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151A -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151A
KR20140111151A KR20130024862A KR20130024862A KR20140111151A KR 20140111151 A KR20140111151 A KR 20140111151A KR 20130024862 A KR20130024862 A KR 20130024862A KR 20130024862 A KR20130024862 A KR 20130024862A KR 20140111151 A KR20140111151 A KR 2014011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charging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948B1 (ko
Inventor
한종훈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2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48B1/ko
Priority to US14/201,839 priority patent/US9886813B2/en
Publication of KR2014011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3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 G07F15/005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dispensed for the electrical charging of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3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3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 G07F15/008Rewarding for providing delivery of electricity to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가 할당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외부에 위치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로 연결되는 무선 단말기 접속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를 통해 상기 전기차의 충전 수행 여부에 대한 충전 수행 정보를 제공 받는 충전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로 컨텐츠 정보 전송을 위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소가 개별적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로 인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전기차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전기차 외부에서도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 vehicle in charging with contents}
본 발명은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소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가 할당되고 상기 전기차의 충전 수행에 따라 할당된 IP 주소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충전 수행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를 무선 IP 주소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먼저 개발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오랜 시간 등의 실용적인 문제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세계적인 환경규제의 강화와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전기차에 대한 요구의 증가로 다시 활발한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 등의 서방 선진국에서는 전기차의 보급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다르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 구동되므로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를 위한 주유 인프라와는 다른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인데, 내연기관 자동차의 짧은 주유시간과는 다르게 전기차 충전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경우에 짧게는 수십분에서 길게는 수시간의 충전 시간이 소요되어 충전 시간을 기다리는 전기차 이용자의 지루함과 시간 낭비로 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차 충전소에서의 전기차 이용자가 기다리는 전기차 충전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충전을 수행하는 이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안되었는데, 도 1은 종래의 전기차 충전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소 자체에 충전소 서버(20)를 보유하고, 충전 스테이션(15)들이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소 서버(20)에 연결되어, 충전 스테이션(15)을 통해 충전을 수행하는 전기차의 내부 단말기로 컨텐츠 서버(30)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소마다 개별적인 충전소 서버(20)를 구축하고 충전 스테이션(15)에 추가적인 통신 장치를 장착해야 하므로 전기차 충전소의 장치 설치 비용이 소요되며, 나아가서 충전 스테이션(15)의 충전 케이블을 통해 컨텐츠가 제공됨으로써 충전 시간 내내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용자는 전기차 안에서 머물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소별로 각자의 충전소 서버(20)를 보유함에 따라 하나의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 중에 동영상 컨텐츠 등을 스트리밍 방식 등으로 실시간 제공받던 도중 충전 종료에 따라 제공이 중단된 후에 다른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을 수행하면 중단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중단된 시점부터 제공받지 못하고 처음부터 다시 제공받거나 이용자가 개별적으로 중단된 시점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전기차 충전소에서 전기차의 충전을 위해 장시간을 기다리는 이용자의 지루함과 시간 낭비에 따른 비효율성을 제거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충전을 수행하는 이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전기차 충전소마다 개별적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른 비용 소모를 줄이고,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케이블을 통해 컨텐츠가 제공됨으로써 충전 시간 내내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용자는 전기차 안에서 머물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 중에 동영상 컨텐츠 등을 스트리밍 방식 등으로 실시간 제공받던 도중 충전 종료에 따라 컨텐츠의 제공이 중단된 후 다른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을 수행하면 중단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중단된 시점부터 제공받지 못하고 처음부터 다시 제공받거나 이용자가 개별적으로 중단된 시점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소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가 할당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외부에 위치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로 연결되는 무선 단말기 접속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를 통해 상기 전기차의 충전 수행 여부에 대한 충전 수행 정보를 제공 받는 충전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로 컨텐츠 정보 전송을 위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단말기 접속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가입 요청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상기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IP 주소 할당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기 IP 주소로 연결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 연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에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네트워크 가입 요청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질의 신호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가입 요청과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전기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컨텐츠 제공 이력 정보에서 전송 중단된 컨텐츠 제공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 중단된 컨텐츠 제공 정보 중 선택된 컨텐츠 제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 단계에서 접속 정보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전기차 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차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식별 정보와 충전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차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식별 정보와 충전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의 접속 차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의 접속 차단 정보와 진행중인 컨텐츠 제공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진행중인 컨텐츠 제공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중인 전기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전기차 충전소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갖는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충전 수행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를 상기 IP 