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215A -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215A
KR20140116215A KR1020147023420A KR20147023420A KR20140116215A KR 20140116215 A KR20140116215 A KR 20140116215A KR 1020147023420 A KR1020147023420 A KR 1020147023420A KR 20147023420 A KR20147023420 A KR 20147023420A KR 20140116215 A KR20140116215 A KR 20140116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hole
connection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244B1 (ko
Inventor
유키오 우에니시
유지 콘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테크
Publication of KR2014011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6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of the multiline swivel type, e.g. comprising a plurality of axially mounted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16L43/005Return b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배관을 구성하는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과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의 내면에 오염물질을 저류시키지 않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을 구성하는 관의 단부에 조인트를 삽입하고, 이 조인트의 접속구멍과 관의 단부의 내면을 용착함과 동시에 관의 외주와 조인트를 용접하는 구조의 조인트를 구비한 관과, 이 관의 조인트가 접속 가능한 접속면을 구비한 본체로 구성된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와, 이를 이용하여 상기 관의 조인트를 상기 조인트의 접속면과 볼트결합에 의해 배관을 구성하고, 구성된 배관에 극간, 오목한 곳을 존재시키지 않도록 하여 내면을 매끄럽게 하였다.

Description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JOINT INCLUDING CONNECTION SURFACE, PIPE INCLUDING PIPE JOINT, AND PIPING STRUCTURE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댐의 수문, 하천의 하구둑 또는 산업 기계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하는 구동 기기인 유압 실린더, 유압 모터 등의 유압 기기에 압력 유체원으로부터 작동압유를 급배(給排)하는 유압 회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배관에 이용되는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와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댐의 수문, 하천의 하구둑 또는 산업 기계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 유압 모터 등의 유압 기기는 압력 유체원으로부터의 작동압유가 유압 회로를 통해 급배되는 것으로서 수문, 하구둑, 방조제, 산업 기계 등의 피구동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이므로, 피구동기기의 근처에 설치된다.
상기 압력 유체원은 유압 탱크, 유압 펌프 및 유압 기기에 작동압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또는 절환(切換) 밸브 등을 집약한 장치이며, 비바람에 약하고, 그 고장에 의해 장치 전체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건물을 마련하여 그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력 유체원에서 유압 기기까지의 거리가 장대해진다.
전술한 압력 유체원에서 유압 기기까지의 유압 회로는, 유압 회로를 구성하는 직관(直管) 부분은 규정(6미터 정도) 길이의 강관(鋼管) 단부에 차입(差入) 용접형 관조인트인 소켓을 용접하여 접속하는 구성이며, 곡관(曲管) 부분은 강관을 벤더(bender)로 구부려 그 단부에 소켓을 용접하여 대응하거나, 벤더로 대응할 수 없는 반경의 굽힘 또는 분기(分岐)에는 차입 용접형의 조인트인 엘보우(elbow), 티이(tee), 크로스(cross)를 이용하여 배관하는 현장에 맞게 유압 회로를 구성하고 있었다.
상기 직관 부분을 구성하는 차입 용접형 관조인트의 소켓(50)은, 도 16에 관, 소켓의 조립 상태, 및 조립 전을 나타낸 바와 같이, 직관형 본체(51)의 양단에 유압 회로를 구성하는 관(55, 56)의 단부(55a, 56a)가 삽입된 관단(管端) 삽입구멍(52, 53)을 갖는다.
이 관단 삽입구멍(52, 53)의 사이에는 관(55, 56)의 내경에 상당하는 직경의 소경구멍(54a)을 형성하는 돌기부(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54)와 관단 삽입구멍(52, 53) 사이에는 계단부(52a, 5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소켓(50)은 관(55)과 관(56)을, 도 16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55)의 단부(55a)를 관단 삽입구멍(52)의 계단부(52a)에 당접할 때까지 삽입하여, 도 16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55)의 외주와 소켓(50)을 용접 부분(58)에서 용접함으로써 유압 회로의 직관 부분을 구성한다.
곡관 부분을 구성하는 차입 용접형 관조인트의 엘보우(60)는, 도 17에 관, 엘보우의 조립상태 및 조립 전을 나타낸 바와 같이, 곡관형 본체(61)의 양단에 유압 회로를 구성하는 관(65, 66)의 단부(65a, 66a)가 삽입되는 관단 삽입구멍(62, 63)이 있다. 이 관단 삽입구멍(62, 63) 사이에는 관(65, 66)의 내경에 상당하는 직경의 소경구멍(64a)을 형성하는 돌기부(6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64)와 관단 삽입구멍(62, 63) 사이에는 계단부(62a, 6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엘보우(60)는 관(65)의 단부(65a)를 그 선단부가 계단부(62a)에 당접할 때까지 삽입하고, 관(65)의 외주와 곡관형 본체(61)를 용접부(용접부(68)와 동일)에서 용접함과 동시에, 관(66)의 단부(66a)를 그 선단부가 계단부(63a)에 당접할 때까지 삽입하고, 관(66)의 외주와 곡관형 본체(61)를 용접부(68)에서 용접함으로써 유압 회로의 곡관 부분을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켓(50), 엘보우(60)는 관 등(55, 56, 65, 66)의 단부 등(55a, 56a, 65a, 66a)을 그 관단 삽입구멍 등(52, 53, 62, 63)에 끼워 넣어 그 관 등의 외주와 소켓(50), 엘보우(60)를 용접함으로써 배관구조의 직관 부분, 곡관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술한 배관구조에서, 관 등의 단부 등을 끼워 넣은 관조인트의 관단 삽입구멍 등의 직경은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관의 외경보다 약간(호칭지름 20A로 약 0.5mm정도)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관의 외주와 관단 삽입구멍 사이에 극간(隙間)(A)이 생긴다. 이 때문에 끼워 넣은 관 및 관조인트가 용접에 의한 열로 관의 표면이 산화되어, 관의 표면 즉, 상기 극간(A)에 산화 피막으로 잔존한다.
이 산화 피막은 얇아서 예리하고, 또한 철의 산화물이기 때문에, 지극히 경질(硬質)로 유압 장치를 운전하는 중에 상기 극간(A)으로부터 떨어져 압유 중에 부유하고, 그 압유를 타고 유압 관로를 순회하면서 유압 기기, 제어 밸브, 유압 기기에 침입하여 그들 접동면(摺動面)에 손상을 줌으로써 작동 불량의 원인이 되는 오염물질이 된다.
또한, 작동유에는 유압 기기를 구동하기 위해 고압의 압력이 작용하는 것이며, 더욱이 유압 기기를 통해 물, 공기가 침입하고, 유압 펌프, 밸브,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금속 분말 및 씨일(seal) 손상에 의한 잔재 등 각종 이물질이 혼입된다.
상술한 작동유에 혼입된 공기, 물 및 각종 이물질은 유압 기기의 운전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 상승에 따라 작동유를 활성화시켜 레진(resin)이 예비 슬러지(sludge)로 되고, 작동유를 열화시킴과 동시에 압유 기기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오염물질이 된다.
특허문헌 1에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조인트(70)의 관단 삽입구멍(73)에 삽입된 관(76)의 단부(76a)와 관단 삽입구멍(73)의 계단부(73a) 사이에 용접폭(h)을 구성하여 배치하고 용접부(79)에서 용접함으로써 관단 삽입구멍(73)과 관(76)의 외주와의 극간(A)을 봉쇄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9에는 관조인트(80)의 관단 삽입구멍(83)에 삽입된 관(86)의 단부(86a)와 관단 삽입구멍(83)의 계단부(83a) 사이에 용접폭(h)을 구성하여 배치하고 용접부(89)에서 용접함으로써 관단 삽입구멍(83)과 관(86)의 외주와의 극간을 봉쇄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상술한 관조인트(70)와 관(76)의 접속 구성에서는 극간(A)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봉입할 수 있다. 그러나 용접폭(h) 내부에서 관(76)의 단부(76a)의 선단과 계단부(73a) 사이를 용접부(79)에서 용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부(76a)와 계단부(73a) 사이에 극간(h1)이 형성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조인트(80)와 관(86)의 접속 구성에서도 극간(h1)이 형성된다.
