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215A -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215A
KR20140120215A KR1020130036047A KR20130036047A KR20140120215A KR 20140120215 A KR20140120215 A KR 20140120215A KR 1020130036047 A KR1020130036047 A KR 1020130036047A KR 20130036047 A KR20130036047 A KR 20130036047A KR 20140120215 A KR20140120215 A KR 2014012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strogen
female
mixture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미애
신현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3003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215A/ko
Publication of KR2014012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한초 추출물은 인간 유방조직 유래 세포주인 MCF-7 세포에서 에스트로겐 반응 부위(Estrogen Responsive Element; ERE),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의 발현을 촉진하고, 상기 MCF-7의 생장을 촉진하므로, 에스트로겐 활성과 갖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없어 안정성이 인정되고, 오랜 기간 식용되던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이므로 부작용의 문제도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요한초 추출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HYPERICUM PERFORATUM}
본 발명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성적으로 성숙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시기를 사춘기(puberty)라고 한다. 이는 한 개인의 신체적 구조와 정서가 그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말한다. 사춘기 이후 여성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을 분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이 신호를 전달하면 월경주기를 조절하고, 임신을 가능하게 하는 호르몬인 난포자극호르몬(Folliocle Stimulating Hormone; FSH)과 황체형성호르몬 (Lutenizing Hormone; LH)이 분비되며, 상기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은 다시 난소에 작용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게 된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난소 내의 난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를 발육시키고 그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여 제2차 성징을 발달시키며 자궁 발육, 내막 증식, 젖샘 발육, 규칙적 월경 등을 촉진한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난소 이외에도 태반을 비롯하여 부신피질이나 정소로부터 소량 분비되는데,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및 인체에서 볼 수 있는 에스트리올 등 3 종류의 스테로이드가 알려져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 중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게 가장 많으면서 강력한 에스트로겐인 17 베타-에스트라디올(E2)은 난포를 만들어내면서 합성되고, 혈액으로 분비되어 부분적으로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과 결합하여 몸 전체의 세포로 흐르게 된다. 상기 에스트라디올 대사의 주요 경로는 상기 에스트라디올이 약한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론(E1)으로 가역 산화된 후 에스트리올(E3)로 변하는 것이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막, 자궁 근육, 질 및 요도 상피의 성장을 자극하고, 생식기의 혈관 흐름을 원활히 하며, 자궁선 분비를 증가시키고, 프로게스테론과 황체형성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에스트로겐은 여성 생식 기관의 발달과 제2차 성징 발현 외에도, 골격 성장과 발달, 여성의 지방 분배, 지질 대사 등에 영향을 주며, 피부와 콜라겐 조직, 뉴런, 심혈관계 등에도 작용한다.
여성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난소의 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에스트로겐 분비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상기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로 인해, 난포자극호르몬 및 황체형성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감소하고, 초기 난포기가 단축되어 월경주기가 더욱 단축되며, 배란기가 더욱 단축되고, 프로게스테론 생성이 감소된다. 결국, 난포가 반응하지 못하게 되어 에스트로겐을 생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갱년기(climacteric)라 하고,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기능의 정지 후에 배란이 중단되어 월경이 사라지는 것 즉,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를 폐경(menopause)이라 한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갱년기를 난소의 기능이 상실되어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없어지고 더 이상 임신할 수 없는 시기이며, 성년기가 끝나고 노년기로 가는 과도기로 정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성은 난소기능이 점차 감소하는 갱년기가 40세 이후부터 서서히 시작되며 여성의 평균수명이 점차 연장됨에 따라 호르몬 결핍기간은 수명의 약 1/3 내지 1/2을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폐경기 이후 여성의 건강한 삶에 대한 특별한 관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구성비가 9.1%에 달하고, 2019년에는 인구 전체의 14%가 넘는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여성의 평균수명은 남성의 평균수명 보다 높아 2002년의 경우 80.4세로, 매년 여성의 평균수명은 증가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폐경 후 약 40년 이상 동안의 삶을 살아야 하며, 이러한 점에서 폐경기 이후 여성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폐경 또는 그 이전을 포함하여 갱년기 동안 호르몬의 변화,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몬 및 황체화호르몬의 상승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변화에 따른 급만성 증상을 폐경기 증상 또는 갱년기 증상이라 한다.