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556A -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 - Google Patents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556A
KR20140112556A KR1020147022624A KR20147022624A KR20140112556A KR 20140112556 A KR20140112556 A KR 20140112556A KR 1020147022624 A KR1020147022624 A KR 1020147022624A KR 20147022624 A KR20147022624 A KR 20147022624A KR 20140112556 A KR20140112556 A KR 20140112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
terephthalic acid
layer structure
co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츠 푸트라이너
클라우스 메이어
게오르기오스 치오바라스
메흐멧-센기즈 예실다크
충 량 웡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1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5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ransferable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27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organic non-macromolecular additives, e.g. UV-absorbers, plasticisers, surf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93Shee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3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4Pas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5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9Est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not representing cyclic 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 B42D2033/30
    • B42D2035/0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에 적합한 특수 층 구조 및 이러한 층 구조의 제조를 위한 특수 플라스틱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층 구조를 포함하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 for printing by 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본 발명은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에 적합한 특수 층 구조 및 이러한 층 구조의 제조를 위한 특수 플라스틱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층 구조를 포함하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에 관한 것이다.
카드 (ID 카드) 형태의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 특히 신분증명서의 제조시에, 문서를 그의 위조 보안 능력을 떨러뜨리지 않으면서 착색 개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ID 카드 내에서 그를 둘러싼 플라스틱 층과의 양립성이 결여되어 차후 파괴되 개방됨에 따라 정보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는 착색 층의 적용이 방지된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없애 고도의 위조 보안과 함께 착색 개별화를 가능케 하기 위한 많은 상이한 방식이 있어 왔다.
이중 하나는 다른 인쇄 공정에 대한 대안으로서 플라스틱의 기재 상에 착색된 정보를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왜냐하면, 이는 칼라 인쇄시 고도의 이미지 정확도라는 이점을 제공하고, 점상에 개별화된 이미지 및 정보가 또한 이러한 수단에 의해 양질로 인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인쇄 방식에서는, 인쇄 잉크가 인쇄될 플라스틱 물질내로 흡수되어 문서내 별도의 칼라층에 의해 차후 분리될 의도적인 파괴 영역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기재가 이러한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이 이미지 선명도 없이 인쇄 잉크에 충분한 흡수성을 제공하여 색도(colour intensity)를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많은 경우, 인쇄된 이미지의 색도 개선이 특히 요망된다.
다양한 플라스틱 물질이 이미 문헌에서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에 의한 인쇄성에 대해 검토되었다. 요컨대, 문헌[Slark et al., Polymer 40 (1999) 4001-4011]에 따르면, 다양한 플라스틱이 염료 수용체 코팅용 물질로서 적합하다고 하였으나, 구체적인 바람직한 예는 언급되지 않았다. WO 98/07573 A1호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코폴리머의 염료 수용체 코팅을 개시하였다. 문헌[Shearmur et al., Polymer 37, vol. 13 (1996) 2695-2700]에서는 다양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부티랄이 염료 수용체 층에 대한 가능한 물질로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들 문서의 어느 것도 인쇄된 이미지의 색도나 이미지 선명도를 달성하지는 못했다.
US 5,334,573호는 염료 수용체 시트가 염료 공여체 시트에 달라붙지 못하게 할 목적에 적합한 물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EP 673 778 B1호는 리시버(receiver) 필름으로서 코팅된 금속화 폴리머 표면을 가지는 열전사 리시버 필름을 개시하였다. 여기에는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플라스틱, 예컨대 PVC,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폴리비닐리덴 아세탈, PMMA 및 실리콘 표면이 특히 리시버 층용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단순히 금속화 표면에 기초한 이러한 필름은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에서 의도적인 파괴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제된다.
따라서,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해 인쇄될 때 인쇄된 이미지의 색도가 개선되는 염료 리시버 필름 또는 층을 제공하는 것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동시에 인쇄된 이미지의 이미지 선명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된 이미지의 색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필름 또는 층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른 목적은 이들 필름 또는 층이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사용되는 경우, 육안적으로 이미지 선명도가 실질적으로 떨어지거나 검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목적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며, 제조 동안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가 첨가되는 층 또는 필름이 염료 수용체 층 또는 염료 수용체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루어졌다. 놀랍게도,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사용하고 이들 층 또는 필름의 제조 동안 포스파이트를 첨가하게 되면 인쇄된 이미지의 색도가 상당히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및
-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B)를 포함하고,
층 (B)는 층 (B)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포스파이트는 일반 구조 P(OR)3 (여기서 R은 지방족, 방향족 및/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래디칼,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및/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래디칼을 나타내고, 탄화수소 래디칼 R은 임의로 또한 헤테로 원자, 예컨대, 이를테면, 산소 또는 질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향족 탄화수소 래디칼은 추가의 치환체, 예컨대, 이를테면, 알킬 그룹을 가질 수 있다)을 가지는 포스폰산의 에스테르 (종종 아인산 에스테르로도 불림)의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포스파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옥세탄 그룹 함유 포스파이트는 1, 2 또는 3개의 옥세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옥세탄 그룹 함유 포스파이트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옥세탄 그룹 함유 포스파이트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트리알킬 또는 트리아릴 포스파이트에 의한 옥세탄 그룹 함유 알콜 또는 페놀(임의로 옥세탄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알콜 또는 페놀과의 혼합물로서)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또는 삼염화인과 옥세탄 그룹을 함유하는 상응하는 알콜 또는 페놀(임의로 옥세탄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알콜 또는 페놀과의 혼합물로서)의 산-결합제의 존재하에서의 반응(예를 들면, US 3 209 013호 참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옥세탄 그룹 함유 알콜 또는 페놀의 예로서는 3-에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펜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헥사데실-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페닐-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p-톨릴-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벤질-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클로로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브로모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플루오로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시아노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메톡시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에톡시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부톡시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옥타데실옥시메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페닐옥시-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p-톨릴옥시-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벤질옥시-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아세틸옥시-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올레일옥시-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스테아릴옥시-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에틸-3-하이드록시옥세탄, 3-메틸-3-하이드록시옥세탄, 3,3-비스-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및 p-(3-에틸옥세타닐-3-옥시메틸)페놀을 들 수 있다.
