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979A - 도금랙 장치 - Google Patents

도금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979A
KR20140108979A KR1020130022998A KR20130022998A KR20140108979A KR 20140108979 A KR20140108979 A KR 20140108979A KR 1020130022998 A KR1020130022998 A KR 1020130022998A KR 20130022998 A KR20130022998 A KR 20130022998A KR 20140108979 A KR20140108979 A KR 20140108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ack
support
stopp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이
Original Assignee
박경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이 filed Critical 박경이
Priority to KR102013002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979A/ko
Publication of KR2014010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각종 회로판 제조용 기판의 도금 작업에 사용되는 도금랙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도금랙 장치는,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랙 본체와, 상기 랙 본체 측에서 기판 둘레부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를 구비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제1 고정구 또는 제2 고정구를 상기 랙 본체 측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절지지대 그리고, 상기 조절지지대의 이동시 회동에 의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조절지지대를 위치조절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금랙 장치{Plating Rack}
본 발명은 각종 회로판 제조용 기판을 도금하는데 사용하는 도금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박막 회로판의 제조 공정 중에는 회로판 제조용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함.)을 도금하는 공정이 있다.
상기 도금 공정에는 기판을 도금 가능하게 잡아주는 수단으로 도금랙이 사용되며, 이 도금랙은 기판을 안정적인 상태로 잡아줄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장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판 사이즈와 대응하는 로딩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구조와 부합하는 도금랙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07년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0972205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가 있다.
상기 특허 제10-0972205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가이드홀 및 가이드핀의 접촉력으로 랙 본체의 두 개의 지지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기판 사이즈와 대응하도록 지지대를 움직이면서 기판 고정을 위한 제1 거치부 및 제2 거치부의 위치(간격)를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특허 제10-0972205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간격조절수단은, 조절바를 어느 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서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간격조절수단의 조절바를 조작할 때 가이드홀 및 가이드핀의 접촉력에 의해 마찰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원통형의 조절바 외부면을 단순하게 손으로 잡아서 돌릴 때 저항력이 크게 발생하여 조작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절바를 돌리는 조작 방식으로는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금속 지지대 및 거치부들을 원활하게 움직일 수 없으므로 신속한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만족할 만한 작동 안정성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고 간편한 조작 방식으로 기판 사이즈와 부합하는 로딩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도금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랙 본체;
상기 랙 본체 측에서 기판 둘레부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를 구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 고정구 또는 제2 고정구를 상기 랙 본체 측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절지지대;
상기 조절지지대의 이동시 회동에 의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조절지지대를 위치조절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걸림부;
를 포함하는 도금랙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랙 본체 측에서 기판을 로딩 상태로 잡아주는 고정부의 위치를 신속하고 간편한 조작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지지대 및 회동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랙 본체 측에 기판을 로딩할 때 기판 사이즈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로딩 고정 환경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랙 본체를 지칭하고, 도면 부호 G는 기판을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랙 본체(2)는, 기판(G)이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펼쳐져서 도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랙 본체(2)는 지지대(A)를 구비하고, 이 지지대(A)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기판(G)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연결 배치되는 사각의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A) 도 1에서와 같이 사각의 프레임 모양을 이룰 때 예를 들어, 좌,우 측부는 후술하는 조절지지대(6) 및 회동걸림부(8)의 구조 및 작용과 부합하도록 봉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는, 고정부(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는 랙 본체(2)의 지지대(A) 측에서 기판(G)을 도금 가능한 로딩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는 제1 고정구(B1) 및 제2 고정구(B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구(B1, B2)는 두 개의 죠우(J, Jaw)가 통상의 집게 타입으로 작동되면서 기판(G)의 둘레부를 눌러서 잡아줄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기판(G)의 둘레부 중에서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랙 본체(2) 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랙 본체(2)의 지지대(A) 하부 측에는 제1 고정구(B1)들이 배치되고, 이 제1 고정구(B1)와 간격을 띄우고 위쪽에 제2 고정구(B2)들이 배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구(B1)는 상기 랙 본체(2)의 지지대(A) 하부 측에 통상의 방법(예: 볼트 체결)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구(B2)는 상기 랙 본체(2) 측에 비(非)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는, 조절지지대(6) 및 회동걸림부(8)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조절지지대(6) 및 회동걸림부(8)는, 랙 본체(2) 측에서 고정부(4)의 위치를 기판(G) 사이즈와 대응하는 상태로 적절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절지지대(6)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4)의 제2 고정구(B2)들이 일면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조절지지대(6)는 랙 본체(2)의 지지대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지지대(6)는 도 3에서와 같이 양단에 가이드홀(C)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홀(C)을 관통하는 상태로 랙 본체(2)의 지지대(A) 좌,우 측부가 끼워져서 측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지지대(6)는 탄성부재(C1)의 탄성력에 의해 랙 본체(2) 측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셋팅된다.
