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809A -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 Google Patents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809A
KR20140119809A KR1020147024774A KR20147024774A KR20140119809A KR 20140119809 A KR20140119809 A KR 20140119809A KR 1020147024774 A KR1020147024774 A KR 1020147024774A KR 20147024774 A KR20147024774 A KR 20147024774A KR 20140119809 A KR20140119809 A KR 2014011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less
steel sheet
temperatur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751B1 (ko
Inventor
도시오 무라카미
히데오 하타
준야 나이토
게이스케 오키타
슈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4011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08Deep-drawing by heating the blank or deep-draw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8Deep-drawing of cylindrical articles using consecutive dies
    • B21D22/286Deep-drawing of cylindrical articles using consecutive die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 방법은, 소정의 화학 성분 조성을 갖고, 강판 중에 포함되는 Ti 함유 석출물 중, 원상당 직경이 30㎚인 것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3㎚ 이상임과 함께, 강 중의 석출 Ti량과 전체 Ti량이 하기 (1)식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을, Ac3 변태점 이상, 9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한 후, 프레스 성형을 개시하고, 하사점에서 유지하여 금형 내에서 20℃/초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를 확보하면서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보다도 낮은 온도까지 냉각한다.
Figure pct00010

((1)식 중, [N]은 강 중의 N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Description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PROCESS FOR PRODUCING PRESS-FORMED PRODUCT, AND PRESS-FORMED PRODU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조 부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품, 및 이러한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가열된 강판(블랭크)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가공할 때, 형상 부여와 동시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소정의 강도를 얻는 프레스 성형법에 적용하여 제조되는 프레스 성형품, 및 그러한 프레스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환경 문제에서 발단되는 자동차의 연비 향상 대책 중 하나로서, 차체의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어, 자동차에 사용되는 강판을 가능한 한 고강도화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한편, 강판을 고강도화하면, 프레스 성형시의 형상 정밀도가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강판을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강도를 낮춘 후, 강판에 비해 저온(예를 들어, 실온)인 금형에서 성형함으로써, 형상의 부여와 동시에, 양자의 온도차를 이용한 급냉 열처리(켄칭)를 행하여, 성형 후의 강도를 확보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법이 부품 제조에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열간 프레스 성형법은, 핫 프레스법 외에, 핫 포밍법, 핫 스탬핑법, 핫 스탬프법, 다이켄칭법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열간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기 위한 금형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로, 도면 중 부호 1은 펀치, 2는 다이, 3은 블랭크 홀더, 4는 강판(블랭크), BHF는 블랭크 홀더력, rp는 펀치 견부 반경, rd는 다이 견부 반경, CL은 펀치/다이간 클리어런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부품 중, 펀치(1)와 다이(2)에는 냉각 매체(예를 들어, 물)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1a, 2a)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통로에 냉각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들 부재가 냉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금형을 사용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예를 들어, 열간 딥 드로잉 가공)할 때에는, 강판(블랭크)(4)을, Ac3 변태점 이상의 단상역 온도로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에서 성형을 개시한다. 즉, 고온 상태에 있는 강판(4)을 다이(2)와 블랭크 홀더(3)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펀치(1)에 의해 다이(2)의 구멍 내에 강판(4)을 밀어넣고, 강판(4)의 외경을 줄이면서 펀치(1)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성형한다. 또한, 성형과 병행하여 펀치(1) 및 다이(2)를 냉각함으로써, 강판(4)으로부터 금형[펀치(1) 및 다이(2)]으로의 발열(拔熱)을 행함과 함께, 성형 하사점(펀치 선단이 최심부에 위치한 시점 :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더 유지 냉각함으로써 소재의 켄칭을 실시한다. 이러한 성형법을 실시함으로써, 치수 정밀도가 좋은 1500㎫급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냉간에서 동일한 강도 클래스의 부품을 성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성형 하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기의 용량이 작아도 되게 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으로서는, 22MnB5강을 소재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강판은, 인장 강도가 1500㎫이고, 연신율이 6∼8% 정도로, 내 충격 부재(충돌시에 최대한 변형시키지 않고, 파단되지 않는 부재)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흡수 부재와 같이 변형을 필요로 하는 부품에는, 연신율(연성)이 낮으므로 적용이 곤란하다.
