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394A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394A
KR20140113394A KR1020140028197A KR20140028197A KR20140113394A KR 20140113394 A KR20140113394 A KR 20140113394A KR 1020140028197 A KR1020140028197 A KR 1020140028197A KR 20140028197 A KR20140028197 A KR 20140028197A KR 20140113394 A KR20140113394 A KR 2014011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헤이 야마모토
노보루 요시다
다카히사 미즈토리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원하는 색으로 발색할 수 있고, 점착 시트 배면에서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렵게 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30)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주표면에 적층된 착색층(2)과, 착색층(2) 상에 적층된 내지문처리층(1)과, 기재층(10)의 착색층(2)과는 반대측 주표면에 적층된 점착제층(5)을 구비하고, 기재층(10)은 플라스틱층(3)과 금속층(4)을 포함하고, 착색층(2)과는 반대측의, 내지문처리층(1)의 표면의 Wa가 150Å 이상이며, 또한 Ra가 2000Å 이상이다.

Description

점착 시트{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점착 시트로서,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한 형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착 시트는 가전 제품, 자동차, 건축재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서의 접합 재료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점착 시트의 사용 범위는 넓어지고 있으며, 시인되는 장소에 점착 시트가 사용되는 형태도 많아지고 있다.
한편, 강판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소광 분체 도료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분체 도료는 지문 자국이 나기 어려워 의장성도 우수하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306237호 공보
상기 시인되는 장소에 사용되는 점착 시트에는 지문 자국이 나기 어렵게 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일반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착색제를 함유시킨 소광 도료를 표면에 도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료에서는 착색제가 소광 도료에 의해 희석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소광 도료를 표면에 도장한 점착 시트에서는 원하는 발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원하는 색으로 발색할 수 있고, 점착 시트 배면에서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렵게 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착색층과 내지문처리층을 별개로 설치하고, 또한 내지문처리층 표면을 소정 형상으로 함으로써, 원하는 색으로 발색할 수 있는 것 외에, 점착 테이프 배면에서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렵게 한 점착 테이프를 실현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한쪽 주표면에 적층된 착색층과, 상기 착색층 상에 적층된 내지문처리층과, 상기 기재층의, 착색층과는 반대측 주표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층과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지문처리층의, 상기 착색층과는 반대측 표면의 Wa가 150Å 이상이며 또한 Ra가 2000Å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는 상기 플라스틱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는 상기 금속층이 알루미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원하는 색으로 발색할 수 있고, 점착 시트 배면에서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30)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시트(30)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주표면에 적층된 착색층(2)과, 착색층(2) 상에 적층된 내지문처리층(1)과, 기재층(10)의 착색층(1)과는 반대측 주표면에 적층된 점착제층(5)을 구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시트」에는 「필름」이나 「테이프」의 의미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주표면」이란, 기재층 등의 층의 표면 또는 이면을 가리킨다. 즉, 단부면과 구별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상기 층의 「표면」을 말한다. 이하,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I. 기재층
기재층(10)은 플라스틱층(3)과 금속층(4)을 포함한다.
플라스틱층(3)은 예를 들어 각종 플라스틱 재료를 필름 형상이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층(3)은 투명하여도 좋고,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등의 안료가 첨가됨으로써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플라스틱층(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를 초과하고 3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며, 5㎛ 내지 25㎛가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층(4)은 각종 금속 재료를 필름 형상이나 시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또는 플라스틱층(3) 상에 증착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루미늄, 철, 니켈, 금, 은, 구리, 백금, 스테인리스, 티타늄 및 주석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층(4)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를 초과하고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며, 5㎛ 내지 15㎛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10)은 플라스틱층(3)과 금속층(4)을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층(10)의 층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층/ 금속층의 층 구성, 금속층/ 플라스틱층/ 금속층의 층 구성, 플라스틱층/ 금속층/ 플라스틱층의 층 구성, 금속층/ 플라스틱층/ 금속층/ 플라스틱층의 층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10)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인접하는 재료(예를 들어 점착제층)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처리일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의 예로서는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자외선 조사 처리, 플라즈마 처리, 하도제(프라이머)의 도포 부착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를 초과하고 4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50㎛가 보다 바람직하고, 6㎛ 내지 70㎛가 더욱 바람직하며, 10㎛ 내지 40㎛가 특히 바람직하다.
