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632A -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632A
KR20140119632A KR1020140035158A KR20140035158A KR20140119632A KR 20140119632 A KR20140119632 A KR 20140119632A KR 1020140035158 A KR1020140035158 A KR 1020140035158A KR 20140035158 A KR20140035158 A KR 20140035158A KR 20140119632 A KR20140119632 A KR 20140119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case
cas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506B1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지
Publication of KR2014011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보호하는 발광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된 엘이디조명을 사용하여 발광케이스를 발광시킬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광케이스는 별도의 조명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된 발광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발광케이스의 제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smart phone cas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발광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된 엘이디조명을 사용하여 발광케이스를 발광시킬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는 케이스 자체에 램프를 장착하여 램프가 작동되면 케이스가 발광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한 이러한 방식은 케이스에 램프가 별도로 장착되어야 하므로 제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스마트폰 발광케이스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16854호(발명의 명칭: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된 엘이디조명을 사용하여 발광케이스를 발광시킬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단말의 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발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주변영역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조명에서 광이 방사되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주변영역에서 광이 반사되어 상기 발광케이스를 타고 광이 진행하면서 상기 발광케이스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의 내측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단말의 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발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 상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재질의 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광케이스는 별도의 조명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된 발광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발광케이스의 제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케이스의 개구부의 둘레에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반사부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엘이디조명에서 방사된 광을 발광케이스로 유도하여 발광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개구부를 통해 엘이디조명의 일부분은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엘이디조명의 본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다.
또한 발광케이스에 미관상 아름다운 문양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하고 다른 부분을 불투명 재질로 형성하면 문양부로 발광효과가 집중되어 더욱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스마트폰의 케이스와 스마트폰의 카메라 및 발광램프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제1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발광램프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제2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발광램프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에서 개구부의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엘이디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개구부의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후면을 바라다 본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엘이디조명이 발광될 때의 광의 진행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및 제7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스마트폰의 케이스와 스마트폰의 카메라 및 발광램프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은 카메라(3)의 바로 아래에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할 때 사용되는 플래시(2)(발광램프)가 위치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케이스는 통상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분이 관통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제1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발광램프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케이스(10)는 스마트폰(1)을 감싸도록 스마트폰에 결합되는 구조이며 특히 스마트폰에 구비된 엘이디조명(2)(플래시 발광수단)에 대응하는 영역이 투명재질이면서 동시에 막혀있는 구조이다.
스마트폰의 엘이디조명(2)이 발광하면 광의 일부는 발광케이스(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사되며 광의 나머지 일부는 발광케이스(10)에서 반사된 후 발광케이스(10)를 매질로 하여 발광케이스(10)를 따라 광이 진행한다. 따라서 발광케이스(10)를 스마트폰에 장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엘이디조명(2)이 발광하면 발광케이스(10)를 따라 광이 진행하면서 발광케이스(10)를 발광시키게 된다.
스마트폰에는 전화가 걸려올 때에 엘이디조명이 점멸하면서 사용자가 전화가 왔음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케이스(10)를 스마트폰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전화가 걸려올 때에 스마트폰(1)의 엘이디조명(2)이 발광하면서 동시에 발광케이스(10)가 발광하므로 사용자의 주의를 더 강하게 끌 수 있으며 발광하는 발광케이스(10)는 미관상으로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제2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발광램프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광케이스(20)는 스마트폰(1)의 엘이디조명(2)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2)의 내측 둘레 부분의 상면에는 불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된 반사부(23)가 형성된다.
반사부(23)는 엘이디조명(2)에서 방사된 광을 투과시키지 않고 반사시켜서 발광케이스(20)의 내부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반사부(23)는 불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광의 투과를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키고 광의 반사를 유도한다. 반사부(23)는 발광케이스(20)에 직접 불투명재질을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불투명필름과 같은 재질의 것을 부착 또는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인서트사출의 방식으로 발광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1)의 엘이디조명(2)에서 방사된 광은 일부는 개구부(22)에서는 외부로 방사되고 반사부(23)로 진입한 광은 반사부(23)에서 반사되어 발광케이스(20)를 매질로 하여 발광케이스(20)를 따라 진행하면서 발광케이스(20)를 발광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에서 개구부의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광케이스(30)는 스마트폰(1)의 엘이디조명(2)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32)의 내측 둘레의 단부는 경사지게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스마트폰(1)의 엘이디조명(2)에서 방사된 광은 일부는 개구부(32)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며 광의 나머지 일부는 발광케이스(30)의 개구부(32)의 경사면(33)에서 반사되어 발광케이스(30)를 매질로 하여 발광케이스(30)를 따라 진행하면서 발광케이스(30)를 발광시킨다. 본 실시예의 발광케이스(30)에서 개부부(32)의 내측 단부에 경사면(33)을 형성한 것은 경사면(33)에서 반사되는 광의 방향이 발광케이스(30)를 향하도록 하여 발광케이스(30)로 진입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엘이디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광케이스(40)는 형상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엘이디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이 막힌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발광케이스(40)의 재질을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엘이디조명(2)에서 방사되어 발광케이스(40)로 진입하는 광이 발광케이스(40)를 그대로 통과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발광케이스(40)에서 반사되어 발광케이스(40)를 매질로 발광케이스(40)를 따라 진행하도록 한 것이다. 발광케이스(40)가 반투명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의 반사를 유도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은 물론이고 반사된 광이 발광케이스(40)를 따라 진행할 때에 발광케이스(40)가 발광하는 것이 잘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발광케이스(40)의 재질은 반투명 재질로 국한되지 않으며, 투명한 재질의 발광케이스(40)에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코팅을 하거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필름을 부착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발광케이스(40)에 빛의 파장대역에 따라 반사 및 투과를 제어할 수 있는 밴드필터의 역할을 하는 코팅제 또는 필름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개구부의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광케이스(50)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개구부(52)가 형성되고 개구부(52)의 내측 단부에 경사면(53)이 형성된다.
다만 발광케이스(50)의 재질을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엘이디조명(2)에서 방사되어 발광케이스(50)로 진입하는 광이 발광케이스(50)를 그대로 통과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발광케이스(50)에서 반사되어 발광케이스(50)를 매질로 발광케이스(50)를 따라 진행하도록 한 것이다. 발광케이스(50)가 반투명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의 반사를 유도하는 도광판의 역할을 수행하며 반사된 광이 발광케이스(50)를 따라 진행할 때에 발광케이스(50)가 발광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잘 보여진다. 그러나 발광케이스(50)의 재질은 반투명 재질로 국한되지 않으며, 투명한 재질의 발광케이스(50)에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코팅을 하거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필름을 부착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발광케이스(50)에 빛의 파장대역에 따라 반사 및 투과를 제어할 수 있는 밴드필터의 역할을 하는 코팅제 또는 필름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케이스(50)의 개구부(52)의 내측 둘레의 경사면(53)은 엘이디조명(2)에서 방사된 광을 발광케이스(50)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후면을 바라다 본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엘이디조명이 발광될 때의 광의 진행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엘이디조명(2)에서 방사된 광은 발광케이스의 엘이디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반사되어 발광케이스(10,20,30,40,50)를 타고 진행하면서 발광케이스를 발광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및 제7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및 제7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60, 70)는 특징적인 문양을 표시한 문양부(65, 75)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재질로 형성하거나 또는 투명재질로 형성한다.
따라서 반투광성 재질의 문양부(65, 75)에서 집중적으로 발광효과가 발휘되며 그 이외의 불투광성 재질 부분에서는 발광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특징을 부여한 문양부(65, 75)의 발광효과가 더욱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양부(65, 75)를 형성하는 재질은 반투광성 재질로 한정되지 않으며, 투광성 재질이라 하더라도 투과율의 차이를 발생시키거나 난반사를 발생시키는 처리를 한 경우에는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투과율의 차이를 발생시키거나 난반사를 발생시키는 처리는 예를 들면 유광부식 처리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우측의 제7실시예와 같이 엘이디조명에 대응되는 위치의 발광케이스(70)의 개구부(72)에서 문양부(75)까지 광섬유(74)를 사용하여 광을 문양부(75)까지 원활하게 도달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케이스는 별도의 조명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된 발광수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케이스를 발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스마트폰
2 엘이디조명
3 카메라
10, 20, 30, 40, 50, 60, 70 발광케이스
22, 32, 52 개구부
23 반사부
33, 53 경사면

