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265A - 개선된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265A
KR20140114265A KR1020137013637A KR20137013637A KR20140114265A KR 20140114265 A KR20140114265 A KR 20140114265A KR 1020137013637 A KR1020137013637 A KR 1020137013637A KR 20137013637 A KR20137013637 A KR 20137013637A KR 20140114265 A KR20140114265 A KR 20140114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olid particulate
rotatably mounted
cage
cylindrical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데렉 젠킨스
프레이저 존 케네디
Original Assignee
제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4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13Liquid compositions with insoluble particles in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15Polyesters or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19Polyamides or poly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49Polyolefins; Halogenated polyolefins; Natural or synthetic rubber; Polyarylolefins or halogenated polyarylolef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07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8Liquid and granul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8Regeneration of cleaning solu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 및 세탁수로 기재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는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고 세탁 부하 중의 직물 kg 각각에 대해 5 내지 50 리터 용량을 갖는 드럼을 포함하는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는 0.1:1-10:1 질량비의 입자 대 직물 첨가 수준으로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하고, 각 입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구형의 형상이며 0.5-2.5 g/㎤ 범위의 평균 밀도 및 5-275 ㎣ 범위의 평균 부피를 가지고, 여기에서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이 0.05 내지 900 G 범위의 G 포스를 발생하는 속도로 회전하는, 오염된 기재의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중합체성 입자는 선형 또는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는, 발포 또는 비발포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세제가 세정 공정에서 채용된다. 본 발명은 기재와 세정 매체 사이의 개선된 기계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최적의 세정 성능을 제공하며, 텍스타일 직물의 세정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방법을 사용하면 텍스타일 직물의 통상적인 가습 세정과 비교하여 세제, 물 및 에너지 소비의 현저한 절감이 가능해지며, 또한 세탁-관련된 텍스타일 직물 손상의 감소를 촉진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체 입자성 세정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는 분리되고 회수된 다음 후속 세정 공정에서 재-사용된다. 전형적으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 자체는 그의 효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속적으로 세정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세정 방법 {IMPROVED CLEANING METHOD}
본 발명은,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하는 세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오염된 기재, 구체적으로는 텍스타일(textile) 섬유 및 직물의 수성 세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입자 및 직물 사이의 기계적 상호작용을 개선하고자 고안된 시스템에서의 중합체성 입자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세정 공정이 완료된 후 직물로부터 상기 입자가 쉽게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후속 세정 공정에서의 재사용을 촉진한다.
수성 세정 공정은 가정용 및 산업용 텍스타일 직물 세탁 양자 모두의 주축이다. 목적하는 세정 수준이 달성된다는 가정 하에, 이러한 공정의 효능은 통상적으로 그들의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 수준에 의해 특성화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3개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량이 적을수록, 세탁 공정은 더 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물 및 세제 소비의 절감에 의한 다운스트림(downstream) 효과 또한 중요하며, 이는 극도로 비용이 많이 들고 환경에 해로운 수성 유출액의 폐기에 대한 필요성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탁 공정은, 가정용 세탁기에서든 그의 산업용 균등물에서든(통상적으로 세탁 탈수기라고 지칭함), 직물의 수성 침지(aqueous submersion) 후에 오염물 제거(soil removal), 수성 오염물 현탁(aqueous soil suspension), 및 물 헹굼(water rinsing)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또는 온도), 물, 및 세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세정이 양호하다. 그러나, 주요 사안은 물 소비에 관한 것이며, 이는 그것이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요구량, 및 (목적하는 세제 농도를 달성하기 위한) 세제 용량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물 사용 수준은 또 하나의 중요한 성능 변수인 직물에 대한 공정의 기계적 작용을 정의하며, 이는 세탁 중에 옷감 표면의 교반으로서, 포매된 오염물의 방출에 있어서 주요 역할을 담당한다. 수성 공정에서, 이러한 기계적 작용은 임의의 특정 세탁기에 있어서의 드럼 설계와 조합된 물 사용 수준에 의해 제공된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드럼 내의 물 수준이 높을수록 기계적 작용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므로, 전체적 공정 효율을 개선하는 목적(즉,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의 절감), 및 세탁 중의 효율적인 기계적 작용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하는 이분법이 있다. 가정용 세탁에 있어서는 특히, 이러한 사용에 연계된 명백한 비용 불이익에 부가하여, 이러한 더 높은 수준의 사용을 실제로 만류하도록 구체적으로 설계된, 정의된 세탁 성능 표준이 있다.
현재의 효율적인 가정용 세탁기는 그의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를 최소화함에 있어서 현저한 진전을 보여왔다. EU 지침 92/75/CEE는, 효율적인 가정용 세탁기가 'A' 등급을 얻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0.19 kWh/kg 세탁 부하를 소비하도록, kWh/사이클(60 ℃에서 면 설정) 단위로 세탁기 에너지 소비를 정의하는 표준을 설정한다. 물 소비 또한 고려한다면, 'A' 등급을 받은 기계는 <9.7 리터/kg 세탁 부하를 사용한다.
이어서, 세제 용량은 제조자 권고에 의해 주도되지만, 다시 가정용 시장에서, 농축 액체 제형에 있어서, 연수 및 중간 경도의 물 중의 4-6 kg 세탁 부하에 대해 35 ml(또는 37 g)의 분량이고, 6-8 kg 세탁 부하에 대해(또는 경수 중에, 또는 매우 더러운 품목에 대해) 52 ml(또는 55 g)로 증가되는 것이 전형적이다(예를 들어, Persil® Small & Mighty에 대한 Unilever 팩 용량 설명서 참조). 그러므로, 연수/중간 경도의 물 중의 4-6 kg 세탁 부하의 경우 이는 7.4-9.2 g/kg의 세제 용량과 동일한 반면에, 6-8 kg 세탁 부하의 경우(또는 경수 중에, 또는 매우 더러운 품목에 대해) 그 범위는 6.9-9.2 g/kg이다.
그러나, 산업용 세탁 공정(세탁-탈수기)에서의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는 상당히 상이하며, 이들은 사이클 시간의 절감에 있어서 주요인이므로(이는 물론 가정용 공정의 경우보다 더 고려됨), 3개 자원 모두의 사용량이 덜 제한된다. 전형적인 산업용 세탁 탈수기(25 kg 세탁 부하 등급 이상)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는 >0.30 kWh/kg이고, 물은 ~20 리터/kg이며, 세제는 가정용 세탁의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이 투입된다. 사용되는 세제의 정확한 수준은 오염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나, 18-70 g/kg의 범위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상기 논의로부터, 효율적인 직물 세탁 공정을 위한 최고 표준을 설정하는 것은 가정용 부문에서의 성능 수준이며, 이들은 <0.19 kWh/kg의 에너지 소비, <9.7 리터/kg의 물 사용량, 및 대략 8.0 g/kg(8.5 ml/kg)의 세제 용량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관찰된 바와 같이, 순수한 수성 공정에서 물(및, 따라서 에너지 및 세제) 수준을 절감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는 직물을 완전히 적시기 위한 최소 요구량, 수성 리커(aqueous liquor) 중에 제거된 오염물을 현탁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물을 제공할 필요, 및 최종적으로 직물을 헹구는 필요성에 기인한다.
그러면 세탁수의 가열이 에너지의 주용도가 되며, 작업 세탁 온도에서 유효 농도에 도달하기 위한 세제의 최소 수준이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사용되는 물 수준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기계적 작용을 개선하는 수단은 임의의 수성 세탁 공정을 현저하게 더욱 효율적으로 만든다(즉,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의 추가 절감을 유발함). 물리적 힘을 통해 달성되는 오염물 제거의 수준이 클수록 세제 화학작용에 요구되는 것이 적으므로, 기계적 작용 자체가 세제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순수한 수성 세탁 공정에서 기계적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에는 소정의 연계된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공정 중에는 직물 주름이 쉽게 발생하며, 이는 기계적 작용으로부터의 응력을 각각의 주름에 집중시키는 작용을 하여, 국소적 직물 손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직물 손상의 방지(즉, 직물 보호)는 가정용 소비자 및 산업용 사용자에게 중요한 관심사이다.
수성 세탁 공정에 연계된 이러한 문제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선행 기술의 방법들이 나타내는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 접근법을 이전에 고안한 바 있다. 제공되는 방법은 큰 부피의 물을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지만, 경제적 이익 및 환경적 이익 또한 유발하면서도, 여전히 세정 및 착색 제거의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 특허 공개 제2007/128962호에는, 방법이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하는 제형으로 가습된(moistened) 기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형에는 유기 용매가 없는, 오염된 기재의 세정을 위한 방법 및 제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5 w/w의 기재 대 물 비율이 달성되도록 기재를 습윤시키며, 임의로 제형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제 특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 재료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기재는 텍스타일 섬유를 포함하고 중합체성 입자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알켄, 폴리우레탄 또는 그의 공중합체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비드의 형태이다.
그러나, 이 중합체성 입자를 기본으로 하는 세정 방법의 용도는, 세정 작업의 종료시에 세정 입자가 세정된 기재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될 필요성을 제시하며, 이 문제는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한 2개의 내부 드럼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산업용 및 가정용 세정 공정 양자 모두에 적용되는 세정 장치의 신규 설계를 제공하는 국제 특허 공개 제2010/094959호에 언급되어 있다.
동시계류중인 국제 특허 공개 제2011/064581호에는, 세정 작업의 종료시에 세정 입자가 세정된 기재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촉진하며, 유체 및 고체 입자성 물질이 드럼의 내부로부터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거가능한 외측 드럼 스킨 및 천공 드럼(perforated drum)을 포함하고, 세정 방법은 세탁 사이클 중에 드럼에 외측 스킨을 부착하고 그 후에 세정 입자를 제거하는 분리 사이클의 작동 전에 스킨을 제거한 후 세정된 기재를 드럼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필요로 하는, 추가의 장치가 제공된다.
국제 특허 공개 제2011/064581호의 장치를 추가로 개발하여, 동시계류중인 국제 특허 공개 제2011/098815호에는 세정 공정 중에 중합체성 세정 입자의 연속 순환을 제공함으로써 외측 스킨을 제공할 필요성을 생략하는 공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전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현저한 경제적 이익 및 환경적 이익 또한 유발하는 세정 및 착색 제거의 효율적 수단을 제공함에 있어서 매우 성공적이었다. 세정 공정의 방법 및 장치를 추가로 개발하기 위해 탐색하던 중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 전력 및 소모성 요구를 절감하는 측면에서 여전히 추가의 이익을 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놀랍게도 훨씬 더 낮은 공정 온도에서 현저하게 절감된 수준의 세제를 사용하면서도 적어도 균등한 세정 성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량하는데 성공하였다. 부가적으로, 이들은 사용된 세탁 장치 내의 세정 공정 종료시 직물 세탁 부하로부터 중합체성 입자의 제거 수준을 증가시켰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나 후속 세정 공정에서의 입자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나 입자 제거가 최대화되어야 함은 물론 이러한 중합체성 세정 공정의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본원 청구된 발명에서, 발명자들은 중합체성 입자 크기, 형상 및 밀도, 및 또한 공정 파라미터의 주의 깊은 제어에 의해 세정 매체와 오염된 기재의 기계적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달성되는 세정 효과가 최적화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낮은 세정 온도(즉, 낮은 에너지)에서 절감된 수준의 첨가 세제를 사용하면서도 원래의 낮은 물 소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세정 성능을 촉진하는 세정 공정을 달성하는데 성공하였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절약에 대한 효과적인 목표는 동일한 세정 성능을 수행하면서도 0.19 kWh/kg의 에너지 소비, 9.7 리터/kg의 물 사용 및 8.0 g/kg(8.5 ml/kg)의 세제 용량 아래로 유의한 절감을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표를 초과할 수 있는 새로운 세탁 공정을 허용하면서도 입자와 직물 표면 사이의 기계적 작용의 균일성 증가에 의해 세탁된 기재 내의 국소적 직물 손상의 감소를 촉진한다.
