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730A -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730A
KR20140119730A KR1020147022247A KR20147022247A KR20140119730A KR 20140119730 A KR20140119730 A KR 20140119730A KR 1020147022247 A KR1020147022247 A KR 1020147022247A KR 20147022247 A KR20147022247 A KR 20147022247A KR 20140119730 A KR20140119730 A KR 2014011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ail
cover
gui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028B1 (ko
Inventor
알빈 팀머만
하인츠-에리히 디커스
안드레아스 베렌스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4011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8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reinforcement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 가이드 레일(41) 및 탄성 레그(25)에 의해 형성된 로킹 채널(27)을 갖는, 창유리(10)에 체결된 지지 레일(20),
- 로킹 레일(16) 및 포지셔닝 정지부(42)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채널(40)을 갖는 커버(14)
를 포함하고, 여기서
- 가이드 레일(41)은 가이드 채널(40) 내에 배치되고 로킹 레일(16)은 로킹 채널(27)에서 래칭되고, 여기서 로킹 후크(28)는 로킹 레일(16)의 돌출 영역(23)의 탄성 레그(25) 위로 래칭되고,
- 탄성 요소(13)는 커버(14)의 밑면의 정지면(19)과 가이드 레일(41) 사이의 가이드 채널(40)에서 클램핑되는,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SEALING ARRANGEMENT FOR VEHICLE WINDOW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독립항의 포괄적 부분에 따른 자동차 창유리(pane)용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또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자동차에서, 후드 아래로 앞유리(windshield)의 외부 표면을 연장하는 대면적 패널은 보통 앞유리의 하부 에지에 장착된다. 앞유리 와이퍼 시스템에 대한, 예를 들면 설치시 취급용이성, 수송, 및 보수 작업시 접근성을 위하여, 패널은 앞유리에 착탈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에서, 패널 상에서 정합 로킹(locking) 후크와 로킹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압출에 의해 제조된 프로파일이 앞유리에 장착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예를 들면, EP 1 240 041 B1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패널은 점점 더 앞유리와 동일 평면 상에 부착되어, 더욱 이용가능한 장착 공간을 제한한다.
지지(holding) 레일을 통해 워터 박스 커버에 대해 실링되도록 로킹된, 자동차 앞유리의 하부 영역을 위한 자동차 창유리용 실링 장치가 EP 1 280 675 B1에 공지되어 있다. 지지 레일은, 창유리의 하부 에지와 배수 챔버 커버의 상부 에지 사이에 배치되며 그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서 끝나는 시일(seal)을 갖는다. 그러나, 이 장치는 래칭(latching) 및 실링을 충분히 기능하게 함에 있어 매우 작은 제조 공차들만이 허용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DE 10 2009 026 369 A1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시일을 보이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로킹력(locking force)을 감소시키기 위해, EP 2 123 497 A1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패널 상에 낮은 수준의 힘으로 로킹 후크의 정합 언더컷과 래칭할 수 있는 유연한 립(lip)을 사용해 왔다. 유연한 립은 단지 커버의 위치 정확도가 낮다는 단점만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창유리를 위한 개선된 실링 장치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가능한 가장 간단하고 가장 경제적인 수단으로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래칭을 충분히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더 낮은 힘이 필요함과 동시에 더 큰 위치 정확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 1, 13 및 16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의 특징에 의해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다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창유리용 실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 가이드 레일 및 탄성 레그로 형성된 로킹 채널을 갖는 지지 레일, 및 지지 레일이 창유리에 체결되는 것,
- 로킹 레일 및 포지셔닝 정지부(positioning stop)로 형성된 가이드 채널을 갖는 커버,
여기서,
-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채널 내에 배치되며 로킹 레일은 로킹 채널 내에 래칭되고,
- 탄성 요소는 커버의 밑면의 정지면과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가이드 채널 내에 클램핑된다.
로킹 채널 내 로킹 레일의 로킹은, 로킹 레일의 돌출 영역에 래칭된 탄성 레그의 로킹 후크를 통해 일어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 지지 레일은 창유리에 내구적으로 결합하고,
- 커버의 가이드 레일은 지지 레일의 가이드 채널로 도입되며, 정의된 위치는 커버의 후방 에지와 창유리의 하부 에지 사이에 생성되고,
- 가이드 레일과 커버의 밑면의 정지면 사이의 탄성 요소의 인장 하에, 로킹 레일을 갖는 커버를 로킹 후크를 지나 채널 내로 가압하고,
- 커버는 탄성 요소의 이완 하에 되돌아가고, 로킹 후크는 로킹 레일의 돌출 영역에 래칭된다.
따라서, 지지 레일 및 그 위에 부착된 창유리에 대한 커버의 위치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채널로 정의된다. 가이드 채널은, 가이드 레일이 정의된 위치에 닿도록, 포지셔닝 정지부의 및 로킹 레일의 적합한 모양에 의해 깔대기 모양으로 설계된다.
로킹 레일 및 로킹 채널로 구성된 로킹 메커니즘은 단지 높은 힘의 소모로만 다시 착탈가능한 커버와 지지 레일의 내구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로킹 메커니즘은 커버가 지지 레일 상에서 가이드되는 조립 방향과 반대쪽으로의 커버 분리를 방지한다. 탄성 레그 및 그 위에 배치된 로킹 후크는 단지 인장 응력으로만 탄성 요소에 의해 응력을 받으며, 결국 매우 얇고 정교하게 설계될 수 있다. 가이드 채널 내에서 가이드 레일의 고정된 포지셔닝의 결과, 로킹 메커니즘은 조립 방향에 대한 어떠한 횡방향 힘도 흡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지 레일은 접착 연결로 창유리에 결합된다. 접착 연결은 바람직하게 접착 필름 또는 접착 비드(bead)로서 지지 레일에 적용된다. 접착 필름의 통상의 두께는 0.3 mm 내지 2 mm이다.