상기 탄성부재(C1)는 스프링 중에서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랙 본체(2)의 지지대(A) 좌,우 측부 위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조절지지대(6) 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C1)는 인장 탄성력으로 조절지지대(6)를 당겨서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조절지지대(6)를 항상 위쪽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지지대(6)는 랙 본체(2)의 지지대(A) 측에서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조작되면서 상기 제2 고정구(B2)들을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동걸림부(8)는 상기 조절지지대(6)의 이동을 걸림 접촉으로 제한하면서 상기 조절지지대(6)를 위치 조절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걸림부(8)는, 회동걸림구(D)와, 걸림대(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회동걸림구(D) 및 걸림대(E)는, 상기 조절지지대(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회동에 의해 일방향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조절지지대(6)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동걸림구(D)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홈(D1)을 구비하고, 랙 본체(2)의 지지대(A) 상부에 힌지핀(D2)으로 힌지 결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대(E)는 상기 회동걸림구(D)와 대응하도록 상기 조절지지대(6) 측에 배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 상기 걸림대(E)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은 막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돌기(E1)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지지대(6) 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대(E)의 돌기(E1)는 상기 조절지지대(6)의 위치 조절 환경과 부합하도록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대(E) 측에 도 4에서와 같이 돌기(E1)를 두 군데 지점에 형성하면, 상기 조절지지대(6) 위치를 2단으로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걸림구(D) 및 걸림대(E)는 도 2에서와 같이 랙 본체(2)의 지지대(A) 및 조절지지대(6) 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상태로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설치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조절지지대(6)의 위치 조절을 위한 걸림 접촉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동걸림구(D)는 상기 조절지지대(6)의 상,하 방향 이동시 회동에 의해 상기 걸림대(E)의 돌기(E1)가 홈(D1)측에 걸려지면서 상기 조절지지대(6)의 일방향(위쪽)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상태의 걸림 접촉 구조를 갖도록 셋팅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회동걸림구(D)의 힌지핀(D2) 지점과 홈(D1) 간의 거리(L1)는 상기 회동걸림구(D)의 힌지핀(D2) 지점과 상기 걸림대(E)의 돌기(E1) 간의 길이(L2)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걸림구(D) 일측에는 탄성부재(D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D3)는, 스프링 중에서 예를 들어,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일단이 상기 회동걸림구(D)와 연결되고, 타단은 랙 본체(2)의 지지대(A)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회동걸림구(D)는 상기 걸림대(E)의 이동 중에 돌기(E1)와 걸림 접촉이 가능한 지점에 탄력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회동걸림구(D)는, 예를 들어, 상기 조절지지대(6)를 랙 본체(2) 측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대(E)의 돌기(E1)와 접촉에 의해 약간 회전되면서 홈(D1) 내측에 상기 돌기(E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때, 조절지지대(6)는 탄성부재(C1)의 인장 탄성력에 의해 위로 당겨지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회동걸림구(D) 및 걸림대(E)의 홈(D1)과 돌기(E1)는 걸림 접촉에 의해 걸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걸림구(D) 측에 걸림대(E)가 걸려진 상태에서 조절지지대(6)를 아래쪽으로 약간 더 밀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대(E)의 돌기(E1)가 상기 회동걸림구(D)의 홈(D1)을 타고 넘으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랙 본체(2) 측에서 회동걸림부(8)로 조절지지대(6)의 위치를 조절 하는 방식으로 고정부(4)의 제2 고정구(B2) 위치를 기판(G) 사이즈와 부합하는 상태로 간편하게 셋팅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절지지대(6) 및 회동걸림부(8)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고정부(4)의 위치 조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조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는, 센싱부(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부(10)는 랙 본체(2) 측에 기판(G)을 로딩하는 작업 또는, 로딩한 상태로 일련의 도금 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회동걸림부(8)의 작동 상태(걸림 또는 걸림 해제)를 센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싱부(10)는 도 5에서와 같이 센서(F)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걸림부(8)의 회동걸림구(D) 작동(회전) 상태를 센싱할 수 있도록 랙 본체(2)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F)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걸림구(D)와 걸림대(E)가 서로 걸림 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회동걸림구(D)의 일측과 접촉되면서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센서(F)는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광센서나 근접센서를 이용한 통상의 센싱 방식으로 상기 회동걸림구(D)의 작동 상태를 간편하게 센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센서(F)는 예를 들어, 알람이나 경광램프와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센싱 상태에 따라 알람이나 경광램프가 작동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한 센싱부(10)는, 기판(G)을 랙 본체(2) 측에 로딩(또는 언로딩)하거나, 로딩 상태로 일련의 도금 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회동걸림부(8)의 작동 상태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작업 안정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는, 랙 본체(2)의 로딩 환경을 기판(G) 사이즈와 부합하는 상태로 간편하게 조절 및 셋팅이 가능하므로 기판(G)의 로딩 호환성 및 작업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2: 랙 본체 4: 고정부 6: 조절지지대
8: 회동걸림부 10: 센싱부 G:기판
A: 지지대 B1: 제1 고정구 B2: 제2 고정구

