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06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068A
KR20140111068A KR1020130022471A KR20130022471A KR20140111068A KR 20140111068 A KR20140111068 A KR 20140111068A KR 1020130022471 A KR1020130022471 A KR 1020130022471A KR 20130022471 A KR20130022471 A KR 20130022471A KR 20140111068 A KR20140111068 A KR 20140111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light
polariz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554B1 (ko
Inventor
강승모
김은주
김진련
송영기
박상대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554B1/ko
Priority to EP13196395.1A priority patent/EP2772796B1/en
Priority to EP16162272.5A priority patent/EP3059632B1/en
Priority to JP2013254776A priority patent/JP5740461B2/ja
Priority to TW102147495A priority patent/TWI514038B/zh
Priority to US14/140,142 priority patent/US9690134B2/en
Priority to CN201310726993.6A priority patent/CN104020598B/zh
Publication of KR2014011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068A/ko
Priority to JP2015089944A priority patent/JP601419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에 부착되는 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외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원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탑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은 광원(미도시), 도광판(21), 복수 개의 광학시트(22), 커버버텀(23), 반사시트(24), 및 서포트 메인(25)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21)은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액정패널(10) 방향으로 출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22)는 상기 도광판(2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시트(24)는 상기 도광판(21)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상기 액정패널(10)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버텀(23)은 상기 광원과 도광판(21)과 복수 개의 광학시트(22) 및 반사시트(2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 메인(25)은 상기 커버버텀(23)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액정패널(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탑(30)은 상기 액정패널(10)의 상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버텀(23)의 외주면과 결합된다.
이로써, 종래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서포트 메인(25) 및 케이스 탑(3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인하여 베젤(bezel)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탑 케이스(30)와 같은 구성요소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 자리 영역인 베젤(Bezel)의 폭(W)이 늘어나게 되어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경량화 및 박형화에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목적은 액정패널의 외부 또는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를 감싸는 편광부를 이용하여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이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에 부착되는 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외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편광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편광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부재는 상기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편광부재는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들과 평행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편광부재는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들과 평행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에 부착되고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_TAC) 층을 포함하는 제1 편광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AC 층은 상기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AC 층은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과 평행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외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편광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부착되고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층을 포함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AC 층은 상기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AC 층은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과 평행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제공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복수 개의 광학시트와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납부재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수납부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제공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복수 개의 광학시트와 내부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광원수용부재와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패널 지지부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도광판의 반입광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가 수납되는 복수 개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를 감싸는 상기 편광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의 광 누설을 차단하는 광누설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는 상기 편광부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는 차광테이프, 광흡수부재, 블랙 프린트 부재 및 블랙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대한 감소시켜 슬림(slim)한 디자인으로 설계 가능한 동시에 제로 베젤(zero bezel) 또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편광부를 이용하여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편광부를 이용하여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완벽하게 밀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원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편광부재의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도 4a에 도시된 편광부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단면도.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II - II' 방향의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II - II' 방향의 따른 단면도.
도 8a 및 8b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
도 10a 및 10b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c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10a) 및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를 감싸는 편광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101)과 컬러 기판(102) 및 상기 어레이 기판(101)과 상기 컬러 기판(102)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미도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패널의 파손 및 빛 샘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00)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상기 액정층을 통과함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는 상기 액정패널(100)에 상기 외부전원과 게이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는 연성 재질의 회로기판 및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정패널(100)과 연결되는 COF(chip on fli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OF는 고분자 물질인 폴리마이드(polymide)에 동박을 쌓은 후 회로를 형성하여 기판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액정패널의 동작을 위한 소스(source) 신호와 게이트(gate)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인 구동회로(Drive IC)를 본딩하여 실장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120)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즉, 상기 편광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상기 편광부(120)는 제1 편광부재(120a)와 제2 편광부재(12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 및 제2 편광부재(120b)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부재의 일면으로는 벤딩부가 형성된다.
즉,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 또는 제2 편광부재(120b)가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 방향으로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 및 4b는 본원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편광부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으로는 벤딩부(122a, 122b)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딩부(122a, 122b)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기 위해 연장 형성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연장부(EA)에 형성된다.
즉, 상기 벤딩부(122a, 122b)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상기 제1 편광부재(120a)가 용이하게 구부려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벤딩부(122a)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 끝단에서 1차로 구부려진다.