양호한 연신율을 발휘하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4와 같은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이들 기술에서는, 강판 중의 탄소 함유량을 다양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강판의 기본적인 강도 클래스를 조정함과 함께, 변형능이 높은 페라이트를 도입하고,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평균 입경을 작게 함으로써, 연신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들 기술은, 연신율의 향상에는 유효하지만, 강판의 강도에 따른 연신율 향상의 관점에서 보면, 여전히 불충분하다. 예를 들어, 인장 강도 TS가 1470㎫ 이상인 것에서 연신율 EL이 최대 10.2% 정도로, 가일층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2010-652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2010-652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2010-652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2010-6529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고강도와 연신율의 밸런스를 고레벨로 달성할 수 있는 프레스 성형품을 얻는 데 있어서 유용한 방법, 및 상기 특성을 발휘하는 프레스 성형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이라 함은,
C:0.15∼0.5%(질량%의 의미. 이하, 화학 성분 조성에 대해 동일함.),
Si:0.2∼3%,
Mn:0.5∼3%,
P: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S: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Al:0.01∼1%,
B:0.0002∼0.01%,
Ti:3.4[N]+0.01% 이상, 3.4[N]+0.1% 이하[단, [N]은 N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및
N:0.001∼0.01%,
를 각각 함유하고, 잔량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강판 중에 포함되는 Ti 함유 석출물 중, 원상당 직경이 30㎚ 이하인 것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3㎚ 이상임과 함께, 강 중의 석출 Ti량과 전체 Ti량이 하기 (1)식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을, Ac3 변태점 이상, 9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한 후, 프레스 성형을 개시하고, 하사점에서 유지하여 금형 내에서 20℃/초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를 확보하면서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보다도 낮은 온도까지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상당 직경」이라 함은, Ti 함유 석출물(예를 들어, TiC)의 크기(면적)에 착안하였을 때, 동일 면적의 원으로 환산하였을 때의 직경(「평균 원상당 직경」은 그 평균값)이다.
Figure pct00001
((1)식 중, [N]은 강 중의 N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원소로서, (a) V, Nb 및 Z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b) Cu, Ni, Cr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 Mg, Ca 및 RE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등을 더 함유시키는 것도 유용하고, 함유되는 원소의 종류에 따라서, 프레스 성형품의 특성이 더욱 개선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프레스 성형품에서는, 금속 조직이, 마르텐사이트:80∼97면적%, 잔류 오스테나이트:3∼20면적%, 잔량부 조직:5면적% 이하이고, 또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이 0.50% 이상인 것으로 되어, 프레스 성형품 내에서 고강도와 연신율의 밸런스를 고레벨로 균일한 특성으로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 성분 조성을 엄밀하게 규정함과 함께, Ti 함유 석출물의 크기를 제어하고, 또한 TiN을 형성하지 않는 Ti에 대해서는 그 석출률을 제어한 강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소정의 조건에서 열간 프레스함으로써, 성형품의 강도-연신율 밸런스를 고레벨로 할 수 있다.
도 1은 열간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기 위한 금형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강판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프레스 성형품을 제조할 때, 프레스 성형 후에 있어서 고강도를 확보하면서 양호한 연성(연신율)도 나타내는 프레스 성형품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열간 프레스용 강판의 화학 성분 조성을 엄밀하게 규정함과 함께, Ti 함유 석출물의 크기 및 석출 Ti량의 제어를 도모한 것으로 하면, 상기 강판을 소정 조건에서 열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성형 후에 소정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하여, 내재하는 연성(잔존 연성)을 높게 한 프레스 성형품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에서는, 화학 성분 조성을 엄밀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지만, 각 화학 성분의 범위 한정 이유는 하기와 같다.
[C:0.15∼0.5%]
C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원소이다. Ac3 변태점 이상의 단상역 온도의 가열시에, 오스테나이트에 농화됨으로써, 켄칭 후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형성시킨다. 또한, 마르텐사이트량의 증가나, 마르텐사이트의 강도를 지배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원소이다. C 함유량이 0.15% 미만에서는, 소정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량을 확보할 수 없어, 양호한 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마르텐사이트의 강도가 부족하여, 성형품의 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C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어 0.5%를 초과하면,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어, 연성이 저하된다. C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18%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45%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이하)이다.
[Si:0.2∼3%]
Si는, 금형 켄칭의 냉각 중에 마르텐사이트가 템퍼링되어 시멘타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고용 상태의 탄소를 증대시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형성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Si 함유량이 0.2% 미만에서는, 소정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량을 확보할 수 없어, 양호한 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Si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어 3%를 초과하면, 고용 강화량이 지나치게 커져, 연성이 대폭 떨어지게 된다. Si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15%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7%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Mn:0.5∼3%]
Mn은,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원소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증가에 기여한다. 또한, 켄칭성을 높여, 가열 후의 냉각 중에 페라이트, 펄라이트,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도 유효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Mn은 0.5%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특성만을 고려한 경우는, Mn 함유량은 많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합금 첨가의 비용이 상승하므로, 3% 이하로 하였다. Mn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7%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P: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P는, 강 중에 불가피적으로 포함되는 원소이지만 연성을 떨어뜨리므로, P는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극단적인 저감은 제강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고, 0%로 하는 것은 제조상 곤란하므로, 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로 하였다. P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45%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40% 이하)이다.
[S: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S도 P와 마찬가지로 강 중에 불가피적으로 포함되는 원소로, 연성을 떨어뜨리므로, S는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극단적인 저감은 제강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고, 0%로 하는 것은 제조상 곤란하므로, 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로 하였다. S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45%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40% 이하)이다.
[Al:0.01∼1%]
Al은, 탈산 원소로서 유용함과 함께, 강 중에 존재하는 고용 N을 AlN으로서 고정하여, 연성의 향상에 유용하다. 이러한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Al 함유량은 0.01%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어 1%를 초과하면, Al2O3이 과잉으로 생성되어, 연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Al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2%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0.8%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B:0.0002∼0.01%]
B는, 페라이트 변태, 펄라이트 변태 및 베이나이트 변태를 억제하여, 가열 후의 냉각 중에 페라이트, 펄라이트,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도 유효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B는 0.0002%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지만, 0.01%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함유시켜도 효과가 포화된다. B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003%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08%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이다.
