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673B1 - 도금랙 장치 - Google Patents

도금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673B1
KR101437673B1 KR1020120133683A KR20120133683A KR101437673B1 KR 101437673 B1 KR101437673 B1 KR 101437673B1 KR 1020120133683 A KR1020120133683 A KR 1020120133683A KR 20120133683 A KR20120133683 A KR 20120133683A KR 101437673 B1 KR101437673 B1 KR 10143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ing rack
substrate
elastic plate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444A (ko
Inventor
박경이
Original Assignee
박경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이 filed Critical 박경이
Priority to KR102012013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6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기판을 도금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도금랙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도금랙 장치는,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지지부를 갖는 도금랙 본체와,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조작구와, 상기 회동조작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이동부와, 이 이동부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 배치되는 기판의 둘레부 일면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를 구비한 탄성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회동조작구의 회동 조작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가압부가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를 향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접촉력을 발생하면서 누름 동작 또는 누름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금랙 장치{A Plating Rack}
본 발명은 도금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박막 회로판의 제조 공정 중에는 회로판 제조용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함.)을 도금하는 공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금 공정에는 기판을 펼쳐서 도금이 가능한 상태로 잡아주는 수단으로 도금랙이 사용된다.
상기 도금랙은 기판을 잡아줄 때 특히 기판들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도금랙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07년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0965624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가 있다.
상기 특허 제10-0965624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기판을 눌러서 지지하기 위한 회동아암이 랙 본체의 좌,우 측에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회동아암을 회동 조작하여 랙 본체 측에 배치되는 기판의 둘레부를 상기 회동아암의 가압구로 눌러서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회동아암 측에 가압구들이 일체형의 고정 구조로 제공되므로 이러한 일체형의 구조는 가압구의 변형 등에 의해 누름 압력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가압구들로 기판을 균일하게 누르지 못하면 랙 본체 측에 기판을 펼쳐진 상태로 고정할 때 기판 일부가 원활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도금 불량을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의 가압구들은 회동아암의 회동으로 기판을 누를 때 기판 측에 누름 압력이 과다하게 전달되면서 기판의 파손이나 변형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회동아암과 가압구가 일체로 형성되면, 예를 들어, 회동아암 또는 가압구의 변형이나 파손시 회동아암 및 가압구 전체를 함께 교환해야 하므로 유지보수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 조작 방식으로 기판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특히 조작안정성 및 유지보수성이 한층 향상된 도금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지지부를 갖는 도금랙 본체;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조작구;
상기 회동조작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이동부와, 이 이동부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 배치되는 기판의 둘레부 일면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를 구비한 탄성플레이트;
상기 회동조작구의 회동 조작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가압부가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를 향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접촉력을 발생하면서 누름 동작 또는 누름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도금랙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금랙 본체 측에 배치되는 회동조작구의 회동 조작시 작동부에 의해 탄성플레이트의 누름 동작이 제어되는 방식으로 기판의 둘레부를 탄력적으로 눌러서 도금랙 본체 측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기판을 고정 상태로 누르는 탄성플레이트가 회동조작구와 비(非) 일체형의 구조로 제공되면, 예를 들어 일체형의 구조들이 갖는 문제점(조작안정성 및 유지보수성)들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도금랙 본체를 지칭하고, 도면 부호 G는 기판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금랙 본체(2)는, 기판(G)이 펼쳐져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A)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A)는, 기판(G)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연장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금랙 본체(2)는 예를 들어,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를 용접이나 볼팅 작업으로 연결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사각의 프레임 형태를 이루는 지지부(A)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는 기판(G)이 펼쳐진 상태로 배치될 때 이 기판(G)의 둘레부 중에서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하는 지점에 지지구(A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A1)는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서 기판(G)의 둘레부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간격을 띄우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접촉핀(A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핀(A2)은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 기판(G)이 펼쳐진 상태로 배치될 때 이 기판(G)의 둘레부가 비정상으로 벗어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접촉력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는, 회동조작구(4)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조작구(4)는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중에서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구(A1)들이 형성된 좌,우측의 지지부(A)와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조작구(4)는 상기 지지부(A)와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며 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으로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동조작구(4)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 형성된 브라켓트(A3) 측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 조작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는 레버(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B)는 상기 회동조작구(4)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형성된 잠금구(B1)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상기 