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540A - 주방용 도마 - Google Patents

주방용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540A
KR20140114540A KR1020130028764A KR20130028764A KR20140114540A KR 20140114540 A KR20140114540 A KR 20140114540A KR 1020130028764 A KR1020130028764 A KR 1020130028764A KR 20130028764 A KR20130028764 A KR 20130028764A KR 20140114540 A KR20140114540 A KR 2014011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board
food material
marking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손민
류준형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러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러너스 filed Critical (주)제이엔러너스
Priority to KR102013002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4540A/ko
Publication of KR2014011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도마는 주방용 도마에서 식자재의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주방용 도마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에 식자재가 안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복수 개의 슬릿을 포함하여, 식자재를 파쇄하는 강판(薑板)부를 구비하여, 별도의 강판부의 구비없이 단일의 주방용 도마에서 식자재에 대한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도마{KITCHEN BOARD}
본 발명은 주방용 도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자재의 가공 및 준비를 위해 사용되는 주방용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은 사용자가 다양한 식자재에 대한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공간이다. 이 식자재의 가공에 있어서 다양한 가공 방법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가공 수단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식자재의 가공을 위해 동시적으로 사용되는 가공 수단이 존재한다.
일례로 식자재의 가공을 위해 동시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가공 수단으로는 사용자가 칼을 이용하여 식자재를 커팅하거나 다듬을 때 주로 사용되는 주방용 도마와, 식자재가 파쇄되어 파쇄물이 가공되도록 하는 강판을 이야기할 수 있다. 주방용 도마와 강판의 경우, 식자재의 가공에 있어 동시적으로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나, 사용자가 주방 환경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주방용 도마와 강판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이용 상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주방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식자재에 대한 다양한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공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단일의 주방용 도마를 기반으로 다양한 식자재에 대한 가공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주방용 도마에서 인체에 섭취되는 식자재의 가공이 이루진다는 점에서 다양한 식자재가 사용될 경우 위생상 좋지 못하고, 식자재 고유의 냄새가 다른 식자재로 옮겨지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복수 개의 도마를 구비하여, 다양한 식자재 종류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복수 개의 주방용 도마를 구비하여 식자재에 매칭되도록 주방용 도마를 사용한다하더라도, 각각의 주방용 도마에 별도의 표식을 하지 않는 이상, 사용 상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방용 도마의 경우, 특성 상 별도의 표식을 하더라도 위생 상 문제점을 갖고, 잦은 세척으로 인해 표식이 마모되거나 제거될 수 있어, 추후 사용 시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용 도마의 선택이 쉽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주방용 도마 중 식자재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고 식자재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방용 도마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주방용 도마에서 식자재의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주방용 도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자재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를 사용자가 혼동없이 선택할 수 있는 주방용 도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도마는 상부면에 식자재가 안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복수 개의 슬릿을 포함하여, 식자재를 파쇄하는 강판(薑板)부를 구비한다.
상기 주방용 도마는 상기 몸체에 탈착되며 상기 몸체에 안착되는 식자재의 종류를 표지하는 문양을 포함하는 제 1표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도마는 상기 강판부에 인접하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강판부에 사용될 수 있는 식자재의 종류를 표지하는 제 2표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도마는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식자재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슬릿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도마는 내측에 별도의 강판부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강판부의 구비없이 단일의 주방용 도마에서 식자재에 대한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도마는 사용자의 주방용 도마 선택에 있어서, 식자재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를 선택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주방용 도마를 사용할 수 있고, 식자재 각각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냄새가 다른 식자재에 옮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를 도 1에 표기된 II ??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의 제 1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의 형상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과장되게 표현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구성 요소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를 도 1에 표기된 II ??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100)는 몸체(11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110)는 식자재가 안착되는 상부면이 장방형(長方形)의 평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손잡이부(110a)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a)는 사용자가 주방용 도마(100)를 이동시키거나, 소지할 경우 몸체(110) 파지의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재질은 합성수지, 나무 및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10)가 합성수재, 나무 및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장방형의 평판으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몸체(110)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일측에는 강판(薑板)부(130)가 배치된다. 일례로 강판부(130)는 몸체(1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강판부(130)는 과일, 야채, 치즈 및 견과 등과 같은 식자재가 파쇄되도록 하여, 식자재를 기반으로 파쇄물이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강판부(130)는 몸체(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슬릿(Slit, 130a)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30a)은 몸체(110)의 상부면 일측에서 복수 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릿(130a)은 경사진 바닥면을 가진다. 일례로 슬릿(130a)의 바닥면은 몸체(1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강판부(130)는 식자재의 가공에 있어, 사용자가 별도의 강판(薑板)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주방용 도마(100)를 기반으로 다양한 식자재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식자재를 강판부(130)에 반복적으로 파쇄할 경우, 슬릿(130a)의 내측에서 형성된 파쇄물이 새로 유입되는 파쇄물에 의해 몸체(110)의 내측으로 공간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강판부(130)가 복수 개의 슬릿(130a)으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강판부(13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가장자리에는 측정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측정부(150)는 몸체(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식자재의 길이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측정부(150)는 몸체(110)의 상단에 돌출 또는 함몰될 수 있어, 최초 몸체(110) 제작 시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성된 몸체(110)의 표면에 추후 별도의 인쇄 수단을 기반으로 인쇄되거나,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50)가 식자재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분할된 영역을 표지하는 실선으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50)는 별도의 숫자를 포함하여 식자재의 길이가 숫자 단위로 사용자에게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측정부(150)는 사용자가 식자재의 길이를 측정하고자 할 때, 식자재 길이 측정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자재의 가공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식자재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가장자리에는 제 1표지부(170)가 배치된다. 이 제 1표지부(170)의 재질은 몸체(11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상일한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표지부(170)는 몸체(11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는 식자재의 종류를 표지하기 위한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표지부(170)의 상부면에는 몸체(11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는 식자재의 종류가 그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글로 표기되어도 무방하다.
이 제 1표지부(170)는 몸체(110)에 홈 또는 홀로 형성된 고정부(110b)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방용 도마 선택에 있어 식자재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주방용 도마(100)에 사용하고자하는 식자재의 그림을 포함하고 있는 제 1표지부(170)를 선택적으로 식자재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100)의 몸체(110)에 결합하여, 복수 개의 주방용 도마 사용 시 식자재에 매칭되는 주방용 도마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강판부(130)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제 2표지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표지부(190)는 강판부(130)에 사용할 수 있는 식자재의 종류를 표지하기 위한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 2표지부(190)는 제 1표지부(130)와 마찬가지로 강판부(130)에 파쇄될 수 있는 식자재에 대한 그림 또는 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제 2표지부(190)는 몸체(110)의 상단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사용자는 제 2표지부(190)를 식별하여, 최초 표지된 식자재에 대해서만 강판부(130)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2표지부(190)가 몸체(110)의 상단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제 2표지부(190)는 완성된 몸체(110)의 표면에 추후 별도의 인쇄 수단을 기반으로 인쇄되거나,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의 제 1표지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의 제 1표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도마(100)의 제 1표지부(370)는 상부면(370a)과 하부면(370b)에 각각 서로 다른 식자재의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표지부(370)의 상부면(370a)에는 채소류의 그림이 형성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표지부(370)의 하부면(370b)에는 생선류의 그림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방용 도마(100)에 사용하고자하는 식자재에 매칭되는 제 1표지부(370)의 상부면(370a)과 하부면(370b) 중 하나의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몸체(110)의 고정부(110b)에 결합하여, 주방용 도마(100)에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가 표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방용 도마(100)의 양면에서 식자재의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주방용 도마(100)의 양면에 사용하고자하는 식자재의 그림이 매칭되도록 몸체(110)의 고정부(110b)에 제 1표지부(370)의 상부면(370a)과 하부면(370b)을 주방용 도마(100)의 양면에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주방용 도마(100)의 양면에서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가 표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도마는 내측에 별도의 강판부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강판부의 구비없이 단일의 주방용 도마에서 식자재에 대한 다양한 가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도마는 사용자의 도마 선택에 있어서 도마의 혼동없이 식자재에 매치되는 도마를 선택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도마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자재 각각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냄새가 다른 식자재에 옮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주방용 도마
110 : 몸체
130 : 강판부
150 : 측정부
170 : 제 1표지부
190 : 제 2표지부