[Ti:3.4[N]+0.01% 이상, 3.4[N]+0.1% 이하:[N]은 N의 함유량(질량%)]
Ti는, N을 고정하고, B를 고용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켄칭성의 개선 효과를 발현시킨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Ti와 N의 화학 양론비[N의 함유량의 3.4배]보다도 0.01% 이상 많이 함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단, Ti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어 3.4[N]+0.1%보다도 많아지면, 형성되는 Ti 함유 석출물(예를 들어, TiN)은 미세 분산되고, 오스테나이트 영역에 가열 후의 냉각 중에 라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의 길이 방향으로의 성장을 저해하여, 어스펙트비가 작은 라스 조직으로 된다. 반대로, 석출물을 충분히 크게 하면, 어스펙트비가 큰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되어,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C량이 동등해도 안정된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얻어져, 특성(연신율)이 향상되게 된다. T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4[N]+0.02%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4[N]+0.05% 이상)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3.4[N]+0.09%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3.4[N]+0.08% 이하)이다.
[N:0.001∼0.01%]
N은, B를 BN으로서 고정함으로써, 켄칭성 개선 효과를 저하시키므로, 가능한 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 프로세스 중에서 저감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0.001%를 하한으로 하였다. 또한, N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면, 변형 시효에 의해 연성이 떨어지거나, BN으로서 석출되어, 고용 B에 의한 켄칭성 개선 효과를 저하시키므로, 상한을 0.01%로 하였다. 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8%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6%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화학 성분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잔량부는 철 및 P, S 이외의 불가피 불순물(예를 들어, O, H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용 강판에는, 필요에 따라, (a) V, Nb 및 Z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b) Cu, Ni, Cr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 Mg, Ca 및 RE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등을 더 함유시키는 것도 유용하고, 함유되는 원소의 종류에 따라서, 열간 프레스용 강판의 특성이 더욱 개선된다. 이들 원소를 함유할 때의 바람직한 범위 및 그 범위 한정 이유는 하기와 같다.
[V, Nb 및 Z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V, Nb 및 Zr은, 미세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피닝 효과에 의해 조직을 미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합계 0.001%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원소의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면, 조대한 탄화물이 형성되어, 파괴의 기점으로 됨으로써 반대로 연성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이들 원소는 합계 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원소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합계 0.005%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합계 0.08%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이다.
[Cu, Ni, Cr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합계 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u, Ni, Cr 및 Mo는, 페라이트 변태 및 펄라이트 변태를 억제하므로, 가열 후의 냉각 중에, 페라이트, 펄라이트의 형성을 방지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확보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합계 0.01%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성만을 고려하면 함유량은 많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합금 첨가의 비용이 상승하므로, 합계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스테나이트의 강도를 대폭 높이는 작용을 가지므로, 열간 압연의 부하가 커지고, 강판의 제조가 곤란해지므로, 제조성의 관점에서도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원소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합계 0.05%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합계 0.5%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Mg, Ca 및 RE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이들 원소는, 개재물을 미세화하므로, 연성 향상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합계 0.0001%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성만을 고려하면 함유량은 많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효과가 포화되므로, 합계 0.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원소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합계 0.0002%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합계 0.005%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에서는, (A) 강판 중에 포함되는 Ti 함유 석출물 중, 원상당 직경이 30㎚ 이하인 것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3㎚ 이상인 것, (B) 석출 Ti량(질량%)-3.4[N]≥0.5×[전체 Ti량(질량%)-3.4[N]]의 관계[상기 (1)식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도 중요한 요건이다.
