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771A - 누도 튜브 - Google Patents

누도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771A
KR20140124771A KR1020147022465A KR20147022465A KR20140124771A KR 20140124771 A KR20140124771 A KR 20140124771A KR 1020147022465 A KR1020147022465 A KR 1020147022465A KR 20147022465 A KR20147022465 A KR 20147022465A KR 20140124771 A KR20140124771 A KR 2014012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stal end
wall surface
joint fixing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191B1 (ko
Inventor
마리코 마츠모토
히데카즈 미야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14012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72Apparatus for restoration of tear 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도 내에 유치되어, 삽입 보조구(36)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 관통 가능한 일체의 튜브를 구비하는 누도 튜브(31)로서, 상기 튜브(31)의 말단에는 말단 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33)의 근방에는, 삽입 보조구(36)를 고정하는 접합 고정부(32a, 32b, 32c, 32d)가 상기 튜브(31)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접합 고정부(32a, 32b, 32c, 32d)는 상기 튜브의 축 방향의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삽입 보조구(36)를 안내하여 고정하는 내벽면(37a, 37b, 37c, 37d)을 구비한 통 형상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누도 튜브{LACRIMAL DUCT TUBE}
본 발명은 누도(淚道) 폐색 치료에 사용하는 누도 튜브에 관한 것이다.
유루증을 초래하는 누도 폐색의 치료에는, (i) 누도 부지(bougie)에 의한 프로빙, (ii) 누도 내 삽관 기구의 유치, (iii) 누낭비강문합술(DCR), (iv) 누소관 형성술, (v) 비루관 형성술, (vi) 누구(淚丘) 이동술 등이 있다.
상기 (i)의 누도 부지에 의한 프로빙은, 부지라고 불리는 세관을 누도 내에 삽입함으로써 폐색 부위를 개통시켜 누액의 유로를 재건하는 것이다. 용이하고 저침습인 점에서 제1 치료로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iii) 누낭비강문합술(DCR), (iv) 누소관 형성술, (V) 비루관 형성술, (vi) 누구 이동술은 효과는 높지만, 얼굴에 절개를 넣거나 뼈에 구멍을 뚫거나 하므로 상대적으로 침습도가 높아 최종 수단으로서 행해진다.
상기 (ii)의 누도 내 삽관 기구의 유치에 있어서 사용하는 누도 내 삽관 기구(누도 튜브 등)는, 상기 (i)의 누도 부지에 의한 프로빙 후, 유로의 유지와 조직의 재건을 도모하기 위하여 유치하는 것이다. 상기 (ii)의 누도 내 삽관 기구의 유치는 전술한 (iii) 내지 (vi)의 각 치료 방법과 비교하여 용이하고 저침습이며, 효과가 높으므로, 전세계에서 널리 실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튜브의 중앙 부분이 세밀하고 부드러운 튜브나 로드로 형성되고, 그의 양측이 단단하고 굵은 튜브로 되어 있는, 이른바 쌍절곤형 누도 튜브(예를 들면, 도 1 참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당해 쌍절곤형 누도 튜브는 튜브와, 해당 튜브의 양측의 절단부로부터 삽입된 한 쌍의 부지를 포함하고, 부지를 조작하여 튜브를 누도 내로 유도하여 유치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도는 누점(21, 22), 누소관(23, 24), 총누소관(25), 누낭(26), 비루관(27)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누도 내에 쌍절곤형 누도 튜브가 삽입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튜브는, 선단이 맹단 구조로 되어 있고, 누액이나 진찰시의 통수 확인용의 약액 등이 누도 튜브에 저류되어, 배출되는 일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쌍절곤형 누도 튜브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누도 내 조작을 암중모색의 상태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부지는 맹목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튜브를 찢어버리거나, 또한 정상적인 누도 이외에 구멍을 뚫거나 하는(가도(假道)) 경우도 있어, 치료 성적은 불량하였다.
