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971A -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유량검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유량검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971A
KR20140121971A KR20130038285A KR20130038285A KR20140121971A KR 20140121971 A KR20140121971 A KR 20140121971A KR 20130038285 A KR20130038285 A KR 20130038285A KR 20130038285 A KR20130038285 A KR 20130038285A KR 20140121971 A KR20140121971 A KR 2014012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d
vehicle
serial number
smartphon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293B1 (ko
Inventor
이봉형
김보섭
박혁재
Original Assignee
(주)그린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포인트 filed Critical (주)그린포인트
Priority to KR102013003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3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aking measurements, e.g. using sensing co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OBD가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이 제어되도록 하는 차량단말기와 OBD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OBD는, 상기 차량단말기와 시리얼(serial)로 연결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및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ECU)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차량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Using OBD and Smartphone Having Bluetooth Module}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자동차의 자기진단 장치(OBD: On Board Diagnostics, 이하 “OBD”라 함)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OBD가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이 제어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자동차 관련 분야에서도 눈부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컨대 엔진의 내부적인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ngine Control Unit, 이하 “ECU”라 함)와, 자동차의 상태를 점검하는 자동차의 OBD 분야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OBD는 운행기록 등 배기가스 등에 관련하는 다양한 부분을 감시하며 각종 데이터를 수집한다. 따라서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차의 현 상태를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자동차의 정확한 냉각수 온도, 엔진오일 온도, 미션오일 온도, 각종 센서의 계측값을 알 수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연료효율 안내를 통한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OBD 표준코드를 해석하는 스캐너를 이용하면 차량의 현재 상태를 손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RPM, 냉각수 온도, 흡입공기 온도, 흡기량, 엔진오일 온도, 미션오일 온도, TPS(쓰로틀포지션 센서), ISA(아이들스피드 액츄에이터), 산소센서, 점화각 및 연료분사량, 공연비 학습량 등을 알 수 있다.
결국, OBD 시스템을 이용해 자동차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어디에 고장이 났는지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정보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된 부품을 제어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부품의 동작을 센싱하는 ECU(10)와, 상기 ECU(1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ECU(10)로부터 전달되는 자동차의 부품의 동작정보를 직렬 통신하는 OBD 커넥터(12)와, 상기 OBD 커넥터(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OBD 커넥터(12)로부터 전달된 자동차의 부품의 동작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단말기(14)와,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14)로부터 자동차의 부품의 동작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운전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자동차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운행정보, 주행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진단된 운행정보, 주행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 주유 정보, 운전자의 운전행태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스마트폰(16)과, 상기 스마트폰(16)으로부터 운행정보, 주행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 주유 정보, 운전자의 운전행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함과 아울러 스마트폰으로부터 설정된 관심집단에 속하는 운전자들의 각 정보들을 추출하여 해당그룹의 각 정보의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운행정보를 해당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관리센터서버(18)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OBD에 블루투스 단말기를 연결하여 자동차의 다양한 상태신호를 스마트폰에서 전달받아 검사 및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운전습관 등을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OBD에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스캔된 차량의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활용하기 위한 기술은 종래에도 개시되어 있으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한편, 기존의 텔레메틱스는 위치측정 시스템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는 차량에 고가의 장비가 장착되어야 하며 CDMA/CGM/W-CDMA 사용을 위한 통신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OBD가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이 제어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단말기와 OBD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OBD는, 상기 차량단말기와 시리얼(serial)로 연결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및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ECU)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은 제어명령시에 항상 OBD 시리얼번호를 송신하여 상기 OBD가 항상 시리얼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OBD는 일정시간 단위로 차량에 구비된 G센서를 모니터링하여 사고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OBD 는 속도/ RPM , 냉각수 온도, 흡입공기 온도, 흡기 공기량, 엔진오일 온도, 미션오일 온도, 쓰로틀포지션 센서( TPS ), 아이들 스 피드 액츄레이터( ISA ), 산소센서, 점화각 , 연료분사량 및 공연비 학습량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차량단말기와 OBD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OBD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차종을 설정하는 차종 설정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OBD로 시리얼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OBD 시리얼번호를 수신하는 시리얼번호 설정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제어를 위해 로그인을 요청하는 로그인 단계; 및 상기 OBD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시리얼번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차량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OBD로 시리얼번호와 함께 로그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OBD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OBD가 스마트폰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 성공 패킷을 차량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단말기는 상기 OBD로 로그인 성공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OBD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로그인 성공여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제어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OBD로 시리얼번호와 함께 제어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OBD가 시리얼번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OBD가 수신받은 스마트폰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가 일치하면 차량단말기로 제어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어명령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OBD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차량의 G센서를 센싱하고 