이후,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 외부 즉, 측면을 감싼 다음 배면을 감싸기 위하여 상기 벤딩부(122b)를 이용하여 2차로 구부려진다.
이로써,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다만,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에 형성되는 상기 벤딩부(122a. 122b)의 개수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도 4a에서는 좌표축을 기준으로 Y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상기 벤딩부(122a, 122b)가 형성되어 있지만, X 방향으로도 벤딩부가 함께 형성되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의 모든 방향으로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딩부(122a, 122b)는 선형(linear)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딩부(122a, 122b)는 불연속적인(discontinuous)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에 도시된 편광부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딩부(122a, 122b)는 다양한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에 상기 벤딩부(122a, 122b)를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벤딩부를 형성할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에 후술하게 될 광누설방지부재(140)를 결합한다.
이후, 상기 벤딩부(122a, 122b)와 동일한 형상의 음극 패턴(S1)을 포함하는 스테이지(S) 상부에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안착시킨 후 프레스 장치(P)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벤딩부(122a, 122b)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된 영역에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성형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에 상기 벤딩부(122a, 122b)를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일정한 온도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연신 시킨다.
이후, 벤딩부를 형성할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에 후술하게 될 광누설방지부재(140)를 결합한다.
이후, 상기 벤딩부(122a, 122b)와 동일한 형상의 음극 패턴(V1)을 구비하고 상기 음극 패턴(V1)으로는 다수 개의 홀(h)이 형성된 진공흡착 스테이지(V) 상부에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홀(h)을 통하여 상기 진공흡착 스테이지(V) 방향으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빨아 드린다.
이에 따라서, 상기 벤딩부(122a, 122b)가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에 상기 벤딩부(122a, 122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벤딩부(122a, 122b)는 앞서 설명한 프레스 제조방법과 진공성형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벤딩부의 형상과는 달리 홈 형상으로 갖게 된다.
먼저,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상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레이저 조사부(R)를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에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에 홈 형상의 상기 벤딩부(122a, 122b)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일면(121a)에 후술하게 될 광누설방지부재(140)를 결합한다.
이에 따라서, 앞선 도 5a 내지 도 5c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시예로 설명된 벤딩부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편광부재(120a) 또는 상기 제2 편광부재(120b)를 용이하게 구부리도록 가이드 하는 벤딩부를 상기 제1 편광부재(120a) 또는 상기 제2 편광부재(120b)의 일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I - I' 방향에 대한 제1 실시예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120)는 제1 편광부재(120a) 및 제2 편광부재(12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광부재(120b)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부착된다.
이로써, 상기 제2 편광부재(120b)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을 통과하는 광을 편광시켜 상기 액정패널(100)로 입사시킨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가 연결된 방향(X 축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광원과 수직한 방향에 있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측면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모두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 탑 및 가이드 패널과 같은 구조물을 삭제하고 상기 편광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을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밀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측면만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었으나, 상기 광원과 평행한 방향에 있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측면 또한 Y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인 CA 영역 및 이와 반대 방향의 영역(DA)을 상기 제1 편광부재(120a)가 감쌀 수 있다.