옥세탄 그룹 함유 알콜 또는 페놀의 특히 바람직한 예는 3-에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펜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3-비스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및 p-(3-에틸옥세타닐-3-옥시메틸)페놀이다.
옥세탄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알콜 또는 페놀의 예로서는 데실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벤질 알콜,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틸올사이클로헥산, 디에틸렌 글리콜, 티오디글리콜, 페놀, p-클로로페놀, p-노닐페놀, 피로카테콜, 디-t-부틸피로카테콜 및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을 들 수 있다.
옥세탄 그룹 함유 포스파이트의 예로서는 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모노-[(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트리스-[(3-펜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펜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트리스-[(3-헥사데실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헥사데실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트리스-[(3-페닐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페닐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트리스-[(3-p-톨릴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p-톨릴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트리스-[(3-벤질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벤질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페닐 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2-페녹시-스피로(1,3,2-디옥사포스포리난-5,3'-옥세탄), 3,3-비스-[스피로(옥세탄-3',5"-(1",3",2"-디옥사-2"-포스포리난))옥시메틸]옥세탄 및 P,P'-[(1-메틸에틸리덴)디-4,1-페닐렌]-P,P,P',P'-테트라키스[(3-에틸-3-옥세타닐)메틸] 포스파이트를 들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예가 US 3,209,013호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옥세탄 그룹 함유 포스파이트는 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모노-[(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트리스-[(3-펜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펜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페닐 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2-페녹시-스피로(1,3,2-디옥사포스포리난-5,3'-옥세탄), 3,3-비스-[스피로(옥세탄-3',5"-(1",3",2"-디옥사-2"-포스포리난))-옥시-메틸]-옥세탄 및 P,P'-[(1-메틸에틸리덴)디-4,1-페닐렌]-P,P,P',P'-테트라키스[(3-에틸-3-옥세타닐)메틸] 포스파이트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옥세탄 그룹 함유 포스파이트는 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또는 모노-[(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및 이들을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B)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포스파이트로서 적어도 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옥세탄 그룹 함유 포스파이트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으며, 문헌에 할로겐화 폴리머(참조: US 3,209,013)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참조: DE-A 2 140 207)를 위한 안정제로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특수 폴리에스테르 층 상에서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이미지의 색도에 대한 그의 놀라운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문헌에 기술된 바가 없다.
층 (B)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포스파이트를 층 (B)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2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wt.%,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플라스틱 조성물에 첨가되는 포스파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 또는 산화될 수 있으며, 즉 산화의 경우, 층 (B)를 제공하기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의 처리 도중 또는 또한 후에 최종 층 (B)에서 인의 산화 단계 +III으로부터 산화 단계 +V로의 전이가 일어난다.
적합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CoPET), 글리콜-개질된 PET (PETG) 또는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또는 CoPBT),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또는 CoPEN) 또는 상기 언급된 것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합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이다. 적합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방향족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면,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및 지방족, 지환식 또는 아르알리파틱 디올의 반응 생성물 및 이들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다.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바람직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및 2 내지 10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또는 지환식 디올로부터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Kunststoff-Handbuch, vol. VIII, p. 695 et seq., Karl-Hanser-Verlag, Munich 1973).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바람직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디카복실산 성분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에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을 사용하여 생성된 래디칼을 적어도 80 몰%, 바람직하게는 90 몰%, 및 디올 성분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에서 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 및/또는 부탄-1,4-디올을 사용하여 생성된 래디칼을 적어도 80 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몰% 포함한다.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바람직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테레프탈산 래디칼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 래디칼 외에, 8 내지 14개의 C 원자를 가지는 다른 방향족 디카복실산 또는 4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디카복실산의 래디칼, 예컨대, 이를테면,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테레프탈산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의 경우), 4,4'-디페닐디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인산 및/또는 사이클로헥산디아세트산의 래디칼을 20 몰%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바람직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에틸렌 글리콜, 부탄-1,4-디올 및/또는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 외에, 3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가지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6 내지 21개의 C 원자를 가지는 지환식 디올, 예를 들면, 프로판-1,3-디올, 2-에틸프로판-1,3-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펜탄-1,5-디올, 헥산-1,6-디올, 3-메틸펜탄-2,4-디올, 2-메틸펜탄-2,4-디올, 2,2,4-트리메틸펜탄-1,3-디올 및 2-에틸헥산-1,6-디올, 2,2-디에틸프로판-1,3-디올, 헥산-2,5-디올, 1,4-디-([베타]-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프로판, 2,4-디하이드록시-1,1,3,3-테트라메틸사이클로부탄, 2,2-비스-(3-[베타]-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래디칼을 20 몰%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참조: DE-A 24 07 674, 24 07 776, 27 15 932).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특히 바람직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하나 이상의 디올 성분의 래디칼로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의 것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의 래디칼을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몰%의 함량 정도까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는 이러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의 래디칼을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최대 9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90 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80 몰%의 함량 정도까지 포함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는 이러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의 래디칼을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15 내지 9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몰%의 함량 정도까지 포함한다.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비교적 소량의 3- 또는 4-작용성 알콜 또는 3- 또는 4-염기성 카복실산, 예컨대 이를 테면, DE-A 19 00 270호 및 US 3,692,744호에 기술된 것의 도입으로 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의 예로서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및 -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 성분을 기준으로 1 몰% 이하의 분지화제가 사용된다.
테레프탈산 및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면, 그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 및/또는 부탄-1,4-디올로부터만 제조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프탈렌디카복실산 및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면, 그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 및/또는 부탄-1,4-디올로부터만 제조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중에서, 테레프탈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또한 적어도 2종의 상기 언급된 산 성분 및/또는 적어도 2종의 상기 언급된 알콜 성분으로부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이고,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 테레프탈레이트이다.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유 점도가 약 0.4 내지 1.5 dl/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 dl/g이며, 각 경우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1:1 중량부)에서 25 ℃에서 측정된다.