그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누액이나 약액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말단을 개구시킨 누도 내 삽관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 누도 내 삽관 기구는, 부지로 바꾸어서 누도 내시경을 튜브에 삽입하고, 누도 내의 상황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면서, 튜브를 누도 내로 유도해 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누도 내 삽관 기구에서는, 튜브 말단 근방에 보강체를 배치함으로써, 삽입시에 부지나 누도 내시경 등이 튜브 말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보강체는, 실시 형태로서는 링 형상의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링 형상의 중공부에 부지나 누도 내시경을 안내하는 것은 아니고, 부지 등의 선단이 링의 단부면에 접촉함으로써 그들의 돌출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강체를 배치함으로써, 부지나 누도 내시경의 튜브 선단으로부터의 돌출을 방지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보강체의 단부면은 평면 형상이고, 접촉한 부지 등의 선단이 보강체의 단부면 상을 활주하기 쉬운 구조인 점에서, 누도 튜브를 굴곡하거나, 폐색하고 있는 누도 내로 유도할 때에 무리한 힘이 가해진 경우 부지 등의 선단이 보강체의 단부면 상을 옆으로 미끄러지고, 부지 등의 선단이 튜브의 측면을 찢음으로써, 누도에 상처 입히거나 가도를 형성하거나 하는 일이 염려되었다.
일본 특허 제2539325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1/049198호 공보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이 개구되어 있어도 부지나 내시경 등의 삽입 보조구의 선단이 튜브 선단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누도 내에 삽입할 때에 부지나 내시경 등의 삽입 보조구의 선단이 튜브 측면을 찢을 가능성도 저감된 누도 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개구부가 형성된 튜브를 구비한 누도 튜브의 개구부 근방에, 부지나 내시경 등의 삽입 보조구의 선단을 안내하여 고정하는 내벽면을 구비한 접합 고정부를 튜브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누도 내에 유치되어, 삽입 보조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 관통 가능한 일체의 튜브를 구비하는 누도 튜브로서, 상기 튜브의 말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는 삽입 보조구를 고정하는 접합 고정부가 상기 튜브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접합 고정부는, 상기 튜브의 축 방향의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삽입 보조구를 안내하여 고정하는 내벽면을 구비한 통 형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도 튜브.
〔2〕 상기 접합 고정부의 내벽면은, 상기 튜브의 축 방향에 수직 방향인 폭이 상기 튜브의 말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누도 튜브.
〔3〕 상기 접합 고정부의 내벽면은, 상기 튜브의 축 방향에 수직 방향인 폭이 상기 튜브의 말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누도 튜브.
〔4〕 상기 접합 고정부의 내벽면은, 그의 상대하는 내벽면을 향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누도 튜브.
본 발명의 누도 튜브에 의하면, 삽입 보조구를 이용하여 누도 튜브를 누도 내에 삽입할 때에, 삽입 보조구의 선단부가 누도 튜브의 통 형상 구조의 접합 고정부로 안내되어 고정됨으로써, 삽입 보조구가 접합 고정부에 접촉했을 때에 크게 옆으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삽입 보조구가 누도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튜브의 측면을 찢을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쌍절곤형 누도 튜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누도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누도 튜브의 유치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는 도 3의 (a)의 일례에 있어서, 삽입 보조구를 삽입한 상태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는 본 발명의 누도 튜브의 유치부의 선단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d)는 본 발명의 누도 튜브의 유치부의 선단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누도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누점(21/22), 상/하 누소관(23/24), 총누소관(25), 누낭(26), 비루관(27), 비강관(도시하지 않음), 하스너관(Hasner's valve; 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고, 누선(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산출된 누액을 눈 표면으로부터 하비도(28)로 유도하는 관(안구 부속기)이다. 도 2는, 누도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누점(21)으로부터, 상누소관(23), 총누소관(25)을 거쳐서 하비도(28)로 유도하는 관을 상누도라고 하고, 하누점(22)으로부터 하누소관(24), 총누소관(25)을 거쳐서 하비도(28)로 유도하는 관을 하누도라고 한다.
본 발명의 누도 튜브는, 누도 내에 유치되는 일체의 튜브를 포함한다. 「일체의」란, 상/하 누도 각각에 삽입되는 2개의 튜브가 전체로서 1개가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일체의 튜브란, 누도의 재건 치료를 목적으로 하여 삽입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유연한 삽관 기구를 의미한다.
상기 일체의 튜브 양쪽 말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튜브에 개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개구를 거쳐서 누도 내시경으로부터의 시야 확보 및 통수 검사를 할 수 있다.