도 19에 나타낸 직관의 배관구조(70c)는 관조인트(70)를 구비한 관구조 및, 이 관구조와 동일한 구성이며, 관조인트(80)를 구비한 관구조가 육각구멍 부착볼트(82)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관조인트(70)의 연결구멍(71a)은 접속구멍(74)과 동심(同心)의 원형 형상에 4개를 설치한 구성이다. 또한, 이 관조인트(70)에 나사결합된 관조인트(80)의 연결구멍(81a)은 상기 4개의 연결구멍(71a)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구멍(71a)과 연결구멍(81a)은 나사구멍 구조와 관통구멍 구조가 있으며, 그 일방은 나사구멍 구조이고 타방은 관통구멍 구조이다. 이 구성은 JISB2291에 규정되어 있다.
관조인트(70)와 관조인트(80)는, 관조인트(70)의 연결구멍(71a)이 관통구멍인 것에 대해, 관조인트(80)의 연결구멍(81a)을 암나사로 한 구조와, 관조인트(70)의 접속면(77)에 관조인트(70)와 관조인트(80) 사이를 씨일(seal)하는 오링(72)을 설치한 구조가 상위하며, 그 외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4개의 육각구멍 부착볼트(82)로 관조인트(70)와 관조인트(80)를 체결하여 구성한 직관의 배관구조(70c)에는, 극간(h1)이 직관을 구성하는 배관구조에 이용한 관조인트의 수에 대응하여 존재하게 된다.
특개평7-103374호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관조인트(70) 부착관은, 관조인트의 관단 삽입구멍에 관의 단부를 삽입하고, 삽입부의 전후인 용접부(78)와 용접부(79)를 용접하여 관단 삽입구멍과 관 사이에 생기는 극간(A)을 봉쇄하기 때문에, 이 극간(A) 내의 산화 피막 등의 오염물질은 유압 회로 중에 유출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극간(h1)은 복수개(관조인트의 수만큼)의 오목부를 구비하게 되므로 전술한 각종 오염물질이나 공기를 저류(貯留)하여 작동유를 조기에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유압 회로를 구성하는 배관에서는, 관조인트(70) 외에 전술한 소켓(50), 엘보우(60), 티이, 크로스 등의 차입 용접 조인트가 병용되는 것이다. 이들 차입 용접 조인트는 관단 삽입구멍과 관의 단부가 용접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극간(A)이 관의 내측에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관의 용접 작업에 의한 산화 피막 등의 오염물질이 압유 중으로 혼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 발명인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는,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통로를 갖는 유압 기기의 포트 또는 배관의 조인트 등의 접속체에 접속된 제1 접속면 및 제2 접속면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1 개구단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1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1 연결구멍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2 개구단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2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2 연결구멍과, 상기 제1 개구단 및 제2 개구단을 연통하는 연통통로를 구비한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이 상기 제2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과 교차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접속면을 제1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형으로 하며, 상기 제2 접속면을 제2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형을 포함하고, 그 한 변을 상기 정방형 한 변보다 상기 제1 연결구멍의 깊이 이상의 길이를 부가한 길이의 장방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는, 그 연통통로 및 접속면에 극간 또는 용접부를 존재시키지 않는 매끄러운 유로 구성에 의해 오염물질의 발생 원인인 공기 또는 오염물질의 저류 장소를 구성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2 발명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은, 배관을 구성하는 관과, 이 관의 단부가 극간을 가지고 삽입된 관단 삽입구멍과 이 관단 삽입구멍에 연설되어 있는 상기 관의 내경 상당의 직경을 갖는 접속구멍과 이 접속구멍이 개구되는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관단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관의 단부 내면과 상기 접속구멍의 내면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관의 외주와 상기 조인트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은, 상기 관단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관의 단부와 상기 접속구멍의 내면을 용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의 내면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아 용접에 의한 오염물질을 봉입하는 동시에 매끄러운 유로를 구성하고, 관의 외주와 조인트의 용접 부분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한 응력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제3 발명인 배관구조는,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통로를 갖는 유압 기기의 포트 또는 배관의 조인트 등의 접속체에 접속된 제1 접속면 및 제2 접속면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1 개구단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1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1 연결구멍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2 개구단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2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2 연결구멍과, 상기 제1 개구단 및 제2 개구단을 연통하는 연통통로를 구비한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이 상기 제2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과 교차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접속면을 제1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형으로 하고, 상기 제2 접속면을 제2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형을 포함하고, 그 한 변을 상기 정방형의 한 변보다 상기 제1 연결구멍의 깊이 이상의 길이를 부가한 길이의 장방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와, 배관을 구성하는 관과, 이 관의 단부가 극간을 가지고 삽입된 관단 삽입구멍과 이 관단 삽입구멍에 연설되어 있는 상기 관의 내경 상당의 직경을 갖는 접속구멍과 이 접속구멍이 개구되는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관단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관의 단부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멍의 내면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관의 외주와 상기 조인트를 용접한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와 상기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의 관조인트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배관구조는,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와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에 의해 구성된 배관구조가 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구성이고, 또한 그 내면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서, 배관 전체를 매끄러운 내면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저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관 공사에 필요한 자재인 관구조, 접속면 부착 조인트는 그 내면에 오염물질을 저류하는 오목부, 극간 등을 형성하지 않는 매끄러운 유로가 구성될 수 있으므로, 작동유를 저압으로 순환시키는 것만으로도 유로 내의 오염물질 또는 공기의 청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공사의 어떠한 부분에도 용접 공사를 수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에 대한 모든 부품을 공장 내에서 생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사시도.
도 1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1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구조의 부분 관구조도.
도 1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1 (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면 부착 조인트의 접속면(41)의 정면도.
도 1 (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면 부착 조인트의 접속면(42)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인트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제10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제11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구조의 사시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접속면 조인트의 접속면(41r1)의 정면도.
도 14(c)는 배관구조의 제1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단면도.
도 16은 기존의 관구조의 부분 관구조 단면도.
도 17은 기존의 관구조의 부분 관구조 단면도.
도 18(a)는 종래의 관구조의 부분 관구조 단면도.
도 18(b)는 종래의 관구조의 부분 관구조 단면도.
도 19는 기존의 배관구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에 사용하는 부호는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숫자를 사용하며, 그 종별(種別)은 숫자 앞에 알파벳의 대문자를 붙여 표시한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을 필요로 하는 부품은 숫자 뒤에 알파벳을 첨자하여 표시하고, 그 외 필요로 하는 부품에는 부합(符合)을 표시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도 숫자 부호의 뒤에 알파벳을 첨자하여 상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치수나 구성에 대해서는 JISB2219에 준거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d)에 나타낸 배관구조의 제1 실시예인 배관구조(101)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회로의 배관을 구성하는 관(15)의 일방 단부에 관조인트(이하, 조인트구조로 기재한다)(A20)를 고정하고, 타단에 조인트구조(A20)와 접합하는 관조인트(이하, 조인트구조로 기재한다)(B20)를 고정하는 구성의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이하, 관구조로 기재한다)(30)과, 이 관구조(30)의 조인트구조(A20) 또는 조인트구조(B20)의 접속면(27), 접속면(27a)이 4개의 육각구멍 부착볼트(19)로 접속된 접속면(41, 42)을 갖는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이하, 접속면 부착 조인트로 기재한다)(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d)에서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와 관구조(30a)로 구성된 배관구조(101)의 우측 부분의 배관구조는 우측 배관구조(101a)로 기재한다.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의 접속면(41)은,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L형 연통통로(L43)의 개구단(46)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조인트구조(A20)의 연결구멍(A22)에 합치하는 위치에 설치된 4개의 나사구멍으로 구성된 연결구멍(44)을 가지고, 개구단(46)이 중심으로 된 정방형(41a)(도 1(e)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정방형)을 포함하며, 이 정방형(41a)의 한 변보다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5) 깊이 이상의 길이를 부가한 길이의 한 변을 갖는 장방형(4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의 접속면(42)은, 접속면(41)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제1 평면 및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 평면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단(47)이 중심이 된 정방형(42a)으로 되어 있으며, L형 연통통로(L43)의 개구단(47)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조인트구조(A20)의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에 합치하는 위치에 설치된 4개의 나사구멍으로 구성된 연결구멍(45)을 갖고 있다. 또한, 정방형(41a)과 정방형(42a)은 동일하다.