층 (B) 및 따라서 또한 그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층 (B) 및 따라서 또한 그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추가의 열가소성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층 (B) 및 따라서 또한 그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이 폴리에스테르 성분 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의 열가소성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가능한 이러한 열가소성 물질로는 이후 층 (A)에 대해서 언급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층 (B)의 플라스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들)을 적어도 5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wt.%,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의 정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B) 및 따라서 또한 그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디페놀을 기반으로 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추가의 열가소성 물질로서 포함할 수 있다. 디페놀을 기반으로 한 가능한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예로서 및 바람직하게는, 이후 층 (A)에 대해서 언급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층 (B)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30 wt.% 또는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wt.%,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wt.%의 디페놀을 기반으로 한 폴리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들)을 포함한다.
층 (B)의 연화 온도는 디페놀을 기반으로 한 폴리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들)을 첨가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디페놀을 기반으로 한 폴리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들)의 첨가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에서 디페놀을 기반으로 한 폴리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들)을 포함하는 인접 층에 대한 층 (B)의 접착성을 개선하고, 추가로 문서의 분리를 어렵게 하여 그의 위조 보안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층 (B) 및 따라서 또한 그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laser-sensitive)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는, 예를 들어, 소위 레이저 마킹 첨가제, 즉 사용되는 레이저의 파장 범위, 바람직하게는 ND:YAG 레이저 (네오디뮴-도핑 이트륨-알루미늄-가넷 레이저)의 파장 범위내 흡수체의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마킹 첨가제 및 성형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가 예를 들어, WO-A 2004/50766호 및 WO-A 2004/50767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DSM 제품으로서 Micabs®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밖에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로서 적합한 흡수체는 카본 블랙, 예를 들면, DE-A-195 22 397호에 기술된 것으로서 Lazerflair®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코팅된 층상 실리케이트(laminar silicate), 예를 들면, US 6,693,657호에 기술된 것으로서 Mark-itTM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안티몬-도핑 산화주석, 및 예를 들면, WO-A 2006/042714호에 기술된 것인-함유 주석/구리 혼합 산화물이다.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의 입자 크기기 100 nm 내지 1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nm 내지 2 ㎛의 범위인 것이 특히 유리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는 카본 블랙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B) 및 따라서 또한 그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블루 또는 바이올렛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 염료는 층 (B)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pp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ppm의 양으로 포함된다.
가능한 적합한 블루 또는 바이올렛 염료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도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압출중에 처리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블루 또는 바이올렛 염료이다. 블루 또는 바이올렛 안트라퀴논 염료, 예를 들어 Makrolex® 시리즈의 것이 바람직하게는 가능하다. Makrolex®의 가능한 예로서 바이올렛 3R(솔벤트 바이올렛 36) 또는 1,4-비스-[(2,6-디에틸-4-메틸페닐)아미노]-9,10-안트라센디온 (Macrolex® 블루 RR)이 언급될 수 있다.
층 (A)에 가능한 열가소성 물질은 서로 독립적으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폴리머 및/또는 이작용성 반응성 화합물의 폴리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물질이다. 특정의 용도를 위해, 투명한 열가소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언급된 플라스틱의 층들은 모두 다 상기 언급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열가소성 물질은 디페놀 기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폴리-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예로서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을 가지는 폴리- 또는 코폴리머, 예컨대, 예로서 및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SAN), 투명한 열가소성 물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 예컨대, 예로서 및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타입 또는 사이클릭 올레핀 기반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TOPAS®, Hoechst) 또는 폴리올레핀-기반 물질, 예컨대, 이를테면, Teslin®,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예컨대, 예로서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CoPET), 글리콜-개질된 PET (PETG) 또는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또는 CoPBT),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또는 CoPEN) 또는 언급된 것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평균 분자량 Mw가 5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8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40,000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특히 평균 분자량 Mw가 10,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26,000 내지 120,000인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의 블렌드가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블렌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이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99 내지 10 wt.%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99 내지 10 wt.%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함량은 합해서 최대 100 wt.%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 wt.%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80 내지 15 wt.%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 wt.%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80 내지 15 wt.%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함량은 합해서 최대 100 wt.%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65 내지 20 wt.%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65 내지 20 wt.%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함량은 합해서 최대 100 wt.%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특히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선형 또는 분지화될 수 있다.
이들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는 용액 또는 계면 축합 또는 용융 축합의 수단에 의해 디페놀, 카본산 유도체, 임의로 연쇄종결제 및 임의로 분지화제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약 40 년에 걸쳐 많은 특허 명세서에서 다루어졌다. 참조로서는 단지 예시만을 목적으로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ume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to D. Freitag, U. Grigo, P. R. Mueller, H.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ume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and finally to Dres. U. Grigo, K. Kirchner and P. R. Mueller "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이 언급될 수 있다.
적합한 디페놀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디하이드록시아릴 화합물이다:
HO-Z-OH (I)
상기 식에서, Z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핵 및 지방족 또는 지환식 래디칼 또는 알킬아릴 또는 헤테로 원자를 브리지 구성원으로서 포함할 수 있는 C 원자 6 내지 34의 방향족 래디칼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하이드록시아릴 화합물은 레소시놀,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나프틸)에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1-(2-나프틸)에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디이소프로필벤젠 및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디이소프로필벤젠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디하이드록시아릴 화합물은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및 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카보네이트는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카본산 유도체는, 예를 들어, 용액 축합, 특히 계면 축합의 수단에 의한 제조의 경우 포스겐, 또는 용융 축합의 수단에 의한 제조의 경우 하기 화학식 (II)의 디아릴 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내고, R은 또한 -COO-R'"를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R'"는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디아릴 화합물은 디페닐 카보네이트, 4-tert-부틸페닐 페닐 카보네이트, 디-(4-tert-부틸페닐) 카보네이트, 바이페닐-4-일 페닐 카보네이트, 디-(바이페닐-4-일) 카보네이트, 4-(1-메틸-1-페닐에틸)페닐 페닐 카보네이트, 디-[4-(1-메틸-1-페닐에틸)페닐]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살리실레이트) 카보네이트이다.