부가적으로, 세정 공정의 종료시 직물 세탁 부하로부터 중합체성 입자의 제거 수준은 >99.9% 까지 증가하였으며, 이 파라미터는 퍼센트로서 표현되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비드 제거 수준 = 100 - ((BRet/BTot) x 100)
상기 식에서, BRet는 세탁 부하에 의해 보유된 비드의 수이고, BTot는 세정 공정 중에 사용된 비드의 총 수이다. 일단 제거되면, 입자는 후속 세정 공정에서 재사용된다.
본 발명은 매체(media)의 표면에 대한 오염물의 제어된 흡착 및 흡수 뿐아니라 기재와 세정 매체 사이의 개선된 기계적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최적의 세정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는 발명자들의 공감으로부터 유래한다. 이는 회전 속도에 따른 G 포스(G force)에 추가하여, 세정 매체 중 입자의 화학 조성, 수, 크기, 형상 및 밀도, 및 세정 작업이 일어나는 용기 내 자유 부피(free volume)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자유 부피는 세탁 부하 또는 입자성 세정 매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용기 내 공간을 나타내고, G 포스는 작용하는 구심력을 기초로 하여 정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 및 세탁수로 기재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는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고 세탁 부하 중의 직물 kg 각각에 대해 5 내지 50 리터 용량을 갖는 드럼을 포함하는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된 기재의 세정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는 0.1:1-10:1 질량비의 입자 대 직물 첨가 수준으로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하고, 각 입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구형의 형상이며 0.5-2.5 g/㎤ 범위의 평균 밀도 및 5-275 ㎣ 범위의 평균 부피를 가지고, 여기에서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이 0.05 내지 900 G 범위의 G 포스를 발생하는 속도로 회전한다.
본원 청구된 발명의 맥락에서, 중합체성 입자에 대한 형상 기술은 이상적인 것이며, 실제로 대기중 또는 다른 유체 중의 용융된 중합체 레이스에서 절단된 중합체성 입자는 결코 완벽하게 원통형이거나 구형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원통형"은 원형이나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폭(타원형 단면의 경우 가장 짧은 축)에 의해 길이를 나눈 종횡비가 전형적으로 0.5-10의 영역에 있는 입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입자는 또한 단면을 형성하는 표면이 원주를 형성하는 표면보다 평평한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형"은 평평한 표면의 단면을 나타내지 않으며 폭에 의해 길이를 나눈 종횡비가 ~1인 입자를 의미한다. 완벽한 구체도 중합체성 입자로서 임의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의 제조 공정은 주입 또는 압축 몰딩 단계를 포함하므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더 고가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타원형 단면의 원통형 입자는 2.0-6.0 mm의 주 단면 축 길이(a로 표시함) 및 1.3-5.0 mm의 종 단면 축 길이(b로 표시함)를 나타내며(a>b), 1.5-6.0 mm의 길이(h로 표시함)를 나타낸다(h/b는 전형적으로 0.5-10의 범위이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원통형 입자 단면이 원형이면, 입자 직경(dc로 표시됨)은 1.3-6.0 mm이고, 그의 길이(hc로 표시됨)는 1.5-6.0 mm이다(hc/dc는 전형적으로 0.5-10 범위이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구형 입자는 2.0-8.0 mm의 직경(ds로 표시됨)을 나타낸다. 완벽한 구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직경(dps로 표시됨)이 다시금 전형적으로 2.0-8.0 mm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양태에서, 청구된 방법은 부가적으로 후속의 세정 공정에서 재사용되는 중합체성 입자의 분리 및 회수를 제공한다.
중합체성 입자는 발포 또는 비발포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중합체성 입자는 선형이거나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드럼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를 포함한다.
시스템에 첨가된 세탁수의 부피는 전형적으로 5.0:1 내지 0.1:1 w/w의 세탁수 대 직물 비율을 제공하며, 사용되는 전체 물 부피(헹굼수를 포함하여)는 통상적인 세탁 공정과 비교하여 현저히 적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양태에서, 제형은 적어도 하나의 세제 조성물을 임의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작용과 조합하여 적합한 G 포스의 발생은 입자와 오염된 기재 사이에 적당한 수준의 기계적 상호작용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G는 드럼 크기와 드럼의 회전 속도의 함수이며, 구체적으로 세탁 부하의 고정 중량에 대한 케이지 내측 표면에 발생한 구심력의 비율이다. 따라서, 내측 반경이 r(m)이고 R(rpm)으로 회전하는 케이지, 질량 M(kg)의 세탁 부하 및 케이지의 순간 탄젠트 속도 v(m/s)인 경우, 9.81 m/s2의 중력에 따른 가속도로 g를 고려할 때
구심력 = Mv2/r
세탁 부하 고정 중량 = Mg
v = 2πrR/60이므로,
G = 4π2r2R2/3600rg = 4π2rR2/3600g = 1.18 x 10-3rR2이다.
통상의 경우에, r이 미터보다는 센티미터로 표현되며, 그런 경우
G = 1.118 x 10-5rR2이므로
800 rpm으로 회전하는 반경 48 cm의 드럼의 경우, G = 350.6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98 cm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 드럼은 세정 공정 중의 상이한 단계에서 0.49-350.6의 G 포스를 발생하기 위하여 30-800 rpm의 속도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양태의 실시예에서, 1600 rpm으로 회전하는 48 cm 직경 드럼은 688 G를 발생할 수 있는 반면, 동일 회전 속도의 60 cm 직경 드럼은 860 G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는 폴리알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이들은 발포 또는 비발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는 선형 또는 가교결합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상기 중합체성 입자는 종종 비드 형태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입자를 포함하며, 가장 특히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는 수성 착색/오염 제거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반면, 폴리알켄은 오일계 착색의 제거에 특히 유용하다.
임의로, 상기 중합체성 재료의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중합체에 특정 물성을 부여하는 단량체성 단위를 포함시킴으로써 중합체성 재료의 물성을 구체적 요구조건에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단량체, 그중에서도 특히 이온성으로 하전되거나 극성인 부위 또는 불포화 유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포함시켜 특정 착색 물질을 유인하도록 공중합체를 조정할 수 있다.
중합체성 입자는 양호한 유동성을 나타내며 전형적으로 텍스타일 직물을 포함하는 오염된 기재와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상기 입자는 원통형 또는 구형 비드를 포함한다. 입자 크기, 형상 및 밀도가 조합됨으로써 입자와 직물의 기계적 상호작용이 최적화되면 효과적인 세정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격렬하지만 동시에 통상의 수성 공정과 비교하여 직물 손상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히 균일하고 온화하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인자는 전체 직물 표면에 걸쳐 선택된 입자들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작용의 균일성이다. 입자 파라미터 또한, 세탁 공정의 종료시 직물 세탁 부하로부터 입자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입자 크기 및 형상은 직물과의 얽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세탁기 텀블링 공정 중의 높은 자유 부피 및 낮은 G(<1)와 함께 적합한 입자 밀도의 조합은 드럼 측벽 내의 천공을 통해 중력 하에 입자 제거를 촉진한다.
입자는 매끄럽거나 불규칙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중실(solid) 또는 중공(hollow) 구조일 수 있다. 입자는 0.5-2.5 g/㎤, 바람직하게 0.55-2.0 g/㎤, 더욱 바람직하게 0.6-1.9 g/㎤ 범위의 평균 밀도를 나타낸다. 입자의 평균 부피는 5-275 ㎣, 바람직하게 8-140 ㎣, 더욱 바람직하게 10-120 ㎣ 범위이다.
타원형 단면의 원통형 비드의 경우, 주 단면 축 길이(a)는 전형적으로 2.0-6.0 mm, 더욱 전형적으로 2.2-5.0 mm, 가장 전형적으로 2.4-4.5 mm 범위이며, 종 단면 축 길이(b)는 전형적으로 1.3-5.0 mm, 더욱 전형적으로 1.5-4.0 mm, 및 가장 전형적으로 1.7-3.5 mm 범위이다(a>b). 이러한 비드의 길이(h)는 전형적으로 1.5-6.0 mm, 더욱 전형적으로 1.7-5.0 mm, 및 가장 전형적으로 2.0-4.5 mm이다(h/b는 전형적으로 0.5-10의 범위이다).
원형 단면의 원통형 비드의 경우, 전형적인 단면 직경(dc)은 1.3-6.0 mm, 더욱 전형적으로 1.5-5.0 mm, 및 가장 전형적으로 1.7-4.5 mm 범위이다. 이러한 비드의 전형적인 길이(hc)는 다시 1.5-6.0 mm, 더욱 전형적으로 1.7-5.0 mm, 및 가장 전형적으로 2.0-4.5 mm이다(hc/dc는 전형적으로 0.5-10 범위이다).
구형 비드의 경우, 직경(ds)은 전형적으로 2.0-8.0 mm, 더욱 전형적으로 2.2-5.5 mm, 및 가장 전형적으로 2.4-5.0 mm 범위이다.
비드가 완벽한 구체를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직경(dps)은 전형적으로 2.0-8.0 mm, 더욱 전형적으로 3.0-7.0 mm, 및 가장 전형적으로 4.0-6.5 mm 범위이다.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는 하우징 및 상기 원통형 케이지 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수단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세정 장치 내에 포함되며, 적합한 예가 국제 특허 공개 제2010/094959호, 국제 특허 공개 제2011/064581호 및 국제 특허 공개 제2011/0988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임의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는 상기 케이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드럼 내부에 동심원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케이지 및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드럼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정지된 원통형 드럼 내부에 동심원적으로 위치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및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드럼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채용된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는 상기 하우징 수단 내부의 제1 챔버 내에 장착되고, 이는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지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수단과 다수의 전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원통형 측벽의 외측 표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케이지의 내부로부터 유체 및 고체 입자성 물질의 진입 또는 진출을 방지하도록 채용된 밀봉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장치는 부가적으로 펌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천공된 측벽의 표면적의 60% 이하는 천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천공들은 25.0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구멍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정 방법을 사용한 결과, 절감된 수준의 세제 및 놀랍게 낮은 세정 온도를 사용하고(즉, 더 낮은 에너지 소비) 낮은 물 소비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세정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작업은 95 ℃ 이하의 온도에서도 가능하지만 전형적으로 75 ℃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실행되며, 최적 성능은 일반적으로 5-40 ℃에서 달성된다. 적당한 지침으로서, 통상의 수성 세정 공정이 T ℃의 세탁 온도를 요구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T-10 ℃ 내지 T-25 ℃ 범위의 온도에서 탁월한 세정을 제공할 것으로 밝혀졌다. 비드가 후속 세정 공정에서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 비드의 특이적 크기, 형상 및 밀도에 기초하여 또한 공정 파라미터의 제어에 의해 세정 공정의 종료시 직물 세탁 부하로부터 비드를 신속히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세정 성능의 개선, 세정할 기재에 대한 손상의 감소, 및 에너지, 세제 및 물 소비의 현저한 절감을 제공하는, 오염된 기재의 세정 공정을 제공하였다. 세정 재료와 기재 사이의 기계적 상호작용이 개선됨에 따라 이러한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장치 파라미터와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물성 양자 모두의 주의 깊은 선택의 결과이다. 또한, 이와 같은 파라미터 및 물성의 선택에 의해, 후속 세정 절차에서 재사용될 수 있도록 공정 완료 후에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효율적인 회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고체 입자성 세정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세정되지 않은 제로스 착색 세트 및 피지 시트를 나타낸다.
도 2는 XP5의 세탁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XP6의 세탁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XP7의 세탁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XP8의 세탁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6는 XP5 대 XP6의 세탁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XP5 대 XP7의 세탁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세탁된 EMPA 306 테스트 옷감을 나타낸다.
도 9는 BEKO WM5120W에서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세탁된 EMPA 306 테스트 옷감을 나타낸다.
도 10은 세탁되지 않은 EMPA 306 테스트 옷감을 나타낸다.
도 11(a)는 WFK로부터의 세탁되지 않은 PCMS-55_05-05x05 착색 모니터를 나타낸다.
도 11(b)는 WFK로부터의 PCMS-55_05-05x05 착색 모니터에 대한 착색 키(key)를 나타낸다.