사고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OBD의 사고 유무 판단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G센서 값이 5 이상인 경우를 사고로 판단하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G센서 값이 2 이상인 경우를 사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OBD가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운행정보 뿐만이 아니라 도어 언락(unlock), 원격시동 및 시트온도 조절 등을 별도의 통신망 없이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통신비 발생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가의 텔레메틱스 장비 없이도 스마트폰으로 차량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종 설정 및 시리얼번호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단계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의 상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의 상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구성은 크게 OBD(100), 스마트폰(200) 및 차량단말기(300)로 구성되며, PC(1)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OBD(100)는 운행기록 자기 진단 장치로서, OBD-1과 OBD-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OBD(100)는 차량단말기(300)와 시리얼(serial)로 연결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130)와,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상기 스마트폰(20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110), 및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200)과 OBD(10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3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OBD(100)는 차량 데이터를 스캔할 수 있는 시리얼 포트에 장착되고, 상기 스마트폰(200)에는 상기 OBD(100)와 블루투스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차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제어명령시에 항상 OBD 시리얼번호를 송신하여 상기 OBD(100)가 항상 시리얼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OBD(100)는 일정시간 단위로 차량에 구비된 G센서를 모니터링하여 사고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OBD (100)는 속도/ RPM , 냉각수 온도, 흡입공기 온도, 흡기 공기량, 엔진오일 온도, 미션오일 온도, 쓰로틀포지션 센서( TPS ), 아이들 스피드 액츄레이터 ( ISA ), 산소센서, 점화각 , 연료분사량 및 공연비 학습량을 체크하여 차량 제어 및 관제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차량단말기(300)와 OBD(100) 및 스마트폰(200)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폰(200)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OBD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차종을 설정하는 차종 설정 단계(S100)와, 상기 스마트폰(200)이 블루투스를 통해 OBD(100)로 시리얼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OBD 시리얼번호를 수신하는 시리얼번호 설정 단계(S200)와, 상기 스마트폰(200)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OBD(10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차량제어를 위해 로그인을 요청하는 로그인 단계(S300) 및 상기 OBD(100)가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시리얼번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차량단말기(3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차량제어 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종 설정 및 시리얼번호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 또는 PC(1)가 OBD(100)로 차종 설정을 요청하면(S102), OBD(100)는 차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종 설정을 응답한다(SS104).
그리고, 스마트폰(200) 또는 PC(1)가 OBD(100)로 시리얼 설정 요청을 하면(S202), 상기 OBD(100)는 시리얼번호 설정 응답을 한다(S204).
이후, 스마트폰(200) 또는 PC(1)가 OBD(100)로 시리얼번호 요청을 하면(S206), 상기 OBD(100)는 시리얼번호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한다(S206).
즉, OBD(100)가 차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시리얼 포트(130)를 통해 차량단말기(300)로 전송하고 블루투스를 통해 차종설정 및 OBD 시리얼번호 설정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단계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단계(S300)는 상기 스마트폰(200)이 상기 OBD(100)로 시리얼번호와 함께 로그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02)와, 상기 OBD(100)가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 받은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하는 단계(S304)와, 상기 OBD(100)가 스마트폰(200)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 성공 패킷을 차량단말기(300)로 송신하는 단계(S306)와, 상기 차량단말기(300)는 상기 OBD(100)로 로그인 성공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308)와, 상기 OBD(100)가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로그인 성공여부를 전송하는 단계(S310)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의 상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제어 단계(S400)는, 스마트폰(200)이 OBD(100)로 시리얼번호와 함께 제어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402, S404)와, 상기 OBD(100)가 상기 시리얼번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비교하는 단계(S406)와, 상기 OBD(100)가 수신받은 스마트폰(200)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가 일치하면 차량단말기(300)로 제어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408, S410) 및 상기 차량단말기(300)가 상기 제어명령 신호에 따라 차량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412)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 OBD(100), 스마트폰(200) 및 차량단말기(300)간의 통신 프로토콜 구조 및 페이로드(Payload) 메시지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를 위한 통신 프레임 형식은 아래 표 1 및 표 2와 같다.
STX TGT-ID SRC-ID SN Length cmd PAYLOAD CS ETX
2 1 1 10 4 1 n 1 1
항목 설명 nByte value
STX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 1 0xFF + 0xAF
TGT-ID 메시지를 받을 장치의 주소 1 Ex)0x10
SRC-ID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의 주소 1 Ex)0x20
SN OBD 시리얼 번호 10 0123445560
Length Payload의 길이(바이트 수)를 표시함 4 Ex)0x00 0x07
cmd Command 1 Ex)0x30
Payload 각종 정보 가변 최대1024바이트
CS 에러체크 바이트 :(TGTID∼Payload끝 까지 각 바이트를 XOR한 값)^(20h) 1
ETX 프레임의 끝을 표시 1 0xFA
OBD(100)의 경우 블루투스를 통해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 패킷에서 OBD(100) 시리얼번호가 틀린 경우에는 통신 응답을 하지 않으며, 차량단말기(300)와의 통신인 경우는 OBD(100) 시리얼번호를 체크하지 않는다.
OBD(100), 스마트폰(200) 및 차량단말기(300)의 각 주소는 표 3과 같고, 커맨드(Command) 리스트는 표 4와 같다.
항목 장치의 주소
OBD 0x20
Smart Phone 0x10
차량단말 0x30
항목 Command 비고 방향
Ack 0x21
Nak 0x22 CS가 틀린 경우 응답 포함
Nsn 0x23 OBD 시리얼 번호 불일치 OBD → 블루투스
Std_Car_Info 0x30 차량 데이터 전송 OBD → Device
F/W update 0xA0 펌웨어 업데이트 App → OBD
Get_Env 0xB0 OBD 환경설정값 요청 PC, App → OBD
Set_Env 0xB1 OBD 환경설정값 설정 PC, App → OBD
차량제어 명령 0xD0 블루투스에서 전송받은 제어명령을 차량단말로 전달해 줌 App → OBD → Device
Accident 0xF0 사고 감지 OBD → Device
Get_Sensor 0xE0 G센서값을 전송한다. Device, PC → OBD
OBD → Device, PC
Packet Eco 0xE1 수신된 패킷을 그대로 응답한다. PC(Device) → OBD
OBD → PC(Device)
차량제어명령은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200)에서 제어명령이 내려오면 OBD(100)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시리얼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단말기(300)로 해당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200)이 항상 OBD(100) 시리얼번호를 내려준다.
상기 OBD(100)는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일치하는 명령어만 차량단말기(300)로 전달한다.
차량제어 프로세서에 따른 Payload는 아래 표 5 내지 표 8과 같다.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OBD 시리얼 번호 길이 1 b 상기 설명 참조
OBD 시리얼 번호 n -
차량제어 명령 길이 1 b
차량제어 명령 n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차량제어 명령 스마트폰에서 내려준 차량제어 명령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명령어 수행 결과