디페닐 카보네이트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어느 한 디아릴 카보네이트 또는 상이한 디아릴 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된 디아릴 카보네이트(들)의 제조에 사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모노하이드록시아릴 화합물(들)이 추가로 예를 들어, 말단 그룹을 제어 또는 변경하기 위한 연쇄종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화학식 (III)의 것일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A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C6-C34-아릴 또는 -COO-RD을 나타내고, 여기서 RD는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내며,
RB, RC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낸다.
4-tert-부틸페놀, 4-이소옥틸페놀 및 3-펜타데실페놀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분지화제는 3개 이상의 작용성 그룹,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3,3-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2-옥소-2,3-디하이드로인돌 및 1,1,1-트리-(4-하이드록시페닐)에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합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층 (B)에 대해서 이미 언급된 것들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반투명 층은 380 nm 내지 780 nm의 가시 파장 범위 투과율이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15% 미만인 층의 의미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백색 또는 반투명 층 (A)는 바람직하게는 안료로 백색 착색되거나, 충전제들의 충전제 내용물을 가지는 층이다. 백색 착색되거나, 충전제들의 충전제 내용물을 가지는 이러한 층,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층은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이산화지르콘, 황산바륨 또는 유리섬유를 안료 및/또는 충전제로서 포함한다. 언급된 안료 또는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성형으로 층 (A)를 제공하기 전에 예를 들어, 안료 또는 충전제 및 플라스틱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6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wt.%의 양으로 플라스틱에 첨가된다. 백색 또는 반투명 층 (A)는 또한 Teslin®의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는 적어도 두개의 층 (B)를 포함하며, 층 (A)가 두 층 (B) 사이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는 층 (A)와 층(들) (B)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반투명 또는 백색 층, 투명한 층 또는 착색 층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반투명 층은 380 nm 내지 780 nm의 가시 파장 범위 투과율이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15% 미만인 층의 의미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투명한 층은 380 nm 내지 780 nm의 가시 파장 범위 투과율이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초과, 매우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85% 초과인 층의 의미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 (A) 및/또는 추가의 층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는, 예를 들어, 층 (B)에 대해서 이미 언급된 것들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A)는 열가소성 물질로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층(들) (B)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PETG)의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B)는 층 (B)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층 (B)에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A) 및 층(들) (B)는 투명한 층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A)는 열가소성 물질로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층 (A)는 안료로 백색 착색되거나 충전제들의 충전제 내용물을 가지며, 즉 백색 또는 반투명성이고, 층(들) (B)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PETG)의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B)는 그안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층 (B) 중에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들) (B)는 투명한 층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A)는 열가소성 물질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PETG)의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며, 층(들) (B)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PETG)의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B)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층 (A) 및 층(들) (B)는 투명한 층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A)는 열가소성 물질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PETG)의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층 (A)는 안료로 백색 착색되거나 충전제들의 충전제 내용물을 가지며, 즉 백색 또는 반투명성이고, 층(들) (B)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PETG)의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 (B)는 적어도 하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층(들) (B)는 투명한 층이다.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들) (A)는 또한 열가소성 물질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이다.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층(들) (B)는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존재하는 층들인 층 (A), 층 (B) 및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의 층은,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20 ㎛ 내지 8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25 ㎛ 내지 70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30 ㎛ 내지 500 ㎛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수의 층은 동일한 층 두께를 가질 수 있거나, 모든 층은 상이한 층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층(들) (B)는 층 두께가 10 ㎛ 내지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12.5 ㎛ 내지 20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150 ㎛이다. 바람직하게는, 층 (A)는 층 두께가 20 ㎛ 내지 7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50 ㎛ 내지 70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 내지 65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는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션 수단으로 서로 접착시키는 절차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층 구조는 공압출 수단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 - 바람직하게는 공압출로 형성되는 경우 -는 또한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션 수단으로 서로 접착시키거나, 공압출 수단으로 층 구조를 생성하는, 층 구조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라미네이션의 경우, 개별 필름, 예를 들면, 층 (B)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 및 층 (A)를 위한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 및 임의로 추가의 층을 위한 추가의 플라스틱 필름을 목적하는 순서로 서로의 위에 놓고, 라미네이션 수단으로 서로 접착시킨다. 라미네이션을 위한 개별 필름이 이미 공압출로 생성된 다수의 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라미네이션 및 공압출의 공정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조합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층 (B)의 생성을 위한 플라스틱 필름은 문헌에 아직 기술되지 않은 것이다.
층 (B)를 위한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들)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층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 이들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하나는 층 (A)를 위한 플라스틱 필름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추가의 플라스틱 필름과 함께 목적 순서로 놓여져 필름 적층물(stack)을 제공하고,
· 이들 필름은 라미네이션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층 구조를 제공한다.
플라스틱 필름이 서로 위에 적층되는 순서에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플라스틱 필름층은 두 외층중의 하나이다. 이들 플라스틱 필름이 복수개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양 외층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이들 플라스틱 필름중 하나 또는 플라스틱 필름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층 (B) 및 적어도 하나의 층 (A)가 공압출 수단으로 제조되고,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이 층 (B)의 공압출을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의 제조방법이 또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고, 여기서 층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의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층으로 구성된 단층 필름 (또한 모노필름으로도 칭해짐)이다.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포스파이트(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에 대해 상기 언급된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노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20 내지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노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에 대해 상기 언급된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가 이로 가능하다.
