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239A -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239A
KR20100016239A KR1020097023102A KR20097023102A KR20100016239A KR 20100016239 A KR20100016239 A KR 20100016239A KR 1020097023102 A KR1020097023102 A KR 1020097023102A KR 20097023102 A KR20097023102 A KR 20097023102A KR 20100016239 A KR20100016239 A KR 20100016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engagement
engaging
main body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요지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테스코. 에코 라이팅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00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39681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75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7619B2/ja
Application filed by 테스코. 에코 라이팅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스코. 에코 라이팅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 기구의 대소와 상관 없이 기구 본체를 천정에 용이하게 매입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기구 본체를 천정에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를 제공한다. 지지부재(3)에 걸어맞춤부재(4)를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와, 이 걸림고정부에 연속되어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걸어맞춤부재(4)에 지지부재(3)의 걸림고정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부(4a)와, 천정(T)의 이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4b)를 형성한다. 걸어맞춤부재(4)는, 이것을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어맞춤부(4a)가 상기 걸림고정부에 걸어맞춤 유지되고 제2 걸어맞춤부(4b)가 천정(T)과 비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어맞춤부(4a)와 상기 걸림고정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탄성부재(5)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하여 제2 걸어맞춤부(4b)가 천정(T)과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Ceiling-embedded luminaire}
본 발명은 천정에 형성된 개구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다운 라이트 등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운 라이트 등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는 천정에 형성된 개구에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천정에 매입 설치되는데, 이 매입 설치를 위해 종래 여러가지 설치 구조가 제안되었다.
그 대표적인 설치 구조는 판스프링을 사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의 기구 본체 측면에 「ㄴ」자형 판스프링을 장착하고, 이 판스프링을 기구 본체쪽으로 절곡하면서 천정의 개구에 밀어넣고 그 복원 탄성력에 의해 기구 본체를 천정에 걸림고정시키는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판스프링을 사용한 설치 구조에서는 판스프링이 찌부러짐 등에 의해 판스프링의 복원 탄성력이 저하되면, 미세한 외력으로도 덜렁거리거나 천정으로부터 늘어지거나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판스프링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따라 복원 탄성력의 크기를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구조인 이상, 상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없다. 또한, 이 판스프링을 사용한 설치 구 조에서 기구 본체를 천정에서 떼어내려면 판스프링의 복원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기구 본체를 아래쪽으로 뽑아내야 하기 때문에 천정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는, 걸어맞춤부재(결합용 금속부재)를 기구 본체의 측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장착하여 기구 본체를 천정에 설치할 때에는 걸어맞춤부재를 기구 본체로부터 돌출시켜 천정의 이면(裏面)에 걸어맞춤시키고, 기구 본체를 착탈할 때에는 걸어맞춤부재를 퇴피(退避)시키도록 한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설치 구조에 의하면, 기구 본체를 착탈할 때에 걸어맞춤부재에 의해 천정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설치 구조에서는, 작업자가 걸어맞춤부재를 출몰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 작업은, 기구 본체를 천정에 설치할 때에는, 기구 본체를 천정의 개구에 삽입 후, 기구 본체의 내부쪽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기구 본체 안에 설치되어 전구나 반사판을 제거한 후에 걸어맞춤부재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후 다시 전구나 반사판을 장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설치 후의 기구 본체를 제거할 때에도 같은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2의 설치 구조에서는 기구 본체를 천정에 착탈할 때에 매우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며, 그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작업자의 부담도 커진다. 또한, 기구 본체의 설치시에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걸어맞춤부재의 고정 상태가 진동 등으로 인해 헐거워져 상기 판스프링을 사용한 설치 구조와 같이 덜렁거리거나 천정에서 늘어지거나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조작부재인 로드의 회동에 의해 로킹 돌기가 돌출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엮어 천정에 압력을 가하도록 로킹 돌기에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설치 구조는 그 구조가 복잡한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소형 조명 기구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고정판이 회전되고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천정을 끼워넣음으로써 고정시키는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4의 설치 구조에서는 고정판이 1장의 판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강도의 확보가 어려워 소형 조명 기구에 적용하기 힘들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평4-6270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평5-3670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 제2003-15838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 평10-21451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조명 기구의 대소와 상관 없이 기구 본체를 천정에 쉽게 매입 설치할 수 있으며, 기구 본체를 천정에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는, 천정에 형성된 개구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로서, 천정에 매입되는 기구 본체와, 이 기구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어맞춤부재와, 