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299A -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299A
KR20140108299A KR1020147020064A KR20147020064A KR20140108299A KR 20140108299 A KR20140108299 A KR 20140108299A KR 1020147020064 A KR1020147020064 A KR 1020147020064A KR 20147020064 A KR20147020064 A KR 20147020064A KR 20140108299 A KR20140108299 A KR 2014010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
matrix material
light emitting
nanoparticles
phosp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263B1 (ko
Inventor
이매드 나사니
하오 팡
Original Assignee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 C08G2261/342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non-conjugated, e.g. paracyclophanes or 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heteroatoms
    • C08G2261/3442Polyether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5Use in organic luminescent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41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73Nanoparticle, i.e. structure having three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Abstract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나노물질들이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에 있는 현탁액을 매트릭스 물질 및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로 변환함으로써 제조된다. 매트릭스 물질은 나노입자들이 분산될 수 있고 성형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물질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임의의 성형 기술 예를 들어 중합 성형, 접촉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등을 사용하여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나노입자 현탁액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단 성형되면,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가스 차단 물질 예를 들어 중합체,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유리로 코팅될 수 있다. 차단층이 코팅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발광 장치 예를 들어 LED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체는 표준 고체 상태 LED의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고, 고체 상태 LED 에미터의 방출의 일부분을 하향 변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Molded nanoparticle phosphor for light emitting applications}
본 발명은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에 대한 것이다.
종종 양자 점(quantum dot, QD)이라고 불리는 대략 2-100nm 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된 화합물 반도체들의 제조 및 특성화에 지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같은 연구는 주로 나노입자들에 대한 크기-조정가능한 전자적, 광학적 및 화학적 특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반도체 나노입자들은 생물학적 표식(labelling), 태양 셀들, 촉매, 생물학적 영상화(imaging),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들과 같이 아주 다양하게 상업적 적용분야에 사용가능하여 상당한 관심을 얻고 있다.
반도체 나노입자의 적용에 있어서 특히 매력적인 잠재 분야는 차세대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전 분야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차량 등, 교통 신호, 일반 조명, 액정표시소자(LCD)의 후면광 및 표시 스크린에서 꾸준하게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또는 아크릴산인 광학적으로 투명한(또는 충분히 빛이 투과하는) LED 봉지 매질(encapsulation medium) 내에 반도체 나노입자들을 매립하고, 이를 이어서 고체 상태 LED의 상면에 배치함으로써 제조된다. 고체 상태 LED의 1차 광에 의해 여기된 나노입자들은 2차 광을 방출하는데 2차 광의 색상은 나노입자의 특정 형태 또는 크기의 특성이다. 예를 들어, 고체 상태 LED의 1차 방출이 적색이면, 나노입자들은 청색 광의 일부분을 흡수하고 적색 광을 방출할 것이다. 고체 상태 LED 방출의 일부분은 이에 따라 "하향 변환"(down-converted)되고 장치는 적색 및 청색의 혼합 광을 제공할 것이다.
반도체 나노입자들의 사용은 잠재적으로 종래 형광체(phosphor)의 사용에 비해 중요한 이점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나노입자들은 LED의 방출 파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나노입자가 LED 봉지제 내로 포함된 이후에도, 산소가 여전히 봉지제를 통과하여 나노입자들의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는 광-산화로 이어질 수 있고 그 결과 양자 수율(quantum yield, QY)이 떨어지게 된다.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자 점 기반 발광 장치들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적용들에 양자 점 적용이라는 중요한 잠재성에 비추어 볼 때, 더 밝고, 더 수명이 길고 그리고/또는 다양한 공정 환경에 덜 민감하도록 양자 점들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개발에 대한 요구가 아주 크다.
소비자 요구에 맞춰 아주 높은 수준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다양한 규모로 발광 장치들 같은 양자 점 기반 장치들을 제조하는 방법들과 양자 점 기반 물질들의 개발이라는 중대한 도전과제가 여전히 있다.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나노물질들이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에 있는 현탁액을 매트릭스 물질 및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로 변환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매트릭스 물질은 나노입자들이 분산될 수 있고 성형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물질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트릭스 물질은 중합체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물질이 중합체 물질이면, 상기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는 적절한 단량체들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는 또한 촉매, 교차결합제, 개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임의의 성형 기술 예를 들어 중합 성형, 접촉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등을 사용하여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나노입자 현탁액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단 성형되면,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가스 차단 물질 예를 들어 중합체,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유리로 코팅될 수 있다. 이 코팅은 임의의 코팅 기술 예를 들어 원자층 증착 기술, 증발 코팅 기술, 스프레이 코팅 기술, 또는 브러시 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에 적용될 수 있다.
