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298A -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 Google Patents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298A
KR20140110298A KR1020130024393A KR20130024393A KR20140110298A KR 20140110298 A KR20140110298 A KR 20140110298A KR 1020130024393 A KR1020130024393 A KR 1020130024393A KR 20130024393 A KR20130024393 A KR 20130024393A KR 20140110298 A KR20140110298 A KR 2014011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as
fluidized bed
reactor
bed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684B1 (ko
Inventor
김욱영
장광현
윤광우
한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2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44Fluidisation gr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55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rovoking a loop type movement of the reactants
    • B01J19/246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rovoking a loop type movement of the reactants internally, i.e. the mixture circulating inside the vessel such that the upward stream is separated physically from the downward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6Nozzle-type reactors, i.e. the distribution of the initial reactants within the reactor is effected by their introduction or injection throug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 및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한 분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이 상기 판형 본체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된,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과,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DISTRIBUTOR FOR FLUIDIZED BED REACTOR AND FLUIDIZED BED REACTOR WITH SAME}
본 발명은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나노튜브와 같은 카본나노구조물 제조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유동층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 반응기는 다양한 다중상(multiphase) 화학 반응을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 있는 반응기 장치이다. 유동층 반응기에서는 유체(기체 또는 액체)가 미립자 상태의 고체 물질과 반응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고체 물질은 작은 구(sphere)의 형상을 가지는 촉매이고, 유체는 고체 물질을 부유시키기에 충분한 속도로 유동함으로써 고체 물질이 유체와 유사하게 거동하게 된다.
한편, 카본나노구조물(carbon nanostructures, CNS)은 나노튜브, 나노파이버, 풀러렌, 나노콘, 나노호른, 나노로드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나노크기의 탄소구조물을 지칭하며, 여러 가지 우수한 성질을 보유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 대표적인 카본나노구조물인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는 서로 이웃하는 3 개의 탄소 원자가 육각형의 벌집 구조로 결합되어 탄소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탄소 평면이 원통형으로 말려서 튜브의 형상을 가지는 소재이다. 카본나노튜브는 구조에 따라서, 즉, 튜브의 지름에 따라서 도체가 되거나 또는 반도체가 되는 특성이 있으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어서 신소재로 각광을 받는다. 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는 이차 전지, 연료 전지 또는 슈퍼 커패서티(super capacity)와 같은 전기 화학적 저장 장치의 전극, 전자파 차폐,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또는 기체 센서등에 적용될 수 있다.
카본나노구조물은 예를 들어 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발법, 화학 기상 성장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제조 방법중 화학 기상 성장법에서는 통상적으로 고온의 유동층 반응기 안에서 금속 촉매 입자와 탄화수소 계열의 원료 기체를 분산 및 반응됨으로써 카본나노구조물이 생성된다. 즉, 금속 촉매는 원료 기체에 의해 유동층 반응기 안에서 부유(浮游)하면서 원료 기체와 반응하여 카본나노구조물을 성장시킨다.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카본나노구조물 제조 방법은 특허출원공개 10-2009-0073346호, 10-2009-001350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응기 내에 기체를 일정하게 분포시키고 분산판 상부에 존재하는 촉매와 같은 분체가 분산판 아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분산판을 이용한다. 분산판으로는 다공성 플레이트(perforated plate), 버블 캡(bubble cap), 시이브(sieve) 또는 노즐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유동층 반응기 내부에서 탄소원과 촉매가 고온에서 반응할 경우 일부 탄소원은 열분해 온도가 낮아 노즐 등의 통기공을 통과하기 전에 내부 열에 의해 가열된 분산판과 접촉하여 촉매와 반응하기 전에 분해되어 코킹(coking) 됨으로써 통기공을 막는 클로깅(clogging)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클로깅 현상은 유동층 내 압력 저하를 야기하여 안정적인 조업이 곤란하게 한다.
