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822A -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822A
KR20130100822A KR20120010314A KR20120010314A KR20130100822A KR 20130100822 A KR20130100822 A KR 20130100822A KR 20120010314 A KR20120010314 A KR 20120010314A KR 20120010314 A KR20120010314 A KR 20120010314A KR 20130100822 A KR20130100822 A KR 2013010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data
electric vehic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1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10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0822A/ko
Priority to US14/374,432 priority patent/US20140358649A1/en
Priority to CN201280068514.XA priority patent/CN104081422A/zh
Priority to PCT/KR2012/008130 priority patent/WO2013115455A1/ko
Publication of KR2013010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게 되면, 이전에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and advertisement of electric vehicle,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시대의 자동차는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완되면서 대표적인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근래에 들어서 대형 고급 차종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소형차 등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한 가구당 한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에는,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EV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차량 구동을 위한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하여야 하며, 배터리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는 전기자동차의 모든 전자 기능이 정지된다. 따라서, 배터리 충전 중에도 부가서비스를 제공 받거나 실행할 수 있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에도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에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를 컨텐츠 실행 중 랜덤하게 출력하고, 차후의 배터리 재충전과정에서 출력횟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 받을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컨텐츠제공장치와 광고제공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보조배터리장치 및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광고데이터를 출력하고,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차량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컨텐츠제공장치 및 광고제공장치와 통신하여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된 광고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는 충전소관리장치와 통신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광고데이터를 출력하고,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관리모듈과,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는 광고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운로드된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 DB와, 광고데이터의 광고출력 횟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는 전기자동차의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하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에 따라 광고데이터의 광고출력 횟수에 대한 정보를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하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가 다수의 컨텐츠 다운로드를 컨텐츠제공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보조배터리장치가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광고제공장치로부터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보조배터리장치가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는 단계는 보조배터리장치가 차량관리장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 전송 요청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 종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은 차량관리장치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실행하는 단계와, 차량관리장치가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차량관리장치가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차량관리장치가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출력하는 단계는 차량관리장치가 컨텐츠 재생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실행되면, 차량관리장치가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차량관리장치가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연관된 할인율에 따라 충전금액을 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제공장치가 전기자동차의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광고제공장치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광고제공장치가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광고제공장치가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다운로드된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할인율에 따라 충전금액을 결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에 보조배터리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게 되면, 이전에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소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을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네비게이션 장치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100)은 차량관리장치(10), 보조배터리장치(20), 충전소관리장치(30), 컨텐츠제공장치(40), 광고제공장치(50) 및 통신망(60)으로 구성된다.
통신망(60)은 차량관리장치(10), 보조배터리장치(20), 충전소관리장치(30), 컨텐츠제공장치(40) 및 광고제공장치(5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차량관리장치(1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종료에 따라 보조배터리장치(20)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차량관리장치(10)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컨텐츠 재생 중에 광고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차량관리장치(10)는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를 저장한다.
보조배터리장치(2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보조배터리장치(20)는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보조배터리장치(20)는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완료 여부에 상관 없이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배터리장치(2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보조배터리장치(20)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소관리장치(3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충전소관리장치(30)는 광고제공장치(50)로부터 제공되는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할인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에 대한 금액의 결제를 요청한다.
컨텐츠제공장치(4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에 보조배터리장치(2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제공장치(40)는 광고제공장치(50)로 광고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광고제공장치(50)는 보조배터리장치(20)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제공한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광고제공장치(50)는 차량관리장치(10)로부터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광고제공장치(50)는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20)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미완료인 상태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남은 파일 용량 및 데이터 수신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남은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보조배터리장치(20)는 산출된 남은 시간정보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이후, 차량관리장치(10)는 남은 시간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화면 출력 또는 오디오 출력을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게 되면, 이전에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1)는 컨텐츠관리모듈(11a) 및 광고관리모듈(11b)을 포함하고, 저장부(14)는 컨텐츠 DB(14a), 광고데이터 DB(14b) 및 광고출력횟수(14c)를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출력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컨텐츠관리모듈(11a) 및 광고관리모듈(11b)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컨텐츠 DB(14a), 광고데이터 DB(14b) 및 광고출력횟수(14c)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컨텐츠 DB(14a)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20)로 다운로드된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광고데이터 DB(14b)는 광고제공장치(50)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저장하고, 광고출력횟수(14c)는 광고데이터의 출력 횟수를 저장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에 대한 모든 효과음, 설정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통신부(16)는 서비스장치(30)와 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3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40)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3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40)에 접속하며, 통신망(40)을 통해 서비스장치(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6)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에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보조배터리장치(2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종료에 따라 보조배터리장치(20)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제어부(11)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출력하고,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관리모듈(11a)과,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는 광고관리모듈(11b)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20)는 제어부(21), 저장부(22) 및 통신부(23)로 구성된다. 이때, 저장부(22)는 컨텐츠 DB(22a) 및 광고데이터 DB(22b)를 포함한다.
