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475A -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475A
KR20140121475A KR20147024903A KR20147024903A KR20140121475A KR 20140121475 A KR20140121475 A KR 20140121475A KR 20147024903 A KR20147024903 A KR 20147024903A KR 20147024903 A KR20147024903 A KR 20147024903A KR 20140121475 A KR20140121475 A KR 2014012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idiopathic inflammatory
valine
leucine
isoleu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고사카
겐지 다케하나
유스케 다가타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acids, e.g. alanine, edetic acids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본 발명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IES}
본 발명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또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또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은 Wartmann 및 Olsen 의 질병 유형 분류에 의해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근 증상이 없는 피부근염, 소아 피부근염, 악성 종양에 수반하는 근염, 다른 교원병에 수반하는 근염 및 봉입체 근염으로 분류된 근질환의 총칭이다. 근조직 내로의 염증성 세포의 침윤 및, 그에 의한 근섬유 괴사나 위축에 수반되는 불균일 크기의 근섬유의 병리 소견이 인정된다. 근조직의 염증은, 경우에 따라 근통 및 근 위축에서 기인되는 전신성 근력 저하의 증상을 가져온다. 일부의 질병 유형에서는 경부나 사지의 근위근의 근력 저하에 기인하여, 기상시의 두부 거상 및 계단의 승강, 상지의 거상 등이 곤란하게 되고, 때로는 삼킴 장해에 의한 흡인성 폐렴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근력 저하는, 환자의 QOL 및 예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증상이며, 염증의 진정이나 합병증 예방과 함께 치료되어야 하는 증상이다.
현재,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치료에는, 주로 스테로이드가 제일선의 약물로서 사용되며, 면역억제제가 종종 병용되기도 한다.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경우, 대량의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펄스 요법이 때때로 실시되기도 한다. 따라서, 스테로이드의 투약을 중심으로 한 치료가 행해진다. 이들의 치료 방법은 근조직의 염증 진정화에는 유효하지만, 근 위축 및 근력 저하의 개선 효과는 부족하다. 특히 스테로이드에는 부작용으로서 근 위축 작용이 있어, 스테로이드 근질환으로 불리는 근력 저하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근질환은 스테로이드약을 장기간 혹은 대량으로 사용하는 환자에게서 발병한다. 스테로이드 근질환의 회피를 위해서는 스테로이드약의 감량이나 휴약 이외에는 대처의 방법이 없다. 그러나,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치료에 있어서의 스테로이드약의 감량은, 염증의 진행 및 재발 리스크를 높이게 된다. 비록 약물 감량이 가능하더라도, 환자는 일상 생활에서 몸을 움직이면서 없어진 근력의 자연 회복을 기다리는 것만 할 수 있고, 완전한 회복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서는, 항염증과 근력 개선의 효과를 양립시킬 수 있는 치료제 또는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과제이다. 특히, 치료 경과 중에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있어서는, 염증의 진정화 후에도 계속하는 근력 저하가, QOL 의 현저한 열화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예방하거나 또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염증성 질환의 하나인 류마티즘성 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 분기쇄 아미노산 (이하, "BCAA" 라고도 함) 조성물 중의 발린이 스테로이드약 및 면역억제제의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그러나, 당해 문헌에서는, 관절 스코어로서 사지의 종창에 대한 약효를 평가한 것에 지나지 않고, 발린 자체의 항염증 작용의 유무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것은 아니다. 나아가서는, 발린이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유효하다라는 기재도 없다. 분기쇄 아미노산이 근육에 대해 작용하는 것은 보고되어 있지만, 주로 근육 피로의 개선 등이며 (특허문헌 2), 그 자체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유용하다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분기쇄 아미노산이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억제해, 근력을 개선하는 것, 즉 스테로이드 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3). 그러나, 그 자체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유용하다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류머티즘성 관절염을 비롯한 염증성 질환에 대해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으로 여겨지는 약물이, 반드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염증 억제에 유효한 것은 아니고, 근력 개선에 대한 효과도 부족하다는 것이, 최근의 임상 연구로부터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류머티즘성 관절염에 유효한 항-TNF 항체인 인플릭시마브 (Infliximab) 를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및 봉입체 근염 환자에게 투여한 시험에서는, 염증의 악화 및 타입 I 인터페론의 활성화가 인정되었다 (비특허문헌 1). IL-1 수용체 대항약인 아나킨라 (Anakinra) 도 역시 다발성근염 및 피부근염에 대한 항염증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비특허문헌 2). 이와 같이,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또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제는, 현재까지 얻어지지 않은 것이 현 상황이다.