주소에 매칭시키는 무선 단말기 판단부; 및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전기차의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로 컨텐츠의 제공 시작과 종료를 판단하는 충전 수행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제공된 컨텐츠 제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인식하는 무선 단말기 인식부;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구성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전기차 충전소에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각각이 구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소에서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하는 이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충전을 위해 기다리는 지루함을 제거하고 이용자가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차 충전소는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의 무선 연결을 중계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만을 구비하고, 충전 중인 전기차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회사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하여 회원 등록된 전기차 충전소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소가 개별적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전기차 충전소 내에 위치하며 전기차에 대응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전기차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소 내의 전기차 외부에서도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회원 등록된 다수의 전기차 충전소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회사가 충전을 수행한 전기차별로 컨텐츠 제공 이력을 보유함으로써, 이용자가 충전을 수행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이용자는 다른 전기차 충전소에서 제공 받는 도중에 중단된 컨텐츠를 연속적인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중인 전기차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중단된 컨텐츠의 제공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가 할당되고 상기 전기차의 충전 수행에 따라 할당된 IP 주소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중인 전기차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중인 전기차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살펴보면, 전기차 충전소(100)에는 전기차(10)의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150)와 무선 단말기(50)에 다양한 컨텐츠 제공을 중계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설치되고, 전기차 충전소(100)와는 별도로 전기차 충전소(100)의 외부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통해 전기차(10)의 충전시 전기차(10)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50)에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 자체가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보다 다양하고 품질 좋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별개로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동영상 컨텐츠, 쇼핑 컨텐츠, 금융 컨텐츠, 관광 컨텐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의 개별적인 컨텐츠 제공 회사의 컨텐츠 제공 장치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는 하나의 전기차 충전소(100)가 도시되었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장소의 복수개의 전기차 충전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기차 충전소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중계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통신사들은 무수히 많은 무선 중계 장치를 설치하여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서는 전기차 충전소(100)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해당 통신사에서 전기차 충전소(100)에 설치한 무선 중계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충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소(100)에 진입한 전기차(10)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50)에 IP 주소를 할당하는데, 이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무선 단말기 인식부(111)가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에 기초로 무선 단말기(50)가 전기차에 대응하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로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등의 다양한 무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데, 가령 통신사는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등록된 회원의 무선 단말기 외의 비승인 무선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기 위해서 무선 단말기의 맥 어드레스 등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접속 여부를 판단하여 그 인증 결과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등의 무선 중계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기가 전기차용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구성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무선 단말기(50)가 참여를 요청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무선 단말기 인식부(111)는 무선 단말기(5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신사의 인증 결과에 따라 무선 단말기가 전기차용 단말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서 통신사의 무선 단말기(50)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에 대한 차종이나 차량 번호 등의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50)가 전기차(10)에 대응되는 단말기로 확인되는 경우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네트워크 구성부(115)가 무선 단말기(50)에 IP 주소를 할당한다.
무선 단말기(50)는 전기차(10)에 장착된 네비게이션이나 다양한 미디어 플레이어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기차(10)의 이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무선 단말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전기차(10)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차용 무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맥 어드레스 등의 식별정보 자체로 전기차에 대응되는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무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맥 어드레스 등의 정보만으로 전기차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통해 사전에 전기차에 대응시켜 등록한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참여 요청시에 무선 단말기(50)를 통해 대응될 전기차 정보를 입력 받아 생성된 식별정보로 무선 단말기(50)를 전기차에 대응시킬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관련된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통해 무선 단말기(50)에 할당된 IP 주소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좀 더 살펴보자면, 도 3의 (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며,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무선 단말기 판단부(210), 충전 수행 판단부(230), 회원 DB(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단말기 판단부(21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통해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50)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차량 번호나 차량 고유 코드 등의 전기차 정보를 상기 IP 주소와 매칭시키는데, 전기차 충전소(100)에 진입하여 할당되는 IP 주소는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변동적이므로 전기차(10)의 충전 수행에 따라서 변동적인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50)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기차(10)와 IP 주소를 매칭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 판단부(210)는 사전에 전기차에 대응시켜 등록된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보유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맥 어드레스 등의 정보만으로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인지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보유한 식별정보를 기초로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 할당을 승인할 수도 있으며 또는 관련 정보를 보유하지 않은 무선 단말기로부터는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를 입력 받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IP 주소 할당을 승인할 수도 있다.