즉,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광원과 평행하는 면들 또한 연장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A 영역과 그 반대편 영역(DA)까지 감싸게 되어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120)에는 상기 광원의 광 누설을 차단하는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편광부(120)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즉, 도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내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광테이프 또는 프린트 인쇄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프린트 부재 또는 광흡수부재 또는 잉크 젯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내측면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외측면에는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을 가진 부재가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내측면에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경우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외측면으로는 형광색을 갖는 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II - II' 방향의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은 도광판(113a), 복수 개의 광학시트(115a), 수납부재(117a) 및 반사시트(119a)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13a)은 상기 광원(11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면 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액정패널(100)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115a)는 상기 도광판(113)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115a)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도광판(113a)을 통해 상기 액정패널(100) 방향으로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상기 확산된 광이 상기 집광시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확산된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집광시트는 상기 확산시트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17a)는 상기 도광판(113a) 및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115a)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117a)는 상기 액정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부(118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8a)의 상부에는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을 서로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양면이 접착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력을 구비하는 폼 패드 형상의 결합부재(116a)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117a)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패널(100)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113a),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115a) 및 상기 반사시트(119a)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측면보강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시트(119a)는 상기 도광판(113a)과 상기 커버버텀(117a)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113a)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100)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합하면, 도 2와 도 3a 및 도 4a를 바탕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11)과 수직한 방향의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측면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이뿐만 아니라, 상기 광원(111)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측면 또한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A 영역과 그 반대편 영역(DA)까지 감싸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광원(111)이 배치된 방향(도 2의 CA 영역)의 상기 수납부재(117a)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카메라의 렌즈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h)이 형성된 방향(도 2의 DA 영역)의 상기 수납부재(117a)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편광부재(120a)가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을 구성하는 상기 수납부재(117a)의 외부를 함께 감쌀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II - II' 방향의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b)은 도광판(112b), 복수 개의 광학시트(113b), 광원수용부재(114b), 반사시트(115b) 및 액정패널 지지부(116b)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12b)은 상기 광원(11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면 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액정패널(100)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113b)는 상기 도광판(112b)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113b)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도광판(112b)을 통해 상기 액정패널(100) 방향으로 입사된 광을 분산시키면서 상기 집광시트 방향으로 광이 집행하도록 광의 방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집광시트는 상기 확산시트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시킨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수용부재(114b)는 상기 도광판(113a)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광원수용부재(114b)의 단면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원수용부재(114b)는 상기 광원(111)과 마주보는 상기 도광판(112b)의 입광부의 일부분을 덮는 동시에 상기 액정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5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시트(116b)는 상기 도광판(112b)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100)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는 상기 도광판(112b), 복수 개의 광학시트(113b), 상기 광원(111)이 내부에 결합된 상기 광원수용부재(114b) 및 상기 반사시트(116b)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는 상기 액정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부재(118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는 제1 지지부재(118b) 및 제2 지지부재(118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118b)는 단면이 "ㄷ" 형상인 상기 광원수용부재(114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로 부터 상기 액정패널(100)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118b)는 상기 도광판(112b)의 반입광부와 대향 하도록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로 부터 상기 액정패널(100)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재(118b)는 상기 반사시트(116b), 상기 도광판(112b) 및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113b)가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 되도록 복수 개의 단차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재(118b) 및 상기 제2 지지부재(118b)와 상기 광원수용부재(114b)는 동시에 상기 액정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00)과 마주보는 상기 제1 지지부재(118b) 및 상기 제2 지지부재(118b)와 상기 지지부(115b)의 상부에는 양면이 접착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력을 구비하는 폼 패드 형상의 결합부재(119b)가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b)를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는 상기 액정패널(100)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112b), 복수 개의 광학시트(113b), 상기 광원수용부재(114b) 및 상기 반사시트(116b)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측면보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 및 도 4a를 바탕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11)과 수직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양측 면들뿐만 아니라 상기 광원(111)과 평행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의 양측 면들이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A 영역과 그 반대편 영역(DA)까지 감싸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면을 감쌀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상기 광원(111)이 배치된 방향(도 2의 CA 영역)의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지지부재(117b)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는 카메라의 렌즈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h)이 형성된 방향(도 2의 DA 영역)의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를 구성하는 제2 지지부재(118b)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편광부재(120a)가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b)을 구성하는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117b)의 외부를 함께 감쌀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b)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8a 내지 8b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10a) 및 편광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편광부(220)는 제1 편광부재(220a) 및 제2 편광부재(22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편광부재(2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광부재(220b)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부착된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편광부재(220b)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8a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가 연결된 방향(X 축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광원과 수직한 방향에 있는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측면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앞서 도 4a 및 4b를 바탕으로 설명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와 동일하게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일면으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벤딩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편광부재(220b)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 탑 및 가이드 패널과 같은 구조물을 삭제하고 상기 편광부(220)를 구성하는 상기 제2 편광부재(220a)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상기 제2 편광부재(220b)는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측면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었으나, 상기 광원과 평행하는 측면 또한 Y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일부 영역인 CA 영역 및 이와 반대 방향의 외부 영역(DA)들을 상기 제2 편광부재(220a)가 감쌀 수 있다.