도 12는 세탁 온도 15 ℃에서의 제로스 주변(Xeros Ambient) 공정 결과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세탁 온도 40 ℃에서의 Miele ML1 대조군 공정 결과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세탁 온도 40 ℃에서의 제로스 표준(Xeros Standard) 공정 결과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세탁 온도 60 ℃에서의 Miele ML2 대조군 공정 결과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원통형, 구형 및 완벽한 구체의 크기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채용된 장치에서, 접근 수단은 전형적으로 하우징 내에 장착된 경첩이 달린 문을 포함하며, 이는 원통형 케이지의 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밀봉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문은 창문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는 상기 하우징 수단 내부에서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수단 내부에서 수평으로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접근 수단은 장치 앞에 위치하여 전면-로딩 시설을 제공한다.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가 하우징 수단 내부에서 수직으로 장착된 경우, 접근 수단은 장치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로딩 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회전은 운전 수단을 사용하여 실행되며, 운전 수단은 전형적으로 전기 모터 형태의 전기 운전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운전 수단의 작동은 작업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제어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형적으로 하기 단계들을 순서대로 실행함을 포함한다:
(a) 세탁;
(b) 과량의 물의 제1 추출;
(c) 중합체성 입자의 제1 분리;
(d) 헹굼;
(e) 과량의 물의 제2 추출;
(f) 임의로, 적어도 한번 단계 (d) 및 (e)의 반복; 및
(g) 중합체성 입자의 제2 분리.
상기 중합체성 입자(비드)의 제1 분리는 전형적으로 입자의 >50%를 제거하는 한편, 중합체성 입자의 제2 분리는 이들 입자의 >99.9%의 제거를 보장한다. 임의로, 중합체성 입자의 제1 분리를 입자의 >99.9%의 제거를 제공하도록 연장할 수 있지만, 단계 (d) 및 (e)도 내재적으로 일부 입자를 제거하므로 최종 분리를 위해 단계 (g)로 이동하기 전에 이들 단계의 이점을 취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이는 단계 (d) 및 (e)가 반복되는 경우 특히 사실이다.
바람직하게 단계 (d) 및 (e)는 수회 반복되며, 전형적으로 적어도 2-3회 반복되지만 가능하게는 10회 이하이다.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는 더욱 바람직하게 세탁 부하 내 직물 각 kg 당 5 내지 50 리터의 부피를 갖는다.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바람직한 회전 속도는 0.05 내지 900 G의 G 포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세탁 공정은 0.05 내지 0.95 G에서 실행되며, 더 높은 G 포스, 전형적으로 5.5 내지 350 G에서 과량의 물을 추출하기 전에 유사한 조건 하에 헹굼 물을 첨가한다. 그 후, 직물로부터의 비드의 최종적인 분리를 0.05 내지 0.95 G에서 다시 실행한다. 분리 후, 후속 세정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비드를 회수한다.
따라서, 98 cm 직경 케이지의 경우, 회전 속도는 유리하게 10-800 rpm의 범위에 있다. 전형적으로 세탁 공정은 10 내지 42 rpm에서 실행되며, 100-800 rpm에서 과량의 물을 추출하기 전에 유사한 조건 하에 헹굼 물을 첨가한다. 그 후, 직물로부터의 비드의 최종적인 분리를 10-42 rpm에서 실행하며, 후속 세정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분리된 비드를 회수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는 오염된 기재 및 가장 바람직하게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 형태의 고체 입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세정 재료와 함께 작동된다. 이들 중합체성 입자는 최적의 세정 성능을 촉진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순환될 것이 요구되며, 따라서 장치는 바람직하게 순환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원통형 측벽의 내측 표면은 다수의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내측 표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접사된 신장된 돌출부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는 전형적으로 기학상으로 구동되며 상기 케이지 내부에서 공기 흐름의 순환을 증진하도록 채용된 공기 증폭기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장치는 3 내지 10, 가장 바람직하게 4개의 상기 돌출부(보통 리프터로 지칭됨)를 포함한다.
작업 중,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를 회전시켜 교반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세정 작업의 마무리에 잔류 고체 입자성 재료의 효율적인 제거를 촉진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교반 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 수단은 공기 분사(air jet)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수단은 표준 배관 특징부에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전달 수단에 부가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수단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서 적어도 물 및, 임의로, 계면활성제, 효소 및 표백제와 같은 세정제가 장치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 수단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고 그 안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예를 들어, 재순환 팬(fan), 공기 가열기, 물 분무기 및/또는 증기 발생기를 전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장치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수준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제어 수단에 소통시키기 위한 감지(sensing) 수단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수단이 상기 고체 입자성 재료가 제2 챔버로부터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로 재순환되어 후속 세정 공정에서 재사용되는 것을 촉진한다. 바람직하게, 제1 재순환 수단은 상기 챔버 및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도관은 상기 고체 입자성 재료를 물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 및 상기 고체 입자성 재료를 상기 원통형 케이지 내로 도입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채용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고체 입자성 물질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로 재순환하는 것은 상기 제1 재순환 수단 내에 포함된 펌핑 수단을 사용하여 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펌핑 수단은 상기 고체 입자성 물질이 상기 분리 수단 및 상기 고체 입자성 물질이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재도입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채용된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되도록 채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는 제2 재순환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물이 상기 제2 챔버로 반환되도록 하며, 이에 의해 환경에 유익한 방식으로 상기 물의 재사용을 촉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챔버는 그 안의 내용물이 순환하고 혼합되는 것을 증진하기 위한 부가적인 펌핑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세정 사이클의 전형적인 작동 중에, 오염된 의복은 먼저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에 위치한다. 텀블링이 시작된 다음(G<1), 필요량의 세탁수가 임의로 요구되는 부가적인 세정제와 함께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에 첨가된다. 기재가 균일하게 가습되었을 때(전형적으로 1-2분),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도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에 첨가된다. 임의로, 상기 재료는 제1 재순환 수단을 통해 원통형 케이지 내로 도입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세정제는, 예를 들어, 상기 세탁수와 예비-혼합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지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분리 수단을 통해 첨가될 수 있다.
케이지의 회전에 의한 교반 과정 중에, 유체 및 일정량의 고체 입자성 재료가 케이지 내의 천공을 통해 배출되어 장치의 제2 챔버 내로 들어간다. 그 후, 고체 입자성 재료가 상기 분리 수단으로 이동되도록 제1 재순환 수단을 통해 재순환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으로 세탁 작업의 지속성을 위해 원통형 케이지로 반환된다. 이와 같은 고체 입자성 재료의 지속적인 순환 공정은 세정이 완료될 때까지 세탁 작업 전반에 걸쳐 계속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벽 내의 천공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2 챔버로 진입한 고체 입자성 재료는 재순환되고 상기 분리 수단을 통해 재도입되며, 제어 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지 내로 돌아감으로써 세정 작업이 계속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세탁 사이클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i)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장치의 제2 챔버 내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와 물을 도입하는 단계;
(ii)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와 물을 교반하는 단계;
(iii) 적어도 하나의 오염된 기재를 접근 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로딩하는 단계;
(iv) 실질적으로 밀봉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접근 수단을 폐쇄하는 단계;
(v)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세탁수 및 임의로 요구되는 부가적인 세정제를 도입하여 기재를 균일하게 가습하는 단계;
(vi)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도입하고 세탁 사이클 동안 장치를 작동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고 여기에서 유체 및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제어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의 천공을 통해 상기 제2 챔버 내로 떨어지도록 하는 단계;
(vii) 깨끗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이동시키고 사용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분리 수단으로 재순환하도록 펌핑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
(viii) 상기 깨끗하고 재순환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제어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로 첨가되도록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ix) 오염된 기재의 세정이 이루어지기에 필요한 만큼 단계 (vi), (vii) 및 (viii)을 지속하는 단계.
임의로,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와 물은 재순환 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물은 투입 수단, 예를 들어, 고정적으로 장착된 분무 노즐을 통해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도입된다. 가장 편리하게, 상기 분무 노즐은 상기 접근 수단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에서 부가적인 세정제가 사용된다. 상기 부가적인 세정제를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와 함께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챔버에 첨가하고, 제1 재순환 수단을 통해 원통형 케이지 내로 도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가적인 세정제가 물과 예비-혼합되고, 단계 (v) 중에 분리 수단을 통해 상기 원통형 케이지로 첨가된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가적인 세정제가 상기 투입 수단을 통해 상기 원통형 케이지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절감된 양의 상기 부가적인 세정제의 사용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세정제는 단일 투입 단계보다는 세정 작업 중의 다중 투입 단계 중에 상기 원통형 케이지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깨끗하고 재순환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펌핑은 세정 작업 전반에 걸쳐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에 세정 재료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세탁 사이클이 완료될 때까지 세정 재료 대 오염된 기재의 비율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진행된다.
세탁 사이클의 완료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의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공급이 중지되고, 세정된 기재의 건조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도록 케이지의 회전 속도가 점차 증가한다. 일부 고체 입자성 재료는 이 단계에서 제거된다. 전형적으로, 건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지는 100 내지 800 rpm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98 cm 직경 케이지의 경우, 적합한 회전 속도는 약 600 rpm이 될 것이다. 그 후에,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최종 제거가 가능하도록, 회전 속도가 감소하여 세탁 사이클의 속도로 복귀한다. 후속 세정 공정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분리 후에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회수할 수 있다.
임의로, 높은 rpm에서의 초기 건조 후에, 상기 방법은 헹굼 작업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세정 작업에 사용된 임의의 부가적 세정제의 완전한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부가적 물을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수단을 통하거나, 투입 수단, 예를 들어, 고정적으로 장착된 분무 노즐을 통해 상기 원통형 케이지로 물을 첨가할 수 있다. 가장 편리하게는, 상기 분무 노즐이 상기 접근 수단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제2 챔버를 물로 과충진하여 그것이 제1 챔버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진입하게 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원통형 케이지에 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세탁 사이클 동안에서와 동일한 속도에서의 회전 후에, 기재의 건조가 어느 정도 달성되도록, 적절한 경우에는, 물 수준이 떨어지도록 하고 다시 회전 속도를 전형적으로는 100-800 rpm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지로부터 물을 제거하며; 이번에도 98 cm 직경 케이지의 경우, 약 600 rpm의 회전 속도가 적절할 것이다. 상기 헹굼 및 건조 사이클은 목적하는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임의로, 형광 증백제, 향료, 유연제 및 전분과 같은 처리제를 헹굼 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재 처리의 목적으로 상기 헹굼 사이클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효소, 및 표백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세정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깨끗한 물로 상기 챔버를 슬루싱(sluicing)함으로써, 상기 제2 챔버 내에서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에 세정 작업을 적용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의 분리된 단계로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세정을 달성할 수 있다. 세정 후에, 후속 세정 공정에서의 사용에 이용가능하도록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회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 상의 임의의 잔류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기재를 진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바람직하게는 진공 완드(vacuum wand)를 포함하는 흡인 수단에 의해 추가의 잔류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피혁, 종이, 카드보드, 금속, 유리 또는 목재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기재의 세정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방법은 주로 텍스타일 섬유 및 직물을 포함하는 기재의 세정에 적용되며, 예를 들어, 면과 같은 천연 섬유, 또는 인조 및 합성 텍스타일 섬유, 예를 들어 나일론 6,6,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또는 그의 섬유 혼방을 포함할 수 있는 텍스타일 직물의 효율적인 세정을 달성하기에 특히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전형적으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입자, 가장 특히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그의 공중합체의 입자를 가장 바람직하게 비드의 형태로 포함하는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발포 또는 비발포된 것일 수 있으며, 선형 또는 가교결합된 것일 수 있다. 나일론 6, 나일론 6,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일론은 5000 내지 3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20000 달톤,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16000 달톤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나일론 6,6 단일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는 전형적으로 ASTM D-4603과 같은 용액법에 의해 측정되는 0.3-1.5 dl/g 범위의 고유 점도 측정값에 상응하는 분자량을 가질 것이다.