당해 일체의 튜브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양쪽 말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것들이 연통한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통 형상으로서는,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한 내외경을 갖는 것이나 중앙부가 대략 일정한 소직경 부분을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당해 일체의 튜브 구조의 다른 예로서는, 튜브의 중앙부에는 로드 형상의 부분을 갖고, 그의 양측에 각 말단이 개구부를 갖고, 해당 개구부에 연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의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일체의 튜브 전체 길이에 걸쳐 외경이 대략 일정할 수도 있고, 중앙부의 로드 형상의 부분에 대략 일정한 소직경 부분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 예시한 상기 일체의 튜브 중, 중앙부가 대략 일정한 소직경 부분을 갖는 것의 경우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낭으로부터 비루관에 유치되는 부분으로서 양측의 통 형상을 채용하고, 누점으로부터 누소관에 유치되는 부분으로서 로드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 구조를 갖고, 게다가 중앙부가 그의 양측부보다 유연한 누도 내 삽관 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위 쌍절곤형 누도 튜브라고 칭해진다.
상기 쌍절곤형 누도 튜브란, 중국의 무술에서 볼 수 있는 쌍절곤과 그 형태가 닮아 있는 것으로부터 이름 지어진 누도 튜브를 의미한다. 튜브의 길이 방향의 중심점에서 지지하여 들어올리면 역 U자형이 될 정도로 중앙부가 유연한 것이 적합하다.
상기 일체의 튜브의 상기 양쪽 말단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누도 손상 방지의 관점에서 모서리가 없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말단부의 외부 형상이 대략 원추 형상, 각뿔 형상 등의 뾰족한 형상이 아닌 것이나, 말단부의 단부면이 모따기된 형상이나 아르 형상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삽입 보조구란, 누도 튜브를 누도에 삽입하여, 유치할 때에 누도 튜브에 삽입한 상태에서 누도 튜브를 누도 내에 유도하고, 그 후 제거하는 기구를 말하고, 예를 들면 부지가 이것에 해당한다. 또한, 누도 내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면서 삽입할 때에는, 부지로 바꾸어서 누도 내시경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내시경도 삽입 보조구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체의 튜브에 부지나 누도 내시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소위 쌍절곤형 누도 튜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상기한 중앙부에 부지나 누도 내시경을 삽입 관통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앙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통 형상 부분의 중공부에 누도 내시경 등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외부와 상기 중공부를 연통하는 삽입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당해 삽입부는, 통 형상 부분의 측벽 부분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작은 구멍, 절단부 등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일체의 튜브 구성 재료(재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실리콘, 폴리우레탄,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합금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와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의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A)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B)와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튜브의 경도를 조정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B)의 비율을 크게 설정할수록 튜브의 경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항혈전성, 표면 미끄럼성, 유연성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A)가 1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A)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B)의 비율이 중량비로 (A)/(B)=1/99 내지 99/1). 그 중에서도,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A)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B)의 비율이 중량비로 (A)/(B)=1/99 내지 7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압축 응력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A)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B)의 비율이 중량비로 (A)/(B)=1/99 내지 5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체의 튜브용의 수지 조성물은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A)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B)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다른 성분을 혼합할 수도 있다.
이소부틸렌계 공중합체(A)로서,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이하, SIBS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인 가네카사 제조의 「SIBSTAR(등록 상표) 102T」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B)(이하, TPU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로서, 에테르계 방향환식 폴리우레탄인 닛본 미락트란사 제조의 「미락트란 E385PNAT」, 루브리졸(Lubrizol)사 제조 「테코탄 TT1074A」, 또는 에테르계 지환식 폴리우레탄인 루브리졸사 제조의 「테코플렉스 EG100A」, 「테코플렉스 EG85A」,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인 루브리졸사 제조의 「카르보탄 PC3575A」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체의 튜브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근방에는 접합 고정부가 튜브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 고정부는, 상기 일체의 튜브 양쪽 말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쪽 개구부 중 적어도 한쪽의 근방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접합 고정부는, 상기 일체의 튜브 중 한쪽의 개구부 근방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양쪽 말단의 개구부 근방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하 누소관 중 어느 한쪽만을 경유하여 누도 튜브를 유치하는 경우나, 상/하 누소관이 반흔화하고 있는 경우에 총누소관으로부터 삽입하여 누도 튜브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체의 튜브 양쪽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 중 한쪽 근방에 접합 고정부를 내부 삽입할 수 있고, 상/하 누소관의 양쪽을 경유하여 하나의 누도 튜브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체의 튜브 양쪽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근방에 각각 접합 고정부를 내부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전자의 경우에는, 내시경 등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는 접합 고정부를 배치하고 있지 않은 쪽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체의 튜브 양쪽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근방에 각각 접합 고정부를 내부 삽입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접합 고정부의 배치 위치 등과 아울러, 하나의 누도 튜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상/하 누도에 튜브를 유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접합 고정부의 형상은 적어도 일체의 튜브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 가능하고, 삽입 보조구의 스토퍼의 역할을 다하는 동시에, 삽입 보조구를 안내하여 고정하는 내벽면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접합 고정부와 튜브가 대략 동일한 축 형상으로 배치된 다음, 접합 고정부는 그의 축 방향(튜브의 축 방향과 일치함)의 양단이 개구되는 통 형상 구조로 한다. 이에 의해, 튜브 내의 누액이나 약액 등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했을 때에는 내시경의 시야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합 고정부의 통 형상 구조는 튜브와 동일한 축 형상으로 배치되고, 튜브를 누도 내에 삽입해 갈 때에 삽입 보조구가 튜브의 선단 및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통 형상 구조의 내벽면에 삽입 보조구의 선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구조이다.