이 걸어맞춤부재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구 본체와 별개의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이 판재에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와, 이 걸림고정부에 연속되어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기구 본체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방향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1개의 봉재(棒材)로 이루어지며, 이 봉재의 도중을 U자형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걸림고정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봉재의 끝단을 굴곡시킴으로써 천정의 이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이것을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상승시키고,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림고정부에 걸어맞춤 유지되고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기구 본체쪽으로 퇴피하여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되지 않는 비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림고정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하강하여,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기구 본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이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가이드홈과 간섭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는,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미리 걸어맞춤부재를 비걸어맞춤 상태로 한 후에 기구 본체를 천정의 개구에 삽입하고, 그 후 걸어맞춤부재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춤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명 기구의 대소와 상관 없이 기구 본체를 천정에 쉽게 매입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걸어맞춤부재는 걸어맞춤 상태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기구 본체를 천정에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어 기구 본체가 덜렁거리거나 천정에서 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춤 상태에 있을 때, 걸어맞춤부재의 제1 걸어맞춤부가 지지부재의 가이드홈 안에 위치하고 제1 걸어맞춤부가 가이드홈과 간섭함으로써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가압력과 함께 기구 본체를 천정에 의해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걸어맞춤부재가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격 완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가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될 때의 충격이 완화되어 천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 완화 수단이 없으면, 천정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제한할 수 밖에 없지만, 충격 완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보다도 가압력이 큰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기구 본체를 천정에 의해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기구 본체가 덜렁거리거나 천정에서 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충격 완화 수단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지지부재의 가이드홈에 돌출부를 설치하여 걸어맞춤부재가 가이드홈 내를 하강할 때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가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 완화 수단으로서 걸어맞춤부재의 제2 걸어맞춤부에 충격 흡수부재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걸어맞춤부재의 제1 걸어맞춤부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비걸어맞춤 상태에서 걸어맞춤 상태로 하는데, 이 걸어맞춤부재의 회전 조작은 기구 본체 하부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삽입하는 조작 지그에 의해 실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조작 지그에 의한 제1 걸어맞춤부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걸어맞춤부재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걸어맞춤부재의 제1 걸어맞춤부 윗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부재를 걸어맞춤부재의 제1 걸어맞춤부 윗쪽에 배치하면 그만큼 걸어맞춤부재의 제1 걸어맞춤부를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 기구 본체 하부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삽입하는 조작 지그에 의한 제1 걸어맞춤부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구 본체를 천정에 매입 설치할 때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재를 걸어맞춤 상태에서 비걸어맞춤 상태로 되돌리려면 걸어맞춤부재를 상승시켜 더 회전시키는데, 이 조작도 기구 본체 하부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삽입하는 조작 지그에 의해 실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구 본체의 측판부에 슬라이딩홈을 상하 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슬라이딩홈에 지지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춤시킴으로써, 기구 본체에 대한 지지부재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연속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공 현장의 천정판 두께에 따라 지지부재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변경할 때에 고정용 나사를 떼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 기구의 대소와 상관 없이 기구 본체를 천정에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매입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에서 걸어맞춤부재가 비걸어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상세를 도시하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에서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상세를 도시하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에서 걸어맞춤부재가 비걸어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상세를 도시하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에서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상세를 도시하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구 본체
1a 측판
1b 장착 구멍
1c 퇴피홈부
1d 하부 플랜지부
1e 조작구
1f 슬라이딩홈
2 반사판
3 지지부재
3a 지지부
3b 걸림고정부
3c 가이드홈
3d 경사면
3e,3f 돌출부
4 걸어맞춤부재
4a 제1 걸어맞춤부
4b 제2 걸어맞춤부
4c 스프링 고정부
4d 충격 흡수부재
5 코일 스프링(탄성부재)
6 나사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는, 그 기구 본체(1)가 천정(T)에 형성한 개구(T1)으로부터 삽입되어 천정(T)에 매입 설치되어 있다.
