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831A - 스마트 도마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831A
KR20160093831A KR1020150014661A KR20150014661A KR20160093831A KR 20160093831 A KR20160093831 A KR 20160093831A KR 1020150014661 A KR1020150014661 A KR 1020150014661A KR 20150014661 A KR20150014661 A KR 20150014661A KR 20160093831 A KR20160093831 A KR 2016009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drawer
smart board
screen
cutt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준상
김진성
이준희
이지현
홍진우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1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831A/ko
Publication of KR2016009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마 내부에서 조리 절차와 식재료 손질의 정확한 방법은 안내하여 요리 초보자도 손쉽게 요리할 수 있는 스마트 도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도마에 있어서, 내부에 서랍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서랍 공간에 삽입되는 서랍; 상기 몸체 상단에 부착되는 투명판; 상기 서랍 내부에 안착되어 화면을 통하여 요리에 대한 절차를 출력하는 테이블릿 피씨; 및 상기 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와 연결되어 테이블릿 피씨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는 손질해야 하는 식재료를 실제 크기로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마{Smart cutting board}
본 발명은 스마트 도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의 손질이 편리한 스마트 도마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재료를 처리하는 작업이 우선되며, 이때 사용되는 주방 용품이 도마이다.
따라서 상기 도마는 채소, 양념 및 어류와 육류등의 각종 음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해서 다듬거나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필수 주방 기구 중 하나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구성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123454호에는 다듬거나 절단할 음식재료와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음식재료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조리할 음식재료를 취사용기에 넣는 것과 버려야할 음식재료를 버리는 것을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마 전체를 방진캡이 고정된 다리를 가진 도마본체와, 도마본체와 같은 높이를 가진체 깊게 파여진 요입부를 가진 착탈식저장부로 분리되게 형성하고, 도마본체와 착탈식저장부를 결합, 분리시켜줄 수 있도록 도마본체(10)와 착탈식 저장부(12)양쪽에 분해, 결합수단을 형성한 도마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0354701호에는 플라스틱을 부로워 몰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칼을 꽃게하고 옆부분에는 돌출부를 만들어 보관할 때는 안전하게 칼이 잠금 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돌출 부분을 눌러 칼을 빼어서 사용하고 상부의 면은 통상의 도마로 사용하게 한 칼꽂이가 형성된 도마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4-0020422호에는 내장판의 양면에 구비된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 하판 테두리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재로 이루어진 박판형 도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박판형 도마는; 상기 상, 하판은 양면이 평면인 판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장판은 2mm 이상 5mm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도마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요리 초보자의 경우에는 식재료의 손질 등이 서툴어 음식 조리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또한 조리된 음식 자체도 전문가들이 조리한 요리에 비하여 맛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 다양한 요리 레시피 등이 책으로 시판되어 책을 참고로 조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요리책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요리 레시피를 제공하고 식재료의 손질 시 해당 크기를 문자로 표현해주므로, 요리 초보자의 경우에는 대략 적으로 식재료를 손질하므로, 정확한 레시피로 조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식재료를 혼합하는 경우와 양념을 혼합하는 경우 해당 비율에 맞게 혼합하는 것으로 많은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마 자체의 기능과 식재료의 손질 시에 해당 식재료의 종류와 크기를 정확히 도마에서 안내하는 경우 요리 초보자 또는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경우, 어느 정도 적합한 음식을 조리할 것으로 기대되어 음식 조리 절차나 식재료 재단 시 해당 크기 등을 도마에서 직접 안내하는 새로운 형태의 도마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마 내부에서 조리 절차와 식재료 손질의 정확한 방법을 안내하여 요리 초보자도 손쉽게 요리할 수 있는 스마트 도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도마에 있어서, 내부에 서랍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서랍 공간에 삽입되는 서랍; 상기 몸체 상단에 부착되는 투명판; 상기 서랍 내부에 안착되어 화면을 통하여 요리에 대한 절차를 출력하는 테이블릿 피씨; 및 상기 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와 연결되어 테이블릿 피씨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는 손질해야 하는 식재료를 실제 크기로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판의 넓이는 상기 몸체 상단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서랍의 전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테이블릿 