Ti 함유 석출물이나 (1)식의 제어는, 성형품에서의 연신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며, 본래, 성형품에 있어서 필요한 제어이지만, 열간 프레스 성형 전후에서 이들 값의 변화는 작고, 따라서 성형 전(열간 프레스용 강판)의 단계에서 미리 제어해 둘 필요가 있다. 성형 전의 강판 중에서 N에 대해 과잉인 Ti가 열간 프레스 전의 강판 중에 있어서, 미세하게 분산, 혹은 대부분이 고용 상태로 존재하면, 열간 프레스의 가열시에 있어서 미세한 상태로 다량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가열 후에, 금형 내에서의 급냉 중에 일어나는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있어서, 마르텐사이트 라스의 길이 방향으로의 성장이 저해되고, 폭 방향으로의 성장이 촉진되어 어스펙트비가 작아진다. 그 결과, 마르텐사이트 라스로부터 주위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로의 탄소 토출이 지연되어,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이 저감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연신율의 향상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Ti 함유 석출물을 조대하게 분산시켜 둘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강판 중에 포함되는 Ti 함유 석출물 중, 원상당 직경이 30㎚인 것의 평균 원상당 직경으로 3㎚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상기 (A)의 요건]. 또한, 여기서 대상으로 하는 Ti 함유 석출물의 원상당 직경을 30㎚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용제 단계에서 조대하게 형성되어, 그 후, 조직 변화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TiN을 제외한 Ti 함유 석출물을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i 함유 석출물의 크기(원상당 직경이 30㎚ 이하인 Ti 함유 석출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Ti 함유 석출물이라 함은, TiC 및 TiN 외에, TiVC, TiNbC, TiVCN, TiNbCN 등의 Ti를 함유하는 석출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또한, 열간 프레스용 강판에 있어서는, Ti 중 N을 석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 이외의 Ti의 대부분을 석출 상태로 존재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TiN 이외의 석출물로서 존재하는 Ti량(즉, 석출 Ti량(질량%)-3.4[N])은, 전체 Ti 중 TiN을 형성하는 Ti를 뺀 나머지의 0.5배 이상(즉, 0.5×[전체 Ti량(질량%)-3.4[N]]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상기 (B)의 요건]. 석출 Ti량(질량%)-3.4[N]은, 바람직하게는 0.6×[전체 Ti량(질량%)-3.4[N]]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전체 Ti량(질량%)-3.4[N]] 이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강판(열간 프레스용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학 성분 조성을 갖는 강재를 용제한 주조편을, 가열 온도:1100℃ 이상(바람직하게는 1150℃ 이상), 1300℃ 이하(바람직하게는 1250℃ 이하)로 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를 850℃ 이상(바람직하게는 900℃ 이상), 1000℃ 이하(바람직하게는 950℃ 이하)로 하여 열간 압연을 행하고, 그 후 700∼650℃의 온도 범위(중간 공냉 온도)에서 10초 이상 체류시킨 후, 중간 공냉 온도 이하, 600℃ 이상(바람직하게는 650℃ 이상)에서 권취하도록 하면 된다. 이 방법은, 고온에서 페라이트 변태시킴으로써, 페라이트 변태 중에 형성되는 TiC 등의 Ti 함유 석출물을 조대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권취 온도를 고온화함으로써, 형성된 TiC 등의 Ti 함유 석출물을 성장시켜 조대화하는 것이다.
강판(열간 프레스용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학 성분 조성을 갖는 강재를 용제한 주조편을, 가열 온도:1100℃ 이상(바람직하게는 1150℃ 이상), 1300℃ 이하(바람직하게는 1250℃ 이하)로 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를 750℃ 이상(바람직하게는 770℃ 이상), 850℃ 이하(바람직하게는 830℃ 이하)로 하여 열간 압연을 행하고, 그 후 750∼700℃의 온도 범위(중간 공냉 온도)에서 10초 이상 체류시킨 후, 중간 공냉 온도 이하, 200℃ 이상(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에서 권취하도록 하면 된다. 이 방법은, 오스테나이트 중에 열간 압연에 의해 도입된 전위가 잔존하는 온도 영역에서 압연을 종료하고, 그 직후에 서냉함으로써 전위 상에 TiC 등의 Ti 함유 석출물을 조대하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열간 프레스용 강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각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간 압연 후, 미세하게 석출물이 존재하는 강판을 역변태점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 석출물을 조대화시키는 방법 등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학 성분 조성 및 Ti 석출 상태를 갖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을, 그대로 열간 프레스의 제조에 제공해도 되고, 산세 후에 압하율:10∼80%(바람직하게는 20∼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나서 열간 프레스의 제조에 제공해도 된다. 또한, 열간 프레스용 강판 또는 그 냉간 압연재를, Ti 함유 석출물이 전량 고용되지 않는 온도 범위(예를 들어 1000℃ 이하)에 있어서 열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용 강판에는, 그 표면(소지 강판 표면)에, Al, Zn, Mg, Si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도금을 실시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열간 프레스용 강판을 사용하여, Ac3 변태점 이상, 9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한 후, 프레스 성형을 개시하고, 하사점에서 유지하여 금형 내에서 20℃/초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를 확보하면서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보다도 낮은 온도까지 냉각함으로써, 단일 특성을 갖는 프레스 성형품에서, 소정의 강도, 또한 고연성의 것으로 하여 최적의 조직(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하는 조직)으로 만들 수 있다. 이 성형법 있어서의 각 요건을 규정한 이유는, 하기와 같다.
강판의 가열 온도가 Ac3 변태점보다도 낮으면, 가열시에 충분한 오스테나이트가 얻어지지 않아, 최종 조직(성형품의 조직)에서 소정량의 마르텐사이트를 확보할 수 없다. 또한, 강판의 가열 온도가 950℃를 초과하면, 가열시에 오스테나이트의 입경이 커지고,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 및 마르텐사이트 종료 온도(Mf)가 상승하여, 켄칭시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할 수 없어, 양호한 성형성이 달성되지 않는다.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Ac3 변태점+2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Ac3 변태점+30℃ 이상)이고, 930℃ 이하이다.
상기 가열 공정에서 형성된 오스테나이트를,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등의 조직의 생성을 저지하면서, 원하는 조직(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하는 조직)으로 하기 위해서는, 하사점에서 유지하여 금형 내의 평균 냉각 속도 및 냉각 종료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때의 평균 냉각 속도는 20℃/초 이상으로 하고, 냉각 종료 온도(급냉 종료 온도)는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보다도 낮은 온도로 할 필요가 있다. 평균 냉각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0℃/초 이상)이다. 급냉 종료 온도를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보다도 낮은 온도 이하로 함으로써,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등의 조직의 생성을 저지하면서, 가열시에 존재한 오스테나이트를 마르텐사이트 변태시켜, 마르텐사이트량을 확보하면서, 마르텐사이트의 라스 사이에 미세한 오스테나이트를 잔류시켜 소정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한다.