상기 연결구멍(44)과 연결구멍(45)은, 연결구멍(45)을 나사구멍으로 하고, 이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5)과 간섭하지 않게 연결구멍(44)을 설치하는 것으로, 연결구멍(44)을 관통구멍 또는 나사구멍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속면(41, 42)은 그 중 일방을 제1 접속면으로, 타방을 제2 접속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이 제1 접속면을 포함하는 평면은 제1 평면을 구성하고, 제2 접속면을 포함하는 평면은 제2 평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1 접속면과 제1 평면 및 제2 접속면과 제2 평면은 서로 관련 있지만, 접속면(41)과 접속면(42)은 관련 없이 그 일방을 제1 접속면으로 하면 타방은 제2 접속면이 된다.
도 1(f)와 도 1(e)에 나타낸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의 접속면(41)을 포함하는 제1 평면과 접속면(42)을 포함하는 제2 평면은 직각으로 교차한다.
도 12에 나타낸 관구조(30)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조인트구조(A20)는 연결구멍이 관통구멍으로 구성된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을 갖는 관조인트이고, 타방 단부에 설치된 조인트구조(B20)는 연결구멍이 나사구멍으로 구성된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을 갖는 관조인트이다.
도 12에 나타낸 관구조(30)는 복수의 관구조(30)의 조인트구조(A20)와 조인트구조(B20)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로 연결하여 직관의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구성이다.
도 12에 나타낸 관구조(30)는 관(15)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육각구멍 부착볼트(19)가 삽입된 관통구멍을 구성하는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과, 그 접속면(27)에 개구되고 오링(39)을 삽입하는 홈(25)을 갖는 조인트구조(A20)와, 관(15)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과 합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육각구멍 부착볼트(19)를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을 구성하는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을 구비한 조인트구조(B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구조(A20)와 조인트구조(B20)는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에 삽입되는 육각구멍 부착볼트(19)를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에 나사결합으로 단단히 조여 결합한다. 이 때, 접속면(27)의 부착면은 홈(25)에 삽입된 오링(39)으로 씨일(seal)된다.
오링(39)은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JIS에 준거하여 반드시 조인트구조(A20)의 접속면에 설치된다.
즉, 관구조(30)는 그 조인트구조(A20)와 조인트구조(B20)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로 접속하여 직관의 배관을 구성한다. 또한, 조인트구조(A20)와 조인트구조(B20)의 구성은 JISB2219에 준거한 것이다.
상기 관구조(30)의 조인트구조(A20)는 관(15)의 단부(17)가 극간을 가지고 삽입된 관단 삽입구멍(231)과, 이 관단 삽입구멍(231)에 연설(連設)되어 있으며, 상기 관(15)의 내경(16) 상당의 직경을 갖는 접속구멍(24)과, 이 접속구멍(24)과 상기 관단 삽입구멍(231) 사이에 형성된 상기 단부(17)의 선단(14)이 대향하는 계단부(23)와, 상기 접속구멍(24)의 주위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육각구멍 부착볼트(19)를 삽통(揷通)하는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을 구비한 구성이다.
조인트구조(B20)는 상기 조인트구조(A20)의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을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 대신 홈(25)을 생략한 것 외에는 조인트구조(A20)와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조인트구조(B20)는 조인트구조(A20)의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에 삽입된 육각구멍 부착볼트(19)를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조인트구조(A20)와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구조(A20)와 관(15)은 도 1(b),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구조(A20)의 관단 삽입구멍(231)에 관(15)의 단부(17)를 삽입하여, 관(15)의 외주(18)와 조인트구조(20)의 배면(26)을 용접부(28)에서 용접하고, 관(15)의 단부(17)의 선단(14) 내면과 계단부(23)의 내면에 용접 또는 납땜(황동납, 은납 등) 등의 용착부(29)를 갖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조인트구조(A20)에 관(15)의 단부(17)를 끼워 넣고 용접하기 위해, 관(15)의 외주(18)보다 조인트구조(A20)의 관단 삽입구멍(231)의 직경을 약간 대경(약 0.5mm 정도)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극간(13)(전술한 극간(A)에 상당한다)이 구성되지만, 이 극간(13)은 상기 용접부(28)와 용착부(29)에서 폐쇄된다.
상기 극간(13)을 폐쇄하는 용착부(29)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구멍(24) 내단(內端)의 내향면(241)과 단부(17)의 내향면(161)을 용착하기 때문에, 극간(13)은 확실하게 폐쇄된다. 또한, 용착부(29)는 그 표면이 용융 금속의 냉각에 의해서 생기는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걸리지 않는 매끄러운 유로를 구성한다.
또한, 상술한 관구조(30)의 일단부인 조인트구조(A20)와 관(15)의 용접부와, 타단부인 조인트구조(B20)와 관(15)의 용접부는 도 1(b)~(c)에 나타낸 구조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배관구조(101)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는, 본체(48)와 이 본체(48)에 설치되어 직각으로 교차하는 접속면(41) 및 접속면(42)과, 이 접속면(41) 및 접속면(42)에 개구되는 L형 연통통로(L43)를 갖는 엘보우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이다.
이 엘보우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의 L형 연통통로(L43)는, 그 본체(48)의 접속면(41)과 이 접속면(41)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접속면(42)의 중앙에 개구되는 개구단(46)과 개구단(47)을 구비한 구성이고, 상기 접속면(41)과 접속면(42)은 개구단(46)의 원주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인트구조(A20)의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에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된 연결구멍(44)과, 개구단(47)의 원주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인트구조(A20a)의 관통구멍의 연결구멍(A22a)에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된 구멍 연결구멍(4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관구조(30)의 접속면(27)에 설치된 홈(25)과 관구조(30a) 접속면(27a)에 설치된 홈(25a)은 오링(39, 39a) 삽입용 홈이다. 상술한 배관구조(101)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 관구조(30), 관구조(30a)는 공장 내에서 제작되고 산(酸)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그 내부의 오염물질을 모두 제거한 후, 그 접속면을 양생(養生)에 의해 폐쇄하여 보관해 둔다.
배관구조(101)는 이상과 같이 하여 오염물질 없는 상태로 보관된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와 관구조(30, 30a)를 배관 공사 현장에 운송하여 접속면 부착 조인트(40), 관구조(30, 30a)의 양생을 떼어내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공장 내에 보관된 관구조(30)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를 조립하려면, 우선 양생을 떼어내고 관구조(30)의 홈(25)에 오링을 삽입한 후 연결구멍(A22)에 육각구멍 부착볼트(19)를 삽입하고, 그 선단을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의 본체(42)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4)에 나합(螺合)으로 단단히 조여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의 접속면(42)에 관구조(30a)를 취부(取付)하여 조립하려면, 우선 양생을 떼어내고 관구조(30a)의 홈(25a)에 오링을 삽입한 후 육각구멍 부착볼트(19a)를 삽입하고, 그 선단을 접속면 부착 조인트(40) 본체(48)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5)에 나합으로 단단히 조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배관구조(101)는 조립 시 그 양생을 떼어낼 때에 오염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면 그 모든 작업에서 오염물질이 침입할 여지가 없다. 또한, 오염물질은 용접 작업과 같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육안에 의해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구조(30a)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를 결합한 배관구조(101)의 우측 배관구조(101a)는 다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이다.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배관구조(102)와 상기 제1 실시예의 배관구조(101)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가 주물로 형성된 구조인 점이 상위하다.
즉,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는 그 본체(48b)와 L형 연통통로(L43b)를 주조에 의해 제작하고, 그 접속면(41b)과 접속면(42b), 그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4b, 45b)을 기계 가공한 구성이다.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 본체(48b)의 L형 연통통로(L43b)는 주물로 만든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접속면(41b)에 개구되고 타단이 접속면(42b)에 개구되는 L형 연통통로(L43b)를 곡선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작동유의 흐름을 들썩이지 않는 매끄러운 유로가 얻어진다.