피씨에서 제공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블릿 피씨와 연결되는 전자 저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는 상기 전자 저울에서 감지되는 무게 신호를 이용하여 요리 진행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블릿 피씨는 사용되는 식재료를 화면으로 안내하고, 상기 전자 저울을 통하여 감지되는 식재료의 무게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식재료의 무게가 적절한 것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저울은 상기 테이블릿 피씨에서 제공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마는 상단에 위치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 하단에 위치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테이블릿 피씨가 안착되어 상기 테이블릿 피씨를 통하여 식재료의 손질 방법과 절단하는 식재료의 크기를 상기 테이블릿 피씨의 화면으로 출력하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화면으로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투명판을 통하여 해당 식재료의 절단 크기를 바로 안내 받을 수 있으므로, 초보 요리사들도 편리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마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랍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릿 피씨의 안착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의 화면 출력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마(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박스 형태로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 상단에 위치하는 투명 재질의 투명판(30), 상기 몸체(1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내부로 슬라이딩 하는 서랍(40), 상기 서랍(40) 정면에 형성되는 조작부(50), 상기 서랍(40)에 안착되어 상기 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테이블릿 피씨(70)을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식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디지털 방식의 전자 저울(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서랍(40)을 수용하는 서랍 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 상단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서랍 공간(11) 이외에도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전체 도마(100)의 구조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칼에 의한 타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적절한 강도가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목재 또는 석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재질들이 혼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공간(1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40)이 끼워지며, 상기 서랍(40)은 상기 몸체(10)에 초기 삽입 후에는 스토퍼 등과 슬라이딩 기구에 의하여 이동 및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의 구성은 통상의 서랍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랍(40)이 상기 몸체(10)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밀봉재를 선택하여 서랍(40) 전면과 몸체(10)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봉 구조는 통상의 밀봉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40)의 전면에는 조작부(50)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50)는 복수의 누름식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후술하는 테이블릿 피씨(70)의 조작을 위한 것이며, 표면에는 방수처리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상기 조작부(50)는 상기 서랍(40)의 전면 이외에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몸체(10)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 상단에는 투명판(30)이 부착된다. 상기 투명판(30)은 평판 형태로 구성되며, 실제 도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절한 경도와 두께를 갖는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판(30)은 상기 몸체(10) 상단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하여 투명판(30) 상단에 식재료나 수분이 바로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서랍(40)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릿 피씨(70)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릿 피씨(70)는 상기 조작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50)의 동작을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50)는 별도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테이블릿 피씨(70)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USB 등과 같이 상기 테이블릿 피씨(7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테이블릿 피씨(7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앱)의 진행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조작부(50)의 복수의 스위치를 하나는 전진 방향, 나머지 하나는 후진 방향으로 설정하여 단계적으로 절차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릿 피씨(70) 내부에는 다양한 요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프로그램(앱)이 탑재되고 특히 상기 앱은 식재료 준비 단계의 설명에서 식재료 절단을 안내하는 경우에는 해당 식재료의 실제 절단해야 하는 크기를 테이블릿 피씨(70)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식재료의 