또한, 원활한 기체-고체 혼합을 위해서는 반응기 내 기체 분포가 균일하여야 하고, 촉매 등의 고형입자나 분체가 분산판 아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보다 효율적인 분산판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원 반응가스에 의한 코킹을 방지하여 반응기 내 기체 분포를 균일하게 하면서 고체 입자나 분체의 통과 저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 및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한 분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이 상기 판형 본체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된,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관은 상기 판형 본체에 삽입되어 있거나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본체가 다공성 메탈 포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본체가 복수개의 관통 홀을 구비한 다공성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본체는 유동층 반응기의 형상에 따라 원판형 또는 사각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반응기 본체; 및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분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산판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 및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한 분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이 상기 판형 본체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으로 유입된 제 1 기체는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분산판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상기 분산판의 판형 본체를 관통하여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된, 유동층 반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본체가 다공성 메탈 포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산판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메탈 포옴의 기공읕 통해 반응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본체가 복수개의 관통 홀을 구비한 다공성 플레이트이며, 상기 분산판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반응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층 반응기는
촉매를 반응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촉매공급관과,
반응기 하부에 연결되어 탄소원(carbon source), 환원성 기체 및 불활성기체를 포함하는 반응기체를 반응기 내부로 공급하는 반응기체 공급관 및,
생성된 탄소나노구조물과 혼합기체가 배출되는 생성물 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탄소원이 상기 제 1 기체로서 상기 분산관을 통해 반응기내 반응 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환원성 기체 및 불활성 기체는 상기 제 2 기체로서 상기 분산판의 판형 본체를 관통하여 반응영역으로 공급되어
상기 촉매와 함께 반응 영역에서 유동하면서 반응하여 탄소나노구조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는, 분산관이 삽입된 분산판을 이용하여 코킹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반응가스를 별도로 공급함으로써 고온에 노출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코킹을 방지하기 때문에 분산판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유동층 반응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동반응기의 운전시간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카본나노튜브 제조용 유동층 반응기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a의 단면도로 표시될 수 있는 분산판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의 단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a의 단면도로 표시될 수 있는 분산판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변형물,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수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특징, 수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에는 유동층 반응기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동층 반응기는 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지만, 카본나노튜브의 제조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유동층 반응기는 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 또는 카본나노파이버와 같은 카본나노구조물의 제조에 유용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동층 반응기(1)는 반응기 본체(10)를 구비하며, 반응기 본체(10)의 하부는 테이퍼 영역(10a)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응기 본체(10)를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해, 가열기(19)가 반응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유동층 반응기(1)의 저부에 원료 기체 공급부(12)가 구비된다. 원료 기체는 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탄화 수소 계열의 기체일 수 있다. 원료 기체는 원료 기체 공급부(12)에 연결된 원료 기체 공급관(21)을 통해 반응기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원료 기체는 반응기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되기 전에 예열기(17)에서 예열될 수 있다. 반응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반응 공간의 하측에 분산판(13)이 배치됨으로써, 분산판(13)을 통하여 반응기 본체(10)내의 반응 공간으로 원료 기체가 분산된다.
도 1은 분산판(13)이 테이퍼 영역의 상단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 및 고체의 거동에 따른 목적에 맞도록 테이퍼 영역의 상중하단 중 임의로 선택하여 분산판을 설치할 수 있다.
반응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신장부(11)가 구비된다. 신장부(expander, 11)에는 예를 들어 반응기 본체(10)로부터의 촉매와 반응 생성물(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분리기(미도시)등이 구비될 수 있다. 신장부(11)에는 여과기(18)가 연결되며, 상기 여과기(18)에서 여과된 성분 기체는 이송관(23)을 통해 이송된다. 한편, 신장부(11)에는 재순환 배관(22)이 연결되어, 신장부(11)에서 배출된 혼합 기체의 일부를 재순환 배관(22)을 통해 원료 기체 공급관(21)으로 재순환시킨다.