WO 2005/055997 JP-A-8-198748 WO 2008/072663
Ann Rheum Dis. 2008 Dec; 67(12): 1670-7 Ann Rheum Dis. 2011; 70: A80-A81 Cell Metabolism 2010; 13: 170-182
본 발명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또는 치료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3 종류의 분기쇄 아미노산이,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하고, 특히,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있어서의 근조직의 염증을 억제 (진정화) 하여, 한층 더 근 위축의 증상을 억제하여 근력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의 지견에 기초하여 한층 더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다.
[1]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2]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근 증상이 없는 피부근염, 소아 피부근염, 악성 종양에 수반하는 근염, 다른 교원병에 수반하는 근염, 및 봉입체 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의 제;
[3] 근조직의 염증을 억제하는, [1] 또는 [2] 의 제;
[4] 근 위축 및/또는 근력 저하를 개선하는, [1]~[3] 중 어느 하나의 제;
[5]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1: 1~3 : 0.5~2.0 인, [1]~[4] 중 어느 하나의 제;
[6] 사람에 대한 1 일 투여량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합계량으로서 3 ~ 90 g 인, [1]~[5] 중 어느 하나의 제;
[7] [1]~[6] 중 어느 하나의 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8]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으로 이루어진,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9] [8] 의 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진 의약 조성물;
[10]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
[11]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조직의 염증을 억제하는, [10] 의 방법;
[12]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 위축 및/또는 근력 저하를 개선하는, [10] 의 방법;
[13]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1 : 1~3 : 0.5~2.0 인, [10]~[12] 중 어느 하나의 방법;
[14] 사람에 대한 1 일 투여량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합계량으로서 3 ~ 90 g 인, [10]~[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
[15]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인, [1]~[6] 중 어느 하나의 제;
[16] [15] 의 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7]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인, [8] 의 제;
[18] [17] 의 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9]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인, [10]~[14]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 또는 조성물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있어서, 특히, 근조직의 염증 억제 및 근력 개선의 양방의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므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치료에 있어서는, 항염증의 관점에서 종전 스테로이드약이 사용되고 있고, 그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에 면역억제제가 병용되고 있다. 그러나, 두 약제는 모두 효과적인 근력 개선 작용은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근조직에 대한 염증 억제 작용 및 근력 개선 작용의 동시 달성은 본 발명의 제에 있어 특유의 효과이다. 게다가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은, 스테로이드약의 투여량 감량 및 휴약 없이 효과적인 근력 개선 효과를 가지다는 것은, 본 발명의 제에 있어 특유의 효과이다.
또,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3 종류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안전성이 확립된 물질이므로, 본 발명의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는, 안전성이 높고, 부작용도 거의 없는 약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 은 C-단백질 유도형 마우스 근염 모델 (CIM 마우스) 에 있어서의 BCAA 투여군, 프레드니솔론 (PSL) 투여군 및 비히클 투여군, 및 컨트롤 (Ctrl) 마우스의 정상군 및 아쥬반트 면역군의 염증 스코어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세로축은 마우스의 염증 스코어를 나타낸다.
도 2 는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 투여군, PSL 투여군 및 비히클 투여군, 및 Ctrl 마우스에 있어서의 정상군 및 아쥬반트 면역군의 대퇴사두근, 대퇴굴근 및 상완삼두근의 근 중량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세로축은 각종 근육의 중량 (mg) 을 나타낸다.
도 3 은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 투여군, PSL 투여군 및 비히클 투여군, 및 Ctrl 마우스에 있어서의 정상군 및 아쥬반트 면역군의 앞 다리 근력 측정치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세로축은 마우스의 앞다리 근력의 측정치 (g) 를 나타낸다.
도 4 는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 투여군, PSL 투여군 및 비히클 투여군, 및 Ctrl 마우스에 있어서의 정상군 및 아쥬반트 면역군의 속근섬유 단면적의 분포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속근섬유의 면적 (μm2) 을, 세로축은 근섬유의 비율 (%) 을 나타낸다.
도 5 는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PSL 병용 투여군 및 PSL 단독 투여군, 및 Ctrl 마우스에 있어서의 정상군 및 비히클 투여군의 염증 스코어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세로축은 마우스의 염증 스코어를 나타낸다.
도 6 은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PSL 병용 투여군, PSL 단독 투여군 및 비히클 투여군, 및 Ctrl 마우스에 있어서의 정상군의 대퇴사두근, 대퇴굴근, 및 상완삼두근의 근 중량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세로축은 각종 근육의 중량 (mg) 을 나타낸다.