Claims (3)

  1. 휴대단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단말의 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발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주변영역은 불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조명에서 광이 방사되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주변영역에서 광이 반사되어 상기 발광케이스를 타고 광이 진행하면서 상기 발광케이스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3. 휴대단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단말의 조명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발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 상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재질의 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KR1020140035158A 2013-03-27 2014-03-26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KR101535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550 2013-03-27
KR20130032550 2013-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632A true KR20140119632A (ko) 2014-10-10
KR101535506B1 KR101535506B1 (ko) 2015-07-09

Family

ID=5199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58A KR101535506B1 (ko) 2013-03-27 2014-03-26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74A1 (en) * 2017-01-04 2018-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9240023A (zh) * 2017-07-11 2019-01-18 Sg设计株式会社 便携式设备保护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698B1 (ko) * 2008-11-26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 장치
KR101270334B1 (ko) * 2012-04-04 2013-05-31 박갑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216854B1 (ko) * 2012-05-11 2012-12-28 백용승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KR101378223B1 (ko) *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74A1 (en) * 2017-01-04 2018-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462919B2 (en) 2017-01-04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9240023A (zh) * 2017-07-11 2019-01-18 Sg设计株式会社 便携式设备保护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506B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0355B (zh) 增強發光提醒效果的保護殼及其製造方法
JP6696793B2 (ja) 車両用灯具
KR102232683B1 (ko) Led 조명을 구비한 거울 구조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JP2010040322A (ja) 車両用灯具
JP2015215946A (ja) 車両用灯具
JP5091738B2 (ja) 車両用灯具
KR101535506B1 (ko)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JP7029234B2 (ja) ライトガイド装置
JP6831697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灯具
JP2015076310A (ja) 車両用灯具
JP6879052B2 (ja) 車両用灯具
JP2008226755A (ja) 車両用ランプ
JP6769135B2 (ja)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を備える車両用後方視認装置
KR20150107332A (ko) 차량용 램프
CN105650561B (zh) 用于前照灯的激光光学系统
CN107388097B (zh) 一种led灯的导光结构和一种机器人眼睛
JP6521252B2 (ja) ライトガイドおよび照光表示装置
WO2015078090A1 (zh) 一种可发光的数码产品保护壳
JP2009026531A (ja) 照明体
JP5278209B2 (ja) 車両用灯具
JP2013161697A (ja) 細長発光体を用いた車両用灯具
JP3164552U (ja) 時計用リングライト装飾兼照明装置
KR101302831B1 (ko) 콘솔조명 및 무드조명용 램프가 구비된 차량용 콘솔박스
KR200480648Y1 (ko) 휴대 조명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