충전 수행 판단부(230)는 전기차 충전소(100)의 충전 장치(150)로부터 전기차(10)의 충전 수행 정보를 수집하는데, 가령 충전을 시작한 전기차(10)에 대한 전기차 식별 정보, 충전을 종료한 전기차(10)에 대한 전기차 식별 정보 등의 충전 수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전기차(10)의 충전량, 충전 일시 등의 부가적인 충전 수행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회원 DB(250)는 사전에 전기차에 대응시켜 등록된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전기차 충전소(100)에서 충전 수행에 따라 제공받은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중인 전기차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소마다 별개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없이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전기차의 무선 단말기에 대한 무선 연결을 중계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컨텐츠 제공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별도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회사를 통해 더욱 양질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중인 전기차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전기차 충전소로 충전을 위해 전기차가 진입하여 상기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50)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 네트워크 가입에 대한 접속 요청(S10)이 있으며,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접속을 요청한 무선 단말기(50)가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인지를 판단(S100)하고,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50)로 판단되는 경우에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무선 단말기(50)에 IP 주소를 할당(S200)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50)가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인지의 판단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수행할 수도 있는데, 가령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통신사의 무선 중계 장치인 경우에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무선 단말기(50)가 가입된 해당 통신사가 전달받아 무선 단말기(50)의 네트워크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인증결과를 기초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단말기(50)가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로는 맥 어드레스 등의 다양한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해당 통신사는 무선 단말기(50)의 가입자 정보로서 무선 단말기의 정보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에 대한 차종, 차량번호 등의 다양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무선 단말기(50)의 네트워크 접속 인증 결과와 함께 무선 단말기(50)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무선 단말기(50)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무선 단말기(50)에 대한 전기차 대응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데, 무선 단말기(50)의 전기차 대응 여부 확인 과정과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IP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무선 단말기(50)로부터 접속 요청(S10)을 수신하면, 먼저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무선 단말기(50)의 맥 어드레스 등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기초로 전기차 대응여부를 판단(S110)하게 된다. 즉, 무선 단말기(50)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S10)에 따라 해당 통신사는 무선 단말기(50)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무선 단말기(50)의 네트워크 접속 자격을 판단하는데, 이때 상기 해당 통신사는 무선 단말기(50)의 고유 정보로 무선 단말기(5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전기차용 무선 단말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단말기(50)에 대한 해당 통신사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인증 결과로 무선 단말기(50)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해당 통신사가 보유한 무선 단말기(50)에 대한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전기차의 정보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나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전기차 대응여부가 판단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S120)하고 무선 단말기(50)에 IP 주소를 할당(S200)하는데, 이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해당 통신사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차의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할당된 IP 주소로 무선 단말기가(50)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연결되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상기 해당 통신사로부터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정보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해당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를 인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데, 즉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와 전기차 정보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으며, 이후 매칭된 정보를 근거로 전기차의 충전 시작에 따라 무선 단말기(50)에 컨텐츠 제공을 시작하고 전기차의 충전 종료에 따라 무선 단말기(50)에 컨텐츠 제공을 중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전기차 대응여부를 판단(S110)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무선 단말기(50)의 접속 허용 여부에 대하여 질의(S130)를 하는데, 이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전송된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전에 전기차에 대응되는 무선 단말기로 등록된 무선 단말기인지를 판단(S140)하여 등록된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라 판단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 무선 단말기(50)에 대한 접속을 승인(S150)하고, 접속 승인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단말기(50)에 IP 주소를 할당한다.
나아가서 접속을 요청한 무선 단말기(50)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등록된 무선 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50)로부터 대응되는 전기차에 대한 정보를 입력(S160) 받아 입력된 정보로 무선 단말기(50)의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IP 주소를 할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무선 단말기가 전기차에 대응되는 전기차용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가입을 위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차에서만 사용되는 단말기가 아닌 다양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경우에도 전기차에 대응시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므로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하는 이용자는 충전 수행 중에 전기차의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소 내의 전기차 외부에서도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어 충전 중의 컨텐츠 제공에 있어서 이용자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4의 실시예로 회귀하여 IP 주소 할당(S200) 이후 과정을 계속 살펴보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무선 단말기(50)에 IP 주소가 할당되면, 무선 단말기(5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통해 할당된 IP 주소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연결(S210)된다.