기구 본체(1)는, 그 내부에 삿갓형 반사판(2)을 구비하고 있고, 이 반사판(2)의 내부에 미도시된 전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는 지지부재(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하의 지지부(3a),(3a)에 걸어맞춤부재(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부재(4) 하단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천정(T)의 이면에 걸어맞춤됨으로써, 기구 본체(1)가 천정(T)에 매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걸어맞춤부재(4)의 아래쪽에는 탄성부재로서 코일 스프링(5)이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5)의 상단은 지지부재(3) 아래쪽의 지지부(3a)에 맞닿게 하고 하단은 걸어맞춤부재(4)의 스프링 고정부(4c)에 걸림고정시켰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4)는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3) 및 걸어맞춤부재(4)의 조합이 기구 본체(1)의 측면에 같은 간격으로 3곳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지지부재(3) 및 걸어맞춤부재(4)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2 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쪽으로 퇴피한 비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각각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지지부재(3)는 기구 본체(1)와 별개의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형성한 여러 단의 장착 구멍(1b) 중 소정의 장착 구멍(1b)을 선택하여 나사(6)를 사용하여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를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3b)와, 이 걸림고정부(3b)에 연속되어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홈(3c)을 가지며, 걸림고정부(3b)와 가이드홈(3c)의 경계 부분인 코너부는 R형상(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는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걸림고정부(3b) 및 가이드홈(3c)은 판재를 홈구멍 가공하는 것만으로, 지지부(3a)는 구부림 가공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구 본체(1)의 측판(1a)도 기구 본체(1)와 별개의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기구 본체(1)에 나사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기구 본체(1)의 장착 구멍(1b), 후술하는 퇴피홈부(1c) 등은 판재를 구멍 가공 혹은 홈구멍 가공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재(4)는 금속봉 등 1개의 봉재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지지부(3a),(3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재(4)에는 그 도중을 U자형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지지부재(3)의 걸림고정부(3b)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부(4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4b)가 굴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기구 본체(1)를 천정(T)에 매입 설치할 때에는, 미리 걸어맞춤부재(4)를 도 2에 도시한 비걸어맞춤 상태로 한다. 걸어맞춤부재(4)를 비걸어맞춤 상태로 하려면 걸어맞춤부재(4)를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가이드홈(3b)을 따라 상승시키고,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제1 방향(실시예에서는 아래쪽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어맞춤부(4a)를 지지부재(3)의 걸림고정부(3b)에 걸어맞춤시켜 유지한다. 이 비걸어맞춤 상태에서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쪽으로 퇴피하여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되지 않기 때문에, 기구 본체(1)를 천정(T)의 개구(T1)로부터 천정 이면쪽으로 삽입 가능하다. 실시예에서는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여러 단의 퇴피홈부(1c)를 설치하여 이 퇴피홈부(1c) 부분으로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를 퇴피시킨다.
기구 본체(1)를 천정(T)의 개구(T1)로부터 천정 이면쪽으로 삽입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한 후, 걸어맞춤부재(4)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와 지지부재(3)의 걸림고정부(3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걸어맞춤부재(4)가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홈(3c)을 따라서 하강하여 가이드홈(3c)의 하단부에 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의 상하 방향의 축선 위치(지지부재(3)의 상하 지지부(3a),(3a)의 위치)가 걸림고정부(3b)와 가이드홈(3c)의 경계 부분인 R형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부재(4)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의해, 제1 걸어맞춤부(4a)가 걸림고정부(3b)로부터 코너부를 경유하여 가이드홈(3c)에 도달하여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이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는 가이드홈(3c) 안에 위치하고, 제1 걸어맞춤부(4a)가 가이드홈(3c)과 간섭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4)는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걸어맞춤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를 비걸어맞춤 상태에서 걸어맞춤 상태로 하려면 걸어맞춤부재(4)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기구 본체(1)의 측판(1a)와 반사판(2) 외주면간의 틈(S)(도 1 참조)으로부터, 예를 들면 주걱형 조작 지그를 삽입하고, 이 조작 지그를 사용하여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를 조작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구 본체(1)를 천정(T)의 개구(T1)로부터 천정 이면쪽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걸어맞춤부재(4)를 걸어맞춤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곳에 장착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의 방향을 정 렬시켰기 때문에, 상기 주걱형 조작 지그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모든 걸어맞춤부재(4)를 걸어맞춤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재(4)를 걸어맞춤 상태에서 비걸어맞춤 상태로 되돌리려면, 걸어맞춤부재(4)를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가이드홈(3c)을 따라서 상승시키고 또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 본체(1)의 하부 플랜지부(1d)에 조작구(1e)를 설치하고, 이 조작구(1e)로부터 예를 들면 봉형 조작 지그를 삽입하고, 이 조작 지그에 의해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를 아래쪽에서 협지(挾持)하고 상승 및 회전 조작을 행하여 비걸어맞춤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구 본체(1)의 제거 작업도 천정(T)를 파손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를 기구 본체(1)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 구멍(1b)을 상하로 여러 단 형성하였기 때문에, 사용하는 장착 구멍(1b)를 선택함으로써, 기구 본체(1)에 대한 지지부재(3)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 즉 걸어맞춤부재(4)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되는 제2 걸어맞춤부(4b)의 상하 방향 위치를 시공 현장의 천정판 두께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천정판의 두께가 도 1의 천정(T)의 천정판보다도 두꺼운 경우에는 위쪽 장착 구멍(1b)을 선택하여 지지부재(3)를 기구 본체(1)에 대해 설치하도록 한다. 걸어맞춤부재(4)를 비걸어맞춤 상태로 했을 때, 제2 걸어맞춤부(4b)를 퇴피시키는 위치가 되는 퇴피홈부(1c)도, 걸어맞춤부재(4)의 설치 위치에 맞춰 상하 방향으로 여러 단 설치하였기 때문 에, 걸어맞춤부재(4)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바꿔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그 기구 본체(1)가 천정(T)에 형성된 개구(T1)으로부터 삽입되어 천정(T)에 매입 설치되어 있다.