1

b
0: 명령수행 못함
1: 명령수행 완료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명령어 수행 결과

1

b
0: 명령수행 못함
1: 명령수행 완료
2: OBD시리얼 번호 불일치
OBD(100)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차량의 G센서를 센싱하고 사고 유무를 판단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OBD(100)가 사고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G센서 값이 5 이상인 경우를 사고로 판단하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G센서 값이 2 이상인 경우를 사고로 판단하며, Payload는 아래의 표 9 및 표 10과 같다.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시동상태 1 b 0: 시동 Off상태
1: 시동 On상태
G센서값 1 b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ACK 1 b
OBD (100)는 시동 On / Off 시 속도/ RPM , 냉각수 온도, 흡입공기 온도, 흡기 공기량, 엔진오일 온도, 미션오일 온도, 쓰로틀포지션 센서( TPS ), 아이들 스피드 액츄레이터(ISA), 산소센서, 점화각, 연료분사량 및 공연비 학습량 데이터를 확인하여 응답한다.
그에 따른 OBD (100)와 차량 단말기(300)간의 Payload 는 표 11 및 12와 같다.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시동 On/Off 여부

1

b
0: 시동 On
1: 시동 Off
2: 단말에서 필요시 요청
항목 바이트 Type 비고
주행거리 4 b M
연료 분사량 4 b Ml
Fuel Tank Level 1 b %
시동 ON 명령이 내려온 후부터 누적 주행거리와 분사량을 계산하여 올려준다.
상기와 같이,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200)과 OBD(10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OBD(100)가 스마트폰(200)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ECU)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200)으로 차량의 운행정보 뿐만이 아니라 도어 언락, 원격시동 및 시트온도 조절 등을 별도의 통신망 없이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OBD 110 : 블루투스 모듈
120 : 저장부 130 : 시리얼 포트
140 : 제어부 200 : 스마트폰
300 : 차량단말기

Claims (9)