상기 급냉 종료 온도가,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 이상으로 되거나, 평균 냉각 속도가 20℃/초 미만에서는,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등의 조직이 형성되어, 소정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할 수 없어, 성형품에 있어서의 연신율(연성)이 열화된다.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보다도 낮은 온도로 된 단계에서, 평균 냉각 속도의 제어는 기본적으로 불필요해지지만, 예를 들어 1℃/초 이상, 100℃/초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로 실온까지 냉각해도 된다. 또한, 성형 중 및 성형 종료 후의 평균 냉각 속도의 제어는, (a) 성형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거나(상기 도 1에 도시한 냉각 매체), (b) 금형의 열전도율을 제어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프레스 성형품에서는, 금속 조직이, 마르텐사이트:80∼97면적%, 잔류 오스테나이트:3∼20면적%, 잔량부 조직:5면적% 이하이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이 0.50% 이상의 것으로 되어, 성형품 내에서 고강도와 연신율의 밸런스를 고레벨로 균일한 특성으로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프레스 성형품에 있어서의 각 요건(기본 조직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의 범위 설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프레스 성형품의 주요 조직을, 고강도, 또한 연성이 우수한 마르텐사이트로 함으로써, 프레스 성형품의 고강도와 고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분율은, 80면적%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분율이 97면적%를 초과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이 부족하여, 연성(잔존 연성)이 저하된다. 마르텐사이트 분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83면적%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85면적% 이상)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95면적%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93면적% 이하)이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소성 변형 중에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됨으로써, 가공 경화율을 상승시켜(변태 유기 소성), 성형품의 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3면적%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연성에 대해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많으면 많을수록 양호해진다. 자동차용 강판에 사용되는 조성에서는, 확보할 수 있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한정되어 있고, 20면적% 정도가 상한으로 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바람직한 하한은 5면적%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7면적% 이상)이다.
상기 조직 외에는,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등을 잔량부 조직으로서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 조직은 강도에 대한 기여나, 연성에 대한 기여가 다른 조직에 비해 낮아, 기본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0면적%여도 됨). 단, 5면적%까지라면 허용할 수 있다. 잔량부 조직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면적%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면적% 이하이다.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은, 인장 시험 등의 변형시에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가공 유기 변태되는 타이밍에 영향을 미쳐, 탄소량이 많을수록 고변형 영역에서 가공 유기 변태됨으로써 변태 유기 소성(TRIP) 효과를 크게 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경우, 냉각 중에, 형성된 베이니틱 페라이트로부터 주위의 오스테나이트로 탄소가 토출된다. 그때, 강 중에 분산되어 있는 Ti 탄화물 혹은 탄질화물이, 조대하게 분산되어 있으면, 베이니틱 페라이트의 길이 방향으로의 성장이 저해되지 않고 진행되므로, 폭이 좁고 긴 어스펙트비가 큰 베이니틱 페라이트로 된다. 그 결과, 베이니틱 페라이트로부터 폭 방향으로 탄소가 토출되기 쉬워지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이 증가하여, 연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프레스 성형품에서는, 강 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은 0.50% 이상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은 0.70% 정도까지 농화시킬 수는 있지만, 1.0% 정도가 한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프레스 성형 조건(가열 온도나 냉각 속도)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성형품의 강도나 연신율 등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고연성(잔존 연성)의 프레스 성형품이 얻어지므로, 지금까지의 프레스 성형품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웠던 부위(예를 들어, 에너지 흡수 부재)에도 적용이 가능해져, 열간 프레스 성형품의 적용 범위를 넓히는 데 있어서 극히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후술하는 취지에 비추어 설계 변경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화학 성분 조성을 갖는 강재(강 No.1∼30)를 진공 용제하여, 실험용 슬래브로 한 후, 열간 압연을 행하여 강판으로 하고, 그 후에 냉각하여 권취를 모의한 처리를 실시하였다(판 두께:3.0㎜). 권취 모의 처리 방법은, 권취 온도까지 냉각 후, 권취 온도로 가열한 노에 시료를 넣고, 30분 유지한 후 노냉하였다. 이때의 강판 제조 조건을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Ac3 변태점 및 Ms점은, 하기의 (2)식, (3)식을 사용하여 구한 것이다[예를 들어, 「레슬리 철강 재료학」 마루젠(丸善), (1985) 참조]. 또한, 표 2의 비고란에 나타낸 처리 (1), (2)는, 하기에 나타내는 각 처리(압연, 냉각, 합금화)를 행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단, [C], [Si], [Mn], [P], [Al], [Ti], [V], [Cr], [Mo], [Cu] 및 [Ni]는, 각각 C, Si, Mn, P, Al, Ti, V, Cr, Mo, Cu 및 Ni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2)식, (3)식의 각 항에 나타내어진 원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는, 그 항이 없는 것으로 하여 계산한다.
