예로, 하기 식 (C)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하기 식 (C)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상당한다. 식 (C)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카르복실기를 2개 가지고 있다.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식 (C)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경우에는 좌측에 기재된 기(CH2=CH-CO-)와 카르복실기를 가장 적은 원자수로 연결하는 쇄의 골격 부분의 원자수로는 (C-1)로 나타내는 원자수 5, (C-2)로 나타내는 원자수 7이 생각되는데, 이 경우에는 보다 골격 부분의 원자수가 작은 5를 주쇄의 원자수로 한다. 마찬가지로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식 (C)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경우에는 X'''로 나타내는 원자단의 주쇄는 원자수가 4이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각각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2-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카르복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을 들 수 있고, 2-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카르복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이, 불화 비닐리덴과의 공중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0.01∼10mol%(다만,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의 합계를 100mol%로 함)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7mol%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0.03∼4mol%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90∼99.99mol%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93∼99.98mol%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96∼99.97mol%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중의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 및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은 통상적으로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의1H NMR 스펙트럼, 혹은 중화 적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불화 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불소계 단량체 혹은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탄화수소계 단량체, 상기 식 (1)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불화 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불소계 단량체로는 불화 비닐,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로 대표되는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1)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메틸로 대표되는 (메타)아크릴산알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모노머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상기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를 100mol%로 하면, 상기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0.01∼10mol%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불화 비닐리덴 및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필요에 따라 상기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공중합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적으로는 현탁중합, 유화중합, 용액중합 등의 방법으로 실시된다. 후처리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수계의 현탁중합, 유화중합이 바람직하며, 수계의 현탁중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을 분산매로 한 현탁중합에 있어서는, 메틸셀룰로오스, 메톡시화 메틸셀룰로오스, 프로폭시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젤라틴 등의 현탁제를, 공중합에 사용하는 전체 모노머(불화 비닐리덴 및,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필요에 따라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해 0.005∼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0.4질량부의 범위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중합개시제로는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노말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노말헵타플루오로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이소부티릴퍼옥사이드, 디(클로로플루오로아실)퍼옥사이드, 디(퍼플루오로아실)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공중합에 사용하는 전체 모노머(불화 비닐리덴 및,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필요에 따라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를 100질량부로 하면, 0.05∼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15∼2질량부이다.
또한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메틸, 탄산 디에틸, 아세톤, 에탄올, n-프로판올,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필알데히드, 프로피온산 에틸, 사염화탄소 등의 연쇄이동제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의 중합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사용량은 통상적으로 공중합에 사용하는 전체 모노머(불화 비닐리덴 및,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필요에 따라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를 100질량부로 하면, 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3질량부이다.
또한 공중합에 사용하는 전체 모노머(불화 비닐리덴 및,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필요에 따라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의 제공량은 단량체의 합계:물의 질량비로 통상적으로는 1:1∼1:10, 바람직하게는 1:2∼1:5이다.
중합 온도 T는 중합개시제의 10시간 반감기 온도 T10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며, 통상적으로는 T10-25℃
Figure pct00006
T
Figure pct00007
T10+2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및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의 T10은 각각 54.6℃ 및 40.5℃(NOF CORPORATION 제품 카탈로그 참조)이다. 따라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및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중합개시제로 이용한 중합에서는 그 중합 온도 T는 각각 29.6℃
Figure pct00008
T
Figure pct00009
79.6℃ 및 15.5℃
Figure pct00010
T
Figure pct00011
65.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중합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100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시의 압력은 통상적 가압하에서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2.0∼8.0MPa-G이다.
상기 조건으로 수계의 현탁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불화 비닐리덴 및,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필요에 따라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인히런트 점도(수지 4g을 1리터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용액의 30℃에 있어서의 대수 점도. 이하, 동일)가 0.5∼5.0dl/g의 범위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1.0∼4.0dl/g의 범위내의 값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의 점도라면,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인히런트 점도ηi의 산출은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80mg을 2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30℃의 항온조내에서 우베로데 점도계를 이용하여 다음 식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ηi=(1/C)·ln(η/η0)
여기서, η는 중합체 용액의 점도, η0은 용매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단독의 점도, C는 0.4g/dl이다.
또한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했을 때의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흡광도비(AR)가 0.01∼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0.05∼3.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AR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필러 함유 수지막이 함유하는 필러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AR가 5.0을 초과하면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의 내전해액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의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의 측정은 상기 중합체에 열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제조한 필름에 대해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200℃에서 열 프레스하여 프레스 시트 30mm×30mm를 제작하고 상기 프레스 시트의 IR스펙트럼을 적외분광광도계 FT-730 (㈜호리바제작소 제품)을 이용하여, 1500cm-1∼4000cm-1의 범위에서 측정함으로써 실시된다.
