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156A - 차량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안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1156A KR20140111156A KR1020130024901A KR20130024901A KR20140111156A KR 20140111156 A KR20140111156 A KR 20140111156A KR 1020130024901 A KR1020130024901 A KR 1020130024901A KR 20130024901 A KR20130024901 A KR 20130024901A KR 20140111156 A KR20140111156 A KR 201401111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top
- information
- bus
- stop 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내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GPS 수신기에 의해 파악된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차량고유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차량의 노선을 포함하는 차량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고유정보에 의해 정류장에 구비된 복수의 정차위치 중에서 상기 각 차량의 정차위치를 포함한 차량정차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 차량정차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 등에서 승객들이 버스와 같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에 하차보다는 승차하는 경우에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특히,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에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을 알 수 없으며, 버스가 도착한 경우에도 버스의 정차 위치를 미리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승객들은 원하는 버스가 시야에 보일 때부터 버스가 오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며, 버스가 정차하는 위치를 보고 뛰어가서 탑승하게 된다.
최근에는 많은 버스 정류장에 버스의 도착 시간을 미리 알려주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있으며, 각종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 등에는 버스 정류장의 버스도착시간을 알려주는 프로그램들이 속속 구비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디지털기기에 의해 승객들은 원하는 버스의 도착 시간을 미리 알 수 있게 되어 버스를 무작정 기다리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디지털기기는 단순히 버스의 도착시간만을 알려주게 되므로, 버스의 정차위치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버스가 정차하는 경우에 버스의 정차위치를 보고 승객들이 이동하여 탑승하게 되므로 승객들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승객들이 차도로 이동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여 매우 위험한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를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차량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승객들이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버스의 정차시간, 버스의 노선도 및/또는 버스의 정차위치를 미리 승객들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들이 버스에 탑승 및/또는 하차하는 경우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들이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각 정류장 별로 버스의 정차위치를 미리 알 수 있게 되므로 승객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차량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위성항법시스템) 수신기를 활용하여 승객들에게 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 현저히 적은 비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내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승객들은 GPS를 활용한 본 발명의 차량안내장치에 의해 버스의 정차위치를 미리 알게 되어, 상기 정차위치에서 기다릴 수 있게되어 종래와 같이 버스를 타기 위해 뛰어다니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가 도착하는 경우에만 개방되는 탑승안내장치를 구비하여 승객들이 버스에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승객들이 미리 정해진 정차위치에서 기다리는 경우에 버스의 탑승요금을 미리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승객들이 보다편리하고 신속히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차량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서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결제장치가 구비된 탑승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제어부의 차량배치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서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결제장치가 구비된 탑승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제어부의 차량배치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안내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승객들이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버스에서 하차하는 경우보다는 버스에 승차하는 경우에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즉,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시각을 정확하게 알 수 없었으며, 나아가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경우에도 버스의 정차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었다. 따라서, 각 승객들이 이용하고자 하는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여 정차하게 되면, 정차 위치를 보고 이동하여 버스에 승차하게 된다. 그런데,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는 버스가 도착하게 되면 버스의 정차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승객들이 줄을 서서 기다릴 수가 없어서 버스에 먼저 탑승하기 위하여 승객들이 뛰어서 이동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일부 승객들이 차도로 이동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많은 버스 정류장에 버스의 도착시간을 알려주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있으며, 각종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 등에는 버스 정류장의 버스도착시간을 알려주는 프로그램들이 속속 구비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디지털기기에 의해 승객들은 원하는 버스의 도착시간을 미리 알 수 있게 되어 버스를 무작정 기다리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디지털기기는 단순히 버스의 도착시간만을 알려주게 되므로, 각 버스 정류장에 대한 버스의 정차위치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안내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안내장치(1000)는 차량(10) 에 구비된 GPS 수신기(100)에 의해 파악된 차량(10)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차량고유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00), 차량(10)의 노선을 포함하는 차량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고유정보 및 상기 차량노선정보에 의해 상기 각 차량의 정차위치를 포함한 차량정차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모듈(250) 및 상기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 차량정차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270)를 구비한다.