상기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의 접속면(41b)에 접속하는 관구조(30b2)와 접속면(42b)에 접속하는 관구조(30b1)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며, 접속면(41b)은 도 1(e)와 동일하고, 접속면(42b)은 도 1(f)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관구조(102)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에 관구조(30b2)와 관구조(30b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b2)와 육각구멍 부착볼트(19b1)로 그 접속면(41b)과 접속면(42b)에 접속되어 엘보우 배관구조가 구성된다.
이 제2 실시예의 배관구조(102)는 그 유로가 관구조(30b1), 관구조(30b2)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의 L형 연통통로(L43b) 내면에 오목한 곳이나 단차(段差)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매끄럽게 된다.
유로의 매끄러움은 공기 또는 오염물질의 걸림에 의한 정체를 방지하기 때문에 작동유를 저압으로 순환시키는 것만으로 유로를 청소할 수 있고 고압에 의해 플래싱(flashing)을 행하는 횟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관구조(30b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를 결합한 배관구조(102)의 우측 배관구조(102b)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한다.
도 3에 나타낸 제3 실시예의 배관구조(103)는 그 우측 배관구조(103c)에 관구조(30c2)를 취부한 구성으로, 관(15c1)과 관(15c2)을 엘보우 배관으로 하는 구성이다.
우측 배관구조(103c)는 도 1(d)에 나타낸 배관구조(101)의 우측 배관구조(101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접속면 부착 조인트(40c)가 그 접속면(41c)에 개구되는 관통구멍의 연결구멍(44c)으로 한 구성과, 이 연결구멍(44c)이 개구되는 접속면(41c)에 오링(39c)를 삽입하는 홈(25c)을 설치한 구성이 상위하다.
또한, 상기 접속면(41c)에 연결된 관구조(30c2)는 상기 관통구멍의 연결구멍(44c)에 대응하는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c2)을 구비한 조인트구조(B20c2)를 갖는 구성이다.
이 배관구조(103)는 우측 배관구조(103c)와, 그 접속면 부착 조인트(40c)의 접속면(41c)에 연결구멍(44c)을 관통하는 육각구멍 부착볼트(49c)로 연결된 관구조(30c2)로 구성된다.
이 구성인 배관구조(103)는 배관현장에서 도 1(d)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관구조(30c1)의 조인트구조(A20c1)와 관구조(30c2)의 조인트구조(B20c2) 중 어느 것이라도 접속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 배관 공사의 각종 장면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실시예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에 2개의 조인트구조(A20)와 조인트구조(A20a)를 연결하는 구성이며, 제3 실시예에서는 조인트구조(B20c2)와 조인트구조(A20c1)를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배관현장에서 이들을 구별하여 사용함으로써 조인트구조의 상위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구조(30c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c)를 결합한 배관구조(103)의 우측 배관구조(103c)는 다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이다.
도 4에 나타낸 제4 실시예의 배관구조(104)는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배관구조(102)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지만, 배관구조(102)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의 접속면(41b)에 개구되는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4b)을 관통구멍의 연결구멍(44d)으로 한 구성이고, 이 연결구멍(44d)이 개구되는 접속면(41d)에 오링(39d)을 삽입하는 홈(25d)을 설치한 구성 및, 관구조(30d2)의 조인트구조(B20d2)를 상기 접속면(41d)에 합치하는 태양으로 도 12의 좌측 조인트구조(B20)를 이용한 구성이 상위하다.
배관구조(104)는 접속면(41d)에 조인트구조(B20d2)를 구비한 관구조(30d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49d)와 육각볼트 부착볼트(49d)보다 킨 육각구멍 부착볼트(49Ld)에 연결하고, 접속면(42d)에 조인트구조(A20)를 구비한 관구조(30d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d1)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관구조(30d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d)를 결합한 배관구조(104)의 우측 배관구조(104d)는 다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이다.
이 구성인 배관구조(104)와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배관구조(102)를 공동으로 하여 배관현장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에 조인트구조(A20b1)와 조인트구조(A20b2)를 연결하는 구성이고, 도 4에 나타낸 제4 실시예에서는 조인트구조(B20c2)와 조인트구조(A20c1)를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배관현장에서 이들을 구별하여 사용함으로써 조인트구조의 상위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의 배관구조(104)는 관구조(30d1)와 관구조(30d2)의 통로 내면 및 접속면 부착 조인트(40d)의 L형 연통통로(L43d) 내면에 오목한 곳이나 단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극히 매끄러운 유로가 된다. 이 유로의 매끄러움은 오염물질이나 공기의 걸림에 의한 정체를 방지하기 때문에 작동유를 저압으로 순환시키는 것만으로 유로를 청소할 수 있고 고압에 의해 플래싱을 행하는 횟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나타낸 제5 실시예의 배관구조(105)는 배관의 단차 조정 등에 이용하는 대략 S자형 배관이며, 그 우측 배관구조(105e1)와 좌측 배관구조(105e2)로 구성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15e1)과 관(15e2)이 대략 S자형으로 배관을 구성한다.
상기 우측 배관구조(105e1)는 도 3에 나타낸 제3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3c)와 동일한 구성이며, 좌측 배관구조(105e2)는 도 1(d)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1a)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제5실시예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e1)에 관구조(30e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e1)로 결합하여 우측 배관구조(105e1)를 구성하고, 접속면 부착 조인트(40e2)에 관구조(30e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e2)로 결합하여 좌측 배관구조(105e2)를 구성한다.
제5 실시예의 배관구조(105)는 우측 배관구조(105e1)와 좌측 배관구조(105e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49e1)로 접속면(41e1)과 접속면(41e2)을 결합함으로써 구성한다.
이 제5 실시예의 배관구조(105)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e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e2)에 의해 관(15e1)과 관(15e2)의 방향을 전환하여 접속되어 있고, 그 간격은 2개의 조인트구조(A20e1)와 조인트구조(A20e2)의 피치가 되기 때문에 최소의 치수가 된다.
이와 같이 평행으로 배관된 관(15e1)과 관(15e2)의 간격은 2개의 조인트구조(A20e1)와 조인트구조(A20e2)의 피치인 최소 치수가 되기 때문에, 접속면(41e1)과 접속면(41e2) 사이에 중간 조인트를 삽입함으로써 확대 조정이 가능하며, 또한 관(15e1과 15e2)의 배치에 각도를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도가 있는 중간 조인트를 삽입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제6 실시예의 배관구조(106)는 도 5에 나타낸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관의 단차 조정 등에 이용하는 대략 S자형 배관이며, 우측 배관구조(106f1)와 좌측 배관구조(106f2)로 구성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15f1)과 관(15f2)이 대략 S자형 배관을 구성한다.
상기 우측 배관구조(106f1)는 도 4에 나타낸 제4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4d)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좌측 배관구조(106f2)는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2b)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우측 배관구조(106f1)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f1)에 관구조(30f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f1)로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좌측 배관구조(106f2)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f2)에 관구조(30f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f2)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배관구조(106)는 우측 배관구조(106f1)와 좌측 배관구조(106f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49f)와 육각구멍 부착볼트(49Lf)로 접속면(41f1)과 접속면(41f2)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 제6 실시예의 배관구조(106)는 관(15f1)과 관(15f2)이 접속면 부착 조인트(40f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f2)에 의해 단차를 부착하여 접속되어 있고, 그 관(15f1)과 관(15f2)이 평행으로 배관되어 있으며, 그 간격은 2개의 조인트구조(A20f1)와 조인트구조(A20f2)의 피치의 최소 치수가 된다.
이와 같이 평행으로 배관된 관(15f1)과 관(15f2)의 간격은 2개의 조인트구조(A20f1)와 조인트구조(A20f2)의 피치인 최소 치수가 되기 때문에, 접속면(41f1)과 접속면(41f2) 사이에 중간 조인트를 삽입함으로써 조정이 가능하며, 또한 관(15f1과 15f2)의 배치에 각도를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도가 있는 스페이서(spacer)를 삽입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배관구조(106)는 우측 배관구조(106f1)와 좌측 배관구조(106f2)를 결합하고, 관(15f1), L형 연통통로(L43f1), L형 연통통로(L43f2) 및 관(15f1), 관(15f2)으로 구성된 유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이나 공기를 저류하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낸 제7 실시예의 배관구조(107)는 배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U자형 배관이며, 그 우측 배관구조(107g1)와 좌측 배관구조(107g2)로 구성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15g1)과 관(15g2)이 U자형인 배관을 구성한다.