AR=A1700-1800/A3023 ---(I)
상기 식 (I)에 있어서, A1700-1800는 1700∼1800cm-1의 범위에 검출되는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에서 유래한 흡광도이며, A3023는 3023cm-1부근에 검출되는 CH의 신축 진동에서 유래한 흡광도이다. AR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중의 카르보닐기의 존재량을 나타내는 척도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중의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랜덤율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6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세에 대해서는 불분명하지만, 랜덤율이 상기 범위내이면 고분자쇄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카르복실기가 더 효과적으로 그 접착성 부여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랜덤율이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중에 존재하는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어느 정도로 중합체쇄 중에 분산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랜덤율이 낮을 수록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연속해서 존재하는, 즉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끼리 중합한 쇄(이하,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유래의 중합체쇄라고도 기재함)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랜덤율이 높을 수록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즉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연속되지 않고 불화 비닐리덴 유래의 구성단위와 결합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의 랜덤율은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유래의 중합체쇄의 존재량[mol%]을,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존재량[mol%]으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랜덤율[%]=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유래의 중합체쇄의 존재량[mol%]/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존재량[mol%]×100). 또한 상기 mol%에서는 불화 비닐리덴 유래의 구성단위의 존재량을 100mol%로 한다. 또한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유래의 중합체쇄의 존재량은 19F NMR 스펙트럼에 의해 구할 수 있고,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존재량은 예를 들면, 1H NMR 스펙트럼법이나 중화 적정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불화 비닐리덴과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과의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랜덤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19F NMR 스펙트럼에서는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단위에 인접하는 CF2피크는 -94ppm 부근에서 관찰된다. 상기 피크와, 스펙트럼 중 모든 피크의 적분비로부터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쇄의 mol%가 결정된다. 랜덤율은 상기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쇄의 mol%와, 1H NMR 스펙트럼이나 중화 적정법 등에 의해 구한 중합체 중의 전체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유래의 구조단위의 mol%와의 비(랜덤율[%]=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쇄의 mol%/전체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유래의 구조단위의 mol%×100)로 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CEA)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측정법에 의해 랜덤율을 산출할 수 있다.
랜덤율이 상기 범위내인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전술한 현탁중합 등을 실시할 때에 연속적으로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절연성 무기 필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절연성 무기 필러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세퍼레이터와, 양극 또는 음극 사이에 설치되는 수지막에 종래부터 이용되어 왔던 절연성 무기 필러를 이용할 수 있다.
절연성 무기 필러로는 이산화규소(SiO2), 알루미나(Al2O3), 이산화티탄(TiO2), 산화칼슘(CaO), 산화스트론튬(SrO), 산화바륨(BaO),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산화물,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칼슘(Ca(OH)2), 수산화알루미늄(Al(OH)3) 등의 수산화물, 탄산칼슘(CaCO3) 등의 탄산염, 황산바륨 등의 황산염, 질화물, 점토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절연성 무기 필러로는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절연성 무기 필러로는 전지의 안전성, 코팅액 안정성의 관점에서 알루미나, 이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절연성 무기 필러의 평균 입자 지름으로는 5nm∼2μm가 바람직하며, 10nm∼1μm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절연성 무기 필러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순도 알루미나 입자로 시판되고 있는, AKP3000(스미토모화학 제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유기 용매로는 상기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용해하는 작용을 가지는 것이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극성을 가지는 용매가 이용된다. 유기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아미드,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메틸우레아,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메틸포스페이트, 아세톤, 2-부타논, 시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으며,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톤, 2-부타논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 용매는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절연성 무기 필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절연성 무기 필러와의 접착성이 강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을 제조하면, 얻어지는 수지막으로부터 절연성 무기 필러가 벗겨지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 중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와 절연성 무기 필러와의 합계 100질량부당,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0.5∼80질량부, 절연성 무기 필러를 99.5∼20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1∼50질량부, 절연성 무기 필러를 99∼50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 중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와 절연성 무기 필러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유기 용매를 50∼4900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0∼1900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조제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유기 용매에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및 절연성 무기 필러를 첨가, 교반함으로써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용해시키고, 절연성 무기 필러를 분산시킴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유기 용매의 일부에 불화 비닐리덴계 중합체를 첨가, 교반함으로써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용해된 용액을 조제하고, 유기 용매의 잔부에 절연성 무기 필러를 첨가, 교반함으로써 절연성 무기 필러가 분산된 분산액을 조제하고, 상기 용액과 분산액을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나,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와 절연성 무기 필러와의 접착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전술한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에 부가하여, 기타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유기 필러, 분산제, 전해액, 전해질, 전해질 폴리머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전술한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및 절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통상적으로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세퍼레이터와, 양극 또는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 보조층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종래의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과 비교해서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러 함유 수지막을 가지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는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절연성 무기 필러가 벗겨지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상기 수지막 100질량부당,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0.5∼80질량부, 절연성 무기 필러를 99.5∼20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1∼50질량부, 절연성 무기 필러를 99∼50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두께로는 도포 적성, 이온 전도성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는 0.1∼3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0.5∼5μm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통상적으로는 전극 또는 세퍼레이터 위에 형성된다. 상기 수지막이 세퍼레이터 위에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걸리 투기도(Gurley Permeability)는 통상적으로 50∼1000s/100ml, 바람직하게는 80∼800s/100ml이다. 상기 범위에서는 리튬이온의 전도성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걸리 투기도가 상기 범위내에 있으면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전술한 수지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로는 통상적으로 전극 또는 세퍼레이터가 이용된다. 전극 및 세퍼레이터로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 이용되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은 없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을 제조할 때에는 우선 상기 수지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한다. 상기 도포는 기재가 세퍼레이터인 경우에는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면에 실시되고, 양면에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기재가 전극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도포는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합제층 측으로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를 구성했을 때에 세퍼레이터와 인접하는 면에 도포가 실시된다.
