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871A -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871A
KR20140125871A KR1020147025865A KR20147025865A KR20140125871A KR 20140125871 A KR20140125871 A KR 20140125871A KR 1020147025865 A KR1020147025865 A KR 1020147025865A KR 20147025865 A KR20147025865 A KR 20147025865A KR 20140125871 A KR20140125871 A KR 2014012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assembly
vehicle seat
camming member
notche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705B1 (ko
Inventor
쿠르트 에이. 세이볼드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4012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를 포함한다. 팔걸이 조립체는 팔걸이에 커플링되는 클러치 조립체를 또한 포함한다. 클러치 조립체는 캠밍 부재 및 캠밍 부재에 커플링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편향 부재는 팔걸이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 위치로 캠밍 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편향 부재에 의해 가해진 힘을 재지향시키며 캠밍 부재를 분리 위치로 구동시킨다.

Description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CLUTCHING DEVICE FOR A VEHICLE ARMREST ASSEMBLY}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되고 2012년 2월 16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인 미국 가 출원 일련 번호 61/599,658호를 우선권으로 그리고 그 이득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좌석, 더 구체적으로 차량 좌석의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좌석은 통상적으로, 시트 바닥 및 운전자 또는 탑승객을 지지하기 위한 시트 등받이를 포함한다. 그러한 형태의 차량 좌석에 기초하여, 차량 좌석은 또한, 팔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킷 시트들이 팔걸이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벤치 열의 좌석은 팔걸이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좌석 구성들에서, 시트 바닥, 시트 등받이, 및 팔걸이는 경질 구조물, 쿠션, 및 섬유 커버링을 갖는 각각의 구조용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각 구조용 조립체는 예를 들어, 기울임 기구, 머리받침대 지지대, 및/또는 회전 조립체와 같은 다양한 보조 구조물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구조용 조립체들은 정상적인 차량 작동 중에 탑승객의 중량을 지지하고 충돌 중에 시트로 전달되는 하중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팔걸이가 차량 좌석 내에 포함될 때, 팔걸이는 통상적으로 시트 등받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팔걸이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팔걸이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조립체를 통해서 시트 등받이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팔걸이 구성들에서, 부착 조립체는 상승 위치를 지난 팔걸이의 상향 회전을 차단하고 하강 위치를 지난 팔걸이의 하향 위치를 차단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조립체는 팔걸이에 놓이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불행히도, 부착 조립체는 디자인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부착 조립체들은 제작하는데 고가이고 작동시 과도한 소음을 발생하는 래칫 시스템(ratcheting system)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부착 조립체들은 제한된 조절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탑승객의 승차/하차를 방해하고/하거나 탑승객 편안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팔걸이 조립체는 팔걸이에 커플링되는 클러치 조립체를 또한 포함한다. 클러치 조립체는 캠밍 부재(camming member) 및 캠밍 부재에 커플링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편향 부재는 팔걸이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 위치로 캠밍 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편향 부재에 의해 가해진 힘을 재지향시키며 캠밍 부재를 분리 위치로 구동한다.
본 발명은 또한, 노치형 휠을 갖는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노치형 휠은 노치형 휠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핑거들을 포함한다. 팔걸이 조립체는 또한, 팔걸이가 상승 위치, 하강 위치, 또는 이의 조합 위치로 이동될 때 클러치 조립체의 노치형 휠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연장된 부분을 갖는 팔걸이를 포함한다. 하강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클러치 조립체를 결합 위치로 지향시키고 로킹 피쳐들을 로크 위치로 구동시키는 오버센터 편향 장치 쪽으로 노치형 휠을 구동시킨다.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클러치 조립체를 분리 위치로 지향시키고 로킹 피쳐들을 로크 위치의 반대로 구동시키는 오버센터 편향 장치 쪽으로 노치형 휠을 구동시킨다.
본 발명은 추가로,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조립체는 노치형 휠 및 복수의 핀들을 포함한다. 노치형 휠의 회전은 비-로킹 단부와 로킹 단부 사이의 각각의 가이드 슬롯 내로 이동하도록 각각의 핀을 지향시킨다.
