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447A - 전선 인출부 구조 - Google Patents

전선 인출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447A
KR20140125447A KR1020147026185A KR20147026185A KR20140125447A KR 20140125447 A KR20140125447 A KR 20140125447A KR 1020147026185 A KR1020147026185 A KR 1020147026185A KR 20147026185 A KR20147026185 A KR 20147026185A KR 20140125447 A KR20140125447 A KR 2014012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nlocking
housing
positioning
positio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Abstract

지그(jig)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4)가 쉽게 잠금해제될 수 있고 관체(pipe body, 5)가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전선 인출부 구조(electric wire drawout part structure, 1)가 제공된다.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는 하우징(2), 전선 인출부(7)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opening part, 6)를 덮는 커버(4), 상기 전선 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선들(8), 및 상기 전선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관체(pipe body, 5)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잠금해제하고 상기 관체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unlocking and positiong part, 9)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선 인출부 구조 {ELECTRIC WIRE DRAWOUT PART STRUCTURE}
본 발명은 전선 인출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과 커버(리어 홀더(rear holder))가 다음의 특허문헌 1의 도면 1 및 2에 개시되고, 상기 도면에 나타나지 않는 전선들이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서 개구부(opening part)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잠겨진다. 상기 커버는 전선 인출부(electric wire drawout part), 잠금 돌기(locking projection), 및 잠금해제구(unlocking hole)를 가진다. 상기 커버의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잠금 오목부(locking recess)에 걸릴 때 상기 커버가 잠겨진다. 상기 커버는 소위 리어 홀더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커버를 분리하는 것이 요구될 때, 잠금해제를 위한 지그(jig)가 상기 커버의 상기 잠금해제구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지렛대 원리로 상기 지그로부터 상기 리어 홀더로 힘이 적용되면, 상기 잠금 돌기와 상기 잠금 오목부가 잠금해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가 분리된다.
JPH07-245140 A
상기 관련 기술에서, 상기 커버는 잠금해제를 위한 지그 없이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커버를 잠금해제하는 게 어렵고, 상기 지그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전선 인출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전선들을 보호하기 위한 관체(pipe body)를 부착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상기 관체가 위치결정되지 않을 때 배선시에 갭(gap)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위치 갭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의 지그가 준비되면, 상기 언급된 것과 유사한 문제가 있다. 상기 지그가 사용되지 않으면, 샘플 물품이 정렬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 작업을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들을 고려하여 만들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커버가 쉽게 잠금해제될 수 있고 상기 관체가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위치결정될 수 있기 위한 전선 인출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인출부 구조는 다음의 (1) 내지 (5)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1) 전선 인출부 구조로서,
하우징,
전선 인출부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opening part)를 덮도록 맞추어지는 커버,
상기 전선 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선들,
및 상기 전선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맞추어지는 관체(pipe body)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잠금해제하고 상기 관체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의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잠금해제와 관련되는 부분이 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의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관체의 위치결정과 관련되는 부분이 된다.
(2) 상기 (1)에 다른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로서,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잠금부들 근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잠금해제하는데 효과적이 되도록 배치된다.
(3) 상기 (1) 또는 (2)에 따른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로서,
상기 관체는 원형의 오목부들 및/또는 원형의 볼록부들을 갖고,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오목부들 및/또는 상기 볼록부들에 맞물리는 관체 맞물림부(pipe body engaging part)를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관체를 위치결정하는데 효과적이 되는 부분을 가진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로서,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관체에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테이프 권취부(tape winding part)를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관체를 위치결정하는데 효과적이 되는 부분을 가진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로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관체에 대해 압축되는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의 연속되는 부분 근방에 압축부(pressing part)를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관체를 위치결정하는데 효과적이 되는 부분을 가진다.
상기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에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잠금해제될 수 있고, 상기 관체가 위치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커버가 잠금해제될 수 있고 상기 관체가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들이 달성된다.