또한 도포를 실시할 때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 코터,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그라비어 방식, 리버스 그라비어 방식, 키스리버스 그라비어 방식, 오프셋 그라비어 방식 등 그라비어 코터, 리버스 롤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딥 코터 등을 이용하여 기재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을 제조할 때에는 상기 도포에 이어 건조가 실시된다.
건조는 기재 위에 도포된 수지 조성물 중의 유기 용매를 제거할 목적으로 실시되며, 통상적으로는 40∼200℃의 온도에서 2초∼10분간 실시된다. 또한 건조 시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적으로는 대기압하 또는 감압하에서 실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전술한 수지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건조함으로써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전극 및 세퍼레이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전극
상기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는 기재가 전극인 경우에는 상기 전극으로는 양극일 수도 음극일 수도 있지만, 내산화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양극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은 양극 반응의 주체가 되는 양극 활물질을 가지고 또한 집전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합제층과, 집전체로 기능함과 함께 양극 합제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양극 집전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음극은 음극 반응의 주체가 되는 음극 활물질을 가지고, 또한 집전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과, 집전체로 기능함과 함께 음극 합제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음극 집전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을 포괄하여 "전극"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고, 양극 합제층 및 음극 합제층을 포괄하여 "전극 합제층"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를 포괄하여 "집전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 위에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는 전극 합제층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 합제층은 전극 활물질 및 결착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전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합제층에 있어서의 전극 활물질, 결착제, 도전 조제의 배합비는 종래에 공지된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배합비로 할 수 있지만, 이차전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합제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는 20∼250μm이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 있어서 이용되는 전극 활물질은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종래에 공지된 음극용 전극 활물질, 및, 양극용 전극 활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인 경우, 양극 합제층을 구성하는 양극 활물질로서, 적어도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계 양극 활물질이 바람직하다.
리튬계 양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면, LiCoO2, LiNixCo1 - xO2(0
Figure pct00012
x
Figure pct00013
1) 등의 일반식 LiMY2(M은, Co, Ni, Fe, Mn, Cr, V 등의 전이금속의 적어도 1종: Y는 O, S 등의 칼코겐 원소)로 나타내는 복합 금속 칼코겐 화합물, LiMn2O4등의 스피넬 구조를 취하는 복합금속산화물, LiFePO4등의 올리빈형 리튬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0.05∼50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극 합제층을 구성하는 음극 활물질로, 예를 들면, 탄소재료, 금속-합금재료, 금속산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탄소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재료로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난흑연화(難黑鉛化) 탄소, 이흑연화(易黑鉛化) 탄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재료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소재료를 사용하면,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인조흑연으로는 예를 들면, 유기재료를 탄소화하고 또한 고온에서 열처리를 더 실시하고, 분쇄-분급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난흑연화 탄소로는 예를 들면, 석유피치에서 유래한 재료를 1000∼1500℃에서 소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음극 활물질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0.3∼10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10m2/g을 초과하면, 전해액의 분해량이 증가하고 초기의 불가역 용량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질소흡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차전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 합제층은 필요에 따라 도전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도전조제는 LiCoO2 등의 전자전도성이 작은 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전극 합제층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으로서, 카본블랙, 흑연 미분말 혹은 섬유 등의 탄소질 물질이나 니켈, 알루미늄 등의 금속 미분말 혹은 섬유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서 이용되는 결착제는 상기 전극 활물질 및 도전 조재를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래에 공지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 비닐리덴, 불소 고무 등의 함불소 수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불소 수지로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로는 불화 비닐리덴-말레산 모노메틸에스테르 공중합체나, 전술한 불화 비닐리덴과,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로는 이차전지의 외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양호한 도전성을 가지고 이차전지에서의 전극반응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이러한 집전체로,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집전체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집전체의 재질로, 예를 들면, 철, 스테인레스강, 강, 구리, 알루미늄, 니켈, 티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을 박 혹은 망 등의 형상으로 한 집전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인 경우에는 양극 집전체로,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박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극 집전체로는 구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동박이 바람직하다. 전극을 구성하는 집전체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차전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집전체의 두께는 통상적으로는 5∼100μm이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집전체 및 전극 합제층으로 이루어진 전극의 제조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전극 합제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전극 합제를 집전체 위에 도포·건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전극 합제를 조제할 때에는 상기 전극 활물질, 결착제,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도전 조제, 및 비수계 용매를 균일한 슬러리가 되도록 혼합하면 되고, 혼합 시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극 활물질, 도전 조제, 결착제를 분산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비수계 용매로,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극은 집전체에 상기 전극 합제를 도포·건조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상기 도포는 전극 합제를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실시된다. 