이러한 모노필름은,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을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 (B) 외에,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A)를 가지는 적어도 2-층 필름이다. 이와 관련하여, 열가소성 물질은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에 대해 상기 언급된 것일 수 있다. 적어도 두개의 층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및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적어도 두 층 (B)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층 (A)가 두 층 (B) 사이에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층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총 두께가 20 ㎛ 내지 8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25 ㎛ 내지 70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30 ㎛ 내지 500 ㎛이다.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 (B)는 층 두께가 10 ㎛ 내지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12.5 ㎛ 내지 20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150 ㎛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 (A)는 층 두께가 20 ㎛ 내지 7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두께가 50 ㎛ 내지 70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 내지 650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층의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층중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는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에 대해 상기 언급된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층의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중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층의 필름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 (B)에 또는 층 (B)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층의 필름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및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 (B) 내 또는 층들 (B)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층의 필름은 열가소성 물질로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의 층(들) (A) 내 또는 그의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의 층(들) (A) 또는 그의 적어도 하나는 안료로 백색 착색될 수 있거나, 충전제들의 충전제 내용물을 가질 수 있으며, 즉 백색 또는 반투명성일 수 있다.
적어도 두 층 플라스틱 필름은, 예를 들어, 공압출 또는 라미네이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의 매우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 (모노필름 및 적어도 두 층 필름 모두)에서, 포스파이트 함유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층(들)을 위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은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사이클로헥산-1,4-디메탄올의 래디칼을 15 내지 9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몰% 정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의 다른 매우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 (모노필름 및 적어도 두 층 필름 모두)에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 또는 층(들)은 추가로 디페놀을 기반으로 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층(들)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층의 플라스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들)를 30 wt.% 또는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wt.%,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들)는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에 대해 상기 언급된 것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의 구체예에 대한 예들을 이하에 언급하나, 이들을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모노필름의 예: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
2-층 필름의 예: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층 (B), 및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또는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추가의 층 (A)를 가지는 필름.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층 (B), 및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또는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추가의 층 (A)를 갖고, 추가의 층은 백색 또는 반투명성인 필름.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층 (B), 및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또는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추가의 층 (A)를 가지는 필름.
양 구체예의 예에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층 (B)는 추가로 또한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감음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3-층 필름의 예: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두개의 층 (B) 및 이들 두개의 층 (B) 사이에 배치되고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또는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추가의 층 (A)를 가지는 필름.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두개의 층 (B) 및 이들 두개의 층 (B) 사이에 배치되고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또는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추가의 층 (A)를 갖고, 추가의 층이 백색 또는 반투명성인 필름.
양 구체예의 예에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두개의 층 (B)는 추가로 또한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감음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의 생성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특히 또한 자체가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서의 염료 수용체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를 생성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층 구조를 포함하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는 신분증명서, 바람직하게는 신분증 (ID 카드), 예컨대, 이를테면, 개인 신분증, 여권, 운전면허, 은행 카드, 신용 카드, 보험증, 다른 신분증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중의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은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으로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염료 수용체 층의 다른 플라스틱 조성물과 비교하여 특히 양질로 인쇄된 이미지의 색도가 관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 또는 그의 적어도 하나를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중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은 현저한 색 수신성을 가진다.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에 의한 인쇄의 경우, 해당 층의 층 두께가 30 ㎛, 바람직하게는 50 ㎛를 넘으면, 놀랍게도, 인쇄 잉크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에 30 ㎛ 초과,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50 ㎛ 초과 진입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에 의한 인쇄를 위해,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 또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내 층(들) (B)의 층 두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내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로부터 제조된 층(들)의 층 두께를 적어도 3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로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된 이미지의 색도가 더 얇은 층에 비해 더 개선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주어지나,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제조 또는 제공
실시예 1: 열가소성 물질 및 레이저-감음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배합
레이저-감음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층의 제조를 위한 마스터배치를 통상적인 이축 배합 압출기 (ZSK 32)를 250 내지 330 ℃의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통상적인 처리 온도에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조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를 배합한 후, 과립화하였다:
· 폴리카보네이트 Makrolon® 3108 (Bayer MaterialScience AG 제품): 99.994 wt.% 함량
· 입자 크기 95 nm인 Flammruß 101 (Degussa 제품인 카본 블랙): 0.006 wt.% (60 ppm) 함량.
실시예 2: 열가소성 물질 및 충전제로서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배합
열가소성 물질 및 충전제로서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층의 제조를 위한 마스터배치를 통상적인 이축 배합 압출기 (ZSK 32)를 250 내지 330 ℃의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통상적인 처리 온도에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조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를 배합한 후, 과립화하였다:
· 폴리카보네이트 Makrolon® 3108 (Bayer MaterialScience AG 제품): 85 wt.% 함량
· 백색 안료 충전제로서 이산화티탄 (Kronos Titan 제품인 Kronos® 2230): 15 wt.% 함량.
실시예 3: 열가소성 물질 및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배합
열가소성 물질 및 충전제로서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층의 제조를 위한 마스터배치를 통상적인 이축 배합 압출기 (ZSK 32)를 250 내지 330 ℃의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통상적인 처리 온도에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조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를 배합한 후, 과립화하였다:
· 폴리카보네이트 Makrolon® 3108 (Bayer MaterialScience AG 제품): 95 wt.% 함량
· 첨가제로서 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틸) 포스파이트 (CAS 39865-35-5): 5 wt.% 함량.
실시예 4: 열가소성 물질 및 염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배합
열가소성 물질 및 충전제로서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층의 제조를 위한 마스터배치를 통상적인 이축 배합 압출기 (ZSK 32)를 250 내지 330 ℃의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통상적인 처리 온도에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조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를 배합한 후, 과립화하였다:
· 폴리카보네이트 Makrolon® 3100 (Bayer MaterialScience AG 제품): 99.982 wt.% 함량
· 염료로서 Macrolex® 바이올렛 3R (솔벤트 바이올렛 36; CAS: 61951-89-1): 0.0071 wt.% 함량
· 염료로서 Macrolex® 블루 RR (1,4-비스-[(2,6-디에틸-4-메틸페닐)-아미노]-9,10-안트라센디온, CAS: 61969-44-6): 0.0109 wt.% 함량.
