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242A -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 Google Patents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242A
KR20120094242A KR1020110013615A KR20110013615A KR20120094242A KR 20120094242 A KR20120094242 A KR 20120094242A KR 1020110013615 A KR1020110013615 A KR 1020110013615A KR 20110013615 A KR20110013615 A KR 20110013615A KR 20120094242 A KR20120094242 A KR 20120094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
frame
paiso
form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스터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스터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스터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1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242A/ko
Publication of KR2012009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3Baking-tins; Baking forms for making bread
    • A21B3/134Multiple bread pa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파이 제조방법 및 파이 성형장치,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파이 제조방법은, 바텀 파이피, 탑 파이피, 문양조각 및 파이소를 준비하는 단계(S10); 파이 제조장치의 상,하부틀을 예열하는 단계(S20); 상기 하부틀 상에 상기 바텀 파이피를 올려 놓는 단계(S30); 상기 바텀 파이피 상에 원하는 파이소를 레시피에 따라 계량국자로 떠 넣는 단계(S40); 상기 파이소 위에 상기 탑 파이피를 덮는 단계(S50); 상기 탑 파이피 위에 상기 문양조각을 올려놓는 단계(S60); 상기 상부틀을 하부틀 위에 덮은 후, 상기 바텀 파이피와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예열온도에 의해 파이를 굽는 단계(S70); 및 상기 상부틀을 열어서, 바텀 파이피 및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가 서로 부착되어 파이소가 완전히 가려진 밀봉형태를 이루고 있고, 탑 파이피의 표면에 문양조각이 부착되어진 채 구워져서 문양조각의 모양에 따라 파이소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파이를 인출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진다.
또한, 개시된 파이 성형장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위에 적층되며 적어도 4개의 하부 성형포켓을 갖는 하부 성형판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핸들로 이루어진 하부 성형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아래에 적층되며 상기 하부 성형판의 하부 성형포켓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의 상부 성형포켓을 갖는 상부 성형판과, 상기 상부 성형판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 핸들 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된 연결바에 그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핸들로 이루어진 상부 성형틀; 상기 하부 성형틀의 내부로 부터 상,하부 성형틀의 후위를 경유하여 상부 성형틀의 내부로 까지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 인가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히팅부재; 및 상기 하부 성형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부재의 히팅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Pie molding apparatus and pie preparation and accordingly prepared pie}
본 발명은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파이피에 의해 파이소가 완전히 덮혀짐에도 불구하고, 파이 외피에 파이소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문양을 부착함으로써, 파이소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종류별 구분이 가능하고, 파이가 일관된 모양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하나의 성형틀로도 다량 제작이 가능한 것에 특징을 갖는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에 관한 것이다.
파이(pie)는, 성형틀을 이용하여 밀가루 반죽으로 만들어진 파이피를 밑에 깔고, 또 하나는 위에 덮어 고기나 과일 등의 파이소를 채워 구운 것으로서, 간단한 식사 대용이나 영양 간식용으로 이용되는 서양요리 중 하나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파이는 아래 위로 파이피를 두고 그 사이에 파이소를 채워 넣어서, 마치 햄버거나 샌드위치와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일반의 파이는 파이피에 의해 아래 위가 덮이지만 측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파이소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파이를 먹을 때 파이소가 개방된 측면을 통해 흘러 나와서 먹기에 불편하였고, 흘러나온 파이소가 손이나 옷에 묻는 경우가 많아서 비위생적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파이 외부를 파이피에 의해 완전히 봉합한 파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파이는 판매자가 파이소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가 주문한 파이가 아닌 다른 파이를 판매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안으로 파이소의 종류에 따라 파이의 모양을 달리하여 여러 형태의 파이를 만들어서 판매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형태의 파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형태별로 각각의 성형틀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원가 상승 및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파이 생산성이 떨어져 신속한 파이 공급이 어렵다는 또 다른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이소가 노출되지 않도록 파이피에 의해 완전히 봉합됨에도 불구하고 파이피의 소정 부위에 파이소의 종류에 따라 약속된 문양을 부착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파이소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 파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의 방법에 의해 파이소를 구분할 수 있음에 따라 파이를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서 하나의 