도포 시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 코터, 다이 코터, 콤마 코터로 도포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도포 후에 실시되는 건조로는 통상적으로 50∼150℃의 온도에서 1∼300분간 실시된다. 또한 건조 시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적으로는, 대기압하 또는 감압하에서 실시된다. 또한 건조를 실시한 후에는 열처리를 더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대신에 혹은 상기 열처리 후에 프레스 처리를 더 실시할 수도 있다. 프레스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1∼200MPa-G에서 실시된다. 프레스 처리를 실시하면 전극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
상기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는 기재가 세퍼레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세퍼레이터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세퍼레이터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세퍼레이터이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전해액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세퍼레이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세라믹스 등, 및 이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단층, 및 다층의 다공막,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다공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다공막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포어㈜ 제품의 셀가드(등록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단층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단층 폴리에틸렌 세퍼레이터,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3층 세퍼레이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양극 구조체와 음극 구조체와의 절연을 담보하기 위해, 양극 구조체 및 음극 구조체보다 큰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계 전해질 이차전지
이하,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을 가지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은 전극과, 세퍼레이터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이하, 세퍼레이터 보조층이라고도 기재함)을 가지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단면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낸다.
세퍼레이터 보조층을 가지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는 양극(11)과 세퍼레이터(13) 사이, 음극(12)과 세퍼레이터(13) 사이, 또는 그 모두에 세퍼레이터 보조층이 배치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양극(11)과 세퍼레이터(13)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 보조층을 14a로 기재하고, 음극(12)과 세퍼레이터(13)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 보조층을 14b로 기재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세퍼레이터 보조층을 양극(11)과 세퍼레이터(13) 사이, 및 음극(12)과 세퍼레이터(13) 사이에 가지는데, 실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로는 적어도 한쪽에 세퍼레이터 보조층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이온 전도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양극(11)과 세퍼레이터 보조층(14a) 사이, 세퍼레이터 보조층(14a)과 세퍼레이터(13) 사이, 음극(12)과 세퍼레이터 보조층(14b) 사이, 세퍼레이터 보조층(14b)과 세퍼레이터(13)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불화 비닐리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다공층, 불화 비닐리덴계 고분자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계 고분자를 매트릭스 폴리머로 하는 전해질층 및 접착층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양극(11)과 세퍼레이터(13)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 보조층(14a)을 가지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는 내산화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세퍼레이터 보조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또는 세퍼레이터 보조층이 형성된 전극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질 이차전지로는 코인형 전지, 버튼형 전지,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 등 공지된 전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양극(11)을 구성하는 양극 합제층을 111, 양극 집전체를 112, 음극(12)을 구성하는 음극 합제층을 121, 음극 집전체를 122로 표기한다.
또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부재로는 상기 전극, 세퍼레이터 및 세퍼레이터 보조층 이외에는 예를 들면, 비수전해액, 원통캔, 라미네이트 파우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수전해액은 비수계 용매에 전해질을 용해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비수계 용매로, 전해질을 구성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을 수송 가능한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이고 또한 실질적으로 이차전지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비수계 용매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비수전해액으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유기 용매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카보네이트류,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테르류, 케톤류, 니트릴류, 락톤류, 에스테르류, 옥솔란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γ-부티로락톤,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수계 용매는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해질로는 상기 비수계 용매에 의해 구성 양이온 및 음이온을 수송 가능한 것이고 또한 실질적으로 이차전지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인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전해질을 예로 들면, LiPF6, LiAsF6, LiBF4등의 플루오로 착음이온의 리튬염, LiClO4, LiCl, LiBR 등의 무기 리튬염, 및, LiCH3SO3, LiCF3SO3등의 설폰산 리튬염, Li(CF3OSO2)2N, Li(CF3OSO2)3C, Li(CF3SO2)2N, Li(CF3SO2)3C 등의 유기 리튬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해질은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나타내어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불화 비닐리덴-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공중합체의 제조
내용량 2리터의 오토클레이브에 이온 교환수를 925g, 셀룰로오스계 현탁제로 메트로즈SM-100(신에츠화학공업㈜ 제품)을 0.65g,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을 0.22g, 50wt%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프레온 225cb 용액을 4.3g, 불화 비닐리덴 421g을 넣고 26℃까지 1시간 승온했다.