II. 착색층
착색층(2)은 기재층(10)의 한쪽 주표면에 적층되어 있다. 착색층(2)은 예를 들어 흑색 잉크 등의 각종 잉크를 기재층(10)에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착색 인쇄층이다. 착색층(2)은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착색층(2)의 색은 흑색 이외에 백색, 황색, 청색, 적색, 녹색 등,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착색층(2)의 두께는, 예를 들어 0㎛를 초과하고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5㎛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3㎛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이다.
III. 점착제층
점착제층(5)은 기재층(10) 상(기재층(10)에서의 착색층(2)과 접하고 있는 면과는 반대측 주표면 상)에 적층된다.
점착제층(5)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각종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예를 들어, 용액 중합, 에멀전 중합, UV 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란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의미하며, 「(메트)…」는 모두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0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중량%이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 99.9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93중량% 이하이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공중합성 단량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극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라우릴,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아미드계 단량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단량체;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단량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메트)아크릴로일-2-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비닐모르폴린 등의 질소 함유 복소환계 단량체; N-비닐카르복실산 아미드류;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락탐계 단량체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알킬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등의 복소환 등을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알킬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단량체; 티오글리콜산;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염화비닐;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규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성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가 상기 공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경우, 수산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공중합성 단량체를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를 0.1중량% 이상 함유함으로써, 점착 시트의 응집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높은 전단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의 함유량을 3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응집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온(25℃)에서의 태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형성하는 점착제층(5)의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함유해도 좋다.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부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는, 그 분자량이나 관능기 수 등에 의해 상이하지만,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0중량%로 되도록 첨가한다.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에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제는 통상 사용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를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아민글리시딜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및 1,3-비스(N,N'-디아민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에는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안료(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나 기재 등의 적당한 지지체 상에 점착제를 도포 부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서 건조나 경화(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광경화)를 행할 때에는, 광중합 반응은 공기 중의 산소에 저해되기 때문에, 점착제층 상에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나 기재 등의 적당한 지지체를 접합하거나, 또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광경화를 행하는 것 등에 의해, 산소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형성 시에 사용되는 적당한 지지체는 점착 시트를 제작할 때, 적당한 시기에 박리되어도 좋고, 제작 후의 점착 시트를 이용할 때에 박리되어도 좋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점착 시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어 0을 초과하고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정도이다.
IV. 내지문처리층
내지문처리층(1)은 착색층(2) 표면에 적층된다.
내지문처리층(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30623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도료를 도포 시공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료 중에서도, 아디프산 에틸 등의 아디프산 에스테르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질소 함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내지문처리층(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를 초과하고 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4㎛,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내지문처리층(1)에서의 착색층(2)과는 반대측의 외표면에는 내지문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그 Wa는 150Å 이상이며, 또한 Ra는 2000Å 이상이다. 여기서, Wa는 산술 평균 굴곡을 의미하며, 기준 길이(표면 조도나 굴곡 성분을 산출하기 위해서 발취하는 윤곽 곡선)에서의 윤곽 곡선의 절댓값의 평균을 나타낸다.
또한, 내지문처리층(1)의 외표면의 Wa, Ra는 각각 표면 형상 측정 장치(명칭; P-11(Tencor 제조))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상기 Wa는 200Å 이상이 바람직하고, 250Å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Å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350Å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0Å 이하로 할 수 있으며, 900Å 이하가 바람직하고, 800Å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a는 2100Å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0Å 이하로 할 수 있으며, 4000Å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0Å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지문처리층(1)의 표면의 Wa나 Ra는 내지문처리층의 도포 부착 속도, 도포 부착 횟수, 건조 조건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상기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점착 시트(30)에 의하면, 착색층(2)이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내지문처리층(1)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착색층(2)이 보호된다. 또한, 내지문성 점착 시트의 배면에 손가락이 닿은 경우에, 내지문처리층(1)에 의해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착색층(2)과 내지문처리층(1)을 별개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 시트(30)의 발색성과 내지문성을 양립할 수 있다.