차단층이 코팅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발광 장치 예를 들어 LED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체는 표준 고체 상태 LED의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고, 고체 상태 LED 에미터의 방출의 일부분을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 내용의 각 실실 예 또는 모든 측면을 요약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 밝고, 발광 장치에서 더 수명이 길고 그리고/또는 다양한 공정 환경에 덜 민감하도록 양자 점들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 요구에 맞춰 아주 높은 수준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다양한 규모로 발광 장치들 같은 양자 점 기반 장치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사전에 제조된 나노입자 디스크를 갖는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 및 종래 기술에 따른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의 방출 강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의 성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출원은 2012. 1. 19.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588,377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동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1은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100)를 도시한다. 발광 장치(100)는 전형적으로 실리콘 또는 아크릴산인 광학적으로 투명한(또는 충분히 빛이 투과하는) LED 봉지 매질(102)에 반도체 나노입자(101)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이것은 고체 상태 LED(130) 위에 배치된다. 봉지 매질은 패키지(104) 내에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노입자들이 LED 봉지 매질 안에 포함된 이후에도, 여전히 산소가 봉지 매질을 통과하여 나노입자들의 표면들에 도달할 수 있고, 이는 광-산화로 이어질 수 있고 그 결과 양자 수율(QY)이 감소한다.
도 2a는 봉지 매질(202) 내로의 산소 이동에 따른 광-산화 문제를 다루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200)를 도시한다. 나노입자(20)들은 마이크로비드(205)(microbead) 내에 포함되고, 이는 LED 봉지 매질(202)에 부유 된다. 비드(205)는 도 2b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나노입자(201)들은 주 매트릭스 물질(206) 안에 포함된다. 주 매트릭스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매질, 즉 광이 통과할 수 있는 매질이고, 이는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주 매트릭스 물질은 수지, 중합체, 모노리스(monolith), 유리, 졸 겔, 에폭시, 실리콘, (메트)아크릴산 등일 수 있고 또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매트릭스 물질의 예는 아크릴산 중합체(acrylate polymers)(예: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 부틸(polybutyl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 옥틸(polyoctylmethacrylate), 시아노아크릴산 알킬(alkylcyanoacrylate), 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폴리아세트산 비닐(polyvinylacetate) 등), 에폭시드(epoxides)(예: EPOTEK 301 A+B 열경화 에폭시, EPOTEK OG1 12-4 single pot UV 경과 에폭시, 또는 EX0135A and B 열경화 에폭시),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티오에테르(polythioether),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yl), 폴리디엔(polydiene),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Kratons), 피렐렌(pyrelene), 폴리-파라-자일렌(poly-para-xylylene)(파릴렌(parylenes)), 실리카(silica), 실리카-아크릴산 혼성체(silica-acrylate hybrid),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디비닐 벤젠(polydivinyl benz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부틸 고무),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셀룰로오스 유도체(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롤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그리고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마이크로비드(205)는 또한 산소, 수분, 또는 자유 라디칼이 주 매트릭스 물질을 통과하여 확산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20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코팅은 유전체,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실리카 같은 무기 물질일 수 있다. 또는, 이 코팅은 중합체 물질 같은 다른 물질일 수 있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마이크로비드(205)와 관련한 단점은 이것이 광을 산란, 반사 및 굴절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광학적 효과는 발광 장치의 전체 성능(밝기)의 손실을 야기한다.