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여성의 비뇨기, 생식기 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영향을 미치므로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는 신체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 예로, 갱년기 여성의 대부분은 안면홍조(Hot Flush), 빈맥, 발한, 불안 이나 수면장애 등의 여성호르몬 급성결핍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일부 여성에서는 만성적인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하여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등의 만성 질환으로 인해 곤란을 겪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폐경기 증상으로는 열성홍조(hot flush), 야간 발한(night sweat), 빈맥 또는 두통 등의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의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으며,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불안증세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아 피부와 질 점막의 탄력과 수분을 잃게 된다. 일 예로 눈, 코 또는 입의 점막이 마르는 경우, 눈이 불편하거나, 목이 타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또한, 폐경 수년 내에 나타나는 질 건조증, 요로감염, 빈뇨 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뇨생식기의 변화에 의한 증상 및 표피증상이 있고, 폐경 수년 후에 나타나는 골다공증, 아테롬성 심장질환과 같은 심혈관 질환 또는 뇌혈관 질환 등이 있다.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심장질환은 가장 큰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폐경 후의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급속한 골 손실로 인해 다수의 여성이 골다공증으로 겪고 있다.
상기와 같이 폐경기 여성에 대한 치료의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이러한 폐경기 여성의 증상 즉,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여러 방법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 중 상기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폐경기 여성에게 인위적으로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 HRT)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에스트로겐은 천연에스트로겐과 합성에스트로겐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합성에스트로겐 호르몬제제의 투여는 경구투여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며, 비경구투여법으로는 경피패취, 경피 크림, 또는 젤, 질크림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위적인 합성에스트로겐의 경우, 갱년기 증상 개선에는 효과적이나 장기간 사용시 암 유발 유전자의 활성을 증가시켜 자궁암이나 유방암 등의 발병 위험이 있고, 정맥혈전증이나 담낭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호르몬 대체요법에 사용되는 합성에스트로겐의 대체물로서 합성에스트로겐과 비슷한 활성은 가지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 에스트로겐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천연물 유래 에스트로겐으로, 동물성 천연 제품인 말의 오줌으로부터 제조된 프레마린은 임상적 실험에서 에스트라디올과 에스트론 농도를 월경기 정도로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HI(Women's Health Initiative) 임상결과, 실험대상 여성 중 유방암이 26%, 심장마비가 29% 및 졸도가 44% 증가하였고, 혈액응고가 2배 증가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어, 임삼시험 자체가 5년 만에 종료되었으며, 미국 식품의약안정청(FDA)은 2003년 이 호르몬 의약품에 대해 경고 문구를 넣도록 조치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합성에스트로겐 및 동물성 에스트로겐 제품과 같은 기존 호르몬 대체제의 복용을 통해 전반적인 폐경기 증상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호르몬 대체요법에 사용되는 합성에스트로겐의 대체물로서 합성에스트로겐과 비슷한 활성은 가지면서, 부작용이 적은 식물 유래의 천연에스트로겐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식물 유래의 천연에스트로겐을 흔히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라고 칭한다.
상기 식물성에스트로겐이란 일반적으로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기능 및 구조가 유사한 식물로부터 유래한 비스테로이드성 화합물을 지칭하며, 식물의 줄기, 뿌리, 꽃이나 종자에서 발견된다.
상기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예로는 크게 콩과 칡에서 유래한 이소플라본(isoflavone), 클로버에서 유래한 쿠메스탄(coumestan), 아마종자에서 유래한 리그난(lignan) 등이 있다. 그 외, 플라바논(flavanones), 플라본(flavones), 디하이드로칼콘(dihydrocalchones) 등이 있다.
일 예로, 이소플라본은 식물 내에서는 바이오카닌 A(biochanin A)와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의 비활성형 배당체로 존재하나, 체내로 흡수되어 장내 박테리아의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에 의해 각각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제니스테인(genistein)과 다이드제인(daidzein)으로 변환되어 에스트로겐과 같은 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대표적인 예인 제니스테인은 세포의 단백질 타이로신 인산화효소(protein tyrosine kinase)를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효과가 없거나 자궁암 및 유방암의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오히려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도 보도된 바 있다.