기구 본체(1)는, 그 내부에 삿갓형 반사판(2)을 구비하고 있고, 이 반사판(2)의 내부에 미도시된 전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는 지지부재(3)가 마련되어 있고, 그 상하의 지지부(3a),(3a)에 걸어맞춤부재(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부재(4) 하단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천정(T)의 이면에 걸어맞춤됨으로써 기구 본체(1)가 천정(T)에 매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걸어맞춤부재(4)의 위쪽에는 탄성부재로서 코일 스프링(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5)의 상단은 지지부재(3)의 위쪽 지지부(3a)에 맞닿게 하고, 하단은 걸어맞춤부재(4)의 스프링 고정부(4c)에 걸림고정시켰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4)는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3) 및 걸어맞춤부재(4)의 조합이 기구 본체(1)의 측면에 같은 간격으로 3곳에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지지부재(3) 및 걸어맞춤부재(4)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5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쪽으로 퇴피한 비걸어맞 춤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각각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지지부재(3)는 기구 본체(1)과 별개의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기구 본체(1) 측판(1a)의 양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1f)에 나사(6)을 사용하여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6)는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나사(6)를 이완시킴으로써, 지지부재(3)는 슬라이딩홈(1f)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기구 본체(1)에 대한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설치 위치에서 나사(6)을 조임으로써 지지부재(3)는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대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3)를 슬라이딩홈(1f)에 나사(6)로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나사(6)을 제거하지 않고 지지부재(3)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가 변경된다.
지지부재(3)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를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3b)와, 이 걸림고정부(3b)에 연속되어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홈(3c)을 가지며, 걸림고정부(3b)와 가이드홈(3c)의 경계 부분은 걸림고정부(3b)로부터 가이드홈(3c)으로 내려오는 경사면(3d)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홈(3b)에는 본 발명의 충격 완화 수단으로서 돌출부(3e),(3f)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3e)는 경사면(3d)의 하단 부분에 연속되어 가이드홈(3b)의 한쪽 측면의 상단 부분에 마련되고, 돌출부(3f)는 돌출부(3e)와 대향하는 가이드홈의 다른 쪽 측면에서 돌출부(3)의 약간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는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걸림고정부(3b), 가이드홈(3c), 경사면(3d) 및 돌출부(3e),(3f)는 판재를 홈구멍 가공하는 것만으로, 지지부(3a)는 구부림 가공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구 본체(1)의 측판(1a)도, 기구 본체(1)와는 별개의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기구 본체(1)에 나사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기구 본체(1)의 슬라이딩홈(1f), 후술하는 퇴피홈부(1c) 등은 판재를 홈구멍 가공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재(4)는 금속봉 등 1개의 봉재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지지부(3a),(3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재(4)에는 그 도중을 U자형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지지부재(3)의 걸림고정부(3b)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부(4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4b)가 굴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걸어맞춤부(4b)에는 본 발명의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고무제 충격 흡수부재(4d)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기구 본체(1)를 천정(T)에 매입 설치할 때에는, 미리 걸어맞춤부재(4)를 도 5에 도시한 비걸어맞춤 상태로 한다. 걸어맞춤부재(4)를 비걸어맞춤 상태로 하려면, 걸어맞춤부재(4)를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가이드홈(3b)을 따라서 상승시키고,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제1 방향(실시예에서는 아래쪽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어맞춤부(4a)를 지지부 재(3)의 걸림고정부(3b)에 걸어맞춤시켜 유지한다. 이 비걸어맞춤 상태에서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쪽으로 퇴피하여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되지 않기 때문에, 기구 본체(1)를 천정(T)의 개구(T1)로부터 천정 이면쪽에 삽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여러 단의 퇴피홈부(1c)를 마련하고 이 퇴피홈부(1c) 부분으로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를 퇴피시키도록 하고 있다.