도 1은 클러치 장치를 갖춘 팔걸이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는 시트들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시트 내에 사용될 수 있는 팔걸이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팔걸이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5는 상승 위치로 지향된 팔걸이를 갖춘, 도 3의 팔걸이 조립체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6은 하강 위치로 지향된 팔걸이를 갖춘, 도 3의 팔걸이 조립체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7은 제거된 노치형 휠을 갖춘, 도 5의 팔걸이 조립체의 부분 정면도이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클러치 장치를 갖춘 팔걸이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는 시트들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차량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시트(14)들을 갖는 내부(12)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자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정 시트(14)는 클러치 장치를 갖춘 팔걸이 조립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클러치 장치는 팔걸이가 팔걸이의 회전을 통해서, 하향 하중에 저항하는 결합 상태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팔걸이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분리 상태 사이에서 팔걸이가 전환될 수 있게 한다. 그와 같은 구성은 클러치 장치가 없게 형성된 팔걸이 조립체들에 비해서, 증가된 조절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감소된 시트 구성 비용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14)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시트(14)는 시트 바닥(16), 시트 등받이(18), 및 팔걸이 조립체(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바닥(16), 시트 등받이(18), 및 팔걸이 조립체(20)는 경질 구조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쿠션들, 및 섬유 커버링을 포함한다. 경질 구조물들은 정상적인 차량 작동 중에 그리고 차량 충돌 중에(예를 들어, 급속 가속 또는 감속 등) 탑승자의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팔걸이 조립체(20)는 측면 하중, 상향 하중, 및/또는 하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바닥 구조물은 시트 바닥(16)을 차량(10) 플로어에 고정하며, 시트 등받이(18)를 위한 장착 표면을 제공한다. 시트 등받이(18)는 팔걸이 조립체(20)를 위한 장착 표면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팔걸이 조립체(20)는 팔걸이 조립체(20)에 가해지는 하중들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팔걸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재설정가능한 팔걸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클러치 조립체는 래칭 조립체들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에 비해서 팔걸이 회전 중에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시트(14) 내에 사용될 수 있는 팔걸이 조립체(2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 조립체(20)는 팔걸이(22) 및 팔걸이(22)를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24)을 포함한다. 클러치 조립체(26)는 예시된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팔걸이(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팔걸이(22)와 장착 브래킷(24) 사이에 배치된다. 팔걸이(22)는 내측 구조용 부재(28) 및 외측 구조용 부재(30)를 갖는 경질 구조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팔걸이(22)는 클러치 조립체(26)가 배치되는 곳에 개구(32)를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24)은 시트 등받이(18)에 장착 브래킷(24)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외형들 및 벤드(34)들을 포함한다. 장착 브래킷(24)은 또한, 체결기들이 장착 브래킷(24)을 시트 등받이(18)에 고정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곳에 다양한 개구(36)들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조립ㅊ(26)는 팔걸이(22)가 하강 위치에 있는 동안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팔걸이(22)가 하향 하중을 운반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클러치 조립체(26)는 팔걸이(22)의 상향 회전을 통해서 분리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팔걸이(22)가 상승 위치 쪽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클러치 조립체(26)는 팔걸이 조립체(20)가 다재다능하게 하고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도 3의 팔걸이 조립체(20)의 분해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 조립체(20)는 장착 브래킷(24)을 포함한다. 게다가, 장착 브래킷(24)은 고정 부재(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38)를 포함한다. 특히, 고정 부재(40)의 커플링 단부는 개구(38)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장착 브래킷(24)은 또한, 고정 부재(40)를 장착 브래킷(24)에 단단히 부착하기 위해서 고정 부재(40)의 클립(46)(예를 들어, 로킹 피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슬롯(44)을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는 또한, 치형 부분(50)들 및 노치(52)를 갖는 클러치 장착 단부(48)를 포함한다. 클러치의 회전 축선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축방향 연장부(54)는 고정 부재(40)의 클러치 장착 단부(48)로부터 연장한다.