이를 위한 구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접합 고정부와 튜브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있는 폭이, 튜브의 기단측으로부터 말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접합 고정부와 삽입 보조구와의 접촉면이 작고 기단측의 폭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누도 튜브로부터 삽입 보조구를 제거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기 축 방향과 수직 방향에 있는 면이 기단측으로부터 말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되는 구조, 소위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지나 내시경은 접합 고정부에 협지되는 것과 같은 형태가 되고, 부지나 내시경이 튜브를 찢는 리스크를 피할 수 있다. 도 3의 (b)의 예에서는 내벽면이 그의 단면에 있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것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내벽면의 구조가 예를 들면 밥공기 형태와 같이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직경 축소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내벽면의 상기의 폭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나, 내벽면이 연속적으로 직경 축소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구조로서는, 접합 고정부가 튜브와 동일한 축 형상으로 배치되고, 접합 고정부와 튜브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인 접합 고정부의 폭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과 같은 구조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단차부에 이르기까지의 내벽면과 삽입 보조구의 측벽면이 병행하기 위해 접합 고정부 내부에 안내된 삽입 보조구가 안정되기 쉬운 경향에 있다. 또한, 단차부가 튜브의 말단측 근방에 배치된 경우에는, 단차부에서 튜브 말단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에 보다 넓은 시야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도 3의 (c)의 단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튜브의 말단측에 단차부를 구비한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삽입 보조구를 사용하여 누도 튜브를 삽입할 때에, 삽입 보조구의 선단이 접합 고정부의 단차부에 접촉하여 고정되어, 삽입 보조구가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측벽을 찢을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의 예에서는, 접합 고정부의 단차부는 그의 말단측(도면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을 수도 있고, 그 밖의 위치일 수도 있다. 또한, 단차부는 1개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복수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조로서는, 내벽면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그의 상대하는 내벽면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구비한 구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돌기부는 내벽면의 주위 방향 일부분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내벽면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돌기부는 삽입 보조구를 접합 고정부의 내부에 안내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튜브의 축 방향(접합 고정부의 축 방향)의 어느 위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축 방향의 튜브 말단측의 말단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접합 고정부 축 방향 전체 길이에 대하여 중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 밖의 위치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구조로서는, 도 3의 (d)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의 (c)에 있어서의 접합 고정부의 말단에 있어서, 내벽면이 기단측으로부터 말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직경이 늘어나는 것과 같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구조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했을 때에 내시경의 시야를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합 고정부의 배치 위치는, 튜브 말단의 개구부 근방에서 당해 개구부(개구부의 최말단부)로부터 소정 거리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소정 거리로서는, 삽입 보조구로서 누도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누도 내시경에 대한 스토퍼로서의 역할과, 누도 내시경의 시야 확보의 관점으로부터 결정된다. 