성형틀로도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파이의 공급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이 가능한 파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이 제조장치 및 파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파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장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위에 적층되며 적어도 4개의 하부 성형포켓을 갖는 하부 성형판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핸들로 이루어진 하부 성형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아래에 적층되며 상기 하부 성형판의 성형포켓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의 상부 성형포켓을 갖는 상부 성형판과, 상기 상부 성형판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 핸들 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된 연결바에 그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핸들로 이루어진 상부 성형틀; 상기 하부 성형틀의 내부로 부터 상,하부 성형틀의 후위를 경유하여 상부 성형틀의 내부로 까지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 인가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히팅부재; 및 상기 하부 성형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부재의 히팅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성형판은 그 양측 중앙부가 상기 각 상부 핸들프레임의 중앙부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핸들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성형판 및 상부 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핑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방법은, 바텀 파이피, 탑 파이피, 문양조각 및 파이소를 준비하는 단계(S10); 파이 제조장치의 상,하부틀을 예열하는 단계(S20); 상기 하부틀 상에 상기 바텀 파이피를 올려 놓는 단계(S30); 상기 바텀 파이피 상에 원하는 파이소를 레시피에 따라 계량국자로 떠 넣는 단계(S40); 상기 파이소 위에 상기 탑 파이피를 덮는 단계(S50); 상기 탑 파이피 위에 상기 문양조각을 올려놓는 단계(S60); 상기 상부틀을 하부틀 위에 덮은 후, 상기 바텀 파이피와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예열온도에 의해 파이를 굽는 단계(S70); 및 상기 상부틀을 열어서, 바텀 파이피 및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가 서로 부착되어 파이소가 완전히 가려진 밀봉형태를 이루고 있고, 탑 파이피의 표면에 문양조각이 부착되어진 채 구워져서 문양조각의 모양에 따라 파이소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파이를 인출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소는 고기류, 채소, 과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료와, 물, 닭고기, 육수가루, 채소 육수가루, 흰 후추, 양파, 다진 시금치, 양송이 치즈가루, 분유, 전분, 페타치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념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20)단계에서의 상,하부틀 예열온도 및 (S70)단계에서의 파이를 굽는 온도를 1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70)단계에서의 파이를 굽는 시간을 6분 ~ 7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파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파이는, 바텀 파이피, 탑 파이피 및 파이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텀 파이피는 중앙부에 원형 용기 모양으로 하향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상기 파이소가 수용되는 파이소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소 수용부의 가장자리에는 평활한 원형의 접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탑 파이피는 중앙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원형 볼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 볼록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텀 파이피의 접합부와 대면되게 접합되는 평활한 상대 접합부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의 무게는 170 ~ 180g(그램)이고, 최대 지름은 10 ~ 12cm로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파이소가 노출되지 않도록 파이피에 의해 완전히 덮혀짐에도 불구하고 파이피의 소정 부위에 파이소의 종류에 따라 약속된 문양을 부착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파이소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주문된 파이를 정확하게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소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음에 따라 파이를 일정한 모양으로만 만들 수 있어서 하나의 성형틀로도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파이의 공급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파이소가 파이피에 완전히 내장되어 있어서 파이를 먹을 때 파이소가 흘러나오는 문제가 해소됨으로써 손이나 옷이 더럽혀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2의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 제조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파이가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이 제조장치 및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일 구성요소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직접 위치한다는 의미는 물론, 상기 일 구성요소 상에 제 3의 구성요소가 더 위치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각 구성요소 또는 부분 등을 제1, 제2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지칭하였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상대적인 두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파이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기술되는 파이 제조방법은 후술될 파이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짐을 전제한다.
1 단계로, 바텀(bottom) 파이피, 탑(top) 파이피 및 파이소를 준비한다(S10).