도 3은 산소, 수분 그리고 라디칼 같은 유해 종이 봉지제(302)(encapsulant) 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ED 패키지(304)를 밀봉하는 가스 차단 필름(308)을 포함하는 밀폐식으로 밀봉된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300)를 도시한다. 하지만, 밀폐식으로 밀봉된 장치(300)는 제조하기 어렵고 특히 상업적 규모로 제조하기 어려운데, 왜냐하면 가스 차단 필름(308)(예를 들어 세라믹)으로 적합한 물질이 비싸고 다루기 힘들기 때문이다. 가스 차단 필름(308)과 LED 패키지(304) 사이에 불투과성 밀봉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그 결과 유해 종이 여전히 인터페이스(309)에서 장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더욱이, 밀봉된 패키지가 방출 칩 및 LED 배선의 성능을 악화시키는 미기후 효과(micro-climate effect)의 발전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최근에 확인되었다. 그래서 산소 등이 LED 봉지 물질 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한 LED 패키지 그 자체가 숨 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같은 모순되는 두 목표를 충족하는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4는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나노입자가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에 포함된 현탁액(401)이 성형틀(401)(mold) 안으로 전달된다. 성형틀(401)에서,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는 매트릭스 물질로 변환되어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3)(molded nanoparticle phosphor)를 생성한다.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도 4에서 개략적으로 사각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3)의 실재 형상은 성형틀(402)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것이나,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는 실재 크기를 도시하는 것도 아니다. 예시적인 매트릭스 물질은 아크릴산 중합체(acrylate polymers)(예: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 부틸(polybutyl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 옥틸(polyoctylmethacrylate), 시아노아크릴산 알킬(alkylcyanoacrylate), 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폴리아세트산 비닐(polyvinylacetate) 등), 에폭시드(epoxides)(예: EPOTEK 301 A+B 열경화 에폭시, EPOTEK OG1 12-4 single pot UV 경과 에폭시, 또는 EX0135A and B 열경화 에폭시),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티오에테르(polythioether),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yl), 폴리디엔(polydiene),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Kratons), 피렐렌(pyrelene), 폴리-파라-자일렌(poly-para-xylylene)(파릴렌(parylenes)), 실리카(silica), 실리카-아크릴산 혼성체(silica-acrylate hybrid),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디비닐 벤젠(polydivinyl benz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부틸 고무),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셀룰로오스 유도체(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롤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그리고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는 나노입자들이 부유 또는 용해될 수 있고 매트릭스 물질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전구체 제형(precursor formulation)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물질이 중합체라면, 매트릭스 전구체 물질은 대응하는 단량체 및 매트릭스 전구체 물질을 매트릭스 물질로 변환하기 위한 추가 종 예를 들어 광개시제, 촉매 그리고/또는 교차결합제의 제형일 수 있다.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개시에 의한 중합을 포함하여 이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해 매트릭스 물질로 변환될 수 있다.
성형틀(402)은 원하는 형상의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3)를 생성하는 형상을 갖는 임의의 성형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성형틀(402)은 그 자체로서 최종 나노입자 발광 장치에 사용될 LED 패키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LED 패키지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3)를 형성하는 특정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알려진 성형 또는 주소 기술이 예를 들어 접촉 성형(contact molding), 주조(casting), 사출 또는 압출 성형이 사용될 수 있다.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3)는 코팅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4)를 생성하기 위해서 가스 차단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산소 또는 임의의 유형의 산화제가 주 매트릭스 물질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 코팅은 자유 라디칼 종이 주 매트릭스 물질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수분 차단 코팅이다. 가스 차단 물질은 가스 그리고/또는 수분의 통로를 완전히 방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코팅은 임의의 두께의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코팅층은 대략 1 내지 10nm 두께일 수 있고, 대략 400 내지 500nm 두께까지 또는 그 이상의 두께일 수 있다. 코팅은 유전체(절연체),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실리카계 물질(예를 들어 유리) 같은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금속 산화물은 Al2O3, B203, C0203, Cr203, CuO, Fe203, Ga203, Hf02, ln203, MgO, Nb205, NiO, Si02, Sn02, Ta205, Ti02, Zr02, Sc203, Y203, Ge02, La203, Ce02, PrOx (x=정수), Nd203, Sm203, EuOy (y=정수), Gd203, Dy203, Ho203, Er203, Tm203, Yb203, Lu203, SrTi03, BaTi03, PbTi03, PbZr03, BimTinO (m=정수, n=정수), BiaSibO (a=정수, b=정수), SrTa206, SrBi2Ta209, YSc03, LaAl03, NdAl03, GdSc03, LaSc03, LaLu03, Er3Ga5013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금속 질화물은 BN, AlN, GaN, InN, Zr3N4, Cu2N, Hf3N4, SiNc (c=정수), TiN, Ta3N5, Ti-Si-N, Ti-Al-N, TaN, NbN, MoN, WNd(d=정수), 그리고 WNeCf(e=정수, f=정수)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무기 코팅은 적절한 결정 형태의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중합체 또는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코팅은 무기/중합체 혼성체 예를 들어 실리카-아크릴산 혼성체 물질일 수 있다.