실시예 5: 테레프탈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고유 점도 0.74 dl/g (페놀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의 1:1 혼합물에서 25 ℃에서 측정)인, 54.9 wt.%의 테레프탈산, 9.3 wt.% (38 몰%, 디올 성분 기준)의 에틸렌 글리콜 및 35.8 wt.% (62 몰%, 디올 성분 기준)의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의 테레프탈산 폴리에스테르를 테레프탈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로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의 제조:
실시예 6: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의 사용없이 층 (B)를 위한 압출 필름의 제조
사용된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직경 (D) 105 mm 및 길이 41xD의 스크류를 구비한 압출기. 스크류는 액화 존을 갖는다.
· 크로스 헤드;
· 너비 1,500 mm의 특수 압출 슬롯 다이;
· 수평 롤 배열의 삼중 롤 폴리싱 캘린더, 세번째 롤은 수평에 대해 +/- 45o로 선회할 수 있다;
· 롤러 컨베이어;
· 양면상에 보호 필름을 적용하기 위한 장비;
· 인출 장치;
· 와인딩 스테이션.
과립을 드라이어로부터 압출기의 호퍼로 공급하였다. 특정 물질의 용융 및 이송은 배럴/스크류의 특정 가소화 시스템에서 일어났다. 용융물은 다이로부터 폴리싱 캘린더에 도달하였다. 물질의 최종 성형 및 냉각은 폴리싱 캘린더(3개의 롤로 구성)에서 일어났다. 표면 엠보싱을 위해, 구조화된 스틸 롤(6-면) 및 구조화된 실리콘 러버 롤(2-면)를 사용하였다. 필름 표면의 구조화를 위해 사용된 러버 롤은 Nauta Roll Corporation 출원의 US-4 368 24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어 필름이 인출 장치를 통해 운송된 뒤에, 필름이 권취되었다.
하기 조성의 화합물을 블렌딩하였다:
94 wt.%의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
4 wt.%의 실시예 4 마스터배치 및
2 wt.%의 실시예 3 마스터배치.
이로부터 상술된 장치에서 층 두께가 85 ㎛인 2개의 구조화된 면을 가지는 필름이 압출되었다.
실시예 7: 레이저 감응성 첨가제를 사용한 층 (B)를 위한 압출 필름의 제조
하기 조성의 화합물을 블렌딩하였다:
76 wt.%의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
18 wt.%의 실시예 1 마스터배치
4 wt.%의 실시예 4 마스터배치 및
2 wt.%의 실시예 3 마스터배치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로부터 동일한 장치에서 층 두께가 85 ㎛인 2개의 구조화된 면을 가지는 필름이 압출되었다.
실시예 8: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으로 인쇄될 층용의 PVC 필름 (본 발명의 것이 아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4.8 wt.%이고 비닐 클로라이드 ㅎ하함량이 85.2 wt.%이며 층 두께가 약 30 ㎛인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펜타카드 CC-M278/01 오버레이 필름 (Kloeckner Pentaplast).
실시예 9: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으로 인쇄될 수 있는 비레이저성 신분증명서 (ID 카드)의 제조(본 발명의 것)
a) 프리램(prelam) 제조:
필름 1-1: 백색 충전제 내용물을 갖는 필름
실시예 2의 마스터배치를 약 280 ℃의 용융 온도에서 압출하여 Bayer MaterialScience AG 제품인 폴리카보네이트 Makrolon 3108® 및 충전제로서 이산화티탄 (Kronos Titan 제품인 Kronos® 2230) 백색 안료를 기반으로 한 두께 125 ㎛의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 1-2: 백색 충전제 내용물을 갖는 필름
필름 1-1과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두께 400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소위 프리램 형태의 층 구조를 하기에 언급되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필름으로부터 라미네이트하였다:
층 (1): 필름 1-1; 125 ㎛
층 (2): 필름 1-2; 400 ㎛ (본 발명에 따른 층 (A))
층 (3): 필름 1-1; 125 ㎛
상기 실험 준비시, 라미네이트된 카드의 비슷한 층 두께를 이루기 위해 층 (1) 및 (3)을 사용하였다(참조: ISO IEC 7810:2003). 카드의 대칭적 층 구조를 선택하여 카드가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를 위해, 각 경우 필름으로부터 상기 언급된 순서의 적층을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Buerkle 제품인 라미네이션 프레스에서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 프레스를 175 ℃로 예열
- 5 bar의 압력하에 8 분동안 프레싱
- 80 bar의 압력하에 2 분동안 프레싱
- 프레스를 38 ℃로 냉각 및 프레스 개방.
b) ID 카드 제조
상기 제조된 프리램 상에 실시예 6의 필름을 하기 조건하에 라미네이트하였다:
층 (1): 실시예 6의 필름, 85 ㎛
층 (2): 프리램
층 (3): 실시예 6의 필름, 85 ㎛
이를 위해, 각 경우 필름으로부터 상기 언급된 순서의 적층을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Buerkle 제품인 라미네이션 프레스에서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 프레스를 155 ℃로 예열
- 5 bar의 압력하에 8 분동안 프레싱
- 80 bar의 압력하에 2 분동안 프레싱
- 프레스를 38 ℃로 냉각 및 프레스 개방.
실시예 10: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으로 인쇄될 수 있는 레이저성 신분증명서 (ID 카드)의 제조(본 발명의 것)
a) 프리램 제조:
실시예 9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9에서의 것과 동일한 프리램을 제조하였다.
b) ID 카드 제조
상기 제조된 프리램 상에 실시예 7의 필름을 하기 조건하에 라미네이트하였다:
층 (1): 실시예 7 필름; 85 ㎛
층 (2): 프리램
층 (3): 실시예 7 필름; 85 ㎛
이를 위해, 각 경우 필름으로부터 상기 언급된 순서의 적층을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Buerkle 제품인 라미네이션 프레스에서 실시예 9에서의 것과 동일한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11: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으로 인쇄될 수 있는 PVC 오버레이를 갖는 비레이저성 신분증명서 (ID 카드)의 제조(본 발명의 것이 아님)
a) 프리램 제조:
백색 충전제 내용물을 갖는 필름 1-1 및 1-2를 실시예 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필름 2: 투명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Makrolon 3108® (Bayer MaterialScience AG 제품)을 기반으로 한 두께 50 ㎛의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약 280 ℃의 용융 온도에서 압출하여 제조하였다.