임의로, 중합체 쇄 내에 특히 이온성으로 하전되거나 극성인 부분 또는 불포화 유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시킴으로써 특정 착색 물질을 유인하도록 공중합체 특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의 예는, 예를 들어, 산 또는 아미노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펜던트 알케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에 첨가되는 세탁수의 부피는 전형적으로 5.0:1 내지 0.1:1 w/w; 더욱 전형적으로 2.0:1 내지 0.8:1의 세탁수 대 직물 비율이 달성되도록 계산하며, 1.75:1, 1.5:1, 1.2:1 및 1.1:1과 같은 비율에서 특히 양호한 결과가 달성된다. 가장 편리하게는, 장치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오염된 기재를 로딩한 후에 요구되는 양의 물을 상기 케이지 내로 도입한다.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순환 중에 케이지 내로 부가적인 양의 물이 이동되지만, 이월량은 분리 수단의 작용에 의해 최소화된다.
한편,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임의의 추가 첨가제의 부재 하에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만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제형으로 가습된 기재를 처리하는 단계에 의한 오염된 기재의 세정을 제시하고,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제형이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세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는 적어도 하나의 세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세제 조성물의 주요 구성요소는 세정 구성요소 및 후-처리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세정 구성요소는 계면활성제, 효소 및 표백제를 포함하는 한편, 후-처리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재부착 방지 첨가제(anti-redeposition additive), 향료 및 형광 증백제(optical brightener)를 포함한다.
그러나, 세제 제형은 예를 들어 세탁조제(builder), 킬레이트화제, 염료 전달 저해제(dye transfer inhibiting agent), 분산제, 효소 안정화제, 촉매 재료, 표백 활성제, 중합체성 분산제, 점토 오염 제거제(clay soil removal agent), 비누거품 억제제(suds suppressor), 염료, 구조 탄성화제(structure elasticizing agent), 직물 유연제, 전분, 담체, 친수제(hydrotrope), 가공 보조제, 및/또는 안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첨가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는 비-이온성 및/또는 음이온성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및/또는 양성 및/또는 반-극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세정 조성물의 약 0.1 중량%, 약 1 중량%, 또는 약 5 중량%에서부터 세정 조성물의 약 99.9 중량%, 80 중량%, 약 35 중량%, 또는 약 30 중량%까지의 수준으로 전형적으로 존재한다.
조성물은 세정 성능 및/또는 직물 보호 이익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세제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효소의 예는, 헤미셀룰라아제, 퍼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 다른 셀룰라아제, 다른 자일라나아제,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에스테라아제, 큐티나아제, 펙티나아제, 케라타나아제, 리덕타아제, 옥시다아제, 페놀옥시다아제, 리폭시게나아제, 리그니나아제, 풀룰라나아제, 탄나아제, 펜토사나아제, 말라나아제, [베타]-글루카나아제, 아라비노시다아제, 히알루로니다아제, 콘드로이티나아제, 락카아제, 만나나아제 및 아밀라아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조합은 아밀라아제와 함께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큐티나아제 및/또는 셀룰라아제와 같은 효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세정 구성요소 중에 효소 안정화제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제에 사용하기 위한 효소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예를 들어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 이온의 수용성 공급원을 조성물 내에 혼입함으로써 안정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표백제 화합물 및 연계된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백제 화합물의 예는 과산소 화합물,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무기 퍼옥시 염, 예를 들어 퍼보레이트, 퍼카보네이트, 퍼포스페이트, 퍼실리케이트, 및 모노퍼설페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퍼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및 소듐 퍼카보네이트), 및 유기 퍼옥시 산, 예를 들어 퍼아세트산, 모노퍼옥시프탈산, 디퍼옥시도데칸디오산, N,N'-테레프탈로일-디(6-아미노퍼옥시카프로산), N,N'-프탈로일아미노퍼옥시카프로산 및 아미도퍼옥시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백 활성제는 카복실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및 소듐 노나노일옥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세탁조제가 제형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폴리포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알칸올암모늄 염,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알칼리 토금속 및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폴리카복실레이트 화합물, 에테르 하이드록시폴리카복실레이트, 말레산 무수물과 에틸렌 또는 비닐 메틸 에테르의 공중합체, 1,3,5-트리하이드록시벤젠-2,4,6-트리설폰산, 및 카복시메틸-옥시숙신산, 폴리아세트산의 다양한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과 더불어, 폴리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멜리트산, 숙신산, 옥시디숙신산, 폴리말레산, 벤젠 1,3,5-트리카복실산, 카복시메틸옥시숙신산, 및 그의 가용성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구리, 철, 및/또는 망간 킬레이트화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염료 전달 저해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중합체성 염료 전달 저해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중합체,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 N-비닐피롤리돈과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옥사졸리돈 및 폴리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임의로, 세제 제형은 또한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수용성 유기 재료는 단일- 또는 공중합체성 산 또는 그의 염이며, 여기에서 폴리카복실산은 2개 이하의 탄소 원자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카복실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부착 방지 첨가제는 그의 작용이 물리-화학적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임의로, 조성물은 또한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향료는 일반적으로 다중-구성요소 유기 화학적 제형이며, 이는 알콜, 케톤, 알데히드, 에스테르, 에테르 및 니트릴 알켄,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잔류 향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직접성을 제시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화합물은 갈락솔리드 (1,3,4,6,7,8-헥사하이드로-4,6,6,7,8,8-헥사메틸사이클로펜타(g)-2-벤조피란), 리랄 (3- 및 4-(4-하이드록시-4-메틸-펜틸)사이클로헥센-1-카복스알데히드 및 암브록산 ((3aR,5aS,9aS,9bR)-3a,6,6,9a-테트라메틸-2,4,5,5a,7,8,9,9b-옥타하이드로-1H-벤조[e][1]벤조푸란)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 완전히 제형화된 향료의 한가지 예는 Symrise® AG에 의해 공급되는 Amour Japonais이다.
적절한 형광 증백제는 몇몇 유기 화학적 부류로 나뉘며, 그의 가장 일반적인 것은 스틸벤 유도체이고, 한편 다른 적합한 부류는 벤즈옥사졸, 벤즈이미다졸, 1,3-디페닐-2-피라졸린, 쿠마린, 1,3,5-트리아진-2-일 및 나프탈이미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4,4'-비스[[6-아닐리노-4(메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스틸벤-2,2'-디설폰산, 4,4'-비스[[6-아닐리노-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스틸벤-2,2'-디설폰산, 디소듐 염, 4,4'-비스[[2-아닐리노-4-[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6-일]아미노]스틸벤-2,2'-디설폰산, 디소듐 염, 4,4'-비스[(4,6-디아닐리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스틸벤-2,2'-디설폰산, 디소듐 염,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4,4'-비스[(2-아닐리노-4-몰폴리노-1,3,5-트리아진-6-일)아미노]-2,2'-스틸벤디설폰산, 디소듐 염, 및 2,5-비스(벤즈옥사졸-2-일)티오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임의의 목적하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세정 사이클 중의 적절한 단계에서 세정 시스템에 첨가되어 그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이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세정제 존재하에 실행되는 어떤 경우에도, 만족스러운 세정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세정제의 양은 선행기술의 방법에서 요구되는 양으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된다.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 대 기재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0.1:1 내지 10:1 w/w의 범위이고, 전형적으로 0.5:1 내지 5:1 w/w의 범위이며, 특히 양호한 결과는 1:1 내지 3:1 w/w, 특히 2:1 w/w 부근의 비율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5 g의 직물을 세정하는 경우, 임의로 계면활성제로 코팅된 10 g의 중합체성 입자가 채용될 것이다.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 대 기재의 비율은 세탁 사이클 전반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소규모 또는 대규모 회분식 공정에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용 및 산업용 세정 공정 양자 모두에 적용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텍스타일 직물의 세정에 특별히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조건은 텍스타일 직물의 통상적인 습윤 세정에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것보다 놀랍게 낮은 세탁 온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 현저한 환경적 및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다. 따라서, 세탁 사이클에 대한 전형적인 절차 및 조건은 직물이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밀봉된 시스템 내에서 5 내지 40 ℃의 온도에서 5 내지 45 분 동안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대략적인 지침으로서, 통상의 수성 세정 공정이 T ℃의 세탁 온도를 요구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T-10 ℃ 내지 T-25 ℃ 범위의 온도에서 현저한 세정을 제공할 것으로 밝혀졌다. 그 후에, 전반적 공정의 비드 분리 단계 및 헹굼의 완료를 위한 부가적 시간이 필요하므로, 전체 사이클의 총 지속기간은 전형적으로 약 1 시간 정도이다.
얻어진 결과는 텍스타일 직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습윤 (또는 건조) 세정 절차를 실행하였을 때 관찰되는 것과 매우 많이 유사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처리된 직물에서 달성되는 세정 및 착색 제거의 정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보이며, 종종 제거하기 어려운 소수성 착색 및 수성 착색 및 오염에 대하여 특히 탁월한 결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에너지 요구량, 사용된 물의 총 부피 및 세제 소비는 모두 통상적인 수성 세탁 절차의 사용과 연계된 이들 수준보다 상당히 낮으며, 다시금 비용 및 환경적 유익의 측면에서 현저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세탁-관련된 직물 손상의 측면에서 유익하다. 앞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수성 세탁 중에는 직물 주름이 쉽게 발생하며, 이는 세탁의 기계적 작용으로부터의 응력을 각각의 주름에 집중시키는 작용을 하여, 국소적 직물 손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직물 손상의 방지(또는, 직물 보호)는 가정용 소비자 및 산업용 사용자에게 중요한 관심사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중합체성 입자의 첨가는 효과적인 세정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직물과의 균일하고 온화한 기계적 상호작용에 의해 통상의 수성 공정과 비교하여 직물 손상이 감소한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인자는 전체 직물 표면에 걸쳐 선택된 입자들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작용의 균일성이다. 입자의 존재는 또한 접힘 방지를 돕기 위한 직물 표면상의 피닝 층(pinning layer)으로 작용함에 의해 세탁중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입자는 또한 분리 또는 간격(spacing) 층으로 작용하여 세탁중 분리된 직물 조각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얽힘을 감소시킨다. 접힘 및 얽힘 양자 모두 통상적인 수성 공정에서 국소적 직물 손상의 주 요인들이다. 많은 세탁 하에 의복의 수명을 결정짓는 것은 국소적인 측면의 손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더 적은 에너지, 물 및 세제 조건에서 선행기술의 방법과 비교하여 세정 성능의 증진을 제공하며; 그렇지 않으면, 에너지, 물 및 세제 모두의 훨씬 더 적은 수준에서도 직물 손상의 감소와 함께 균등한 세정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실시예 참조). 후속 세정 공정에서 비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세정 공정의 완료시 직물 세탁 부하로부터 비드의 제거는 사용된 비드의 특이적 크기, 형상 및 밀도에 기초하여, 또한 공정 파라미터의 제어에 의해 신속히 처리된다.
본 발명의 특이적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오염된 기재는 98 cm 직경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에 놓여지며 계면활성제 및 효소를 포함하는 세제 제형이 소량의 세탁수와 함께 주변 온도에서 장치의 문 위에 장착된 분무 노즐을 통해 첨가된다. 케이지는 40 rpm으로 회전하여 0.88의 G 포스를 제공한다. 그 후, 전형적으로 중합체성 비드의 형태를 갖는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상기 케이지 내로 도입되고, 상기 재료의 연속적인 재순환을 포함하는 공정이 5-50 분간 지속된다. 표백제를 함유하는 세탁수의 추가 량이 이 기간 동안 주변 온도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 첨가된다(전자의 경우, 표백제는 저온 활성화된 화합물이다). 표백제 용액이 첨가된 후 수 분 동안 회전을 지속한다. 그 후, 세탁 공정을 종료하기 위해 순환을 중단한다.