이후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내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즉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안내하게 된다. 'GPS'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복수개의 GPS 위성, 상기 GPS 위성을 제어하는 제어국, 상기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GPS 수신기 및 상기 GPS 수신기가 부착된 목표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GPS'는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버스에도 GPS 수신기가 구비되고 있다. 즉, 버스에 GPS 수신기를 부착하여 각 버스간 거리와 버스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내장치는 버스를 정류장에 안내하는 경우에 버스에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거나, 또는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새로이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버스에 이미 구비된 GPS 수신기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즉 '위성항법시스템'을 활용하여 버스를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안내장치를 구축하는 경우에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 크게 도움이 되며, 나아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간 소요도 훨씬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종래 버스 사업자들이 버스를 안내하기 위한 차량안내장치를 도입하지 않는 많은 이유 중에 주된 이유는 막대한 설치 비용 및 현저히 긴 설치 시간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게 되므로 기존 버스 사업자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축하여 승객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안내장치(10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수신기(100)는 버스와 같은 차량(10)에 각각 구비된다. GPS 수신기(100)의 설치 위치는 제한이 없으며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원활히 받을 수 있는 어떠한 위치라도 상관없다. GPS 수신기를 비롯한 위성항법시스템(GPS)에 대해서는 이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안내장치(1000)는 각 버스정류장(400)에 구비되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하여 각 차량(10)의 위치를 파악하며, 버스정류장(400)에 구비된 복수의 정차위치 중에서 각 차량(10)의 정차위치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고유정보는 GPS 수신기(100)에 의해 파악된 차량(10)의 종류, 번호 및 차량의 현재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노선정보는 상기 정류장을 지나가는 차량의 번호, 상기 번호에 따른 노선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정차정보는 상기 각 차량의 상기 정류장 도착예정시간, 상기 각 차량의 정차위치 및 상기 정차위치별 정차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70)는 정류장에 구비된 각 정차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표시부(270A, 270B, 27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정차위치별로 별개의 표시부(270A, 270B, 270C)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들은 정류장에 구비된 각 표시부(270A, 270B, 270C를 보고 정차위치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차량안내장치(10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250)는 GPS를 통하여 송신국으로부터 GPS 수신기(100)가 부착된 차량의 종류, 번호 및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차량고유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제어모듈(250)은 차량노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30) 및 상기 수신된 차량고유정보와 상기 저장된 차량노선정보에 의해 차량과 각 정류장 사이의 노선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차량정차정보를 측정 및 결정하는 제어부(210)를 구비한다. 즉, 저장부(230)에는 상기 정류장(400)을 지나가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 대한 차량 종류, 차량(버스) 번호, 차량의 노선과 같은 차량노선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GPS를 통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GPS 수신기(10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종류, 번호 및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차량과 각 정류장 사이의 노선에 따른 거리, 각 차량의 상기 정류장 도착예정시간, 각 차량의 정차위치별 정차순서와 같은 상기 차량정차정보를 측정 및 결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수신부(200)를 통하여 수신된 차량고유정보에 의해 차량의 종류, 번호 및 위치를 파악하게 되며, 차량이 상기 정류장에 근접하는 것이 인식되면 차량을 안내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상기 차량이 정류장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겨우, 예를 들어 차량이 정류장에 10km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차량을 안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상기 수신된 차량고유정보와 상기 저장된 차량노선정보에 의해 차량의 위치와 정류장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정류장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정류장(400)에 근접하는 차량(10)이 복수개인 경우에 차량별로 정류장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정류장에 제일 먼저 도착하는 차량 순서대로 정차위치, 즉 차량정차정보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류장에 제일 먼저 도착하는 차량을 비어있는 정차위치 중에 제일 앞쪽에 배치하고, 이어서 도착하는 차량을 비어있는 정차위치 중에 후속하는 정차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10)는 상기와 같은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 차량정차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270)를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들은 정류장에 구비된 표시부(270)를 통하여 차량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도 3은 도 1과 같은 각 정차위치에 각각 구비된 표시부(27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270)는 정류장(400)의 정차위치에 구비되는 지지바(272)와 상기 지지바(272)에 연결되는 화면부(274)를 구비한다.