처리 (1) : 열간 압연 강판을 냉간 압연 후(판 두께:1.6㎜), 열처리 시뮬레이터로 연속 어닐링을 모의하고, 800℃로 가열한 후 90초 유지하고, 20℃/초의 평균 냉각 속도로 500℃까지 냉각하고, 300초 유지하였다.
처리 (2) : 열간 압연 강판을 냉간 압연 후(판 두께:1.6㎜), 열처리 시뮬레이터로 연속 용융 아연 도금 라인을 모의하기 위해 860℃로 가열한 후, 30℃/초의 평균 냉각 속도로 400℃까지 냉각하고, 유지 후, 도금욕에의 침지-합금화 처리를 모의하기 위해 다시 500℃×10초 유지 후, 20℃/초의 평균 냉각 속도로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얻어진 강판에 대해, Ti의 석출 상태의 분석[석출 Ti량(질량%)-3.4[N], Ti 함유 석출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을 하기 요령으로 행하였다. 그 결과를, 0.5×[전체 Ti량-3.4[N]]의 계산값[0.5×(전체 Ti량-3.4[N])과 표시]과 함께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강판의 Ti의 석출 상태의 분석]
추출 레플리카 샘플을 제작하고,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Ti 함유 석출물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이미지(배율:10만배)를 촬영하였다. 이때,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기(EDX)에 의해 석출물의 조성 분석을 함으로써, Ti 함유 석출물을 특정하였다. 적어도 100개 이상의 Ti 함유 석출물의 면적을 화상 해석에 의해 측정하여, 원상당 직경이 30㎚ 이하인 것을 추출하고, 그 평균값을 석출물 사이즈로 하였다. 또한, 표 중에는 「Ti 함유 석출물의 평균 원상당 직경」으로서 나타낸다. 또한, 석출 Ti량(질량%)-3.4[N](석출물로서 존재하는 Ti량)은, 메쉬 직경:0.1㎛인 메쉬를 사용하여 추출 잔사 분석을 행하고(추출 처리시에, 석출물이 응집되어 미세한 석출물도 측정할 수 있음), 석출 Ti량(질량%)-3.4[N](표 3에서는 석출 Ti량-3.4[N]이라 표시)을 구하였다. 또한, Ti 함유 석출물이 V나 Nb를 일부 함유하고 있는 경우는, 이들 석출물의 함유량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5
상기 각 강판(1.6㎜t×150㎜×200㎜)에 대해[상기 처리 (1), (2)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열간 압연에 의해 두께를 1.6㎜로 조정], 가열로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햇 형상의 금형(상기 도 1)에서 프레스 성형 및 냉각 처리를 실시하여, 성형품으로 하였다. 프레스 성형 조건(프레스 성형시의 가열 온도, 평균 냉각 속도, 급속 냉각 종료 온도)을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얻어진 성형품에 대해, 인장 강도(TS), 연신율(전연신율 EL), 금속 조직의 관찰(각 조직의 분율)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TS) 및 연신율(전연신율 EL)의 측정]
JIS 5호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고, 인장 강도(TS), 연신율(EL)을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 시험의 변형 속도:10㎜/초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인장 강도(TS)가 1200㎫ 이상이고 연신율(EL)이 13% 이상, 인장 강도(TS)가 1470㎫ 이상이고 연신율(EL)이 11% 이상, 또는 인장 강도(TS)가 1800㎫ 이상이고 연신율(EL)이 10% 이상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고, 또한 강도-연신율 밸런스(TS×EL)가 16000(㎫·%) 이상일 때에 합격으로 평가하였다.
[금속 조직의 관찰(각 조직의 분율)]
(1) 성형품 중의, 베이니틱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페라이트의 조직에 대해서는, 강판을 나이탈에 의해 부식시키고, SEM(배율:1000배 또는 2000배) 관찰에 의해, 베이니틱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페라이트를 구별하여, 각각의 분율(면적률)을 구하였다.
(2) 성형품 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은, 강판의 1/4의 두께까지 연삭한 후, 화학 연마하고 나서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하였다(예를 들어, ISJJ Int. Vol. 33. (1933), No.7, P.776).
금속 조직의 관찰 결과(각 조직의 분율,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성형품의 기계적 특성(인장 강도 TS, 연신율 EL 및 TS×EL)을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이들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강 No.1, 2, 4, 5, 8∼10, 14, 15, 17∼19, 21∼30의 것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만족시키는 실시예로, 강도-연성 밸런스가 양호한 성형품이 얻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강 No.3, 6, 7, 11∼13, 16, 20의 것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어느 하나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로, 어느 하나의 특성이 열화되어 있다. 즉, 강 No.3의 것은, Si 함유량이 적은 강판을 사용한 것으로, 성형품 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확보되지 않아, 연신율이 나오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강 No.6의 것은, 강판 제조시의 750∼700℃에서의 냉각 시간이 짧게 되어 있어, 강판이 (1)식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고, 또한 성형품에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 함유량이 적어져, 성형품의 연신율이 열화되어 있다[강도-연신율 밸런스(TS×EL)도 저하되어 있음]. 강 No.7의 것은, 강판 제조시의 마무리 압연 온도가 높아, 강판이 (1)식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고, 또한 성형품에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 함유량이 적어져, 성형품의 연신율이 열화되어 있다[강도-연신율 밸런스(TS×EL)도 저하되어 있음].