제2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코팅은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중합체 물질은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일 수 있고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종 원자(예를 들어 O, S, N, 할로) 또는 이종 원자 함유 기능 기(예를 들어, 카르보닐 기, 시아노 기, 에테르 기, 에폭시드 기, 아미드 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체 코팅 물질의 예는 아크릴산 중합체(acrylate polymer)(예: 폴리(메트)아크릴산(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 부틸(polybutyl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 옥틸(polyoctylmethacrylate), 시아노아크릴산 알킬(alkylcyanoacrylate), 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폴리아세트산 비닐(polyvinylacetate) 등), 에폭시드(epoxides)(예: EPOTEK 301 A+B 열경화 에폭시, EPOTEK OG1 12-4 single pot UV 경과 에폭시, 또는 EX0135A and B 열경화 에폭시),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티오에테르(polythioether),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yl), 폴리디엔(polydiene),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Kratons), 피렐렌(pyrelene), 폴리-파라-자일렌(poly-para-xylylene)(파릴렌(parylenes)), 실리카(silica), 실리카-아크릴산 혼성체(silica-acrylate hybrid),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디비닐 벤젠(polydivinyl benz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부틸 고무),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셀룰로오스 유도체(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롤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그리고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코팅(405)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관련 기술분야 예를 들어 제약학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코팅 방법에 의해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3)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약학 분야에서 코팅은 일반적으로는 알약에 적용된다. 코팅의 예는 원장층 증착(ALD)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스프레이 코팅, 증발 및 브러시(brush) 코팅 등이 있다.
코팅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403)는 LED 패키지(406) 내에 삽입되는데, 이는 LED 봉지제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에폭시로 채워질 수 있고,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407)의 제조는 LED 산업 분야에서 전형적인 방법에 따라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유형의 발광 나노입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나노입자는 반도체 나노입자이다. 반도체 물질은 원소 주기율표 2족 내지 16족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2성분, 3성분 및 4성분 물질을 즉,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다른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나노입자는 반도체 물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dSe, CdTe, ZnS, ZnSe, ZnTe, InP, InAs, InSb, AlP, AlS, AlAs, AlSb, GaN, GaP, GaAs, GaSb, PbS, PbSe, Si, Ge 그리고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러 실시 예에 따르면, 나노입자는 약 100nm 이하, 약 50nm 이하, 약 20nm 이하, 약 15nm 이하 그리고/또는 2 내지 10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단일의 반도체 물질을 예를 들어, CdS, CdSe, ZnS, ZnSe, InP, GaN 등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는, 나노입자 표면에서 결함 및 불완전 결합에서 발생하는 비-방사성 전자-정공 재결합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양자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 같은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나노입자 코어가 코어 물질과는 다른 물질에 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또한 여기서 "쉘"로 언급됨)으로 코팅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 또는 쉘은 예를 들어 코어 물질과는 다른 반도체 물질일 수 있다. 쉘에 포함된 물질은 원소 주기율표의 2족 내지 16족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족에서 선택된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입자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쉘을 가질 경우, 각 쉘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코어/쉘 물질에서, 코어는 전술한 물질 중 하나로 형성되고, 쉘은 코어 물질과 비슷한 격자 치수를 가지며 더 큰 밴드-갭(band-gap)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쉘 물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ZnS, ZnO, MgS, MgSe, MgTe, GaN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멀티-쉘 나노입자는 InP/ZnS/ZnO 이다. 전하 반송자를 코어 내에 한정시키고 표면 상태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나노입자의 안정성이 더욱 증가하고 양자 수율이 향상된다.