그 후, 26℃를 유지하고 30g/l의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수용액을 0.19g/min의 속도로 서서히 첨가했다.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은 초기에 첨가한 양을 포함하여, 전체량 2.92g을 첨가했다.
중합은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수용액 첨가 종료와 동시에 정지시키고 승온 시작으로부터 총 9.1시간 실시했다. 또한 중합 초기의 압력은 4.09MPa-G이며, 중합 정지 시의 압력은 4.1MPa-G이었다. 또한 중합은 교반 회전수 600rpm으로 교반하면서 실시했다.
중합 종료 후, 중합체 슬러리를 95℃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탈수, 수세하고 80℃에서 20시간 더 건조하여, 불화 비닐리덴-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공중합체의 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상기 중합체 분말의 1H NMR 스펙트럼을 하기 조건으로 구했다.
장치: Bruker사 제품, AVANCE AC 400FT NMR 스펙트럼미터
측정 조건
주파수: 400 ㎒
측정 용매: DMSO-d6
측정 온도: 25℃
중합체의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 및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을, 1H NMR 스펙트럼으로, 주로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에서 유래하는 4.18ppm에 관찰되는 시그널과, 주로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2.23ppm 및 2.87ppm에 관찰되는 시그널과의 적분 강도에 기초하여 산출했다.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가지는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mol%)(VDF량)은 99.53mol%, AES량이 0.47mol%이었다.
상기 중합체 분말의 19F NMR 스펙트럼을 하기 조건으로 구했다.
장치: Bruker사 제품, AVANCE AC 400FT NMR 스펙트럼미터
측정 조건
주파수: 376 ㎒
측정 용매: DMSO-d6
측정 온도: 25℃
중합체 중의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에서 유래하는 중합체쇄의 존재량을 19F NMR 스펙트럼으로, -94ppm 부근에서 관찰되는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단위에 인접하는 불화 비닐리덴 유래의 구조단위가 가지는 F의 피크 강도(적분값)를 상기 스펙트럼의 전체 F의 피크 강도로 나눔으로써 구했다.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가지는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에서 유래하는 중합체쇄의 존재량은 0.37mol%이었다.
중합체의 수율은 33%, 얻어진 중합체의 인히런트 점도는 2.30dl/g, 랜덤율은 78%, 흡광도비(AR)는 0.93이었다.
제조예 2
불화 비닐리덴-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내용량 2리터의 오토클레이브에 이온 교환수를 900g, 셀룰로오스계 현탁제로 메트로즈90SH-100(신에츠화학공업㈜ 제품)을 0.4g,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0.2g, 50wt%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프레온 225cb 용액을 2.0g, 불화 비닐리덴 396g을 넣고 50℃까지 2시간 승온했다.
그 후, 50℃를 유지하고 15g/l의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수용액을 중합 압력이 일정해지는 속도로 서서히 첨가했다.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는 초기에 첨가한 양을 포함하여 전체량 4.0g을 첨가했다.
중합은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수용액 첨가 종료와 동시에 정지시키고, 승온 시작으로부터 총 8.6시간 실시했다. 또한 중합 초기의 압력은 6.23MPa-G이며, 중합 정지 시의 압력은 6.03MPa-G이었다. 또한 중합은 교반 회전수 600rpm으로 교반하면서 실시했다.
중합 종료 후, 중합체 슬러리를 95℃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탈수, 수세하고, 80℃에서 20시간 더 건조하여, 불화 비닐리덴-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상기 중합체 분말의 1H NMR 스펙트럼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중합체의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 및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을 1H NMR 스펙트럼으로 주로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4.19ppm에 관찰되는 시그널과, 주로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2.24ppm 및 2.87ppm에 관찰되는 시그널과의 적분 강도에 기초하여 산출했다.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가지는 불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mol%)(VDF량)은 98.95mol%이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양(mol%)(CEA량)은 1.05mol%이었다.
상기 중합체 분말의 19F NMR 스펙트럼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중합체 중의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중합체쇄의 존재량을 19F NMR 스펙트럼으로 -94ppm 부근에서 관찰되는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단위에 인접하는 불화 비닐리덴 유래의 구성단위가 가지는 F의 피크 강도(적분값)를 상기 스펙트럼의 전체 F의 피크 강도로 나눔으로써 구했다.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가 가지는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중합체쇄의 존재량은 0.71mol%이었다.
중합체의 수율은 39%, 얻어진 중합체의 인히런트 점도는 3.12dl/g, 랜덤율은 68%, 흡광도비(AR)는 1.10이었다.
제조예 3
불화 비닐리덴 단독 중합체의 제조
내용량 2리터의 오토클레이브에 이온 교환수를 1020g, 메트로즈SM-100을 0.2g, 50wt%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프레온 225cb 용액을 2.8g, 불화 비닐리덴 400g, 아세트산 에틸 2.8g을 넣고 26℃까지 1시간 승온했다.
