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914A - 도금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금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914A
KR20130022914A KR1020110085950A KR20110085950A KR20130022914A KR 20130022914 A KR20130022914 A KR 20130022914A KR 1020110085950 A KR1020110085950 A KR 1020110085950A KR 20110085950 A KR20110085950 A KR 20110085950A KR 20130022914 A KR20130022914 A KR 20130022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rack
substrate
plating
rack assembly
ra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이
Original Assignee
박경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이 filed Critical 박경이
Priority to KR102011008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914A/ko
Publication of KR2013002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회로판 제조용 기판들의 도금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도금랙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그러한 도금랙 어셈블리는, 기판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들을 구비한 도금랙 본체와,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들과 대응하는 지점에 배치되어 두 장 이상의 기판들이 서로 평면을 이루면서 이격 배열된 상태로 로딩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고정구들을 구비한 기판고정부 그리고, 상기 기판고정부의 고정구들을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들 측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금랙 어셈블리{plating rack assembly}
본 발명은 회로판 제조용 기판들을 안전하게 잡아 준 상태로 도금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도금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박막 회로판의 제조 공정 중에는 회로판 제조용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함.)을 도금하는 공정이 있다.
상기 기판들을 도금하는 방법으로는, 기판을 정해진 이송구간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도금하는 연속 도금방식과, 도금조 내부에 기판을 담근 상태로 도금하는 디핑 도금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기판의 도금 작업에는 도금랙이 사용되며, 이 도금랙은 도금 작업 중에 기판을 도금 가능하게 펼쳐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근래에는 하나의 도금랙으로 한 장의 기판을 잡아주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제한된 작업장 내에서 수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두 장 이상의 기판을 잡아준 상태로 도금할 수 있는 도금랙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장 이상의 기판을 잡아줄 수 있는 도금랙으로는 본원 출원인이 2007년 12월12일 자로 특허 출원하여 등록된"특허 제10-0972205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가 있다.
상기한 특허 제10-0972205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제1 거치부 및 제2 거치부를 각각 구비하고, 이 두 개의 거치부를 이용하여 두 장의 기판을 간격을 띄우고 마주하는 상태로 랙 본체의 지지대 측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특허 제10-0972205호의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랙 본체의 지지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기판 사이즈에 따라 상기 지지대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상기 거치대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기판 사이즈에 따른 로딩 호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랙 본체 측에 마주하는 상태로 두 장의 기판을 도금 가능하게 잡아주는 구조이므로, 예를 들어, 도금랙을 도금조 내부에 담근 상태로 도금할 때 마주하는 기판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기판의 마주하는 면들이 비정상으로 도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랙 본체를 구성하는 지지대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에 한정되므로 예를 들어, 사이즈가 서로 상이한 두 장의 기판을 함께 로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특히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기판을 함께 로딩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 장 이상의 기판들의 로딩이 가능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금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들을 구비한 도금랙 본체;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들과 대응하는 지점에 배치되어 두 장 이상의 기판들이 서로 평면을 이루면서 이격 배열된 상태로 로딩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고정구들을 구비한 기판고정부;
상기 기판고정부의 고정구들을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들 측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도금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판고정부의 고정구들로 기판을 잡아서 두 장 이상의 기판들이 서로 평면을 이루면서 이격 배열된 상태로 도금랙 본체 측에 간편하게 로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기판고정부의 고정구들을 상기 도금랙 본체 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이즈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 장 이상의 기판들을 더욱 간편하게 로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어셈블리의 다른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2는 도금랙 본체를 지칭하며, 이 도금랙 본체(2)는 두 장 이상의 기판(G)들이 펼쳐져서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로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금랙 본체(2)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네 개의 지지부(A1, A2, A3, A4)들을 구비하고, 이 지지부(A1, A2, A3, A4)들이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A1, A2, A3, A4)들은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또는 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볼팅이나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어셈블리는, 기판고정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고정부(4)는,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두 장 이상의 기판(G)을 잡아서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판고정부(4)는, 복수 개의 고정구(B)들을 구비하고, 이 고정구(B)들은 여러 가지의 고정 방식 중에서 예를 들어, 클램프 방식으로 기판(G)들의 가장자리를 잡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B)들은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집게 모양을 가지며 압축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B1)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기판(G)의 가장자리를 탄력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B)들은, 기판(G)들의 가장자리 중에서 적어도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잡아 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구(B)는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도금랙 본체(2)의 네 군데 지지부(A1, A2, A3, A4) 중에서 상부 및 하부의 지지부(A1, A2)와 대응하는 지점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판(G)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각각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B)들은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기판(G)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각각 두 군데 이상 잡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면 좋다. 