따라서, 제니스테인의 부작용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 새로운 식물성에스트로겐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자원들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여성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치료, 개선 또는 예방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
KR 10-1067028 B KR 10-1075554 B KR 10-1141194 B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약학조성물 또는 의약조성물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요한초 용매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요한초 용매추출물은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안면홍조, 골다공증 및 정맥혈전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요한초 추출물에 추가로 에스트로겐(Estrogen)을 더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일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이 요한초 추출물 및 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요한초 추출물 및 상기 에스트로겐의 함량비는 요한초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스트로겐이 130 중량부 내지 14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요한초 용매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요한초 용매추출물은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안면홍조, 골다공증 및 정맥혈전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요한초 추출물에 추가로 에스트로겐(Estrogen)을 더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일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이 요한초 추출물 및 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요한초 추출물 및 상기 에스트로겐의 함량비는 요한초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스트로겐이 130 중량부 내지 14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기존 호르몬 대체제에 사용되는 합성에스트로겐이나 동물성 에스트로겐과 같이 부작용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고, 독성도 문제되지 아니한 식물성에스트로겐을 개발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자원을 대상으로 연구 하던 중, 요한초 추출물이 인간 유방조직 유래 세포주인 MCF-7 세포에서 에스트로겐 반응 부위(Estrogen Responsive Element; ERE),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의 발현을 촉진하고, 상기 MCF-7의 생장을 촉진하므로, 에스트로겐 활성과 갖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추가로 요한초 전초에 비하여, 요한초의 꽃과 잎만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경우 에스트로겐 활성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과 에스트로겐, 구체적으로 17 베타-에스트라디올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에스트로겐 활성이 요한초 추출물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에스트로겐 활성이 에스트로겐 10 μM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20 μg/ml 즉, 17 베타-에스트라디올 136.19 μg/ml을 기준으로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1 μg/ml 함께 사용하는 경우, 에스트로겐 활성이 가장 우수하며, 상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 함량이 이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오히려 에스트로겐 활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과 같은 활성 또는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추출물이란 식물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 또는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결과물을 의미하며, 식물 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 결과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약제학적 유효량은 약리학적 효능을 발휘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에스트로겐(estrogen)은 주로 동물의 난소 안에 있는 여포와 황체에서 주로 분비되며, 태반에서도 분비되어 생식주기에 영향을 주는 여성호르몬을 의미한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벤젠 고리를 가지고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에스트론(E1), 에스트라디올(E2) 및 에스트리올(E3)의 세 종류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생식주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월경에 이상이 왔을 때의 치료법으로 사용되거나, 피임약에도 사용되기도 하며, 여성이 폐경에 이르게 되면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또는 폐경기 증후군의 주된 원인이 에스트로겐 부족이기 때문에 갱년기 장애 또는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호르몬 요법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은 척추동물의 암컷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여포호르몬(발정호르몬)의 하나로, 세포핵에 들어가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고, 세포의 증식을 일으키는 작용이 있으며, 난소나 자궁의 발육부전이나 갱년기 장애 또는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 등을 위해 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은 주로 에스트라디올이다. 일 예로, 상기 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에스트라디올은 오바호르몬, 페라닌, 페미논, 프로기논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폐경기 증후군 또는 갱년기 증상은 폐경기 여성에게서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상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안면홍조, 발한, 수면 중 발한, 피부 건조, 질 건조증, 질 위축, 하부 요도 위축, 성교 통,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소, 성욕 감퇴, 근육통, 관절통 또는 골다공증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치료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 증상을 억제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여성 폐경기 증후군에 걸린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을 포함한 모든 동물, 구체적으로 포유류에 속하는 동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 St. John? wort)는 유럽과 서아시아 등이 원산지인 허브의 하나로, 높이가 약 1 m까지 자란다. 