내시경의 시야 확보시에는, 상기 소정 거리는 짧은 쪽이 좋고, 내시경의 외경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 거리는 내시경 외경의 2배 길이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도 내시경의 시야 범위는, 누도 내시경의 소위 시야각을 별도로 하면 개구부의 직경(특히 개구부의 말단 직경)의 크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의 직경(개구 직경이라고도 칭함)은 누도 내시경의 시야 확보의 관점에서는 클수록 바람직하다. 한편, 개구 직경을 크게 하면, 말단부의 튜브의 두께가 작아지고, 접합 고정부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져, 누도 내시경에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튜브를 누도에 삽입할 때에 개구부로부터 접합 고정부가 꿰뚫고 나갈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삽입 보조구로서 누도 내시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접합 고정부를 유지하고, 그의 꿰뚫음 방지와 누도 내시경의 시야 확보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튜브의 외경이 1.1 내지 2.0mm인 경우에는 개구부의 직경(개구 직경)은 0.6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내지 0.9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누액이나 약액 등의 배출, 통수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의 말단의 개구부 근방에서 개구부로부터 소정 거리가 되도록 접합 고정부를 배치하고 있음으로써, 누도 내시경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누도 내시경에 가해진 힘을 이용한 튜브의 누도로의 삽입이 원활해진다. 또한 뜻하지 않게 개구부로부터 누도 내시경이 꿰뚫는 리스크도 접합 고정부가 스토퍼의 역할이 되어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개구부로부터의 거리 이외에, 개구부의 개구 직경을 상기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더욱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누도 내시경을 이용하고 있는 사이에는, 튜브가 통과되고 있는 경로를 아는 것이 확실하여, 튜브가 가도를 만들거나 하여 점막 등을 상처 입혀 출혈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접합 고정부에 의해 튜브 말단부 근방이 보강됨으로써 개구 가공이 후속 가공에서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합 고정부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삽입 보조구를 안내하여 고정하는 관점에서는 경질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각종 경질 수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체액이나 약액 등과의 접촉에 의한 부식 방지의 관점에서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다.
누도 내 삽관 기구의 누도로의 삽입성을 높이기 위해서, 튜브의 외측에 친수성의 코팅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당해 코팅에 의해 혈액과 접촉했을 때에 윤활성이 발현하고, 삽입시의 저항이 저감된다. 친수성의 코팅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친수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 등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누도 튜브를, 도면에 나타낸 일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어떠한 제한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쌍절곤형 누도 튜브(부지를 삽입한 상태의 것)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누도 내 튜브 중, 누도 내 하비도 등에 유치되는 튜브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튜브 부분의 중공부에 누도 내시경을 삽입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말단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의 (c)는 튜브 부분의 말단 부분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c)도 도 3의 (b)와 동일하게 튜브 부분의 중공부에 누도 내시경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종래의 일반적인 쌍절곤형 누도 튜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쌍절곤형 누도 튜브(1)는, 대략 중앙 부분에 누점, 누소관, 총누소관, 누낭에 유치되는 부위가 되는 통 형상 또는 로드 형상의 중앙부(4), 중앙부(4)의 일단부에 연속 설치되어, 누낭, 비루관, 하스너관, 하비도에 유치되는 부위가 되는 통 형상의 제1 통 형상부(5a), 중앙부(4)의 타단부에 연속 설치되고, 누낭, 비루관, 하스너관, 하비도에 유치되는 부위가 되는 통 형상의 제2 통 형상부(5b)로 구성된다. 중앙부(4)는 제1 통 형상부(5a) 및 제2 통 형상부(5b)보다도 세밀하게 형성되어, 소위 쌍절곤형을 형성하고 있다.
제1 통 형상부(5a)의 제1 말단(6) 및 제2 통 형상부(5b)의 제2 말단(8)은 맹단으로 되어 있고, 그의 선단은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말단(6)을 포함하는 선단 부분은, 제2 말단(8)을 포함하는 선단 부분과 시술자가 분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착색되어 있다. 또한, 제1 통 형상부(5a)의 제1 말단(6)으부터 소정 위치에 2개의 마크(9a)가 첨부되어 있고, 삽입 심도를 시술자가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통 형상부(5b)에도 동일하게 마크(9b)가 첨부되어 있다.