여기에 개시된 방법은 특정 나노입자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카드뮴(cadmium-free) 나노입자 즉 카드뮴을 함유하지 않은 나노입자가 특히 선호되는데, 카드뮴과 관련된 잠재적인 독성 및 환경 영향 때문이다. 무-카드뮴 나노입자의 예는 반도체 물질 예를 들어 ZnS, ZnSe, ZnTe, InP, InAs, InSb, AlP, AlS, AlAs, AlSb, GaN, GaP, GaAs, GaSb, PbS, PbSe, Si, Ge, 그리고 특히 이 같은 물질에 의한 코어 및 코어 물질과 다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쉘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실시 예1
표준 20mw LED 패키지 크기의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가 실재 LED 패키지를 성형틀로 사용하여 준비되었다. CFQD(무카드뮴 양자 점)을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예를 들어 20mg 무기 용액)이 진공하에서 건조되어 양자 점 잔류물이 획득되었다. 교차결합제 트리메타크릴산 트리메틸로프로판(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10.6ml, 3.3mmol)에 녹은 광개시제(Irgacure 819, 9mg) 용액에 메타크릴산 라우릴(laurylmethacrylate)(1.85ml, 6.6mmol)이 첨가되었다. 단량체 혼합물(1.5 내지 3㎕) 부분 표본(aliquot)으로 LED의 컵(cup)을 채웠다. 채워진 LED는 이어서 조사되었다(Hamamatsu uv-LED 램프 LC-L2, 365nm, 7500 mW/cm, 3분). 굳어진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이어서 LED로부터 단순한 태핑(tapping)에 의해 제거된 후 (ALD 같은 코팅 방법 그리고 또는 POVH 같은 차단 물질을 사용하여) 가스 차단 필름으로 코팅되었다. 코팅된 디스크(disc)는 이어서 적절한 봉지 수지로 채워진 새로운 LED 패키지 안으로 삽입되었다.
도 5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사용한 무카드뮴 양자 점 (CFQD) 나노입자 기반(InP/ZnS) 발과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방출 스펙트럼(곡선 a)을, 동일한 매트릭스 물질의 마이크로비드에 부유된 나노입자를 사용한 발광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방출 스펙트럼(곡선 b)과 비교해서 보여준다. 대략 630nm에서 방출 발광 피크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장치에서 실질적으로 더 높다. 마이크로비드 기반 장치에서는 발광 강도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마이크로비드에 의한 산란 때문에 감쇄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 같이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사용하는 나노입자 발광 장치의 효혐(곡선 a, 인간 눈 민감도에 근거한 LED의 전체 밝기), 양자 점만의 피크의 % 광 발광 강도(곡선 b), 양자 점/LED 강도(곡선 c, 양자 점만의 피크 그리고 청색 LED 칩 피크 사이의 비율), 그리고 LED 강도(곡선 d, 청색 칩만의 피크)를 보여준다.
전술한 실시 예들 및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인이 착안한 발명 개념의 범위 또는 적용성을 한정하거나 제한하려고 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주제의 임의의 실시 예 또는 측면에 따라 전술한 특징들은 개시된 발명 주제의 다른 실시 예 또는 측면에서 홀로 또는 다른 특징과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와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공하고;
    상기 현탁액을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로 변환함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는 매트릭스 물질 및 상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가스 차단 물질로 코팅함을 더 포함하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물질은 중합체 또는 졸 겔인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물질은 에폭시, 실리콘, 또는 아크릴산인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물질은 중합체,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유리인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물질은 에폭시, 실리콘, 또는 아크릴산인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는 단량체 제형을 포함하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물질 전구체는 촉매, 교차결합제, 또는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을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로 변환함은 중합 성형, 접촉 성형, 주조, 사출 또는 압출 성형을 포함하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가스 차단 물질로 코팅함은 원자층 증착, 브러시 코팅, 증발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을 포함하는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성형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
  13.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제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제를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내에 포함시킴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기반 발광 장치 제조 방법.