그러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할당된 IP 주소로 연결된 무선 단말기(50)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IP 주소와 상기 전기차 정보를 매칭시켜 무선 단말기(50)를 인식(S230)하고, 이후에 상기 전기차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 수행에 따라 상기 IP 주소로 연결된 무선 단말기(50)에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의 전송을 차단하게 된다.
즉,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기차에 대한 충전 시작 정보를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150)로부터 수신하면, 무선 단말기(50)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전송(S330)하는데,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무선 단말기(50)를 인식(S230)한 후 충전 장치(150)로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기차에 대한 충전 수행 정보를 요청(S310)하여 충전 장치(150)가 상기 전기차에 대한 충전 시작과 충전 종료에 대한 충전 수행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정보의 IP 주소로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무선 단말기(50)와 연결(S340)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다양한 컨텐츠 내용을 무선 단말기(50)에 제시하고 무선 단말기(50)에서 요청하는 컨텐츠를 제공(S350)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어느 한 곳의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 수행에 따라 제공받던 도중에 중단된 컨텐츠에 대하여 다른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 수행을 하더라도 중단된 컨텐츠를 다시 연속해서 제공받을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중단된 컨텐츠의 제공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무선 단말기(50)에 IP 주소가 할당(S200)되어 할당된 IP 주소로 무선 단말기(50)가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연결되면,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무선 단말기(50)에 대한 컨텐츠 제공 이력 정보를 추출(S240)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이력 정보에서 충전 종료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이 중단된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 정보를 무선 단말기(50)에 제공(S250)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50)를 통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전송(S335)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중단된 시점부터 다시 연속하여 컨텐츠를 무선 단말기(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50)에 대한 컨텐츠 제공 이력 정보를 추출(S240)하는 과정부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전송(S335)하는 과정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무선 단말기(50)를 인식하는 과정(S230) 직후 수행될 수도 있고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충전 장치(150)로부터 전기차의 충전 시작 정보를 수신(S320)한 후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는 과정 수행의 선후와 상관 없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4의 실시예로 돌아와서 충전 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이어서 계속 살펴보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기차에 대한 충전 종료 정보를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150)로부터 수신하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50)의 접속 차단 정보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 전송(S370)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단말기(50)에 할당된 IP 주소를 해제(S400)하여 무선 단말기(50)의 네트워크 접속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중단된 컨텐츠를 다시 연속해서 제공하기 위해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무선 단말기(50)에 제공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해야 하므로,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기차에 대한 충전 종료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50)의 접속 차단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전송(S380)하면, 상기 접속 차단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무선 단말기(50)로의 컨텐츠 제공을 중단(S390)하고 중단된 컨텐츠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소에서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하는 이용자에게 위해 다양하고 품질 좋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충전을 위해 기다리는 지루함을 제거하고 이용자가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특히 충전 중인 전기차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회사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하고 회원 등록된 전기차 충전소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소가 자체적으로 개별적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 이용자가 전기차 내에서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소 내의 전기차 근방에서도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어 이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기차, 50 : 무선 단말기,
100 : 전기차 충전소,
110 :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111 : 무선 단말기 인식부,
115 : 네트워크 구성부, 150 : 충전 장치,
200 :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210 : 무선 단말기 판단부,
230 : 충전 수행 판단부, 250 : 회원 DB,
300 : 컨텐츠 제공 장치.