바텀 파이피 및 탑 파이피는 밀가루, 식물성 마가린, 물 및 소금을 적정함량으로 혼합/반죽하고, 이를 라미네이팅기에 밀어 넣어 약 2.4mm 두께로 얇게 압축한 후, 커터에 의해 원형으로 절단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바텀 파이피 및 탑 파이피의 바람직한 함량비(백분율)는 밀가루 45 ~60 중량%, 식물 마가린 15 ~ 30중량%, 물 15 ~ 30중량% 및 소금 0.01 ~ 2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 마가린 및 물은 파이피에 식물 마가린 및 가수량이 충분한 경우, 식감이 향상되고, 같은 양의 밀가루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증량의 효과가 있어서 원가절감에 기여된다.
또한, 이스트나 베이킹 파우더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발효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서도 식감이 우수하다.
아울러, 식물성 마가린은 트랜스 지방이 적으므로 적정범위 이내에서 과잉 배합되더라도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식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한편, 상기 파이소는 파이의 종류에 따라 성분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고기류, 채소, 과일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료와, 물, 닭고기 육수, 흰 후추, 양파, 다진 시금치, 양송이 치즈가루, 분유, 전분, 페타치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념재료를 포함한다.
2 단계로, 파이 제조장치의 상,하부틀을 예열한다(S20).
파이 제조장치(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는 파이를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로서, 파이를 성형하기 전에 파이 제조장치 자체에 내장된 히팅부재에 의해 약 180℃ 정도로 미리 예열함으로써 파이를 성형할 때 파이피가 파이 제조장치의 성형면에 달라 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3 단계로, 하부틀 상에 바텀 파이피를 올려 놓는다(S30)(도 2 내지 도 4참조).
파이 제조장치의 상부틀을 열어 개방한 상태에서, 바텀 파이피를 하부틀 상에 올려 놓을 때는 바텀 파이피의 중앙부는 하부틀의 하부 성형포켓(후술함) 내부에 인입되도록 하고, 바텀 파이피의 가장자리는 하부 성형포켓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평활면에 안착되게 올려 놓는다.
4 단계로, 바텀 파이피 상에 파이소를 떠 넣는다(S40)(도 5 참조).
바텀 파이피 상에 원하는 재료(앞서 설명됨)로 이루어진 파이소를 각각의 레시피에 따라 계량국자로 떠서 올려 놓는다.
여기서, 파이소는 앞선 재료들을 일정시간 동안 끓여서 충분히 익힌 후, 이를 비닐 용기에 넣어 냉장보관하고, 필요 시 꺼내어 사용한다.
5 단계로, 파이소 위에 탑 파이피를 덮는다(S50)(도 5 참조).
바텀 파이피와 동일 크기와 동일 모양(원형)으로 된 탑 파이피를 파이소 위에 올려 놓되, 그 가장자리는 상기 바텀 파이피와 중첩되게 올려놓아서 후에, 이들을 가압할 때 바텀 파이피와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가 접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 단계로, 탑 파이피 위에 문양조각을 올려 놓는다(S60)(도 5 참조).
문양조각은 탑 파이피와 동일 재질로 하여 문자나 기호(삼각, 사각, 원형, 십자, 별, 하트, 화살표 등)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을 갖는 것으로서, 탑 파이피의 표면 중 가장 눈에 잘 띄는 부위에 올려 놓는다.
이러한 문양조각의 모양은 파이소의 내용물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원형인 경우에는 파이소가 다진 쇠고기, 베이컨 그리고 크림감자와 체다치즈 맛이 나는 것이고, 별모양인 경우 파이소가 부드러운 닭살과 어우러진 버터치킨소스 맛인 경우에 각각 쓰이게 된다.
이와 같이, 각 파이소에 대해 약속된 문양조각을 올려 놓음으로써 후에 다 구워진 파이에 들어있는 파이소의 종류를 문양조각을 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7 단계로, 파이를 굽는다(S70)(도 6 참조).