Claims (9)

  1.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랙 본체;
    상기 랙 본체 측에서 기판 둘레부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를 구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 고정구 또는 제2 고정구를 상기 랙 본체 측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절지지대;
    상기 조절지지대의 이동시 회동에 의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조절지지대를 위치조절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걸림부;
    를 포함하는 도금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 본체의 지지대는,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사각의 프레임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도금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는,
    두 개의 죠우(Jaw)가 집게 타입으로 작동되면서 기판의 둘레부를 눌러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금랙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제1 고정구 또는 상기 제2 고정구를 기판 둘레부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랙 본체의 지지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금랙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랙 본체의 지지대 측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걸림부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랙 본체의 지지대 측에서 상기 조절지지대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지점에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는 회동걸림구;
    상기 회동걸림구의 홈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지지대 측에 설치되는 걸림대;
    를 구비한 도금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동걸림구 및 걸림대는,
    상기 조절지지대의 위치 조절시 상기 걸림대와 접촉에 의해 상기 회동걸림구가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대의 돌기가 상기 회동걸림구의 홈 측에 끼워져서 이들의 걸림 접촉으로 상기 조절지지대를 위치 조절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도금랙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의 돌기는,
    상기 조절지지대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도록 간격을 띄우고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는 도금랙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동걸림부는,
    센서를 구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리미트 스위치나 광센서, 근접센서 중에서 사용하고, 상기 회동걸림구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되는 도금랙 장치.
KR1020130022998A 2013-03-04 2013-03-04 도금랙 장치 KR20140108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998A KR20140108979A (ko) 2013-03-04 2013-03-04 도금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998A KR20140108979A (ko) 2013-03-04 2013-03-04 도금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79A true KR20140108979A (ko) 2014-09-15

Family

ID=5175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998A KR20140108979A (ko) 2013-03-04 2013-03-04 도금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9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3853A (zh) * 2015-02-06 2015-05-06 苏州创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镀夹具线上识别方法
KR20180001807A (ko) * 2016-06-28 2018-0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지그 장치
CN116752221A (zh) * 2023-07-05 2023-09-15 余姚市爱迪升电镀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硬银耐磨性的镀银设备及其加工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3853A (zh) * 2015-02-06 2015-05-06 苏州创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镀夹具线上识别方法
KR20180001807A (ko) * 2016-06-28 2018-0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지그 장치
CN116752221A (zh) * 2023-07-05 2023-09-15 余姚市爱迪升电镀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硬银耐磨性的镀银设备及其加工工艺
CN116752221B (zh) * 2023-07-05 2024-01-23 余姚市爱迪升电镀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硬银耐磨性的镀银设备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697B2 (en) Clamping device for adjoining board materials
KR20140108979A (ko) 도금랙 장치
US11202374B2 (en) Method of mounting component
KR101408398B1 (ko) 도금용 랙
KR101905521B1 (ko) 조명등 장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JP5318186B2 (ja) ケーブル挟持具及び該ケーブル挟持具を備えるケーブル引張装置
WO2016011799A1 (zh) 平板电脑夹头
KR101246880B1 (ko) 도금용 바스켓
CN104385169B (zh) 一种光通信器件自平衡耦合夹具
KR20130022914A (ko) 도금랙 어셈블리
KR101503041B1 (ko) 도금랙 장치
KR20100016239A (ko)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CN210063883U (zh) 一种应用于泵臂夹缸总成搬运的快速安装拆卸装置
JP2008121342A (ja) ピボットヒンジ
JP2006339082A (ja) 電球交換器具
KR101653209B1 (ko) 도금랙 장치
KR101557054B1 (ko) 다운라이트 장치
KR20140101241A (ko) 도금랙 장치
JP2010097782A (ja) 支持部材および照明器具
KR102019712B1 (ko)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스냅핏 삽입/이탈력 측정장치
KR102179704B1 (ko) 조명등
JP3179023U (ja) 物干装置
TWI532944B (zh) 可調整支撐裝置
KR101703978B1 (ko) 디에스에이 보드 교체용 핸들러
KR101437673B1 (ko) 도금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