커버 및/또는 지지 레일은 바람직하게 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클로린화 폴리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및/또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커버 및/또는 지지 레일은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탄성 요소는 지지 레일의 가이드 레일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에 붙이고, 그 위에 압출하고, 및/또는 사전제조된 실링 프로파일로서 대응 홈에 도입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탄성 요소는 커버의 정지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다시, 정지면에 붙이고, 압출에 의해 제조하고, 및/또는 사전제조된 실링 프로파일로서 대응 홈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요소는 고체 재료로서, 중공 챔버 프로파일로서, 또는 U-자형 프로파일로서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탄성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에서 실링 및 탄성 효과를 달성하는 임의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요소는 바람직하게 둥근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V-자형 프로파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효과 및 커버의 정지면과 지지 레일의 가이드 레일 사이의 시일에 필요한 압력은 탄성 요소의 엘라스틱 변형에 의해 발생한다. 스프링 특성의 설계를 위해, 재료, 모양,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경우에는 벽 두께, 뿐만 아니라 특히 탄성 요소의 부피를 조정한다. 동시에, 탄성 요소는 예를 들면, 수분, 예컨대 비 또는 눈에 대한 실링을 위한 실링 요소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요소는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플루오린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프로필렌, 클로린화 폴리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실링 장치는 주로 수분, 예컨대 비 및 눈, 뿐만 아니라 환경으로부터의 임의의 종류의 오염물에 대해 자동차 차체(hull)를 실링한다. 사실상, 또한 배치는 모양, 바람 소음의 감소, 뿐만 아니라, 자동차 차체의 진동의 전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포지셔닝 정지부와 정지면에 대한 수직선 사이의 각 α는 0 °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25 °이다. 이렇게 형성된 쐐기(wedge) 모양은, 포지셔닝 정지부를 따라 탄성 요소의 힘을 사용하여 가이드 레일이 그의 원하는 위치로 가이드되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이는 설치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공차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포지셔닝 정지부의 길이는 유리하게는 1 mm 내지 6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4 mm이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레일이 로킹 채널에 닿기 전에,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 채널로 도입되기에 충분히 길게 포지셔닝 정지부가 실시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하나 이상의 조립 정지부를 갖는다. 조립 정지부는 포지셔닝 정지부 위에 배치된다. 조립 정지부는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정지부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초과만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초과만큼 더 길다. 조립 정지부는 바람직하게 가이드 채널의 방향으로 더 경사진다. 조립 정지부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채널, 뿐만 아니라 로킹 레일과 로킹 채널이, 커버를 지지 레일 위로 낮췄을 때 확실한 끼워맞춤(positive fit)으로 서로 활주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이는 탄성 레그의 변형 및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로킹 레일이 로킹 채널의 외부 및 탄성 레그와 창유리 사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커버는 3 내지 7 및, 특히 3 개의 조립 정지부를 갖는다. 조립 정지부는 바람직하게 커버의 긴 방향을 따라 단부 영역에 및 중심에 배치된다. 외부 조립 정지부는 바람직하게 커버의 단부로부터 커버 길이의 20 % 미만의 거리에 배치된다. 이는 가이드 레일을 가이드 채널로, 및 로킹 레일을 로킹 채널로 특히 단순하게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관습적으로, 커버의 두 단부 중 하나 또는 중심에서 조립이 시작될 때 특히 그렇다.
로킹 후크 및 돌출 영역은 로킹 채널 내에 임의로 배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로킹 후크는 창유리의 반대쪽을 향하는 탄성 레그의 로킹 채널쪽 면에 장착되고, 로킹 레일의 돌출 영역은 창유리 쪽을 향한다.
탄성 레그는 휠 수 있게(deflectably) 커버에 연결된다. 여기서, "휠 수 있게"는 탄성 레그가 예를 들면 래칭 과정에서, 지지 레일이 분리되거나 영구적으로 변형되지 않고, 지지 레일로의 연결 지점에서 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탄성 레그는 유연하게 설계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또는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역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탄성 레그는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클로린화 폴리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및/또는 혼합물 또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강철, 또는 구리 합금, 예컨대 스프링 청동 또는 황동을 함유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레그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금속 포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시트 강철 합금, 또는 구리 합금, 예컨대 스프링 청동으로 제조된 포일로 제조된다.