기구 본체(1)를 천정(T)의 개구(T1)로부터 천정 이면쪽으로 삽입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한 후, 걸어맞춤부재(4)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와 지지부재(3)의 걸림고정부(3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걸어맞춤부재(4)가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홈(3c)을 따라서 하강하여 가이드홈(3c)의 하단부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기구 본체(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의 상하 방향의 축선 위치(지지부재(3)의 상하 지지부(3a),(3a)의 위치)가 걸림고정부(3b)와 가이드홈(3c)의 경계 부분인 경사면(3d)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부재(4)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의해 제1 걸어맞춤부(4a)가 걸림고정부(3b)로부터 경사면(3d)을 경유하여 가이드홈(3c)에 도달하여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이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는 가이드홈(3c) 내에 위치하고 제1 걸어맞춤부(4a)가 가이드홈(3c)과 간섭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4)는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걸어맞춤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3c)에 돌출부(3e),(3f)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가 가이드홈(3c) 내를 하강할 때 돌출부(3e),(3f)에 접촉함으로써,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가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즉, 돌출부(3e),(3f)에 의해 가이드홈(3c)이 굴곡된 형상이 되기 때문에, 이것이 제1 걸어맞춤부(4a)의 통과 저항이 되어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제2 걸어맞춤부(4b)에는 충격 흡수부재(4d)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도 충격이 완화된다.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가압력이 큰 코일 스프링(5)를 사용하더라도 천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종래보다도 가압력이 큰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 본체를 천정에 의해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어 기구 본체가 덜렁거리거나 천정에서 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를 비걸어맞춤 상태에서 걸어맞춤 상태로 하려면 걸어맞춤부재(4)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기구 본체(1)의 측판(1a)와 반사판(2)의 외주면간의 틈(S)(도 4 참조)으로부터, 예를 들면 주걱형 조작 지그를 삽입하고 이 조작 지그를 사용하여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를 조작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구 본체(1)를 천정(T)의 개구(T1)로부터 천정 이면쪽으로 삽 입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걸어맞춤부재(4)를 걸어맞춤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5)을 걸어맞춤부재(4)의 위쪽에 장착하여 그만큼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가 틈(S)에 가까운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주걱형 조작 지그에 의한 제1 걸어맞춤부(4a)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3곳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4)의 제1 걸어맞춤부(4a)의 방향을 정렬시켰기 때문에, 상기 주걱형 조작 지그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모든 걸어맞춤부재(4)를 걸어맞춤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재(4)를 걸어맞춤 상태에서 비걸어맞춤 상태로 되돌리려면, 걸어맞춤부재(4)를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가이드홈(3c)을 따라 상승시키고 또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 본체(1)의 하부 플랜지부(1d)에 조작구(1e)를 마련하고, 이 조작구(1e)에서 예를 들면 봉형 조작 지그를 삽입하고, 이 조작 지그에 의해 걸어맞춤부재(4)의 제2 걸어맞춤부(4b)를 아래쪽에서 협지하고, 상승 및 회전 조작을 행하여, 비걸어맞춤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구 본체(1)의 제거 작업도 천정(T)을 파손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를 기구 본체(1)의 측판(1a)에 설치한 슬라이딩홈(1c)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그 상하 방향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천정(T)의 이면과 걸어맞춤되는 제2 걸어맞춤부(4b)의 상하 방향 위치를 시공 현장의 천정판 두께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천정판의 두께 가 도 4의 천정(T)의 천정판보다도 두꺼운 경우에는 지지부재(3)를 윗쪽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 슬라이딩 동작은 나사(6)를 이완시키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6)를 뺐다가 다시 장착하는 번잡한 작업 없이 지지부재(3)(걸어맞춤부재(4))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부재(4)를 비걸어맞춤 상태로 했을 때, 제2 걸어맞춤부(4b)를 퇴피시키는 위치가 되는 퇴피홈부(1c)도 걸어맞춤부재(4)의 설치 위치에 맞춰 상하 방향으로 여러 단 설치하였기 때문에, 걸어맞춤부재(4)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바꿔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Claims (6)

  1. 천정에 형성된 개구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로서,