상기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잠금부들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특히,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원활하게 잠금해제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에 상기 관체 맞물림부들이 제공되고 상기 관체 맞물림부가 상기 관체의 오목부들 및/또는 볼록부들에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관체가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권취에 의해 상기 관체가 상기 테이프 권취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에 상기 테이프 권취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관체가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체의 종단이 상기 압축부에 압축되는 동안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가 사용되도록 상기 커버에 상기 압축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관체가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선 인출부 구조(electric wire drawout part structure)가 적응되는 LED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LED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3b는 전선들이 인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림들이고, 도 3c와 3d는 커버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림들이다.
도 4는 상기 LED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를 나타내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테이프 권취(tape winding)가 적용되는 상기 LED 유닛의 측면도이다.
전선 인출부 구조(electric wire drawout part)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들, 및 전선 인출부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opening part)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가 제공된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커버를 잠금해제하고 관체를 위치결정하도록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가 그림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선 인출부 구조가 적응되는 LED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LED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3b는 전선들이 인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림들이고, 도 3c와 3d는 커버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림들이다. 도 4는 상기 LED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파선 V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테이프 권취(tape winding)가 적용되는 상기 LED 유닛의 측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특정 형상들, 재료들, 숫자 값들, 방향들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도시되었고, 응용, 목적,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는 LED 유닛, 즉, 자동차와 같은 가동 객체(movable object)에 조립되는 LED 유닛에 적응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는 LED를 제외한 광원(램프 등)을 사용하는 광 유닛 또는 발광 표시부를 갖는 표시기기에 적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는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적응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의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가 적응되는 LED 유닛을 나타낸다. 상기 LED 유닛(1)은,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의 실내 공간 내의 조명 객체(그림에 나타나지 않음)를 조명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LED 유닛(1)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내에 조립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전력공급 커넥터를 조명할 수 있다.
도 1 및 2에서, 상기 LED 유닛(1)은 하우징(2), 기능부(3), 커버(4), 및 관체(pipe body, 5)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부(3)는 상기 하우징(2)의 후부에 개구하는 개구부(opening part, 6)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개구부(6)는 전선 인출부(7)를 제외하고 상기 커버(4)에 의해 덮힌다. 상기 기능부(3)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선들(8)은 상기 전선 인출부(7)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커버(4)에는 본 발명의 상기 전선 인출부 구조의 주요부인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unlocking and positioning part, 9)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언급된 요소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하우징(2)은 광 투과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수지 성형물품이고, 상기 개구부(6)는 상기 기재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2)의 후부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수용공간(상기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음)은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형성된다. 전체 하우징(2)은 투명하고, 예를 들어 상기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은 박스 형상(box shape)으로 형성된다. 광 투과부(light transmission part, 10)는 상기 하우징(2)의 상부 벽 내에 형성된다. 아래 기재될 LED(18)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광 투과부(10)에 대응한다. 잠금 돌기들(locking parojection, 11)(잠금부들)은 상기 하우징(2)의 좌우 측벽들의 후부들에 제각기 형성된다. 상기 잠금 돌기들(11)은 상기 커버(4)를 잠그기 위한 부분들로서 형성된다.
상기 커버(4)의 잠금팔들(locking arms, 22)(아래 기재됨)의 기저 종단부들에 맞물리는 오목 맞물림부들(concave engaging parts, 12)은 상기 하우징(2)의 후부에서 상기 개구부(6)의 좌우 모서리들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 맞물림부들(12)은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좌우 측벽들의 후부들을 오목한 형상으로 잘라 형성된다.
도 2에서, 상기 기능부(3)는 회로기판 어셈블리(circuit board assembly, 13), 홀더(holder, 14), 방수 패킹(waterproof packing, 15), 및 복수의 방수 스토퍼들(waterproof stoppers, 16)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 어셈블리(13)는 소정의 회로 패턴을 갖는 기판(17), 및 상기 기판(17)의 표면(상면)에 실장되는 상기 LED(18)와 전자 부품들(19)을 가진다.
상기 기판(17)의 두 개의 측부들은 상기 하우징(2)의 내면들 상에 형성된 지지부들(supporting parts)에 의해 지지되고, 그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기판(17)의 후부는 상기 홀더(14) 내에 지지된다. 상기 복수의 전선들(8)은 납땜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17)에 접속된다. 상기 납땜된 접속부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14)에 가깝게 설정된다. 상기 복수의 전선들(8)은 전력 공급용 및 신호용으로 제공된다.