강 No.11의 것은, 성형시의 가열 온도가 낮으므로, 베이나이트나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마르텐사이트의 생성이 적어져, 강도가 지나치게 낮게 되어 있다. 강 No.12의 것은, 금형 내에서의 평균 냉각 속도가 느리게 되어 있고,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을 확보할 수 없어, 강도가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강 No.13의 것은, 프레스 성형시의 급속 냉각 종료 온도가 높게 되어 있고,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을 확보할 수 없어, 강도가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강 No.16의 것은, C 함유량이 과잉인 강판을 사용한 것으로, 성형품의 강도가 높아져 낮은 연신율(EL)밖에 얻어져 있지 않다. 강 No.20의 것은, Ti 함유량이 과잉인 강판을 사용한 것으로, 열연시의 가열 단계에서 Ti 함유 석출물을 용해할 수 없어, 거의 전부가 30㎚ 이상의 석출물로서 존재하고, TiC로서 고용 Ti를 감소시킴과 함께, 변형시의 파괴의 기점으로 되므로, 강도-연신율 밸런스(TS×EL)가 낮은 값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2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2-053849)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조 부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1 : 펀치
2 : 다이
3 : 블랭크 홀더
4 : 강판(블랭크)

Claims (3)

  1. C:0.15∼0.5%(질량%의 의미. 이하, 화학 성분 조성에 대해 동일함.),
    Si:0.2∼3%,
    Mn:0.5∼3%,
    P: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S:0.0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Al:0.01∼1%,
    B:0.0002∼0.01%,
    Ti:3.4[N]+0.01% 이상, 3.4[N]+0.1% 이하[단, [N]은 N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및
    N:0.001∼0.01%,
    를 각각 함유하고, 잔량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강판 중에 포함되는 Ti 함유 석출물 중, 원상당 직경이 30㎚ 이하인 것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3㎚ 이상임과 함께, 강 중의 석출 Ti량과 전체 Ti량이 하기 (1)식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열간 프레스용 강판을, Ac3 변태점 이상, 9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한 후, 프레스 성형을 개시하고, 하사점에서 유지하여 금형 내에서 20℃/초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를 확보하면서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보다도 낮은 온도까지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09

    ((1)식 중, [N]은 강 중의 N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프레스용 강판은, 다른 원소로서, 하기 (a)∼(c)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하는 것인,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a) V, Nb 및 Z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b) Cu, Ni, Cr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 Mg, Ca 및 RE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화학 성분을 갖는 강판의 프레스 성형품이며, 상기 성형품은, 금속 조직이, 마르텐사이트:80∼97면적%, 잔류 오스테나이트:3∼20면적%, 잔량부 조직:5면적% 이하이고, 또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량이 0.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품.
KR1020147024774A 2012-03-09 2013-03-01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KR101587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3849A JP6001884B2 (ja) 2012-03-09 2012-03-09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JPJP-P-2012-053849 2012-03-09
PCT/JP2013/055675 WO2013133164A1 (ja) 2012-03-09 2013-03-01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809A true KR20140119809A (ko) 2014-10-10
KR101587751B1 KR101587751B1 (ko) 2016-01-21

Family

ID=4911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774A KR101587751B1 (ko) 2012-03-09 2013-03-01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07911A1 (ko)
EP (1) EP2824195B1 (ko)
JP (1) JP6001884B2 (ko)
KR (1) KR101587751B1 (ko)
CN (1) CN104160045B (ko)
WO (1) WO20131331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525B1 (ko) * 2020-02-19 2021-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핫 스탬핑 부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
US20210395856A1 (en) * 2015-07-30 2021-12-23 Arcelormittal Painted, hot formed, coated steel p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6003259A (es) * 2013-09-10 2016-06-07 Kobe Steel Ltd Placa de acero de prensado en caliente, articulo moldeado a presion, y metodo para fabricar articulo moldeado a presion.
CN105518170A (zh) * 2013-09-10 2016-04-20 株式会社神户制钢所 热压用钢板和冲压成形品、以及冲压成形品的制造方法
RU2650233C1 (ru) 2013-12-20 2018-04-13 Ниппон Стил Энд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Корпорейшн Горячепрессованное стальное листовое изделие,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тальной лист для горячего прессования
ES2761683T3 (es) 2014-05-29 2020-05-20 Nippon Steel Corp Material de acero tratado térmicamente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CN107532255B (zh) * 2015-04-08 2019-06-28 日本制铁株式会社 热处理钢板构件以及其的制造方法
BR112017020004A2 (pt) 2015-04-08 2018-06-1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folha de aço para tratamento térmico
MX2017012873A (es) 2015-04-08 2018-01-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Miembro de lamina de acero con tratamiento termico y metodo para producirlo.