탄성 레그는 바람직하게, 휨 특성의 조정을 위해, 휠 수 있는 영역에서 0.2 mm 내지 1 mm의 프로파일 두께를 갖는다. 휠 수 있는 영역은 탄성 레그와 지지 레일의 연결 지점일 수 있고, 또는 탄성 레그의 일부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지지 레일, 가이드 레일, 및/또는 탄성 레그는 하나 이상의 보강 인서트를 포함한다. 보강 인서트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금속 포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 시트 강철 합금 또는 구리 합금, 예컨대 스프링 청동으로 제조된 포일, 또는 강화 섬유,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케블라 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보강 인서트는 지지 레일 및 탄성 레그에 대한 재료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정도 또는 스프링 강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창유리의 하부 에지와 커버의 후방 에지 사이의 거리 D는 바람직하게 0.05 mm 내지 5 mm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2 mm이다. 거리는 자동차 차체에서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는 조인트로서, 또는 심지어 모양 목적으로 보이는 의도적 조인트로서도 기능한다. 커버의 후방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둥글게, 쐐기-형으로, 또는 직사각형으로 실시된다. 이러한 설계는 특히 거의 보이지 않는 조인트의 필요와 실링 장치의 조립에서 충분한 제조 공차의 조합을 허용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채널 내의 로킹 후크는 둥글게 실시된다. 로킹 후크는 바람직하게, 로킹 레일의 돌출 영역과 함께, 스위블(swivel)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둥글게 처리된다. 로킹 후크 및 로킹 레일의 관절식(articulated) 배치에 의해, 로킹 레일은 로킹 채널에서 심지어 경사진 각도로도 로킹 채널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특정 위치를 유지하면서 로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로킹 레일의 돌출 영역은 단지 세그먼트로만 실시된다. 돌출 영역이 없는 세그먼트는 5 mm 내지 대체로 50 mm,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3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커버의 조립시에, 로킹 레일의 돌출 영역은 지지 레일의 탄성 레그 위로 굽혀진다. 상술한 세그먼트화(segmentation)에 의해, 조립 과정 동안, 돌출 영역이 있는 한 세그먼트는 항상, 돌출 영역을 가진 다음 세그먼트가 탄성 레그 위로 굽혀지기 시작하기 전에 이미 로킹된다. 돌출 영역을 갖는 세그먼트의 로킹은 각 경우에서 성공적인 로킹 과정의 효과적 제어를 나타내는 딸깍 소리(acoustic click)와 함께 일어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로킹 레일의 서브섹션은 오목하게 처리된다(recessed). 오목부(recesses)는 0.5 mm 내지 2 mm의 폭을 갖는 슬릿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로킹 레일의 오목부 및 세그먼트는 또한 2 mm 내지 대체로 5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화된 로킹 레일의 장점은 조립 과정 중의 로킹 레일의 개선된 유연성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지 레일은 창유리에 대해 조립 웰트(welt) 또는 부동의 가이드 요소를 사용하여 위치한다. 이 경우, "부동의 가이드 요소"는 지지 레일에 대한 조립 보조가 창유리의 위치에 대해 부동의 위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조립 보조는 부품의 결합 전에, 창유리에 대한 지지 레일의 정밀한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조립 웰트는 부품을 붙이기 전의 조립 보조를 의미한다. 조립 웰트는 로킹 채널에 삽입가능하고 이어 제거가능한 창유리 에지에 대한 스페이서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서브섹션에서 오목하게 처리된 커버의 로킹 레일은 약간의 굽힘으로 세그먼트에서 로킹 채널로 래칭된다. 세그먼트화된 로킹 레일의 굽힘 및 래칭에 의해,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딸깍 소리가 발생한다. 딸깍 소리는 래칭을 알리고, 로킹의 품질 제어의 면에서 매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가이드 레일을 가이드 채널로 도입하기 전에, 가이드 레일은 조립 정지부 위를 따라 가이드된다. 이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채널, 뿐만 아니라 로킹 레일과 로킹 채널이, 커버를 지지 레일 위로 낮췄을 때 확실한 끼워맞춤으로 서로 활주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이는 탄성 레그의 변형 및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로킹 레일이 로킹 채널의 외부 및 탄성 레그와 창유리 사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커버는 세그먼트에서 지지 레일에 연결된다. 이는 세그먼트화된 로킹 레일의 굽힘 및 래칭으로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딸깍 소리가 발생한다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딸깍 소리는 래칭을 알리고, 로킹의 품질 제어의 면에서 매우 도움이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방법은 자동차 앞유리의 하부 영역에 실링 장치를 포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앞유리의 하부 영역에서 및 커버, 특히 배수 챔버 커버의 후방 영역에서의 실링 장치의 사용을 더 포함한다.
상이한 실시양태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특히, 상술한 및 다음에서 설명될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시한 조합으로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인 묘사이며 실제 크기가 아니다. 도면은 본 발명을 전혀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자동차 앞유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단면의 상세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레일의 단면의 다른 상세도.
도 3c는 도 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단면의 다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단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다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
도 8은 조립 웰트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레일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흐름도.
도 1은 창유리(10)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창유리(10)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앞유리이다. 창유리(10)의 하부 에지(12)는 지지 레일(20)을 통해 0.3 mm의 거리 D에서 커버(14)에 연결된다. 조인트 내부에, 지지 레일(20)의 일부가 도시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절단선 A-A'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창유리(10)는 지지 레일(20)을 통해 하부 에지(12)에서 커버(14)와 연결된다. 커버(14)는, 예를 들면, 배수 챔버 커버 또는 자동차 앞유리의 영역에서의 임의의 다른 패널 부품이다. 창유리(10)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 2 개의 개별 창유리로 만들어진 적층된 안전 창유리이다. 창유리(10)는 또한, 예를 들면, 후방 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사용과 함께, 템퍼링된 안전 유리로 만들어진 단일 창유리일 수 있다.