통신부(23)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에 컨텐츠제공장치(40) 및 광고제공장치(50)와 통신하여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3)는 배터리의 충전 종료에 따라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저장부(22)는 보조배터리장치(20)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2)는 컨텐츠제공장치(4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22a)와 광고제공장치(50)로부터 수신된 광고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 DB(22b)를 포함한다.
제어부(21)는 보조배터리장치(20)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1)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에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전기자동차의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전기자동차의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20)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미완료인 상태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남은 파일 용량 및 데이터 수신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남은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보조배터리장치(20)는 산출된 남은 시간정보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소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소관리장치(30)는 제어모듈(31), 저장모듈(32) 및 통신모듈(33)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모듈(31)은 정산모듈(31a)을 포함한다.
통신모듈(33)은 차량관리장치(10)와 통신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저장모듈(32)은 충전소관리장치(30)의 기능 실행에 따른 전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모듈(31)은 차량관리장치(10)의 요청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광고제공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할인율에 대한 정보에 따라 차량관리장치(10)로 배터리 충전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제공장치(50)은 제어모듈(51), 저장모듈(52) 및 통신모듈(53)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모듈(51)은 할인율산출모듈(51a)을 포함한다.
통신모듈(53)은 전기자동차의 보조배터리장치(20)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모듈(53)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경우, 광고데이터의 광고출력 횟수에 대한 정보를 차량관리장치(10)로부터 수신한다.
저장모듈(52)은 광고제공장치(50)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모듈(51)은 광고제공장치(50)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모듈(51)은 보조배터리장치(20)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한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제어모듈(51)은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한다. 이후, 제어모듈(51)은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컨텐츠제공장치(40) 및 광고제공장치(5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차량관리장치(10)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을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량관리장치(10)와 충전소관리장치(30)는 S11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실행한다.
보조배터리장치(20)는 S13 단계에서 컨텐츠제공장치(40)로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그리고, 컨텐츠제공장치(40)는 S15 단계에서 보조배터리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광고제공장치(50)로 광고데이터를 요청한다. 이후, 컨텐츠제공장치(40)는 S17 단계에서 보조배터리장치(20)로 다수의 컨텐츠를 전송한다. 또한, 광고제공장치(50)는 S19 단계에서 보조배터리장치(20)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한다.
보조배터리장치(20)는 S21 단계는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저장한다.
보조배터리장치(20)는 S25 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전기자동차의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보조배터리장치(20)는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배터리장치(2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보조배터리장치(20)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차량관리장치(10)는 S27 단계에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저장한다.
차량 운행 중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차량관리장치(10)는 S29 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한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차량관리장치(10)는 S31 단계에서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한다. 그리고, 차량관리장치(10)는 S33 단계에서 출력된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20)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미완료인 상태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남은 파일 용량 및 데이터 수신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남은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보조배터리장치(20)는 산출된 남은 시간정보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이후, 차량관리장치(10)는 남은 시간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화면 출력 또는 오디오 출력을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게 되면, 이전에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량관리장치(10)와 충전소관리장치(30)는 S41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을 실행한다.
배터리 재충전이 실행되면, 차량관리장치(10)는 S43 단계에서 컨텐츠 실행 중 랜덤하게 출력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장치(50)로 전송한다.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광고제공장치(50)는 S45 단계에서 할인율을 산출한다. 즉, 광고제공장치(5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금액에 적용될 수 있는 할인율을 산출한다. 이후, 광고제공장치(50)는 S47 단계에서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차량관리장치(10)와 충전소관리장치(30)는 S49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충전소관리장치(30)는 S51 단계에서 할인율이 적용된 금액의 정산을 차량관리장치(10)로 요청한다.
차량관리장치(10)는 S53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 금액에 대한 결제를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장치(10)는 S61 단계에서 충전소관리장치(30)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요청하고, 이를 실행한다.