반응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배관(24)을 통하여 분리기(1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리기(14)는 반응기 본체(10)로부터 배출된 혼합 기체로부터 생성물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와 혼합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기(14)의 일측에는 카본나노튜브와 같은 생성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기(15)가 연결되며, 분리기(14)는 배관(15)을 통해 반응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다. 한편, 촉매 공급기(16)는 배관(26)에 연결됨으로써 촉매가 배관(26)을 통해 반응기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관(26)에는 송풍기(blower)가 구비됨으로써, 분리기(14)에서 분리된 혼합 기체와 촉매 공급기(16)에서 공급되는 촉매를 반응기 본체(10) 안으로 압송시킬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동층 반응기에 구비된 분산판(13)은 원료 기체를 유동층 반응기 본체(10)의 내부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촉매 입자 또는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분체가 유동층 반응기의 저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기체-고체 유동층 반응기에서는 분산판 상부에 촉매 등의 고체 입자가 위치하고 분산판(1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반응 기체를 하부로부터 송풍하면 촉매가 유동층 반응기 본체(10)의 분산판(13) 상부 공간에서 유동하면서 반응이 발생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 및 4는 이러한 단면을 갖는 분산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판(30)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40); 및
복수개의 분기관(34)을 구비한 분산관(3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34)이 상기 판형 본체(40)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32)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분기관(34)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분기관의 개구부(36)는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공간에 노출된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관(32)은 판형 본체(40)에 삽입되거나(도 2a 참조)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도 2b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판형 본체(40)가 다공성 메탈 포옴(metal fo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탈 포옴은 알루미늄, 니켈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의 셀 구조체(cellular structure)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메탈 포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은 기체로 채워지거나 기체의 유동을 허용한다. 메탈 포옴에 형성된 통기공은 밀봉됨으로써 폐쇄 셀 구조를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를 가지면서 개방됨으로써 개방 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통기공을 가지는 개방 셀 구조의 메탈 포옴은 통기공의 크기(pore size)를 조절할 수 있어 층물질의 입도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동층 반응기의 분산판이 요구하는 특성, 즉 기체를 통과시키고 고체 입자의 통과를 저지하는 특성이 우수하다.
도 3 및 도 4는 도 2a의 단면도로 표시될 수 있는 분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판(30)의 판형 본체(40)는 원판형(40a) 또는 사각판형(40b)일 수 있다.
복수개의 분기관(34)이 형성된 복수개의 분산관(32a, 32b, 32c, 32d)이 판형 본체(40a, 40b) 전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반응기 단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기체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분산판(50)의 상기 판형 본체(60)가 복수개의 관통 홀(62)을 구비한 다공성 플레이트이다.
이 경우에도 분산판(50)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60); 및 복수개의 분기관(54)을 구비한 분산관(52)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분기관(54)을 구비한 분산관(5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54)이 상기 판형 본체(60)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52)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분기관(54)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분기관의 개구부(56)는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공간에 노출된다.
도 5a 및 도 5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관(52)은 판형 본체(60)에 삽입되거나(도 5a 참조)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도 5b 참조).
도 6 및 도 7은 도 5a의 단면도로 표시될 수 있는 분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판(50)의 판형 본체(60)는 원판형(60a) 또는 사각판형(60b)일 수 있다.
복수개의 분기관(54)이 형성된 복수개의 분산관(52a, 52b, 52c, 52d)이 판형 본체(60a, 60b) 전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반응기 단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기체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판(30,5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크 침적에 강한 인코넬(inconel)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판을 구비하는 유동층 반응기는
반응기 본체(10); 및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분산판(30,5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판(30,50)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40,60); 및 복수개의 분기관(34, 54)을 구비한 분산관(32, 5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34, 54)이 상기 판형 본체(40,60)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32,52)으로 유입된 제 1 기체는 상기 분기관(34,54)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분산판(30,50)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상기 분산판의 판형 본체(40,60)를 관통하여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형 본체(40)가 다공성 메탈 포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분산판(30)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메탈 포옴의 기공읕 통해 반응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형 본체(60)가 복수개의 관통 홀(62)을 구비한 다공성 플레이트이며, 상기 분산판(50)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상기 관통 홀(62)을 통해 반응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층 반응기는
촉매를 반응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촉매공급관과,
반응기 하부에 연결되어 탄소원(carbon source), 환원성 기체 및 불활성기체를 포함하는 반응기체를 반응기 내부로 공급하는 반응기체 공급관 및,
생성된 탄소나노구조물과 혼합기체가 배출되는 생성물 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탄소원이 상기 제 1 기체로서 상기 분산관을 통해 반응기내 반응 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환원성 기체 및 불활성 기체는 상기 제 2 기체로서 상기 분산판의 판형 본체를 관통하여 반응영역으로 공급되어
상기 촉매와 함께 반응 영역에서 유동하면서 반응하여 탄소나노구조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이다.