그 후, 시스템으로부터 물을 제거하기 위해 5.5 초과의 높은 G 포스에서 약 2분간 회전함으로써 사이클의 추출 단계를 실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197.2의 G 포스를 발생하기 위해 약 600 rpm으로 상기 케이지를 회전시킨다. 그 후 고속 회전을 중단하고, 세탁 부하 중에 잔류한 대부분(>50%)의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약 5 분간 낮은 G 텀블(약 40 rpm에서)을 실행한다. 그 후, 몇 분간 노즐을 통해 상기 케이지 내로 헹굼 물을 분무한 다음 헹굼 물을 제거하기 위해 약 600 rpm에서 케이지를 추가로 회전시킨다. 헹굼 공정은 수회, 일반적으로 10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5회 이하, 전형적으로 약 3회 반복할 수 있다. 첨가되는 헹굼 물은 물에 직물을 침지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다음 추출 단계 전에 직물을 재포화시킬 정도로만 사용된다. 임의로, 최종 분무 헹굼 과정 중에 형광 증백제, 향료, 컨디셔너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잔류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낮은 G(40 rpm)에서 케이지를 다시 회전시킨다. 그 다음, 깨끗한 직물을 장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작업 사이클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물과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초기 첨가량(약 43 kg)이 98 cm 직경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의 오염된 기재의 세탁 부하(15 kg)에 첨가되는 한편, 0.88 G(40 rpm)를 발생하기 위해 회전시킨다. 그 후, 추가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10 kg)가 전형적으로 약 30 분간 지속될 수 있는 세탁 사이클의 지속기간 전반에 걸쳐 대략 매 30 초간 분리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펌핑된다. 이에 의해, 시스템은 세탁 전반에 걸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의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대략 동일한 수준(43 kg의 비드 및 15 kg의 직물의 경우 약 2.9:1 중량비)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펌핑 및 첨가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세탁 사이클 중에,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밖으로 그의 천공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떨어지며, 깨끗한 세정 재료와 함께 분리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통해 재순환되고 첨가된다. 이 공정은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거나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로부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퇴거 속도는 본질적으로 그의 특이적 설계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파라미터는 천공 크기, 천공 수, 케이지 내부의 천공 배열 및 채용된 G 포스(또는 회전 속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천공은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평균 입경의 약 2-3배의 크기를 가지며, 이는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천공이 25.0 mm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는 케이지의 원통형 벽 표면적의 약 34% 만이 천공을 포함하도록 드릴로 뚫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천공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원통형 벽에 걸쳐 줄무늬로 띠를 두르거나 고르게 분포되지만, 예를 들어, 케이지의 이분의 일 내에 독점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로부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나오는 속도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 속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아서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G 포스가 증가하지만, G>1에서는 직물이 케이지의 측면에 부착하여 세정 재료가 나오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더 느린 회전 속도가 최적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텀블링 중에 직물이 더욱 펼쳐짐에 따라 비드가 직물로부터 천공을 통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의 G 포스를 초래하는 회전 속도가 필요하다(98 cm 직경 케이지에서 10-42 rpm). G 포스(또는 회전 속도)는 또한 기재 위 세정 재료의 기계적 작용의 유익한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제어되며, 가장 적합한 G는 일반적으로 약 0.9 G(98 cm 직경 케이지에서 40 rpm)인 것으로 밝혀졌다.
부가적으로, 세탁 중의 가습 수준도 효과를 나타내어, 더 가습된 기재는 더 건조한 기재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세정 재료를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나오는 속도를 추가로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기재의 과가습도 채용될 수 있다.
세탁 사이클이 완료되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첨가하는 것을 멈추고, 일부 액체를 추출하고 기재를 어느 정도 건조시키기 위하여 케이지 rpm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약 2 분간 약 197.2의 G 포스(98 cm 직경 원통형 케이지에서 600 rpm)를 제공한다. 그 후 고속 회전을 멈추고 약 5 분간 낮은 G 텀블(약 40 rpm)을 실행하여 세탁 부하에 남아있는 대부분의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50%)를 제거한다. 그 후,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헹굼 사이클을 실행하고, 세정 재료의 제거를 완료하기 위하여 세탁 사이클에서와 동일한 <1 및 낮은(40) rpm 값으로 회전 G 및 회전 속도를 최종적으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비드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약 20 분간 수행되는데, 전형적인 작업에서 세탁 및 헹굼 사이클 각각을 실행하여 약 1 시간의 총 전체적인 사이클 시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공정 후 세정된 기재로부터 세정 재료를 성공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에스테르 비드 및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 중합체를 포함하는 나일론 비드를 사용한 시험 결과 비드 분리 사이클 종료시 세탁 부하 당 평균 <150 비드가 잔류하는 비드 제거 효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이는 세탁 부하 당 평균 <40 비드까지 추가로 감소될 수 있으며, 특이적 비드 유형과 조합하여 20분 분리 사이클이 채용되는 최적화의 경우에 세탁 부하 당 평균 <5 비드가 달성될 수 있다. 공정의 물 추출 단계 중에 더 높은 G 포스를 사용하여 달성된 더 건조한 의복의 경우, 이러한 의복 당 비드의 수치는 훨씬 더 감소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비록 성능의 일부 저하가 재활용된 입자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기는 하지만, 기재된 방식으로 중합체 입자의 재-이용이 잘 작동되어 입자가 세정 절차 중에 만족스럽게 재-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제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하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그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 세정 성능
하기 방법에 따라 부직 면 직물(194 gm-2, Whaleys, Bradford, U.K.)을 커피, 립스틱, 볼포인트펜, 토마토케첩, 부츠 광택제, 풀(grass), 진공 먼지(vacuum dirt), 카레소스 및 적포도주로 착색시켰다.
(i) 커피
10 g의 Morrisons® 완전 로스트 커피 분말을 70 ℃에서 50 ml의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template)의 범위 내에서 1 ㎤ 알리코트의 얻어진 용액(ensuing solution)을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물에 도포한 후; 착색된 직물을 주변 온도(23 ℃)에서 건조되도록 한 다음, 암실에서 4 일간 보관하여 사용 전에 직물을 노화시켰다.
(ii) 립스틱
Revlon® Super Lustrous 립스틱(구리 프로스트 쉐이드)을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물에 도포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피복을 제공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iii) 볼포인트펜
검은색 Paper Mate® Flex Grip Ultra 볼포인트펜을 사용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직물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iv) 토마토케첩
Heinz® 토마토케첩을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물에 도포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피복을 제공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v) 부츠 광택제
Kiwi® 검은색 부츠 광택제를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물에 도포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피복을 제공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vi) 풀
MG7(국내 식물 분류) 공급원으로부터 수공으로 풀을 수집하였다. 10 g의 풀을 가위로 썰고 전자 믹서기를 사용하여 200 ml의 수돗물과 함께 블렌딩하였다. 그 후 금속 체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착색 매체로 사용하였다. 이를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물에 도포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피복을 제공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vii) 진공 먼지
일반적인 가정용 진공 백으로부터 수공으로 진공 먼지를 수집하였다. 25 g의 진공 먼지를 100 ml의 수돗물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사용하여 직물을 착색시켰다. 이를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물에 도포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피복을 제공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viii) 카레소스
Morrisons® 소유 브랜드의 카레소스를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직물에 도포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피복을 제공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ix) 적포도주
Morrisons®에서 구입한 "스페인 적포도주"를 합성 스폰지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직물에 도포하여 5 cm 직경의 원형 플라스틱 형판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피복을 제공하였다. 그 후, 커피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직물을 노화시켰다.
도 1에 기재한 패턴으로 면 직물의 단일 조각(36 cm x 30 cm)에 착색 (i)-(ix) 각각을 도포하여 표준 착색 세트를 제작하였다.
그 후, 한 세트의 시험군 및 대조군 조건을 사용하여 세정 시험을 실행하였다(표 1 참조). 따라서, 시험군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상기 정의된 바람직한 장치("Xeros" XP5)의 사용을 포함하는 한편, 대조군 세정 시험은 표준 가정용 세탁기(Hotpoint Ultima WT960-XP6, XP7 및 XP8)를 사용하여 실행하였다. 이들 대조군 세정 시험은 다양한 수준의 세제(Unilever Persil® Small and Mighty Biological - XP6 및 XP7, 또는 Procter & Gamble Ariel® Biological Liquid with Actilift - XP8)를 사용하여 상이한 온도에서 실행하였다.
따라서, 15 ℃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세정 성능을 동일 온도(XP6)에서 및 또한 40 ℃(XP7)에서 가정용 기계(Hotpoint Ultima WT960)를 사용하여 실행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XP5, XP6 및 XP7에서는 균등한 세제 용량이 사용되었다. 추가의 대조군으로서 가정용 세탁을 40 ℃에서 반복하였지만, 이번에는 훨씬 증가된 용량의 대안적인 세제를 사용하였다(Ariel® Biological Liquid with Actilift - XP8). 이는 대조군으로서 최상의 가능한 세정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되었다(세제의 상세내용 및 각각의 제조사에 의해 권고된 용량은 표 2 참조).
가정용 세탁(XP6, XP7 및 XP8)은 4 kg의 세탁 부하로 실행되었지만, Hotpoint Ultima WT960은 7 kg 기계로 등급을 받았다. 이는, 예를 들어, 유럽의 가정용 시장에서 사용되는 평균 세탁 부하 크기로서 훨씬 더 대표적이며, 결과적으로 이들 대조군을 더욱 철저하게 한다. 드럼 내의 증가된 자유 부피는 더 많은 기계적 작용 및 더 양호한 세탁 성능을 가져온다.
세탁 테스트
테스트# 기계 유형 세제 용량
(ml)
세탁 부하
(kg)
세제 용량
(ml/kg)
세탁 온도
(℃)
사이클
시간(분)
XP5 제로스 210 24 8.75 15 60
XP6 가정용 35 4 8.75 15 74
XP7 가정용 35 4 8.75 40 90
XP8 가정용 120 4 30.0 40 90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28.8 리터의 세탁수(즉, 1.2 리터/kg 세탁 부하) 및 60 kg의 INVISTA 1101 폴리에스테르 비드(즉, 2.5 kg/kg 세탁 부하)와 함께 98 cm 직경의 원통형 케이지를 갖는 바람직한 장치를 사용하여 실행되었다. 헹굼은 채용하지 않았다.
세제 및 권고된 용량의 상세내용
Unilever
Persil® Small & Mighty
권고 용량: 세탁 부하 4-5 kg 당 35 ml
(연수- 중간 경도의 물)
Procter & Gamble
Ariel® Biological
Liquid with Actilift
권고 용량: 세탁 부하 4 kg 당 120 ml
(연수- 중간 경도의 물)
1 표준 착색 세트/kg 세탁 부하로 모든 경우에 9가지 착색의 표준 착색 세트를 사용하였다(도 1 참조). 이들 착색은 만날 수 있는 대표적인 돌발 착색 유형 범위(효소적인, 산화가능한, 기름이 많은 및 입자성인)이며, 풀, 케첩, 커피, 적포도주, 볼포인트펜, 카레소스, 먼지앉은 땅, 립스틱 및 부츠 광택제를 포함한다.
XP5-XP8의 모든 경우에, 세탁 부하 kg 당 모의 피지 기름 착색 8 g을 함침된 면 옷감으로서 테스트에 도입하였다(WFK로부터의 SBL-2004). 암회색에서 시작한 이 옷감(도 1)을 사용하여 칼라 및 소맷단 기름이 지배적인 착색을 이루는 가정용 세탁 환경을 더 잘 모의하였다(전체 착색 로딩의 한 80%를 이룸). 피지는 피부의 피지샘으로부터 유래한다.
세탁 테스트 결과는 첨부 도면에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2(XP5), 도 3(XP6), 도 4(XP7), 도 5(XP8), 도 6(XP5 대 XP6), 및 도 7(XP5 대 XP7).