상기 요한초의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여기에서 줄기가 많이 나오고, 줄기는 아래쪽이 단단하고 위쪽에서는 가지를 많이 친다. 상기 요한초는 6월 내지 8월에 밝은 노란빛을 띤 오렌지색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꽃잎은 5장으로 타원형이다. 꽃이 지면 열매가 열리는데 그 안에 작고 둥근 검은빛 씨가 들어 있다. 상기 요한초는 햇빛이 잘 비추는 곳은 물론 반그늘에서도 잘 자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해서 집에서 키우기가 쉬우며, 꺾꽂이와 씨뿌리기로 번식한다. 상기 요한초는 예로부터 우울증 치료, 불면증 치료, 스트레스 해소 등을 목적으로 허브차로 만들어 먹어 왔으며, 상기 요한초 꽃을 기름에 담궜다가 외용하면 수렴작용, 항균작용 또는 항염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요한초는 지상부 및 지하부, 구체적으로 꽃, 잎, 줄기 또는 부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요한초는 바람직하게는 요한초의 꽃과 잎 부위, 구체적으로 요한초의 꽃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예로 요한초의 꽃 및 잎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부위와 관련하여, 요한초의 모든 부위로부터 제조된 추출물, 즉 요한초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상기 요한초의 꽃과 잎의 혼합물에 대한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요한초는 바람직하게는 요한초의 꽃 및 잎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행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상기 요한초 추출물의 폐경기 증후군 치료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Rα-RL-SV40 재조합벡터(pERα-RL-SV40 plasmid) 및 pERβ-RL-SV40 재조합벡터(pERβ-RL-SV40 plasmid)를 이용하여 형질감염(transfection)된 MCF-7 세포주(인간 유방암 세포주)에서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측정하여 에스트로겐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활성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 요한초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증가시켜, 상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이 폐경기 증후군 치료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요한초는 채취한 것,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요한초는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요한초 용매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요한초 용매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구체적으로 용매추출법, 초임계추출법, 아임계추출법, 고온추출법, 고압추출법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흡착수지는 일 예로 XAD 또는 HP-20 등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 예로 용매추출법일 수 있다.
상기 용매추출법에 의해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용매추출법에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 희석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알코올 희석수는 알코올 50%(v/v) 내지 99.9%(v/v)로 물에 희석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의 희석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0분 이상 추출할 수 있고, 일 예로 30분 내지 300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식물 추출 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추출온도에서 행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50℃ 내지 9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용매추출법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 일 수 있고, 일 예로 냉침 추출법, 온침 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 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획과정은 일 예로, 4℃ 내지 120℃, 또는 50℃ 내지 90℃, 또는 60℃ 내지 8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 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 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일 예로 요한초를 추출용매와 함께 추출용기에 넣어 추출 및 여과 한 것을 감압농축하고 다시 동결 건조한 분말형태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에 의하면, pERα-RL-SV40 재조합벡터(pERα-RL-SV40 plasmid) 및 pERβ-RL-SV40 재조합벡터(pERβ-RL-SV40 plasmid)를 이용하여 형질감염(transfection)된 MCF-7 세포주(인간 유방암 세포주)에서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측정하여 에스트로겐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활성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 우수한 루시퍼레이즈 활성이 확인되었고, 상기 MCF-7 세포주의 생장 촉진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MCF-7 세포주 생장 촉진 여부가 확인되어, 상기 요한초 추출물이 폐경기 증후군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또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천연식물로부터 분리된 천연물 또는 이와 동일하게 이를 가공한 가공물로서 식품의 식재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으로 안정성이 문제되지 않으며, 실험결과 세포독성도 문제되지 아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추출물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postenopausal syndrome)은 폐경기뿐만 아니라 전폐경기(perimenopausal) 및 후폐경기(postmenopausal) 시기에 발생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모든 증상을 의미한다.