파이 제조장치의 열려있던 상부틀을 하부틀 위로 덮어서 상기 바텀 파이피와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를 가압한 상태에서 파이 제조장치 내에 설치된 히팅부재의 발열온도에 의해 파이를 굽는다.
파이를 굽게 되면, 바텀 파이피와 탑 파이피가 부풀어오르면서 바텀 파이피는 파이 제조장치의 하부틀 형태에 맞게 성형되고, 탑 파이피는 파이 제조장치의 상부틀 형태에 맞게 성형된다.
여기서, 파이를 굽는 온도는 앞선 예열온도인 180℃이고, 굽는 시간은 약 6분 ~ 7분이 적당하다. 파이소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이미 익힌 상태이므로 데워주는데 불과하고, 실제로 굽는 작업은 파이피를 굽는 것이므로 굽는 시간은 일정할 수 밖에 없다.
8 단계로, 파이를 인출한다(S80).
굽기 작업이 완료된 파이를 파이 제조장치로 부터 인출하면, 바텀 파이피와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가 접합된 상태여서 그 내부의 파이소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바텀 파이피의 표면에 붙어 있는 문양조각의 모양에 의해 파이소의 종류가 육안으로 판별되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파이를 실수 없이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10)는, 바텀 파이피(11), 탑 파이피(12) 및 파이소(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텀 파이피(11)는 중앙부에 원형 용기 모양으로 하향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상기 파이소(13)가 담겨지는 파이소 수용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소 수용부(11a)의 가장자리에는 평활한 원형의 접합부(11b)가 형성된다.
또한, 탑 파이피(12)는 중앙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원형 볼록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볼록부(12a)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텀 파이피(11)의 접합부와 대면되게 접합되는 평활한 상대 접합부(1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성형이 완료된 파이(10)는 마치 비행접시 모양을 이루게 되며, 그 무게는 170 ~ 180g 이고, 최대 지름 크기는 10 ~ 12mm가 된다.
미 설명부호 (14)는 바텀 파이피(11)의 표면에 부착되어 파이소(13)의 종류를 육안으로 보지 않고도 판별할 수 있는 표식마크인 문양조각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 제조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2의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 제조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파이가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파이 제조장치(100)는, 하부 성형틀(110), 상부 성형틀(120), 히팅부재(130) 및 온도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성형틀(110)은 사각 형상의 하부프레임(111)을 갖는다.
또한, 하부 성형틀(110)은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상부에 적층되며, 복수개의 하부 성형포켓(112a)이 형성된 하부 성형판(112)을 갖는다. 상기 하부 성형포켓(112a)은 바텀 파이피(11)를 성형하기 위한 스페이스다.
여기서, 상기 하부 성형포켓(112a)은 4개 정도가 적당하다. 4개 이하는 한 번에 구울 수 있는 파이 개수가 적어서 비효율적이고, 4개 이상이면 무게감 때문에 상부 성형틀(120)을 수동으로 열고 닫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성형판(112)은 하부프레임(111)으로 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필요시 다른 구조의 하부 성형판으로 교체할 수 있고, 파손시에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하부 성형판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성형틀(110)은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113)을 갖는다. 상기 하부 핸들프레임(113)은 그 선단부가 하부프레임(111)의 선단에 비해 더 길게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핸들프레임(113)은 이격핀(113a)에 의해 하부프레임(111)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하부 성형틀(110)은 상기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113)의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핸들(114)을 갖는다.
상부 성형틀(120)은 상부프레임(121)을 갖는다.
또한, 상부 성형틀(120)은 상기 상부프레임(121)의 아래에 적층되며 상기 하부 성형판(112)의 하부 성형포켓(1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의 상부 성형포켓(122a)이 형성된 상부 성형판(122)을 갖는다. 상기 상부 성형포켓(122a)은 바텀 파이피(12)를 성형하기 위한 스페이스다.