Claims (14)

  1. 전기차 충전소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가 할당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외부에 위치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로 연결되는 무선 단말기 접속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를 통해 상기 전기차의 충전 수행 여부에 대한 충전 수행 정보를 제공 받는 충전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로 컨텐츠 정보 전송을 위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접속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가입 요청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상기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IP 주소 할당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기 IP 주소로 연결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 연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에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네트워크 가입 요청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질의 신호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판단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가입 요청과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전기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컨텐츠 제공 이력 정보에서 전송 중단된 컨텐츠 제공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 중단된 컨텐츠 제공 정보 중 선택된 컨텐츠 제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 단계에서 접속 정보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전기차 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차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식별 정보와 충전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차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식별 정보와 충전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의 접속 차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의 접속 차단 정보와 진행중인 컨텐츠 제공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진행중인 컨텐츠 제공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0. 전기차 충전소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갖는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IP 주소가 할당된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충전 수행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중인 전기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를 상기 IP 주소에 매칭시키는 무선 단말기 판단부; 및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장치로부터 전기차의 충전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할당된 IP 주소로 컨텐츠의 제공 시작과 종료를 판단하는 충전 수행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중인 전기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 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제공된 컨텐츠 제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중인 전기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기차 대응 여부를 인식하는 무선 단말기 인식부;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중인 전기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전기차 충전소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각각이 구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중인 전기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30024862A 2013-03-08 2013-03-08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54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862A KR101548948B1 (ko) 2013-03-08 2013-03-08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14/201,839 US9886813B2 (en) 2013-03-08 2014-03-08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to user equipment associated with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862A KR101548948B1 (ko) 2013-03-08 2013-03-08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151A true KR20140111151A (ko) 2014-09-18
KR101548948B1 KR101548948B1 (ko) 2015-09-03

Family

ID=5148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862A KR101548948B1 (ko) 2013-03-08 2013-03-08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86813B2 (ko)
KR (1) KR101548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456A (ko) * 2016-05-02 2017-11-10 주식회사 차지인 충전 방법 및 장치
CN111016718A (zh) * 2019-12-16 2020-04-17 苏州奇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充电桩管理系统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6258B2 (en) * 2014-03-26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wireless charging management
US9661402B2 (en) * 2014-07-15 2017-05-23 The Nielsen Company (Us), Llc Embedding information in generated acoustic signals
US10298540B2 (en) * 2016-04-01 2019-05-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network node for transmitting IP address information, an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IP address information
DE102016221640A1 (de) * 2016-11-04 2018-05-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Ladevorgangs an einer Ladestation
WO2018195327A1 (en) 2017-04-19 2018-10-25 Chase Arnold Remote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vehicle charging
PL422157A1 (pl) * 2017-07-09 2019-01-14 Evgrid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Rozproszona stacja ładowania pojazdów elektrycznych
DE102018005252A1 (de) * 2018-07-02 2020-01-02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
CN109544816A (zh) * 2019-01-14 2019-03-29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购物车锁解锁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DE102019111273A1 (de) * 2019-05-02 2020-11-05 innogy eMobility Solutions GmbH Verfahren zum Starten eines Ladevorgangs an einer Ladestation
DE102019121085B4 (de) * 2019-08-05 2021-03-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Netzwerkanordnung und Adressierung von Netzwerkkomponenten für einen Ladepark
DE102020103645A1 (de) 2020-02-12 2021-08-12 innogy eMobility Solutions GmbH Kommunikationssystem für eine Ladestation für Elektrofahrzeuge, Ladestationssystem und Ladeinfrastruktur
DE102020105894A1 (de) 2020-03-05 2021-09-09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entsprechendes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raftfahrzeuganordnung
CN112712720A (zh) * 2020-12-31 2021-04-27 金茂智慧科技(广州)有限公司 车位占用后的多媒体导航方法、装置、介质及终端设备
KR102591586B1 (ko) 2021-01-18 2023-10-31 주식회사 에스알에프 전기차 충전소 이용 차량에 IoT기반 전장시스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WO2023018662A1 (en) * 2021-08-12 2023-02-16 Volta Charg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check-in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659B2 (en) * 2001-05-28 2006-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SG138435A1 (en) * 2001-07-17 2008-01-28 Mitsubishi Materials Corp Communication system, mobile unit database server, mobile radio router, charging method, and vehicle mounted router and agent server therewith
US20030103482A1 (en) * 2001-12-04 2003-06-05 Van Bosch James A. Method of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50215200A1 (en) * 2004-03-25 2005-09-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vehicle WiFi access point gateway