상기 전폐경기는 실제적인 폐경이 시작되기 전의 시기로, 상기 전폐경 시기에는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불규칙하게 되며, 여성의 가임능력이 크게 감소된다. 상기 전폐경기는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전폐경기에도 갱년기(climacteric)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성교통증, 질건조증(vaginal dryness), 수면 장애(sleep disorder), 집중력 이상(mental awareness problem), 관절통, 근골격 질환, 소화불량, 요실금, 피로, 혈관 운동 난조로 인한 신열, 안면홍조, 야간의 발한, 심계항진(palpitations), 우울증, 불안증(anxiety) 및 과민성(irritability) 등의 갱년기(climacteric) 증상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서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심각한 질환이나 현상들, 일 예로 골다공증, 비뇨생식기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 치매, 치아손실 또는 피부 콜라겐 손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바람직하게는 안면홍조, 골다공증 및 정맥혈전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에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비수성용제,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과 같은 현탁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요한초 추출물에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화합물 또는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요한초 추출물에 추가로 에스트로겐(Estrogen)을 더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한가지 실시예에서는 요한초 추출물 및 에스트로겐의 혼합사용이 호르몬이 결핍된 배양조건에서 MCF-7 세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CF-7 세포의 생장정도를 확인한 결과, 에스트로겐인 17β-에스트라디올의 첨가량을 10 μM으로 고정하고, 요한초 추출물, 구체적으로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 첨가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에스트로겐 활성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함량 즉, 20 μg/ml 함량으로 투여한 경우에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 보다 함량이 증가되는 경우 오히려 세포 생장 정도가 감소되어, 17β-에스트라디올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함량은 17β-에스트라디올의 첨가량 10 μM을 기준으로 20 μg/ml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호르몬이 결핍된 배양조건에서 인체 유방암 유래 세포주인 MCF-7 세포의 생장은 억제되며, 이러한 조건에서 에스트로겐 성분을 추가시 이에 의해 MCF-7 세포의 생장이 활발히 증가되므로, 이런 호르몬이 결핍된 배양조건에서 특정 성분 처리 후 MCF-7 세포의 생장을 관찰하게 되면 특정 성분의 에스트로겐 효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며,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과 에스트로겐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17β-에스트라디올 첨가량 10 μM을 기준으로,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의 최적 사용량은 20 μg/ml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이 요한초 추출물 및 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요한초 추출물 및 상기 에스트로겐의 함량비는 요한초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스트로겐이 130 중량부 내지 14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 즉, 요한초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 구체적으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현탁제, 정제, 주사제, 주정제,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캅셀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질환의 중증도, 음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1일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또는 0.01 mg/kg 내지 100 mg/kg 또는 30 mg/kg 내지 50 mg/kg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이 우수한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식품의 식재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으로 안정성이 문제되지 않으며, 실험결과 세포독성도 문제되지 아니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추출물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pERα-RL-SV40 재조합벡터(pERα-RL-SV40 plasmid) 및 pERβ-RL-SV40 재조합벡터(pERβ-RL-SV40 plasmid)를 이용하여 형질감염(transfection)된 MCF-7 세포주(인간 유방암 세포주)에서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측정하여 에스트로겐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활성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 요한초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증가시켜, 상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이 폐경기 증후군 치료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및 도 3 참조).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성교통증, 질건조증(vaginal dryness), 수면 장애(sleep disorder), 집중력 이상(mental awareness problem), 관절통, 근골격 질환, 소화불량, 요실금, 피로, 혈관 운동 난조로 인한 신열, 안면홍조, 야간의 발한, 심계항진(palpitations), 우울증, 불안증(anxiety) 및 과민성(irritability) 등의 갱년기(climacteric) 증상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서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심각한 질환이나 현상들, 일 예로 골다공증, 비뇨생식기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 치매, 치아손실 또는 피부 콜라겐 손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바람직하게는 안면홍조, 골다공증 및 정맥혈전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요한초 추출물에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물질, 구체적으로 상기 요한초 추출물 이외에 공지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화합물 또는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요한초 추출물에 추가로 에스트로겐(Estrogen)을 더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일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며,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과 에스트로겐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17β-에스트라디올 첨가량 10 μM을 기준으로,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의 최적 사용량은 20 μg/ml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이 요한초 추출물 및 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요한초 추출물 및 상기 에스트로겐의 함량비는 요한초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스트로겐이 130 중량부 내지 14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식품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중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또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요한초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요한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이다.