지지 레일(20)은 로킹 채널(27)을 포함한다. 로킹 채널(27)의 한 플랭크(flank)는 창유리(10)를 향하는 가이드 레일(41)의 면으로 형성된다. 반대쪽 플랭크는 탄성 레그(25)로 형성된다. 로킹 후크(28)는 로킹 채널(27)의 내부 방향으로 탄성 레그(25)에 배치된다.
지지 레일(20)은 중합체를 함유하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지지 레일(20)은 아크릴 접착제를 사용한 0.8-mm-두께 접착 연결(36)에 의해 그의 하부 에지(12)의 창유리(10)의 내부면에 결합된다.
커버(14)는 중합체를 함유하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커버(14)는 창유리(10) 쪽으로 향하는 돌출 영역(23)을 갖는 로킹 레일(16)을 포함한다. 로킹 레일(16)은 포지셔닝 정지부(42)와 함께 가이드 채널(40)을 형성한다. 포지셔닝 정지부(42)는 창유리(10)의 반대쪽을 향하는 가이드 채널(40)의 면에 배치된다.
지지 레일(20)의 가이드 레일(41)은 커버(14)의 가이드 채널(40) 내에 배치된다. 이는 창유리(10)로부터 커버(14)의 측방향(lateral) 거리 D를 정의한다. 여기서, "측방향"은 창유리(10)의 그의 하부 에지(12)를 지나 커버(14)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창유리(10)의 하부 에지(12)의 에지와 커버(14)의 후방 에지(11) 사이의 평균 거리 D는, 예를 들면 0.3 mm이다. 실링 재료가 없는 개방된 갭이 커버(14)의 후방 에지(11)와 창유리(10)의 하부 에지(12)의 에지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커버(14)의 로킹 레일(16)은 지지 레일(20)의 로킹 채널(27) 내에서 래칭된다. 이에 대해, 커버(14)의 조립 동안, 탄성 요소(13)는 가이드 레일(41)과 커버(14)의 정지면(19) 사이에서 압축된다. 탄성 요소(13)는 인장된 상태(51)에 있고, 커버(14)의 가이드 채널(40)의 하부의 정지면(19)에 대해 영구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로킹 레일(16)의 돌출 영역(23)은 로킹 후크(28)에 대해 당겨진다. 로킹 후크(28)는 탄성 레그(25)의 립으로서 실시된다. 로킹 후크(28)에 대한 로킹 레일(16)의 돌출 영역(23)의 인장 로딩에 의해, 지지 레일(20)에서 커버(14)의 견고한 체결이 얻어진다. 특히, 커버(14)는 조립 방향과 반대로 활주하는 것에 대비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조립 방향"은 로킹 레일(16)이 로킹 채널로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견고한 포지셔닝은 예를 들면, 창유리(10)의 하부 영역에서 및 커버(14)의 후방 영역에서 표면이 일렬로 배치된 채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탄성 레그(25)는, 로킹 레일(16)과 로킹된 후, 단지 인장력으로만 응력을 받고, 횡방향 힘은 흡수하지 않는다. 횡방향 힘은 가이드 채널(40) 내의 가이드 레일(41)의 정의된 포지셔닝에 의해 흡수된다. 결국, 탄성 레그(25)는 매우 얇게 실시될 수 있다. 단지 낮은 힘만이 로킹 채널(27)에서 로킹 레일(16)을 로킹하는 데에 필요하다. 탄성 레그(25)와 지지 레일(20) 사이의 연결 영역(22)에서의 프로파일 두께는, 예를 들면 0.5 mm이다.
로킹 채널(27)은 로킹 레일(16)에 의해, 예를 들면, 그의 깊이의 약 50 % 만이 채워진다. 로킹 후크(28)는 탄성 요소(13) 및 탄성 레그(25)의 압력 하에, 로킹 채널(27)의 정의된 로킹 위치에 내구적으로 로킹 레일(16)을 지지한다.
탄성 요소(13)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로 제조된다. 탄성 요소(13)의 큰 스프링 변위에 의해, 조립시에 심지어 로킹 레일(16) 및 지지 레일(20)의 큰 공차에서도, 견고한 로킹을 얻을 수 있다. 동시에, 탄성 요소(13)의 엘라스틱 재료는 수분 및 물에 대해 가이드 채널(40)을 실링한다. 따라서, 창유리(10)와 커버(14) 사이의 영역으로 침투하는 물은 가이드 채널(40)을 통해 커버(14) 아래의 영역으로 침투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른 추가의 실링 수단으로 분배할 수 있다.
탄성 레그(25) 및 지지 레일(20)은 보강 인서트(26), 예를 들면, 알루미늄 포일로 제조된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레그(60)는 창유리(10) 아래의 영역에서 지지 레일(20)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 레그(60)는 창유리(10)와 창유리(10)가 그 위에 붙은 자동차의 크로스 멤버(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거리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서포트 레그(60)는 특히 접착제 경화 중에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임의의 서포팅 벌지(15)는 탄성 요소(13)의 및 탄성 레그(25)의 압력 하에서 로킹 채널(27) 내의 정의된 로킹 위치에서 로킹 레일(16)을 내구적으로 지지한다. 서포팅 벌지(15)는 가이드 레일(41)의 립으로서 실시된다. 서포팅 벌지(15) 및 로킹 레일(16)의 돌출 영역(23)은, 창유리(10)의 다차원 만곡에 관계없이 로킹이 얻어지도록 둥글게 실시된다.