소위 프리램 형태의 층 구조를 하기에 언급되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필름으로부터 라미네이트하였다:
층 (1): 필름 2; 50 ㎛
층 (2): 필름 1-1; 125 ㎛
층 (3): 필름 1-2; 400 ㎛
층 (4): 필름 1-1; 125 ㎛
층 (5): 필름 2; 50 ㎛
상기 실험 준비시, 라미네이트된 카드의 비슷한 층 두께를 이루기 위해 층 (1) 및 (5)를 사용하였다(참조: ISO IEC 7810:2003). 카드의 대칭적 층 구조를 선택하여 카드가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를 위해, 각 경우 필름으로부터 상기 언급된 순서의 적층을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Buerkle 제품인 라미네이션 프레스에서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 프레스를 175 ℃로 예열
- 5 bar의 압력하에 8 분동안 프레싱
- 80 bar의 압력하에 2 분동안 프레싱
- 프레스를 38 ℃로 냉각 및 프레스 개방.
b) ID 카드 제조
상기 제조된 프리램 상에 실시예 8의 필름을 하기 조건하에 라미네이트하였다:
층 (1): 실시예 8의 필름, 30 ㎛
층 (2): 프리램
층 (3): 실시예 8의 필름, 30 ㎛
이를 위해, 각 경우 필름으로부터 상기 언급된 순서의 적층을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Buerkle 제품인 라미네이션 프레스에서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 프레스를 155 ℃로 예열
- 5 bar의 압력하에 8 분동안 프레싱
- 80 bar의 압력하에 2 분동안 프레싱.
실시예 12: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실시예 9 내지 11의 ID 카드 인쇄(D2T2 인쇄)
인쇄 실험을 Nisca PR 5310 제품의 장치로 실시예 9, 10 및 11의 ID 카드에서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인쇄 방식: 4-칼러 인쇄
칼러 리본: YMCKO02
해상도: 300 dpi (11.8 도트/mm)
착색 이미지의 전면 (full-area) 인쇄
결과는 D2T2 인쇄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를 포함하는 ID 카드로 도입된 착색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및 그에 따른 이미지 선명도, 및 색도가 비교 실시예 11로부터의 ID 카드에서의 것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물의 착색 부분뿐만 아니라, 인쇄물의 검은색 부분도 콘트라스트가 훨씬 뛰어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 9 및 10의 ID 카드의 색도가 훨씬 뛰어났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 11의 ID 카드 상에 검은색으로 인쇄된 경로들은 회색에 지나지 않은 반면, 실시예 9 및 10의 ID 카드 상의 경로들은 강렬한 검은색을 나타냈다. 실시예 11의 ID 카드 상의 칼러가 상당히 옅은 것에 반해서, 실시예 9 및 10의 ID 카드 상의 착색 경로들은 칼러 휘도 및 색도가 상당히 높았다. 이미지는 또한 실시예 9 및 10의 ID 카드 상에서 이미지 선명도가 높은 반면, 실시예 11의 ID 카드 상에서는 흐릿하였다.
실시예 13: 레이저-기록가능한 신분증명서의 레이저 조각
Foba 제 레이저 장비에서 하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실시예 10으로부터의 ID 카드에 레이저 조각을 수행하였다:
레이저 매체: Nd:YAG
파장: 1064 nm
동력: 40 와트
전류: 30 A
펄스 주파수: 14 kHz
전진 속도: 200 mm/sec.
레이저 조각동안, 정보는 ID 카드의 두 레이저-기록가능한 필름 층중 한 층 (층 (1))에만 기록되었다. 완전 흑백 여성 인물 사진 및 회색톤 웨지가 레이저 조각 수단에 의해 레이저-기록가능한 층에 정보로서 기록되었다.
훌륭한 콘트라스트 및 매우 우수한 회색톤 그래쥬에이션이 이루어졌다.

Claims (15)

  1. -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및
    -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B)를 포함하고,
    상기 층 (B)는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포스파이트가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 그룹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층 (B)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이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고, 그의 제조를 위해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디올 성분의 적어도 일부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B)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이 층 (B)의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포스파이트를 0.005 내지 2 wt.%,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wt.%의 함량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A)가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폴리-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을 가지는 폴리- 또는 코폴리머, 투명한 열가소성 물질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A)가 백색 또는 반투명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A)가 두 층 (B) 사이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A)와 층(들) (B)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
  9.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션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층 구조를 공압출 수단으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층 구조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층 구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신분증명서, 바람직하게는 ID 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
  12.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 수단에 의해 층(들)(B) 또는 그의 적어도 하나를 인쇄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층 구조 및/또는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보안 및/또는 중요 문서의 용도.