잠금구(B1)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부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상기 레버(B)의 끝단 일부를 탄력적으로 눌러서 고정할 수 있는 통상의 잠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장치는, 상기 회동조작구(4)의 회동 조작시 기판(G)의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플레이트(6) 및 작동부(8)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6)는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상에 배치되는 이동부(C1)와, 이 이동부(C1) 측에서 연장되어 기판(G)을 탄력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C2)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조작구(4)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C1)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 놓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C2)는, 상기 이동부(C1) 일측에서 상기 회동조작구(4)의 둘레부를 일부를 감싸는 모양을 이루도록 대략 "U"자 모양으로 밴딩되어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 형성된 지지구(A1)와 대응하는 지점까지 연장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C2)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A) 표면을 향하는 상태로 누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C1)는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 배치될 때 상기 가압부(C2)가 상기 지지구(A1)를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C1)는 도 3에서와 같이 가이드홈(C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C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A) 측에 볼트(C4, 또는 가이드핀)가 체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C4)는 상기 이동부(C2)가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가능한 체결 상태로 셋팅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6)는 상기와 같이 회동조작구(4)와 비(非) 일체형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서 지지구(A1)와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플레이트(6)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과 같은 작용이 가능한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내구성 및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8)는, 상기 회동조작구(4)의 회동 조작시 접촉력을 발생하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6)의 누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8)는 기어물림에 의한 접촉력으로 상기 탄성플레이트(6)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부(8)는, 피니어기어(D)와, 랙기어(E)에 의한 기어물림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피니언기어(D)는 일측에 돌기부(D1)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6)와 대응하도록 상기 회동조작구(4) 측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D)는 상기 회동조작구(4)의 회동 조작시 상기 돌기부(D1)로 상기 탄성플레이트(6)중에서 상기 가압부(C2) 안쪽면을 외측을 향하여 밀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가압구(C2)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돌기부(D1)의 미는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이 제어되며, 특히 상기 돌기부(D1)의 미는 동작이 해제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A)의 지지구(A1)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누름 동작된다.
상기 랙기어(E)는 상기 피니언기어(D)의 회동시 기어물림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탄성플레이트(6)의 이동부(C1) 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랙기어(E)는 상기 탄성플레이트(6)가 이동부(C1)의 가이드홈(C3) 연장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D)와 기어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C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압구(C2)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D) 및 랙기어(E)의 기어물림에 의해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의 지지구(A1) 측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누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탄성플레이트(6)의 가압구(C2)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누름 동작이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도금랙 본체(2)의 전방 측에서 지지부(A)를 향하여 기판(G)을 펼쳐진 상태로 배치할 때 상기 가압부(C2)와 기판(G)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D)의 돌기부(D1) 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접촉로울러(D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촉로울러(D2)는 상기 돌기부(D1) 측에 롤링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돌기부(D1)로 상기 가압부(C2)를 밀 때 상기 접촉 로울러(D2)가 상기 가압부(C2) 안쪽면과 접촉된 후 롤링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돌기부(D1)의 미는 동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회동조작구(4), 탄성플레이트(6) 및 작동부(8)는,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S) 측에 위치되는 기판(G)의 둘레부를 회동 조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러서 누름 상태 또는 누름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조작구(4)를 일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상기 작동부(8)의 피니언기어(D) 및 랙기어(E)의 기어물림에 의해 상기 탄성플레이트(6)의 이동부(C1)가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 형성된 지지구(A1)를 향하여 전진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D)의 돌기부(D1)에 의한 미는 동작이 해제되므로 상기 탄성플레이트(6)의 가압부(C2)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구(A1)를 향하여 누름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구(A1) 측에 놓여진 기판(G)의 둘레부를 눌러서 도금랙 본체(2) 측에 기판(G)을 펼쳐진 상태로 잡아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조작구(4)를 도 7에서와 같이 반대측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상기 피니언기어(D) 및 랙기어(E)의 기어물림에 의해 상기 이동부(C1)가 후진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D)의 돌기부(D1)는 상기 가압부(C2)를 외측으로 미는 상태로 작동되므로 상기 가압부(C2)는 상기 지지구(A1)로부터 누름 해제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로부터 기판(G)을 분리할 수 있도록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회동조작구(4)의 회동 조작에 의해 탄성플레이트(6)의 누름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 측에 기판(G)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플레이트(6)는, 회동조작구(4)와 비(非) 일체형으로 작동이 제어되는 구조로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일체형의 구조에 비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조작구(4)와 비(非)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탄성플레이트(6)의 탄성력으로 기판(G)을 눌러서 잡아주는 방식은, 과다한 누름 압력에 의해 기판(G)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플레이트(6)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누름 압력 편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작동 및 조작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도금랙 본체 4: 회동조작구 6: 탄성플레이트
8: 작동부 G:기판 D: 피니언기어
E: 랙기어