또한,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0002 g 내지 5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한초 추출물은 실험결과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이 확인되었으므로,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안면홍조증, 골다공증, 정맥혈전증 등과 같은 폐경기 증후군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해 시행하는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종래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치료제와 달리 세포 독성도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요한초는 식품으로 사용될 정도로 부작용이 적고, 안전한 물질이므로, 종래 여성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치료제에 비하여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한초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로, 도 1a는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결과이고, 도 1b는 요한초 전초의 추출물을 이용한 결과이며, 각 그래프에서 가로축의 CNT는 용매인 DMSO를 처리한 대조군을 나타내고, 가로축의 숫자는 각 추출물의 투여량이며, 세로축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측정된 세포 수의 상대적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한초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한 그래프로, 도 2는 ERα를 MCF-7에 형질주입한 후,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3은 ERβ를 MCF-7에 형질주입한 후,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며, 도 2a 및 도 3a는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결과이고, 도 2b 및 도 3b 는 요한초 전초의 추출물을 이용한 결과이며, 각 그래프에서 가로축의 CNT는 용매인 DMSO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을 나타내고, positive는 17β-estradiol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을 나타내며, 가로축의 숫자는 각 추출물의 투여량이며, 세로축은 음성대조군을 기준으로 측정된 형광정도 즉,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한초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한 그래프로, 도 4a는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결과이고, 도 4b 는 요한초 전초의 추출물을 이용한 결과이며, 각 그래프에서 가로축의 '+'는 시료를 처리한 것을 의미하고, '-'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E2는 17β-estradiol 처리여부를 의미하고, ST F&L은 요한초 추출물의 처리여부를 의미하며, 가로축의 숫자는 각 추출물의 투여량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성대조군을 기준으로 측정된 세포의 생육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1 . 요한초 추출물의 제조>
요한초의 경우 중국에서 수입한 건조 요한초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세척하고 다시 건조한 후 사용하였다. 요한초는 전체 부위(전초)와 지상부위 중 잎과 꽃만 분리한 것(꽃 및 잎의 혼합물)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요한초 추출물은 각각의 부위를 세절한 후, 상기 요한초 각 부위 10 g 및 에탄올 70% 수용액 200 ml를 추출용기에 넣고 50℃에서 추출을 수행하였다. 상기 열수추출을 수행한 후, 여과 및 농축과정을 수행하고, - 20℃에서 건조하여 요한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2 . 요한초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측정>
하기 요한초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시료를 제조하였다. 17β-estradiol(E8875-1G, Sigma, USA)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3 mM (0.81714 g/ml) 농도로 제조한 후, 이에 용매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요한초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요한초 전초 추출물 또는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20 mg/ml의 농도로 DMSO에 녹인 후, 희석하면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1. 독성 평가
ATCC(American Type of Cell Culture)에서 분양받은 인간유방 유래 암세포주인 MCF-7 세포를 배양배지 (DMEM/F12(11330-032, GIBCO, USA) + 10% FBS(26140-111, GIBCO, USA) + 1% Penicillin Streptomycin(15140-122, GIBCO, USA) + 1% Bovine insulin(Cellapplications, USA))에 계대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96 well plate에 2 × 104 cell / 100 μl의 함량으로 각 well에 분주(seeding)한 후, 37 ℃에서 5% CO2 incubator 배양기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다시 24시간 경과 후에, CCK-8(ck04-13, Woongbee, 대한민국)을 10 μl씩 처리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는 시료 대신 동량의 DMSO만을 처리한 대조군(CNT)을 기준으로 표시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도 1a) 및 요한초 전초 추출물(도 1b) 모두 세포독성이 문제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형질감염된 MCF -7 세포주를 이용한 에스트로겐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2-1과 같이 배지에서 계대배양한 MCF-7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한 well 당 2 × 104 cell / 100 μl로 각 well에 분주(seeding)한 후, 37 ℃에서 5% CO2 incubator 배양기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2 ㎕의 전체 반응용액에 pRL-SV40 vector에 ER α(28230, addgene Co., USA) 또는 ER β(35562, addgene Co., USA)를 주입시켜 제조된 형질감염용 DNA 0.11 μg 및 FuGENE HD(E2311, Promega, USA) 0.33 μ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제조된 반응액 5 μl를 각각의 well 당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MCF-7 세포주를 각각의 에스트로겐 수용체(ER)로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켰다.