도 2, 3 및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15 ℃ 세탁 온도에서 가정용 균등물과 비교하여 세정 성능에 있어서 뚜렷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착색 표준 세트의 9가지 모두는 더욱 대단한 정도로 세정되었으며, 특히 피지 옷감은 색깔에 있어서 눈에 띄게 밝아졌다. 특히, 이 마지막 관찰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되는데, 왜냐하면 오랫동안 세탁 산업의 숙원이었던 저온에서의 기름 제거에 있어서 현저한 증진을 나타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도 2, 4 및 7은 40 ℃에서의 가정용 대조군 실행과 비교해서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저온 세탁이 9가지 모든 표준 착색 및 피지 옷감을 적어도 동등하게 세정함을 보여준다. 이는 전력의 절약에 있어서 매우 현저한 잠재적 장점이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비드 기계적 작용으로부터의 증진을 보여주는데, 이는 통상적인 세탁이 확실히 따라오지 못하는 점이다. 도 2 및 5를 비교하면 40 ℃에서의 가정용 대조군에 대해 다시금 동일한 결론이 얻어질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kg 당 현저히 더 높은 세제 용량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2-직물 보호
본 발명의 방법과 연계된 국소 직물 손상의 감소를 설명하기 위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따라서, 도 8 및 9는 세탁 공정에서 기계적 작용의 효과를 강조하도록 설계된 특별 제작 옷감 샘플(EMPA #306 테스트 옷감: "Polka Dot 유형 A (low-mid))의 세탁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상기 정의된 바람직한 장치에서의 세탁 후 이 옷감의 샘플이며, 도 9는 통상적인 가정용 세탁기에서의 세탁 후 이 옷감의 샘플이다.
가정용 세탁은 4 kg의 면 밸러스트 및 1 EMPA #306 옷감을 사용하여, 1200 rpm 스핀 속도 설정에서 40 ℃ 면 세탁 사이클로 BEKO WM5120W 기계 내에서 실행되었다. 사용된 세제는 80 g의 Procter & Gamble Ariel® 생물학적 분말(즉, 20 g/kg)이었으며 이는 제조업자에 의해 권고된 용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24 kg의 혼합 직물 세탁 부하, 28.8 리터의 세탁수(즉, 1.2 리터/kg 세탁 부하) 및 60 kg의 INVISTA 1101 폴리에스테르 비드(즉, 2.5 kg/kg 세탁 부하)로 바람직한 장치(98 cm 케이지 직경) 내에서 실행되었다. 세제는 또한 Procter & Gamble Ariel® 생물학적 분말이었으나, 192 g(즉, 8 g/kg) 만이 사용되었고-이는 제조업자에 의해 권고된 용량의 40%이다. 3회 헹굼 공정이 300 rpm 스핀 속도로 채용되었다.
이 경우에, 도 9(BEKO-선행기술)는 불규칙한 패턴을 초래하는 EMPA #306 옷감 표면에 부착된 고무 점들의 제거를 보여주며, 특히 매우 집중된 제거 스트리크와 함께 접힘 및 주름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들은 높은 수준의 국소 직물 손상과 쉽게 연계될 수 있다. 도 8(본 발명의 방법)은 전반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제거를 초래하는 완전히 상이한 제거 패턴을 보여주지만, 엄밀히 이는 훨씬 더 균일하다. 따라서, (여기 다른 실시예들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더 양호한 세정이 이루어지지만 국소 직물 손상은 현저히 감소한다. 많은 세탁 하에 의복의 수명을 결정짓는 것은 국소적인 측면의 손상이며, 의복 수명은 명백히 소비자에게 중요한 이점이다.
비교 설명으로서, 도 10은 EMPA #306 옷감의 세탁되지 않은 샘플을 보여준다.
실시예 3-세정 성능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 수치를 바람직한 장치(98 cm 직경 케이지)를 사용하는 본원 청구된 발명의 방법에 대해 결정하였으며 Miele PW 6241 EL 상업적 기계를 사용하여 달성된 수치들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Miele PW 6241 EL 기계는 24 kg 기계로 등급이 매겨지지만 통상적인 테스트는 12 kg 세탁 부하로 실행되었다. 드럼 내 자유 부피의 증가는 더 많은 기계적 작용 및 더 양호한 세탁 성능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는 다시금 이러한 대조군들을 더욱 철저하게 하려는 것이다. 제조업자의 권고된 용량 30 ml/kg으로 Procter & Gamble Professional Ariel® 액체를 세제로 사용하였다. 40 ℃ 및 60 ℃의 세탁 온도를 사용하였다(각각 대조군 ML1 및 ML2). 세탁 부하는 3개의 전문적이고 상업적인 세탁물 착색 모니터(WFK로부터의 PCMS-55_05-05x05-도 11(a) 및 11(b) 참조), 12개의 피지 옷감(WFK로부터의 SBL-2004)을 면 밸러스트로 구성된 나머지 세탁 부하와 함께 포함하였다.
면 밸러스트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테스트용 세탁 부하를 구성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지만, 여기에서 세탁 부하는 16 kg이고 3개의 PCMS-55_05-05x05 착색 모니터 및 16개의 SBL-2004 피지 옷감을 포함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위 "제로스 표준(Xeros Standard)" 방법은 40 ℃(74 리터의 세탁수, 즉, 4.6 리터/kg 세탁 부하)에서 실행되었고 본 발명에 따른 "제로스 주변(Xeros Ambient)" 방법은 15 ℃(28 리터의 세탁수, 즉, 1.75 리터/kg 세탁 부하)에서 실행되었다. 각 경우에 총 90 리터의 물을 사용하는 3회의 헹굼 공정을 채용하였고, 사용된 비드는 50 kg의 INVISTA 1101 폴리에스테르(즉, 3.1 kg/kg 세탁 부하)였다. ML1 및 ML2 대조군과 동일한 세제가 사용되었으나, 여기에서는 현저히 감소된 수준으로 사용되었다("제로스 주변"의 경우 14.1 ml/kg이고 "제로스 표준"의 경우 18.8 ml/kg). 세정된 착색 모니터의 조사 결과 "제로스 주변" 공정은 ML1 대조군에 대해 현저한 세정 성능을 나타내었으며(도 12 및 13 참조), "제로스 표준"은 ML2 대조군과 비교하여 훨씬 더 인상적인 성능을 나타내었다(도 14 및 15 참조). "제로스 주변" 대 ML1 및 "제로스 표준" 대 ML2에서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의 절약은 표 3으로부터 명백하다.
세탁 테스트
대조군 본 발명
ML1
Miele
PW 6241 EL
40 ℃
ML2
Miele
PW 6241 EL
60 ℃
"제로스 주변"
15 ℃
"제로스 표준"
40 ℃
세탁 부하 12 kg 12 kg 16 kg 16 kg
258 리터 =
21.5 리터/kg
258 리터 =
21.5 리터/kg
118 리터 =
7.4 리터/kg
164 리터 =
10.2 리터/kg
세제 360 ml =
30.0 ml/kg
360 ml =
30.0 ml/kg
225 ml =
14.1 ml/kg
300 ml =
18.8 ml/kg
에너지 4.6 kWh =
0.38 kWh/kg
6.1 kWh =
0.51 kWh/kg
0.65 kWh =
0.04 kWh/kg
2.97 kWh =
0.18 kWh/kg
실시예 4-세정 성능
에너지, 물 및 세제 소비 수치를 바람직한 장치(98 cm 직경 케이지)를 사용하는 본원 청구된 발명의 방법에 대해 결정하였으며, 이를 가정용 세탁에서 A 클래스 성능으로 간주된 수치, 즉: <0.19 kWh/kg의 에너지 소비, <9.7 리터/kg의 물 사용량 및 약 8.0 g/kg(8.5 ml/kg)의 세제 용량과 비교하였다(표 4 참조). 5개의 WFK PCMS-55_05-05x05 전문적인 세탁물 착색 모니터와 25개의 SBL-2004 피지 옷감을 포함하며 면 밸러스트를 사용하여 로딩 크기로 조정한 25 kg 세탁 부하에 대해 본 발명을 사용하여 60 ℃ 세탁 사이클과 동등한 세정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로스 주변" 방법은 실시예 3(즉, 28 리터 세탁수, 이 경우에는 1.12 리터/kg 세탁 부하와 균등함)에서와 같이 15 ℃에서 실행되었고, 40 ℃에서의 "제로스 표준"도 실시예 3(즉, 74 리터 세탁수, 이 경우에는 2.96 리터/kg과 균등함)에서와 같이 실행되었다. 각 경우에 총 90 리터의 물을 사용하는 3회의 헹굼 공정을 다시 채용하였고, 사용된 비드는 다시 한번 INVISTA 1101 폴리에스테르(50 kg, 즉, 2.0 kg/kg 세탁 부하)였다. 그러나, 세제 용량 수준은 양자 공정 모두에 대해 7.0 ml/kg(6.6 g/kg)으로 감소하였다(Procter & Gamble Professional Ariel® 액체). 이 경우에는 60 ℃ 세탁 사이클과 동등한 세정만이 달성되었으며, 따라서 실시예 3에서 양자 공정 모두에 의해 달성된 현저한 세정 성능이 세탁 부하 크기를 증가시키고 세제 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희생되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40 ℃에서의 "제로스 표준" 공정은 15 ℃에서의 "제로스 주변" 공정을 약간 능가하였으나, 이는 예측된 대로였다.
세탁 테스트

A 클래스
가정용 등급
본 발명
"제로스 주변"
15 ℃
"제로스 표준"
40 ℃
세탁 부하 N/A 25 kg 25 kg
<9.7 리터/kg 118 리터 =
4.7 리터/kg
164 리터 =
6.6 리터/kg
세제 ~8.0 g/kg(~8.5 ml/kg) 175 ml =
7.0 ml/kg(6.6 g/kg)
175 ml =
7.0 ml/kg(6.6 g/kg)
에너지 <0.19 kWh/kg 0.65 kWh =
0.03 kWh/kg
2.97 kWh =
0.12 kWh/kg
실시예 5-세탁 부하로부터 비드의 제거
세탁 부하 내의 비드 트래핑(trapping)에 대한 비드 크기, 형상 및 밀도의 효과를 15개 드레스 셔츠를 사용하여 밀봉된 드럼(50 cm 직경) 내의 G<1에서 10 kg의 다양하고 상이한 비드 유형을 개별적으로 텀블링하여 테스트하였다. 6 리터의 물을 사용하여 셔츠를 균일하게 가습하고 주변온도에서 30분간 텀블링을 실행하였다. 각 테스트에서 동일한 셔츠를 건조시키고 재사용하였다. 각 경우에 셔츠 주머니, 쇄골 삽입물 및 단추 솔기에 남아있는 비드의 수를 비교하였다. 사용된 비드는 표 5 및 도 16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다. 결과를 표 6에서 볼 수 있다.
비드 유형
비드 코딩 형상 a
(mm)
b
(mm)
h
(mm)
dps
(mm)
부피
(㎣)
밀도
(g/㎤)
비드 재료
1101 원통형
(타원단면)
3.0 2.2 2.1 N/A 11.1 1.42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24BS 원통형
(타원단면)
2.6 1.8 2.9 N/A 11.3 1.11 폴리아미드
(나일론 6,6 - N6,6)
24BL 원통형
(타원단면)
4.4 2.7 3.5 N/A 32.7 1.10 폴리아미드
(나일론 6,6)
575P 원통형
(타원단면)
4.2 3.5 4.0 N/A 46.0 0.66 폴리프로필렌
(PP)
101 완벽한 구체 N/A N/A N/A 6.0 117.4 1.16 폴리아미드
(나일론 6,6)
셔츠 내의 비드 잔류
비드 코딩 세탁 부하에 의해
보유된 비드의 수
BRet
테스트에서 사용된
비드의 총 수(1000s)
BTot
비드 잔류 수준
(BRet/BTot) x 100 (%)
1101 532 632 0.084
24BS 1,718 795 0.216
24BL 267 312 0.085
575P 480 328 0.146
101 5 73 0.007
여기서 보유된 비드의 수는 크며, 본원에서 청구된 발명의 대표적인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이들 테스트에서 사용된 드럼이 밀봉되어 있으며(즉, 측벽 천공이 없음) 따라서 비드가 효과적으로 셔츠 내로 밀고 들어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결과는 여전히 비드 잔류에 대한 비드 크기, 형상 및 밀도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예상되는 비드 제거 수준의 지침을 제공한다.
1101 및 24BS 비드 잔류 수준을 비교하면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비드가 상이한 정도로 보유될 수 있으며, 비드 밀도가 잔류 수준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 인자임을 알 수 있다. 고밀도 비드일수록 적게 보유되므로, 중합체성 비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세정 공정에서 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24BS와 24BL 비드 잔류 수준을 비교하면 유사한 밀도의 비드도 상이한 정도로 보유될 수 있으며, 비드 크기가 특정 비드 형상에 대한 잔류 수준을 결정함에 있어서 또 다른 중요 인자임이 명백하다. 동일한 형상의 더 큰 비드가 더 적게 보유되며(24BL은 24BS의 부피의 3배이다), 따라서 중합체성 비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공정에서 더 쉽게 제거된다.