상기 우측 배관구조(107g1)는 도 5에 나타낸 제5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5e1)와 동일한 구성이며, 좌측 배관구조(107g2)는 도 5에 나타낸 제5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5e2)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구조(107)의 우측 배관구조(107g1)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g1)에 관구조(30g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g1)로 결합하여 구성하고, 좌측 배관구조(107g2)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g2)에 관구조(30g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g2)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배관구조(107)는 우측 배관구조(107g1)와 좌측 배관구조(107g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49g)로 접속면(41g1)과 접속면(41g2)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배관구조(107)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g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g2)의 결합에 의해 관(15g1)을 관(15g2)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구성이며, 도 5에 나타낸 제5 실시예의 좌측 배관구조(105e2)의 관(15e2)을 배관구조(107)의 관(15g1)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유로를 U자형으로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U자형으로 배관된 관(15g1)과 관(15g2)의 간격은 2개의 조인트구조(A20g1)와 조인트구조(A20g2)의 피치인 최소 치수가 되기 때문에, 접속면(41g1)과 접속면(41g2) 사이에 중간 조인트를 삽입함으로써 조정이 가능하며, 또한 관(15g1과 15g2)의 배치에 각도를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도가 있는 스페이서를 삽입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배관구조(107)는 제5 실시예의 일방 접속면 부착 조인트(40e2)를 180도 회전하여 관(15g1)과 관(15g2)을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한 예이지만, 접속면 부착 조인트(40e2)를 90도 회전시켜 우측 배관구조(107f1)와 좌측 배관구조(107f2)를 결합하여 단차 부착 엘보우 배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낸 제8 실시예의 배관구조(108)는 배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U자형 배관이며, 그 우측 배관구조(108h1)와 좌측 배관구조(108h2)로 구성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15h1)과 관(15h2)이 U자형인 배관을 구성한다.
상기 우측 배관구조(108h1)는 도 6에 나타낸 제6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6f1)와 동일한 구성이며, 좌측 배관구조(108h2)는 좌측 배관구조(106f2)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구조(108)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h1)에 관구조(30h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h1)로 결합하여 우측 배관구조(108h1)를 구성하고, 접속면 부착 조인트(40h2)에 관구조(30h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h2)로 결합하여 좌측 배관구조(108h2)를 구성한다.
배관구조(108)는 우측 배관구조(108h1)와 좌측 배관구조(108h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49h)와 육각구멍 부착볼트(49Lh)로 접속면(41h1)과 접속면(41h2)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배관구조(108)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h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h2)의 결합에 의해 관(15h1)과 관(15h2)을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구성이며, 도 6에 나타낸 제6 실시예의 좌측 배관구조(106f2)의 관(15f2)을 관(15f1)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유로를 U자형으로 한 구조와 동등하다.
배관구조(108)는 관(15h1)과 관(15h2)이 접속면 부착 조인트(40h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h2)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배관되어 있으며, 그 간격은 2개의 조인트구조(A20h1, 40h2)의 피치가 되기 때문에 최소 치수가 된다.
이와 같이 평행으로 배관된 관(15h1)과 관(15h2)의 간격은 2개의 조인트구조(A20h1, 40h2)의 피치인 최소 치수가 되기 때문에, 접속면(41h1)과 접속면(41h2) 사이에 중간 조인트를 삽입함으로써 확대하는 조정이 가능하며, 또한 관(15h1과 15h2)의 배치에 각도를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도가 있는 중간 조인트를 삽입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배관구조(108)의 우측 배관구조(108h1)와 좌측 배관구조(108h2)를 결합하고, 관(15h1, 15h2)을 L형 연통통로(L43h1), L형 연통통로(L43h2) 및 관(15h1), 관(15h2)으로 구성된 유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이나 공기를 저류하지 않는다.
도 9(a), (b)에 나타낸 제9 실시예인 배관구조(109)는 우측 배관구조(109j1)와 관구조(30j2) 사이에 중간 조인트(34)를 개재시켜, 좌측 배관구조(109j2)의 관구조(30j2)의 관(15j2)을 소정의 출구각도로 변화시킨 것이다.
즉, 배관공사 현장에서는 각종 배관 각도가 요구되지만, 이들 모두에 대응하면 접속면 부착 조인트의 종별(種別)이 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배관공사 현장에서 접속면 부착 조인트(40j)와 관(15j2)의 각도를 측정하여, 그 각도에 대응한 도 9(b)에 나타낸 중간 조인트(34)를 각종 배관 공사에 대응해서 제작하여 재고 종별의 감소를 도모하는 것이다.
중간 조인트(34)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j)의 L형 연통통로(L43j)와 관구조(30j2) 접속구멍(24j2)에 합치하는 개구부(35a, 35b)를 가진 통로(35)와, 이 통로(35)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접속면 부착 조인트(40j)의 육각구멍 부착볼트(49j)가 나합하는 나사구멍의 연결구멍(36)과 관구조(30j1)의 육각구멍 부착볼트(19j2)가 나합하는 나사구멍을 구성하는 연결구멍(3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35a)가 개구되는 중간 접속면(32)과 개구부(35b)가 개구되는 중간 접속면(33) 사이에 필요한 각도 θ를 설치한 구성이다.
중간 조인트(34)는 배관공사 현장에서 정확하게 그 각도 θ를 측정하여 공장에서 제작하고, 그 연결구멍(36)에 접속면 부착 조인트(40j)의 연결구멍(44j)을 관통시킨 육각구멍 부착볼트(19j)를 나합하여 체결하고, 연결구멍(37)에 관구조(30j2)의 조인트구조(A20j2)의 연결구멍(22j2)을 관통시킨 육각구멍 부착볼트(19j2)를 나합시켜 체결하면 관구조(30j2)의 관(15j2)과 관구조(30j1)의 관(15j1)을 현장에 합치하는 각도에 배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에 나타낸 제10 실시예의 배관구조(110)는 배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U자형 배관이며, 그 하측 배관구조(110m1)와 하측 배관구조(110m2)로 구성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15m1)과 관(15m2)이 U자형인 배관을 구성한다.
상기 하측 배관구조(110m1)는 도 4에 나타낸 제4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4d)와 동일한 구성이며, 마찬가지로 상측 배관구조(110m2)도 도 4에 나타낸 제4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4d)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구조(110)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m1)의 접속면(41m1)과 접속면 부착 조인트(40m2)의 접속면(41m2) 사이에 중간 조인트(34m)를 삽입하여 육각구멍 부착볼트(49m1, 49Lm1)와 육각구멍 부착볼트(49m2, 49Lm2)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다.
제10 실시예의 중간 조인트(34m)는 도 9(b)에 나타낸 중간 조인트(34)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조인트(34m)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m1과 40m2)의 양측은 L형 연통통로(L43m1)와 L형 연통통로(L43m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조인트(34m)의 단면(32m과 33m)은 그 단면에 통로(35m)와 동심의 원형 형상으로 나사구멍의 연결구멍(36m)과 나사구멍의 연결구멍(37m)이 설치되어 있다.
배관구조(110)는 중간 조인트(34m)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36m, 37m)에 육각구멍 부착볼트(49m1, 49m2)와, 약간 긴 육각구멍 부착볼트(49Lm1, 49Lm2)로 결합되어 하측 배관구조(110m1)와 상측 배관구조(110m2)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배관구조(110)는 중간 조인트(34m)를 배관현장에서 관(15m1과 15m2)의 격리 치수를 재고 가공함으로써, 배관현장에 대응한 배관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 조인트(34m)는 배관의 격리 치수가 나사구멍의 연결구멍(36m)과 나사구멍의 연결구멍(37m)의 합계 길이보다 긴 치수에 적용하는 것이 더 좋다.
배관구조(110)의 상측 배관구조(110m1)와 하측 배관구조(110m2)를 결합하고, 관(15m1과 15m2)과, L형 연통통로(L43m1), 연통통로(35m), L형 연통통로(L43m2)로 구성된 유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이나 공기를 저류하지 않는다.