특히, 착색층이 흑색인 경우에는, 착색층에 의한 차광 효과에 의해 피착체를 시인하기 어렵게 하면서, 내지문성 점착 시트의 배면에 손가락이 닿은 경우에, 내지문처리층에 의해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점착 시트가 접착된 피착체를 포함하는 제품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 내지문처리층(1)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투과율(전형적으로는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배면(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 표면)에 위치하는 내지문처리층 표면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이형 처리(예를 들어, 일반적인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등의 이형 처리제를, 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1.0㎛ 정도의 박막 형상으로 부여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이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롤 형상으로 감긴 점착 테이프의 되감기를 용이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그 중에서도, 박리 성능이 우수한 관점에서 실리콘계 이형 처리제에 의한 이형 처리가 바람직하다.
V. 점착 시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이다.
VI. 박리 라이너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 라이너가 배치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 불소계 중합체(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나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접착성 재료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상기 기재를 표면 처리해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종래 공지된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금속층을 구비하고, 전자 실드성이나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들 용도 중에서도, 각종 전자 기기용 점착 시트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실드용 시트, 정전기 방지용 시트(대전 방지 시트)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내지문처리층 및 착색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의장성이 높아, 특히 전자 기기 표면의 눈에 띄는 위치에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전술한 점착 시트와 전자 기기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부」를 의미하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고형분 기준이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아크릴산 부틸 70부와, 아크릴산 2에틸헥실 30부와, 아크릴산 3부와, 4-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05부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부를 중합 개시제로 하여, 톨루엔 및 아세트산 에틸의 혼합 용액[톨루엔/아세트산 에틸(중량비)=1/1] 중에서 6시간 용액 중합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인 아크릴계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부에, 중합 로진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수지(상품명 「펜셀D125」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연화점: 125℃) 30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품명 「코로네이트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3부를 가하고 균일해지도록 교반해서 혼합함으로써,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두께 12㎛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투명)의 한쪽 면 전체에 흑색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고(인쇄 횟수 1회), 두께 1㎛의 착색층을 형성하고, 또한 착색층측으로 그라비아 인쇄를 사용하여 내지문처리층을 적층하였다. 이 인쇄 PET 필름의 비인쇄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에 의해 알루미늄박(9㎛)을 적층하여 복합 기재를 제작하였다. 이 복합 기재의 알루미늄 면 전체에, 전술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층(두께 4㎛)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점착 시트(내지문성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 점착 시트는 내지문처리층/ 착색층/PET 필름/ 알루미늄박/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층 구성을 갖는다.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30㎛이었다.
(참고예 1)
두께 12㎛의 PET 필름(투명)의 한쪽 면 전체에 흑색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여(인쇄 횟수 1회), 두께 1㎛의 착색층을 형성하였다. 이 착색층에 전술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층(두께 23㎛)을 형성하였다. 또한, PET 필름의 다른 쪽 면 전체에 그라비아 인쇄를 사용하여 내지문처리층을 적층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참고예 1에 따른 점착 시트(내지문성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 점착 시트는 내지문처리층/PET 필름/ 착색층/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층 구성을 갖는다.
(참고예 2)
착색층측에 내지문처리층을 적층하고, PET 필름측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의 점착 시트와 마찬가지로 하여, 참고예 2에 따른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참고예 2의 점착 시트는 아크릴계 점착제층/PET 필름/ 착색층/내지문처리층을 포함하는 층 구성을 갖는다.
(참고예 3)
PET 필름으로서 두께 4㎛의 PET 필름(투명)을 사용한 것, 회색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인쇄 횟수 1회)를 행함으로써 착색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의 점착 시트와 마찬가지로 하여, 참고예 3에 따른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참고예 3의 점착 시트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로, 내지문처리층/PET 필름/ 착색층/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층 구성을 갖는다.
(비교예 1)
내지문처리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의 점착 시트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에 따른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즉, 비교예 1의 점착 시트의 배면은 PET 필름의 외표면이다.