지지바(272)는 정류장의 정차위치에 따라 구비되며, 차량(10)이 정차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대략 차량의 길이 이상 간격으로 정류장(400)에 구비된다.
화면부(274)는 지지바(272)의 상부에 구비되어 각종 차량에 대한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 차량정차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면부(274)는 정차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정차위치번호를 표시하는 정차위치번호화면부(282)를 포함한다. 정차위치번호화면부(282)는 정차위치의 순서를 표시하며,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정류장에 마련된 첫번째 정차위치에 구비된 표시부를 도시한다. 상기 정차위치번호화면부(282)는 하나의 정차위치에 구비되면 그 번호가 변경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고정적으로 하나의 번호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화면부(274)는 차량고유정보에 포함되는 차량의 번호를 표시하는 차량번호화면부(284)를 구비한다. 차량번호화면부(284)는 상기 표시부(270)가 설치된 각 정차위치에 대해 제일 먼저 도착하는 차량 순서대로 차량 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도시된 경우에 1번 정차위치에 '100'번 차량(버스)가 가장 먼저 도착하며, 이어서 '200'번 차량이 도착하게 된다. 또한, 차량번호화면부(284)는 순서대로 도착하는 차량의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할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두개의 분할화면을 구비하여, 제1 분할화면(286)에는 제일 먼저 도착하는 차량의 번호를 표시하며, 제2 분할화면(288)에는 이어서 도착하는 차량의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결국, 차량번호화면부(284)는 정차위치별 정차순서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할화면의 숫자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1개의 화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3개 이상의 분할화면을 가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100'번 차량이 1번 정차위치에 정차하여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하여 출발하게 되면 제어부(210)는 '200'번 차량번호를 제1 분할화면(286)에 표시하고 이어서 도착하는 차량번호를 제2 분할화면(288)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화면부(274)는 차량정차정보에 포함되는 도착예정시간을 표시하는 예정시간화면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정시간화면부(290)는 상기 차량번호화면부(284)에 표시된 각 차량번호에 따른 도착예정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예정시간화면부(290)는 상기 차량번호화면부(284)와 동일한 분할화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번호화면부(284)가 두 개의 분할화면을 가지게 되면, 예정시간화면부(290)도 두 개의 분할화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정시간화면부(290)의 제1 분활화면(292)은 제일 먼저 도착하는 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표시하며, 제2 분할화면(294)은 이어서 도착하는 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표시한다. 한편, '100'번 차량이 1번 정차위치에 정차하여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하여 출발하게 되면 제어부(210)는 '200'번 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제1 분할화면(292)에 표시하고 이어서 도착하는 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제2 분할화면(294)에 표시하게 된다.
나아가, 화면부(274)는 차량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각 차량번호에 대한 노선을 표시하는 노선화면부(296)를 구비할 수 있다. 노선화면부(296)는 각 정류장의 정차위치에 도착하는 차량에 대한 노선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정차위치에 도착하는 차량의 순서대로 미리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 차량번호에 따른 노선정보를 호출하여 노선화면부(296)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번 차량이 제일 먼저 1번 정차위치에 도착하는 경우에 제1 분할화면(297)에 '100'번 차량의 노선을 표시하며, 제2 분할화면(298)에 '200'번 차량의 노선을 표시한다. 한편, '100'번 차량이 1번 정차위치에 정차하여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하여 출발하게 되면 제어부(210)는 '200'번 차량의 노선을 제1 분할화면(297)에 표시하고 이어서 도착하는 차량의 노선을 제2 분할화면(298)에 표시하게 된다.
전술한 표시부에 대한 설명은 정류장의 각 정차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표시부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표시부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또는 차량정차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스피커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눈이 보이지 않는 맹인과 같은 승객들도 차량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표시부의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정류장(400)에 구비된 단일표시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정류장(400)에 구비된 각 정차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표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도 1 및 도 3에 따른 표시부는 정류장(400)에 구비된 각 정차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표시부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정류장(400)에 구비된 단일표시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단일표시부를 구비한 차량안내장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안내장치(2000)는 정류장(400)에 구비된 제어모듈(1250), 차량고유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200)와, 차량에 대한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 차량정차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일표시부(1500)를 구비한다.