이러한 유동층 반응기는 코킹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반응가스를 별도로 공급함으로써 고온에 노출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코킹을 방지하기 때문에 분산판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유동층 반응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카본나노튜브 제조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에틸렌가스의 경우 400~500℃에서 코킹이 일어날 수 있는데, 반응공간은 700℃ 정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예열기와 분산판 사이에서 코킹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에틸렌의 가열라인을 짧게 하여 고온 노출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코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산관 및 분기관의 배치를 조절함으로써 반응가스의 균일한 분산 공급을 도모할 수 있다.
10. 반응기 본체 11. 신장부
12. 원료 기체 공급부 13. 분산판
21. 원료 기체 공급관 30.50. 분산판
40.60. 판형 본체 32.52. 분산관
34.54. 분기관 62. 관통 홀

Claims (8)

  1.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 및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한 분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이 상기 판형 본체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으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된,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관은 상기 판형 본체에 삽입되어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본체가 다공성 메탈 포옴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관통 홀을 구비한 다공성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본체는 원판형 또는 사각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5. 반응기 본체; 및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분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산판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를 관통하여 기체 소통이 가능한 판형 본체; 및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한 분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분기관이 상기 판형 본체의 두께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분산관으로 유입된 제 1 기체는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분산판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상기 분산판의 판형 본체를 관통하여 유동층 반응기의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도록 배치된, 유동층 반응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본체가 다공성 메탈 포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산판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메탈 포옴의 기공읕 통해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본체가 복수개의 관통 홀을 구비한 다공성 플레이트이며, 상기 분산판 하부로 공급된 제 2 기체는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반응영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 반응기는
    촉매를 반응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촉매공급관과,
    반응기 하부에 연결되어 탄소원(carbon source), 환원성 기체 및 불활성기체를 포함하는 반응기체를 반응기 내부로 공급하는 반응기체 공급관 및,
    생성된 탄소나노구조물과 혼합기체가 배출되는 생성물 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탄소원이 상기 제 1 기체로서 상기 분산관을 통해 반응기내 반응 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환원성 기체 및 불활성 기체는 상기 제 2 기체로서 상기 분산판의 판형 본체를 관통하여 반응영역으로 공급되어
    상기 촉매와 함께 반응 영역에서 유동하면서 반응하여 탄소나노구조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반응기.
KR1020130024393A 2013-03-07 2013-03-07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KR10158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93A KR101587684B1 (ko) 2013-03-07 2013-03-07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93A KR101587684B1 (ko) 2013-03-07 2013-03-07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298A true KR20140110298A (ko) 2014-09-17
KR101587684B1 KR101587684B1 (ko) 2016-01-21

Family

ID=5175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93A KR101587684B1 (ko) 2013-03-07 2013-03-07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3463B2 (en) 2019-02-28 2021-11-16 Lg Chem, Ltd. Fluidized bed rea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5024A (en) * 1971-09-10 1975-12-09 Borden Inc Grid burner system
JPH11217571A (ja) * 1998-01-30 1999-08-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フレキシコーカー装置のヒーター
JP2012236727A (ja) * 2011-05-10 2012-12-06 Japan Steel Works Ltd:The ナノ炭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5024A (en) * 1971-09-10 1975-12-09 Borden Inc Grid burner system
JPH11217571A (ja) * 1998-01-30 1999-08-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フレキシコーカー装置のヒーター
JP2012236727A (ja) * 2011-05-10 2012-12-06 Japan Steel Works Ltd:The ナノ炭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3463B2 (en) 2019-02-28 2021-11-16 Lg Chem, Ltd. Fluidized bed re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684B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1534A (ko) 유동층에서 탄소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51315B1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카본나노구조물 제조방법
US11888152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KR20160109039A (ko) 탄소 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 나노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재
KR101587684B1 (ko)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KR101545384B1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카본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1586879B1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1771290B1 (ko) 탄소 나노구조물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976352B2 (ja) 炭素ナノチューブ製造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596091B1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1544637B1 (ko) 유동층 반응기용 기체 확산 칼럼 및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KR20150144004A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 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20140146733A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1587682B1 (ko)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KR20140109735A (ko) 유동층 반응기
KR101587685B1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카본나노구조물 제조방법
KR101590677B1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1597395B1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20140102431A (ko)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JP2007091481A (ja) 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
KR20160036305A (ko)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KR101255662B1 (ko) 격벽이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합성용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합성방법
KR20140146731A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구조물 제조방법
KR20140129643A (ko)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KR20150120615A (ko) 촉매 공급 장치, 이를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탄소 나노구조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