(비교예 2)
내지문처리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2의 점착 시트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에 따른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즉, 비교예 2의 점착 시트의 배면은 착색층의 외표면이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점착 시트에 대해서 각각 표면 형상 측정 장치(제품명: P-11, Tencor사 제조)를 사용하여 Ra 및 Wa를 평가하였다. Ra 및 Wa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지문성)
각 참고예 및 각 비교예의 점착 시트의 배면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지문을 시인할 수 있는 경우를 불량(×), 지문을 시인할 수 없는 경우를 양호(○)로 하여 내지문성을 평가하였다. 내지문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지문처리층을 갖는 참고예 1 내지 3의 점착 시트에서는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내지문처리층을 갖지 않은 비교예 1, 2의 점착 시트에서는 지문이 눈에 띄기 쉬운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내지문처리층을 갖는 실시예 1의 점착 시트에 대해서도, 참고예 1 내지 3의 점착 시트와 마찬가지의 Ra, Wa 및 내지문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 실드 효과)
실시예 1 및 참고예 2에서 얻어진 각 점착 시트에 대해서, KEC법(측정 주파수: 1MHz 내지 1000MHz(RFID:13.56MHz))에 의해 전계 실드 효과(db) 및 자계 실드 효과(db)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개시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내지문처리층
2 착색층
3 플라스틱층
4 금속층
5 점착제층
10 기재층
30 점착 시트

Claims (10)

  1.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한쪽 주표면에 적층된 착색층과,
    상기 착색층 상에 적층된 내지문처리층과,
    상기 기재층의, 착색층과는 반대측 주표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을 구비하고,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층과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지문처리층의, 상기 착색층과는 반대측 표면의 Wa가 150Å 이상이며, 또한 Ra가 2000Å 이상인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인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알루미늄층인 점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 내지 150㎛인 점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인 점착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1 내지 50㎛인 점착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색은 흑색인 점착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두께는 0.3 내지 5㎛인 점착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기기용 점착 시트인 점착 시트.
KR1020140028197A 2013-03-14 2014-03-11 점착 시트 KR20140113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1585 2013-03-14
JPJP-P-2013-051585 2013-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394A true KR20140113394A (ko) 2014-09-24

Family

ID=5149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197A KR20140113394A (ko) 2013-03-14 2014-03-11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198825A (ko)
KR (1) KR20140113394A (ko)
CN (1) CN104046288A (ko)
TW (1) TW2014469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6431A (zh) * 2015-09-08 2015-12-23 苏州瑞美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粘附材料
WO2017098649A1 (ja) * 2015-12-10 2017-06-15 株式会社寺岡製作所 保持用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6071B2 (ja) * 2006-09-11 2014-03-19 Dic株式会社 保護粘着フィルム、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携帯電子端末
KR101447311B1 (ko) * 2007-09-20 2014-10-0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터치패널용 상부전극 및 화상표시장치
TWI381303B (zh) * 2010-02-09 2013-01-01 Oji Paper Co 導電性積層體及使用其之觸控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46924A (zh) 2014-12-16
CN104046288A (zh) 2014-09-17
JP2014198825A (ja)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41269B (zh) 粘合片
CN110172309B (zh) 粘合片
JP6945025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5518436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2404380B1 (ko) 편면 접착성 점착 시트
US10815396B2 (en) Thermally 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825337B1 (ko) 흑연 시트용 점착 시트
KR102404382B1 (ko) 그래파이트 시트용 점착 시트
KR20110132531A (ko) 양면 점착 테이프
EP3521395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having different elastic muduli
KR101623234B1 (ko) 내지문성 점착 테이프
KR20130043589A (ko) 양면 접착 테이프
JP2017190406A (ja) 粘着シート
US2013010184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7050498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ロール体
JP6945091B1 (ja) 粘着シート、表示装置、構造体および光透過性部材付き粘着シート
JP2014101457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TW202144174A (zh) 積層體
KR102068020B1 (ko)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40113394A (ko) 점착 시트
CN115380092A (zh) 粘合片
JP6830342B2 (ja) 粘着シート
JP6884258B1 (ja) 粘着シート
KR20240044358A (ko) 점착 시트
CN115298277A (zh) 粘合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