상기 LED(18)는 박스형 패키지 내에 발광부를 가지고, 상기 기판(17)의 상기 기재된 회로 패턴에 접속된다. 상기 LED(18)는 상기 그림에 나타나지 않는 조명 객체를 조명하도록 발광한다. 상기 그림에서의 상기 LED(18)의 배치는 단지 하나의 예시이다. 상기 LED(18)의 수는 하나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적이다.
상기 홀더(14)는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수지 성형물품이고, 홀더 본체(holder body, 20)를 가진다. 상기 홀더 본체(20)의 원주가 상기 하우징의 내주보다 약간 작고 갭(gap)이 발생하도록 상기 홀더 본체(20)가 형성된다. 상기 갭은 상기 방수 패킹(15)에 의해 물이 새지않는 방식으로 채워진다.
상기 홀더 본체(20)에는 기판 지지부(board holding part)(도면부호 생략), 패킹 부착부(packing attaching part)(도면부호 생략), 및 복수의 전선 관통구들(electric wire through holes)(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 지지부는 상기 기판(17)의 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패킹 부착부는 상기 방수 패킹(15)이 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홀더 본체(20)의 상기 원주에 대응한다. 상기 홀더 본체(20)의 원주 또는 패킹 부착부(23)와 상기 하우징(2)의 내주는 상기 방수 패킹(15)이 밀착하는 밀봉면들(sealing surfaces)로서 형성된다. 상기 방수 패킹(15)은 고무와 같은 물이 새지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고리모양 형상(annular shape)으로 성형된다. 상기 방수 패킹(15)은 탄성을 가진다. 복수의 립부들(lip parts)이 상기 방수 패킹(15)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전선 관통구들은 상기 방수 스토퍼들(16)이 사전에 부착된 상기 전선들(8)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것에 의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들이다. 상기 전선 관통구들의 내면들은 상기 방수 스토퍼들(16)이 밀착하는 밀봉면들로서 형성된다. 상기 방수 스토퍼들(16)은 고무와 같은 물이 새지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대략 관-형(pipe-like) 형상으로 성형된다. 복수의 립부들이 상기 방수 스토퍼(16) 상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4)는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수지 성형물품으로서, 커버 본체(21), 한 쌍의 잠금팔들(22)(잠금부들), 및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를 가진다. 상기 커버(4)는 소위 리어 홀더(rear holder)이다. 상기 커버 본체(21)는 상기 전선 인출부(7)를 제외한 상기 개구부(6)를 덮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상기 커버 본체(21)의 외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관체(5)에 대해 압축되는 압축부(23)(도 5 참조)는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의 일체부(연속되는 부분) 근방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관체(5)는 서로 이어지는 원형의 오목부들(24) 및 원형의 볼록부들(25)을 교대로 갖는 잘 알려진 파형 튜브(corrugated tube)이다(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이다. 상기 관체(5)는 오직 기결정된 위치에 오목부(24)와 볼록부(25)를 갖는 가요성 튜브(flexible tube)일 수 있다). 상기 관체(5)는 인출된 상기 전선들(8)을 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한 부재로서 포함된다.
상기 잠금팔들(22)은 상기 커버 본체(21)의 상기 좌우 측부들에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잠금팔들(22)은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잠금 돌기들(11)에 걸려서 잠겨지도록 거의 프레임-형(frame-like)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팔들(22)은 가요성을 갖는다. 상기 잠금팔들(22)의 상기 기저 종단부들은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오목 맞물림부들(12)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맞물려진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상기 커버(4)를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잠금해제하고 상기 관체(5)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커버 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전용의 지그(jig)를 사용하지 않고 잠금팔들(22)과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잠금 돌기들(11)의 잠금 상태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부분 및 상기 전선들(8)이 수용되는 상기 관체(5)의 위치 갭을 방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커버 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상기 잠금팔들(22) 중 하나에 가까이 배치된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거의 봉-형(rod-like) 형상으로 형성된다(이 형상은 단지 하나의 예시이고,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예를 들어, 리브(ri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3b에서,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직선으로 인출되는 상기 전선들(8)은 가상의 선들로 나타나는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의 측에서 드러난다(raked up). 그 후, 상기 전선들(8)은 상기 관체(5) 내에 수용되어 보호된다(도 1 참조)(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이다).