그 후, 26℃를 유지하고 승온 시작으로부터 총 15.3시간 실시했다. 또한 중합 초기의 압력은 4.12MPa-G이며, 중합 정지 시의 압력은 1.62MPa-G이었다. 또한 중합은 교반 회전수 600rpm으로 교반하면서 실시했다.
중합 종료 후, 중합체 슬러리를 95℃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탈수, 수세하고 80℃에서 20시간 더 건조하여 불화 비닐리덴 단독 중합체의 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중합체의 수율은 87%이며, 얻어진 중합체의 인히런트 점도는 2.14dl/g이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공중합체 1.25질량부, 고순도 알루미나 입자(스미토모화학 제품, AKP3000, 1차 입자 지름 0.5μm) 11.25질량부를 N-메틸-2-피롤리돈 87.50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고형분 농도 12.5중량%의 세퍼레이터용 코팅액을 얻었다.
상기 코팅액을 wet24[g/m2]의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세퍼레이터(폴리포어㈜ 제품, Celgard2500, 단층 폴리프로필렌 다공막, 막두께 25μm, 걸리 투기도 200[s/100ml]) 위에 도포하고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얻어진 필러 함유 수지막 부분의 두께는 약 2μm이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도포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바, 육안으로는 손가락에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걸리 투기도를 걸리식 덴소미터(도요정기제작소 제품)에 의해 JIS P 8117, ISO 5636에 준거하여 측정한 바, 240s/100ml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불화 비닐리덴-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공중합체를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얻어진 필러 함유 수지막 부분의 두께는 약 2μm이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도포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바, 육안으로는 손가락에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걸리 투기도를 걸리식 덴소미터(도요정기제작소 제품)에 의해 JIS P 8117, ISO 5636에 준거하여 측정한 바, 258s/100ml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불화 비닐리덴-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공중합체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 단독 중합체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얻어진 필러 함유 수지막 부분의 두께는 약 2μm이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도포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바, 손가락에 흰 가루가 묻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걸리 투기도를 걸리식 덴소미터(도요정기제작소 제품)에 의해 JIS P 8117, ISO 5636에 준거하여 측정한 바, 236s/100ml이었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모든 세퍼레이터에서도 충분한 걸리 투기도를 가지고 있으며, 실시예 1 및 2에서는 흰 가루, 즉 알루미나 입자가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에 의해 결착되어 있으며, 알루미나 입자(필러)의 벗겨짐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러 함유 수지막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공중합체 1.8중량부, 고순도 알루미나 입자(스미토모화학 제품, AKP3000) 16.2중량부를 N-메틸-2-피롤리돈 82중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고형분 농도 18중량%의 세퍼레이터용 코팅액을 얻었다.
상기 코팅액을 건조 2존의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세퍼레이터(아사히화성 제품 하이포어ND420 막두께 20μm, 걸리 투기도 320[s/100ml])에 차례로 양면 코팅했다. 건조로의 건조 온도는 제1 존, 제2 존 모두 80℃이었다. 얻어진 필러 함유 수지막 부분의 두께는 한쪽면 약 2μm이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도포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바, 육안으로는 손가락에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걸리 투기도를 걸리식 덴소미터(도요정기제작소 제품)에 의해 JIS P 8117, ISO 5636에 준거하여 측정한 바, 482s/100ml이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을 이용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사이클시험
양극 제조
코발트산리튬(셀시드 C5 일본화학공업 제품), 도전 조제(SuperP TIMCAL 제품), PVDF(KF#1100 쿠레하 제품)를 각각 중량비 93:3:4가 되도록 고형분 농도 69wt%의 N-메틸-2-피롤리돈 용매 슬러리를 제조했다. 115μm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Al박(두께 15μm)에 상기 슬러리를 코팅한 후, 120℃에서 3시간 건조하고, 그 후 프레스하여 슬러리를 코팅, 건조함으로써 얻어진 층의 부피 밀도가 3.6[g/㎤]이며, 층의 중량이 150[g/m2]인 양극을 얻었다.
음극 제조
BTR918(개질 천연흑연 BTR 제품), 도전 조제(SuperP TIMCAL 제품),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BM-400 니혼제온 제품),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세로겐 4H 다이이치공업제약)을 각각 중량비 90:2:3:1이 되도록 고형분 농도 53wt%의 수용매 슬러리를 제조했다. 90μm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Cu박(두께 10μm)에 상기 슬러리를 코팅한 후, 120℃에서 3시간 건조하고, 그 후 프레스하여 슬러리를 코팅, 건조함으로써 얻어진 층의 부피 밀도가 1.5[g/㎤]이며, 층의 중량이 56[g/m2]인 음극을 얻었다.
전지 제조와 사이클시험
상기 양극과 음극을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를 매개로 접합시키고 전해액(에틸렌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3/7, LiPF61.2M)를 스며들게 하여 알루미늄 파우치 중에 진공 실러를 이용하여 봉입하고 라미네이트 셀을 얻었다.