또한, 제1 통 형상부(5a) 및 제2 통 형상부(5b)의 중앙부(4)의 근방 측벽에는, 각각 부지 삽입용의 절단부(7a 및 7b)가 배치되고, 절단부(7a 및 7b)를 통해 삽입 보조구로서의 제1 부지(2a) 및 제2 부지(2b)가 각각 제1 통 형상부(5a) 및 제2 통 형상부(5b)의 중공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중앙부(4)에는 쌍절곤형 누도 튜브의 대략 중앙이 되는 위치에 중점(3)을 설치하여, 삽입 위치나 유치 위치의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도 튜브의 기본적 구조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쌍절곤형 누도 튜브와 동일하다. 차이점은 제1 통 형상부(5a) 및 제2 통 형상부(5b)의 구조이다. 따라서, 이 차이점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차이점 이외의 구성,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의 마크(9a(9b))나 말단부의 착색 등은 본 발명에 따른 누도 튜브에 있어서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누도 튜브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쌍절곤형 누도 튜브(1)에 있어서, 제1 통 형상부(5a) 및 제2 통 형상부(5b) 대신에 도 3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통 형상 구조의 튜브를 채용한 것이다. 즉, 도 3의 (a)에 나타내는 튜브를 도 1에 나타내는 중앙부(4)의 양단에 각각 통상적인 방법을 따라서 연속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체의 튜브를 구비하는 누도 튜브가 된다. 또한, 도 3의 (a)는 일체의 튜브 중 한쪽의 통 형상 구조의 튜브 단면도를 도시한 것인데, 다른 쪽의 튜브 구조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누도 튜브(31)에 있어서는, 통 형상부(35)의 말단에는 말단 개구부(33)가 설치됨과 함께, 말단 개구부(33)의 근방에는 말단 개구부(33)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통 형상부(35)와 동일 축 형상으로 접합 고정부(32a)가 내부 삽입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부(35)의 중앙부에 근접하는 위치의 측벽에는 외부와 중공부를 연통하는 절단부(34)을 설치하여, 부지나 누도 내시경 등의 삽입 보조구를 삽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접합 고정부(32a)는, 축 방향의 양쪽 말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내벽면(37a) 및 외벽면(38a)은, 통 형상부(35)의 말단측(도면에서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일정한 테이퍼 각도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직경 축소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내벽면(37a)의 말단측에는 통 형상부(35)의 축 방향에 병행한 내벽면을 갖고 있다. 또한, 내벽면(37a)의 기단측(도면의 하측)은 통 형상부(35)의 내벽면과 일치하도록 연속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통 형상부(35)의 말단 개구부(33)의 근방에 당해 접합 고정부(32a)의 통 형상 구조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에 접합 고정부(32a)가 내부 삽입되어, 통 형상부(35)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접합 고정부(32a)의 말단측(도면의 상측)의 개구부의 내경은 통 형상부(35)의 말단 개구부(33)의 내경과 일치하고 있으나, 말단 개구부(33)의 내경을 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렇게 함으로써, 접합 고정부(32a)를 통 형상부(35)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접합 고정부(32a)가 말단 개구부(33)로부터 보다 꿰뚫고 나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시경의 시야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통 형상부(35)의 말단 개구부(33)의 내경을 접합 고정부(32a)의 말단측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예에서는, 접합 고정부(32b)가 원통 형상이고, 그의 내부에 부지나 내시경 등의 삽입 보조구(36)를 안내하여 그의 선단을 고정하는 내벽면(37)을 가짐과 함께, 내벽면(37b)을 기단측(도면의 하측)으로부터 선단측(도면의 상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직경 축소한 소정의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삽입 보조구(36)의 선단부가 원통 형상의 접합 고정부(32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보조구(36)를 사용하여 누도 튜브를 누도 내로 삽입할 때에, 삽입 보조구(36)가 접합 고정부의 접촉면을 옆으로 미끄러져 통 형상부(35)의 측벽을 찢을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벽면이 소정의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합 고정부(36)의 내벽면과 삽입 보조구(36)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작고, 삽입 보조구(36)를 제거할 때에 접합 고정부(36)에 걸림이 작고, 제거가 비교적 용이하게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누도 튜브(31)에 있어서의 접합 고정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는, 접합 고정부의 구조가 도 3의 (b)와는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예에서는, 접합 고정부(32c)는 축 방향의 양쪽 말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고, 외벽면(38c)은 통 형상부(35)의 축 방향에 병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벽면(37c)은 통 형상부(35)의 축 방향에 병행하는 제1 단째의 내벽면과, 제1 단째의 내벽면의 내경보다도 직경 축소하여, 동일하게 통 형상부(35)의 축 방향에 병행하고, 제1 단째보다 말단측에 위치하는 제2 단째의 내벽면과, 이 내벽면에 연속하여, 통 형상부(35)의 축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병행하는 내벽면을 포함한다. 통 형상부(35)의 축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병행하는 내벽면이 단차부를 형성함과 함께, 이 내벽면에 삽입 보조구(36)의 선단이 접촉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1 단째의 내벽면의 부분에 삽입 보조구(36)가 안내된다.