Claims (5)

  1. 상부면에 식자재가 안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복수 개의 슬릿을 포함하여, 식자재를 파쇄하는 강판(薑板)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탈착되며, 상기 몸체에 안착되는 식자재의 종류를 표지하는 문양을 포함하는 제 1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부에 인접하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강판부에 사용될 수 있는 식자재의 종류를 표지하는 제 2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식자재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릿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바닥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KR1020130028764A 2013-03-18 2013-03-18 주방용 도마 KR20140114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64A KR20140114540A (ko) 2013-03-18 2013-03-18 주방용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64A KR20140114540A (ko) 2013-03-18 2013-03-18 주방용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540A true KR20140114540A (ko) 2014-09-29

Family

ID=5175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764A KR20140114540A (ko) 2013-03-18 2013-03-18 주방용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4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73435A1 (en) Food comminution device
DE502005008239D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nahrungsmitteln
US9565962B2 (en) Multi-functional fruit and vegetable shaping tool
JP2016537035A (ja) 食物細分装置
US20080301965A1 (en) Cutting board with integral cutting guide
EP2759240A1 (en) Slicer/grater cover for a bowl
KR20140114540A (ko) 주방용 도마
KR20160093831A (ko) 스마트 도마
KR20170014485A (ko) 다기능 식품절단장치
US20180206681A1 (en) Cutting Board Assembly
JP3134737U (ja) まな板
KR200430047Y1 (ko) 떡 절단용 가이드
JP4669078B1 (ja) 野菜おろし器とおろし補助板フック
KR20090001295U (ko) 도마
KR20160084610A (ko)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JP3110750U (ja) 携帯用食器
JP2005342523A (ja) まな板を上部でスライドできるバット状の容器
JP3154015U (ja) 食材切り入れ容器
JP2019013721A (ja) 野菜調理器
KR20130041564A (ko) 접시
KR20100116726A (ko) 마늘 다짐 가이드
KR200377364Y1 (ko) 위생 양면 도마
KR101163480B1 (ko) 가로썰기가 용이한 주방용 칼
JP3166648U (ja) 魚三枚おろし用包丁「魚三昧」
JP3159572U (ja) 水切りまな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