JP2006287705A (ja) * 2005-04-0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システム、車両用情報通信装置並びに屋内情報処理装置
US7734803B2 (en) * 2005-05-06 2010-06-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ption-based content distribution to vehicles via wireless communication
JP4719524B2 (ja) * 2005-07-15 2011-07-06 株式会社リコー コンテンツ送信システム
JP2007200296A (ja) 2005-12-26 2007-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JP4962939B2 (ja) * 2006-03-03 2012-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車両の情報機器
KR101225077B1 (ko) 2006-03-07 2013-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US8781442B1 (en) * 2006-09-08 2014-07-15 Hti Ip, Llc Personal assistance safety systems and methods
US8953610B2 (en) * 2007-02-02 2015-02-10 Silver Spring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it between two IPV6 nodes of a utility network connected VIA an IPV4 network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
US8270965B2 (en) * 2007-04-05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over cellular networks to reduce the Wi-Fi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JP4466728B2 (ja) * 2007-12-03 2010-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US20100145837A1 (en) * 2008-12-05 2010-06-10 Lava Four, Llc Network for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of recharging processes for vehicles equipped with electrically powered propulsion systems
US8171517B2 (en) * 2008-12-12 2012-05-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to vehicles
US10189359B2 (en) * 2009-02-17 2019-01-29 Chargepoint, Inc. Transmitting notification message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US9003500B2 (en) * 2009-03-13 2015-04-07 Hti Ip, Ll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ynchronizing media content between a vehicle device and a user device
KR101154525B1 (ko) * 2009-07-07 2012-06-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02618B1 (ko) 2009-07-07 2012-01-0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교체 충전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354913B2 (en) * 2009-07-23 2013-01-15 Chargepoint, Inc. Authorization in a network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20110101846A (ko) 2010-03-10 2011-09-16 최인숙 차량 충전 장치를 겸한 전력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WO2011126600A1 (en) * 2010-04-07 2011-10-13 Silver Spring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20120032765A1 (en) * 2010-07-21 2012-02-09 Apple Inc. Magnetic fasteners
US9768956B2 (en) * 2010-07-28 2017-09-19 General Motor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vehicles and service providers
US20120047036A1 (en) * 2010-08-23 2012-02-23 Ncr Corporation Transaction system which combines vehicle battery charging with other services
US20120109447A1 (en) * 2010-11-03 2012-05-03 Broadcom Corporation Vehicle black box
US8863256B1 (en) * 2011-01-14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flexible identity management in a vehicular environment
US20120182939A1 (en) * 2011-01-14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Telehealth wireless communication hub and service platform system
KR20120102462A (ko)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전기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DE102011007912A1 (de) * 2011-04-21 2012-10-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fbau einer IP-basierten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einem Elektrofahrzeug und einer Ladesteuereinheit
WO2013043867A2 (en) * 2011-09-21 2013-03-28 Jeff Thraman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connectivity to mobile devices to provide local information
US8797958B2 (en) * 2011-12-21 2014-08-05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wirelessly communicating data between vehicles and central facilities
KR20130100822A (ko) * 2012-02-01 2013-09-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89455B2 (en) * 2012-02-22 2017-03-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server, and remote control terminal
US8941463B2 (en) * 2012-03-20 2015-01-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lectric vehicle reserve charge authorization and distribution
US20130311264A1 (en) * 2012-05-18 2013-11-21 James Solomon Connecting electric vehicle operators and organizations
US8914189B2 (en) * 2012-08-23 2014-12-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in a vehicle consist
US9317086B2 (en) * 2012-11-16 2016-04-19 Volkswagen Ag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a charging process of an electric vehicle
US9614585B2 (en) * 2013-01-30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communication devices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medi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456A (ko) * 2016-05-02 2017-11-10 주식회사 차지인 충전 방법 및 장치
CN111016718A (zh) * 2019-12-16 2020-04-17 苏州奇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充电桩管理系统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8457A1 (en) 2014-09-11
KR101548948B1 (ko) 2015-09-03
US9886813B2 (en)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948B1 (ko)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06696738B (zh) 一种电动汽车的无线充电方法、装置及系统
US11186195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point
US1142052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activat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CN107786548B (zh) 充电管理方法及装置、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097666B (zh) 充电的方法及装置
CN109979103B (zh) 换电站服务端及换电处理方法、换电站的换电方法及系统
CN105225348A (zh) 基于二维码的充电桩管理方法
CN110784836B (zh) 一种个人移动终端在飞机上实现宽带通信的系统及方法
CN102056135A (zh) 移动终端的注册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CN107182035A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US20190263271A1 (en) Execution of charge session swap based on charging priority
KR20200101979A (ko) 요금 계산 처리 방법과 장치 및 차량 결제 시스템
US20140337253A1 (en) Transmitting charge event information to electrical utility through telematic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CN104300657A (zh) 电动车无线充电控制装置及方法
CN104299040A (zh) 预约充电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20190083206A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CN105682233A (zh) 一种无线保真wi-fi分享方法及装置
US2022013489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tecting a charging station against improper use
KR20190123914A (ko) 유료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충전 관리시스템
KR20190058835A (ko) IoT 기반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플랫폼
CN117014835A (zh) 一种车辆热点连接方法、装置、车辆和存储介质
CN103888927A (zh) 一种带宽费用确定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CN112822642B (zh) 一种基于v2x的车辆派发方法、装置及系统
KR102471244B1 (ko) 전기차 대리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