도 7 은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PSL 병용 투여군, PSL 단독 투여군 및 비히클 투여군, 및 Ctrl 마우스에 있어서의 정상군의 앞 다리 근력 측정치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세로축은 마우스의 앞 다리 근력의 측정치 (g)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라고 칭하기도 함)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란, 사지 또는 체간의 골격근에서 단핵구의 침윤이 인정되며 염증, 변성 등의 근육 장해를 초래하는 질환을 말한다.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증상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로 근조직의 염증 및 근력 저하가 보여지고, 또한 피부 증상 (예를 들어, 헬리오트로프 래쉬, Gottron 징후 등), 관절증 (예를 들어, 관절통, 관절염 등), Raynaud 현상, 호흡기 증상 (예를 들어, 간질성 폐렴 등), 심장 증상 (예를 들어, 부정맥, 심부전 등), 전신 증상 (예를 들어, 발열, 전신 권태감 등) 등이 보여진다.
본 발명의 제는, 근조직의 염증 억제 작용 및 근력 개선 작용을 가지며, 이들의 작용과 함께, 혹은 이들의 작용을 거쳐, 상기의 기타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이란, 상기와 같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또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개체에 있어서, 상기한 증상의 외재화를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재발 방지도 포함), "치료" 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증상들을 나타내는 개체에 있어서, 그 증상을 경감하는 것, 혹은 그 증상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은, 상기한 임상 증상 및 침 근전도 등의 소견에 따라 한층 더 상세하게 분류될 수 있다. 분류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로서는,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소아 피부근염, 악성 종양에 수반하는 근염, 다른 교원병 (예를 들어, SLE (전신성 홍반성 낭창), 강피증 등) 에 수반하는 근염, 및 봉입체 근염 등을 들 수 있다. 임상 소견에서는,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또는 봉입체 근염으로 진단되는 환자가 대부분이며, 그 중에서도 다발성근염 또는 피부근염으로 진단되는 환자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는, 상기의 질환 (근염) 모두에 대해 유용하다. 특히, 다발성근염 및 피부근염에 대해 유효하고, 다발성근염에 대해 가장 유효하다.
또, 최근에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있어서, 근 증상이 없는 피부근염이라는 질환 개념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질환은, 피부근염에 특징적인 피부 증상은 인정되지만, 근조직의 염증 및 근력 저하 등의 근 증상이 다른 근염보다 경도이거나 혹은 그러한 근 증상을 전혀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제는, 경도의 근 증상을 한층 더 개선하거나 또는 장래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근 증상을 예방하기 때문에, 근 증상이 없는 피부근염에 대해서도 또한 유용하다.
다발성근염 및 피부근염의 발증 기전은 여전히 완전하게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의 질환에 있어서의 근조직에서는 일반적으로 단핵구의 미괴사 골격근섬유 주위 내로의 침윤이 나타난다. 침윤하는 염증 세포는, 예를 들어, T 림프구, B 림프구, NK 세포, 매크로파지, 및 수상 세포 등이다.
다발성근염에서는, CD8 양성 T 세포가 근내막에 침윤하여 세포막 표면에 MHC-I 를 발현하고 있는 근섬유에 대해 퍼포린 및 그란자임 B 를 개재하여 근 장해를 일으킨다고 생각된다 (Curr. Opin. Pharmacol., 10: 346-352, 2010). 한편, 피부근염에서는, 보체 캐스케이드의 활성화가 관여되어 있고, 형성된 막 침습 복합체가 근내막의 혈관 내피에 침착하여, 혈관벽 장해 및 근 허혈이 생기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근 내의 혈류 저하의 결과로서, 근속 주변부의 근 위축이 생긴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Curr. Opin. Pharmacol., 10: 346-352, 2010).
본 발명의 제는 다발성근염 및 피부근염 모두에 유용하기 때문에,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3 종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상기한 작용 기전에 관여하는 분자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그들의 활성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가질 수 있다.
한 구현예에 있어서,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은 근조직 내로의 염증 세포의 침윤을 억제할 수 있다.
염증 세포가 침윤하였는지 여부는, 생검 등에 의해 채취한 근조직을 절편화하여, 근 절편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 (HE 염색) 하여 관찰함으로써 조사할 수 있다. HE 염색에 의해 관찰되는 염증 세포의 양이 분기쇄 아미노산의 투여 전보다도 감소하면, 염증 세포의 침윤을 억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은 근 위축 및/또는 근력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근 위축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는, 근섬유 상태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조사할 수 있다. 근섬유 상태는, 예를 들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작한 근 절편을 Elastica-van Gieson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염색된 근섬유의 양 (예를 들어, 현미경 화상에 있어서의 면적) 이 분기쇄 아미노산의 투여 전보다도 증가하면, 근섬유는 개선되었다고 판단된다. 근섬유의 염색은, 또한, 상기 염색제 외에도, 근섬유의 구성 단백질인 미오신 중쇄 (MHC), 라미닌 등에 대한 항체를 이용해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염색에 의한 관찰 이외에도, 근 조직으로부터 근 세포를 채취해, 그 세포에 있어서의 근 위축 관련 유전자 (예를 들어, atrogon-1, MuRF-1 등) 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근 위축의 개선을 조사할 수도 있다. 그 유전자가 atrogon-1 또는 MuRF-1 인 경우는, 그 발현량이 분기쇄 아미노산의 투여 전보다도 저하하면 근섬유는 개선되었다고 판단된다.