단일표시부(1500)는 전술한 차량에 대한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 차량정차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들은 각 정류장에 구비된 단일표시부(1500)에 의해 각 차량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대한 단일표시부(1500)를 구비하게 되므로, 도 1과 달리 정류장에서 승객들이 차량을 기다리는 정차위치를 표시하는 별도의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표시부(1500)와 별개로 정차위치를 표시하는 정차위치표시부(1270)를 구비한다. 정차위치표시부(1270A, 1270B, 1270C, 1270D)는 각 정류장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는 상기 단일표시부(15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일표시부(1500)는 주화면(1510)을 구비하며, 상기 주화면(1510)은 정차위치개수에 대응하는 분할화면(1530, 1550, 1570, 158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4개의 정차위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주화면(1510)은 4개의 분할화면(1530, 1550, 1570, 1580)을 구비한다. 각 분할화면(1530, 1550, 1570, 1580)은 각 정차위치에 대응하며, 각 정차위치에 정차할 차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각 분할화면의 구성은 전술한 도 3의 표시부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에 따른 분할화면의 구성은 도 3에 따른 표시부의 구성과 달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정류장에 차량이 도착하는 경우에 승객들은 차량을 향해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경우에 제일 앞에 위치한 승객들은 사람들의 이동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 차도로 내려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이 도착하는 경우에만 승차 및 하차를 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3000)를 도시한다.
도 6에 따른 차량안내장치(3000)는 차량이 도착하는 경우에만 승차 및 하차를 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안내장치(3000)는 차량의 정차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도어부(2400)를 구비한 탑승안내장치(2300)를 구비한다.
탑승안내장치(2300)는 차량(10)과 승객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부(2310)와 차량이 도착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도어부(2400)를 구비한다. 즉, 탑승안내장치(2300)는 차단부(2310)에 의해 승객과 차량 사이를 차단하여, 승객이 차도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량이 도착하는 경우에 개방되는 도어부(2400)를 구비하여 승객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차량에 승차하거나 차량에서 하차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도어부(2400)는 각 정차위치별로 전방도어(2410)와 후방도어(2430)를 구비할 수 있다. 전방도어(2410)는 승객들이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후방도어(2430)는 차량의 승객들이 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또한, 도어부(2400)는 제어모듈(250)에 의한 제어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된다. 즉, 제어모듈(250)의 제어부(210)는 각 차량에 구비된 GPS 수신기(100)에 의해 각 차량이 미리 정해진 정차위치에 도착한 경우에 도어부(2400)를 개방하며, 상기 차량이 정차위치에서 출발하게 되면, 다시 도어부(2400)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승객이 아직 개방된 도어부(2400)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부(2400)를 다시 개방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어부(2400)가 닫히는 경우에 승객 또는 짐 등이 도어부(2400)의 개방된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도어부(2400)가 다시 개방되도록 신호를 주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탑승안내장치(2300)는 승객들이 비 또는 눈과 같은 기상변화에도 편안하게 차량을 기다릴 수 있도록 천장부(2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170'은 표시부를 도시하며, '2200'은 수신부를 도시한다. 나아가, 상기 표시부는 도 3에 따른 표시부 또는 도 5에 따른 단일표시부 중에서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안내장치(2300)를 구비하는 경우에 승객들이 차량이 도착하고 도어부(2400)가 개방되어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탑승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각 차량에 구비된 차량결제장치(미도시)에 결제요금을 결제하게 되므로 승객들이 탑승하는 경우에 탑승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결제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결제장치가 구비된 탑승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탑승안내장치(2300)는 정차위치별로 정차된 차량의 승객들이 