KR1020147020064A 2012-01-19 2013-01-17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KR101645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8377P 2012-01-19 2012-01-19
US61/588,377 2012-01-19
PCT/IB2013/000408 WO2013108125A2 (en) 2012-01-19 2013-01-17 Molded nanoparticle phosphor for light emitting applicatio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751A Division KR20160095187A (ko) 2012-01-19 2013-01-17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299A true KR20140108299A (ko) 2014-09-05
KR101645263B1 KR101645263B1 (ko) 2016-08-03

Family

ID=480508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064A KR101645263B1 (ko) 2012-01-19 2013-01-17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KR1020177006272A KR101971611B1 (ko) 2012-01-19 2013-01-17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KR1020167020751A KR20160095187A (ko) 2012-01-19 2013-01-17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272A KR101971611B1 (ko) 2012-01-19 2013-01-17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KR1020167020751A KR20160095187A (ko) 2012-01-19 2013-01-17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066158B2 (ko)
EP (1) EP2804925B1 (ko)
JP (2) JP6322581B2 (ko)
KR (3) KR101645263B1 (ko)
CN (2) CN104066814B (ko)
HK (1) HK1203998A1 (ko)
WO (1) WO201310812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189A (ko) * 2015-07-31 2017-02-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7385A1 (en) 2009-10-17 2011-04-21 Qd Vision, Inc. An optical, component, products includ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DE102013206077A1 (de) * 2013-04-05 2014-10-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lau-emittierende Leuchtdioden auf Basis von Zinkselenid-Quantenpunkten
KR102294837B1 (ko) 2013-08-16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광학 부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제품
JP6469108B2 (ja) * 2013-11-19 2019-02-13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ルミネッセンス粒子、これを含む材料および製品、ならびに方法
US9470399B1 (en) * 2013-12-13 2016-10-18 Amazon Technologies, Inc. Light-emitting polymer films, article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US20150316219A1 (en) * 2014-05-01 2015-11-05 CoreLed Systems, LLC High-pass filter for led lighting
US9466771B2 (en) 2014-07-23 2016-10-11 Osram Sylvania Inc. Wavelength convert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170222095A1 (en) * 2014-08-06 2017-08-03 Ns Materials Inc. Resin molded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illumination member
US10598843B2 (en) * 2014-11-04 2020-03-24 Ns Materials Inc. Method of producing wavelength converting member
US9401468B2 (en) 2014-12-24 2016-07-26 GE Lighting Solutions, LLC Lamp with LED chips cooled by a phase transformation loop
JP6372394B2 (ja) * 2015-02-27 2018-08-15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2449686B1 (ko) * 2015-09-18 2022-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변환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광 변환 부재, 표시장치 및 발광소자 패키지및 이의 제조방법
US10128417B2 (en) 2015-12-02 2018-11-13 Nanosys, Inc. Quantum dot based color conversion layer in display devices
US20170166807A1 (en) * 2015-12-15 2017-06-15 Sharp Kabushiki Kaisha Phosphor containing particle,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phosphor containing sheet using the same
US20170167693A1 (en) * 2015-12-15 2017-06-15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8148571B (zh) * 2015-12-30 2020-09-29 浦江县汕淋贸易有限公司 一种量子点在3d打印中的应用
US11260129B2 (en) 2016-02-02 2022-03-01 Immunolight, Llc Phosphor-containing drug activator, suspension thereof, system containing the suspension, and methods for use
WO2017197392A1 (en) 2016-05-13 2017-11-16 Osram Sylvania Inc. Wavelength converters including a porous matrix, lighting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950762B2 (en) * 2017-04-13 2021-03-16 Lightizer Co., Ltd Round chip scal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475967B2 (en) 2017-04-27 2019-11-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Wavelength converters with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and lighting devices including the same
JP6712968B2 (ja) * 2017-06-09 2020-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蛍光体含有粒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蛍光体含有シート
US10483441B2 (en) 2017-06-09 2019-11-19 Sharp Kabushiki Kaisha Phosphor containing particle,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phosphor containing sheet using the same
US10752834B2 (en) * 2018-05-17 2020-08-25 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Composite fluorescent gold nanoclusters with high quantum yie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8256B1 (ko) 2018-09-13 2020-08-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케스페이즈-1 활성 측정용 프로브,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진단용 조성물
US10756243B1 (en) * 2019-03-04 2020-08-25 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Light-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939576A (zh) * 2019-05-31 2022-01-14 昭荣化学工业株式会社 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组合物、稀释组合物、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固化膜、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图案化膜、显示元件和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分散液