이와 같이, 삽입 보조구(36)의 선단부가 원통 형상의 접합 고정부(32c)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보조구(36)를 사용하여 누도 튜브를 누도 내에 삽입할 때에, 삽입 보조구(36)가 접합 고정부의 접촉면을 옆으로 미끄러져 통 형상부(35)의 측벽을 찢을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접합 고정부(32c)를 사용함으로써, 단차부에 이르기까지의 제1 단째의 내벽면과 삽입 보조구(36)의 측벽면이 병행하기 때문에, 접합 고정부(32c)의 내부에 안내된 삽입 보조구(36)가 안정되기 쉬운 경향에 있다. 또한, 단차부가 통 형상부(35)의 말단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단차부에서 통 형상부(35)의 개구부(33)의 말단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삽입 보조구로서 누도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에 보다 넓은 시야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도, 도 3의 (a)의 경우와 동일하게 접합 고정부(32c)의 말단측(도면의 상측)의 개구부의 내경은, 통 형상부(35)의 말단 개구부(33)의 내경과 일치하고 있을 수도 있고, 말단 개구부(33)의 내경을 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후자의 경우, 접합 고정부(32c)를 통 형상부(35)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접합 고정부(32c)가 말단 개구부(33)로부터 보다 꿰뚫고 나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시경의 시야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통 형상부(35)의 말단 개구부(33)의 내경을 접합 고정부(32c)의 말단측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할 수 있다.
도 3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누도 튜브에 있어서의 접합 고정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는, 도 3의 (c)의 구조에 있어서, 또한 제2 단째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속하는, 접합 고정부(32d)의 말단에 있어서의 내벽면(37d)이 기단측으로부터 말단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늘어나는 것과 같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예에서는, 도 3의 (c)에 있어서의 단차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차부이고, 돌기부이기도 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전술한 소정 거리의 길이(L)를 짧게 함으로써,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했을 때에 내시경의 렌즈를 튜브 말단에 보다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내시경의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3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합 고정부(32d)의 말단측(도면의 상측)의 개구부의 내경은, 통 형상부(35)의 말단 개구부(33)의 내경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접합 고정부(32d)가 통 형상부(3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접합 고정부(32d)가 말단 개구부(33)로부터 보다 꿰뚫고 나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통 형상부(35)의 말단 개구부(33)의 내경을 접합 고정부(32d)의 말단측(도면의 상측)의 개구부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에 의해, 삽입 보조구로서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에 그의 시야의 확보도 가능하게 된다.
1. 누도 내 삽관 기구(쌍절곤형 누도 튜브)
2a. 제1 부지 2b. 제2 부지
3. 중점 4. 중앙부
5a. 제1 통 형상부 5b. 제2 통 형상부
6. 제1 말단 7. 부지 삽입용의 절단부
8. 제2 말단 21. 상누점
22. 하누점 23. 상누소관
24. 하누소관 25. 총누소관
26. 누낭 27. 비루관
28. 하비도 31. 누도 튜브
32a. 접합 고정부 32b. 접합 고정부
32c. 접합 고정부 32d. 접합 고정부
33. 말단 개구부 34. 절단부
35. 통 형상부 36. 삽입 보조구
37a. 내벽면 37b. 내벽면
37c. 내벽면 37d. 내벽면
38a. 외벽면 38c. 외벽면
L. 소정 거리

Claims (4)

  1. 누도(淚道) 내에 유치되어, 삽입 보조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 관통 가능한 일체의 튜브를 구비하는 누도 튜브로서, 상기 튜브의 말단에는 말단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는, 삽입 보조구를 고정하는 접합 고정부가 상기 튜브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접합 고정부는, 상기 튜브의 축 방향의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삽입 보조구를 안내하여 고정하는 내벽면을 구비한 통 형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도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의 내벽면은, 상기 튜브의 축 방향에 수직 방향인 폭이 상기 튜브의 말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누도 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의 내벽면은, 상기 튜브의 축 방향에 수직 방향인 폭이 상기 튜브의 말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누도 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의 내벽면은, 그의 상대하는 내벽면을 향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누도 튜브.