근력 저하가 개선되었는지 여부는, 악력계 등의 시판 근력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분기쇄 아미노산의 투여 전보다도 근력이 증가하면, 근력 저하가 개선되었다고 판단된다.
다발성근염 및 피부근염에서는, 근조직에 있어서의 염증과 근력의 저하가 증상으로서 보여진다. 그러나, 근 내로의 염증 세포의 침윤 정도와 근력 저하의 임상 증상의 중증도는 서로 반드시 상관되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의 근조직의 염증 억제 작용 및 근력 개선 작용은 독립한 별개의 작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은 L-체, D-체 및 DL-체의 모든 형태가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L-체 또는 DL-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L-체이다.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은, 예를 들어, 동물 또는 식물 유래의 천연 단백질의 가수분해로부터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발효법 또는 화학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은 각각 유리체 뿐만 아니라 염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염의 형태로서는, 산 부가염, 염기 부가염 등을 들 수가 있지만, 화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면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가 통상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염의 형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로서는, 산과의 염 및 염기와의 염을 들 수 있다. 이소류신, 류신 또는 발린에 첨가되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하는 산의 예로는, 염화수소,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락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푸마르산, 모노메틸황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이소류신, 류신 또는 발린에 첨가되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하는 염기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 수산화물, 칼슘 등의 금속 탄산염, 암모니아 등의 무기 염기, 및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모노알킬에탄올아민, 디알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염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에 포함되는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배합비 (중량비) 는, 본 발명의 제가 원하는 활성 또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 안에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3 종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배합비 (이소류신: 류신: 발린) 는, 중량비로서 통상 1: 1~3: 0.5~2.0 이며, 바람직하게는 1: 1.5~2.5: 0.8~1.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1.9~2.2: 1.1~1.3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2: 1.2 이다. 본 발명의 제가 이소류신의 염, 류신의 염 또는 발린의 염을 함유하는 경우, 중량비의 계산은, 각 분기쇄 아미노산의 염을 유리체로 전환함으로써 실시한다.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내이면,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에 대해 유효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는 의약으로서 유용하고, 그 적용 대상으로서, 포유 동물 (예를 들어, 사람,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고양이, 개, 소, 양, 원숭이 등)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의 적용 대상은 바람직하게는 사람이다. 또한, 사람 이외의 포유 동물에 적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의 섭취량은 동물의 체중 또는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를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투여 방법은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경구 투여의 제형의 예로서는, 분말, 과립제, 캡슐제, 정제, 츄어블제 등의 고형제, 및 용액제, 시럽제 등의 액제를 들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제형의 예로서는, 주사제, 수액제, 경비용 스프레이제, 경폐용 스프레이제 등을 들 수 있다.
환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대상자에 경구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구 투여가 곤란한 환자의 경우는 수액으로서 정맥을 통해 또는 동맥내 투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는, 제형화에 필요한 경우,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어,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용제, 붕괴제,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유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무통화제, 방부제, 항산화제, 교미교취제, 착색제 등을 배합해 의약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본 발명의 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상기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현예에서는, 간편하게 투여된다는 점에서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각 유효 성분이 하나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3 종의 분기쇄 아미노산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부형제의 예로서는, 당류 (젖당, 포도당, D-만니톨 등), 전분류, 셀룰로오스류 (결정 셀룰로오스 등) 등의 유기계 부형제, 탄산칼슘, 카올린 등의 무기계 부형제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의 예로서는, α 화 전분,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D-만니톨, 트레할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의 예로서는,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염 등의 지방산 염, 탤크, 규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용제의 예로서는, 정제수, 생리적 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의 예로서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화학적 변형된 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용해 보조제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레할로스, 벤조산 벤질, 에탄올, 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살리실산 나트륨, 아세트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현탁화제 또는 유화제의 예로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아라비아고무, 젤라틴, 레시틴,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소르베이트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의 예로서는,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당류, 글리세롤, 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 그 밖의 아미노산류 등을 들 수 있다. 