KR102318955B1 (ko) * 2020-01-09 2021-10-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 에폭시 투명목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형광 에폭시 투명목재
CN111960821B (zh) * 2020-07-27 2022-04-12 苏州瑞玛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微波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61983B (zh) * 2021-09-26 2023-06-23 广州华商职业学院 一种高光效量子点光转化涂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5744A1 (en) * 2008-12-22 2010-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nanocrystal composite
US20110156081A1 (en) * 2008-09-16 2011-06-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lymeric wavelength convert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6554A3 (en) * 1989-07-06 1991-08-28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Phosphors and color cathode ray tubes using same
JP3900617B2 (ja) * 1997-09-17 2007-04-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用の保護材料
US6515314B1 (en) * 2000-11-16 2003-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emitting device with organic layer doped with photoluminescent material
US6822391B2 (en) * 2001-02-21 2004-11-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U2003217546A1 (en) * 2002-02-19 2003-09-09 Photon-X, Inc. Polymer nanocomposites for optical applications
JP2003272827A (ja) * 2002-03-13 2003-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915085B2 (en) * 2003-09-18 2011-03-29 Cree, Inc. Molded chip fabrication method
US20050238803A1 (en) * 2003-11-12 2005-10-27 Tremel James D Method for adhering getter material to a surface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7573072B2 (en) * 2004-03-10 2009-08-11 Lumination Llc Phosphor and blends thereof for use in LEDs
US20060083694A1 (en) * 2004-08-07 2006-04-20 Cabot Corporation Multi-component particles comprising inorganic nanoparticles distributed in an organic matrix and processe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7723408B2 (en) * 2005-02-16 2010-05-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s having low filler percolation thresholds and methods of controlling filler interconnectivity
US8057664B2 (en) * 2005-11-17 2011-11-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reducing bromine index of hydrocarbon feedstocks
JP5308353B2 (ja) * 2006-12-28 2013-10-09 エージェンシー フォー サイエンス,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リサーチ 集積化気体透過センサを有するカプセル化デバイス
JP2010528118A (ja) * 2007-03-19 2010-08-19 ナノ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ナノ結晶を被包するための方法
US20080230750A1 (en) * 2007-03-20 2008-09-25 Evident Technologies, Inc. Powdered quantum dots
JP5156947B2 (ja) * 2007-03-22 2013-03-06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酸化物ナノシート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8280B2 (ja) * 2007-08-28 2012-02-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
GB0821122D0 (en) * 2008-11-19 2008-12-24 Nanoco Technologies Ltd Semiconductor nanoparticle - based light emitting devices and associated materials and methods
TW201034256A (en) * 2008-12-11 2010-09-16 Illumite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light-emitting diode devices
GB0916700D0 (en) * 2009-09-23 2009-11-04 Nanoco Technologies Ltd Semiconductor nanoparticle-based materials
GB0916699D0 (en) * 2009-09-23 2009-11-04 Nanoco Technologies Ltd Semiconductor nanoparticle-based materi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6081A1 (en) * 2008-09-16 2011-06-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lymeric wavelength converting elements
US20100155744A1 (en) * 2008-12-22 2010-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nanocrystal composi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189A (ko) * 2015-07-31 2017-02-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장치
US10174886B2 (en) 2015-07-31 2019-01-08 Sharp Kabushiki Kaisha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9125A (ja) 2015-03-26
US10461224B2 (en) 2019-10-29
JP6322581B2 (ja) 2018-05-09
CN107254206B (zh) 2021-04-27
JP2018080337A (ja) 2018-05-24
US20130189803A1 (en) 2013-07-25
WO2013108125A3 (en) 2013-10-24
JP6481015B2 (ja) 2019-03-13
KR101645263B1 (ko) 2016-08-03
HK1203998A1 (en) 2015-11-06
KR20160095187A (ko) 2016-08-10
EP2804925A2 (en) 2014-11-26
CN104066814B (zh) 2017-06-16
KR101971611B1 (ko) 2019-04-24
CN107254206A (zh) 2017-10-17
WO2013108125A2 (en) 2013-07-25
EP2804925B1 (en) 2016-12-28
US10066158B2 (en) 2018-09-04
CN104066814A (zh) 2014-09-24
US20180346805A1 (en) 2018-12-06
KR20170029653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263B1 (ko) 발광 장치 적용을 위한 성형된 나노입자 형광체
US10014447B2 (en) Semiconductor nanoparticle-based materials
JP6631973B2 (ja) 量子ドット複合材料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US9887326B2 (en) Quantum dot composite fluorescent particle and LED module
US8674390B2 (en) Semiconductor nanoparticle-containing materials and light emitting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TWI506071B (zh) 以半導體奈米粒子為主之材料
KR20140024404A (ko) 발광 다이오드들, 광전 표시 소자들 등에 사용하기 위한 반도체 나노입자 기반 물질들
JP2014519708A5 (ko)
KR20110030630A (ko) 반도체 광 변환 구조물
KR20110031956A (ko) 광 추출기의 제조 방법
KR20110031957A (ko) 광 변환 구조물
KR101413660B1 (ko) 발광다이오드용 양자점-고분자 복합체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18220161A1 (en) Multicolor display apparatus
KR101436099B1 (ko) Led용 이중 양자점-고분자 복합체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