1101, 24BS 및 575P 비드 잔류 수준을 비교하면 비드 크기가 저밀도 비드를 극복하여 잔류 수준을 줄일 수 있음이 또한 관찰된다. 따라서, 매우 저밀도의 575P 비드는 밀도가 더 큰 24BS보다 적게 보유되고 있는데, 이는 24BS의 4배 부피를 갖기 때문이다. 반면에, 1101과 비교하면 4배 더 크기는 하지만, 이는 밀도가 더 큰 1101보다 여전히 더 많이 보유되고 있다.
따라서 더 큰 비드로의 이동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작용 경로의 유익은 101 비드 잔류 수준에 의해 설명된다. 이 경우에 잔류는 훨씬 큰 비드로의 이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101은 1101 및 24BS 부피의 10배, 24BL 부피의 3.5배 및 575P 부피의 2.5배를 넘는다). 이 결과는 원통형에서 완벽한 구체로 형상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크기가 갖는 명백한 효과를 보여준다.
이들 결과를 더욱 강조하기 위하여 "제로스 주변" 및 "제로스 표준" 세탁사이클을 국제 특허 공개 제2011/098815호에 기재된 장치(98 cm 직경 케이지)에서 실행하였다. 비드 1101, 334 및 335에 대해 영국 런던의 보통의 세탁소에서 수행된 일련의 시험의 일부로서 다양한 16-25 kg 세탁 부하를 사용하였다(표 7 참조). 비드 101을 영국 쉐필드의 제로스 회사에 의해 개별적으로 테스트하였다. 물 소비 수준은 실시예 3 및 4에 기재된 바와 같다("제로스 주변"의 경우 118 리터, 및 "제로스 표준"의 경우 164 리터). 채용된 세탁 온도는 다음과 같다: 사용된 정확한 세탁 부하에 따라 "제로스 주변"은 15 ℃, "제로스 표준"은 40 ℃, 60 ℃ 또는 65 ℃. 상이한 세탁 부하 유형 전체에 걸쳐 세제도 변화시켰다. 따라서 표 7은 테스트된 세탁 부하에서 달성된 평균 분리(일부는 총 100회 실행), 및 이들 상이한 비드 유형에서 관찰된 상대적인 세정 성능을 보여준다.
선택된 비드 및 이들의 기여
비드 코딩 형상 a
(mm)
b
(mm)
h
(mm)
ds
(mm)
dps
(mm)
부피
(㎣)
밀도
(g/㎤)
비드 재료 비드 제거 수준
100-(BRet/BTotx100)
(%)
상대적
세정성능
10=우수
5=평균
1=매우 열등
1101 원통형 3.0 2.2 2.1 N/A N/A 11.1 1.42 PET 100-((142/3.16x106)x100)=99.996 10
335 구형 N/A N/A N/A 2.7 N/A 16.2 1.66 N6,6 100-((35/2.81x106)
x100)=99.999
8
334 구형 N/A N/A N/A 3.0 N/A 17.7 1.88 N6,6 100-((20/1.96x106)
x100)=99.999
7
101 완벽한 구체 N/A N/A N/A N/A 6.0 117.4 1.16 N6,6 100-((3/3.67x105)
x100)=99.999
5
따라서, 가능한 한 세탁 부하로부터 비드의 완전한 분리에 가까울 것이 요구된다면, 비드 101이 최선의 선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25 kg 세탁 부하에 사용된 50 kg의 비드(즉, 2.0:1 kg/kg 세탁 부하)는 단지 3개의 비드만이 잔류하거나, 99.999%의 비드 제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드 수가 적고 기계적 작용이 적으면(이들의 완벽한 구형 형상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세정 성능이 감소되므로 절충이 필요하다(표 7 참조). 그러나, 오염이 심하지 않은 세탁 부하의 경우에 이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 비드는 여전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더욱 심하게 오염된 세탁 부하의 경우라면 더 작고 구형인 비드(완벽한 구체는 아님)로의 이동이 바람직할 수 있다(표 7의 코드 334 및 335). 이 경우에, 분리는 여전히 허용가능한 수준이지만(비드 334의 경우 25 kg의 세탁 부하에 50 kg 비드를 사용하면 20개 비드가 잔류하거나 99.999%의 제거를 나타내었고; 비드 335의 경우 25 kg의 세탁 부하에 50 kg 비드를 사용하면 35개 비드가 잔류하거나 99.999%의 제거를 나타내었다), 세정 성능은 증가하였다(비드 101 및 더 거칠은 표면에 비해 더 많은 비드/kg이 첨가되어 더 많은 기계적 작용을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들 역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포함되며, 이들은 아마도 세정 성능 및 세탁 부하로부터의 분리 사이에 최상의 절충점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탁 부하가 매우 심하게 오염된 경우, 비드 1101과 같이 훨씬 더 작은 원통형 비드의 사용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다시, 표 7 참조), 이는 세정성능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때문이다(이들의 형상에 대해 잘-정의된 모서리와 함께 비드 334 또는 335에 비해 더 많은 비드/kg이 첨가되어 훨씬 많은 기계적 작용을 발생한다). 여기에서, 그러나, 분리 성능은 약간 떨어져서 25 kg 세탁 부하에 50 kg 비드가 사용되면 142개 비드가 잔류하거나 99.996%의 제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비드도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에 포함된다.
표 7에서의 비드 선별은 종합적인 것이 아니며 비드 크기, 형상 및 밀도의 상이한 균형이 사용된 중합체성 입자의 세정 및 분리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임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청구된 비드 크기, 형상 및 밀도 범위 내에서 상기 이루어진 것과 상이한 선택도 동일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단어 "포함하다" 및 "함유하다" 및 그들의 변형은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그들은 다른 부분, 첨가제, 구성요소, 정수, 또는 단계를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그리고 배제하지 않음).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문맥상 달리 필요하지 않는 한, 단수형은 복수형을 포괄한다. 특히, 부정관사가 사용되는 경우, 문맥상 달리 필요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는 단수형과 더불어 복수형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와 함께 기술된 특징부, 정수, 특징, 화합물, 화학적 부분 또는 기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측면,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에, 그들과 비상용성이 아닌 한, 응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특징부(임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함), 및/또는 그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는, 이러한 특징부 및/또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의 실시양태의 상세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임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함)에 개시된 특징부 중의 임의의 신규한 하나,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 또는 그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 중의 임의의 신규한 하나,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에까지 연장된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출원되고, 본 명세서와 함께 공람에 개방된 모든 문헌 및 문서에 독자의 관심이 유도되며, 이러한 모든 문헌 및 문서의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57)

  1.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 및 세탁수로 기재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는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고 세탁 부하 중의 직물 kg 각각에 대해 5 내지 50 리터 용량을 갖는 드럼을 포함하는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는 0.1:1-10:1 질량비의 입자 대 직물 첨가 수준으로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하고, 각 입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구형의 형상이며 0.5-2.5 g/㎤ 범위의 평균 밀도 및 5-275 ㎣ 범위의 평균 부피를 가지고, 여기에서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이 0.05 내지 900 G 범위의 G 포스(G force)를 발생하는 속도로 회전하는, 오염된 기재의 세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분리되고 회수된 다음 후속 세정 공정에서 재-사용되는 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그의 효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속적으로(intermittently) 세정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75 ℃를 초과하지 않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5-40 ℃ 범위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발포 또는 비발포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선형 또는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폴리알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비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5000 내지 30000 달톤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나일론 6,6 단일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이온성으로 하전되거나 극성인 부위 또는 불포화 유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단량체성 단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가 산 또는 아미노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펜던트 알케닐기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가 2.0-6.0 mm의 주 단면 축 길이(major cross section axis length)를 나타내는 타원형 단면의 원통형 입자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1.3-5.0 mm의 종 단면 축 길이(minor cross section axis length)를 나타내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1.5-6.0 mm의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가 1.3-6.0 mm의 직경을 나타내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입자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1.5-6.0 mm의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가 2.0-8.0 mm의 직경을 나타내는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완벽한 구체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가 하우징 및 상기 원통형 케이지 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수단을 포함하는 세정 장치 내에 포함되는 방법.
  23. 제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가 상기 케이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드럼 내부에 동심원적으로 위치하며, 여기에서 상기 케이지 및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드럼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정지된 원통형 드럼 내부에 동심원적으로 위치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및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드럼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채용된 방법.
  24. 제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가 상기 하우징 수단 내부의 제1 챔버 내에 장착되고, 이는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지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수단과 다수의 전달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원통형 측벽의 외측 표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케이지의 내부로부터 유체 및 고체 입자성 물질의 진입 또는 진출을 방지하도록 채용된 밀봉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펌핑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의 천공된 측벽의 표면적의 60% 이하는 천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천공들은 25.0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수단이 하우징 내에 장착된 경첩이 달린 문을 포함하며, 이는 원통형 케이지의 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밀봉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는 방법.
  29. 제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의 순환을 증진하도록 채택된 순환 수단을 포함하는 방법.
  30. 제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가 98 cm 직경 케이지를 포함하며 회전 속도가 10-800 rpm 범위인 방법.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들을 순서대로 실행함을 포함하는 방법:
    (a) 세탁;
    (b) 세탁수의 제1 추출;
    (c) 중합체성 입자의 제1 분리;
    (d) 헹굼;
    (e) 과량의 물의 제2 추출;
    (f) 임의로, 적어도 한번 단계 (d) 및 (e)의 반복; 및
    (g) 중합체성 입자의 제2 분리.
  32. 제31항에 있어서,
    단계 (d) 및 (e)가 10회 이하로 반복되는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공정이 0.05 내지 0.95 G에서 실행되며, 유사한 조건 하에 헹굼 물을 첨가한 다음 5.5 내지 350 G의 더 높은 G 포스에서 추출하고, 직물로부터의 비드의 상기 분리를 0.05 내지 0.95 G에서 실행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이 98 cm 직경을 갖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 공정은 10 내지 42 rpm의 회전 속도에서 실행되며, 유사한 조건 하에 헹굼 물을 첨가한 다음 100-800 rpm의 회전 속도에서 추출하고, 직물로부터의 비드의 상기 분리를 10-42 rpm의 회전 속도에서 실행하는 방법.
  35. 제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탁 사이클이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i)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장치의 제2 챔버 내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와 물을 도입하는 단계;
    (ii)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와 물을 교반하는 단계;
    (iii) 적어도 하나의 오염된 기재를 접근 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로딩하는 단계;
    (iv) 실질적으로 밀봉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접근 수단을 폐쇄하는 단계;
    (v)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세탁수 및 임의로 요구되는 부가적인 세정제를 도입하여 기재를 균일하게 가습하는 단계;
    (vi)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로 도입하고 세탁 사이클 동안 장치를 작동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고 여기에서 유체 및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제어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 내의 천공을 통해 상기 제2 챔버 내로 떨어지도록 하는 단계;
    (vii) 깨끗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를 이동시키고 사용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분리 수단으로 재순환하도록 펌핑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
    (viii) 상기 깨끗하고 재순환된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제어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케이지로 첨가되도록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ix) 오염된 기재의 세정이 이루어지기에 필요한 만큼 단계 (vi), (vii) 및 (viii)을 지속하는 단계.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가 채용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가 물과 예비-혼합되고,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와 물이 재순환 수단을 통해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 내로 도입되는 동안 분리 수단을 통해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으로 첨가되는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가 투입 수단을 통해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으로 첨가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수단이 임의로 접근 수단 위에 장착된, 고정적으로 장착된 분무 노즐을 포함하는 방법.
  4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가 세정 작업 중의 다중 투입 단계에서 천공된 측벽을 포함하는 상기 드럼으로 첨가될 수 있는 방법.