여기서, 상기 상부 성형포켓(122a)은 하부 성형포켓(112a)과 같이 4개 정도가 적당하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성형판(122)은 상부프레임(121)으로 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필요시 다른 구조의 상부 성형판으로 교체할 수 있고, 파손시에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상부 성형판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성형틀(120)은 상기 상부프레임(121)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123)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핸들프레임(123)은 상기 하부 핸들프레임(113)의 후단에 결합된 연결바(126) 및 힌지바(127)에 의해 그 후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핸들프레임(123)은 힌지바(127)를 중심으로 0°~ 90°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핸들프레임(123)은 그 선단부가 상부프레임(121)의 선단에 비해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부 핸들프레임(123)의 돌출된 부위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핸들(12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성형판(122)과 각 상부 핸들프레임(123)의 중앙부는 그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핀(123a)에 의해 상부 성형판(122)과 상부 핸들프레임(123) 사이를 이격되게 함과 아울러, 상부 핸들프레임(123)에 대해 상부 성형판(122) 및 상부프레임(121)이 힌지핀(123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핸들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성형판(122) 및 상부프레임(121)의 회동각도를 적정범위 이내에서 제한하기 위한 스토핑 플레이트(1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성형판(122) 및 상부프레임(121)이 적정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이유는, 상기 상부 성형틀(120)을 하부 성형틀(110)로 부터 탈형할 때 성형 내압 때문에 탈형이 어려울 수 있음을 감안하여 적정의 활동유격을 줌으로써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히팅부재(130)는 상부 성형틀(120) 및 하부 성형틀(110)을 예열할 때와, 파이를 구울 때 발열하는 것으로서,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온/오프된다.
상기 히팅부재(130)는 상기 하부 성형틀(110)의 내부로 부터 상,하부 성형틀(120,110)의 후위를 경유하여 상부 성형틀(120)의 내부로 까지 연결되게 원피스로 설치된다.
온도조절부(140)는 상기 하부 성형틀(110)의 배면에 설치되어 회전노브형태로 설치되어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50)은 전원선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9)

  1.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위에 적층되며 적어도 4개의 하부 성형포켓을 갖는 하부 성형판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하부 핸들프레임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핸들로 이루어진 하부 성형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아래에 적층되며 상기 하부 성형판의 하부 성형포켓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의 상부 성형포켓을 갖는 상부 성형판과, 상기 상부 성형판의 양 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 핸들 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된 연결바에 그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상부 핸들프레임 선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핸들로 이루어진 상부 성형틀;
    상기 하부 성형틀의 내부로 부터 상,하부 성형틀의 후위를 경유하여 상부 성형틀의 내부로 까지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 인가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히팅부재; 및
    상기 하부 성형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부재의 히팅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파이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판은 그 양측 중앙부가 상기 각 상부 핸들프레임의 중앙부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성형판 및 상부 프레임은 힌지핀을 중심으로 연결되되, 바람직하게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 성형장치.
  3. 제1항의 파이 성형장치를 이용하는 파이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 제조방법은,
    바텀 파이피, 탑 파이피, 문양조각 및 파이소를 준비하는 단계(S10);
    파이 제조장치의 상,하부틀을 예열하는 단계(S20);
    상기 하부틀 상에 상기 바텀 파이피를 올려 놓는 단계(S30);
    상기 바텀 파이피 상에 원하는 파이소를 레시피에 따라 계량국자로 떠 넣는 단계(S40);
    상기 파이소 위에 상기 탑 파이피를 덮는 단계(S50);
    상기 탑 파이피 위에 상기 문양조각을 올려놓는 단계(S60);
    상기 상부틀을 하부틀 위에 덮은 후, 상기 바텀 파이피와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예열온도에 의해 파이를 굽는 단계(S70); 및
    상기 상부틀을 열어서, 바텀 파이피 및 탑 파이피의 가장자리가 서로 부착되어 파이소가 완전히 가려진 밀봉형태를 이루고 있고, 탑 파이피의 표면에 문양조각이 부착되어진 채 구워져서 문양조각의 모양에 따라 파이소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파이를 인출하는 단계(S80);
    를 포함하는 파이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에서의 상,하부틀 예열온도 및 (S70)단계에서의 파이를 굽는 온도가 약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70)단계에서의 파이를 굽는 시간이 6분 ~ 7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 제조방법.