커플링 장치(56)는 클러치 장착 단부(48)의 주위에 피팅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커플링 장치(56)는 고정 부재(40)의 치형 부분(50)들과 결합하는 보완 치형 부분(58)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커플링 장치(56)는 고정 부재(40)의 노치(52)와 결합하는 보완 노치(60)를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56)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팔걸이(2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되고 팔걸이(22)의 로킹 피쳐의 일부분으로서 사용되는 슬롯형 부분(62)(예를 들어, 가이드 슬롯)들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커플링 장치(56)는 핀(66)의 삽입을 위한 개구(64)를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핀(66)은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단부(68) 및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단부(70)를 포함한다. 조립 중에, 제 1 단부(68)는 제 2 단부(70)의 에지가 커플링 장치(56)와 맞닿을 때까지 개구(6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조립체(26)는 캠(72)을 통해 핀(66)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74)들을 갖는 캠(72)(예를 들어, 또는 다른 회전가능한 장치 또는 부재)을 포함한다. 핀(66)은 캠(72)의 회전 축선을 형성한다. 게다가, 캠은 편향 부재(78)(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 오버센터 편향 장치 등)를 장착하기 위한 피봇 핀(76)을 또한 포함한다. 편향 부재(78)는 클러치 조립체(26)를 결합 위치 쪽으로 지향시키는 힘을 가한다. 결합 위치에 있는 클러치 조립체(26)에 의해서, 팔걸이(22)는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클러치 조립체(26)는 내측 표면(82) 및 외측 표면(84)을 갖는 링 장치(80)를 또한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 표면(82)은 매끄럽고, 외측 표면(84)은 회전 저항을 제공하도록 링 장치(80)의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리지들을 포함한다. 조립 중에, 링 장치(80)는 커플링 장치(56) 주위에 배치된다. 게다가, 팔걸이(22)는 링 장치(80)가 개구(32) 내부에 있도록 링 장치(80) 주위에 배치된다. 이해될 수 있듯이, 외측 표면(84)의 리지들은 팔걸이(22)에 대한 링 장치(8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클러치 조립체(26)는 개구(88)를 갖는 노치형 휠(86)을 포함한다. 조립 중에, 축방향 연장부(54)는 개구(88) 내측에 삽입된다. 노치형 휠(86)은 노치형 휠(86)의 주 몸체의 반대인 축방향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림(90)을 포함한다. 제 1 림(90)은 노치형 휠(86)의 일부분 주위로 연장한다. 노치형 휠(86)은 노치형 휠(86)의 주 몸체의 반대인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림(92)을 또한 포함한다. 제 2 림(92)은 또한 노치형 휠(86)의 일부분 주위로 연장한다. 노치형 휠(86)의 원주의 다른 부분(94)은 림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시된 바와 같이, 치형(95)은 부분(94)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림(90)은 부분(94)의 일 단부 상에 제 1 정지부(96)를 형성하며, 림(92)은 부분(94)의 대향 단부 상에 제 2 정지부(98)를 형성한다. 정지부(96,98)들은 노치형 휠(86)의 회전을 차단하며, 그에 의해서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22)의 회전을 제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치형(95)은 또한 팔걸이(22)를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정지부들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노치형 휠(86)은 편향 부재(78)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노치(99)를 포함한다. 노치형 휠(86)은 노치형 휠(86)이 클러치 조립체(26)에 부착될 때 슬롯형 부분(62)들 내에 피팅되도록 배열되는 연장부(100)(예를 들어, 핑거)들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부(100)는 개구(1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핀(104)들은 클러치 조립체(26)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클러치 조립체(26)의 로킹을 용이하게 하도록 개구(26)들 내에 삽입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스크들, 볼들, 또는 다른 장치가 핀(104)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조립체(26)는 래칭 기구를 사용함이 없이 팔걸이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그와 같이, 팔걸이 조립체(20) 내에 클러치 조립체(26)를 사용함으로써 래칭 기구를 사용하는 팔걸이 조립체들에 비해서 팔걸이(22)의 위치 변경과 관련된 소음을 감소시킨다.