차량관리장치(10)는 S65 단계에서 보조배터리장치(20)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요청한다. 이때, 차량관리장치(10)는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에 보조배터리장치(20)를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보조배터리장치(20)를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차량관리장치(10)는 S65 단계에서 보조배터리장치(20)로부터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차량 운행 중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차량관리장치(10)는 S69 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한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차량관리장치(10)는 S71 단계에서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한다. 그리고, 차량관리장치(10)는 S73 단계에서 출력된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를 저장한다.
차량관리장치(10)는 S75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을 실행하는지 판단한다. 배터리 재충전이 실행되면, 차량관리장치(10)는 S77 단계에서 컨텐츠 실행 중 랜덤하게 출력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장치(50)로 전송한다.
충전소관리장치(30)는 S79 단계에서 차량관리장치(10)로부터 할인율이 적용된 금액의 정산 요청에 따라 배터리 충전 금액에 대한 결제를 실행한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게 되면, 이전에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20)는 S81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실행되면, 컨텐츠제공장치(40)로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이후, 보조배터리장치(20)는 S83 단계에서 컨텐츠제공장치(40)와 광고제공장치(50)로부터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보조배터리장치(20)는 S87 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전기자동차의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보조배터리장치(20)는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배터리장치(2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보조배터리장치(20)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장치(20)는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미완료인 상태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의 남은 파일 용량 및 데이터 수신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남은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보조배터리장치(20)는 산출된 남은 시간정보를 차량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제공장치(50)는 S91 단계에서 컨텐츠제공장치(40)로부터 광고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한다. 이후, 광고제공장치(50)는 S93 단계에서 보조배터리장치(20)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한다.
광고제공장치(50)는 S95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요청되면, 배터리 재충전 차량인지를 확인한다. 배터리 재충전 대상인 경우, 광고제공장치(50)는 S97 단계에서 차량관리장치(10)로부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광고제공장치(50)는 S101 단계에서 할인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한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에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게 되면, 이전에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차량관리장치 20: 보조배터리장치 30: 충전소관리장치
40: 컨텐츠제공장치 50: 광고제공장치 60: 통신망
11, 21: 제어부 12, 22: 입력부 13, 2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통신부
11a: 컨텐츠관리모듈 11b: 광고관리모듈 14a, 22a: 컨텐츠 DB
14b, 22b: 광고데이터 DB 14c: 광고출력횟수 31, 51: 제어모듈
32, 52: 저장모듈 33, 53: 통신모듈 31a: 정산모듈
51a: 할인율산출모듈 100: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Claims (14)

  1.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컨텐츠제공장치와 광고제공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보조배터리장치; 및
    상기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광고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차량관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2.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컨텐츠제공장치 및 광고제공장치와 통신하여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상기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상기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된 광고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저장모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장치.
  4. 충전소관리장치와 통신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광고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관리모듈과,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중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는 광고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상기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운로드된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상기 광고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 DB와, 상기 광고데이터의 광고출력 횟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장치.
  7. 전기자동차의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에 따라 상기 광고데이터의 광고출력 횟수에 대한 정보를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상기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8.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보조배터리장치가 다수의 컨텐츠 다운로드를 컨텐츠제공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조배터리장치가 상기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광고제공장치로부터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배터리장치가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차량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배터리장치가 차량관리장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 전송 요청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종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
  10. 차량관리장치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실행하는 단계;
    상시 차량관리장치가 보조배터리장치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관리장치가 상기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관리장치가 상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관리장치가 상기 컨텐츠 재생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랜덤하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데이터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실행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가 상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관리장치가 상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에 연관된 할인율에 따라 충전금액을 결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
  13. 광고제공장치가 전기자동차의 보조배터리장치로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상기 광고데이터에 대한 출력횟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산출된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충전소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방법.