상기 형질감염시킨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상기 각각의 추출물이 특정 함량으로 포함된 배지 100 μl를 가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Luciferase Assay(E1501, Promega, USA)를 진행하는 well에는 1 × Passive Lysis Buffer 20 μl를 첨가하고, Renilla Luciferase Assay(E2820, Promega, USA)를 진행하는 well에는 1 × Renilla Luciferase Lysis Buffer 20 μl를 첨가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각각의 Lysis Buffer에 의해 용해된 Lysate를 20 μl씩 white plate(136101, nunc, USA)에 옮긴 후, Luminometer를 이용하여 형광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음성대조군(CNT)의 경우, DMSO만을 동량으로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positive)의 경우, 17β-estradiol을 10 nM 처리하였다. 상기 각각의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Rα의 경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형광활성이 증가되었고, 구체적으로 DMSO에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을 60 ppm으로 처리한 경우, 양성대조군(positive)인 에스트로겐을 10 nM 처리한 것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최고 농도인 100 ppm을 사용한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약 250%에 해당된 형광활성을 나타낸 반면(도 2a), 요한초 전초 추출물의 경우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Rβ의 경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과 요한초 전초 추출물 모두 형광활성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DMSO에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을 20 ppm으로 처리한 경우, 음성대조군은 물론 양성대조군(positive) 모두에 대해서 약 300% 내지 500%의 현저하게 우수한 형광활성이 나타났으며, 요한초 전초 추출물을 20 ppm으로 처리한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약 200% 정도의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요한초 추출물은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며, 특히 에스트로겐 활성의 측면에서 요한초 전초를 대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 보다는 요한초 꽃 및 잎을 분리하여 이에 대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형질감염된 MCF -7 세포주를 이용한 에스트로겐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2-1과 같이 배지에서 계대배양한 MCF-7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한 well 당 2 × 104 cell / 100 μl로 각 well에 분주(seeding)한 후, 37 ℃에서 5% CO2 incubator 배양기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2 μl의 전체 반응용액에 pRL-SV40 vector에 ER α(28230, addgene Co., USA) 또는 ER β(35562, addgene Co., USA)를 주입시켜 제조된 형질감염용 DNA 0.11 μg 및 FuGENE HD(E2311, Promega, USA) 0.33 μ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제조된 반응액 5 μl를 각각의 well 당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MCF-7 세포주를 각각의 에스트로겐 수용체(ER)로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켰다.
상기 형질감염시킨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상기 각각의 추출물이 특정 함량으로 포함된 배지 100 μl를 가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Luciferase Assay(E1501, Promega, USA)를 진행하는 well에는 1 × Passive Lysis Buffer 20 μl를 첨가하고, Renilla Luciferase Assay(E2820, Promega, USA)를 진행하는 well에는 1 × Renilla Luciferase Lysis Buffer 20 μl를 첨가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각각의 Lysis Buffer에 의해 용해된 Lysate를 20 μl씩 white plate(136101, nunc, USA)에 옮긴 후, Luminometer를 이용하여 형광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음성대조군(CNT)의 경우, DMSO만을 동량으로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positive)의 경우, 17β-estradiol을 10 nM 처리하였다. 상기 각각의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Rα의 경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형광활성이 증가되었고, 구체적으로 DMSO에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을 60 ppm으로 처리한 경우, 양성대조군(positive)인 에스트로겐을 10 nM 처리한 것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최고 농도인 100 ppm을 사용한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약 250%에 해당된 형광활성을 나타낸 반면(도 2a), 요한초 전초 추출물의 경우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Rβ의 경우,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과 요한초 전초 추출물 모두 형광활성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DMSO에 요한초 꽃 및 잎의 혼합물 추출물을 20 ppm으로 처리한 경우, 음성대조군은 물론 양성대조군(positive) 모두에 대해서 약 300% 내지 500%의 현저하게 우수한 형광활성이 나타났으며, 요한초 전초 추출물을 20 ppm으로 처리한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약 200% 정도의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요한초 추출물은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며, 특히 에스트로겐 활성의 측면에서 요한초 전초를 대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 보다는 요한초 꽃 및 잎을 분리하여 이에 대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3. MCF -7 세포주의 세포증식 촉진능 평가