  7. 제4항의 파이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파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는, 바텀 파이피, 탑 파이피 및 파이소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텀 파이피는 중앙부에 원형 용기 모양으로 하향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상기 파이소가 수용되는 파이소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소 수용부의 가장자리에는 평활한 원형의 접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탑 파이피는 중앙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원형 볼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 볼록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텀 파이피의 접합부와 대면되게 접합되는 평활한 상대 접합부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의 무게는 170 ~ 180g(그램)이고, 최대 지름은 10 ~ 1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
KR1020110013615A 2011-02-16 2011-02-16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KR20120094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15A KR20120094242A (ko) 2011-02-16 2011-02-16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15A KR20120094242A (ko) 2011-02-16 2011-02-16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242A true KR20120094242A (ko) 2012-08-24

Family

ID=4688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615A KR20120094242A (ko) 2011-02-16 2011-02-16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2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52B1 (ko) * 2012-11-29 2013-11-14 강정환 팬케익 조리 장치
KR101502508B1 (ko) * 2013-12-20 2015-03-13 박동우 식품 가공용 성형장치
KR20200000872U (ko) * 2018-10-24 2020-05-07 우정베이크웨어 주식회사 베이킹 팬
KR102351199B1 (ko) * 2021-03-22 2022-01-13 채형원 분리형 타르트쉘성형팬을 구비한 타르트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르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52B1 (ko) * 2012-11-29 2013-11-14 강정환 팬케익 조리 장치
WO2014084660A1 (ko) * 2012-11-29 2014-06-05 Kang Jeong Hwan 팬케익 조리 장치
CN104822269A (zh) * 2012-11-29 2015-08-05 康桢桓 用于烘烤烙饼的装置
KR101502508B1 (ko) * 2013-12-20 2015-03-13 박동우 식품 가공용 성형장치
KR20200000872U (ko) * 2018-10-24 2020-05-07 우정베이크웨어 주식회사 베이킹 팬
KR102351199B1 (ko) * 2021-03-22 2022-01-13 채형원 분리형 타르트쉘성형팬을 구비한 타르트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르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0550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ов "биточки с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луком"
US2016000779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waffle sandwich press
KR20120094242A (ko) 파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
RU2349159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ов "биточки со сметанным соусом"
US20070154599A1 (en) Method of Producing Edible Packaging Container
KR101523016B1 (ko)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US8109203B1 (en) Kitchen apparatus for food preparation
CN102669665A (zh) 一种方便米饭快餐及其使用的菜肴饼制作方法
JP3200307U (ja) 鯛焼き様食品
KR20130099481A (ko) 떠먹는 감자피자 및 그의 제조방법
RU2360510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ов "биточки особые с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луком"
US20160255845A1 (en) Food preparation process
Rorer Fifteen New Ways for Oysters
GB2457957A (en) Food product formed from strips of food material
Hertzberg et al. The New Artisan Bread in Five Minutes a Day: The Discovery That Revolutionizes Home Baking
RU236056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ов "биточки с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луком"
RU52668U1 (ru) Готовое кулинарное изделие
RU234466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ых котлет "рига"
KR20140144100A (ko) 라이스 커틀릿의 제조방법
KR20150059945A (ko) 현미을 이용한 피자도우
JP3196609U (ja) 馬肉ラーメン饅
JP3089335U (ja) ピザ様食品
Tanri RESEARCH AND DEVELOPMENT FINAL REPORT" MIANA LEAVES & MEATBALL ANALOGUE VEGETARIAN PIE"
KR20210016706A (ko) 아란치니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202445072U (zh) 酥皮烤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