무통화제의 예로서는, 포도당, 글루콘산 칼슘, 염산 프로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서는, 파라옥시벤조에이트, 클로로부탄올, 벤질 알코올, 페네틸 알코올, 데히드로아세트산, 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의 예로서는,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교미교취제의 예로서는, 의약 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감미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의 예로서는, 의약 분야에 있어서 통상에 사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분기쇄 아미노산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 의 함유량은, 제제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젤리인 경우에는,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은 통상 조성물 전체에 대해 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과립인 경우에는,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은 통상 조성물 전체에 대해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 100 중량% 이다. 여기서, "함유량" 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3 종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합계 중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각 유효 성분을 1 개의 조성물 중에 포함한 경우에는, 그 함유량은 당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3 종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합계 중량의 비율이다. 각 유효 성분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의 조성물 중에 포함한 경우에는, 그 함유량은 각 조성물의 합계 중량에 대해 3 종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합계 중량의 비율이다. 상기 "중량비" 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각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중량의 비이다. 예를 들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각 유효 성분을 1 개의 조성물 중에 포함한 경우에는 개개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의 비이며, 각 유효 성분의 각각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의 조성물 중에 포함한 경우에는, 각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유효 성분의 중량의 비이다.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1 : 2 : 1.2 (이소류신: 0.952 g, 류신: 1.904 g, 발린: 1.144 g)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분기쇄 아미노산 제제, LIVACT (등록상표) 과립 (Ajinomoto Co., Inc.)(경구 투여제) 을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비경구 투여제의 예로서는, 고농도 아미노산 수액류, AMINIC ((등록상표) 링겔 정맥 주사 (Ajinomoto Pharmaceutical Co., Ltd.)), 및 Morihepamin ((등록상표) 링겔 정맥 주사 (Ajinomoto Pharmaceutical Co., Ltd.))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의 사람에 대한 투여량 (섭취량) 은, 대상 환자의 연령, 체중, 병태, 투여 방법 등에 따라 상이하나, 통상, 1 명 당 1 일 이소류신 1 ~ 30 g, 류신 1 ~ 30 g, 및 발린 1 ~ 30 g 이다. 일반 성인의 경우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명 당 1 일, 이소류신 2 ~ 10 g, 류신 4 ~ 20 g, 및 발린 2 ~ 1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류신 2.5 ~ 3.0 g, 류신 5.0 ~ 7.0 g, 및 발린 3.0 ~ 4.0 g 이다. 또한, 성인 1 명의 1 일 투여량은, 3 종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합계량으로서 통상 약 3 ~ 90 g, 바람직하게는 약 3 ~ 20 g 이며, 이것을 필요에 따라 1 ~ 5 회, 바람직하게는 2 ~ 4 회로 분할 투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이 분기쇄 아미노산의 염을 함유하는 경우, 투여량의 계산은, 각 분기쇄 아미노산의 염을 유리체로 전환하여 행한다. 투여의 시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식전, 식간 또는 식후일 수 있다. 또한,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효 성분인 분기쇄 아미노산의 투여량 (섭취량) 에 대해 산출할 때,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질환의 치료, 예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의 유효 성분의 양의 범위가 상기한 산출법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것과는 다른 목적으로, 예를 들어 통상적인 식생활의 필요 또는 다른 질환의 치료 목적으로, 분기쇄 아미노산이 섭취 또는 투여될 경우는, 상기 분기쇄 아미노산을 상기 산출에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식생활로부터 섭취되는 1 일 분기쇄 아미노산의 양을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1 일 투여량으로부터 공제해 산출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제의 투여량의 비는, 투여 대상 (즉, 환자) 당 각 유효 성분 1 회 투여량 또는 1 일 투여량의 비이다. 예를 들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각 유효 성분을 1 개의 제제 안에 포함하여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중량비가 투여량비에 해당한다. 각 유효 성분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의 제재 안에 포함해 투여하는 경우에는, 1 회 또는 1 일 투여한 각 제제 안의 각 유효 성분의 합계량의 비가 투여량비에 해당한다.