도 3a는 도 2로부터의 커버(14)의 단면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포지셔닝 정지부(42), 커버(14)의 밑면의 정지면(19) 및 로킹 레일(16)은 사다리꼴 가이드 채널(40)을 형성한다. 돌출 영역(23)은 가이드 채널(40)의 반대쪽을 향하는 로킹 레일(16)의 면에 배치된다.
도 3b는 커버(20)(도시되지 않음)로 로킹하기 전, 도 2로부터의 지지 레일(20)의 단면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탄성 요소(13)는 이완된 상태(52)에 있다. 가이드 레일(41)은 탄성 레그(25)와 로킹 채널(27)을 형성한다. 로킹 후크(28)는 로킹 채널(27)을 향하는 탄성 레그(25)의 면에 형성된다. 탄성 레그(25) 및 지지 레일(20)은 보강 인서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포지셔닝 정지부(42)의 영역에서 도 2로부터의 단면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포지셔닝 정지부(42)는 예를 들면, 커버(14)의 정지면(19)에 대한 수직선과 15 °의 각 α를 형성한다. 포지셔닝 정지부(42)는, 예를 들면 4 mm의 길이 L을 갖는다. 로킹 레일(16)은 예를 들면, 정지면(19)에 수직한 가이드 채널(40)을 향하는 면에 배치된다.
도 4는 도 1로부터의 조립 정지부(43)의 영역의 단면의 사시도다. 지지 레일(20) 및 커버(14)는 아직 함께 로킹되지 않았다. 탄성 요소(13)는 U-자형 서포팅 및 실링 립이고, 이완된 상태(52)에 있다.
조립 정지부(43)는 포지셔닝 정지부(42)의 작은 영역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4 mm의 깊이를 갖는다. 조립 정지부(43)는 50 % 초과로 포지셔닝 정지부(42)를 지나 돌출되고, 예를 들면 15 mm의 길이를 갖는다. 커버(14)의 정지면(19)에 대한 수직선에 대한 조립 정지부(43)의 각은 포지셔닝 정지부(42)와 수직선 사이의 각 α 미만이다. 조립 정지부는 특히 정지면(19)에 수직하게, 또는 가이드 채널(40)에 대해 예를 들면 1 ° 내지 20 °의 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14)의 실시양태의 사시도다. 로킹 레일(16)은, 예를 들면 2 개의 슬릿-형 오목부(44)를 갖는다. 오목부(44)는 각 경우에, 가이드 채널(40)의 반대쪽 레그에 배치된 조립 정지부(43)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또한, 로킹 레일(16)은 돌출 영역(23)이 있는 부영역 및 돌출 영역(23)이 없는 부영역을 갖는다. 로킹 레일(16)은 돌출 영역(23)이 없는 부영역에서 로킹 기능 없이 실시된다. 이는 지지 레일(20)에서 커버(14)의 조립이 세그먼트에 의해 일어나며, 부영역의 로킹시, 명확한 딸깍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는 특정 이점을 가진다. 동시에, 로킹 과정은 조립자에 의해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절단선 B-B'를 따른 조립 정지부(43)의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조립 정지부(43)는 예를 들면, 커버(14)의 밑면의 정지면(19)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로킹 레일(16)의 오목부(44)는 창유리를 향하는 가이드 채널(40)의 면에 위치한다. 오목부(44)는 예를 들면, 커버(14)의 사출 성형의 경우, 조립 정지부(43)를 형성하기 위한 도구가 오목부(44)를 통해 맞물릴 수 있고, 해제될 수 있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14)의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양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에 반해, 탄성 요소(13)가 고체 재료로서 실시된다. 또한, 탄성 요소(13)는 커버(14)의 가이드 채널(40) 내의 정지면(19)에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41)은 탄성 요소(13)의 영역에서, 피크-형 벌지(45)를 갖는다. 피크-형 벌지(45)는 탄성 요소(13) 내로 가압되고, 수분 및 물에 대한 견고한 시일을 형성한다. 가이드 레일(41)은 포지셔닝 정지부(42)에 접촉하는 서포팅 벌지(46)를 갖는다. 이는 가이드 채널(40) 내에서 가이드 레일(41)의 정밀한 측방향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웰트(50)를 갖는 창유리(10) 위의 지지 레일(20)의 단면을 도시한다. 조립 웰트(50)는 창유리(10)에 대하여 부동으로 위치한다. 여기서, "부동으로"는 창유리(10)의 위치에 대해 부동 위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조립 웰트(50)는 지지 레일(20)과 창유리(10)를 붙이기 전, 창유리(10)에 대한 지지 레일(20)의 정밀한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한다. 조립 웰트(50)는 로킹 채널(27)로 도입되고, 가이드 레일(41)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조립 웰트(50)는 자동차의 최종 조립으로 창유리(10)를 수송하는 동안, 지지 레일(20) 위에 남을 수 있고, 지지 레일(20)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 웰트(50)는 예를 들면, 커버(14)의 조립 직전에 제거될 수 있다. 조립 웰트(50)는 특히 힘의 큰 소모 없이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실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단계에서, 지지 레일(20)은 창유리(10)의 하부 에지(12) 상의 접착 연결부(36)에 의해 창유리(10)에 내구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창유리(10)의 하부 에지에 대한 지지 레일(20)의 위치를 정의하는 조립 웰트(50)가 사용된다.