도 11에 나타낸 제11 실시예의 배관구조(111)는 배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U자형 배관이며, 그 하측 배관구조(111n1)와 상측 배관구조(111n2)로 구성되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15n1)과 관(15n2)이 U자형인 배관을 구성한다.
상기 하측 배관구조(111n1)는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2b)와 동일 구성이며, 상측 배관구조(111n2)는 도 4에 나타낸 제4 실시예의 우측 배관구조(104d)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구조(111)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n1)의 접속면(42n1)과 접속면 부착 조인트(40n2)의 접속면(42n2) 사이에 중간 조인트(34n)를 삽입하여, 이 중간 조인트(34n)를 육각구멍 부착볼트(49n)와 육각구멍 부착볼트(49Ln)로 고정한 구조이다.
제11 실시예의 중간 조인트(34n)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n1과 40n2)의 L형 연통통로(L43n1), L형 연통통로(L43n2)를 연통하는 연통통로(35n)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조인트(34n)의 단면(32n과 33n)에는 연통통로(35n)와, 동심의 원형 형상으로 관통구멍의 연통구멍(36n)이 설치되어 있다.
제11 실시예의 배관구조(111)는 육각구멍 부착볼트(49n), 육각구멍 부착볼트(49Ln)를 접속면 부착 조인트(40n2)의 관통구멍의 연결구멍(44Ln1, 44n2)과 중간 조인트(34n)의 관통구멍의 연결구멍(36n)을 관통시켜, 그 선단을 접속면 부착 조인트(40n1)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4n1)에 결합하여 하측 배관구조(111n1)와 상측 배관구조(111n2)를 중간 조인트(34n)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배관구조(111)는 중간 조인트(34n)를 배관현장에서 관(15n1)과 관(15n2)의 격리 치수를 재고 가공함으로써, 배관현장에 대응한 배관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 조인트(34n)는 배관의 격리 치수가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4n1) 길이의 2배보다 짧은 치수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배관구조(111)의 하측 배관구조(111n1)와 상측 배관구조(111n2)를 결합하고, 관(15n1), L형 연통통로(L43n1), L형 연통통로(L43n2) 및 관(15n2)으로 구성된 유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이나 공기를 저류하지 않는다.
도 13(a)에 나타낸 제12 실시예의 배관구조(112)는 배관 방향을 분기하기 위해 이용하는 T형 배관이며, 배관구조(112)를 구성하는 T형 배관구조(112p)는 T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p1)에 관구조(30p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p1)로 고정하고, 관구조(30p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p2)로 고정한 구성이다.
T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p)는 관구조(30p1), 관구조(30p2) 및 관구조(30p)에 접속하는 T형 연통통로(T43p)가 있다.
상기 T형 연통통로(T43p)는 관구조(30p1)의 관(15p1), 관구조(30p2)의 관(15p2) 및 관구조(30p)의 관(15p)이 접속되어, 관구조(30p)를 관구조(30p1)의 관(15p2)의 2방향으로 분기한다.
접속면 부착 조인트(40p)의 관구조(30p)가 접속되는 접속면(42p)의 형상은 도 1(f)에 나타낸 접속면(41)과 동일한 구조이며, 관구조(30p1과 30p2)가 접속하는 접속면(41p1, 41p2)은 도 1(e)에 나타낸 접속면(42)과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관구조(112)는 배관구조(112p)의 T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p)의 접속면(41p1)에 관구조(30p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p1)로 고정함과 동시에, T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p)의 접속면(41p2)에 관구조(30p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p2)로 고정하고 있고, 관구조(30p)의 관(15p)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관(15p1)과 관(15p2)에 분기한다.
이상의 구성인 제12 실시예의 배관구조(112)의 T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p)와, 이 접속면 부착 조인트(40p)에 접속하는 관구조(30p1), 관구조(30p2) 및 관구조(30p)로 구성하는 분기 통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을 저류하지 않는다.
도 13(b)에 나타낸 제13 실시예의 배관구조(113)는 하측 배관구조(113u1)와 상측 배관구조(113u2)를 연접하여 다방향으로 분기하기 위해 이용하는 다방향 분기형 배관이며, 통로를 다방향으로 분기하는 하측 배관구조(113u1)와 상측 배관구조(113u2)는 제12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 배관구조(112p)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제13 실시예의 배관구조(113)는 하측 배관구조(113u1)와 상측 배관구조(113u2)를 구성하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u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u2)를 중합(重合)하고, 접속면 부착 조인트(40u1)의 하측 접속면(41u1)에 관구조(30u3)를 배치하며, 접속면 부착 조인트(40u2)의 상측 접속면(41u2)에 관구조(30u4)를 배치한 구성이다.
제13 실시예의 배관구조(113)의 배관구조(113u1) 하측에 배치된 관구조(30u3)와, 배관구조(113u2) 상측에 배치된 관구조(30u4)는 육각구멍 부착볼트(49u)가 관구조(30u3)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u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u2)를 관통하고, 그 선단을 관구조(30u3)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u3)에 결합함으로써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인 제13 실시예의 배관구조(113)는 배관구조(113u1)에 접속한 관구조(30u1)의 관(15u1)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관(15u2)~관(15u4)의 3방향으로 분기한다.
이상의 구성인 제13 실시예의 배관구조(113)의 관구조(30u1~30u4)와 T형 연통통로(T43u1)와 T형 연통통로(T43u2)로 구성된 유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을 저류하지 않는다.
도 14(a)에 나타낸 제14 실시예의 배관구조(114)는 다방향으로 분기하기 위해 이용하는 분기형 배관이며, 통로를 다방향으로 분기하는 배관구조(114r)는 크로스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r)에 관구조(30r1)와 관구조(30r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r1)와 육각구멍 부착볼트(19r2)로 고정한 구성이다.
크로스형 접속면 부착 조인트(40r)는 관구조(30r1)의 관(15r1), 관구조(30r2)의 관(15r2), 관구조(30r3)의 관(15r3) 및 관구조(30r4)의 관(15r4)에 접속하는 크로스형 연통통로(C43r)가 있다.
상기 크로스형 연통통로(C43r)는 크로스형 연통통로(C43r)의 일방의 양단에 관구조(30r1)와 관구조(30r2)가 접속되고, 크로스형 연통통로(C43r)의 타방의 양단에 관구조(30r3)와 관구조(30r4)가 접속되어 그 관(15r1)을 관(15r2), 관(15r3), 관(15r4)의 3방향으로 분기한다.
접속면 부착 조인트(40r)의 관구조(30r1)가 접속되는 접속면(42r1)은 도 1(f) 접속면(42)과 동일한 정방형 구조이며, 접속면 부착 조인트(40r)의 관구조(30r2)가 접속되는 접속면(42r2)도 도 1(f) 접속면(42)과 동일한 정방형 구조이다.
또한, 관구조(30r3)가 접속된 접속면(41r1)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형 연통통로(C43r) 및 동심의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관구조(30r1)의 육각구멍 부착볼트(19r1)가 결합하는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4r1)을 구비하고, 또한 접속면(42r1, 42r2)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45r)의 깊이만큼 길이가 긴 장방형의 구성이다.
접속면(41r2)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형 연통통로(C43r)와 동심의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관구조(30r3)의 육각구멍 부착볼트(19r4)가 결합하는 나사구멍의 연결구멍(44r2)을 구비하고, 접속면(42r1, 42r2)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45r1)의 깊이만큼 길이가 긴 장방형의 구성이다.
제14 실시예의 배관구조(114)는 접속면(42r1)에 관구조(30r1)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r1)로 고정하고, 접속면(42r2)에 관구조(30r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r2)로 고정하고, 접속면(41r)에 관구조(30r3)를 육각구멍 부착볼트(19r3)로 고정한 구성으로, 관구조(30r1)의 관(15r1)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관(15r2)~관(15r4)의 3방향으로 분기한다.
이상의 구성인 제14 실시예의 배관구조(114)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r)와 이 접속면 부착 조인트(40r)에 접속하는 관구조(30r1)~관구조(30ar4)로 구성되는 분기 통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을 저류하지 않는다.