  1. 차량단말기와 OBD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OBD는,
    상기 차량단말기와 시리얼(serial)로 연결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및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 OBD 시리얼번호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 아이디(ID)를 설정하고, 스마트폰의 제어명령 수신시 시리얼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ECU)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제어명령시에 항상 OBD 시리얼번호를 송신하여 상기 OBD가 항상 시리얼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BD는 일정시간 단위로 차량에 구비된 G센서를 모니터링하여 사고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BD 는 속도/ RPM , 냉각수 온도, 흡입공기 온도, 흡기 공기량, 엔진오일 온도, 미션오일 온도, 쓰로틀포지션 센서( TPS ), 아이들 스피드 액츄레이터 ( ISA ), 산소센서, 점화각 , 연료분사량 및 공연비 학습량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 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5. 차량단말기와 OBD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OBD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차종을 설정하는 차종 설정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OBD로 시리얼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OBD 시리얼번호를 수신하는 시리얼번호 설정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OBD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제어를 위해 로그인을 요청하는 로그인 단계; 및
    상기 OBD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시리얼번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차량단말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차량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OBD로 시리얼번호와 함께 로그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OBD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OBD가 스마트폰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 성공 패킷을 차량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단말기는 상기 OBD로 로그인 성공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OBD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로그인 성공여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OBD로 시리얼번호와 함께 제어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OBD가 시리얼번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시리얼번호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OBD가 수신받은 스마트폰 시리얼번호와 자신의 시리얼번호가 일치하면 차량단말기로 제어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어명령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BD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차량의 G센서를 센싱하고 사고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BD의 사고 유무 판단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G센서 값이 5 이상인 경우를 사고로 판단하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G센서 값이 2 이상인 경우를 사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KR1020130038285A 2013-04-08 2013-04-08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유량검침 시스템 및 방법 KR10156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285A KR101560293B1 (ko) 2013-04-08 2013-04-08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유량검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285A KR101560293B1 (ko) 2013-04-08 2013-04-08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유량검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971A true KR20140121971A (ko) 2014-10-17
KR101560293B1 KR101560293B1 (ko) 2015-10-15

Family

ID=5199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285A KR101560293B1 (ko) 2013-04-08 2013-04-08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유량검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699A (zh) * 2017-03-09 2017-08-18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蓝牙设备添加方法及系统
CN107797546A (zh) * 2017-11-02 2018-03-13 重庆联导金宏实业有限公司 摩托车远程控制系统
CN109324547A (zh) * 2018-09-19 2019-02-12 北京长城华冠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远程操控车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088059B1 (ko) 2018-10-05 2020-03-1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시거 전원을 이용한 obd 데이터 전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683A1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156Y1 (ko) * 2000-12-26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가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JP3721089B2 (ja) 2001-03-01 2005-1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診断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自動車
JP2005275574A (ja) 2004-03-23 2005-10-06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データ通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699A (zh) * 2017-03-09 2017-08-18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蓝牙设备添加方法及系统
CN107797546A (zh) * 2017-11-02 2018-03-13 重庆联导金宏实业有限公司 摩托车远程控制系统
CN109324547A (zh) * 2018-09-19 2019-02-12 北京长城华冠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远程操控车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088059B1 (ko) 2018-10-05 2020-03-1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시거 전원을 이용한 obd 데이터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293B1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293B1 (ko)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obd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유량검침 시스템 및 방법
US6225898B1 (en) Vehicle diagnosis system having transponder for OBD III
US7689334B2 (en) Engine diagnostic method
CN104641401B (zh) 驾驶行为监测系统
US200500214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vehicular data
KR200178225Y1 (ko) 차진단 시스템
McCord Automotive Diagnostic Systems: Understanding OBD I and OBD II
US7774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emissions data to an authorized recipient
US10579232B2 (en) Touchscreen-based vehicle interface
CN111002947A (zh) 一种自动挡燃油汽车的远程启动控制系统及方法
WO1998021077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d'informations sur des vehicules et systeme de communication d'informations sur les vehicules
GB2461044A (en) A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insurance for a vehicle and reconfiguring the vehicle performance.
CN101231513A (zh) 基于短消息服务的汽车故障诊断系统
US20120046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Scanner Module to Buffer and Bulk Send Vehicle Data Responsive to Network Conditions
KR101330334B1 (ko) 무선 진단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진단 시스템
US20230242047A1 (en) Touchscreen-Based Vehicle Control Interface
WO2014104330A1 (ja) 車両履歴提供システム、及び、車両履歴提供方法
KR101336839B1 (ko) 자동차 유사 석유 제품 및 정량 주유 판별 시스템 및 방법
CN111580502B (zh) 一种应用于机动车环保检测过程中的obd诊断仪系统
KR20160112461A (ko) 차량의 ecu 파라미터 튜닝 방법
US10996255B2 (en) Voltage-characteristic-base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KR100860129B1 (ko) 차량진단 시스템 및 표시방법
US20040230498A1 (en) Methods of returning a rental vehicle to a rental agency facility
CN111520242B (zh) 一种空燃比调整方法及装置
KR100587891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주유소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