도 3c 및 3d에서, 화살표 P 방향으로의 힘이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에 적용될 때, 상기 커버 본체(21)는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잠금 돌기들(11)에 걸린 상기 잠금팔들(22)이 벗어나게 되어 상기 커버(4)가 잠금해제된다. 이 때 잠금해제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단지 조작팔(operating arm)과 같은 부분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잠금해제와 상기 언급된 탄성 변형 때문에, 상기 잠금팔들(22) 중 하나 가까이에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를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4 및 5에서, 한 쌍의 관체 맞물림부들(26)은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의 첨단(distal end)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관체 맞물림부들(26)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체 맞물림부들(26) 중 하나가 상기 관체(5)의 상기 오목부(24) 내에 들어가 맞물려진다. 상기 관체 맞물림부들(26)의 형상과 수는, 상기 관체 맞물림부(26)가 상기 관체(5)에 맞물릴 때 상기 위치 갭이 규제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목부(24) 내에 들어가지 않는 다른 관체 맞물림부(26)는 상기 실시예에서 아래 설명될 테이프 권취(29)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관체(5)는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와 지지되도록 인출되는 상기 전선들(8) 사이에 개재(sandwiched)되고, 상기 관체 맞물림부(26)가 상기 오목부(24) 내에 들어갈 때의 이러한 지지 상태에서 맞물려지며,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의 일체부 가까이에 상기 압축부(23)가 있고 상기 관체(5)의 종단(27)이 상기 압축부(23)에 당접하기 때문에, 상기 관체(5)는 확실하게 위치결정되고 및/또는 지지되도록 적응된다.
상기 관체(5)가, 예를 들어, 상기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본체 패널(body panel) 내 개구로서 형성된 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구멍에 일시적으로 걸리는 경우조차, 갭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관체(5)의 보호 기능이 유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프 권취부(28)는 상기 테이프 권취(29)를 형성하도록 상기 관체(5)에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상기 관체 맞물림부(26)와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의 상기 기저 종단부(상기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향하는 일체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 권취부(28)를 사용하여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테이프 권취(29)가 적용될 때, 상기 관체(5)가 더욱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은 명확하다(상기 테이프 권취(29)는 상기 LED 유닛(1)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상기 테이프 권취(29)를 위해 적합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를 기준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관체 맞물림부(26)를 기준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테이프 권취(29)가 적용된다면, 작업성이 개선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상기 기재된 것처럼, 상기 커버(4)에는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에 의해 상기 커버(4)가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잠금해제되고 상기 관체(5)가 위치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커버(4)가 잠금해제될 수 있고 상기 관체(5)가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들이 달성된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는 상기 하우징(2)과 상기 커버(4)의 상기 잠금부들 가까이, 즉, 상기 잠금부들 가까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4)가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원활하게 잠금해제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에는 상기 관체 맞물림부들(26)이 제공되고 상기 관체 맞물림부(26)는 상기 관체(5)의 상기 오목부(24)에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관체(5)가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관체(5)가 상기 테이프 권취(29)에 의해 상기 테이프 권취부(28)에 고정되도록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에는 상기 테이프 권취부(28)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관체(5)가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관체(25)의 종단(27)이 상기 압축부(23)에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9)가 사용되도록 상기 커버(4)에 상기 압축부(23)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관체(5)가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압축부(23)를 상기 하우징(2)의 후부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변경시키지 않고 다양한 수정들이 본 발명에 행해질 수 있음이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2년 3월 21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12-063043에 기초하고,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지그(jig)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가 쉽게 잠금해제되고 관체(pipe body)가 위치결정될 수 있는 전선 인출부 구조(electric wire drawout structure)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5)

  1. 전선 인출부 구조(electric wire drawout part structure)로서,
    하우징,
    전선 인출부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opening part)를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
    상기 전선 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선들, 및
    상기 전선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관체(pipe body)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잠금해제하고 상기 관체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가 제공되는, 전선 인출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잠금부들 가까이 위치되는, 전선 인출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원형의 오목부들 및/또는 원형의 볼록부들을 갖고,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오목부들 및/또는 상기 볼록부들에 맞물리는 관체 맞물림부(pipe body engaging part)를 가지는, 전선 인출부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는 상기 관체에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테이프 권취부(tape winding part)를 가지는, 전선 인출부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관체에 대해 압축되는 상기 잠금해제 및 위치결정부의 연속되는 부분 가까이에 압축부(pressing part)를 가지는, 전선 인출부 구조.