상기 실시예 2-1에스트로겐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한 갱년기 증후군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TCC에서 분양받은 인간유방 유래 암세포주인 MCF-7 세포주의 세포증식 촉진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MCF-7 유방암 세포주를 배양배지(DMEM/F12(11330-032, GIBCO, USA) + 10% FBS(26140-111, GIBCO, USA) + 1% Penicillin Streptomycin(15140-122, GIBCO, USA) + 1% Bovine insulin(Cellapplications, USA))에 계대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FBS에 포함된 에스트로겐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FBS를 charcoal dextran treated FBS로 대체한 배지에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96 well plate에 2 × 104 cell / 100 μl의 함량으로 각 well에 분주(seeding)한 후, 37 ℃에서 5% CO2 incubator 배양기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배지에 DMSO만 처리한 음성대조군(CNT(-)), 에스트로겐 즉, 17β-estradiol을 10 μM 처리한 양성대조군(CNT(+)),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및 17β-estradiol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시료를 각각의 농도별로 처리한 후, 3일 간격으로 각각의 시료가 함유된 배지를 교체 처리하였다. 최초 처리일로부터 6일 후, MTT 실험법을 통해 세포증식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MCF-7 세포주는 에스트로겐이 포함된 배지에서 우수한 세포증식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의 경우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증식능이 증가하다, 80 μg/ml에서는 오히려 세포증식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에스트로겐과 함께 사용한 경우, 에스트로겐 10μM 대비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이 40 μg/ml까지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능이 증가하였으나, 40 μg/ml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과 에스트로겐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종래 갱년기 치료를 위한 호르몬 대체 요법에 사용되는 17β-estradiol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17β-estradiol 10μM 대비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을 20 μg/ml까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제조예 >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캅셀제의 제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주사제의 제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50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조예 5. 액제의 제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10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8.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0.48 내지 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고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윤판나물 또는 환삼덩굴 분획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현미 30 %
율무 15 %
보리 20 %
들깨 7 %
검정콩 7 %
검은깨 7 %
요한초 꽃 및 잎 혼합물의 추출물 3 %
영지 0.5 %
지황 0.5 %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용매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안면홍조, 골다공증 및 정맥혈전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에스트로겐(Estrogen)을 더 포함한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이고,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 및 상기 에스트로겐의 함량비는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스트로겐이 130 중량부 내지 140 중량부인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6. 요한초(Hypericum perforatum)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에스트로겐(Estrogen)을 더 포함한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이고, 상기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 및 상기 에스트로겐의 함량비는 요한초의 꽃 및 잎 혼합물의 용매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스트로겐이 130 중량부 내지 140 중량부인 것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식품인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KR1020130036047A 2013-04-02 2013-04-02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120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47A KR20140120215A (ko) 2013-04-02 2013-04-02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47A KR20140120215A (ko) 2013-04-02 2013-04-02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215A true KR20140120215A (ko) 2014-10-13

Family

ID=5199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047A KR20140120215A (ko) 2013-04-02 2013-04-02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2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1336A (zh) * 2016-12-16 2017-03-22 常州南京大学高新技术研究院 Harrisotone A衍生物的组合物在抗骨质疏松药物中的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1336A (zh) * 2016-12-16 2017-03-22 常州南京大学高新技术研究院 Harrisotone A衍生物的组合物在抗骨质疏松药物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80010961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5617110B2 (ja) 経口発毛促進剤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1007088B1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7028B1 (ko) 산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7208A (ko)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KR102075836B1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2348A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0215A (ko) 요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0592A (ko) 하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150037101A (ko)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541649B1 (ko) 엉겅퀴, 우슬, 칡, 아로니아, 석류, 하수오 및 생강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66879B1 (ko)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2547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70140651A (ko) 하니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7290B1 (ko)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8967B1 (ko) 갈화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3820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