도 5는 상승 위치로 지향된 팔걸이(22)를 갖춘, 도 3의 팔걸이 조립체(20)의 부분 정면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캠(72)은 결합 위치(106)로 지향된다. 따라서, 팔걸이(20)는 클러치 조립체(26)로부터 제한된 저항에 의해 예시된 상승 위치(예를 들어, 상한)로부터 하강 위치 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걸이(20)는 상승 위치[즉, 팔걸이(24)로부터 돌출하는 둥근 연장부(108)가 제 1 정지부(96)에 대해 지탱되는 상한)로부터 둥근 연장부(108)가 제 2 정지부(98)에 대해 지탱되는 하강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게다가, 팔걸이(20)는 하강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110)으로 예시된 상승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듯이, 팔걸이(24)가 축방향 연장부(54)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둥근 연장부(108)는 노치형 휠(86)의 에지를 따라[즉, 노치형 휠(86)의 부분(84)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팔걸이가 반시계 방향(110)으로 회전되고 둥근 연장부(108)가 제 1 정지부(96)에 맞닿을 때, 노치형 휠(86)은 핀(104)들을 슬롯(62)으로부터(즉 로크된 또는 웨지된(wedged) 위치로부터) 핀을 분리시킴으로써 그리고 (예시된 바와 같이, 상승 위치에 팔걸이(20)를 놓기 위해)클러치 조립체(26)를 분리시킴으로써 캠(72)에 대해 노치(99)를 구동시키고 편향 부재(78)의 힘 벡터를 변경시키도록 반시계 방향(110)으로 더 회전된다. 그와 같이, 클러치 조립체(26)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팔걸이(20)가 조절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도 6은 하강 위치로 지향된 팔걸이를 갖춘, 도 3의 팔걸이 조립체(20)의 부분 정면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22)는 도 5에 도시된 상승 위치에 대해 시계 방향(111)으로 완전히 회전된다. 게다가, 캠(72)은 결합 위치(112)로 지향된다. 캠(72)을 결합 위치(112)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팔걸이(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 위치(예를 들어, 상한)로부터 예시된 하강 위치(예를 들어, 상한)로 회전된다. 특히, 팔걸이(22)는 둥근 연장부(108)가 제 1 정지부(96)와 맞닿는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상승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111)으로 회전된다. 팔걸이(22)가 회전될 때, 둥근 연장부(108)는 둥근 연장부(108)가 제 2 정지부(98)와 맞닿을 때까지, 제 1 치형(113) 및 제 2 치형(114)을 지나서 부분(94)을 횡단한다. 그 후에, 노치(99)와 캠(72) 사이의 접촉은 편향 부재(78)가 회전되게 하고 노치형 휠(86)[예를 들어, 결합 위치(112)]에 가해진 힘의 역전을 유발한다. 따라서, 연장부(100) 내의 핀(104)들은 슬롯(62) 내에 결합된다(예를 들어, 웨지되거나 로크된다). 따라서, 클러치 조립체(26)(예를 들어, 단방향 클러치)가 결합되고 하향 힘[예를 들어, 시계 방향(111)]에 저항한다. 클러치 조립체(26)의 작동이 최소 소음으로 달성되며 따라서 래칭 팔걸이 조립체들에 비해서 팔걸이 조립체(20)의 소음을 감소시킴에 주목해야 한다.
도 7은 제거된 노치형 휠(86)을 갖춘, 도 5의 팔걸이 조립체(20)의 부분 정면도이다. 노치형 휠(86)의 연장부(100)의 개구(102)들 내부에 피팅되는 핀(104)들은 도 5에 대응하는 위치의 슬롯(62)들 내에 예시되어 있다. 이해될 수 있듯이, 팔걸이(22)가 시계 방향(111)으로 회전될 때, 핀(104)들은 슬롯(62)들의 비-로킹 단부(116)로부터 슬롯(62)들의 로킹 단부(118)로 슬롯(62)들 내에서 이동한다. 게다가, 팔걸이(22)가 시계 방향(110)으로 회전될 때, 핀(104)들은 슬롯(62)들의 로킹 단부(118)로부터 슬롯(62)들의 비-로킹 단부(116)로 슬롯(62)들 내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팔걸이(22)가 시계 방향(110)으로 회전될 때, 핀(104)들은 노치형 휠(86)을 통해 비-로킹 단부(116)의 표면에 대해 로딩되며 팔걸이(22)는 자유롭게 회전된다. 팔걸이(22)가 시계 방향(111)으로 회전된다면, 비-로킹 단부(116)의 표면의 각도는 핀(104)들과 링 장치(80) 사이의 정상적인 힘들을 제한하고 회전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크다. 도 6의 위치로 시계 방향(111)으로의 팔걸이(22)의 추가 회전은 로킹 단부(118)들의 표면과 결합하도록 슬롯(62)들의 로킹 단부(118)들의 내측으로 핀(104)들을 구동시킨다. 로킹 단부(118)들의 표면의 각도는 핀(104)들과 링 장치(80) 사이의 정상적인 힘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히 작다. 이해될 수 있듯이, 증가된 정상적인 힘 곱하기 마찰 계수는 팔걸이(22)에 가해진 접선방향의 힘을 초과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팔걸이(22)의 회전에 저항한다.