KR1020147026185A 2012-03-21 2013-03-15 전선 인출부 구조 KR201401254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3043A JP5975209B2 (ja) 2012-03-21 2012-03-21 電線引き出し部分構造
JPJP-P-2012-063043 2012-03-21
PCT/JP2013/058461 WO2013141393A1 (en) 2012-03-21 2013-03-15 Electric wire drawout part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447A true KR20140125447A (ko) 2014-10-28

Family

ID=4804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185A KR20140125447A (ko) 2012-03-21 2013-03-15 전선 인출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3904B2 (ko)
JP (1) JP5975209B2 (ko)
KR (1) KR20140125447A (ko)
CN (1) CN104205513B (ko)
DE (1) DE112013001674T5 (ko)
WO (1) WO2013141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801B2 (en) * 2017-05-05 2019-07-02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Decentralized oscillator-based converter control
JP7006556B2 (ja) * 2018-09-28 2022-01-24 住友電装株式会社 配線部材
JP2020202010A (ja) * 2019-06-05 2020-12-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72649A (en) * 1976-01-07 1980-02-26 Robert H. Frantz Insulat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5219304A (en) * 1992-11-23 1993-06-15 Lin Chen H Electrical plug
JPH07245140A (ja) 1994-03-03 1995-09-19 Yazaki Corp リヤホルダ
US5718604A (en) * 1996-03-13 1998-02-17 Lucent Technologies Inc. Patch cord connection system
JP3681576B2 (ja) * 1999-06-02 2005-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カバーの装着構造
JP2001052531A (ja) * 1999-08-10 2001-02-23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プロテクタ
EP1170828B1 (en) * 2000-07-06 2012-01-11 Yazaki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WO2009043862A1 (en) * 2007-10-04 2009-04-09 Nordia Innovation Ab Connector cover
JP5140504B2 (ja) * 2008-06-30 2013-0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カバー付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5513B (zh) 2017-09-29
US9293904B2 (en) 2016-03-22
WO2013141393A1 (en) 2013-09-26
JP5975209B2 (ja) 2016-08-23
JP2013197322A (ja) 2013-09-30
CN104205513A (zh) 2014-12-10
DE112013001674T5 (de) 2015-02-26
US20150000971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612B2 (en) Lighting structure of charging connector
US9570898B2 (en) Wire protection structure
US8845135B2 (en) Electric wire holding and waterproofing structure and LED unit
JP5064055B2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KR20140125447A (ko) 전선 인출부 구조
JP2010188849A (ja) 室内照明装置
JP2018121444A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5651505B2 (ja) 電線引き出し部分の防水構造
JP5884137B2 (ja) 電気接続箱
JP2012187989A (ja) 電線引き出し部分の防水構造
JP2012221748A (ja) Led照明ユニット
US9741214B2 (en) Indication apparatus
KR101899952B1 (ko) 와이어 방수 커넥터
JP2017195167A (ja) 照明器具
JP2011015508A (ja) 電気接続箱
JP6795754B2 (ja) 照明装置及びドアライニング
WO2012056289A1 (en) Decoration plate and plate device including same
KR20150002699A (ko) 실내 조명 장치
US20120218730A1 (en) Sealing structure
JP2018126046A (ja) 電動車両用インバータ、及び電動車両
JP2013145667A (ja) 照明装置
JP2012221747A (ja) Led照明ユニット
JP2010089667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JP2007066752A (ja) プラグコネクタ
JP2012129053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