Claims (10)

  1.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지지부를 갖는 도금랙 본체;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조작구;
    상기 회동조작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이동부와, 이 이동부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 배치되는 기판의 둘레부 일면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를 구비한 탄성플레이트;
    상기 회동조작구의 회동 조작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가압부가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를 향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접촉력을 발생하면서 누름 동작 또는 누름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가압부와 대응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조작구 측에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는, 상기 회동조작구의 회동시 상기 피니언기어와 기어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이동부 측에 형성되는 도금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는,
    기판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기판의 둘레부 일면의 한 군데 이상의 지점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구를 구비한 도금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작구는,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판의 둘레부 중에서 대향하는 지점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도금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작구는,
    레버를 구비하고, 이 레버는 상기 회동조작구의 누름 방향 회동시 상기 도금랙 본체 측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걸려져서 상기 회동조작구가 누름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금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 일측에서 상기 회동조작구의 둘레부 일부를 감싸는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연장되고, 탄성력에 의해 누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랙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회동조작구의 회동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가압부를 상기 돌기부로 밀거나 미는 상태를 해제하면서 상기 가압부의 누름 동작을 위한 상,하 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도금랙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회동조작구의 회동시 상기 이동부 측의 랙기어와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가압부의 누름 동작을 위한 전,후 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도금랙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이동부가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상에서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 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금랙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접촉로울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로울러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돌기부 측에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가압부를 롤링 동작으로 밀 수 있도록 셋팅되는 도금랙 장치.
KR1020120133683A 2012-11-23 2012-11-23 도금랙 장치 KR10143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83A KR101437673B1 (ko) 2012-11-23 2012-11-23 도금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83A KR101437673B1 (ko) 2012-11-23 2012-11-23 도금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44A KR20140066444A (ko) 2014-06-02
KR101437673B1 true KR101437673B1 (ko) 2014-09-05

Family

ID=5112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83A KR101437673B1 (ko) 2012-11-23 2012-11-23 도금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6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0257A (ja) * 1996-11-20 1998-06-02 Ono Seisakusho:Kk プリント基板メッキ用治具
KR20120006453U (ko) * 2011-03-10 2012-09-20 박경이 도금용 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0257A (ja) * 1996-11-20 1998-06-02 Ono Seisakusho:Kk プリント基板メッキ用治具
KR20120006453U (ko) * 2011-03-10 2012-09-20 박경이 도금용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44A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48436A1 (en) Clamping device for adjoining board materials
JP5947620B2 (ja) 上型及び上型の仮止め方法
JP2008508663A5 (ko)
US9457488B2 (en) Blade mount of rotary die cutter, and method and device for fixing blade mount
KR101393902B1 (ko) 조작성이 향상된 자동변속기의 전자식 변속레버
KR101437673B1 (ko) 도금랙 장치
JP5988158B2 (ja) マーキングトルクレンチ
JP5048562B2 (ja) クランプ装置
US7434284B2 (en) Multi-part last for manufacturing shoes
KR20180121035A (ko) 로봇용 수동 툴 체인저
KR20140108979A (ko) 도금랙 장치
JP4836673B2 (ja) クランプ装置
JP6065725B2 (ja) コンタクト装置及びコンタクト方法
KR101503041B1 (ko) 도금랙 장치
JP2010014189A (ja)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
CN200998872Y (zh) 用于斜切割锯上的基准定位机构
JP5420348B2 (ja) 遊技盤のクランプ装置
JP2010005694A (ja) 金型交換用位置決め装置
CN105171472B (zh) 一种零件竖直钻孔用夹具
JP6476537B2 (ja) 工作機械及び工具ホルダ
KR102157737B1 (ko) 계단형 비엠피시비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6145524B1 (ja) 軒樋支持具
KR20140101241A (ko) 도금랙 장치
JP2010188354A (ja) 投入検知ゲージ
JP2010207410A (ja) 遊技機取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