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은 이미 의약 및 식품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어,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1 : 2 : 1.2 의 비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제 및 조성물의 급성 독성 (LD50) 은, 마우스의 경구 투여에 있어서 10 g/kg 이상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며,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와 병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병용" 이란, 종래 사용되고 있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투여 전, 동시, 또는 후에 있어서의 사용을 의미하며, 또, 양자를 혼합시킨 배합제로서의 사용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과 병용될 수 있는 상기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약, 면역억제제 등을 들 수 있다. 스테로이드약의 예로서는,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아세트산 코르티손, 덱사메타손, 트리암시놀론, 베타메타손 등을 들 수 있다. 면역억제제의 예로서는, 아자티오퓨린, 메토트렉세이트,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미코페놀산, 각종 항체 의약, 감마 글로불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약제는, 1 종 단독을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과 병용하거나,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과 병용하는 약제의 투여량, 투여 기간 및 투여 간격은 질환의 상황, 대상 환자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은, 스테로이드약 및 면역억제제의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스테로이드약 또는 면역억제제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치료 효과를 높일 수가 있고 부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유용하다. 스테로이드약 및 면역억제제의 예로서는, 상기한 약제를 들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약 (예, 프레드니솔론)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과 병용하는 약제의 투여량, 투여 기간 및 투여 간격은, 질환의 상황, 대상 환자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치료에는 제 1 선택약으로서 스테로이드약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치료 경과 중에 근력 저하가 인정되었을 경우에, 원질환의 악화에 의한 근력 저하인지, 또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의 합병증에 의한 근력 저하인지에 대한 판단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스테로이드 치료 개시때부터 병용했을 경우에,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원질환에 의한 염증과 근력 저하 양자를 개선시킨다. 한편, 스테로이드 치료에 의해서만은,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의 합병증으로 인해 충분한 근력 개선이 얻어질 수 없으며, 근력 개선을 목적으로 한 치료를 위해서 스테로이드약을 감량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의 합병증으로 인해 치료 중에 스테로이드약을 감량하지 않고 치료를 계속할 수 있어, 충분히 근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단백질 유도형 마우스 근염 모델에 있어서의 BCAA 의 근조직 염증 억제 효과
C-단백질 유도형 마우스 근염 모델 (C-protein-induced Myositis: CIM) 을 이용해, 근조직의 염증에 대한 BCAA 의 효과를 검토했다. C57BL/6 마우스 (암컷, 8 주령) 의 항원 면역화를 위해, 성분으로서 200 μg C-단백질 및 100 μg 결핵사균 (Mycobacterium butyricum), 및 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 (CFA) 를 뒷다리 발바닥 및 꼬리 아래쪽에, C-단백질-부재 CFA 를 앞다리 아래쪽에 피내 주사하고, 0.25 μg 의 백일해 독소를 복강내 주사했다. 항원으로 면역화하지 않은 아쥬반트 컨트롤로서, CFA 를 같은 부위에 피내 주사했다. 면역화 3 일 후부터, 0.75 g/kg BCAA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 (중량비로서 이소류신: 류신: 발린 = 1: 2: 1.2) 의 혼합물), 또는 20 mg/kg 프레드니솔론 (PSL) 을 연속하여 경구 투여하고, BCAA 투여군과 PSL 투여군으로 이용했다. 또한, BCAA 등 대신에 0.5% 메틸셀룰로오스 및 5% 감마 시클로덱스트린을 경구 투여하여 비히클 투여군을 얻었다. 면역화 21 일 후에 근육을 채취해, 대퇴사두근 및 굴근의 염증 정도를 염증 스코어에 의해 평가했다. 염증 스코어는, HE 염색한 근 절편 내에서 염증 세포의 침윤과 근섬유 괴사가 인정되는 영역의 근섬유수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여 구한, 대퇴사두근과 굴근의 평균 스코어이다.
스코어화 방법: Grade 0 = 침윤 없음, Grade 1 = 1 개 섬유, Grade 2 = 2-5 개 섬유, Grade 3 = 6-15 개 섬유, Grade 4 = 16-30 개 섬유, Grade 5 = 31-100 개 섬유, Grade 6 = 101 개 이상 섬유. 동일 근육의 복수 부위에서 동일 스코어의 침윤이 발견된 경우에는, 해당 스코어에 0.5 를 더했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C-단백질 유도형 마우스 근염 모델 (CIM 마우스) 의 비히클 투여군에서 보여지는 높은 염증 스코어는, PSL 투여군과 BCAA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로써, BCAA 는 항염증 작용을 갖는 것이 입증된다. CIM 마우스는 다발성근염의 모델 마우스로서 생각되므로, BCAA 는 다발성근염의 치료 등에 대해 유용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실시예 2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 의 근 위축 억제 효과
면역화 21 일 후 CIM 마우스 및 컨트롤 마우스 (Ctrl) 로부터 대퇴사두근, 굴근, 및 상완삼두근을 채취해, 근 중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Ctrl 군과 비교해 CIM 마우스의 비히클 투여군의 모든 근육에서 근 중량의 저하가 인정되었다. PSL 투여군은 개선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BCAA 투여군은 개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 의 근력 개선 효과
면역화 20 일 후, 동물용 악력계 MK-380CM/R (Muromachi Kikai Co., Ltd.) 에 의해 각 마우스의 앞 다리 근력을 측정했다. 측정은 각 개체에 대해 6 회 실시해, 그 평균치를 구했다.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Ctrl 군에 비해 CIM 마우스군의 비히클 투여군에서는 근력이 저하하였다. PSL 투여군에서는 개선 효과가 약하지만, BCAA 투여군에서는 거의 정상 레벨까지 개선되었다.