  14.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중 다수의 컨텐츠와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재충전이 요청되면, 상기 광고데이터의 출력횟수 정보를 기초로 충전금액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할인율에 따라 충전금액을 결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20010314A 2012-02-01 2012-02-01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100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0314A KR20130100822A (ko) 2012-02-01 2012-02-01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4/374,432 US20140358649A1 (en) 2012-02-01 2012-10-08 System, methods, and device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when charing electric vehicle
CN201280068514.XA CN104081422A (zh) 2012-02-01 2012-10-08 在对电动车辆充电时提供附加服务的系统、方法和装置
PCT/KR2012/008130 WO2013115455A1 (ko) 2012-02-01 2012-10-08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들 및 장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0314A KR20130100822A (ko) 2012-02-01 2012-02-01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22A true KR20130100822A (ko) 2013-09-12

Family

ID=4890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10314A KR20130100822A (ko) 2012-02-01 2012-02-01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58649A1 (ko)
KR (1) KR20130100822A (ko)
CN (1) CN104081422A (ko)
WO (1) WO201311545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583A1 (ko) *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0658A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광고부가 구비된 전기차 충전 장치
WO2021125600A1 (ko) * 2019-12-20 2021-06-24 주식회사 아이젠 전기차용 결제 중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48B1 (ko) * 2013-03-08 2015-09-03 주식회사 케이티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06156602B (zh) * 2015-04-01 2020-04-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操作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108349402B (zh) * 2015-11-09 2022-05-24 法拉第未来公司 车辆充电系统
WO2017112646A1 (en) * 2015-12-21 2017-06-29 Faraday & Futu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vehicle charging and content delivery
JP6984313B2 (ja) * 2017-10-27 2021-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US20190130451A1 (en) * 2017-10-30 2019-05-02 Iotecha Corp.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a targeted advertisement by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N110460120A (zh) * 2018-05-07 2019-11-15 畅充科技(上海)有限公司 充电方法、装置及终端充电设备
CN110460121A (zh) * 2018-05-07 2019-11-15 畅充科技(上海)有限公司 充电方法、装置及终端充电设备
WO2019213814A1 (zh) * 2018-05-07 2019-11-14 畅充科技(上海)有限公司 充电方法、装置及终端充电设备
CN110460118A (zh) * 2018-05-07 2019-11-15 畅充科技(上海)有限公司 充电方法、装置及终端充电设备
CN110460119A (zh) * 2018-05-07 2019-11-15 畅充科技(上海)有限公司 充电方法、装置及终端充电设备
EP3708411A1 (de) * 2019-03-13 2020-09-16 Audi AG Verfahren zum informationsaustausch zwischen einer ladestation und einem fahrzeug während einem ladevorgang
JP7012039B2 (ja) * 2019-03-25 2022-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ービス手配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手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973A (ja) * 2002-09-04 2004-03-25 Kenwood Corp データ取得システム
US20060173974A1 (en) * 2005-02-02 2006-08-03 Victor Ta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ccess to personal media
US7475358B2 (en) * 2006-02-14 2009-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ternate progress indicator displays
JP4962939B2 (ja) * 2006-03-03 2012-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車両の情報機器
JP4466728B2 (ja) * 2007-12-03 2010-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US20100037072A1 (en) * 2008-08-06 2010-02-11 Sunman Engineering, Inc. Detachable Vehicle Computing Device
KR101102618B1 (ko) * 2009-07-07 2012-01-0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교체 충전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54525B1 (ko) * 2009-07-07 2012-06-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8493025B2 (en) * 2010-02-23 2013-07-23 Optimization Technologies,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dvertising systems
WO2011156776A2 (en) * 2010-06-10 2011-12-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mart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and grid integr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20032765A1 (en) * 2010-07-21 2012-02-09 Apple Inc. Magnetic fastener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583A1 (ko) *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77689B2 (en) 2015-07-30 2021-04-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90100658A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광고부가 구비된 전기차 충전 장치
WO2021125600A1 (ko) * 2019-12-20 2021-06-24 주식회사 아이젠 전기차용 결제 중계 시스템
KR20210079572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아이젠 전기차용 결제 중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5455A1 (ko) 2013-08-08
CN104081422A (zh) 2014-10-01
US20140358649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0822A (ko)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122866A (zh) 预估乘客取消订单行为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7133697A (zh) 预估司机接单意愿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037929B (zh) 一种信息接力输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144083A (zh) 用于管理用户设备的存储器的方法和设备
US10365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of vehicle
CN105678532A (zh) 在游戏内支付的系统及方法
KR10138302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N102567110A (zh) 空闲时间业务
CN112700636B (zh) 用于更新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47946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101755012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KR20140062393A (ko) 지도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30011351A (ko) 스마트 정보를 이용한 차량 운행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20120136967A (ko) 환율 개념을 적용한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N104980813A (zh) 限制信息分发装置、限制信息分发系统
CN111475230A (zh) 应用的功能配置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147283A (zh) 一种显示内容切换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826279B1 (ko)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N102665096A (zh) 无线分发系统代理高速缓存
CN113706200B (zh) 用于确定单车调度计划的方法、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101810024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2016649A1 (zh) 智能笔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54597B1 (ko) 배터리 충전량을 고려한 위치정보신호 제공을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102067655B1 (ko) 퀵 메뉴 편집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