충전 조건을 0.1C, 4.2V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 방전 조건을 0.1C, 3V 컷오프 정전류 방전으로 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3사이클 후, 1C, 4.2V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 방전 조건을 1C, 3V 컷오프 정전류 방전으로 하는 충방전 사이클을 30사이클 실시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불화 비닐리덴-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불화 비닐리덴 단독 중합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의 도포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바, 손가락에 흰 가루가 묻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의 박리 강도 측정
필러 함유 수지막의 박리 강도 측정을 실시예 3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필러 함유 수지막이 형성된 세퍼레이터에 대해 실시했다. 필러 함유 수지막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를 붙이고 점착 테이프를 180°로 인장하여 텐실론 만능시험기(㈜A&D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14

상기 실시예,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필러 함유 수지막은 알루미나 입자(필러)의 벗겨짐이 일어나기 힘들고 세퍼레이터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또한 이온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세퍼레이터 보조층으로 사용 가능하다.
10 전지 적층 구조
11 양극
111 양극 합제층
112 양극 집전체
12 음극
121 음극 합제층
122 음극 집전체
13 세퍼레이터
14a, 14b 세퍼레이터 보조층

Claims (7)

  1.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절연성 무기 필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15

    (식 (1)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9로 구성되는 분자량 472 이하의 원자단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하기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00016

    (식 (2)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8로 구성되는 분자량 456 이하의 원자단임)
  3.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및 절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화학식 3]
    Figure pct00017

    (식 (1)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9로 구성되는 분자량 472 이하의 원자단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하기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화학식 4]
    Figure pct00018

    (식 (2)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8로 구성되는 분자량 456 이하의 원자단임)
  5. 불화 비닐리덴과,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절연성 무기 필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5]
    Figure pct00019

    (식 (1)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9로 구성되는 분자량 472 이하의 원자단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하기 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6]
    Figure pct00020

    (식 (2)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X'''는 주쇄가 원자수 1∼18로 구성되는 분자량 456 이하의 원자단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전극 또는 세퍼레이터인,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KR1020147027167A 2012-06-28 2013-06-24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KR101685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5518 2012-06-28
JP2012145518 2012-06-28
PCT/JP2013/067216 WO2014002936A1 (ja) 2012-06-28 2013-06-24 樹脂組成物、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フィラー含有樹脂膜、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フィラー含有樹脂膜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587A true KR20140133587A (ko) 2014-11-19
KR101685267B1 KR101685267B1 (ko) 2016-12-09

Family

ID=4978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67A KR101685267B1 (ko) 2012-06-28 2013-06-24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850394B2 (ko)
JP (1) JP6038141B2 (ko)
KR (1) KR101685267B1 (ko)
CN (1) CN104185651B (ko)
WO (1) WO201400293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11A (ko) * 2017-03-31 2019-07-30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코어 쉘형 입자 및 이의 용도 및 제조 방법
KR20190090016A (ko) * 2017-03-31 2019-07-31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불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입자 및 이의 이용
US10707467B2 (en) 2016-05-17 2020-07-07 Samsung Sdi Co., Ltd. Separator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10068538A (ko) * 2018-10-31 2021-06-09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겔상 전해질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7327B2 (ja) * 2014-03-11 2018-07-11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系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ゲル電解質および非水系電池
CN107408699B (zh) * 2015-04-16 2020-07-07 株式会社吴羽 电极结构体及其制造方法
WO2018092675A1 (ja) * 2016-11-15 2018-05-24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共重合体、バインダー組成物、電極合剤、電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8154802A (ja) * 2017-03-21 2018-10-04 株式会社クレハ 樹脂組成物、二次電池のセパレータ、および二次電池
JP6933478B2 (ja) 2017-03-21 2021-09-08 株式会社クレハ ゲル状電解質
JP6864523B2 (ja) * 2017-03-31 2021-04-28 株式会社クレハ コアシェル型粒子ならびにその用途および製造方法
JP7409762B2 (ja) 2018-01-09 2024-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7083681B2 (ja) * 2018-04-05 2022-06-13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WO2020017561A1 (ja) * 2018-07-20 2020-01-23 株式会社クレハ 粒子状のフッ化ビニリデン系重合体、および粒子状のフッ化ビニリデ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WO2020196148A1 (ja) * 2019-03-22 2021-10-28 株式会社クレハ 電極合剤用組成物、電極合剤、電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KR102224071B1 (ko) * 2019-10-25 2021-03-05 한국화학연구원 불소계 고분자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06145A (ko) * 2021-12-29 2023-07-12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절연 페이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양극 극편, 이차 전지, 전지 모듈, 전지팩 및 전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155A (en) * 1989-04-28 1993-07-27 Atochem Hardenable, fluorinated copolymer,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its application in varnishes and plants