그러면, 기판(G)의 고정력을 높여서 한층 향상된 로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어셈블리는, 위치조절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조절수단(6)은, 상기 기판고정부(4)의 고정구(B)들을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6)은, 상기 고정구(B)들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움직이면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위치조절수단(6)은, 가이드레일(C)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레일(C) 측에 상기 고정구 일측이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C)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바(bar) 또는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기판고정부(4)의 상부 및 하부 지지부(A1, A2) 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C)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A1, A2)들과 약간의 간격을 띄우고 평행하게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A1, A2) 측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고정구(B)들이 상기 가이드레일(C)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되므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서 상기 고정구(B)들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수단(6)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기판고정부(4)의 상부 및 하부 지지부(A1, A2)를 가이드레일(C)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구(B)들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부(A1, A2) 측에서 이 지지부(A1, A2)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수단(6)은, 상기 고정구(B)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부(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8)는 걸림 접촉력으로 상기 가이드레일(C) 상에서 상기 고정구(B)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8)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B) 측에 설치된 걸림구(D)가 상기 가이드레일(C) 측에 형성된 걸림홈(D1) 측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구(B)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구(D)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볼(ball)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B) 측에서 탄성부재(D2, 예: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C)의 외부면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D1)은 상기 가이드레일(C)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D1)들은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레일(C) 상에서 통상의 래크(rack)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8)는, 상기 걸림구(D)가 일측 걸림홈(D1)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구(B)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탄성부재(D2)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고정구(B)를 밀거나 당기면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C)을 따라 상기 고정구(B)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위치조절수단(6)에 의하면, 도금 작업시 기판(G)의 사이즈나 형태에 따라 이와 부합하도록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서 상기 고정구(B)들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위치 조절 구조는,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두 장 이상의 기판(G)들을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로딩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사이즈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 장의 기판(G)들을 도금랙 본체(2) 측에 로딩할 때, 상기 기판(G)들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와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C)을 따라 상기 고정구(B)들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로 기판(G)들을 각각 잡아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랙 어셈블리는, 보조지지부(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10)는,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두 장 이상의 기판(G)들이 이격 배치될 때 이 기판(G)들 사이에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지지부(1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바(또는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상부 지지부(A1) 및 하부 지지부(A2)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10)의 단부는 상기 위치조절수단(6)의 가이드레일(C) 측에 끼워져서 이 가이드레일(C)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10) 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핀(E)들이 설치되며, 이 고정핀(E)들은 기판(G)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통상의 고정홀(G1) 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핀(E)들은 상기 도금랙 본체(2)의 지지부(A1, A2, A3, A4)들 중에서 상기 보조지지부9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좌,우측 지지부(A3, A4) 측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두 장의 기판(G)을 로딩할 때, 이 기판(G)들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핀(E)들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로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보조지지부(10) 측에 고정핀(E)들을 설치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기판고정부(4)의 고정구(B)들을 설치하여 기판(G)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보조지지부(10)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두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서 상기 보조지지부(10)들을 사이에 두고 세 장의 기판(G)을 안정적으로 로딩할 수 있다.