다음 단계에서, 커버(14)는 창유리(10) 위에 위치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커버(14)의 조립 정지부(43)가 지지 레일(20)의 가이드 레일(41)에 접촉하도록 커버(14)의 한 면이 지지 레일(20) 상에 위치한다. 조립 정지부(43)의 사용은, 가이드 레일(41)과 가이드 채널(40), 뿐만 아니라 로킹 레일(16)과 로킹 채널(27)이, 커버(14)를 지지 레일(20) 위로 낮췄을 때 확실한 끼워맞춤으로 서로 활주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이는 로킹 레일(16)이 로킹 채널(27)의 외부 및 탄성 레그(25)와 창유리(10) 사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탄성 레그(25)의 변형 및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다른 단계에서, 커버(14)를 지지 레일(20) 위로 낮춘다. 커버(14)의 가이드 레일(41)은 지지 레일(20)의 가이드 채널(40)로 도입된다. 따라서, 커버(14)의 후방 에지(11) 및 창유리(10)의 하부 에지(12)는 서로에 대해 정의된 거리 D를 나타낸다.
다른 단계에서, 로킹 레일(16)을 갖는 커버(14)는 로킹 채널(27)로 도입된다. 로킹 레일(16)의 돌출 영역(23)은 탄성 요소(13)의 인장 하에서 로킹 후크(28)를 지나 가압된다. 탄성 레그(25)는, 가압 중에 연결 지점(22)을 중심으로 탄성 레그(25)가 회전함에 의해, 로킹 후크(28)가 창유리(10)의 방향의 지지 레일(20)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실시된다. 돌출 영역(23)이 로킹 후크(28)를 지나 가압된 후, 탄성 레그(25)가 이완되고, 로킹 후크(28)를 그의 초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로킹 후크(28)와 돌출 영역(23)의 인터로킹을 발생시킨다.
다른 단계에서, 커버(14)는 조립 방향에 반대로 되돌아가고, 탄성 요소(13)는 부분적으로 이완된다. 돌출 영역(23)은 로킹 후크(28)를 통해 탄성 레그(25)에 장력을 가하고, 이 수단에 의해 지지 레일(20) 및 창유리(10)에 대한 커버(14)의 수직 위치가 정의된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에 따른 장치와 비교하여 몇 가지 장점을 갖는다. 선행 기술에 따른 실링 장치에서, 커버와 창유리 사이의 측방향 거리 D 및 커버와 창유리 사이의 수직 거리가 로킹에 의해 정의된다. 선행 기술에 따른 로킹 수단은 한편으로는 로킹을, 다른 한편으로는 장치의 실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탄성이어야 한다. 이는 포지셔닝 부정확 및 원치 않는 공차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에 의해, 로킹 채널(27) 및 로킹 레일(16)로 형성된 로킹 메커니즘은 가이드 채널(40) 및 가이드 레일(41)에 의해 포지셔닝하는 것과는 분리된다. 가이드 채널(40) 및 가이드 레일(41)은 커버(14)와 창유리(10) 사이의 거리 D를 정의한다. 로킹 메커니즘은 커버(14) 및 지지 레일(20) 및, 따라서 가이드 레일(41)을 가이드 채널(40)에 고정한다. 로킹 레일(16) 및 탄성 레그(25)가 단지 인장 응력에 의해서만 응력을 받기 때문에, 선행 기술에서보다 더 얇게 및 더 공간-절약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결과는 공간의 절약, 높은 포지셔닝 정확성, 및 간단한 조립의 예상치 못한 조합이었다. 제조 공차 및 조립에 대한 높은 요구를 상당히 잘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채널(40) 내의 엘라스틱 탄성 요소(13)에 의해, 장치의 개선된 실링이 달성되고, 그 결과, 추가의 실링 수단이 필요없을 수 있다. 이 장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예상치 못했고 놀라운 것이었다.
10: 창유리
11: 커버(14)의 후방 에지
12: 창유리(10)의 하부 에지
13: 탄성 요소, 서포팅 및 실링 립
14: 커버
15: 서포팅 벌지
16: 로킹 레일
19: 정지면
20: 지지 레일
22: 탄성 레그(25)와 지지 레일(20) 간의 연결 지점
23: 돌출 영역
25: 탄성 레그
26: 보강 인서트
27: 로킹 채널
28: 로킹 후크
36: 접착 연결부
40: 가이드 채널
41: 가이드 레일
42: 포지셔닝 정지부
43: 조립 정지부
44: 오목부
45: 벌지
46: 서포팅 벌지
50: 조립 웰트
51: 인장된 상태에서의 탄성 요소(13)
52: 이완된 상태에서의 탄성 요소(13)
60: 서포트 레그
A-A': 절단선
B-B': 절단선
D: 커버의 후방 에지(11)와 창유리(10)의 하부 에지(12) 사이의 거리
L: 포지셔닝 정지부(42)의 길이

Claims (15)

  1. 적어도
    - 가이드 레일(41) 및 탄성 레그(25)에 의해 형성된 로킹 채널(27)을 갖는, 창유리(10)에 체결된 지지 레일(20),
    - 로킹 레일(16) 및 포지셔닝 정지부(42)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채널(40)을 갖는 커버(14)
    를 포함하고, 여기서
    - 가이드 레일(41)은 가이드 채널(40) 내에 배치되고 로킹 레일(16)은 로킹 채널(27)에서 래칭되고, 여기서 로킹 후크(28)는 로킹 레일(16)의 돌출 영역(23)의 탄성 레그(25) 위로 래칭되고,
    - 탄성 요소(13)는 커버(14)의 밑면의 정지면(19)과 가이드 레일(41) 사이의 가이드 채널(40)에서 클램핑되는,
    자동차 창유리용 실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요소(13)가 가이드 레일(41)에 또는 정지면(19)에 연결된, 실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요소(13)가 고체 재료로서, 중공 챔버 프로파일로서, 또는 U-자형 프로파일로서 실시되는, 실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요소(13)가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플루오린화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프로필렌, 플루오린화 폴리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실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채널(40)이 하나 이상의 조립 정지부(43) 및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개의 조립 정지부(43)를 갖는, 실링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그(25)가 휠 수 있거나, 지지 레일(20)에 휠 수 있게 연결되는, 실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레그(25)가, 휨에 제공되는 영역에서, 0.2 mm 내지 1 mm의 두께를 갖는, 실링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정지부(42)와 정지면(19)에 대한 수직선 사이의 각(α)이 0 °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25 °인, 실링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레일(20) 및/또는 가이드 레일(41)이 하나 이상의 강화 인서트(26)를 포함하는, 실링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휨에 제공되는 영역에서, 탄성 레그(25)가 금속 포일을 함유하거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포일로 제조되는, 실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레일(16)이 서브섹션에 오목부(44)를 가지고/가지거나 서브섹션에 돌출 영역(23)을 갖지 않는, 실링 장치.