실시예 4 CIM 마우스에 있어서의 BCAA 의 근섬유 위축 개선 효과
스테로이드 근질환은 속근섬유 (MHC IIB-양성 섬유) 에서 지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CIM 마우스의 근섬유의 위축을 근섬유 단면적을 계측함으로써 평가했다. 면역화 21 일 후에 채취한 상완삼두근 절편의 속근섬유와 근섬유 경계부를, 항-MHC IIB 항체 및 항-Laminin 항체 (Sigma) 를 사용한 면역 형광 염색에 의해 표지하고, MHC IIB-양성 근섬유의 단면적을 Image J 소프트웨어 (NIH) 를 이용해 계측했다. 근섬유 면적의 분포를 도 4 의 막대그래프에 나타낸다. Ctrl 군에 비해, CIM 마우스의 비히클 투여군에서는 근섬유의 위축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이 있고, PSL 투여군에서는 그 경향이 한층 더 강했다. 반면, BCAA 투여군에서는, 가는 근섬유의 비율이 감소하고 굵은 근섬유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근섬유 위축에 대한 부분적인 개선 효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5 근조직 염증 억제에 대한 BCAA 의 용량 반응성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0.25 g/kg BCAA + 20 mg/kg PSL, 0.75 g/kg BCAA + 20 mg/kg PSL, 2.25 g/kg BCAA + 20 mg/kg PSL (각 BCAA 는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 (중량비로서 이소류신: 류신: 발린=1: 2: 1.2) 의 혼합물), 또는 20 mg/kg PSL 를 연속하여 경구 투여하고, PSL 단독 투여군 및 PSL+BCAA 병용 투여군으로서 이용했다. 또한, BCAA 등 대신에 0.5% 메틸셀룰로오스 및 5% 감마 시클로덱스트린을 경구 투여하여 비히클 투여군을 얻었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평가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도 5 에 나타낸다. BCAA+PSL 병용 투여군에서는, 염증 스코어에 있어서 BCAA 의 투여량이 상이한 BCAA+PSL 병용 투여군 모두에서 PSL 단독 투여군보다 염증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근 위축 억제에 대한 BCAA 의 용량 반응성
실시예 5 의 면역화 21 일 후의 CIM 마우스 및 컨트롤 마우스 (Ctrl) 로부터 대퇴사두근, 대퇴굴근, 및 상완삼두근을 채취하여, 근 중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PSL 단독 투여군에서는, 근 중량이 증가되지 않았지만, BCAA+PSL 병용 투여군에서는 근 중량이 투여량에 의존하여 증가되었다.
실시예 7 근력 개선에 대한 BCAA 의 용량 반응성
실시예 5 에 있어서의 면역화 20 일 후에 동물용 악력계 MK-380CM/R (Muromachi Kikai Co., Ltd.) 를 이용해 각 마우스의 앞 다리 근력을 측정했다. 측정은 각 개체에 대해 6 회 실시하고, 그 평균치를 구했다.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 PSL 단독 투여군에서는, 앞 다리 근력이 증가되지 않았지만, BCAA+PSL 병용 투여군에서는 앞 다리 근력이 투여량에 의존하여 증가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조합한 경우, 근조직에 있어서의 염증을 억제하고, 추가로, 근 위축의 증상을 억제하여 근력을 개선시켰다. 따라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이러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게다가, 스테로이드 단일 제제는, 근력을 개선할 수 없었지만,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이들을 조합한 경우, 스테로이드약과의 병용에서도, 근력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이러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 및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2-023521 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Claims (13)

  1.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근 증상이 없는 피부근염, 소아 피부근염, 악성 종양에 수반하는 근염, 다른 교원병에 수반하는 근염, 및 봉입체 근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근조직의 염증을 억제하는 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 위축 및/또는 근력 저하를 개선하는 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1 : 1~3 : 0.5~2.0 인 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에 대한 1 일 투여량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합계량으로서 3 ~ 90 g 인 제.
  7.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조직의 염증을 억제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 위축 및/또는 근력 저하를 개선하는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1 : 1~3 : 0.5~2.0 인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에 대한 1 일 투여량이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합계량으로서 3 ~ 90 g 인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인 제.
  13.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이, 치료 경과 중에 발병하는 스테로이드-유발 근질환을 수반하는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인 방법.