단지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 및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언급된 요지의 신규한 교시들 및 장점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이탈함이 없이 다수의 변형들 및 변경들[예를 들어, 크기들, 치수들, 구조들, 형상들 및 다양한 요소들의 비율들의 편차들, 매개변수(예를 들어, 온도, 압력 등)들의 값들, 장착 배열들, 재료들, 컬러들 방위들의 이용 등]이 당업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다. 임의의 공정 또는 방법 단계들의 순서 또는 시퀀스가 대체 실시예들에 따라서 변화되거나 재배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그와 같은 변형들 및 변경들을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모두 커버하도록 의도됨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전형적인 실시예들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실행예의 모든 특징들(즉,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고려된 최선 모드와 관련되지 않은 것들, 또는 청구된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관련되지 않은 것들)은 설명되지 않았을 수 있다. 임의의 그와 같은 실제 실행예의 개량에 있어서 임의의 공학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다수의 실행을 위한 특정 결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와 같은 개량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실험 없이도, 이러한 개시의 이득을 갖는 당업자를 위한 디자인, 조립, 및 제작의 일상적인 일일 것이다.

Claims (20)

  1.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로서,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 및
    팔걸이에 커플링되는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캠밍(camming) 부재 및 캠밍 부재에 커플링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부재는 팔걸이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 위치로 캠밍 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편향 부재에 의해 가해진 힘을 재지향시키며 캠밍 부재를 분리 위치로 구동시키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복수의 정지부들을 포함하며, 하강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복수의 정지부들 중의 하나 이상의 정지부 쪽으로 팔걸이의 연장된 부분을 구동시키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연장된 부분은 복수의 정지부들 중의 하나 이상의 정지부 쪽으로 구동되며, 상기 편향 부재는 캠밍 부재를 결합 위치로 구동시키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는 팔걸이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로 이동할 때 클러치 조립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핀들은 각각의 가이드 슬롯 내에 배치되고 가이드 슬롯의 비-로킹 단부와 가이드 슬롯의 로킹 단부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팔걸이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편향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노치형 휠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형 휠은 제 1 정지부 및 제 2 정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지부는 팔걸이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팔걸이의 연장된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정지부는 팔걸이가 하강 위치로 이동될 때 팔걸이의 연장된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밍 부재는 단방향 캠밍 부재이며, 상기 단방향 캠밍 부재가 결합 위치에 있는 동안에 하강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차단되고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가능하며, 상기 단방향 캠밍 부재가 분리 위치에 있는 동안에 하강 위치 쪽으로 및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가능한,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9.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로서,
    노치형 휠을 가지며 상기 노치형 휠이 노치형 휠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핑거들을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및
    팔걸이가 상승 위치, 하강 위치, 또는 이의 조합 위치로 이동될 때 클러치 조립체의 노치형 휠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연장된 부분을 갖는 팔걸이를 포함하며,
    하강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클러치 조립체를 결합 위치로 지향시키고 로킹 피쳐들을 로크 위치로 구동시키는 오버센터 편향 장치 쪽으로 노치형 휠을 구동시키며,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클러치 조립체를 분리 위치로 지향시키고 로킹 피쳐들을 로크 위치의 반대로 구동시키는 오버센터 편향 장치 쪽으로 노치형 휠을 구동시키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로킹 피쳐들은 노치형 휠의 각각의 핑거 내에 배치되는 핀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핀들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가이드 슬롯의 로킹 단부와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형 휠은 제 1 정지부 및 제 2 정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지부는 팔걸이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팔걸이의 연장된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정지부는 팔걸이가 하강 위치로 이동될 때 팔걸이의 연장된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형 휠은 팔걸이가 제 1 정지부, 제 2 정지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힘을 가할 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센터 편향 장치는 캠밍 부재에 커플링되며, 오버센터 편향 장치는 팔걸이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승 위치 쪽으로 팔걸이가 상승될 수 있게 하는 결합 위치로 캠밍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편향 부재에 의해 가해진 힘을 재지향시키며 팔걸이가 하강 위치 쪽으로 하강될 수 있게 하고 상승 위치 쪽으로 상승될 수 있게 하는 분리 위치로 캠밍 부재를 구동시키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5. 제 9 항에 있어서,
    클러치 조립체에 커플링되고 시트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로킹 피쳐를 통해 장착 브래킷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축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며 노치형 휠은 축방향 연장부에 커플링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8.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로서,
    노치형 휠 및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하며, 노치형 휠의 회전은 비-로킹 단부와 로킹 단부 사이의 각각의 가이드 슬롯 내로 이동하도록 각각의 핀을 지향시키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캠밍 부재 및 캠밍 부재에 커플링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부재는 팔걸이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고 팔걸이가 상승 위치 쪽으로 상승될 수 있게 하는 결합 위치로 캠밍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승 위치 쪽으로의 팔걸이의 회전은 편향 부재에 의해 가해진 힘을 재지향시키고 팔걸이가 하강 위치 쪽으로 하강되고 상승 위치 쪽으로 상승될 수 있게 하는 분리 위치로 캠밍 부재를 구동시키는,
    차량 시트용 팔걸이 조립체.