차량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장치(2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승객들이 정차위치별로 차량을 기다리는 경우에 차량이 도착하기 전이라도 결제장치(2600)에 의해 미리 차량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도착하기 전에 승객들이 미리 결제장치(2600)에 의해 요금을 결제하게 되므로 차량이 도착하여 도어부(2400)가 개방되는 경우에 승객들이 차량에 탑승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장치(2600)는 정차위치별로 각각 구비된 도어부(240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결제장치(2600)는 승객들의 카드와 같은 결제도구를 인식하는 인식부(2610)와 결제 여부를 표시하는 확인부(26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승객들은 카드와 같은 결제도구를 인식부(2610)에 소정거리 근접시켜 요금을 결제하게 된다. 이 경우,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확인부(2630)는 미리 정해진 색깔(예를 들어 '녹색')으로 점등하거나, 또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라는 안내문구를 방송할 수 있다. 반대로, 확인부(2630)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미리 정해진 색깔(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점등하거나, 또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카드를 다시 대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문구를 방송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안내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류장(400)에 구비된 차량안내장치는 GPS에 의해 차량이 근접하는 경우에 각 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류장이 3개의 정차위치, 즉 1번 정차위치, 2번 정차위치 및 3번 정차위치를 구비하고, 1번 정차위치에 A 차량이 도착한 상태이고, 2번 정차위치에 B 차량이 도착한 상태이며, '100', '200', '300' 및 '400' 번 차량이 근접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어모듈(250)의 제어부(210)는 먼저 각 차량의 위치를 GPS 수신기(100)를 통해 파악하고, 이어서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 차량의 노선을 확인하여 각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각 노선에 따른 정류장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나아가, 각 버스의 거리에 따른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다. 상기 계산한 결과, 예를 들어 '100'번 차량은 3분 후 도착, '200'번 차량은 10분 후 도착, '300'번 차량은 8분 후 도착 및 '400' 번 차량은 12분 도착으로 계산되면, 제어부(210)는 제일 먼저 도착하는 차량 순서대로 정차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비어있는 정차위치 순서로 차량을 배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비어있는 3번 정차위치에 제일 먼저 도착하는 '100'번 차량을 배치하게 된다. 이어서, 1번 정차위치의 두번째 순서에 두번째로 도착하는 '300'번 차량을 배치하며, 2번 정차위치의 두번째 순서에 세번째로 도착하는 '200'번 차량을 배치하며, 3번 정차위치의 두번째 순서에 네번째로 도착하는 '400'번 차량을 배치하게 된다.
그런데, 예상치 못한 교통사고 등이 발생하여 도로가 막히는 교통상황 등이 발생하게 되면 각 버스의 도착예정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착순서대로 각 정차위치에 차량 순서대로 배치한 후에도 소정의 주기로 각 버스의 도착예정시간을 반복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교통상황 등에 의해 버스의 도착예정시간이 달라지는 경우에 제어부(210)는 상기 변화된 도착예정시간에 따라 각 버스의 도착순서를 다시 확인하여, 변화된 도착순서에 따라 각 정차위치에 차량 순서대로 배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에 표시부(270)는 각 정차위치에 따른 각 차량의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와 차량정차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정차위치별로 복수개가 구비되거나, 또는 단일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1번 정차위치에서 A 차량이 출발하게 되면, 제어부(210)는 1번 정차위치에 대한 표시부(270)에서 A 차량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두번째 순서의 차량, 즉 '300'번 차량에 대한 정보를 첫번째 순서로 표시하게 된다.
나아가, 탑승안내장치(2300)를 구비하게 되면, 제어부(210)는 각 차량이 미리 정해진 정차위치에 도착하는 경우에 도어부(2400)를 개방하며, 각 차량이 출발하게 되면 도어부(2400)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탑승안내장치(2300)에 결제장치(2600)를 구비하는 경우에 승객들은 미리 결제요금을 결제하여 보다 빠르고 편안하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자는 정류장에 진입하는 경우에 표시부를 보고 차량 번호가 표시된 정차위치에 차량을 정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내장치는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을 비롯하여 종래의 버스정류장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 설치하는 경우에 차량 운전자는 먼저 정차한 차량에 의해 정류장 진입이 곤란한 경우에는 먼저 정차한 차량이 출발하기를 기다려 정류장에 진입할 수 있다.