즉, 상기 제2 편광부재(220a)는 상기 광원과 평행하는 면이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A 영역과 그 반대편 영역(DA)까지 감싸게 되어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220)에는 상기 광원의 광 누설을 차단하는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편광부(220)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내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광테이프 또는 프린트 인쇄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프린트 부재 또는 광흡수부재 또는 잉크 젯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내측면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외측면에는 검은색이 아니 다른 색을 가진 부재가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내측면에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경우 상기 제2 편광부재(220b)의 외측면으로는 형광색을 갖는 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패널(100)의 측면으로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패널의 파손 및 빛 샘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의 외측면과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로는 실링부재(150)가 도포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3 실시예
도 9a 및 도 9b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10a) 및 편광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편광부(320)는 제1 편광부재(320a) 및 제2 편광부재(32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광부재(320b)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부착된다.
도 9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층(Triacetyl Cellulose layer, 이하 "TAC 층"이라 함)(321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는 상기 TAC 층(321a)의 상부에 적층되는 PSA 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322a)과 상기 PSA 층(322a) 상부에 적층되는 보호필름 층(324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는 상기 TAC 층(321a)의 하부에 적층되는 PVA 층(Poly Vinyl alcohol layer, 323a)과 상기 PVA 층(323a) 하부에 적층되는 TAC 층(325a) 및 상기 TAC 층(325a) 하부에 부착되는 PSA 층(327a)를 포함한다.
도 9a의 확대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상기 TAC 층(321a)은 상기 PVA 층(323a)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으로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PSA 층(322a)은 광학용투명점착 층으로서, 상기 TAC 층(321a)의 상부에 상기 보호필름 층(324a)을 부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 층(324a)은 외부 충격, 스크래치, 이물 등으로부터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이다.
그리고, 상기 PVA 층(323a)은 상기 액정패널(100)을 통과하는 빛을 편광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TAC 층(325a)은 앞서 언급한 상기 TAC 층(321a)과 동일한 재질 및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PSA 층(327a)은 앞서 언급한 상기 PSA 층(322a)과 동일한 재질 및 기능을 한다.
그리고, 앞서 도 4a를 바탕으로 설명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와 동일하게상기 제1 편광부재(320a)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321a)의 일면으로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321a)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AC 층(321a)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a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가 연결된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광원과 수직한 방향의 상기 TAC 층(321a)의 측면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편광부재(220a)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321a)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모두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 탑 및 가이드 패널과 같은 구조물을 삭제하고 상기 TAC 층(321a)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321a)은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측면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었으나, 상기 광원과 평행하는 측면 또한 Y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일부 영역인 CA 영역 및 이와 반대 방향의 외부 영역(DA)들을 상기 제1 편광부재(320a)가 감쌀 수 있다.
즉,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321a)은 상기 광원과 평행한 면들이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A 영역과 그 반대편 영역(DA)까지 감싸게 되어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320)에는 상기 광원의 광 누설을 차단하는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제1 편광부재(320a)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321a)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TAC 층(321a)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TAC 층(321a)의 내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광테이프 또는 프린트 인쇄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프린트 부재 또는 광흡수부재 또는 잉크 젯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상기 TAC 층(321a)의 내측면에 결합될 경우, 상기 TAC 층(321a)의 외측면에는 검은색이 아니 다른 색을 가진 부재가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AC 층(321a)의 내측면에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경우 상기 TAC 층(321a)의 외측면으로는 형광색을 갖는 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
도 10a 내지 10b는 본원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대한 I - I'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10a) 및 편광부(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편광부(420)는 제1 편광부재(420a) 및 제2 편광부재(42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편광부재(420a)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부착된다.
도 10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는 TAC 층(42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는 상기 TAC 층(421a)의 상부에 적층되는 PSA 층(422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는 상기 TAC 층(421b)의 하부에 적층되는 PVA 층(423b)과 상기 PVA 층(423b) 하부에 적층되는 TAC 층(425b) 및 상기 TAC 층(425b) 하부에 부착되는 PSA 층(427b)를 포함한다.
도 10a의 확대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상기 TAC 층(421b)은 상기 PVA 층(423b)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으로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PSA 층(422b)은 광학용투명점착 층으로서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를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부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PVA 층(423b)은 상기 액정패널(100)을 통과하는 빛을 편광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TAC 층(425b)은 앞서 언급한 상기 TAC 층(421b)과 동일한 재질 및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PSA 층(427b)은 앞서 언급한 상기 PSA 층(422b)과 동일한 재질 및 기능을 한다.