크기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투명판(30)을 통하여 정확한 크기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면에서 제시한 크기를 기준으로 식재료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은 필요한 경우 별도로 구비되는 전자 저울(80)과 연결하여 상기 전자 저울(80)를 통하여 감지되는 무게를 기준으로 무게의 정도를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념 중 하나인 간장을 20g준비하는 안내에서 사용자가 간장을 상기 전자 저울(80)을 통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이때 용기 무게는 사전에 전자 저울(80) 상단에 위치시켜 추가되는 무게를 인식하는 형태로 구성) 적절한 범위 내인 경우 양호한 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하면 사용자는 어느 정도 정확한 레시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자 저울(80)은 상기 조작부(50)와 같은 방식으로 테이블릿 피씨(7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마(100)는 내부에 안착되는 테이블릿 피씨(70)와 외부에 위치하는 전자 저울(80)을 통하여 식재료의 절단과 양념 등의 투입 양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요리를 편리하고 비교적 정확한 비율로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몸체 11: 서랍 공간
30: 투명판 40: 서랍
50: 조작부 70: 테이블릿 피씨
80: 전자 저울 100: 스마트 도마

Claims (7)

  1. 스마트 도마에 있어서,
    내부에 서랍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서랍 공간에 삽입되는 서랍;
    상기 몸체 상단에 부착되는 투명판;
    상기 서랍 내부에 안착되어 화면을 통하여 요리에 대한 절차를 출력하는 테이블릿 피씨; 및
    상기 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와 연결되어 테이블릿 피씨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는 손질해야 하는 식재료를 실제 크기로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넓이는 상기 몸체 상단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서랍의 전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테이블릿 피씨에서 제공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릿 피씨와 연결되는 전자 저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릿 피씨는 상기 전자 저울에서 감지되는 무게 신호를 이용하여 요리 진행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릿 피씨는 사용되는 식재료를 화면으로 안내하고, 상기 전자 저울을 통하여 감지되는 식재료의 무게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식재료의 무게가 적절한 것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저울은 상기 테이블릿 피씨에서 제공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마.
KR1020150014661A 2015-01-30 2015-01-30 스마트 도마 KR20160093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61A KR20160093831A (ko) 2015-01-30 2015-01-30 스마트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61A KR20160093831A (ko) 2015-01-30 2015-01-30 스마트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831A true KR20160093831A (ko) 2016-08-09

Family

ID=5671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661A KR20160093831A (ko) 2015-01-30 2015-01-30 스마트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38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5588A (zh) * 2018-02-05 2018-06-08 余道逍 一种具有面积可扩性的多功能切菜板
KR20210127567A (ko) * 2020-04-14 2021-10-22 곽경수 양면형 도마
WO2022191670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도마,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이용한 조리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5588A (zh) * 2018-02-05 2018-06-08 余道逍 一种具有面积可扩性的多功能切菜板
KR20210127567A (ko) * 2020-04-14 2021-10-22 곽경수 양면형 도마
WO2022191670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도마,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이용한 조리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359B2 (en) Grape cutter
CN201221791Y (zh) 微电脑自动控制智能炒菜机
KR20160093831A (ko) 스마트 도마
BG108138A (en) Multi-ingredient stock cube for preparation of liquid foods or food components
US20140186805A1 (en) Portion control aid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10542844B2 (en) Cutting surface with integrated measuring receptacles
KR20120094242A (ko)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RU138813U1 (ru) Тарелка с интерактивным дисплеем
CN205433325U (zh) 烹饪锅具
KR20130113852A (ko) 저울 기능과 접시 구비가 가능한 도마
CN201431279Y (zh) 一种新型比萨托盘
CN201743566U (zh) 一种菜刀砧板组合架
JP2005342523A (ja) まな板を上部でスライドできるバット状の容器
USD530566S1 (en) Food processor
KR20190069200A (ko) 다기능 도마
CN203042001U (zh) 带秤的切菜板
CN212059086U (zh) 一种新的披萨秤
CN202775790U (zh) 卡卡便利锅
CN105030107A (zh) 一种称重砧板
CN113679272A (zh) 一种可强制提醒使用者分辨生熟两面的砧板
KR20160069967A (ko) 앞 접시로 분리할 수 있는 피자 용기
JP3154015U (ja) 食材切り入れ容器
CN206482495U (zh) 一种健康分类砧板
CN201349886Y (zh) 面条定量选取结构
KR20090001295U (ko)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