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564A - 접시 - Google Patents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564A
KR20130041564A KR1020110105900A KR20110105900A KR20130041564A KR 20130041564 A KR20130041564 A KR 20130041564A KR 1020110105900 A KR1020110105900 A KR 1020110105900A KR 20110105900 A KR20110105900 A KR 20110105900A KR 20130041564 A KR20130041564 A KR 2013004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food
oil
plate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서
Original Assignee
박예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서 filed Critical 박예서
Priority to KR102011010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1564A/ko
Publication of KR2013004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의 수분이나 기름이 걸러지도록 내측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접시; 및 상기 상부접시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접시로부터 배출된 기름 또는 수분을 저장하도록 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받침접시를 포함하는 접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시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부접시에 뜨거운 음식물이나 기름진 음식물을 놓았을 때, 하단의 받침접시로 기름이나 수분이 배출되어 음식물은 눅눅해 지지 않아 음식물은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의 단백 한 맛을 살릴 수 있다. 게다가, 과일이나 고기 튀김 등 따로따로 용도별로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일회용 키친타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접시{Dish with a hole}
본 발명은 접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기름이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접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시는 음식을 먹을 때 다양한 음식을 담기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시에 뜨거운 음식을 담아 놓거나 기름이 묻어 있는 음식을 담아 놓을 경우, 습기가 차게 되어 수분이 발생되며 또한 기름이 남아있게 되어 음식은 눅눅해져 음식의 맛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음식점이나 가정에서는, 이러한 음식물의 기름이나 습기을 제거하기 위해 음식물을 담아 놓는 접시의 상부에 키친타월을 배치하고 다양한 음식물을 담아 기름기나 수분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키친타월은, 한번 쓰게 되면 버려야 하므로 쓰레기를 발생시키며, 또한 음식물을 준비할 때마다 매번 키친타월을 준비해야함으로 번거로움과 비용이 발생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접시의 내측에 복수 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기름이나 수분을 배출시켜 음식의 맛을 높일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접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음식물의 수분이나 기름이 걸러지도록 내측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접시; 및 상기 상부접시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접시로부터 배출된 기름 또는 수분을 저장하도록 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받침접시를 포함하는 접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접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접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상기 상부접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일 측에는 상기 상부접시를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시에 의하면,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부접시에 뜨거운 음식물 또는 기름진 음식물을 놓았을 때, 하단의 받침접시로 기름이나 수분이 배출되어 음식물은 눅눅해 지지 않아 상기 음식물은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의 단백 한 맛을 살릴 수 있다. 게다가, 과일이나 고기 튀김 등 따로따로 용도별로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일회용 키친타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접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접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시는(100), 상부접시(110)와, 받침접시(1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접시(110)는, 고기, 튀김, 과일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올려놓거나 담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접시(110)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상부접시(110)가 다양한 음식물을 올려놓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각형, 다각형 등이 있다. 게다가 상기 상부접시(110)는, 그 소재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도자기, 합성수지재 등이 있다.
상기 상부접시(110)는, 그 내측에 복수 개의 통공(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111)은 그 상부로 놓이는 다양한 음식물의 기름이나 수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통공(111)은 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통공(111)이 상기 음식물의 기름이나 수분을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즉, 사각 또는 다각의 통공일 수 있다.
상기 받침접시(120)는, 상기 상부접시(110)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받침접시(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접시(110)를 착탈 가능하게 안착시킨다. 이러한 상기 받침접시(120)는, 상기 상부접시(110)의 통공(111)에서 배출된 상기 다양한 음식물의 기름이나 수분이 담겨지도록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받침접시(120)는, 내측에 오목부(121)을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121)는, 상기 상부접시(110)의 통공(111)으로부터 배출된 다양한 음식물의 기름이나 수분이 담겨지도록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받침접시(120)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부(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22)는, 상기 상부접시(110)가 상기 받침접시(111)의 상부에 안착될 때, 상기 받침접시(120)의 각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상기 안착부(122)의 일 측에는 파지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123)은 상기 받침접시(12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접시(110)를 분리하기 쉽게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쉽게 외부로 이탈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통공(111)이 형성된 상부접시(110)에 뜨거운 음식물 또는 기름진 음식물을 놓았을 때, 하단의 받침접시(120)로 기름이나 수분이 배출되어 상기 상부접시(110)에 놓인 음식물은 눅눅해 지지 않아 상기 음식물의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의 단백 한 맛을 살릴 수 있다. 게다가, 과일이나 고기 튀김 등 따로따로 용도별로 분리하여 보관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일회용 키친타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접시 110: 상부접시
111: 통공 120: 받침접시
121: 오목부 122: 안착부
123: 파지홈

Claims (3)

  1. 음식물의 수분이나 기름이 걸러지도록 내측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접시; 및
    상기 상부접시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접시로부터 배출된 기름 또는 수분을 저장하도록 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받침접시를 포함하는 접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접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접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상기 상부접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일 측에는 상기 상부접시를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KR1020110105900A 2011-10-17 2011-10-17 접시 KR20130041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00A KR20130041564A (ko) 2011-10-17 2011-10-17 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00A KR20130041564A (ko) 2011-10-17 2011-10-17 접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564A true KR20130041564A (ko) 2013-04-25

Family

ID=4844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00A KR20130041564A (ko) 2011-10-17 2011-10-17 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15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343A (zh) * 2016-05-26 2016-08-24 贵州大学 一种外挂式滤油碗
CN111713969A (zh) * 2020-07-28 2020-09-29 惠安县品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火锅餐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343A (zh) * 2016-05-26 2016-08-24 贵州大学 一种外挂式滤油碗
CN111713969A (zh) * 2020-07-28 2020-09-29 惠安县品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火锅餐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3746A (zh) 用于食物制备水槽的托盘和碗的联合系统
US20120248124A1 (en) Disposable plates and bowls with attached utensils
USD863873S1 (en) Food processor container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US8690133B1 (en) Perforated cutting board and tray
KR20130041564A (ko) 접시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US7207459B1 (en) Platter ensemble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US20100116833A1 (en) Holding Element for at Least One Object
US2620003A (en) Base with meat carving facilities
JP3175492U (ja) 容器
KR102655884B1 (ko)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KR20140059972A (ko) 기능성 식기
KR20220000662U (ko)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101761659B1 (ko) 수저통
KR200440381Y1 (ko) 도마
KR100742386B1 (ko) 일체형 기름 접시
KR200496406Y1 (ko)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CN208988465U (zh) 一种可升降式的过滤火锅
JP3132478U (ja) フタ立て
JP5078292B2 (ja) 安定自助食器
JP3190433U (ja) 調理用ざる
KR101628808B1 (ko) 조리용기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