    천정에 매입되는 기구 본체와, 이 기구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어맞춤부재와, 이 걸어맞춤부재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구 본체와 별개의 1장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이 판재에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와, 이 걸림고정부에 연속되어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기구 본체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1개의 봉재(棒材)로 이루어지고, 이 봉재의 도중을 U자형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걸림고정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봉재의 끝단을 굴곡시킴으로써 천정의 이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이것을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상승시키고, 또한,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림고정부에 걸어맞춤 유지되고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기구 본체쪽으로 퇴피하여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되지 않는 비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걸 어맞춤부와 상기 걸림고정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하강하여,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기구 본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이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가이드홈과 간섭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는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수단을 구비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의 가이드홈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가이드홈 내를 하강할 때 상기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천정의 이면과 걸어맞춤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수단으로서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제2 걸어맞춤부에 충격 흡 수부재를 장착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제1 걸어맞춤부의 윗쪽에 배치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측판부에 슬라이딩홈을 상하 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슬라이딩홈에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기구 본체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방향 설치 위치를 연속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한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KR1020097023102A 2007-04-06 2007-12-13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KR201000162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00118 2007-04-06
JP2007100118A JP4039681B1 (ja) 2007-04-06 2007-04-06 天井埋込型照明器具
JP2007287540A JP5027619B2 (ja) 2007-11-05 2007-11-05 天井埋込型照明器具
JPJP-P-2007-287540 2007-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239A true KR20100016239A (ko) 2010-02-12

Family

ID=3987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102A KR20100016239A (ko) 2007-04-06 2007-12-13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35030A1 (ko)
KR (1) KR20100016239A (ko)
CN (1) CN101730822A (ko)
TW (1) TW200914763A (ko)
WO (1) WO2008129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2026B4 (de) 2009-11-05 2020-06-18 Siteco Gmbh Einbaurahmen mit Befestigungsvorrichtung
US20110176295A1 (en) * 2010-01-15 2011-07-21 Young Lighting Technology Corporation Lamp
CN102705789B (zh) * 2011-03-28 2013-11-1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灯头旋转装置及灯头可旋转的灯具
CN102797991B (zh) * 2011-05-27 2014-08-2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照明灯具
US8827497B1 (en) * 2013-01-11 2014-09-09 Palm Coast Imports, LLC Tilt and clean sliding light assembly bracket and light fix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321B2 (ja) * 1990-06-29 1994-06-01 株式会社遠藤照明 天井埋込み型照明器具の取付装置
JPH04117514U (ja) * 1991-03-29 1992-10-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い草苗の上下切断機構
JPH10214511A (ja) * 1997-01-29 1998-08-11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天井埋込照明器具の天井取付装置
EP1310730A1 (fr) * 2001-10-09 2003-05-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pport de fixation, notamment pour un luminaire encastr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30822A (zh) 2010-06-09
TW200914763A (en) 2009-04-01
WO2008129728A1 (ja) 2008-10-30
US20100135030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6239A (ko)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JP2007280883A (ja) 照明装置
KR102072040B1 (ko) 조명등
KR20210105281A (ko) 등기구 탈부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기구
KR101033942B1 (ko)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KR102112231B1 (ko) 엣지형 조명등
KR102344343B1 (ko) 평판조명기구용 천장브라켓 어셈블리 설치구조
KR101103258B1 (ko) 천정 매립등의 조립 설치장치
JP4039681B1 (ja) 天井埋込型照明器具
KR101557054B1 (ko) 다운라이트 장치
JP6639114B2 (ja) 照明装置
KR102103101B1 (ko) 원터치 고정구조를 갖는 천장 직착등
JP2008186610A (ja) 照明器具
JP5027619B2 (ja) 天井埋込型照明器具
KR101806828B1 (ko) 천정직착등 탈부착 구조
JP2015040108A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天井照明装置の照明板落下防止装置、それを備えた天井照明装置、および天井照明装置の照明板の取り外し方法
KR20150117386A (ko) 다운라이트의 천정 고정구조
KR102179704B1 (ko) 조명등
KR20150053612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404221B1 (ko) 천장부착 조명등장치
KR200468802Y1 (ko) 램프 마운팅장치
KR20230164273A (ko) 고정물 탈장착 장치
KR200358351Y1 (ko) 형광등 프레임 낙하방지구조
KR200326774Y1 (ko) 조명기기
KR200430692Y1 (ko) 매립 스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