앞서 도 4a를 바탕으로 설명된 상기 제1 편광부재(120a)와 동일하게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421b)의 일면으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421b)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AC 층(421b)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a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가 연결된 방향(X 축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광원과 수직한 방향에 있는 상기 TAC 층(421b)의 측면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421b)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 탑 및 가이드 패널과 같은 구조물을 삭제하고 상기 TAC 층(421b)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상기 TAC 층(421b)은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측면이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었으나, 상기 광원과 평행하는 측면 또한 Y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데이터공급부재(160)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일부 영역인 CA 영역 및 이와 반대 방향의 외부 영역(DA)들을 상기 제2 편광부재(420b)가 감쌀 수 있다.
즉,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421b)은 상기 광원과 평행한 면이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A 영역과 그 반대편 영역(DA)까지 감싸게 되어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부(420)에는 상기 광원의 광 누설을 차단하는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4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편광부재(420b)를 구성하는 상기 TAC 층(421b)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TAC 층(421b)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TAC 층(421b)의 내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는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광테이프 또는 프린트 인쇄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프린트 부재 또는 광흡수부재 또는 잉크 젯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상기 TAC 층(421b)의 내측면에 결합될 경우, 상기 TAC 층(421b)의 외측면에는 검은색이 아니 다른 색을 가진 부재가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AC 층(421b)의 내측면에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가 결합 될 경우 상기 TAC 층(421b)의 외측면으로는 형광색을 갖는 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패널(100)의 측면으로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패널의 파손 및 빛 샘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외부를 감싸는 상기 광누설방지부재(140)의 외측면과 상기 액정패널(100)의 외부로는 실링부재(150)가 도포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1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a)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액정패널 110a: 백라이트 유닛
120: 편광부 140: 광누설방지부재

Claims (17)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에 부착되는 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외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편광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편광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부재는 상기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부재는,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들과 평행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외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부재는,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들과 평행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에 부착되고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층을 포함하는 제1 편광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TAC 층은 상기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TAC 층은,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과 평행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외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편광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부착되고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층을 포함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TAC 층은 상기 외부를 감싸기 위하여 구부려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TAC 층은,
    상기 광원과 수직하는 면과 평행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액정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제공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복수 개의 광학시트;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납부재;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수납부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제공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복수 개의 광학시트;
    내부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광원수용부재;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패널 지지부;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 지지부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도광판의 반입광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복수 개의 광학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가 수납되는 복수 개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를 감싸는 상기 편광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의 광 누설을 차단하는 광누설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는 상기 편광부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누설방지부재는 차광테이프, 광흡수부재, 블랙 프린트 부재 및 블랙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22471A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6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71A KR102096554B1 (ko)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 장치
EP13196395.1A EP2772796B1 (en) 2013-02-28 2013-12-10 Display device
EP16162272.5A EP3059632B1 (en) 2013-02-28 2013-12-10 Display device
JP2013254776A JP5740461B2 (ja) 2013-02-28 2013-12-10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TW102147495A TWI514038B (zh) 2013-02-28 2013-12-20 顯示裝置
US14/140,142 US9690134B2 (en) 2013-02-28 2013-12-24 Display device
CN201310726993.6A CN104020598B (zh) 2013-02-28 2013-12-25 显示装置
JP2015089944A JP6014198B2 (ja) 2013-02-28 2015-04-27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71A KR102096554B1 (ko)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068A true KR20140111068A (ko) 2014-09-18
KR102096554B1 KR102096554B1 (ko) 2020-04-02

Family

ID=4976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471A KR102096554B1 (ko)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0134B2 (ko)
EP (2) EP2772796B1 (ko)
JP (2) JP5740461B2 (ko)
KR (1) KR102096554B1 (ko)
CN (1) CN104020598B (ko)