  13.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고, 이 층은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또는 다층 플라스틱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및 테레프탈산 또는 나프탈렌디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 또는 코폴리축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된 적어도 두 층 (B)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층 (A)가 두 층 (B) 사이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KR1020147022624A 2012-01-19 2013-01-16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 KR20140112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1745.2 2012-01-19
EP12151745 2012-01-19
PCT/EP2013/050750 WO2013107773A1 (de) 2012-01-19 2013-01-16 Kunststofffolie zum bedrucken mittels 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dru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556A true KR20140112556A (ko) 2014-09-23

Family

ID=4762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624A KR20140112556A (ko) 2012-01-19 2013-01-16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375968B2 (ko)
EP (1) EP2804764A1 (ko)
JP (1) JP2015511894A (ko)
KR (1) KR20140112556A (ko)
CN (1) CN104039562A (ko)
AU (1) AU2013211121A1 (ko)
BR (1) BR112014017547A8 (ko)
CA (1) CA2861466A1 (ko)
RU (1) RU2014133801A (ko)
TW (1) TW201343395A (ko)
WO (1) WO20131077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729A (ko) * 2015-03-31 2017-12-13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미리 결정된 파단점을 갖지 않는 영구 보안 필름
KR20190100254A (ko) * 2016-12-22 2019-08-28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개선된 레이저 각인 특성 및 개선된 내화학성을 갖는 id-문서를 위한 플라스틱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2438A1 (en) 2015-02-06 2016-08-11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Ceramic-containing transaction cards
US9760816B1 (en) * 2016-05-25 2017-09-12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Metal-containing transaction card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2418A (ko) 1961-09-14
FR1580834A (ko) 1968-01-04 1969-09-12
DE2140207C3 (de) 1971-08-11 1975-11-27 Farbenfabriken Bayer Ag, 5090 Leverkusen Stabilisiertes aromatisches PoIycarbonat
JPS5039599B2 (ko) 1973-03-30 1975-12-18
DE2407776A1 (de) 1974-02-19 1975-09-04 Licentia Gmbh Schaltung zur regelung der betriebsspannung fuer die transistor-zeilenendstufe eines fernsehempfaengers
DE2715932A1 (de) 1977-04-09 1978-10-19 Bayer Ag Schnellkristallisierende poly(aethylen/alkylen)-terephthalate
US4368240A (en) 1981-07-27 1983-01-11 Nauta Roll Corporation High gloss rubber roll
DE3400238A1 (de) * 1984-01-05 1985-07-18 Bayer Ag, 5090 Leverkusen Stabilisierte aromatische polyester und polyestercarbonate
DE3842219A1 (de) * 1988-12-15 1990-06-21 Bayer Ag Stabilisier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US5334573A (en) 1991-12-02 1994-08-02 Polaroid Corporation Sheet material for thermal transfer imaging
CA2090747A1 (en) * 1992-02-27 1993-08-28 Kenji Kushi Recording medium for sublimation type heat-sensitive transfer recording process
GB9218126D0 (en) * 1992-08-26 1992-10-14 Ici Plc Thermal transfer printing dye-sheet
EP0673778B1 (en) 1994-03-24 1997-10-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ye receptor sheet for thermal transfer imaging
DE19522397A1 (de) 1995-06-23 1997-01-02 Merck Patent Gmbh Lasermarkierbare Kunststoffe
KR100215479B1 (ko) * 1995-11-24 1999-08-16 장용균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GB9617237D0 (en) 1996-08-16 1996-09-25 Ici Plc Thermal transfer printing receiver sheets
DE50112551D1 (de) 2000-09-29 2007-07-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ydrolysebeständig ausgerüstete, transparente, biaxial orient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20020030007A (ko) * 2000-09-29 2002-04-22 힐커트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내가수분해성 투명이축배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E10052805A1 (de) * 2000-10-25 2002-05-08 Bayer Ag Mit Phosphorigsäureestern stabilisierte Polyalkylenterephthalat-Zusammensetzungen
AU2002226728B2 (en) * 2001-01-25 2007-07-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olyester resin, molded articl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resin
US6693657B2 (en) 2001-04-12 2004-02-17 Engelhard Corporation Additive for YAG laser marking
JP2003208589A (ja) * 2002-01-15 2003-07-25 Oji Paper Co Ltd Ic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31334A1 (de) * 2002-07-11 2004-01-22 Bayer Ag Mit polymeren Phosphorigsäureestern stabilisierte Thermoplaste
DE60311594T2 (de) 2002-12-04 2007-11-15 Dsm Ip Assets B.V. Laserlicht absorbierendes additiv
US7091157B2 (en) * 2003-02-26 2006-08-15 Eastman Kodak Company Image recording element comprising extrudable polyester-containing image-receiving layer
DE102004050557B4 (de) 2004-10-15 2010-08-12 Ticona Gmbh Lasermarkierbare Formmassen und daraus erhältliche Produkte und Verfahren zur Lasermarkierung
JP5186745B2 (ja) * 2006-09-19 2013-04-24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CN101391557B (zh) * 2007-09-20 2011-10-12 中国印钞造币总公司 一种防伪功能薄膜及包含该薄膜的防伪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729A (ko) * 2015-03-31 2017-12-13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미리 결정된 파단점을 갖지 않는 영구 보안 필름
KR20190100254A (ko) * 2016-12-22 2019-08-28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개선된 레이저 각인 특성 및 개선된 내화학성을 갖는 id-문서를 위한 플라스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7547A8 (pt) 2017-07-04
EP2804764A1 (de) 2014-11-26
CN104039562A (zh) 2014-09-10
RU2014133801A (ru) 2016-03-20
CA2861466A1 (en) 2013-07-25
US9375968B2 (en) 2016-06-28
US20150004377A1 (en) 2015-01-01
AU2013211121A1 (en) 2014-08-07
TW201343395A (zh) 2013-11-01
JP2015511894A (ja) 2015-04-23
BR112014017547A2 (pt) 2017-06-13
WO2013107773A1 (de)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42B1 (ko) 레이저 각인에 대한 개선된 성질을 갖는 신분 증명서용 적층 구조체 및 필름
KR102070220B1 (ko)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
TW201028293A (en) ID cards having blocked laser engraving writability
CN113226757B (zh) 层结构形式的具有高维卡软化温度的塑料膜
KR20140112556A (ko) 염료 확산 열 전사 인쇄에 의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
TWI480155B (zh) 具有一由聚碳酸酯構成之層的多層膜複合物
BR112020012247A2 (pt) películas plásticas para documentos de id com melhor clareza de hologramas em relevo
KR102507562B1 (ko) 개선된 레이저 각인 특성 및 개선된 내화학성을 갖는 id-문서를 위한 플라스틱 필름
CN113242795A (zh) 用于具有透明窗口的身份证明文件的具有高不透明度和低透明度的塑料膜
EP3707198B1 (en) Plastic films with reduced uv activity
TW201350327A (zh) 用於藉由染料擴散熱傳印刷以印刷之塑膠膜
CN117642290A (zh) 适合于快速层压的膜结构
CN117677499A (zh) 可用于多层结构的更快层压的特定聚合物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