도 14(c)에 나타낸 제15 실시예의 배관구조(115)는 하측 배관구조(115s1)와 상측 배관구조(115s2)를 연접하여 다방향으로 분기하기 위해 이용하는 다방향 분기형 배관이며, 통로를 다방향으로 분기하는 배관구조(115s1과 115s2)는 제14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 크로스 분기하는 배관 구조(114r)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도 14(c)에 나타낸 제15 실시예의 배관구조(115)는 배관구조(115s1과 115s2)를 구성하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s1)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s2)를 중합하여, 접속면 부착 조인트(40s1)의 하면의 접속면(41s1)에 관구조(30s5)를 배치하고, 접속면 부착 조인트(40s2)의 상면의 접속면(41s2)에 관구조(30s6)를 배치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배치한 배관구조(115s1)의 아래에 배치한 관구조(30s5)와, 배관구조(115s2)의 위에 배치한 관구조(30s6)는 육각구멍 부착볼트(49s)가 관구조(30s6)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s2)와 접속면 부착 조인트(40s1)를 관통하고, 그 선단을 관구조(30s5)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s5)에 결합함으로써 체결된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인 배관구조(115)는 배관구조(115s1)에 접속한 관구조(30s1)의 관(15s1)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관(15s2)~관(15s6)의 5방향으로 분기한다.
이상의 구성인 배관구조(115)의 관구조(30s1~30s6)와 크로스형 연통통로(C43s1)와 크로스형 연통통로(C43s2)로 구성되는 분기 통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을 저류하지 않는다.
도 15에 나타낸 제16 실시예의 배관구조(116)는 하측 배관구조(116t1)와 상측 배관구조(116t2)를 연접하여 다방향으로 분기하기 위해 이용하는 다방향 분기형 배관이며, 통로를 다방향으로 분기한다.
도 15에 나타낸 제16 실시예의 배관구조(116)는 배관구조(116)를 구성하는 배관구조(116t1)가 도13(a)에 나타낸 제13 실시예의 배관구조(112p)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배관구조(116t2)가 도 14(a)에 나타낸 제12 실시예의 배관구조(114r)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제16 실시예의 배관구조(116)는 배관구조(116t1)와 배관구조(116t2)를 구성하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40t1과 40t2)를 중합하고, 접속면 부착 조인트(40t1)의 하면의 접속면(41t1)에 관구조(30t3)를 배치하고, 접속면 부착 조인트(40t2)의 상면에 관구조(30t4)를 배치함과 동시에 접속면 부착 조인트(40t2)의 접속면(42t2)에 관구조(30t5)를 고정한 구조이다.
제16 실시예의 배관구조(116)는 배관구조(116t1)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t1)와, 배관구조(116t2)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t2)를 육각구멍 부착볼트(49t)가 관통하고 그 선단을 관구조(30t3)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B22t3)에 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구성인 배관구조(116)는 배관구조(116t1)에 접속한 관구조(30t1)의 관(15t1)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관(15t2)~관(15t5)의 4방향으로 분기한다.
이상의 구성인 배관구조(116)의 관구조(30t1~30s5)와 크로스형 연통통로(C43t1)와 T형 연통통로(T43t2)로 구성되는 분기 통로는 그 내면에 요철부가 없는 매끄러운 유로가 되어 오염물질을 저류하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는 그 본체(48b)가 주조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 L형 연통통로(L43b)의 접속면(41)과 접속면(42)의 개구단(43b1과 43b2)은 그 주물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중심이 정확하게 특정될 수 있도록 절삭되어 있다.
상기 L형 연통통로(L43b)의 접속면(41b)과 접속면(42b)의 개구단(43b1과 43b2)의 절삭은 주물 표면이 없어지는 정도로 지극히 미미하며, 개구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소경의 테이퍼(taper) 형상이다.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의 접속면 부착 조인트(40b)의 접속면(41b, 42b)에 설치된 4개의 연결구멍(44b, 45b)은 상술한 주물 표면이 가공된 개구단(43b1, 43b2)의 중심을 센터로 하여 가공되어 있다.
연결하는 접속면은 그 일방의 연결구멍이 나사구멍으로 구성되고 있, 타방은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관통구멍은 나사구멍보다 약간 대경(10mm 나사의 경우 11mm의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다.
접속하는 접속면에서의 개구단의 정합성은, 4개의 연결구멍의 대각선상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에 관통구멍의 연결구멍보다 다소 소경의 두부(頭部)를 가지고 있는 가이드 나사를 끼워 넣고, 이 가이드 나사에 관통구멍의 연결구멍을 삽입하여 2개의 접속면의 개구단을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나머지 2개의 나사구멍의 연결구멍에 육각구멍 부착볼트를 끼워 넣어 고정한 후, 관통구멍의 가이드 나사를 떼어내고 육각구멍 부착볼트를 끼워 넣어 고정함으로써 접속면에서의 개구단을 정확히 일치시킨다.
상기 가공은 주물의 본체를 갖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 모두에 적용된다. 이 때문에 주물 특유의 매끄러운 주물 표면을 보유하고, 접속면에서의 연통통로를 정확히 합치시키므로, 통로를 매끄럽게 하여 오염물질을 저류시키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는 접속면 부착 조인트와 관구조를 조합한 배관구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접속면 부착 조인트의 용도로서 유압 기기(유압 실린더,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 방향 전환 밸브)의 입출력 포트에 직접 접속하는 용도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 기기의 입출력 포트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곡률 반경을 접속면의 절반의 최소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배관구조
13 극간
14 선단
15 관
16 내경
17 단부
18 외주
19 육각구멍 부착볼트(볼트)
A20 관조인트(조인트구조)
B20 관조인트(조인트구조)
A22 연결구멍(관통구멍 또는 나사구멍으로 구성한다)
B22 연결구멍(나사구멍으로 구성한다)
23 계단부
231 관단 삽입구멍
24 접속구멍
27 접속면
28 용접부(용착부)
29 용착부
30 관구조
32 중간 접속면
33 중간 접속면
34 중간 입체 조인트
35 통로35
36 연결구멍(나사구멍을 구성한다)
37 연결구멍(나사구멍을 구성한다)
39 오링
40 입체 조인트
41 접속면(제1 접속면)
42 접속면(제2 접속면)
43 연통통로
44 연결구멍(제1 연결구멍)
45 연결구멍(제2 연결구멍)
46 개구단(제1 개구단)
47 개구단(제2 개구단)
48 본체
A 극간
L30 관구조의 길이

Claims (3)

  1.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통로를 갖는 유압 기기의 포트 또는 배관의 조인트 등의 접속체에 접속된 제1 접속면 및 제2 접속면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1 개구단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1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1 연결구멍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2 개구단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2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2 연결구멍과,
    상기 제1 개구단 및 제2 개구단을 연통하는 연통통로를 구비한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이 상기 제2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과 교차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접속면을 제1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형으로 하며,
    상기 제2 접속면을 제2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형을 포함하고, 그 한 변을 상기 정방형 한 변보다 상기 제1 연결구멍의 깊이 이상의 길이를 부가한 길이의 장방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2. 배관을 구성하는 관과,
    이 관의 단부가 극간을 가지고 삽입된 관단 삽입구멍과 이 관단 삽입구멍에 연설되어 있는 상기 관의 내경 상당의 직경을 갖는 접속구멍과 이 접속구멍이 개구되는 접속면을 구비한 관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관단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관의 단부 내면과 상기 접속구멍의 내면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관의 외주와 상기 관조인트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3.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통로를 갖는 유압 기기의 포트 또는 배관의 조인트 등의 접속체에 접속된 제1 접속면 및 제2 접속면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1 개구단과,
    상기 제1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1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1 연결구멍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는 제2 개구단과,
    상기 제2 접속면에 개구되고 상기 제2 개구단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 제2 연결구멍과,
    상기 제1 개구단 및 제2 개구단을 연통하는 연통통로를 구비한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이 상기 제2 접속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과 교차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접속면을 제1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형으로 하며,
    상기 제2 접속면을 제2 개구단이 중심이 된 정방향을 포함하고, 그 한 변을 상기 정방형 한 변보다 상기 제1 연결구멍의 깊이 이상의 길이를 부가한 길이의 장방형으로 한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와,
    배관을 구성하는 관과,
    이 관의 단부가 극간을 가지고 삽입된 관단 삽입구멍과 이 관단 삽입구멍에 연설되어 있는 상기 관의 내경 상당의 직경을 갖는 접속구멍과 이 접속구멍이 개구되는 접속면을 구비한 관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관단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관의 단부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멍의 내면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관의 외주와 상기 관조인트를 용접한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면을 구비한 관조인트의 접속면과,
    상기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의 관조인트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조.