  41. 제3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가 세정 구성요소 및 후-처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성요소가 계면활성제, 효소 및 표백제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구성요소가 재부착 방지 첨가제(anti-redeposition additive), 향료 및 형광 증백제(optical brightener) 구성요소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44. 제41항,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세탁조제(builder), 킬레이트화제, 염료 전달 저해제(dye transfer inhibiting agent), 분산제, 효소 안정화제, 촉매 재료, 표백 활성제, 중합체성 분산제, 점토 오염 제거제(clay soil removal agent), 비누거품 억제제(suds suppressor), 염료, 구조 탄성화제(structure elasticizing agent), 직물 유연제, 전분, 담체, 친수제(hydrotrope), 가공 보조제, 및 안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3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제를 헹굼 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제가 적어도 하나의 형광 증백제, 향료, 유연제 및 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1 내지 0.1:1 w/w의 세탁수 대 기재 비율로 실행되는 방법.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규모 또는 대규모 회분식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49. 고체 입자성 세정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고체 입자성 세정 재료가 다수의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세정제가 적어도 하나의 세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발포 또는 비발포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2.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선형 또는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3.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폴리알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비드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6. 제49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입자가 이온성으로 하전되거나 극성인 부위 또는 불포화 유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단량체성 단위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57. 제49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가 산 또는 아미노기, 또는 그의 염, 또는 펜던트 알케닐기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
KR1020137013637A 2010-10-29 2011-10-31 개선된 세정 방법 KR20140114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18318.4 2010-10-29
GBGB1018318.4A GB201018318D0 (en) 2010-10-29 2010-10-29 Improved cleaning method
PCT/GB2011/052117 WO2012056252A2 (en) 2010-10-29 2011-10-31 Improved clean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265A true KR20140114265A (ko) 2014-09-26

Family

ID=4340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637A KR20140114265A (ko) 2010-10-29 2011-10-31 개선된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50455B2 (ko)
EP (1) EP2633114A2 (ko)
JP (1) JP2014501550A (ko)
KR (1) KR20140114265A (ko)
CN (1) CN103261504A (ko)
AU (1) AU2011322256A1 (ko)
BR (1) BR112013010562A2 (ko)
CA (1) CA2815194A1 (ko)
GB (1) GB201018318D0 (ko)
TW (1) TW201233868A (ko)
WO (1) WO20120562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6076D0 (en) 2010-04-12 2010-05-26 Xeros Ltd Nove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015277D0 (en) 2010-09-14 2010-10-27 Xeros Ltd Novel cleaning method
GB201015276D0 (en) * 2010-09-14 2010-10-27 Xeros Ltd Polymer treatment method
CN102154801B (zh) 2011-01-11 2016-08-17 海尔集团公司 节水滚筒洗衣机及洗衣方法
GB201100627D0 (en) 2011-01-14 2011-03-02 Xeros Ltd Improved cleaning method
GB201100918D0 (en) 2011-01-19 2011-03-02 Xeros Ltd Improved drying method
CN102828379B (zh) 2011-06-15 2016-01-06 海尔集团公司 使用聚合物固体颗粒的洗涤方法
GB201212098D0 (en) 2012-07-06 2012-08-22 Xeros Ltd New cleaning material
GB201212096D0 (en) * 2012-07-06 2012-08-22 Xeros Ltd Improved cleaning formulation and method
GB201305121D0 (en) 2013-03-20 2013-05-01 Xeros Ltd Improve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305120D0 (en) 2013-03-20 2013-05-01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305122D0 (en) 2013-03-20 2013-05-01 Xeros Ltd New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305416D0 (en) 2013-03-25 2013-05-08 Univ Leeds Novel method for coloration and treatment of substrates
GB201306607D0 (en) 2013-04-11 2013-05-29 Xeros Ltd Method for treating an animal substrate
GB201306986D0 (en) 2013-04-17 2013-05-29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Can production process
GB201312189D0 (en) * 2013-07-08 2013-08-21 Xeros Ltd New cleaning formulation and method
TWI611017B (zh) * 2013-08-15 2018-01-11 克塞羅斯公司 改良之清潔配方及方法
GB201319782D0 (en) 2013-11-08 2013-12-25 Xeros Lt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GB201320784D0 (en) 2013-11-25 2014-01-08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418005D0 (en) * 2014-06-05 2014-11-26 Xero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y of solid particulate material
GB201413859D0 (en) * 2014-08-05 2014-09-17 Reckitt Benckiser Brands Ltd New automatic washing machine and method
GB201417487D0 (en) 2014-10-03 2014-11-19 Xeros Ltd Method for treating an animal substrate
GB201418007D0 (en) 2014-10-10 2014-11-26 Xeros Ltd Animal skin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GB201418006D0 (en) 2014-10-10 2014-11-26 Xeros Ltd Animal skin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GB201421293D0 (en) 2014-12-01 2015-01-14 Xeros Ltd New cleaning method, apparatus and use
AU2015357303B2 (en) * 2014-12-01 2019-04-18 Basf Se Thermoplastic polyamide particles
WO2017017176A1 (en) * 2015-07-29 2017-02-02 Basf Se Cleaning particles and their use
GB201513346D0 (en) * 2015-07-29 2015-09-09 Xeros Ltd Cleaning method, apparatus and use
DE102015225547A1 (de) 2015-12-17 2017-06-22 Henkel Ag & Co. Kgaa Verbessertes Waschverfahren I
DE102015225550A1 (de) 2015-12-17 2017-06-22 Henkel Ag & Co. Kgaa Verbessertes Waschverfahren III
DE102015225552A1 (de) 2015-12-17 2017-06-22 Henkel Ag & Co. Kgaa Verbessertes Waschverfahren IV
DE102015225548A1 (de) 2015-12-17 2017-06-22 Henkel Ag & Co. Kgaa Verbessertes Waschverfahren II
BR112018071066A2 (pt) 2016-04-13 2019-02-12 Xeros Ltd método de tratamento com o uso de um material particulado sólido e aparelho para o mesmo
AR108127A1 (es) 2016-04-13 2018-07-18 Xeros Ltd Método y aparato de tratamiento de pieles de animales
EP3448916B1 (en) 2016-04-26 2020-10-14 Basf Se Thermoplastic polyamide particles
GB201701401D0 (en) * 2017-01-27 2017-03-15 Xeros Ltd Formulation, method, use and apparatus
GB201704736D0 (en) 2017-03-24 2017-05-10 Xeros Lt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200316501A1 (en) 2017-12-19 2020-10-08 Xeros Limited Filter for a treatment apparatus
GB201809610D0 (en) * 2018-06-12 2018-07-25 Xeros Ltd Method and conditioned textiles
DE102018210497A1 (de) * 2018-06-27 2020-01-02 Henkel Ag & Co. Kgaa Überwachung einer Be- und/oder Entladung von Geschirrspülmaschinen
GB201811568D0 (en) 2018-07-13 2018-08-29 Xero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with solid particles
GB201811557D0 (en) 2018-07-13 2018-08-29 Xero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with solid particles
GB201811569D0 (en) 2018-07-13 2018-08-29 Xero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rtate with solid particles
GB201815678D0 (en) 2018-09-26 2018-11-07 Xero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with solid particles
EP3736370B1 (en) * 2019-05-07 2024-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fabrics with selective dosing of agitation-sensitive ingredients
WO2021026416A1 (en) * 2019-08-08 2021-02-1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recovering sulfopolyester
GB2586592A (en) 2019-08-21 2021-03-03 Xeros Ltd New filter, filter unit, treatment apparatus, method and use
CN112706314B (zh) * 2019-10-25 2022-09-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聚丙烯发泡珠粒的自动化收集洗涤装置及方法
CN112155489B (zh) * 2020-08-25 2022-04-05 陈瑜 一种粒子清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9233A1 (de) 1978-05-02 1979-11-15 Henkel Kga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waschen und reinigen
US4575887A (en) * 1984-08-29 1986-03-18 Viramontes Julio C Method for abrading fabric garments
US4750227A (en) 1986-10-28 1988-06-14 Dexter Chemical Corporation Abrasive structures and methods for abrading fabrics
JPH03146094A (ja) 1989-11-02 1991-06-21 Masayoshi Kodesen 洗濯方法、ストーンウォッシュ方法及びオゾン水製造装置
FR2666101B1 (fr) 1990-08-23 1994-10-14 Sylvie Dameron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lavage d'objets a l'aide d'une machine a laver a tambour rotatif.
US5367734A (en) 1991-11-04 1994-11-29 Terry; Raymond Pliable abrasive pellet for abrading fabrics
DE4310006A1 (de) * 1992-03-30 1993-10-28 Inst Angewandte Forschung Gmbh Waschmaschine mit einer unperforierten Waschtrommel
DE4324624B4 (de) 1993-07-22 2004-06-17 Hamann, Hans-Jörg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Textilien
DE19505921A1 (de) 1995-02-21 1996-08-22 Andreas Kiehne Waschmittel für eine Waschmaschin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978994A (en) 1997-03-12 1999-11-09 Vision International Production, Inc.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cleaning laundry
US6691536B2 (en) * 2000-06-05 2004-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shing apparatus
GB2364716A (en) * 2000-07-12 2002-02-06 Notetry Ltd Washing machine with water retentive drum
DE10060373A1 (de) 2000-12-05 2002-06-06 Basf Ag Reaktiv modifizierte, teilchenförmige Polymerisate zur Behandlung der Oberflächen textiler und nicht-textiler Materialien
CN1497097A (zh) * 2002-09-30 2004-05-19 罗姆和哈斯公司 聚合物纳米颗粒制剂及其作为织物护理添加剂的用途
CA2514557C (en) 2003-01-27 2012-05-22 Brian David Hofrichter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irregularly shaped particles and spherical particles
JP2004238602A (ja) 2003-02-07 2004-08-26 Iwata Kokogyo Kk 洗濯石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濯小袋、および洗濯機の付着黴の除去方法
GB0607047D0 (en) * 2006-04-07 2006-05-17 Univ Leeds Novel cleaning method
JP4301268B2 (ja) * 2006-08-31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2008079686A (ja) * 2006-09-26 2008-04-10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DE102007029485B4 (de) * 2007-06-26 2010-06-17 D'heureuse, Hans-Joachim Verfahren zur Reinigung insbesondere empfindlichen Reinigungsgutes
CN101498086B (zh) * 2008-02-01 2011-12-21 叶小舟 竖滚洗洗衣机及其方法
EP2103677A1 (en) * 2008-03-14 2009-09-23 Unilever PLC Laundry treatment compositions
CN101970631B (zh) 2008-03-14 2012-10-10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洗衣处理组合物
GB0902619D0 (en) 2009-02-17 2009-04-01 Xeros Ltd Cleaning apparatus
GB0907943D0 (en) 2009-05-08 2009-06-24 Xeros Ltd Novel cleaning method
US20100281928A1 (en) 2009-05-08 2010-11-11 Actervis Gmbh Washer friendly laundry ball
CN101886321A (zh) 2009-05-11 2010-11-17 海尔集团公司 洗涤方法
GB0920565D0 (en) 2009-11-24 2010-01-06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GB201002245D0 (en) 2010-02-10 2010-03-31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1885605B (zh) 2010-06-28 2013-09-04 深圳市成为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吸附性、离子交换和产生负离子功能的陶瓷颗粒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0455B2 (en) 2017-12-26
JP2014501550A (ja) 2014-01-23
CA2815194A1 (en) 2012-05-03
TW201233868A (en) 2012-08-16
EP2633114A2 (en) 2013-09-04
WO2012056252A2 (en) 2012-05-03
WO2012056252A3 (en) 2012-08-09
GB201018318D0 (en) 2010-12-15
US20130276242A1 (en) 2013-10-24
BR112013010562A2 (pt) 2016-08-02
CN103261504A (zh) 2013-08-21
AU2011322256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4265A (ko) 개선된 세정 방법
KR101826943B1 (ko) 개선된 세정 방법
KR101669071B1 (ko) 개량된 세척 장치 및 방법
KR102288247B1 (ko) 개량된 세정 장치 및 방법
TWI640670B (zh) 改良式清洗設備及方法
EP2504478B1 (en)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U2012206446A1 (en) Improved cleaning method
WO2014080192A1 (en)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TWI521115B (zh) 改良之洗淨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