상기한 보조지지부(10)는 요구되는 작업 여건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이 상기 도금랙 본체(2) 측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두 장 이상의 기판(G)들이 서로 평면을 이루면서 이격 배열된 상태로 로딩할 수 있는 랙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한 본 발명은, 사이즈가 서로 동일하거나, 사이즈가 서로 상이한 두 장 이상의 기판(G)들을 도금랙 본체 측에 용이하게 로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기판(G)들의 도금 작업시 한층 향상된 작업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도금랙 본체 4: 기판고정부 6: 위치조절수단
A1, A2, A3, A4: 지지부 B: 고정구 G:기판

Claims (7)

  1. 기판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들을 구비한 도금랙 본체;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들과 대응하는 지점에 배치되어 두 장 이상의 기판들이 서로 평면을 이루면서 이격 배열된 상태로 로딩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고정구들을 구비한 기판고정부;
    상기 기판고정부의 고정구들을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도금랙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금랙 본체는,
    상기 지지부들이 사각 프레임 모양으로 연결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도금랙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고정부는,
    집게형의 클램프를 상기 고정구로 사용하고,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들 측에서 상기 고정구들로 기판의 가장자리들을 잡아줄 수 있도록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랙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도금랙 본체의 지지부 측에서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구들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랙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금랙 어셈블리는, 상기 도금랙 본체 측에서 기판을 잡아주기 위한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도금랙 본체의 대향하는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통상의 홀부 측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핀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도금랙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도금랙 본체 측에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랙 어셈블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고정구들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띄우고 형성된 걸림홈들과, 상기 고정구 측에서 상기 걸림홈들 측에 탄력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도금랙 어셈블리.
KR1020110085950A 2011-08-26 2011-08-26 도금랙 어셈블리 KR20130022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50A KR20130022914A (ko) 2011-08-26 2011-08-26 도금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50A KR20130022914A (ko) 2011-08-26 2011-08-26 도금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914A true KR20130022914A (ko) 2013-03-07

Family

ID=4817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950A KR20130022914A (ko) 2011-08-26 2011-08-26 도금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9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444A (ko) * 2013-08-08 2015-02-23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클램퍼 및 이것을 구비하는 유지구
CN105316750A (zh) * 2014-08-04 2016-02-10 亚硕企业股份有限公司 电镀夹具
CN110318082A (zh) * 2018-03-30 2019-10-11 太阳能公司 用于连续电镀生产线的双晶片电镀夹具
KR102548735B1 (ko) * 2022-07-25 2023-06-27 태봉진 인쇄회로기판 전기 동도금 장치
CN110318082B (zh) * 2018-03-30 2024-06-07 迈可晟太阳能有限公司 用于连续电镀生产线的双晶片电镀夹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444A (ko) * 2013-08-08 2015-02-23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클램퍼 및 이것을 구비하는 유지구
CN105316750A (zh) * 2014-08-04 2016-02-10 亚硕企业股份有限公司 电镀夹具
CN110318082A (zh) * 2018-03-30 2019-10-11 太阳能公司 用于连续电镀生产线的双晶片电镀夹具
US11598018B2 (en) * 2018-03-30 2023-03-07 Sunpower Corporation Dual wafer plating fixture for a continuous plating line
CN110318082B (zh) * 2018-03-30 2024-06-07 迈可晟太阳能有限公司 用于连续电镀生产线的双晶片电镀夹具
KR102548735B1 (ko) * 2022-07-25 2023-06-27 태봉진 인쇄회로기판 전기 동도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765B1 (ko) 클램퍼 및 이것을 구비하는 유지구
KR101408398B1 (ko) 도금용 랙
KR20130022914A (ko) 도금랙 어셈블리
JP3153550U (ja) ワーク保持治具
US9333609B2 (en) Tool carrier unit of a tool magazine
EP2495404B1 (en) A workpiece support of a gas turbine engine
JP6528794B2 (ja) ドライブチェーンのリンク組付装置及びリンク組付方法
TWI547357B (zh) 定位機構
CN203484770U (zh) 一种线束焊接辅助治具
KR20180028396A (ko) 기판 홀더 수용 장치
CN103774201A (zh) 吊架和具有这种吊架的电镀系统
KR101246880B1 (ko) 도금용 바스켓
KR101503041B1 (ko) 도금랙 장치
KR20140108979A (ko) 도금랙 장치
RU2487042C2 (ru) Шаблон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место элементов кузова передней панели автомобиля
US20160059396A1 (en) Device for assembling a fuel injector assembly
JP6089413B2 (ja) 被固定物の固定構造
CN112688134B (zh) 插座固定装置及方法
CN107509318B (zh) Led显示屏专用贴片机的夹持机构
US20140007422A1 (en) Correction mechanism for pin and correction device
CN205726014U (zh) 用于摄像机传感器的定位夹及定位装置
JP6100921B2 (ja) ラックマウント用治具
CN104443846B (zh) 搬运治具和存放槽
KR20200099307A (ko) 도금랙용 프레임 어셈블리
CN215727278U (zh) 夹具组件和拉力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