US20090203853A1 (en) * 2006-02-14 2009-08-13 Kaneka Corporation Vinyl polymer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2004103A (ja) 2010-02-25 2012-01-05 Sumitomo Chemical Co Ltd 無機酸化物粉末および無機酸化物含有スラリーならびに該スラリーを使用し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15008A1 (en) * 2010-03-23 2012-05-10 Teijin Limited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943B2 (ja) 1992-12-02 2001-01-09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ッ化ビニリデン系共重合体
JPH06172472A (ja) 1992-12-10 1994-06-21 Hitachi Chem Co Ltd 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US5429891A (en) * 1993-03-05 1995-07-0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Crosslinked hybrid electrolyte fil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3518712B2 (ja) * 1996-05-27 2004-04-1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系電池電極形成用バインダー、電極合剤、電極構造体および電池
JP4831269B2 (ja) * 2000-03-17 2011-12-07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JP2002008948A (ja) * 2000-06-19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TW200410439A (en) * 2002-11-22 2004-06-16 Kureha Chemical Ind Co Ltd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ode of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use thereof
CA2522227A1 (en) * 2003-04-16 2004-10-28 Kureha Corporation Porous film of vinylidene fluoride resi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628305B1 (ko) * 2004-09-10 2006-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입자가 충진된 상반전 고분자 전해질 제조 방법
JP2007335168A (ja) * 2006-06-13 2007-12-27 Sony Corp リチウム硫化鉄一次電池
JP5374851B2 (ja) * 2007-10-15 2013-12-25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505858B2 (ja) 2009-10-16 2014-05-28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CN102190323B (zh) * 2010-02-25 2014-08-06 住友化学株式会社 无机氧化物粉末和含无机氧化物的淤浆、以及使用该於浆的锂离子二次电池和制备其的方法
KR101520560B1 (ko) * 2010-12-28 2015-05-14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불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및 그 공중합체의 용도
JP5701131B2 (ja) * 2011-04-05 2015-04-15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系共重合体、および該共重合体の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155A (en) * 1989-04-28 1993-07-27 Atochem Hardenable, fluorinated copolymer,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its application in varnishes and plants
US20090203853A1 (en) * 2006-02-14 2009-08-13 Kaneka Corporation Vinyl polymer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2004103A (ja) 2010-02-25 2012-01-05 Sumitomo Chemical Co Ltd 無機酸化物粉末および無機酸化物含有スラリーならびに該スラリーを使用し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15008A1 (en) * 2010-03-23 2012-05-10 Teijin Limited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7467B2 (en) 2016-05-17 2020-07-07 Samsung Sdi Co., Ltd. Separator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90089211A (ko) * 2017-03-31 2019-07-30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코어 쉘형 입자 및 이의 용도 및 제조 방법
KR20190090016A (ko) * 2017-03-31 2019-07-31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불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입자 및 이의 이용
US11919983B2 (en) 2017-03-31 2024-03-05 Kureha Corporation Vinylidene fluoride copolymer particles and use thereof
KR20210068538A (ko) * 2018-10-31 2021-06-09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겔상 전해질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6174A1 (en) 2017-10-26
JPWO2014002936A1 (ja) 2016-05-30
CN104185651B (zh) 2016-01-20
US9850394B2 (en) 2017-12-26
JP6038141B2 (ja) 2016-12-07
US20150147462A1 (en) 2015-05-28
WO2014002936A1 (ja) 2014-01-03
CN104185651A (zh) 2014-12-03
KR101685267B1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267B1 (ko)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필러 함유 수지막의 제조방법
KR101687888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수지막의 제조방법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수지막
EP2843739B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11710816B2 (en) Battery
US20160293999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flexural rigidit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electrochemical battery comprising same
CN108463904B (zh) 用于二次电池的隔板及包括所述隔板的锂二次电池
US10074841B2 (en) Structur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tructure
KR102231591B1 (ko) 코어 쉘형 입자 및 이의 용도 및 제조 방법
KR20180094778A (ko) 비수계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계 이차전지
JP6487134B1 (ja)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KR20190074320A (ko) 코어 쉘형 입자 및 이의 용도 및 제조 방법
EP3605651A1 (en) Resin composition,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KR20160021771A (ko) 축전 디바이스용 조성물, 축전 디바이스용 슬러리, 축전 디바이스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보호막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디바이스
KR20160108116A (ko) 접착력이 강화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셀
KR20170084597A (ko) 다공성 기능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이용한 전기 화학 전지,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 방법
US11394083B2 (en) Secondary battery separator including porous film having fluorine-containing polymer of vinylidene fluoride, tetrafluoroethylene, and vinyl carboxylic acid or salt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067145B1 (ko)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021950A (ko) 탄소 재료, 도전 보조제, 축전 디바이스용 전극, 및 축전 디바이스
EP4206242A1 (en) Resin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same, electrode for stacking, separator for stacking, and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3848998A1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10015549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079464A (ko) 세퍼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상기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차전지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