TW (1) TWI51403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24A (ko) * 2014-12-03 2016-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68031A (ko) * 2014-12-04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573848B2 (en) 2016-06-17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23B1 (ko) * 2013-03-15 2019-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3309082B (zh) * 2013-06-09 2016-09-28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常白型液晶显示装置
WO2018109940A1 (ja) * 2016-12-16 2018-06-21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7015397B (zh) * 2017-03-24 2020-08-1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646376B (zh) * 2017-06-13 2019-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7942562A (zh) * 2017-11-27 2018-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作方法
KR102421009B1 (ko) * 2018-01-02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856806A (zh) * 2019-04-30 2020-10-3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EP3919972B1 (en) * 2019-06-25 2023-10-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ilm-wrapped displa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682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방지 구조
JP2008213937A (ja) * 2007-02-09 2008-09-18 Sony Corp 光学素子包装体、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90128252A (ko) * 2008-06-10 2009-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20096263A (ko) * 2011-02-22 2012-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20120103062A (ko) * 2011-03-09 2012-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0744A1 (de) * 1981-10-14 1983-04-28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Fluessigkristall-anzeigezelle
JPH0729531U (ja) 1993-10-29 1995-06-02 京セラ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589472B (en) * 1995-10-12 2004-06-01 Hitachi Ltd In-plan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ructure preventing electricity
JPH09258203A (ja) * 1996-03-19 1997-10-0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0260398A (ja) * 1997-03-18 1998-09-2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装着方法
DE69823452T2 (de) * 1997-05-14 2005-04-14 Seiko Epson Corp. Anzeige und diese enthaltende elektronische vorrichtung
JP2002072244A (ja) 2000-08-28 2002-03-12 Minolta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41318A (ja) 2001-05-18 2002-11-27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3855987B2 (ja) * 2003-10-29 2006-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243572A (ja) 2004-02-27 2005-09-08 Optrex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フィルム部材の固定方法
JP2006066127A (ja) * 2004-08-25 2006-03-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8130621A1 (en) * 2007-04-20 2008-10-30 White Electronic Designs Corp. Bezelless display system
JP2009175234A (ja) * 2008-01-22 200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CN101261397A (zh) 2008-04-24 2008-09-10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偏光片及液晶显示装置
JP4920646B2 (ja) * 2008-09-04 2012-04-1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WO2010032882A1 (ja) * 2008-09-22 2010-03-2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0078887A (ja) 2008-09-25 2010-04-08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DE102008059750B4 (de) * 2008-12-01 2017-08-3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KR101730499B1 (ko) * 2010-11-25 2017-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2208254A (ja) * 2011-03-29 2012-10-25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8780301B2 (en) * 2011-10-07 2014-07-15 Japan Display West In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928020B2 (ja) * 2012-03-13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33623B1 (ko) * 2013-03-15 2019-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69719B1 (ko) * 2013-06-27 2014-12-05 (주)넥스디스플레이 편광판을 통한 방수구조를 실현한 lcd 모듈
KR102076615B1 (ko) * 2013-07-3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20170020645A (ko) * 2015-08-13 2017-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682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방지 구조
JP2008213937A (ja) * 2007-02-09 2008-09-18 Sony Corp 光学素子包装体、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90128252A (ko) * 2008-06-10 2009-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20096263A (ko) * 2011-02-22 2012-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20120103062A (ko) * 2011-03-09 2012-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24A (ko) * 2014-12-03 2016-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68031A (ko) * 2014-12-04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573848B2 (en) 2016-06-17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018325B2 (en) 2016-06-17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3859A (zh) 2014-09-01
JP2014170216A (ja) 2014-09-18
EP2772796B1 (en) 2016-06-29
JP6014198B2 (ja) 2016-10-25
TWI514038B (zh) 2015-12-21
US20140240641A1 (en) 2014-08-28
EP2772796A2 (en) 2014-09-03
US9690134B2 (en) 2017-06-27
EP3059632B1 (en) 2017-09-27
EP2772796A3 (en) 2014-10-29
JP2015143886A (ja) 2015-08-06
EP3059632A1 (en) 2016-08-24
CN104020598A (zh) 2014-09-03
KR102096554B1 (ko) 2020-04-02
CN104020598B (zh) 2017-05-17
JP5740461B2 (ja)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5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36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431372B (zh) 面光源裝置及液晶顯示裝置
KR10120784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76071A (ko) 액정 표시 장치
US9897747B2 (en) Display apparatus
KR202100495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8009B1 (ko) 액정표시 장치
KR101630342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TWI498636B (zh) 顯示裝置
KR101737799B1 (ko) 차광테이프와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9032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793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464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2153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77582A (ko) 액정 표시장치
TWI829185B (zh) 顯示裝置
KR1026717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93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74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95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