KR1020147025865A 2012-02-16 2013-02-11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KR10165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9658P 2012-02-16 2012-02-16
US61/599,658 2012-02-16
PCT/US2013/025573 WO2013122871A1 (en) 2012-02-16 2013-02-11 Clutching device for a vehicle armres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871A true KR20140125871A (ko) 2014-10-29
KR101653705B1 KR101653705B1 (ko) 2016-09-02

Family

ID=4779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865A KR101653705B1 (ko) 2012-02-16 2013-02-11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14691B1 (ko)
KR (1) KR101653705B1 (ko)
CN (1) CN104203643B (ko)
ES (1) ES2898621T3 (ko)
WO (1) WO2013122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4724B1 (fr) * 2015-04-10 2018-08-24 Eurostyle Systems Agencement a articulation debrayable comprenant une piece telle qu'un accoudoir notamment d'une console centrale d'un vehicule automobile
DE202018105885U1 (de) * 2018-10-15 2020-01-20 Rollax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are Armleh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791A (ja) * 2002-10-29 2004-05-27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US6752462B1 (en) * 2003-04-04 2004-06-22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seat with pivotable armrest
KR20050009275A (ko) * 2002-02-06 2005-01-24 인티어 오토모티브 시팅 오브 아메리카, 인크. 2 방향으로 잠금되는 회전식 구동 클러치 조립체
KR200395668Y1 (ko) * 2005-05-09 2005-09-13 한일이화주식회사 팔걸이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4421B2 (ja) * 2002-12-26 2008-06-0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DE102004011385B4 (de) * 2004-03-05 2006-05-04 Johnson Controls Gmbh Vorrichtung zur Winkelverstellung einer um eine Drehachse drehbar vorgesehenen Komponente, insbesondere einer Armlehne in einem Fahrzeug
JP4446442B2 (ja) * 2004-08-18 2010-04-07 備前発条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装置
CN2875875Y (zh) * 2005-09-30 2007-03-07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儿童汽车安全椅扶手旋转调整装置
WO2010031907A1 (fr) * 2008-09-17 2010-03-25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Accoudoir pour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275A (ko) * 2002-02-06 2005-01-24 인티어 오토모티브 시팅 오브 아메리카, 인크. 2 방향으로 잠금되는 회전식 구동 클러치 조립체
JP2004147791A (ja) * 2002-10-29 2004-05-27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US6752462B1 (en) * 2003-04-04 2004-06-22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seat with pivotable armrest
KR200395668Y1 (ko) * 2005-05-09 2005-09-13 한일이화주식회사 팔걸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3643A (zh) 2014-12-10
ES2898621T3 (es) 2022-03-08
EP2814691B1 (en) 2021-10-06
KR101653705B1 (ko) 2016-09-02
CN104203643B (zh) 2017-08-04
WO2013122871A1 (en) 2013-08-22
EP2814691A1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0583B1 (en) Compact disc recliner
AU645066B2 (en) Low profile web adjuster
JP5033796B2 (ja) 自動開放防止のための安全装置を備えたロック/解除機構
KR20100106519A (ko) 풀 메모리 아이 디스크
JP2016097963A (ja) 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7136172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2008543387A (ja) メモリ付きディスク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90099568A (ko) 편의된 동기화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조립체
US8104834B2 (en) Automatic seat cushion locking mechanism with automatic tip-up
US6840579B2 (en) Unlocking device in a vehicle seat
JP2007501036A5 (ko)
JP2004208721A (ja)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US20080203798A1 (en) Recliner Mechanism
KR101653705B1 (ko)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US8215712B2 (en) Seat recliner assembly
GB2488672A (en) Anchor attachment structure for child safety seat
US20080084073A1 (en) Locking device with signal structure
JP6115441B2 (ja) リクライナ
US20140021764A1 (en) Armrest lock for vehicle seat
CN108025658B (zh) 调整装置
KR101361742B1 (ko) 2개의 차량 부품을 록킹하기 위한 멈춤쇠 피팅
KR100863115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GB2488671A (en) Child safety seat and anchor attachment structure
JP522875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パイラル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CN112848993A (zh) 一种机构角度调节装置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