KR1020147022465A 2012-01-26 2012-11-21 누도 튜브 KR101881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4608 2012-01-26
JP2012014608 2012-01-26
PCT/JP2012/080180 WO2013111435A1 (ja) 2012-01-26 2012-11-21 涙道チュ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771A true KR20140124771A (ko) 2014-10-27
KR101881191B1 KR101881191B1 (ko) 2018-07-23

Family

ID=4887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465A KR101881191B1 (ko) 2012-01-26 2012-11-21 누도 튜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64790A1 (ko)
EP (1) EP2807993A4 (ko)
JP (1) JP5999109B2 (ko)
KR (1) KR101881191B1 (ko)
CN (1) CN104066405A (ko)
WO (1) WO2013111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9588B2 (ja) * 2013-11-28 2019-04-10 株式会社カネカ 涙道チューブ
WO2017180487A1 (en) 2016-04-11 2017-10-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Lacrimal stent with opening
FR3069433B1 (fr) * 2017-07-25 2019-09-06 France Chirurgie Instrumentation SAS Sonde bicanaliculaire autostable
WO2020039866A1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カネカ 涙道内挿管システム
CN111449834B (zh) * 2020-04-15 2022-03-01 贵州省人民医院 一种泪小管栓塞用泪道引流装置及其引流方法
CN111920577B (zh) * 2020-06-03 2022-07-15 永康市第一人民医院 泪道瓣膜探通扩张器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325B2 (ja) 1992-11-12 1996-10-02 有限会社エム・エル・シー 涙道内挿管器具
JP2005013698A (ja) * 2003-06-28 2005-01-20 M L C:Kk 涙道内挿管器具
WO2011049198A1 (ja) 2009-10-22 2011-04-28 株式会社カネカ 涙道内挿管器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584A (ja) * 1996-07-26 1998-02-10 M L C:Kk 涙道挿管器具
US6383192B1 (en) * 1999-04-28 2002-05-07 Mlc Limited Company Apparatus for intubation of lacrimal duct
JP4644438B2 (ja) * 2004-05-11 2011-03-02 有限会社エム・エル・シー ツバつき涙道ステント
JP4510511B2 (ja) * 2004-05-18 2010-07-28 有限会社エム・エル・シー ツバを円盤で補強した涙道ステント及び涙道プラグ
JP2006312034A (ja) * 2005-04-07 2006-11-16 Toray Ind Inc 鼻涙管チューブ
KR101326791B1 (ko) * 2006-05-31 2013-11-0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카테터용 튜브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카테터
GB201011313D0 (en) * 2010-07-05 2010-08-18 Ucl Business Plc Implantation devices, methods and impla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325B2 (ja) 1992-11-12 1996-10-02 有限会社エム・エル・シー 涙道内挿管器具
JP2005013698A (ja) * 2003-06-28 2005-01-20 M L C:Kk 涙道内挿管器具
WO2011049198A1 (ja) 2009-10-22 2011-04-28 株式会社カネカ 涙道内挿管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99109B2 (ja) 2016-09-28
WO2013111435A1 (ja) 2013-08-01
CN104066405A (zh) 2014-09-24
EP2807993A1 (en) 2014-12-03
KR101881191B1 (ko) 2018-07-23
US20140364790A1 (en) 2014-12-11
JPWO2013111435A1 (ja) 2015-05-11
EP2807993A4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191B1 (ko) 누도 튜브
US115540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retinal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
US11337856B2 (en) Glaucoma device delivery system and trans-conjunctival method of delivery
CN109121390B (zh) 具有收敛管腔的治疗剂递送装置
US7846124B2 (en) Punctal anchor for lacrimal stent, introducer tool and method
KR101216114B1 (ko) 누낭비강연결술용 기구 및 방법
CA2522956A1 (en) Opthalmic microsurgical instruments
US6663605B2 (en) Removable protective cannula for use in surgery
JP6130355B2 (ja) 穿刺装置
US5843039A (en) Surgical treatment
WO2011049198A1 (ja) 涙道内挿管器具
JP7370990B2 (ja) 眼科用微小手術器具
JP6499588B2 (ja) 涙道チューブ
JP6115475B2 (ja) 涙道内挿管器具
US10736724B2 (en) Insertion devices with visual indica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21117649A1 (ja) 生検針及び組織採取装置
CN108451588B (zh) 用于尿道内瘢痕的切除器
JP6581909B2 (ja) 涙道チューブ
WO2013190666A1 (ja) 穿刺器具
JPH034845A (ja) 挿入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