KR1020147023420A 2012-01-24 2013-01-22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 KR101994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2010 2012-01-24
JPJP-P-2012-012010 2012-01-24
JP2012256318 2012-11-22
JPJP-P-2012-256318 2012-11-22
JP2013008319A JP5957387B2 (ja) 2012-01-24 2013-01-21 接続面を備えた継手と管継手を備えた管及びそれらで構成した配管構造
JPJP-P-2013-008319 2013-01-21
PCT/JP2013/051194 WO2013111748A1 (ja) 2012-01-24 2013-01-22 接続面を備えた継手と管継手を備えた管及びそれらで構成した配管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15A true KR20140116215A (ko) 2014-10-01
KR101994244B1 KR101994244B1 (ko) 2019-09-30

Family

ID=4887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420A KR101994244B1 (ko) 2012-01-24 2013-01-22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76679B2 (ko)
EP (1) EP2808590B1 (ko)
JP (1) JP5957387B2 (ko)
KR (1) KR101994244B1 (ko)
CN (1) CN104081103B (ko)
WO (1) WO20131117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007A (ko) * 2018-10-11 2020-04-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냉각 유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9275B2 (ja) * 2014-06-25 2019-06-12 出光興産株式会社 配管連通部材
US10166618B2 (en) 2016-01-15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at stop for brazing or soldering
CN106240276A (zh) * 2016-08-24 2016-12-21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一种后扭转梁焊接搭接结构
KR101757773B1 (ko) * 2016-10-18 2017-07-14 하진상 두께 확장 및 절삭 가공형 파이프를 이용한 조인트 플랜지 제조방법
JP6913007B2 (ja) * 2017-11-16 2021-08-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配管部材及び流体輸送装置
US11162622B2 (en) 2018-04-27 2021-11-02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Wedge adapter seal
DE102018208004A1 (de) * 2018-05-18 2019-11-21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s System
US11519536B2 (en) 2020-07-07 2022-12-06 Safoco, Inc. Fluid conduit connector system
US11384876B2 (en) 2020-07-07 2022-07-12 Safoco, Inc. Fluid conduit connector system
US11530601B2 (en) 2020-07-07 2022-12-20 Safoco, Inc. Fluid conduit connector system
CN112594469B (zh) * 2020-11-24 2022-06-28 中国人民解放军96901部队24分队 一种基于液压缸销轴的可变节流旋转接头
CN112833268B (zh) * 2020-12-31 2022-10-18 浙江永瑞气动有限公司 一种多功能气动管接头
DE102021113617A1 (de) * 2021-05-26 2022-12-01 M-Tech Gmbh Ventiladap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374A (ja) 1993-10-07 1995-04-18 Takuo Mori フランジの構造及び該フランジに管を溶接固定する方法
US20050028878A1 (en) * 2003-08-07 2005-02-10 Reid Kenneth Edward Modular component connector substrate assembly system
WO2010137138A1 (ja) * 2009-05-27 2010-12-0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配管継手、及びそれを備えたテストヘッド
CN101985925A (zh) * 2010-12-06 2011-03-16 中国石油集团西部钻探工程有限公司 耐用钻井泵
CN201803015U (zh) * 2010-09-03 2011-04-20 泉州市丰泽区东方机械有限公司 一种热熔胶输送管道连接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0752A (en) * 1975-05-01 1978-03-28 Burge David A Toy blocks with conduits and fluid seal means
JPS5836688A (ja) 1981-08-26 1983-03-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高速仕分パイリング方法
JPS5836688U (ja) * 1981-09-02 1983-03-10 大英フレックス工業株式会社 ねじれ変位可能なベロ−ズ型伸縮管継手
JPS61206187U (ko) * 1985-06-14 1986-12-26
JPS62179486U (ko) 1986-05-07 1987-11-14
JPS6330686A (ja) 1986-07-21 1988-02-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気密構造
US5709247A (en) * 1995-12-15 1998-01-20 Hutton; Peter B. Multiple valve manifold for use with a pressure processing apparatus
US5845386A (en) * 1996-08-30 1998-12-08 Taper-Lok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a multiple-piece elbow assembly
US6467820B1 (en) * 1998-10-23 2002-10-22 David E. Albrecht High-pressure fluid-flow system having compact two-bolt and four-bolt flanged and modular connectors
US7150475B2 (en) * 2001-07-13 2006-12-19 Talon Innovations, Inc. Shear-resistant modular fluidic blocks
US20060022458A1 (en) * 2004-07-27 2006-02-02 Timothy Droste Sealed fluid connector assembly
CN201007407Y (zh) * 2007-02-16 2008-01-16 建湖县鸿达阀门管件有限公司 抗冲蚀管接头
CN102031943A (zh) * 2009-09-24 2011-04-27 江苏宏泰石化机械有限公司 一体化四通明杆平板阀
JP5496773B2 (ja) 2010-05-18 2014-05-21 Ckd株式会社 薬液流路用連結装置
US8544500B2 (en) 2010-05-18 2013-10-01 Ckd Corporation Coupling apparatus for chemical fluid flow channel
CN201902194U (zh) * 2010-12-25 2011-07-20 海城市石油机械制造有限公司 油气井节流管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374A (ja) 1993-10-07 1995-04-18 Takuo Mori フランジの構造及び該フランジに管を溶接固定する方法
US20050028878A1 (en) * 2003-08-07 2005-02-10 Reid Kenneth Edward Modular component connector substrate assembly system
WO2010137138A1 (ja) * 2009-05-27 2010-12-0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配管継手、及びそれを備えたテストヘッド
CN201803015U (zh) * 2010-09-03 2011-04-20 泉州市丰泽区东方机械有限公司 一种热熔胶输送管道连接头
CN101985925A (zh) * 2010-12-06 2011-03-16 中国石油集团西部钻探工程有限公司 耐用钻井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007A (ko) * 2018-10-11 2020-04-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냉각 유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67960A1 (en) 2014-12-18
JP2014122692A (ja) 2014-07-03
JP5957387B2 (ja) 2016-07-27
KR101994244B1 (ko) 2019-09-30
CN104081103B (zh) 2016-12-21
US9976679B2 (en) 2018-05-22
EP2808590A1 (en) 2014-12-03
WO2013111748A1 (ja) 2013-08-01
EP2808590B1 (en) 2017-08-09
EP2808590A4 (en) 2015-11-04
CN104081103A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6215A (ko)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
EP2957805A1 (en) Double wall tube bolted flange fitting
JP2006009969A (ja) 集積化ガス制御装置用流路ブロック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集積化ガス制御装置
EP3037708A1 (en) Joint for high-pressure pipes and joint structure
TWI603023B (zh) 模組化接頭及製造此接頭的方法
US20120186796A1 (en) Heat exchanger device and use thereof
SE532345C2 (sv) Värmeväxlarplatta, värmeväxlarkassett och värmeväxlare med packningsspår
US20160298798A1 (en) Assembly for Connecting a Tube
US8607853B2 (en) Modular heat exchanger connectable in multiple different configurations
KR100740166B1 (ko) 바이패스관의 구조
EP2762242A1 (en) Press-fitting
JP5270712B2 (ja) 組み立て式マニフォールド
KR200389186Y1 (ko) 배관이음구
JP2013148147A (ja) 分岐栓付きサドル継手及び仮設配管用管継手
CN108626457B (zh) 一种换向阀及其制备方法
KR200347922Y1 (ko) 배관용 분기관
JP4829682B2 (ja) 組み立て式マニフォールド
JP2016217675A (ja) 継手接続部のシール構造
KR102097661B1 (ko) 끼움 고정식 파이프 커넥터 장치
CN218479855U (zh) 一种汽车发动机水管路用连接管
US201502475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iping system
KR20180000828U (ko) 수밀 성능이 향상된 단관 플랜지붙이 관 구조
JP2004116556A (ja)
JP5302664B2 (ja) 分岐栓
KR20160029250A (ko) 분기관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