10...차량 100...GPS 수신기
200...수신부 250...제어모듈
270...표시부 1000...차량안재장치
200...수신부 250...제어모듈
270...표시부 1000...차량안재장치
Claims (9)
- 차량에 각각 구비된 GPS 수신기에 의해 파악된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차량고유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차량의 노선을 포함하는 차량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고유정보 및 상기 차량노선정보에 의해 상기 각 차량의 정차위치를 포함한 차량정차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차량고유정보, 차량노선정보 및 차량정차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고유정보는 상기 GPS 수신기에 의해 파악된 상기 차량의 종류, 번호 및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노선정보는 상기 정류장을 지나가는 차량의 번호, 상기 번호에 따른 노선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정차정보는 상기 각 차량의 상기 정류장 도착예정시간, 상기 각 차량의 정차위치 및 상기 정차위치별 정차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량노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고유정보와 상기 저장된 차량노선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과 각 정류장 사이의 노선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차량정차정보를 측정 및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정류장에 구비된 단일표시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정류장에 구비된 각 정차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스피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차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도어부를 구비한 탑승안내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각 차량이 미리 정해진 상기 정류장의 정차위치에 도착하는 경우에 개방되며, 상기 각 차량이 상기 정차위치를 떠나는 경우에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안내장치는
상기 정차위치별로 정차된 차량의 승객들이 차량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장치는 상기 정차위치별로 각각 구비된 도어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901A KR20140111156A (ko) | 2013-03-08 | 2013-03-08 | 차량안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901A KR20140111156A (ko) | 2013-03-08 | 2013-03-08 | 차량안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1156A true KR20140111156A (ko) | 2014-09-18 |
Family
ID=5175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4901A KR20140111156A (ko) | 2013-03-08 | 2013-03-08 | 차량안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11156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30957A (zh) * | 2017-10-12 | 2018-02-23 | 山东纳普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55寸立式智能电子站牌报站装置 |
KR20180116900A (ko) * | 2017-04-18 | 2018-10-26 | 김웅태 |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
KR102186205B1 (ko) * | 2019-06-21 | 2020-12-04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류장 버스 승차위치 안내용 led 전광블록 |
KR102370077B1 (ko) * | 2021-08-21 | 2022-03-04 | 주식회사 이츠 | 정밀 위치 판단을 기반으로 한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
2013
- 2013-03-08 KR KR1020130024901A patent/KR201401111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6900A (ko) * | 2017-04-18 | 2018-10-26 | 김웅태 |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
CN107730957A (zh) * | 2017-10-12 | 2018-02-23 | 山东纳普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55寸立式智能电子站牌报站装置 |
KR102186205B1 (ko) * | 2019-06-21 | 2020-12-04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류장 버스 승차위치 안내용 led 전광블록 |
KR102370077B1 (ko) * | 2021-08-21 | 2022-03-04 | 주식회사 이츠 | 정밀 위치 판단을 기반으로 한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91060B2 (en) | Occupancy based navigation system | |
KR101869391B1 (ko) |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 |
WO2009081817A1 (ja) | 路車間通信システム | |
KR101489808B1 (ko) |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 |
JP7115282B2 (ja) | 交通管理装置、交通管理システム、交通管理方法、及び交通管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20140111156A (ko) | 차량안내장치 | |
KR20160136166A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JP2011141606A (ja) | 路上通信システム及び交通信号制御機 | |
KR20180106093A (ko) | 내비게이션의 카풀 로드 자동 제어 방법 | |
KR20210075356A (ko) | 차량 안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30010394A (ko) |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 |
CN107531282A (zh) | 用于由自动车辆进行车道选择的系统 | |
KR20180120829A (ko) | 차량의 톨-게이트 구간 안내 장치 및 방법 | |
KR101701232B1 (ko) |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 |
EP3214407B1 (en) |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use instruction | |
KR100968017B1 (ko) |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 |
JP5854764B2 (ja) | タクシー車両用制御装置 | |
JP6185336B2 (ja) | 車線システム | |
KR20060092775A (ko) |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 |
JP2002024989A (ja) | 信号機制御システム、信号機制御装置、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交通情報提供装置および交通情報提供方法 | |
JP2004334581A (ja) | 乗合車両の乗降支援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 |
CN107346605A (zh) | 公交车预报系统 | |
KR101773171B1 (ko) | 버스정보 안내장치를 이용한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 |
KR102216977B1 (ko) | 택시 호출서비스를 활용한 택시 등 자동 제어시스템 | |
KR20150066672A (ko) | 버스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정류장 정차 유무 안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