WO2017017483A1 (en) 2015-07-30 2017-02-02 Arcelormittal Steel sheet coated with a metallic coating based on aluminum
BR112019000065A2 (pt) 2016-07-13 2019-04-0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rtigo conformado por estampagem a quente, membro de veículo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artigo conformado por estampagem a quente
ES2920050T3 (es) 2016-07-13 2022-08-01 Nippon Steel Corp Artículo formado estampado en caliente, elemento estructural que lo utiliza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artículo formado estampado en caliente
JP2019534381A (ja) * 2016-10-03 2019-11-28 エーケー スティール プロパティ−ズ、インク. 高伸長プレス硬化鋼及びその製造
US11534815B2 (en) * 2017-04-10 2022-12-27 Nippon Steel Corporation Press formed product, automobile structural member with the press form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 formed product
US11319622B2 (en) 2018-03-26 2022-05-03 Kobe Steel, Ltd.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JP7134106B2 (ja) * 2018-03-26 2022-09-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鋼板および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
JP6460287B1 (ja) * 2018-03-29 2019-01-3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プ用鋼板
US11725255B2 (en) 2018-12-18 2023-08-15 Arcelormittal Press hardened part with high resistance to delayed fractur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7436824B2 (ja) 2020-03-26 2024-02-22 日本製鉄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プ部品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593264B (zh) * 2020-06-28 2021-07-13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免回火型耐磨热轧带钢及生产方法
WO2024105429A1 (en) * 2022-11-14 2024-05-23 Arcelormittal High toughness press-hardened steel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4105428A1 (en) * 2022-11-14 2024-05-23 Arcelormittal High toughness press-hardened steel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3323A (ja) * 2008-08-12 2010-02-25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プレス用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間プレス鋼板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2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3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5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4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0177B (en) * 2001-08-24 2007-11-21 Nippon Steel Corp A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337923A (ja) * 2003-05-15 2004-12-02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成形鋼材の製造方法
JP4325277B2 (ja) * 2003-05-28 2009-09-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成形法と熱間成形部材
JP4288201B2 (ja) * 2003-09-05 2009-07-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自動車用部材の製造方法
JP4474952B2 (ja) * 2004-03-11 2010-06-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速変形特性および伸び特性に優れた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88528A (ja) * 2004-04-05 2005-10-20 Nippon Steel Corp 成形後高強度となる鋼板の熱間プレス方法
JP4967360B2 (ja) * 2006-02-08 2012-07-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プレス用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間プレス成形部材の製造方法
JP5040197B2 (ja) * 2006-07-10 2012-10-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かつ熱処理後の強度靭性に優れた熱延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05147B2 (ja) * 2007-01-19 2012-03-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薄物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69639B2 (ja) * 2008-11-25 2013-12-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熱影響部靭性と耐hic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74277A (ja) * 2009-01-28 2010-08-12 Jfe Steel Corp 熱間打ち抜き性に優れたダイクエンチ用鋼板及びダイクエンチ工法による部材の製造方法
JP2010174293A (ja) * 2009-01-28 2010-08-12 Jfe Steel Corp 熱間打抜き性に優れたダイクエンチ用鋼板
JP2011101889A (ja) * 2009-11-10 2011-05-26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プレス成形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0003997A1 (de) * 2010-01-04 2011-07-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33102 Verwendung einer Stahllegierung
PL2581465T3 (pl) * 2010-06-14 2019-09-3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Wyrób formowany przez wytłaczanie na gorąco, sposób wytwarzania blachy stalowej cienkiej do wytłaczania na gorąco i sposób wytwarzania wyrobu formowanego przez wytłaczanie na gorąco
CN103620075B (zh) * 2011-06-10 2016-02-17 株式会社神户制钢所 热压成形品、其制造方法和热压成形用薄钢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3323A (ja) * 2008-08-12 2010-02-25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プレス用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間プレス鋼板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2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3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5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2010065294A (ja) 2008-09-12 2010-03-25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部材、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用鋼板、およびそのホット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5856A1 (en) * 2015-07-30 2021-12-23 Arcelormittal Painted, hot formed, coated steel part
US20210395853A1 (en) * 2015-07-30 2021-12-23 Arcelormittal Hot formed pre-coated steel part
KR102289525B1 (ko) * 2020-02-19 2021-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핫 스탬핑 부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164A1 (ja) 2013-09-12
EP2824195B1 (en) 2018-04-25
CN104160045B (zh) 2016-03-30
EP2824195A4 (en) 2016-04-06
US20150007911A1 (en) 2015-01-08
KR101587751B1 (ko) 2016-01-21
JP2013185246A (ja) 2013-09-19
EP2824195A1 (en) 2015-01-14
CN104160045A (zh) 2014-11-19
JP6001884B2 (ja)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751B1 (ko)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KR101609967B1 (ko) 열간 프레스용 강판 및 프레스 성형품,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1609968B1 (ko) 열간 프레스용 강판 및 프레스 성형품,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1827188B1 (ko) 열간 프레스용 강판 및 프레스 성형품,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140119811A (ko)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US10072316B2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16624B1 (ko)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KR101827187B1 (ko) 열간 프레스용 강판 및 프레스 성형품,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140129129A (ko) 열간 프레스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3866A (ko) 열간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140129128A (ko) 열간 프레스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JP5894470B2 (ja) 熱間プレス用鋼板およびプレス成形品、並びに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JP5802155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JP5869924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