KR20147024903A 2012-02-06 2013-02-06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20140121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3521 2012-02-06
JPJP-P-2012-023521 2012-02-06
PCT/JP2013/052730 WO2013118773A1 (ja) 2012-02-06 2013-02-06 特発性炎症性筋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475A true KR20140121475A (ko) 2014-10-15

Family

ID=4894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4903A KR20140121475A (ko) 2012-02-06 2013-02-06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40343148A1 (ko)
EP (1) EP2813224A4 (ko)
JP (1) JP6145778B2 (ko)
KR (1) KR20140121475A (ko)
AU (2) AU2013218690A1 (ko)
CA (1) CA2863809A1 (ko)
WO (1) WO2013118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8470A (ja) 2012-03-26 2015-07-02 プロニュートリ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ronutria, Inc. 栄養タンパク質および方法
EP2831098A4 (en) 2012-03-26 2016-12-07 Axcella Health Inc LOADED NUTRIENT PROTEINS AND METHODS
CA2868473A1 (en) 2012-03-26 2013-10-03 Pronutria, Inc. Nutritive fragments, proteins and methods
US9700071B2 (en) 2012-03-26 2017-07-11 Axcella Health Inc. Nutritive fragments, proteins and methods
EP3738590A1 (en) * 2013-07-31 2020-11-18 Leeds Beckett University Dietary supplement comprising amino acids for the treatment of sarcopenia
EP3048904A2 (en) 2013-09-25 2016-08-03 Pronutria Bi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tract malabsorption disease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WO2016205397A2 (en) * 2015-06-15 2016-12-22 Klibanov Alexander L Target-specific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CN110234334B (zh) 2016-12-05 2024-02-06 大塚制药株式会社 肌肉萎缩抑制组合物
CN112839712A (zh) * 2018-06-20 2021-05-25 胺细拉健康公司 用于减少或治疗发炎的组合物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150A (ja) * 1993-08-31 1995-05-09 Yoshiaki Akiyama 分枝鎖アミノ酸を有効成分とする、呈味の調整された経口投与薬
JP3617102B2 (ja) 1995-01-27 2005-02-02 味の素株式会社 ヒト筋肉疲労の早期回復効果を有するアミノ酸栄養組成物
KR20030070147A (ko) * 2001-01-30 2003-08-27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염증성 질환 치료 예방제
US20050101605A1 (en) * 2003-11-07 2005-05-12 Ahmed Salah U. Oral liquid formulations of methotrexate
JP2007055900A (ja) 2003-12-15 2007-03-08 Ajinomoto Co Inc 炎症性疾患の治療及び予防用医薬組成物
PT1957061E (pt) * 2005-11-30 2011-07-06 Nestec Sa Combinação compreendendo, pelo menos, um aminoácido e um inibidor de pkr para utilização no tratamento da perda muscular
JP5293189B2 (ja) 2006-12-12 2013-09-18 味の素株式会社 ステロイド療法における副作用の改善・抑制用組成物
JP2012023521A (ja) 2010-07-14 2012-02-02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録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79592A1 (en) 2018-01-18
AU2013218690A1 (en) 2014-09-25
EP2813224A4 (en) 2015-06-24
JP6145778B2 (ja) 2017-06-14
EP2813224A1 (en) 2014-12-17
US20140343148A1 (en) 2014-11-20
US20170151200A1 (en) 2017-06-01
JPWO2013118773A1 (ja) 2015-05-11
CA2863809A1 (en) 2013-08-15
WO2013118773A1 (ja)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5778B2 (ja) 特発性炎症性筋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KR101653071B1 (ko) 선별적 s1p₁ 수용체 작동약에 대한 투약 섭생
US20040029941A1 (en) Zonisamide use in obesity and eating disorders
US20130039905A1 (en) Diazoxide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A Central Nervous System (CNS) Autoimmune Demyelinating Disease
JP3906716B2 (ja) 耐糖能異常用薬剤
EP3290034A1 (en) Use of trimethazine in preparation of drug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s
US20220184025A1 (en) Novel depside dimeric compounds for skeletal muscle modul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US20220175713A1 (en) Depside trimeric compounds for skeletal muscle modulation
JP6044667B2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EA034394B1 (ru) Биотин для лечения амиотрофического латерального склероза
WO2022253034A1 (zh) 吡咯并嘧啶类化合物的用途
JP4715423B2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JPH06172187A (ja) 筋ジストロフィー症治療薬
KR20050054921A (ko) 저알부민 상태의 개선제
WO2005055997A1 (ja) 炎症性疾患の治療及び予防用医薬組成物
CN112641765B (zh) 丙泊酚的抗疲劳制药用途
WO2018220457A1 (en) Vitamin b1 in high doses for use in the medical treatment of motor symptoms of some sporadic neurodegenerative diseases, of genetic origin, and of cluster headache and of migraine headache
WO2022135462A1 (zh) Magl抑制剂的医药用途
JP6935930B2 (ja) 生薬成分を含む肺高血圧症の予防又は治療剤
JPH11171763A (ja) 肝疾患治療剤
WO2016205539A1 (en) Non-hormonal male contraceptive agents and methods using same
US20220054448A1 (en) Novel polymethoxyflavone compounds for skeletal muscle modul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16208045A1 (ja) 脊髄小脳変性症における運動失調の治療剤の投与レジメン
JP2016102068A (ja) 鯨筋肉抽出物からなる中長期記憶障害予防改善剤
WO201211094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de4 enzyme inhibitor revamilast and a disease modifying agent, preferably methotrex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