  12. 적어도
    a) 접착 연결부(36)에 의해 지지 레일(20)이 창유리(10)에 내구적으로 결합되고,
    b) 커버(14)의 가이드 레일(41)이 지지 레일(20)의 가이드 채널(40)로 도입되고, 정의된 거리(D)가 커버(14)의 후방 에지(11)와 창유리(10)의 하부 에지(12) 사이에 생성되고,
    c) 가이드 레일(41)과 커버(14)의 밑면의 정지면(19) 사이의 탄성 요소(13)의 인장 하에, 로킹 레일(16)을 갖는 커버(14)가 로킹 후크(28)를 지나 로킹 채널(27) 내로 가압되고,
    d) 탄성 요소(13)의 이완 하에 커버(14)가 되돌아가고, 로킹 후크(28)가 로킹 레일(16)의 돌출 영역(23) 내로 래칭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실링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가이드 레일(41)이 조립 정지부(43)를 따라 가이드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커버(14)가 세그먼트로 지지 레일(20)에 연결되는, 방법.
  15. 자동차 창유리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앞유리(10) 또는 후방 창을 위한, 및 특히 배수 챔버 커버로서의,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실링 장치의 용도.
KR1020147022247A 2012-02-13 2013-01-23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1651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5069.3 2012-02-13
EP12155069 2012-02-13
PCT/EP2013/051179 WO2013120671A1 (de) 2012-02-13 2013-01-23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730A true KR20140119730A (ko) 2014-10-10
KR101651028B1 KR101651028B1 (ko) 2016-08-24

Family

ID=4760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247A KR101651028B1 (ko) 2012-02-13 2013-01-23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68879B2 (ko)
EP (1) EP2814681B1 (ko)
JP (1) JP6005183B2 (ko)
KR (1) KR101651028B1 (ko)
CN (1) CN104093584B (ko)
BR (1) BR112014017212A8 (ko)
ES (1) ES2588593T3 (ko)
MX (1) MX351794B (ko)
PL (1) PL2814681T3 (ko)
PT (1) PT2814681T (ko)
WO (1) WO20131206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523A (ko) * 2017-03-30 2019-11-2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클립-온 커버 부품용 클립-온 프로파일링된 비드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3444B (en) * 2011-08-01 2013-12-11 Nihon Plast Co Ltd Structure of mounting cowl-top cover
GB201120340D0 (en) * 2011-11-25 2012-01-04 Pilkington Group Ltd Automotive glazing
BR112014017212A8 (pt) * 2012-02-13 2017-07-04 Saint Gobain arranjo de vedação para vidraças de veículo, método para sua produção e seu uso
DE102013204820A1 (de) * 2013-03-19 2014-09-2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Abdeckteil und Profilelementbaugruppe
EA030959B1 (ru) * 2013-04-30 2018-10-31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неподвижного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стекла
EP3013614B1 (de) * 2013-06-26 2017-07-26 Saint-Gobain Glass France Abdichtungsanordnung
KR101877146B1 (ko) * 2013-09-24 2018-07-1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차량 창문용 밀폐 배열체
FR3011203B1 (fr) * 2013-10-01 2015-10-09 Saint Gobain Vitrage comportant une portion de joint a insert ferm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dit vitrage.
JP2015137051A (ja) * 2014-01-23 2015-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ウルルーバの係止構造
DE202014106011U1 (de) 2014-12-12 2015-03-04 Rehau Ag + Co Abdichtungsanordn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DE202014106204U1 (de) 2014-12-22 2015-03-10 Rehau Ag + Co Abdichtungsanordn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DE202014010197U1 (de) 2014-12-24 2015-02-18 Rehau Ag + Co Abdichtungsanordn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JP6432357B2 (ja) * 2015-01-15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ウィンドシールドガラス締結構造
KR101559696B1 (ko) 2015-03-23 2015-10-13 (주) 재화산업 윈드 쉴드 글라스용 브래킷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브래킷의 본딩 방법
CN106678367B (zh) * 2015-11-11 2019-02-2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密封多结合面的密封结构
DE202016107289U1 (de) * 2016-12-22 2018-03-26 Rehau Ag + Co Abdichtungsprofil zum Verbinden eines Anbauteils mit einer Fahrzeugscheibe
WO2018123777A1 (ja) * 2016-12-26 2018-07-05 旭硝子株式会社 シール部材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
FR3064546B1 (fr) * 2017-03-30 2019-04-05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comprenant un seul cordon profile pour la liaison entre deux vitres.
FR3064545B1 (fr) * 2017-03-30 2019-04-05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comprenant au moins un cordon profile pour la liaison entre deux vitres.
DE112019004356T5 (de) * 2018-08-29 2021-05-20 AGC Inc. Verbindungsstruktur zwischen einer Windschutzscheibe und einem Windlaufgitter
CN109058416A (zh) * 2018-10-26 2018-12-21 贵州大学 一种防松动的重型液力自动变速器的液力变矩器
US11511610B2 (en) 2018-11-12 2022-11-29 Shape Corp. Vehicle door carrier with integrated edge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JP7157495B2 (ja) * 2020-06-02 2022-10-20 秦皇島長城玻璃工業有限公司 軟質中空構造を有する自動車カウルグリル用シール係合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3497A1 (de) * 2008-05-23 2009-11-2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Wasserkast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7388A5 (ko) * 1988-11-18 1991-05-15 Daetwyler Ag
US4950019A (en) * 1989-10-26 1990-08-21 Creative Extruded Products, Inc. Molding construction
JP3437051B2 (ja) * 1997-03-17 2003-08-18 株式会社ニフコ ガラス仮止め装置
DE19961706B4 (de) 1999-12-21 2004-09-0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bindung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angrenzenden Bauteil
DE20008555U1 (de) 2000-05-12 2000-08-17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DE10137265A1 (de) * 2001-07-31 2003-02-13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s vorgefertigten Einfaßrahmens auf einem Kantenbereich einer Scheibe, insbesondere einer Fahrzeug-Windschutzscheibe
GB2432870A (en) * 2005-11-18 2007-06-06 Gdx North America Inc Seal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DE102008003252A1 (de) * 2008-01-04 2009-07-16 Rehau Ag + Co Scheibenanordnung
DE202008013133U1 (de) * 2008-10-02 2010-02-25 Rehau Ag + Co Scheibenabdichtung
DE102008050130B4 (de) 2008-10-04 2015-09-24 Henniges Automotive Gmbh & Co. Kg Automobil-Glasscheibe
DE202008016217U1 (de) * 2008-12-09 2009-04-02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DE102009026369B4 (de) * 2009-08-13 2012-04-1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FR2952900B1 (fr) 2009-11-26 2012-02-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le extractible pour joint de vitrage et procede d'extraction s'y rapportant
GB201120340D0 (en) * 2011-11-25 2012-01-04 Pilkington Group Ltd Automotive glazing
BR112014017212A8 (pt) * 2012-02-13 2017-07-04 Saint Gobain arranjo de vedação para vidraças de veículo, método para sua produção e seu us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3497A1 (de) * 2008-05-23 2009-11-2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Wasserkasten
US20110115261A1 (en) * 2008-05-23 2011-05-19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Contoured structure connecting a vehicle pane to a water draining cha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523A (ko) * 2017-03-30 2019-11-2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클립-온 커버 부품용 클립-온 프로파일링된 비드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88593T3 (es) 2016-11-03
MX2014009291A (es) 2014-12-08
WO2013120671A1 (de) 2013-08-22
PT2814681T (pt) 2016-09-05
US20140346803A1 (en) 2014-11-27
PL2814681T3 (pl) 2016-12-30
MX351794B (es) 2017-10-30
US9168879B2 (en) 2015-10-27
CN104093584B (zh) 2016-10-12
EP2814681B1 (de) 2016-06-01
JP6005183B2 (ja) 2016-10-12
JP2015506877A (ja) 2015-03-05
BR112014017212A8 (pt) 2017-07-04
EP2814681A1 (de) 2014-12-24
KR101651028B1 (ko) 2016-08-24
CN104093584A (zh) 2014-10-08
BR112014017212A2 (pt)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028B1 (ko)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JP5779580B2 (ja) 自動車用窓ガラスの封止機構、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CN101678795B (zh) 门边缘部件的连接部构造
EP3173270B1 (en) Structure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vehicle glass door
US9227498B2 (en) Structure of mounting cowl-top cover
CN110014810B (zh) 汽车车门用密封结构
US6460300B2 (en) Window molding
US9969250B2 (en) Sealing member of door for car
KR101922766B1 (ko) 차량용 창유리를 커버부에 연결하기 위한 프로파일 부재 및 프로파일 부재 조립체
KR101308795B1 (ko)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
JP5656928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KR20100120120A (ko) 창유리 구조물
CN110877520B (zh) 汽车车门用密封结构
US10766433B2 (en) Vehicle door glass ru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70225552A1 (en) Sealing structure for automobile door
US9931922B2 (en) Sealing member of door for car
US10787063B2 (en) Glass run
KR20180087323A (ko) 내장형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글레이징
JP2009255898A (ja) ガラスラン及び車両のドアのシール構造
US9296286B1 (en) Window gasket for a vehicle
EP3353003B1 (en) Window trim for use with a fixed window of a vehicle
JP2011068238A5 (ko)
GB2425142A (en) Sealing or guid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